•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 음운의 이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 음운의 이해"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시

3 : 제 장 음성 음운의 분류와 체계2 . 음성과 음운의 구분

1.

모음과 자음의 구분 2.

한국어 모음의 체계 3.

---

음성과 음운의 구분 1.

말소리의 물리적 성질은 조음 위치와 방법 소리 자질들의 서로 다름을 모두 식별하는 것, 을 말하고 말소리의 심리적 성질은 물리적으로는 서로 다른 음이라도 사람들이 같은 소리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에 따라 전자를 음성. (音聲, phone), 후자를 음운 으로 구분하였다 음성과 음운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하면서 한 언어 체계 (音韻, phoneme) .

속의 말소리를 파악하면 언어의 내적인 특성 중 소리 단위가 의미를 갖는 형태 단위를 이루, 는 관련성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소리와 철자와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그, .

(2)

모음

2. 과 자음의 구분

음성을 분류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은 모음‘ (母音, vowel, 홀소리 과 자음)’ (子音, 닿소리 이다 사실 말소리는 음파로 이루어져 있는 단절 없는 연속체인데 우리

consonant, )’ . ,

는 이것이 모음과 자음으로 나누어진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영화를 볼 때 단절된 필름이 빨. 리 이어지는 것을 보면서 단절이 없다고 착각하는 것과는 반대의 현상이다 왜 음성을 자음. 과 모음으로 가르는 것일까?

모음과 자음 분류의 세 가지 동기 -

(3)

이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로 막음이 있는 소리이다. 또한 자음을 소리낼 때는 성대 울림이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모음은 성대 울림이 필수 적으로 일어나는 소리이다.

음향음성학

(2) 의 입장에서 볼 때 자음은 음파의 모습이 불규칙적이지만 모음은 음파의 모, 습이 규칙적이다 따라서 자음은 소음. (騷音)에 가까운 소리이고 모음은 악음(樂音)에 가까 운 소리이다 자음은 음파의 진동수도 적고 소리가 지속되는 시간도 짧지만 모음은 음파. , 의 진동수도 크고 소리가 지속되는 시간도 길다.

청취음성학

(3) 의 입장에서 볼 때 자음은 청취에너지가 작지만 모음, 은 청취에너지가 크다 예. 스퍼슨(Jespersen)이 설정한 소노리티(sonority, 공명도)를 기준으로 보면 자음은 1도에서 5도에 해당되고 모음은 6도에서 8도에 해당되는 소리이다.

(4)

한국어 모음의 체계 3.

모음은 발동부인 폐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압력으로 성대를 진동시키며 나는 소리가 입안 을 통해 어떤 장애도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이다 모음은 혀와 아래턱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 되는 소릿길 성도( , 聲道)의 모양 그리고 입술의 모양에 의해 그 소릿값, (음가, 音價)이 달라진 다 조음기관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소릿길의 모양이란. , 혀의 어떤 부위를 높이는가에 따라 구강과 인두의 넓이가 달라지고 따라서 공기압도 달라지는 것을 말한다 입술의 모양에. 의해서 달라지는 소릿값은 입술 둥근 소리인가 입술 평평한 소리인가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 구강과 인두의 넓이에 의한 기술로써 모음의 소릿값을 기술할 수도 있으나 우리는, 일반적으로 혀의 높이에 따라 그리고 입안의 소리나는 부위에 따라 모음의 소릿값을 기술한, 다.

(5)

기본 모음

(1) 의 설정( 基本母音 , Cardinal Vowel)

기본 모음은 모음의 소릿값을 보다 정확히 기술하려는 목적으로 설정된 것인데 영국의 언 어학자 다니넬 존스(Daniel Jones)가 처음 정하고 그 소릿값을 정확히 보여주었다 예를 들. 어 영어의 sit의 [i] 소리와 불어의 si의 [i] 소리는 그 소릿값이 다른데 그렇다면 각 나라의, 서로 다른 모음에 대하여 각기 다른 부호를 마련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각기. 다른 부호를 만드는 것은 한없이 복잡한 부호 체계만을 생산해 낼 것이므로 이 방법은 실효 성이 없을 것이다 이에 기본 모음 체계를 만들어 놓고 각 언어마다 소릿값이 약간씩 다른. 것에 대해서는 기본 모음과 비교하여 소릿값을 설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겠다는 취지로 기본 모음을 설정하게 된 것이다.

(6)

차적인 기본 모음

1 (Primary Cardinal Vowel)

차적인 기본 모음은 개로 혀의 높이와 자리의 다름에 따라 결정된다

1 8 :

혀를 입천장을 향해 막음이 일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로 높이면서 최대로 내 (1)

민다. [i] <1번 기본모음>

반대로 혀를 모음 성질을 잃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로 낮추면서 최대로 뒤로 당 (2) ,

긴다. [ ]α <5번 기본모음>

에서 혀를 점점 낮추면서 청각상의 거리가 비슷하게 세 점을 정한다

(3) [i] . [e] [ ]ℇ

번 기본모음 [a] <2 4

에서 혀를 점점 높이면서 청각상의 거리가 비슷하게 세 점을 정한다

(4) [ ]α . [ ] [o]э

번 기본모음 [u] <6 8

(7)

8개의 홀소리의 위치는 X-선 사진으로 확인되어 대략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실제로는 타( 원형인데 도식에 편리하게 하기 위해 네모꼴로 그린다). <1번 기본 모음 8번 기본 모음>

차적인 기본 모음

2 (Secondary Cardinal Vowel)

차 기본 모음을 발음할 때 각각의 입술 모양은 그 혀 위치가 흔히 갖는 모습을 한다

1 .

는 입술이 둥글지 않는 평순 이고 는 입술이 둥근 원 [i] [e] [ ] [a] [ ]ℇ α (平脣) , [ ] [o] [u]э

순(圓脣) 상태가 된다 이에. 2차적인 기본 모음은 원순에 대해서는 평순으로 평순에 대해서, 는 원순으로 내는 소리로 정한다 이 중에 와( œ Æ는 실제로는 어떤 언어에서도 별개의 모음 음 소로 나타나지 않는다). <9번 16번>

또한 [i]와 [u] 사이에 청각상의 거리가 가운데 지점에서 나는 소리를 정하는데 평순의 소 리를 [ ]∓ 라 하고 원순의 소리를 [ʉ]라 한다. <17번 18번 기본 모음>

(8)
(9)

조음 위치에 따른 모음의 분류 (2)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

(高母音, high vowel), 반고모음(半高母音, half-high vowel), 저모음(半低母音, half low vowel), 저모음(低母音, low vowel)이 있다 국어 모음의 이. [i], 는 입안의 높은 곳에서 소리나는 고모음이다 입안의 높은 곳에서 나면서 혀의 위

[ ],∓ [u] (

치도 높아진다). 국어 모음의 에[e], 어[ ],∂ 오[o]는 입안의 높은 곳보다 조금 낮은 위치에 서 나는 반고모음이다 국어 모음의 애. [ ],ℇ 어[ ]∧ 는 압안의 낮은 곳보다 조금 높은 곳에서 나는 반저모음이다 국어 모음의 아. [a]는 입안의 낮은 곳에서 나는 저모음이다 혀의 위치도( 낮아져 있다).

고모음의 [i], [ ], [u]는 혀의 앞뒤 위치에 따라 다른 모음이 되므로 이를 전설모음

(前

중설모음 , front vowel),

舌母音 (中舌母音, central vowel), 후설모음(後舌母音, back vowel)이 라 한다 반고모음의. [e], [ ], [o]∂ 도 전설 중설 후설로 나뉜다 반저모음의, , . [ ], [ ]ℇ

(10)

입술 모양에 따르는 분류가 있는데 발음할 때 입술이 둥근 원순모음,

(圓脣母音, rounded

과 평순모음

vowel) (平脣母音 非圓盾母音, , unrounded vowel)이 그것이다 위에서 얘기한 모. 음 중 전설의 [i], [e], [ ]ε 와 중설의 [ ], [ ], [a]∓ 는 평순 모음이다 후설 모음 중. [ ]∧ 평순 모음이고, [o], [u]는 원순 모음이다.

혀의 앞뒤위치

혀의 높이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i](평순) [ ]( 평순) [u](원순) 반고모음 [e](평순) 어 [∂ 평순]( ) [o](원순) 반저모음 애 [ε 평순]( ) 어 [∧ 평순]( )

저모음 [a](평순)

(11)

모음의 이름 (3)

어떤 사물을 식별했을 때 우리는 그 이름을 불러준다 위에서 한 모음의 분류를 가지고 이제 모음의 이름. 을 불러 보자 모음의 이름은. 입술 모양, 혀의 앞 뒤 위치, 혀의 높낮이 순으로 부르는 것이 편리 하다 영어로 이름을 부를 경우 이름 부르는 순서는 한국이름의 순서와 완전히 반대로 하면 된다. , .

평순 전설 고모음

/ / , high front unrounded 평순 전설 반고모음

/ / (중모음), half-high front unrounded 평순 전설 반저모음

/ / (중모음), half-low front unrounded 원순 후설 고모음

/ / , high back rounded 원순 후설 반고모음

/ / , half-high back rounded 평순 중설 저모음

/ / , low central unrounded 평순 중설 고모음

/ / , high central unrounded 평순 중설 반고모음

/ / [ ] (장음 첫음절 아닌 곳의 어, ‘ ’ 인어 어른 거리 멀다, , , ) 평순 후설 반저모음

[ ] (첫음절의 단음 어‘ ’ 어머니 더욱 머리 먹어 너, , , , )

(12)

이음으로 삼아 음소 어 의 이름을 평순 후설 중모음 이라 할 수 있다/ / .

국어의 모음 체계를 분류할 때 혀의 위치, 3구분과 혀의 높이 4구분을 더 간략히 하기도 한다 전설. ,

중설 후설로 구분하지 않고 전설 후설의 둘로 구분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그렇게 할 때 중설모음은, , . , 후설로 간주하고 후설 모음에서 평순과 원순을 구분하여 변별한다 고모음 반고모음 반저모음 저모음으, . , , , 로 구분하지 않고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의 셋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렇게 구분한 체계는, , . 다음과 같이 된다.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평순 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13)

한국어의 모음 중 위 와 외 는 그 소리값이 [y], [ø]로 나면 이들을 단모음 체계에서 기술해 주어야,

한다 이 둘을 모두 단모음으로 인정한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이(i) 위(y) 으(ɨ) 우(u) 중모음 에(e) 외(ø) 어(ʌ/ə) 오(o)

저모음 애(ɛ) 아(a)

그러나 현대 한국어에서 외 와 위 는 일반적으로 [wɛ], [wi]로 나서 이중모음값,

을 가진다 이들은 특.

정적으로 일부 지역에서 아직 단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는 것이다 예 전라도의 참외 같은 단어에( : ).

에 와 모음은 현대인들이 거의 그 발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예 애벌레 를 에벌레 로 발음 이 두

( : “ [ ] ).

발음이 다르다고 하는 규범을 지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14)

이중모음(二重母音, dippthong)이란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 라지는 모음을 말한다.

우리말의 이중모음

< > (12 )개

반모음

단모음 이[i] 에[e] 애[ɛ] 우[u] 오[o] 아[a] 으[ɨ] 어[ʌ]

j * 예[je] 얘[jɛ] 유[ju] 요[jo] 야[ja] 의[ɨj] 여[jʌ]

w 위[wi] 웨[we] 왜[wɛ] * * 와[wa] * 워[wʌ]

참조

관련 문서

자유 선택:대학의 “편입생 학점인정 기준”의 인정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학점 중 핵심교양, 공 학소양, 공학기초, 전공필수에서 본 학점인정 지침에 따라 인정한 학점을 제외하고

동작책무 (Duty Cycle, Operation Duty)... 축가스를

원인에 따라 상용약에 의한 약인성 간손상(drug- induced liver injury), 한약재에 의한 간손상(herbal drug- induced liver injury), 건강기능식품에 의한 간손상(dietary

불평등을 의미하는 영어 원문은 inequity이다.. 불균등이라고 쓰고 불평등이라고

Fresofol MCT Inj 2%의 허가사항 중 ‘사용상의 주의사항-적용상의 주의’ 항에 ‘이 약을 투여하고 있는 장치에 다른 약물 이나 수액을 가할 때 카뉼라 부위에 근접하게

② 동조 제1항에 의한 창업기간이 종료된 후 창업기간을 연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동조의 절차에 따라 위원회로부터 창업에 대한 재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 경우에는

가려움증이 전신 또는 일부에만 나타나는 경우 모두 피부질환과 관련 이 있으나, 특히 가려움증이 있는 부위에 따라 다양한 피부 질환과 연관 되어 나타날

그래서 액체와 기체의 운동을 기술할 때는 모두 유체의 운동이라는 제목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유체의 운동을 기술할 때도 역시 지 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