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전제 의미 추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전제 의미 추론"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본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하였음.

2018, Vol. 34, No. 2, pp.239-250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전제 의미 추론

*

윤 송 이(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생) 황 민 아(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임 종 아(유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요 약>

연구목적: 전제는 진실이라고 가정하고 공유하는 배경지식이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이 문장에 전제된 의미를 추론하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연 구방법: 초등학교 1∼3학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9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에게 사실적 전제와 함축적 전제로 구분된 총 32개의 전제문장과 판단문장을 듣고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점수로 집단(2)×전제유형(2)의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전제의미를 추론하는데 어려움 을 보였으며, 사실적 전제와 함축적 전제유형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고기능 자폐스펙트 럼장애 아동이 전제의미를 추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다양한 의사소통상황에서 주어진 전제에 기 반한 정보교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추론과정, 작업기억 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주제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전제, 추론

(2)

Ⅰ. 서 론

전제는 화자와 청자가 진실이라고 가정하고 공유하는 배경지식으로 문장이 발화되었을 때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함언을 포함한다(Smith & Wilson, 1979).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되려면 청자와 화자가 서로 공유한 전제된 부분을 생략하고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거나 변경시 켜나가는 화용능력이 함께 요구된다. 문장의 구문 및 의미적 특성뿐 아니라 화자와 청자의 배 경지식, 개인적 믿음, 기대 등이 포함된 문맥을 바탕으로 발화된 문장에서 무엇이 참이고 거짓 인지 추측하기 때문이다(Eisele, Lust & Aram, 1998). 따라서 전제된 내용을 잘 추론하지 못하고 전제된 사실을 공유하지 못한다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고 단절될 수 있다(임종아, 황민아, 2011).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이하 고기능 ASD)라는 용 어는 DSM-5(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이하 APA, 2013)의 진단기준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연 구나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동기 초기에는 ASD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이 나 성장하면서 인지, 적응행동, 사회성, 의사소통 기술이 전형적인 ASD아동보다 더 발달한 경 우를 말한다. 이 아동들의 언어능력에 대한 연구들은 의미, 구문, 화용, 읽기 측면에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자폐성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들(이수진, 2016: 박지윤, 이병인, 2018), 낱말재인 (조은숙, 이윤경, 2006)과 어휘발달(Kjelgaard & Tager-Flusberg, 2001)에서는 비교적 우수한 능력 을 보이나, 덩이글 이해(조은숙, 이윤경, 2006), 읽기이해점검(손혁, 황민아, 임종아, 2016), 추론 (Norbury & Bishop, 2002), 상대방의 간접적인 요구와 거절의 표현(이지희, 2009), 새로운 정보처 리(이희란, 김영태, 이승복, 2007) 및 은유이해(정다히, 2012; Minshew & Goldstein, 2001)에 어려움 을 보였다. 즉, 기본적인 언어발달은 일반아동을 따라가지만 적절한 언어사용능력인 화용론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보고(DeVillers, Stainton & Szamari, 2007; Paul, Orlovski, Marcinko & Volkmar, 2009) 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고기능 ASD아동은 정신적 동사(mental verbs)의 함의 추론, 사회적 스크 립트에 관한 추론, 은유 이해와 화행산출에 어려움을 보인다는 보고도 있었다(Dennis, Lazenby &

Lockyer, 2001). 이렇게 다양한 화용기술 및 추론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기 능 ASD아동은 전제의미를 이해하고 추론하는 것에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전제능력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어린 아동들도 전제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연령에 따라 발달한다고 보고하였다(Abbeduto & Rosenberd, 1985; Natsopoulos, 1987; Paris &

Upton, 1976; Scoville & Gordon, 1979). 이중 Abbeduto & Rosenberd(1985)는 본동사(main verb)의 전제에 따른 정신적 동사(mental verb)를 선택하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세 이후에

‘know, remember, forget’ 등의 사실성 동사들이 내포문의 참(true)을 전제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사실성, 비사실성 동사의 적합성은 7세 이후에 발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Paris &

Upton(1976)은 전제에서 함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6∼10세에 발달하지만 이는 단순한 기억용

(3)

량의 성장뿐만 아니라 이해점검과 같은 추론능력의 향상과 높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 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제된 정보를 추론하는데 발달적 변화가 큰 것으로 보이는 초등학교 1~3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연령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은 우리말의 특성에 따른 전제 문장의 구성 이다. 언어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제를 의미적 전제(혹은 논리적 전제)와 화용적 전제로 구분한 다. 의미적 전제는 어휘나 문장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말하고, 화용론적 전제는 맥락, 대화 상황 및 화자와 청자의 배경지식에서 유발되는 것을 말한다(고창운, 1987; 문금현, 2004; 임천택, 2003). 본 연구에서는 참, 거짓의 의미판단이 분명한 의미론적 전제를 중심으로 하였다. 의미론 적 전제는 각 단어의 고유의미로 인해 전제의미가 발생하는 어휘적 전제와, 문장구조와 조사나 어미의 특성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적 전제가 있다(임종아, 황민아, 2011). 본 연구에서는 어휘와 형태적 요소에서 유발되는 전제를 모두 포함한 전제 문장을 구성하였다. 문장 표면에 그 의미 가 명시적인 경우는 사실적 전제로,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는 함축적 전제로 구분하여 전제유 형에 따라 수행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ASD아동이 문장의 전제 의미를 추론하는데 일반아동에 비해 어려움이 있는지, 전제 유형(사실적, 함축적)에 따라 전제 의미 추론에 집단 간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3학년 고기능 ASD아동 9명과 이 아동들 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9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총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집 단별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고기능 ASD아동

고기능 ASD아동은 다음 조건에 일치하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1) 소아정신과에서 ASD로 진단 받고 (2)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이하 K-WISC-Ⅲ: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의 동작 성 지능이 80 이상인 아동으로 (3) 수용․표현 어휘력검사(이하 REVT: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결과, 또래 아동의 평균 -1SD 이상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4) 구문의미이해력검사(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장혜성, 2004) 결과, 또래아동의 평균 -1SD 이상의 구문의미이해력을 갖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하고자 한 아동은 총 10

(4)

명이었으나, 1명의 아동은 구문의미이해력 검사에서 –1SD 미만의 수준을 보여 본 연구에서 제 외되었다.

2) 생활연령 일치아동

일반아동은 부모나 교사에 의해 언어, 인지 및 다른 장애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초등학교 1

∼3학년의 아동으로 위의 (2)∼(4)의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선정하였다. 아동들의 기초 정보 는 <표 1>과 같다. 두 아동집단 간에 연령, 동작성 지능, 어휘력, 구문이해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연구에서 계획한 집단 구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연령(월) 평균 (SD)

동작성지능 평균 (SD)

표현어휘력 평균 (SD)

수용어휘력 평균 (SD)

구문점수 평균 (SD) HFA아동 (n=9) 101.67(9.33) 95.44(14.35) 94.56(14.28) 98.56(11.82) 44.78(8.83) 일반아동 (n=9) 98.33(11.19) 107.00(9.22) 101.67(15.46) 103.00(13.34) 51.00(5.03)

<표 1> 연구 대상 아동 기초 정보

2. 검사 도구

본 연구에서 아동들의 전제의미 추론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임종아·황민아(2011)의 선행연구의 과제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아동이 연속한 두 개의 문장을 듣고 그 의미의 참, 거짓을 판단 하는 의미판단과제로 구성되어있다. 첫 번째 문장은 전제의미가 포함된 문장(이하 전제문장)이 며, 이어진 문장은 전제의미의 판단을 유도하는 문장(이하 판단문장)이다. 전제문장은 5∼7어절 로, 전제의미를 포함하는 내포문 혹은 부사 및 조사 등의 어휘가 포함된 문장이다. 판단문장은 3∼4어절로, 모두 긍정문으로 구성하였다. 전제의미의 유형은 사실적 전제와 함축적 전제로 구 분하였다. 사실적 전제는 전제가 되는 의미가 문장 표면에 드러나고, 함축적 전제는 특정 어휘 나 문장의 의미를 통해 전제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문항은 전제 유형에 따라 각각 16문항씩 총 3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제의미 추 론에 부정문의 영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Just & Clark, 1973), 32개의 문장 중 16문항은 긍정문으 로 나머지 16문항은 부정문으로 구성하였다. 판단문장은 참과 거짓에 대한 판단이 동일하게 나 타나도록 참인 사실적 전제 문항 8개, 거짓인 사실적 전제 문항 8개, 참인 함축적 전제 문항 8 개, 거짓인 함축적 전제 문항 8개가 포함되었다. 이 문장들을 아동에게 제시할 때, 문장유형과 전제유형에 따른 난이도 및 순서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역균형화(counter valanced)한 (가)형과 (나)형의 두 가지 과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가)형에서 긍정문으로 제시된 문장이 (나)형에서는

(5)

부정문으로 제시되어 모든 전제문장이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판단될 수 있도록 하였다(임종아, 황민아, 2011). 유형별 전제의미 판단검사 문항의 예는 <표 2>에 제시되었다.

전제 유형 전제문 판단문

사실적 전제 (16문항)

긍정문

(8문항) 지수는 엄마가 어제 사온 책을 읽었다.

엄마가 어제 책을 샀다. (참) 부정문

(8문항) 지수는 엄마가 어제 사온 책을 읽지 않았다.

함축전 전제 (16문항)

긍정문

(8문항) 어두워져서야 동생이 집에 들어왔다.

동생이 낮에 집에 있었다. (거짓) 부정문

(8문항) 어두워져서도 동생이 집에 들어오지 않았다.

<표 2> 유형별 전제의미 판단과제의 예

3. 연구 절차

본 연구의 실험은 분리된 조용한 공간에서 검사자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선별검사로 K-WISK-Ⅲ(곽금주 등, 2001)의 동작성 지능검사와 REVT(김영태 등, 2009), 구문의미이해력검사 (배소영 등, 2004)를 실시한 후 본 과제를 실시하였다.

검사 준비가 끝나면 “이제부터 선생님이 문장 2개를 들려줄 거야. 그 문장들은 서로 연결된 이야기야. ○○는 첫 번째 문장을 잘 듣고 두 번째 문장의 내용이 첫 번째 문장과 관련해서 맞 았는지 틀렸는지 말해줘야 해. 자 그럼 연습문제를 해보자.”라고 지시한 후 4개의 연습문항을 실시하였다. 이 때 아동이 오답을 말한 경우에는 정답을 알려주고 설명하여 주었다. 이후 아동 이 검사의 내용과 방법을 잘 이해한 것으로 보이면 본 문항을 실시하였다. 검사문항은 검사자 가 보통의 말속도와 크기로 한 번만 읽어주었다. 아동이 요구할 경우 한 번 더 읽어주었으나 1 회를 초과하지 않았다. 아동의 반응은 검사자가 즉시 기록하였다.

4. 자료 분석

검사 실시 이후 24시간 이내에 모든 검사지를 채점하였다. 전제의미 판단과제는 판단문장의 의미가 전제문장의 내용에 부합하는가에 따라 ‘맞다, 틀리다’를 바르게 판단한 경우 1점을 주 고 오답을 말하거나 반응을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0점으로 처리하였다. 사실적, 함축적 전제 별로 각 16점, 총 32점 만점으로 채점되었다. 채점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두 차례 검토하였

(6)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집단 간

집단 72.250 1 72.250 18.645 .001

오차 62.000 16 3.875

집단 내

전제유형 12.250 1 12.250 2.327 .147

집단(2)×전제유형(2) .028 1 .028 .005 .943

오차 84.222 16 .5264

<표 4> 전제유형 따른 집단 간 전제의미 판단과제 점수의 분산분석 결과

으며 얻어진 점수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고기능 AS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전제의미를 추론하는데 차이가 있는지, 전제유형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 살펴보기 위해 전제유형(2)×집단(2)의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전제유형은 반복측 정 되었다.

Ⅲ. 연구 결과

1. 전제의미 판단과제 수행 능력

사실적 전제와 함축적 전제에 따른 고기능 ASD아동과 일반아동의 집단 별 수행능력의 기술 통계는 <표 3>과 같다.

사실적 전제(16점) 함축적 전제(16점) 총점(32점)

평균 (SD) 평균 (SD) 평균 (SD)

HFA아동 (n=9) 11.44 (3.05) 10.22 (2.59) 21.67 (3.61) 일반아동 (n=9) 14.22 (1.20) 13.11 (.93) 27.33 (1.58)

<표 3> 유형별 전제의미 판단과제 점수

아동들의 점수를 수행 정확도로 살펴보면 고기능 ASD아동 집단은 총점에서 약 60%, 일반아 동은 85%의 정확도를 보였다. 전제유형에 따른 수행 정확도는 고기능 ASD아동이 사실적 전제, 함축적 전제에서 각각 약 72%, 68%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일반아동은 89%, 82%의 수행을 보

(7)

였다. 즉, 고기능 ASD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사실적 전제, 함축적 전제 모두 평균 수행 능력 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두 집단 간 전제의미 판단과제의 수행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집단(2)과 전제유형(2)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는 <표 4>와 같다.

전제유형(2) ×집단(2)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전제의미 판단과제에서 집단(F(1, 16) = 18.645,

p = .001)의 주효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전제유형의 주효과와 전제유형과 집단의 상호

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제 유형에 따른 수행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두 아동 집단 간 전제 유형에 따른 수행 양상이 유사함을 의미한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3학년 고기능 ASD아동이 문장에 전제된 의미를 추론하는데 어려 움이 있는지를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문장을 연달아 듣고 첫 문장에 전제된 의미를 파악하여 두 번째 문장 의미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게 하는 과제를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기능 ASD아동은 또래 아동에 비해서 전제의미 추론능력이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로 ASD아동이 전제와 추론능력이 저조하다는 선행 연구 결과 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이희란 등, 2007; 최숲, 정부자, 전희정, 2012; Dennis et al., 2001).

또한 기본적인 추론능력은 있지만 맥락에 맞게 추론하는 것에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 (Norbury & Bishop, 2002)와도 관련 있을 것이다.

문장의 의미적 전제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의 다양한 통사, 형태 지식과 전제에 영향을 주는 언어 기제를 사용하는 능력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 언어기제에는 명사, 한정명사 구, 관형절, 사실성 동사, 시상성 동사, 반복수사, 한정조사, 관형사형 어미, 명사형 어미, 종속 접속어미 등이 있다(고창운, 1987; 문금현, 2004). 본 연구의 과제들도 이러한 문법형태소를 포함 한 문장들로 구성되었다. 그렇다면 고기능 ASD아동들이 이들 어휘와 문법형태소를 통해 생성 되는 의미파악에 어려움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ASD아동들이 기본적인 의미 론과 개념에 어려움이 있으며(Tager-Flusberg, 1981), 표준화된 언어검사의 문법영역에서 낮은 점 수를 보였으며(최지은, 오소정, 이윤경, 2015), 일반아동에 비해 문법형태소와 의미론에서 어려움 이 있다는 보고(Bartolucci & Pierce, 1977)가 있다. 또한 고기능 ASD아동은 구체 개념들은 잘 이 해하지만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며 문법 형태소 등과 의미 단서들을 통합하지 못하고 사실 단어에만 주의를 기울여 그 뜻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하영례, 2006)는 보고와도 관 련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본 연구 과제에서도 고기능 ASD아동들은 어휘와 기본 문장이해에

(8)

있어서는 일반아동과 유사하였지만 여러 문법형태소의 의미 단서들을 통합하지 못함에 따라 전 제의미를 추론하고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검사과제는 전제의미를 포함한 전제문과 그 문장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판 단문을 연이어 들은 후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참, 거짓을 판단하여 선택 하기 위해서는 전제문을 듣고 이를 기억하고 저장해야하며 전제를 추론하여 판단문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해야 한다. 문장을 이해하고 그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과정은 작업기억과도 관련이 있다(Weismer, Evans & Hesketh, 1999). 이와 관련하여 고기능 ASD아동은 정보통합 의미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과제난이도가 증가할수록 작업기억 수행능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현저 히 낮아진다고 하였다(Minshew & Goldstein, 2001). 김희진과 임동선(2012)의 보고에 의하면 고기 능 ASD아동은 문장처리이해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저장 하는 작업기억 과제에서도 일반아동에 비해 어려움을 보인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본 연구에서 도 두 문장을 연달아 듣고 기억하여 의미의 참, 거짓 판단이 필요한 과제 특성이 고기능 ASD 아동에게 영향을 미쳐 저조한 수행력을 나타냈을 가능성이 있다.

둘째, 일반아동과 고기능 ASD아동 모두 사실적 전제보다 함축적 전제의 점수가 낮았으나 전 제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집단과 전제유형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도 나 타나지 않았다. 이는 아마도 집단 간 수행차이가 비교적 컸던 점에 비해, 유형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특히 일반아동은 90%에 가까운 수행을 보인 점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과제를 사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과 일반아동을 비교한 연구(임종아, 황민 아, 2011)와는 다른 결과이다. 그들의 연구에서는 ADHD아동은 전제유형에 따른 수행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나, 일반아동은 사실적 전제의 수행이 함축적 전제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연구자들은 ADHD아동이 과제수행의 단서가 되는 사실적 정보에 주목하지 못하였 거나 과제에 잘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기능 ASD아동이 전제를 추론하고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 결과는 의사소 통 상대와 서로 사실로 믿는 전제된 정보를 참조하지 못하거나 맥락에 맞게 조절하지 못하여 의사소통이 단절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학령기 아동에게 전제에 대한 추론 능력의 저조함은 읽기와 쓰기능력에서도 문제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아동들의 중재에 전제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수가 제한적이었고, 의미론적 전제를 중심으로 과제를 구성하였다. 추후 화용론적 전제를 포함 하여 보다 많은 아동이 참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ASD아동의 화용 문제를 살펴보는데 더 유용 할 것으로 기대한다.

(9)

참고문헌

고창운 (1987). 전제 이론과 국어의 전제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 육.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2009).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 지관.

김희진, 임동선 (2012). 과제 난이도에 따른 고기능 자폐아동의 작업기억 수행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3), 451-465.

문금현 (2004). 전제의 유형. 한국어 의미학, 14, 223-250.

박지윤, 이병인 (2018). 자폐성장애 영유아 관련 실험연구 동향분석: 2007-2017년도 국내 학술지 를 중심으로. 특수교육논총, 34(1), 1-33.

배소영, 임선숙, 이지희, 장혜성 (2004). 구문의미이해력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손 혁, 황민아, 임종아. (2016). 고기능 자폐범주성 장애 중학생의 읽기 이해점검능력: 의미론적 오류점검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13(2), 157-174.

이수진 (2016). 기능적 의사소통 중재(FCT)가 자폐성 장애 유아의 자발적 의사소통 행동 및 문 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논총 31(2), 29-52.

이지희 (2009). 고기능 자폐아동의 간접적인 요구 및 거절에 대한 이해능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이희란, 김영태, 이승복 (2007). 고기능 자폐아동의 주어진 정보와 새로운 정보 처리능력.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2), 199-214

임종아, 황민아 (201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전제의미 추론. 언어치료연구.

20(2), 97-105.

임천택 (2003). ‘전제’의 기능과 국어 교육적 의미. 새국어교육, 66, 97-117.

정다히 (2012). 과제유형에 따른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 아스퍼거 장애아동, 일반아동의 은유이해 비교.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은숙, 이윤경 (2006).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낱말재인 및 읽기이해 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1(3), 208-218

최숲, 정부자, 전희정 (2012). 고기능 자폐성장애 청소년의 추론능력 및 관련요인. 자폐성장애연 구, 12(1), 1-17.

최지은, 오소정, 이윤경 (2015). 학령기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언어특성-학령기아동언어 검사(LSSC) 결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14(2), 139-156.

하영례 (2006). 고기능 자폐아의 의사소통 결함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8(2), 122-136.

(10)

Abbeduto, L., & Rosenberd, S. (1985). Children's knowledge of the presuppositions of know and other cognitive verbs.

Journal of Child Language, 12, 621-64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Bartolucci, G., & Pierce, S. J. (1977). A preliminary comparison of phonological development in autistic,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su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12(2), 137-147.

Dennis, M., Lazenby, A. L., & Lockyer, L. (2001). Inferential language in high-functio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1(1), 47-54.

DeVillers, J., Stainton, R. J., & Szamari, P. (2007). Pragmatic abiliti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

Midwest Studies in Philosopy, 31, 292-317.

Eisele, J. A., Lust, B. & Aram, D. M. (1998). Presupposition and Implication of Truth: Linguistic Deficits following Early Brain Lesions.

Brain and Language, 61(3), 376-394.

Just, M. A., & Clark, H. H. (1973). Drawing Inferences from the Presuppositions and Implications of Affirmative and Negative Sentence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2, 21-31.

Kjelgaard, M. M., & Tager Flusberg, H. (2001). An investigation of language impairment in autism: I mplications for genetic subgroups.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6(23), 287-308.

Minshew, N. J., & Goldstein, G. (2001). The pattern of intact and impaired memory functions in autis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8), 1095-1101.

Natsopoulos, D. (1987). Processing Implication and Presuppositions by Schoolchildren and Adults: A Developmental Cross-Linguistic Comparison.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16(2), 133-164.

Norbury, C. F., & Bishop, D. V. M. (2002). Inferential processing and story recall in children with communication problems: a comparison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nd high-functioning autism.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37(3), 227-251.

Paris, S. G., & Upton, L. R. (1976). Children's Memory for Inferential Relationships in Prose.

Child Development, 47, 660-668.

Paul, R., Orlovski, S. M., Marcinko, H. C., & Volkmar, F. (2009). Conversational Behaviors in Youth with High-functioning ASD and Asperger Syndrom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9(1), 115-125.

Scoville, R. P., & Gordon, A. M. (1979).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ctive presupposition: an experiment and a review.

Journal of Child Language, 7, 381-399.

Smith, N. V., & Wilson, D. (1979).

Modern Linguistics. Penguin Books.

(11)

Tager-Flusberg, H. (1981). On the nature of linguistic functioning in early infantile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11, 88-96.

Weismer, S. E., Evans, J., & Hesketh, L. J. (1999). An examination of verbal working memory capacit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2(5), 1249-1260.

(12)

* 교신저자(stella@yd.ac.kr) Abstract

Drawing Inferences from the Presuppositions of Sentence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Song-ie Yoon․Mina Hwang․Jong Ah Lim*

Purpose: The presupposition is a shared background assuming tr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difficulty in the presupposition meaning of sentence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ASD). Methods: 9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of 1st∼3rd grade elementary schools and 9 age 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y were true or false by listening to a total of 32 pairs of sentences involved explicit and implicit presupposition.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f group(2)× type(2) was performed with the obtained score. Results: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had difficulty in drawing inference from the presuppositions of sentences than TD,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presupposition types. Conclusion: The difficulty in drawing inference the presupposition in sentence of a children with a high-functioning ASD means that it may be difficult to exchange information based on a given presupposition in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We discussed these results with the inference process, working memory.

Key words :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presupposition, inference

게재 신청일 : 2018. 11. 22 수정 제출일 : 2018. 12. 20 게재 확정일 : 2018. 12. 21

참조

관련 문서

해당 연구를 통해 신호가 변경되는 주기를 파악하고, 이를 GPS 와 연동시켜 자동차에 알맞은 속도를 결정 및 가시화하는 시스템 을 구상한다면, 운전자들이 자신의 주행

본 연구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결혼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응답자들의 학 력에 있어서 무학에 비해 고졸,대졸인 경우가,음주여부에 있어서는 전혀 마시지 않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적 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및 언어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이처럼 1990년 초반의 사회주의권의 몰락에 따른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른 어려움 속에서 북한의 대남정책 변화는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통해 국제적 고립과 국내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에서 연령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없었 으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간호학 실습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연령은

델타파는 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후두엽은 감소하는 양상을 띠었 고 우측 측두엽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두정엽은 변화를 보 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임상병리과 3∼4학년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법의학에 대한 필요성 및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 되었다.본 연구결과 법의학 인식에

- 이밖에 제한된 자료의 이용에 따른 가정 또는 전제, case 설정의 한계 등 은 향후 관련연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