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9회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 수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제9회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 수상"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ttp://www.ksiec.or.kr

108 공업화학 전망, 제24권 제3호, 2021

제9회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 수상

유 덕 만 책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이번 2020년 한국공업화학회 추계 신진과학자포럼에서 제게 발표할 기회를 주시고, 미원상사신진과학자 상을 수여해주신 학회 위원회분들과 미원상사 임원분들을 포함한 모든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는 2010년부터 한국화학연구원에서 재직하고 있으며, 2019년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에서 고분자 과학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저의 주요 연구분야는 에너지 저장 및 변환장치 용 분리막 소재 개발로, 현재 이슈되고 있는 연료전지 및 수전해 전해질막을 위한 탄화수소계 기반의 신규 고분자 이온전도체를 연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이용한 복합소재를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특성과 내구성 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저가습에서 전해질막의 수소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화수소계 고분자 구조를 블 록형 및 가지형으로 제어하고, 친수부분과 소수부분의 사슬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상분리 모폴로지 를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해질막의 기계적 강도 증대를 위해 다양한 비용해성 고분자 다 공성 지지체를 활용하여 강화막을 개발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수전해 및 레독스 전지 등에 적용하여 장기 운전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탄화수소계 전해질막을 이용한 막-전극접합체를 개발하기 위해 막과 전극 간의 계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신규 전극바인더 개발 및 전극슬러리 조성 최적화, 그리고 막의 표면처리 등을 통 해 계면저항을 감소시켜 막-전극접합체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의 국산화에 기여하고자 하며, 개발 소재의 영역을 확대하 고자 다양한 적용 분야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공업화학회의 많은 선후배 연구자분들과 함께 협력하여, 이와 같은 연구목표를 이룰 수 있도 록 계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이어 학회를 통해 다양한 분과의 연구자분들과도 교류하여 저의 연구역량 을 확대하고, 학회 발전에도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자로 성장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저에게 미원 상사신진과학자상을 수여해주신 한국공업화학회 관련 모든 분들에게 감사 인사드립니다.

학력 및 경력

2001~2007 연세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2007~2009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 석사

2015~2019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Polymer Science &

Engineering 박사

2010~현재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참조

관련 문서

비행기가 추락해서, 외딴 섬에 홀로 떨어져서, 생활을 해야 한다.. 필기도구도 없고

동시에 적극적인 에너지 절감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연료전지, 지열 시 스템과 같은 설비설계를 위해서는 기존 공동주택 단지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데 이터를 토대로

– 협업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과 서비스로 문서작성, 논평, 정보공유, 화상회의, 일정관리, 이메일 및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 지원 소프트웨어

기존 2D 기반의 부품 가공 문제점 및 솔루션. 부품 가공을 위한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안전환경 관련 사규 검색 [분야별] 검색/이용. DATA 저장/편집 및 결과 Display 경미재해 통계 및

• 대체에너지개발, 에너지 효율화, 탄소저감기술의 개발, 탄소포집 및 저장, 탄소를 원재료로 이용하는 기술 개발 등에 지원하는

- 에너지 전달에 있어서 에너지 네트워크의 손실 축소, 네트워크 이상 징후 발견과 손상 시 복원력 제고 , 에너지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저장장치 활용... 및

하지만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수중 단세포 생물로 에너지 및 산업 소재 생산,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한 자원으로 잠재력이 커 미래의 청정에너지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