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배포

,

전송

,

전시

,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l

귀하는

,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

Disclaimer

저작자표시

.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

비영리

.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

(2)

2009년 8월 박사학위논문

도시 가로변 건축물 Facade의 색채이미지 평가 특성 연구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건 축 공 학 과

정 가 영

(3)

도시 가로변 건축물 Facade의 색채이미지 평가 특성 연구

A St udy on t heChar act er i st i csofCol orI mage Eval uat i on ofBui l di ngsFacadeon Ur ban St r eet

2009 년 8 월 25 일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건 축 공 학 과

정 가 영

(4)

도시 가로변 건축물 Facade의 색채이미지 평가 특성 연구

지도교수 이 청 웅

이 논문을 공학박사 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9 년 4 월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건 축 공 학 과

정 가 영

(5)

정 가 영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20 0 9년 6월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6)

목 차

Abst r act 1.서론

1 .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 2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1 . 3연구의 동향

···7

2.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이론

2 . 1도시 가로경관과 색채

···12 2.1.1개념···12 2.1.2건축물 색채···16

2 . 2색채와 시지각 속성

···22 2.2.1건축물의 색채 조화···22 2.2.2경관의 시지각 속성···27

2 . 3도시 가로변 가축물의 색채 사례

···34 2.3.1국외 도시 사례···34 2.3.2도시색채 관리의 규정 검토···40

3.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현황 및 특성

3 . 1조사개요 및 방법

···43 3.1.1조사개요···43 3.1.2조사기간 및 방법···45

3 . 2현황 및 유형분류

···46 3.2.1조사대상 현황 및 색채 현황···46 3.2.2가로 유형분류 및 특성···76

(7)

3.2.3가로 특성별 건축물의 색채 현황···83

3 . 3소결

···92

4.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이미지 평가

4 . 1실험개요 및 방법

···96 4.1.1실험개요···96 4.1.2실험모형 설정 및 방법···97

4 . 2가로 특성별 건축물의 색채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103 4.2.1도시 및 가로변 건축물의 선호색 분석···103 4.2.2가로변 건축물의 색채이미지 선호도···108 4.2.3색채이미지 평가 및 집단간 비교 분석···109

4 . 3가로 특성별 건축물의 색채 이미지 영향요인 분석

···124 4.3.1색채이미지 요인분석···124 4.3.2색채이미지 선호도의 영향요인 분석···152

4 . 4소결

···167

5.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제언

···174

6.결론

···191

참고문헌

부록

(8)

표 차 례

표1.선행연구 내용 ···10 표2.가로의 기능 ···15 표3.가로공간의 구성요소 ···15 표4.건축물 외부색채의 특성 ···17 표5.히메지시 도시경관 형성기준 색채 조항 ···40 표6.샌프란시스코 용도지역지구의 주요 규정 및 내용 ···41 표7.서울시 마스터플랜의 경관설계지침 중 색채지침 ···42 표8.광주광역시 도시경관기본계획 중 색채계획의 기본방향 ···42 표9.조사대상지 일반현황 ···45 표10.대상가로 현황 분류지표 ···57 표11.조사가로 현황 ···58 표12.동림2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1 표13.운남2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2 표14.신창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4 표15.신가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5 표16.풍암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6 표17.일곡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8 표18.문흥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69 표19.상무지구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71 표20.주조색의 마감재료별 대표색채 ···73 표21.보조색의 마감재료별 대표색채 ···76 표22.대상가로 유형분류기준 ···77 표23.가로특성별 군집분석 결과 ···78 표24.Ⅰ그룹 가로 현황 ···79 표25.Ⅱ그룹 가로 현황 ···80 표26.Ⅲ그룹 가로 현황 ···81 표27.Ⅳ그룹 가로 현황 ···81

(9)

표28.Ⅴ그룹 가로 현황 ···82 표29.Ⅵ그룹 가로 현황 ···82 표30.Ⅵ그룹 가로 현황 ···82 표31.Ⅰ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83 표32.Ⅱ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85 표33.Ⅲ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86 표34.Ⅳ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88 표35.Ⅴ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89 표36.Ⅵ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90 표37.Ⅶ그룹 색상·명도·채도 분포 현황 ···92 표38.그룹별 색채 분포 현황 ···94 표39.가로경관 색채 형용사 분류 ···98 표40.가로경관 색채평가 형용사쌍 추출 ···98 표41.피험자 구성 ···99 표42.가로특성별 대표가로 추출 ···100 표43.가로 특성별 색채평가 모형 ···101 표44.도시색채에 대한 평가 ···104 표45.도시 이미지 선호색 ···104 표46.색상에 대한 선호 이미지 ···105 표47.가로 특성별 요구 색채 ···107 표48.유형1의 ANOVA 분석결과 ···111 표49.유형2의 ANOVA 분석결과 ···113 표50.유형4의 ANOVA 분석결과 ···117 표51.유형5의 ANOVA 분석결과 ···119 표52.유형6의 ANOVA 분석결과 ···122 표53.유형7의 ANOVA 분석결과 ···124 표54.전공학생 유형1의 요인분석 결과 ···125 표55.전문가 유형1의 요인분석 결과 ···126 표56.일반인 유형1의 요인분석 결과 ···127

(10)

표57.전공학생 유형2의 요인분석 결과 ···129 표58.전문가 유형2의 요인분석 결과 ···130 표59.일반인 유형2의 요인분석 결과 ···131 표60.전공학생 유형3의 요인분석 결과 ···133 표61.전문가 유형3의 요인분석 결과 ···134 표62.일반인 유형3의 요인분석 결과 ···135 표63.전공학생 유형4의 요인분석 결과 ···137 표64.전문가 유형4의 요인분석 결과 ···138 표65.일반인 유형4의 요인분석 결과 ···139 표66.전공학생 유형5의 요인분석 결과 ···141 표67.전문가 유형5의 요인분석 결과 ···142 표68.일반인 유형5의 요인분석 결과 ···143 표69.전공학생 유형6의 요인분석 결과 ···145 표70.전문가 유형6의 요인분석 결과 ···146 표71.일반인 유형6의 요인분석 결과 ···147 표72.전공학생 유형7의 요인분석 결과 ···149 표73.전문가 유형7의 요인분석 결과 ···150 표74.일반인 유형7의 요인분석 결과 ···151 표75.전공학생 유형1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2 표76.전문가 유형1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3 표77.일반인 유형1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4 표78.전공학생 유형2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5 표79.전문가 유형2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5 표80.일반인 유형2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6 표81.전공학생 유형3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7 표82.전문가 유형3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8 표83.일반인 유형3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8 표84.전공학생 유형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59 표85.전문가 유형4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0

(11)

표86.일반인 유형4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0 표87.전공학생 유형5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1 표88.전문가 유형5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2 표89.일반인 유형5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3 표90.전공학생 유형6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3 표91.전문가 유형6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4 표92.일반인 유형6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5 표93.전공학생 유형7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6 표94.전문가 유형7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6 표95.일반인 유형7의 선호도 영향력 분석 ···167 표96.유형별 요인분석 결과 ···171 표97.유형별 선호도에 미친 영향요인 분석 결과 ···172

(12)

그 림 차 례

그림1.연구의 구성도 ···6 그림2.건축색채의 시대적 변천 ···16 그림3.색채 조형의 기능적 요인 ···25 그림4.도시 건축물의 색채조화 형태 ···27 그림5.프랑스 파리 전경 ···35 그림6.독일의 전경 ···36 그림7.암스테르담의 주택가 전경 ···37 그림8.보르네오 아일랜드 전경 ···37 그림9.일본 후쿠오카 전경 ···37 그림10.싱가포르 전경 ···38 그림11.이탈리아 전경 ···39 그림12.빌바오 전경 ···39 그림13.조사대상지 위치도 ···44 그림14.동림2지구 가로현황 ···47 그림15.운남2지구 가로현황 ···48 그림16.신창지구 가로현황 ···49 그림17.신가지구 가로현황 ···50 그림18.풍암지구 가로현황 ···51 그림19.일곡지구 가로현황 ···52 그림20.문흥지구 가로현황 ···54 그림21.상무지구 가로현황 ···56 그림22.동림2지구 건축물 측색 수 ···60 그림23.운남2지구 건축물 측색 수 ···62 그림24.신창지구 건축물 측색 수 ···63 그림25.신가지구 건축물 측색 수 ···65 그림26.풍암지구 건축물 측색 수 ···66 그림27.일곡지구 건축물 측색 수 ···67

(13)

그림28.문흥지구 건축물 측색 수 ···69 그림29.상무지구 건축물 측색 수 ···70 그림30.주조색의 마감재료 빈도 ···72 그림31.주조색 색상별 마감재료 현황 ···72 그림32.주조색 재료별 사용색 경향 ···73 그림33.보조색의 마감재료 빈도 ···74 그림34.보조색 색상별 마감재료 현황 ···75 그림35.보조색 재료별 사용색 경향 ···75 그림36.군집분석을 통해 분류된 그룹별 분포비율 ···78 그림37.Ⅰ그룹 건축물 측색 수 ···83 그림38.Ⅱ그룹 건축물 측색 수 ···84 그림39.Ⅲ그룹 건축물 측색 수 ···86 그림40.Ⅳ그룹 건축물 측색 수 ···87 그림41.Ⅴ그룹 건축물 측색 수 ···88 그림42.Ⅵ그룹 건축물 측색 수 ···90 그림43.Ⅶ그룹 건축물 측색 수 ···91 그림44.평가대상 모형 설정 과정 ···101 그림45.실험대상 제시 방법 ···102 그림46.가로특성별 색채 선호도 ···108 그림47.유형1색채이미지 평가 ···110 그림48.유형2색채이미지 평가 ···112 그림49.유형3색채이미지 평가 ···114 그림50.유형4색채이미지 평가 ···116 그림51.유형5색채이미지 평가 ···118 그림52.유형6색채이미지 평가 ···120 그림53.유형7색채이미지 평가 ···123 그림54.유형1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75 그림55.유형2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78 그림56.유형3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80

(14)

그림57.유형4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82 그림58.유형5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84 그림59.유형6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86 그림60.유형7언어 이미지 및 색채 제안 ···187

(15)

Abst r act

A St udyont heChar act er i st i csofCol orI mage Eval uat i onofBui l di ngsFacadeonUr banSt r eet scape

Jeong,Ga-Young Advisor:ProfessorLee,Cheong-Woong,Ph.D.

DepartmentofArchitecturalEngineering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Concernon urbancolorsisincreasing withtheimprovementofquality oflife,but it is difficult to decide color guideline due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colorand the absence ofsystematic colorplan causesthe lack of consistencyincolorplan.

Therefore,thisstudy examinesthecharacteristicsandcolorsofbuilding on urban street,analyzes colorpreferenceand imageofstreetbuildings by usergroup which experiencescolorenvironmentwith objectiveandquantitativemethods andevaluates colorimage ofstreetbuildings between usergroups. Itaims to suggestrational direction ofcolor image ofbuildings considering streetcharacteristics and provide basicmaterialsforincreasing theeffectsofsystematiccolormanagementandplanof streetscape.

Theresultsofthisstudyaresummarizedbelow.

1.As a result of examining current status of street,components of building affecting thestreetscapesuch asusearea,use,heightand numberofbuildingswere set as classification standards of types,cluster analysis (K-means method) was conductedwith7groupsclassified.

(16)

2.Asaresultofexamining colorpreferenceofbuildingsby streetcharacteristics, allthree groups showed positive preference only in type 6 and generally lower preferencebelow 3.0.

3.Asaresultofevaluating image,in『streetforserviceathigh-risebuilding and commercialuse』,professionals gave positive evaluation for ‘clean’,‘ordered’,and

‘arranged’ image compared to two other groups and students showed negative evaluation for‘dark’,‘monotonous’,and ‘rigid’image compared to two othergroups.

Allthree groups had ‘modern’and ‘cold’image and expressed negative image as

‘rigid’ and ‘monotonous’. In『street for low-rise shopping center and high-rise residence』,students evaluated it as ‘ordered’and unified image,professionals as

‘consecutive’and ‘stable’image and the public as ‘ordered’,‘bright’,and ‘intimate’

image,butallthree groups evaluated itas somewhat‘monotonous’and ‘common’

image.In『mixed streetforshopping centerand high-rise residence』,professionals evaluateditas‘modern’and‘calm’andallthreegroupshadnegativeevaluationofit as disharmonious, unaesthetic and inconsistent image. In『street for middle-rise commercialuse』,allthree groupsshowed stability and orderwith ‘cold’and ‘dark’

image,butevaluated it as ‘rigid’and ‘monotonous’image.In『street for low-rise residence』,students had ‘clear’and ‘dynamic’image ofit,the public had ‘simple’

image,andprofessionalsandthepublichad‘bright’and‘intimate’image,butallthree groupsevaluateditas‘disharmonious’and‘disarranged’image.In『streetforlow-rise multipleuse』,students evaluated itas ‘dark’and ‘grayish’image compared to two othergroupsandallthreegroupsevaluateditas‘consecutive’,‘arranged’,‘monotonous’

and‘boring’image.In『consecutivestreetforcommercialandmultipleuses』,students evaluateditas‘cold’and‘complex’image,professionalsas‘modern’and‘bright’image, and the public as ‘bright’ and ‘varied’, but all three groups evaluated it as

‘disharmonious’and‘irregular’image.

4.As a resultoffactoranalysis which summarizes evaluation factors,in『street

(17)

forserviceathigh-risebuilding andcommercialuse』,studentsusedsuchfactorsas coherence,variety,mildness,comfort,cleanliness and refinement,professionals used coherence,aesthetics,variety,personality,cleanliness,comfortand activity,and the publicreferredtofactorssuchascoherence,comfort,variety,intimacy,refinementand activity.In『streetforlow-rise shopping centerand high-rise residence』,students usedsuchfactorsascoherence,comfort,refinement,variety,andactivity,professionals used coherence,refinement,comfort,activity,stability,variety,and intimacy,and the public referred to factors such as coherence,comfort,activity,variety,stability and mildness.In『mixed streetfor shopping center and high-rise residence』,students usedsuchfactorsascoherence,comfort,variety,refinement,andactivity,professionals used coherence,variety,comfort,intimacy,comfort,and activity,and the public referred to factors such as coherence, comfort, variety, intimacy,activity and mildness.In『streetformiddle-risecommercialuse』,studentsused such factors as coherence,variety,comfort,refinement,intimacy,mildness and activity,professionals usedcoherence,comfort,aesthetics,activity,variety,refinementandintimacy,andthe public referred to factors such as coherence,comfort,refinement,mildness and activity.In『streetforlow-riseresidence』,studentsused such factorsascoherence, variety, comfort, refinement and mildness, professionals used coherence, comfort, variety,refinement,stability and mildness,and thepublicreferred tofactorssuch as refinement,comfort,coherence,variety and mildness.In『streetforlow-rise multiple use』,students used such factorsascoherence,refinement,variety,comfort,activity and mildness,professionals used comfort,coherence,intimacy,mildness,stability, variety and refinement,and thepublicreferred tofactorssuch ascoherence,variety, comfort, refinement, intimacy, mildness and activity. In『consecutive street for commercialand multiple uses』,students used such factors as variety,coherence, comfort, refinement, intimacy and activity, professionals used intimacy, variety, comfort,aesthetics and mildness,and the public referred to factors such as variety, coherence,intimacy,refinementandmildness.

(18)

5.Asaresultofregression analysisoffactorsaffecting preference,in『streetfor service at high-rise building and commercialuse』,allthree groups showed the influenceof'comfort'and'coherence'on preference.In『streetforlow-riseshopping centerand high-riseresidence』,allthreegroupsshowed theinfluenceof'comfort', studentswereinfluenced by 'coherence'and 'refinement',professionalsby 'activity', 'refinement',and 'intimacy',and the public by 'mildness'. In『mixed street for shopping centerand high-rise residence』,allthree groups showed the influence of 'coherenc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comfort', 'refinement' and 'variety', professionalsby 'intimacy','variety',and 'mildness',and thepublicby 'comfort'.In

『streetformiddle-rise commercialuse』,allthree groups showed the influence of 'coherence',students were influenced by 'intimacy'and 'activity',professionals by 'refinement','activity' and 'comfort',and the public by 'comfort'.In『street for low-riseresidence』,allthreegroupsshowed theinfluenceof'coherence',students were influenced by 'comfort' and 'refinement',professionals by 'variety',and the publicby 'refinement'and 'comfort'.In『streetforlow-risemultipleuse』,allthree groupsshowedtheinfluenceof'coherence',studentswereinfluencedby'activity'and 'comfort',professionals by 'comfort','mildness','variety' and 'intimacy',and the public by 'variety' and 'refinement'. In『consecutive street for commercial and multiple uses』,allthree groups showed the influence of'coherence','variety'and 'intimacy',studentswereinfluencedby'comfort',andthepublicby'refinement'.

With the above research,improvement methods of colors for street buildings depending on the street features of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can be summarizedasfollows.

1.『streetforservice athigh-rise building and commercialuse』was evaluated as 'grayish','rigid','cold',and'monotonous'imagewithaseriesofcolors,middlevalue and low chroma,and has low color preference,there should be color plan for enhancing'coherence'and'comfort'toimproveitsimage.

2.『street for low-rise shopping center and high-rise residence』showed regular

(19)

layoutofhigh-rise residence and shopping centerand colors ofhigh-rise residence had agreatinfluenceon street.Itwasevaluatedashaving 'common','monotonous', 'stable','bright' and 'clean' image,but color plan for enhancing 'comfort' and 'refinement'shouldbeconsidered.

3.『mixed streetforshopping centerand high-rise residence』,colorharmony is mostimportantduetodiscontinuity andirregularity ofbuildings.Itwasevaluated as having disharmonious,ugly and disarranged image and color plan for enhancing 'coherence','comfort',and'variety'shouldbefollowed.

4.『streetfor middle-rise commercialuse』had consecutive layout of commercial building,used similarmaterialsand had stability and order,butitwasevaluated as having 'rigid','monotonous','cold'and 'dark'image.Colorplan considering variety ofcommercialuses and enhancing 'coherence','comfort' and 'activity' should be achieved.

5.『streetforlow-riseresidential』usedvariousmaterials,butithadnotharmonyof colorsandwasevaluatedashaving'discontinuous','disarranged'and'disharmonious' image. Colorplan enhancing 'coherence','comfort'and 'refinement'in consideration ofresidentialenvironmentshouldbeachieved.

6.『streetforlow-risemultipleuses』 usedratesoffinishing materialswithsimilar form and similar granite and was evaluated as having 'consecutive','arranged', 'monotonous',and 'boring'image.Colorplan enhancing 'coherence','comfort',and 'variety'in consideration ofcommerceon the1ststory andresidenceandserviceon the2ndstoryshouldbeconducted.

7.『consecutive streetfor commercialand multiple uses』 showed very irregular form withoutorderin heightandform ofbuilding usesandthen coherenceofstreet is strongly required. It was evaluated as having 'irregular', 'discontinuous', 'disordered' and 'disharmonious' and color plan with 'coherence', 'variety' and 'intimacy'shouldbefollowed.

(20)

1.서론

1.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오늘날 우리사회의 도시가로경관은 대부분 물리적 기능의 만족을 우선시 하는 후산업적인 개발 성격의 영향으로 다양화 보다는 단조로운 경관을 지닌다.1960년 대 이후부터 시작된 도시 집중현상과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른 대량건설,대량공급이라는 획일화된 정책을 통해 도시환경을 만들어 왔다.그로 인한 역사․문화 경관의 훼손,도시 및 지구차원의 경관 부조화, 자연녹지 경관의 훼손,스카이라인 파괴,인접지와의 부조화등 난개발 문제가 대두 되었으며 자연환경과 도시경관의 훼손으로 아름답지 못하고,깨끗하지 못하며,정 돈되지 않은 도시 이미지를 파생시켰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여러 가지 인공 환경의 집합체로서 그 지역의 공적,사회적, 외향적 성격을 인간의 요구와 활동에 관련시킴으로써 물리적,사회적,문화적 기능 들을 내포하고 그런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3차원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도시의 환경은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인간이 가장 편안하 고 안락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그중 도시의 색 채계획은 그러한 맥락에서 계획되고 진행되어야 한다.도시의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그 도시의 색채를 인위적으로 규제하고 단속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생활에 보 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도시에서 생활하는 시민 모두를 위한 활 기찬 거리,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제공을 위해 도시 나름대로의 개성과 의미를 부여 하여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인간은 지각,사고,감정의 세 가지 기본적인 과정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미지 를 형성하게 된다.보이는 대상에서 느끼는 이미지가 인간심리 안정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중 색채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1)오늘날에는 도시의 형태만큼 색채를 중요시하고 있으며,도시를 쾌적하고,특색있는 이미지로 만들기 위해서 형

1)Auric등록자료,2002-3-5.

:건축에서의 색채의 비중-인간지각의 80%가 시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볼 때 건축환경에 시각적 요소 들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중요하며 환경의 시각적 효과는 형태와 색채 두가지로 구성된다.물체를 보았 을 때 자극의 강도는 최초에 색채 80%,형태 20%였다가 20분후에는 색채비율이 급격히 감쇠되고 2분후 에 60%,5분후에는 색채와 형태가 그대로 지속된다고 한다.

(21)

태보다는 색채가 큰 영향을 끼친다.특히 색채는 우리의 눈을 자극하고 정신에 활 력을 불러 넣어 사람의 감정과 기분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아른하임(R.Arnheim)의 연구에 의하면 ‘색채는 사실상 형태보다 앞선 단계에서 인 간의 의식과 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형태보다 더 강한 심리적 충격과 감정 또는 정서에 영향을 준다’라고 주장하였다.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색채는 감 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분위기를 만들어 사람의 감정을 좌우하기도 한다.

따라서 도시의 색채는 사람들에 의해 지각되는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여 정신적인 반응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색채는 딱딱한 건축물이 부드러운 인상을 주는 일도 가능하고 도시마다의 정체성을 가능하게 하므로 먼저 시각적으로 가장 큰 가시성 을 가지며 가장 큰 색채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의 색채를 정비하여 도시환 경 정비의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

건축물은 한 개인의 재산이며 동시에 사람들에게 보여지는 부분이므로 공공성을 띠고 있다.그러나 나름대로 건축물 외관을 꾸미고,색채를 사용하지만 결국 그 건 축물은 돋보일 수 없고,나아가 거리를 지나는 도시민에게 어떤 즐거움도 주지 못 하는 도시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경우가 많다.골덴쿨렌(Gorden Cullen)은 ‘하나 의 건축물은 건축이지만 두 개의 건축물은 도시경관을 형성한다’고 했다.2)도시에 서 가로경관은 도시의 가치를 부여하고 판단하는 척도이며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 하는 일차적 평가대상으로서의 역할을 한다.3)가로경관의 구성요소들은 이용자의 시각을 통하여 자극을 주고 시지각에 의한 이미지를 형성한다.도시가로는 단일한 개체로서만이 아닌 그것들이 연속되어 만들어내는 거리의 구성요소로 다루어져야 한다.가로의 이미지 형성을 설명할 수 있는 도시의 물리적 복합성 체계는 다양성 으로부터 시작한 개별건축물들이 한데 모여 군집을 이루고 블록과 지구로 확대되 어 감으로써 형성된 거대한 다양성의 단위체계를 의미한다.4)

가로경관의 색채는 가로의 특성을 나타내며 나아가 도시 전체의 이미지를 나타 낼 만큼 중요하므로,그 지역 가로특성에 맞는 색채계획이 수립되어 점차적 색채 정비가 진행되어야 한다.하지만 시민들의 색채 인지도가 저조하며 도시민의 의사

2)김용권,가로경관의 시지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대학원,2004.재인용.

GordenCullen,「Townscape」,London,ArchitecturalPress,1968,p.133.

3)박성진,가로변 건축물 입면유형별 색채범위설정에 관한연구,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6.재인 용.

池田圭ア介,乾正雄,街並の視覺的効果の硏究,日本建築學會大會硬概集D-1,pp.711~712. 4)조용준외 공저,도시건축의 경관창조,기문당,1997,pp.106~109.

(22)

가 반영된 체계화된 색채 계획안이 없으므로 색채계획의 일관성 결여가 문제되고 있고 색채계획의 실천에 많은 문제점을 안겨주고 있다.최근 제정된 경관법5)또한 지자체의 충분한 경관행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중앙정부의 행정적 조치 가 앞서가는 상황으로 전개되었으며,6)이러한 경관법은 지원법 성격이 강해 구속력 을 갖지 못하고 있다.후차적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은 각각의 조례나 요강제정,기본 계획안,심포지엄,연구회 등을 통해 관심을 나타내고 있지만 구체적인 대안을 제 시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의 가로경관은 장소마다 다른 물리적․심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색채는 도시의 중요한 시환경으로서 장소의 이미지를 결정하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가로 경관에 대한 적절한 색채 시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7)색채는 우리들의 감정 과 밀착되어 있으나,개인차나 경험,배경과 욕구에서 차이가 있고 색채의 선호 등 에 관계가 깊은 감정은 각자 다른 양상으로 인지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하기 어렵다.8)객관적 방법을 통해 시각적질을 평가한다면 다분히 주관적으로 인지되고 있는 미의식에 대한 가치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로특성을 고려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이미지 설정 및 색채계 획에 관해 객관적․합리적 방법으로 방향성을 제시하고,가로경관의 체계적인 색채 관리 및 계획의 실효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2연구의 방법 및 범위

색의 이미지는 다분히 주관적이므로 색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색을 구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따라서 객관 적 방법으로 대상지역의 건축물 색채를 물리적·심리적 측면에서 조사하고 이용자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5)국토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2007년 5월 경관법 제정.

6)이정형·이여경,지자체 경관시책의 현황과 특성을 고려한 경관법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 집 제24권 5호 통권235호,2008.5.

7)박성진,가로변 건축물 입면유형별 색채범위설정에 관한연구,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6. 池田圭ア介,乾正雄,街並の視覺的効果の硏究,日本建築學會大會硬概集D-1,pp.711~712.

8)주영정,이용자 특성에 따른 도시가로 경관 색채 선호도 분석,연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2005, p.32.

(23)

첫째,도시 및 가로경관의 색채에 관한 이론고찰을 토대로 기존연구 동향을 파악 하였으며,연구의 진행을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과 실험의 변수,측정 방법 등 전체 적인 연구틀을 모색하였다.

둘째,도시 가로경관 대상지역을 설정한 후 가로 건축물을 사진촬영 하였고,현 장조사와 온라인의 토지이용계획확인서를 통해 조사대상가로의 유형분류기준에 따 른 특성을 파악하였다.유형분류기준은 가로의 용도지역,건축물 용도,건축물 높이 로 설정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군집분석 하였다.각 군집의 대표 가로 선 정을 위해 건축전공 대학원생 10명을 대상으로 BIB테스트9)을 실시해 각 그룹의 대 표유형 사진을 추출하였으며,실험을 위한 평가모형을 제작하였다.

셋째, 가로경관 대상지역 건축물의 색채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분광측색기 (Minolta,CR-410)를 사용하여 현장측색하였다.측색이 곤란한 부분은 Hue &

Tone120(I.R.I색채연구소)색표집을 이용하여 시감측색하였다.측색조사는 가로 에 면한 건축물 입면에 대해 주조․보조․강조색으로 구분하였으며 먼셀표기법으 로 표기하였다.경관색채의 채집은 변동요인이 다양한 조건에서 조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측색기를 이용함으로써 변동요인을 최소화 시키고자 하였다.

넷째,가로특성별 집단간 색채 시지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고,이미지 평가 차이를 분석하였다.평가는 앞서 제작된 평가모형에 조사된 대표 색채를 적용하여 실험모 형을 구성한 후 시뮬레이션에 의한 SD법으로 평가하였다.이를 통해 가로색채 선 호도와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분산분석을 통해 색채이미지 평가의 집단간 차이점 을 알아보았다.다음으로,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색채이미지 평가 요인을 추출하 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색채이미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가로경관의 건축물은 도시경관의 대표적인 시각요소로,건축물 색채는 일반적인 건축의 개념만이 아닌 도시의 분위기를 좌우하며,나아가 이용자의 감성과 의지, 행동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따라서 쾌적하고 아름다운 색채환경을 위해 집단의 특성에 따라 가로경관 색채이미지를 평가함으로서 집단간 색채이미지 차이점을 살 펴보고 공통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색채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9)박성진,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유형별 색채범위설정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2006, :일본의 심리학자 Hiraki교수가 개발,10개이상의 개체들을 사전에 엄격한 규칙에 의거하여 5개미만의 개

체를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5개미만의 개체에 대하여 순위를 매기도록 하는 것이다.(원태연․이용구,마케 팅 조사 통계분석,고려정보산업,1998.)

(24)

본 연구의 대상 범위는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 중 1990년 이후부터 2008년까 지 택지개발사업이 완료된 지구면적 50만㎡이상,인구 1만 5천명 이상인 8개 지구 로 하였다.택지개발지구는 주거생활의 안정과 복지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지정 하는 지구로 토지별 용도가 구분되어 주거지역,상업지역 등 해당토지에 맞는 건축 물이 지어지므로 가로의 특성에 따른 건축물 색채 관리가 필요하다.

조사대상 가로는 택지개발지구 중심도로를 기준으로 총길이 35,574m이며,주요도 로를 중심으로 73개 가로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가로에 면한 건축물 입면 색채만 을 대상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다.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9년 1월에 나타나고 있는 특성에 대해 조사·분석하였다.

실험의 평가대상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거주민을 대상으로 판단표본추출 법10)에 의한 건축전공 교수·대학원생,설계사무소,시공사 등 전문가 집단 50명,일 반시민 56명,건축학을 전공하는 학생 76명으로 구성하였다.기존연구를 살펴본 결 과 SD법에 의한 연구의 평가대상은 대부분 관련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거나,소 수의 연구만이 이용자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색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문가와 소규모 건축물의 색채변경 및 주민 단체로서 영향을 미치는 일반인,준전문가인 건축전공학생으로 도시 가로의 이용자 들인 3집단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1장 서론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연구방법 및 범위,경관색 채 연구동향 등을 제시하였다.2장은 도시 가로경관의 개념 및 색채,색채 시지각, 도시색채 사례 등 이론고찰 하였다.3장은 조사대상 가로를 선정하고 가로경관 현 황 및 색채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4장은 실험평가모형을 설정하고 집단간 가로 특성별 색채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요인분석,선호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 하였다.5장은 3장과 4장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가로특성별 가로변 건축물 색채를 계획하였다.6장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0)판단표본추출법(judgementsampling)은 연구자가 모집단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특 정집단을 표본으로 선정하는 방법.

김은정 외,SPSS 통계분석 10,21세기사,2001,p.127.

(25)

1장 서 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 경관색채 연구동향

2장 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이론

가로경관의 개념 시지각과 건축물색채 가로 건축물의 색채 사례

3장 가로변 건축물의 현황 및 특성

조사대상 가로 현황 및

대상가로 색채 현황

(분광측색기)

조사

대상 가로 유형분류(군집분석) 및 가로 특성 파악 가로특성별 색채 현황

(분광측색기)

4장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이미지 평가

색채 선호도 분석

: 설문조사 (집단간) : 평균값 분석

색채 이미지 평가

: 심리실험 (집단간) : 평균값 분석, ANOVA분석

색채 이미지 요인추출

: 요인분석 (집단간)

색채 이미지 영향요인분석

: 다중회귀분석 (집단간)

5장 가로변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한 색채 계획

6장 결 론

그림1. 연구의 구성도

(26)

1. 3연구 동향

경관색채에 관심을 같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중반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서구 의 도시에서 시작되어 아시아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일본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1960~7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기본적인 기초생활이 보장되는 살기 좋은 도시환경을 만들고자 대규모 거리정비 사업을 시작하였고 전통보다는 편리함 을,자연과의 조화보다는 더 많은 사람을 조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구조를 요구하며 획일화된 대도시를 형성해가기 시작하였다.도심 곳곳에서 전통적 벽면의 색이 사라지고 무채색 고층주거와 정돈되지 않은 저층의 건축물들이 도시를 매워 나갔다.이후 90년대 들어 다양한 재료의 개발은 개인 건축물과 다양한 가로시설물 에 색채의 남용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11)이는 도시구역의 체계적인 계획이나 가로경관의 질서를 찾아보기 어렵게 하였고 각 지역의 이미지나 특색을 찾아보기 어렵게 만들었다.즉,색채의 남용은 도시경관을 어지럽혀 놓았다.2000년대에 들어 도시민은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게 되고 도시경관,공공디자인 등에 대한 반성과 고찰을 통해 도시경관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자 다양한 활동들이 행정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경관색채에 관한 연구는 급속한 변화 속에서 형성된 도시의 부조화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건축물 개별 색채에서부터 도시 가로경관 색채,더 나아가 환경색체에 관련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이러한 연구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색채 지침을 제 안하기 위한 연구로서 조사 및 평가를 통한 경관 색채 제안 연구,경관 색채 관리 제도 연구,지각자의 색채반응에 따른 경관 색채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경관색채 계획 방법론,경관색채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관색채 연구방법은 대상지 건축물의 색차,배색조화,배색패턴,주조·보조·강조 색 등 각각 건축물의 물리적 색채 조사와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지역색 조사 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조사와 단순분석을 통한 색채제안이나,심리 평가가 대 부분 행해지고 있다.심리 평가는 5점,7점의 리커드 척도를 이용한 설문을 통해 선호도를 조사하고,양극형용사에 대한 심리 반응을 수치화 시키고,이를 통계분석 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평가대상의 차원이나 어휘들의 특성,선호도,개별특 성에 따른 차이를 밝히고 있다.이러한 방법은 시대적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

11)이석현,경관색채계획의 이론과 실천,미세움,2008.pp.14~22.재정리.

(27)

으며 최근에는 대상의 다양성과 범위의 다양성이 나타나고 있다.

색채 조사는 육안비색법,측색기,colorsyntax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있 으며 표기는 주로 먼셀표기법으로 표기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NCS색채계를 이용하 는 경향이 늘고 있다.SD법에 의한 연구의 피험자는 대부분 관련과 학생들을 대상 으로 하고 있으며,소수의 연구만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거나,전문가를 대상으 로 하고 있다.

이진숙(1992)은 [가로의 색채조화를 위한 인접건축물간의 L*a*b색차 범위]에서 가로의 색채조화를 위해 인접 건축물 색간의 L*a*b색차에 의한 이미지 분석을 통 한 대전시의 주요 지역별 색채 사용특성을 분석하였다.명도/채도 배색이 색상배색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색상배색이 유사 및 유사와 중간배색의 혼합배색일 때,명도/채도배색이 유사 및 유사와 중간의 혼합배색,유사와 중간과 대비의 혼합 배색일 때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안정감이 있으며 연속감이 있다고 평가했다.물리 적 색채가 클수록 육안에 의한 심리평가에서 더 크게 느껴지며,심리량과 물리량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연구하였다.최재원(2004)도 [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연속된 건축물의 L*a*b색차를 중심으로 지각자의 색채반응 을 심리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서정원(1998)은 [한국 경관과의 조화를 위한 건축색채계획에 관한 연구]에서 가 로 이미지별 적정 색차범위 및 배색유형을 추출함으로써 쾌적한 색채환경계획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지구․지역별 고유색채를 추출하고 자연환경과 조화하기 위한 건축물외장색채범위를 추출하고 심리평가실험 하였다.조원규(1996)는 [도시가 로 경관의 이미지와 선호도 :건축물 외장색을 중심으로]에서 일반적인 사용색채와 특정 가로경관 건축물들의 배색유형별 색채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호 이미지를 도 출하고 색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이주연(1998)은 [건축배색에 의한 색채환경 선 호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상업빌딩과 고층주거 군을 중심으로 건축 배색에 따른 선호도를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서 설문방식으로 분석하였다.배색과 명도를 기본으로 하는 배색유형의 차이점을 통해 이용자들은 밝은 색채의 조합을 선호하 는 경향이 있었고 이들의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는 색채뿐 아니라 형태,규모 등에 따른 차이도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하였다.

조충현(2002)은 [색채분석을 통한 도시가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인천 월미 관광특구로 지정된 월미도 문화의 거리를 대상으로 건축물,가로시설물 간판 의 현황을 파악하고 육안비색측정법에 의한 먼셀표기법으로 주조·보조·강조색의 지

(28)

역색을 추출,이에 대한 관련법규를 검토하여 가로경관 색채의 문제점을 추출하고 합리적인 가로경관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문석준(2004)은 [도시가로변 건축물 외 부색채 현황에 관한 연구]에서 제주의 해안도로를 중심으로 주조·보조·강조색별 분 포현황,용도별 색채분포현황을 육안비색법으로 측색하여 제주의 자연색과 생활양 식에서 나타나는 고유색을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색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석우(2002)는 [보행환경과 도심 가로건축물 외관색채 상관성에 관한 연구]에서 가로변 건축물의 외관색채 분포를 조사·분석하여 대상지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편 안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이 될 수 있도록 건축물 입면 주조색만을 중심으로 색채계 획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박상희(2004)는 [가로경관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에서 대상지역을 사진촬영하여 IDRISIprogram을 통하여 각 경관의 주조색만을 추출하 여 색채 이미지 분포도를 작성,조사대상지의 이미지와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분 석함으로써 색채경관계획 방향을 제시하였다.

손동승(2005)은 [특화거리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계획 연구]에서 대상지와 대상지 에 내재된 역사,문화,이미지 일치를 통해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의 연구로 가로 의 연속성 유지를 위한 수법과 색채의 분포를 분석하여 색채팔레트를 제안하였다.

전정숙(2002)은 [디지털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도시경관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에서 서울시 강남구를 대상으로 NCS색채팔레트,환경색채계획 팔레트를 이용하여 colorsyntax 프로그램에 의한 도시색채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도시 이미지 색채를 작성,이를 토대로 외부색채 계획에 필요한 주조색과 친환경 색채 배색을 기반으로 하는 배색방법을 제안하였다.정희영(2001)은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 색채 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에서 서울시에서 도시환경 이미지가 가장 낙후되었다고 파 악된 구로구를 대상으로 도시용도지역별 주거·상업·공업·녹지로 나누어 NCS색체계 를 이용한 색채분포도를 조사·분석하여 색채를 추출하고 색채-도시 기능 상관표의 해당항목을 고려하여 건축물,가로시설물의 색채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다학문적 관점에서의 색채계획 기준을 통해 가로환경 색채계획의 정비를 제언하였다.김수연 (2005)은 [문화가로 형성을 위한 가로환경 개선방안 연구]에서 가로의 건축물과 광 고물의 색채를 NCS체계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색채분포현황,연도별 변화추이,재료별 색채를 육안비색법에 의해 먼셀체계로 분석한 후 설문을 통한 색 채 선호도 조사를 하였으며 문화가로를 형성하는데 있어 색채적용 방안을 제시하 였다.

(29)

주 제 내용 및 특징

경관 색채 계획 방법

서보광(1990)

도시가로경관에서의 건축물 외부색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건축물 외부색채계획과정과 요소들을 고찰함으로서 건 축물 외부색채계획의 주요문제를 추론하고 해결방향 및 제계적 접근을 위한 색채계획 방법에 관한 이론적 연구.

경관 색채 관리 제도 연구

김대수(2003)

도시경관의 통합적 개선을 위한 색채관리 제도 연구

문제복합체로서의 도시환경색채의 관계구조를 파악하고 문제의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해결방안으로 행정조직정 비,자치단체별 색채계획∙관리 목표수립,색채 심의제도 활성화등의 내용이 포함된 색채관리제도를 제안.

조사 및 평가를 통한 가로경관 색채 범위 설정

박희경(2008)

삼청동 지역색 분석을 통한 도시이미지 색채가이드라인 에 관한 연구

L*a*b,먼셀 체계를 이용하여 지역색을 추출하고 색채 현황과 도시이미지에 관한 설문을 통하여 삼청동 색채 가이드라인 제안.

박성진(2006)

가로변 건축물의 입면유형 별 색채범위설정에 관한 연

도시가로의 건축물 입면유형과 상호관계를 고려해 블록 단위별 가로 건축물 입면유형을 분석하고 심리실험을 통해 유형별 이미지가 개선되는 구체적 색채범위 설정.

이진숙(1992)

가로의 색채조화를 위한 인 접건축물간의 L*a*b색차 범

색차범위에 따른 이미지 변화에 관한 실험을 통해 가로 건축물 색채조화를 위한 인접 건축물 색간의 L*a*b색차 이미지를 분석.

조사 및 평가를 통한 경관 색채 제안

김효주(1994)

환경색채의 조사분석․평가 에 관한 연구 :도시상가건축 물 Facade의 색채 분석 및 선호도 평가를 중심으로

사용자 특성에 따른 도시 상가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에 대한 선호 이미지와 선호색을 설문 분석하여 도시상가 의 건축물 색채의 선호성을 평가하는 구성요인을 설명 하였으며,전문가 집단과 비전문가 집단간의 선호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여 사용자 집단의 참여가 필요함을 제안.

윤장우(2002)

기성시가지의 경관개선 방 향에 관한 연구 :양산시 도 시경관의 형태요소와 색채 환경을 중심으로

양산시 도시전역을 대상으로 도시경관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면서 현행 제도상에서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한 경관이미지의 형태요소 중 공통인자인 색채환경을 추출 해내고 권역별 외장색채을 분석,고층고층주거의 색채환 경을 통한 도시경관 개선방향을 제언.

주영정(2005)

이용자특성에 따른 도시가 로 경관 색채 선호도 분석

특정가로의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를 colorsyntax를 활용 하여 채도와 명도를 제외한 색상만을 가지고 색채분포 비율을 분석하고 색채분포비율의 조정을 통한 만족도를 파악하는 실험을 통해 이용자 특성에 따른 가로경관의 색채 선호도를 평가 하고 경관색채 개선 방안을 제시.

엄문성(2005)

가로변 경관의 색채 평가분 석 모형개발 :대학 주변 가 로경관을 중심으로

대상가로의 건축물 색채를 colorsyntax를 이용하여 추출 한 후 5가지 색 추출 과정을 거쳐 색상만을 가지고 도 시가로경관 색채 만족도와 색에 따른 경관 인지도를 평 가하는 분석 모형을 통해 경관 색채 개선 방향을 제시.

이미진(2005)

도시경관색채 조성을 위한 건축물외장색채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도시를 일반상업지구,업무지구,도시형 주거지구,전원 형 주거지구,공업지구 5개 지구로 나누어 지구별 문제 점 및 이미지 분석 실험을 거쳐 지구별 대표이미지를 선정하고 색채 팔레트를 작성하여 지구별 건축외장색의 배색지침을 제안.

조충현(2002)

색채분석을 통한 도시가로 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특구로 지정된 월미도 문화의 거리를 대상으로 건 축물,가로시설물 간판의 현황을 파악하고 육안비색측정 법에 의한 지역색을 추출,이에 대한 관련법규를 검토하 여 가로경관 색채의 문제점을 추출하고 합리적인 가로 경관 개선 방향을 모색.

표1. 선행연구 내용

(30)

2000년대 들어 경관색채 연구는 건축학,도시학,환경심리학,조경학,다지인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지고 있으며 개개 건축물이나 인접 건축물에 대한 연구에서 주변경관과의 조화와 관련한 집합적,연속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진척을 보이고 있다.그러나 몇몇 건축물을 이용한 실험이나,용도지구를 분류한 실험,특 정가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고,객관적 조사를 통한 객관적 평가에 의 한 객관적 색채 제안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객관적 평가를 위 해 측색기를 사용한 색채현황 조사와 의미분별법(SD법)을 이용하고자 한다.평가틀 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평가항목을 추출한 후 전문가의 추출과정을 거쳐 선정하 고자 하며,제시방법은 선행연구에서 시뮬레이션법이 크게 차이가 없다고 했으므 로12)시뮬레이션법을 이용한다.피험자는 건축전공학생,건축관련 전문가,일반인으 로 나누어 평가해 보고,집단간의 색채이미지를 SPSS를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분석 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민의 생활과 밀접한 택지개발지구 내의 가로 건축물의 특성 을 구분하여 가로의 특성에 따른 건축물의 색채이미지를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가 로 건축물의 색채이미지를 제언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가로경관 색채 관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나아가 도시 이미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12)엄문성,가로변 경관의 색채 평가분석 모형개발,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5.

:현장만족과 경관슬라이드의 만족은 만족도에서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김용권,가로경관의 시지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칼라사진에 의해 제시된 환경에 대한 평가와 실제 환경에 대한 평가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기존 연 구자들의 결과(이진숙 외 1인,도시가로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1)-가로환경평가 구조모델의 유추 및 심리량 분석,대한건축학회논문집,제7권1호,통권 33호,1991.2)로부터 칼라사진을 엘리멘트로 사용하 는 것이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1)

2.도시 가로변 건축물의 색채 이론

2. 1도시 가로경관과 색채

2. 1. 1개념

1)도시 가로경관의 정의 및 범위

‘도시경관’의 상위개념인 ‘경관’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1.경치,2.지리학적 으로 본 토지나 지형의 특성,또는 이러한 특성이 있는 어떤 지역이다.내용으로 보아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으로 나눔13)’등으로 설명되고 있는데,일반적으로는 ‘풍 경’혹은 ‘경치’라는 말이 연상이 된다.이 말은 본래 영어의 ‘landscape’에서 나온 말로 가장 원시적인 개념으로는 토지로의 개념으로 상용되다가,풍경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현재 흔히 사용되는 ‘경치’,‘풍경’등의 이상적인 경치로 의미가 변화하였 다.14)지리학에서는 지표상의 어떤 물리적,문화적 특성과 연관시켜 문화경관이란 말을 자주 사용하기도 하며,최근에 와서는 범지구적인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그 문제해결의 처방으로 ‘생태학적 조경’이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이 등장함에 따라

‘landscape’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생활장소이자 조건인 ‘환경(environment)' 의 개념과 상호 통용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도시는 오랜 역사를 거쳐서,지역의 자연조건과 각 시대마다의 문화와 역사적 배 경을 반영하며 발전한다.도시이미지는 그것의 형태나 색상,외면적인 느낌과 배열 그리고 도시를 바라보는 시각적인 측면에서 도시의 정체성과 구조를 인식할 수 있 도록 하는 모든 지적인 요소에 기초한다.15)도시경관은 도시라는 공간적 범위로 제 약되며,도시 내에서 다수의 사람이 개별적인 물리적 경관을 일정거리에서 조망하 면서 형성하는 심성 내지 이미지가 귀납적으로 추상화되는 일반경관으로 정의할 수 있다.도시경관은 도시라는 존재의 단순한 모습이 아닌 도시안의 문화는 물론 가치제계와 생활방식이 표현되고 기록된 종합적인 건축문화로 정의 할 수 있으 며16)그 안에서 가로는 이것들을 만들어 내는 도시의 하부구조(infrastructure)로서

13)신기철,신용철 편저,새우리말 큰사전,1989,p.187.

14)주신하,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연구,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2003.

15)박병주,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형설출판사,2001.

16)이종현,仁川廣域市 基本(시가지경관 및 해안경관을 중심으로),인천발전연구원,1998.

(32)

역할을 한다.

가로(street)는 양쪽에 건축물들이 열 지어 서있고 그 사이의 공간으로 한정되는 도시나 마을의 길을 의미하며,이는 좁은 길 lane혹은 골목길 alley등과 비교해 넓 어서 차량의 통과를 위한 보도 sidewalk까지 포함하는 길을 의미한다.17)가로는 도 시의 내부형태와 도시환경의 질을 결정하고 제한하는 중요한 기반요소 중 하나이 며,도시 내 교통망을 형성하고 가구를 분할하는 선으로서 도시내 형태 및 생활양식 을 조성한다.

가로의 개념에 대해서 Anderson은 “가로와 도로는 그 의미에 있어 차이를 나타 낸다.가로는 한계가 정해진 표면을 나타내며 도로는 목적지로 향하는 이동을 암시 하고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이행을 말하고 있다.즉 가로는 특별히 계속적이 고 복합적인 특성을 암시하며 측면에 늘어선 건축물과 분리할 수 없는 장소적인 성질을 갖는 것이다.18)”라고 하였다.이와 같이 가로는 시설된 길과 가로변 건축물 을 모두 함축하는 말로서 그 가로변 건축물에 의해 한정되는 장소적 성격을 갖는 다.Spreiregn은 가로를 “양쪽이 폐쇄된 도시공간의 통로(corridor)”라고 했는데,이 것은 가로의 지속적이며 독특하고 복합적인 특성을 시사하는 것으로,동시에 가로 가 접해 있는 건축물과 분리될 수 없는 장소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 다.케빈 린치(K,Lynch)는 “가로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도시의 이미지에 대한 요소이며,사람들은 가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그 도시를 관찰하게 된다.”라고 가로의 역할을 설명했다.여러 학자들의 가로에 대한 정의에서 보듯 가로는 건축물 에 의해 형성되며 건축물은 그 지역의 문화를 형성하며,이러한 가로의 집합은 도 시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다.

2)가로의 특징

가로는 개인의 사적인 공간이 아니라 여러 사람들이 함께 생활하고,활동하는 공 적인 성격이 강한 공간으로 도시의 매개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가지며 도시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시공간의 질서화 요소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매개 공간으로서의 가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19)

17)이보영,시각정보체계로서의 도시환경색채 기능과 자연색체계(NCS)적 접근방법에 의한 경관의 질적 수 준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6.

(s.Andersoned,onStreet,TheMitpress,1978,p.15.)

18)이보영,(S.Anderson,OnStreets,TheMIT Press,1976,pp.16~19.)

19)김석범,가로를 구성하는 소규모 상업건축물의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첫째,도시에서 가로는 기능 공간 이상으로 사회구조를 반영한다.가로는 단순한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면에서도 도시민의 의식과 행동 등,도시 자 체가 지니는 사회구조를 직접,간접적으로 반영한다.또한 가로는 사회조절의 기능 을 지니고 있어 가로 공간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본질적인 차원에서 도시 자체의 모습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도시에서 가로는 규범체계보다 사회체계와 관련된다.가로가 도시민에게 있어 사회체계와 관련되어야 하는 커다란 이유는 현대도시의 체계에 있어 성격 자 체가 제어를 잃으면 혼란과 무질서로 전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도시가 생활공간으 로 보장되기 위해서는 최소의 범위 내에서 한계 조절 control요소를 가져야 한다.

셋째,가로는 단순한 이동 수단으로서의 성격과 장소적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가로는 장소 적인 의미에서 이동 수단으로서의 수송 역할과 일상생활 및 도시 활 동을 위해 움직이는 기능적인 특성을 갖는 반면,이 기능 상호간의 관계와 이들을 매개시켜주는 정보의 전달이나 인식으로서 장의 의미를 부여하는 특성을 가진다.

넷째,가로는 연속성이나 독자성을 동시에 갖는다.가로는 시각적으로 건축물을 비롯하여 가로시설물들이 상호 연관성 있게 연속성을 지니고 경험되어지는 곳으로 서,또한 개개의 건축물이 갖는 독자성의 결합에 의해 가로공간의 질서가 부여될 수 있다.

다섯째,가로는 미적만족과 관련되어 미적형태를 갖추어야 한다.도시환경이란 도시민의 생활 장소이며 정주(定住,shelter)공간이므로 기능적임과 동시에 정서적 이고 미적인 만족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은 색채,재료,질감,형 태 등의 시각 언어적 표현요소에 의해 가로경관에서의 미적 질서가 체계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이동하고 어떤 행위를 하며 사회화 과정을 겪는 가로는 가로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파악해야 하며,그 특징을 살리는 가로경관으로 정돈되어야 한 다.이러한 가로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도시경관 이미지 형성의 매개체가 되며, 가로의 미적 만족도는 도시경관의 지각적 접근의 기초가 될 것이다.

3)가로의 기능 및 구성요소

도시의 가로기능은 다양한데 크게 교통기능과 시가지 형성기능,공간기능으로 나

1990,p.21.

(34)

눌 수 있고,공간기능은 다시 생활환경 기능과 공급처리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20)

교통기능

통과교통 자동차,오토바이,자전거,보행자의 통행 건축물,가로,가로내 시설

교통전환 승강,하물의 적재

주 차 장 자동차,오토바이,자전거의 주정차 시가지형성기능 골격형성 도시의 거점간 연결,생활 기반의 확충

커뮤니티 토지이용의 촉진

생활환경 기능

가로활동 비교통목적보행(산책),조깅,휴식,놀이,작업장 등 연도/

건축물과의 교류 커뮤니티 일반,시각적 교류,매매등

정보일반,도시인식,경관,녹화,일조채광,통풍 도시방재 피난,격리,방재활동

공급처리 기능

에너지,정보,상수

폐기물

표2. 가로의 기능

20)

가로을 구성하는 요소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유형의 요소와 구체적 형상 이 시각화될 수 없거나 또는 형체를 갖추고 있다하더라도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 형되는 무형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유형의 요소는 다시 가로공간의 골격을 구성하 는 1차 요소와 각종 가로장치물로 이루어진 2차 요소로 구분된다.그리고 무형의 요소는 자연적 요소,인위적 요소,그리고 행위적 요소로 구분된다.따라서 가로공 간의 구성요소는 다음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21)

유형 요소

1차 요소

수직적 요소

벽 :가로벽 건축물의 용도,색채,마감재료,가로의 폭과 건 축물의 높이,평면유형,지붕의 형태와 이용,광고간판 수평적

요소

바닥,자연지형,가로망,openspace,보행노면의 처리와 이용 천정 :skyline

2차 요소

가로시설물 :안전용,정보용,쾌적용,편의용 예술요소 :환경조각,도시벽화

자연요소 :물,흙,돌,수목

무형 요소

자연적 요소 장기 :동식물의 생장,계절의 변화,빛 단기 :비,눈,이슬,바람

인위적 요소 행정(법규),경제,역사,문화적 요소 행위적 요소 사람과 차량의 움직임

표3. 가로공간의 구성요소

21)

20)정재욱,도시 가로 건축물의 설계사항에 관한 연구-건축물의외벽과 대지의 교차점을 중심으로,대한건축 학회논문집 8권9호 통권47호 1992.9.

21)박상희,가로경관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상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4.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종속변수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선정, 선정된 변수를 기준으로 층화추출법(Stratified sampling)을 진행한다. 작업시간추정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느낌이나 감정에 의한 조직애착을 의미하는 정의적 몰입에 대한 영향력을 보면 전반적 직무만족의 영향력이 가장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정적 지원 요인은 <표 Ⅳ-3>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립유치원이 가장 높은 차이를 나타낸 반면에

GJ2로부터의 EPS가 가장 높은 점도를 나타냈으며, C11로부터의 EPS가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다.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각 분리균주로부터의 EPS 생성량에 따른

임플란트 치료가 무치악 환자에서 시행되는 가장 기본적인 치료가 되면서 정확한 위치와 각도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은 치료의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반사판은 반사율이 가장 높은 알루미늄 반사판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자외선 센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평면 반사판과 달리 곡률을 가진 반사판의

경로분석결과 상관관계분석에서 지지된 모든 지역 방송사의 조직-공중관계성 변인 과 지역방송사 이미지,그리고 지역방송사 이미지와 시청자

특히,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에도 보면 이진춘(2011)은 소비자들이 스 마트폰이 가진 유용성이 굉장한 영향력이 있으며, 유용성은 전환장벽의 구축 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