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신 마취하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압과 체위 변동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전신 마취하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압과 체위 변동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ISSN: 0378-6471 eISSN: 2092-9374

http://dx.doi.org/10.3341/jkos.2011.52.10.1208

= 증례보고 =

전신 마취하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압과 체위 변동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송해윤1⋅최종우2⋅권정도1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안과1, 일반외과2

목적: 복강경 수술 시, 복압의 상승에 의한 안압 상승 및 체위 변동에 따른 안압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을 시행한 28명과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20명, 2군을 대상으로 수술 전, 전신 마취 후, 기복 형성 후, 술식에 따른 체위 변환 후, 기복 제거 후 전신 마취 상태에서 안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기복 형성 전과 비교하여 기복형성 후 안압은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3.70 ± 0.96 mmHg, 담낭절제술군에서 3.15 ± 0.5 mmHg 상승하였다.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두위하방 상태에서의 안압은 체위변환 전 안압보다 3.25 ± 0.16 mmHg 상승하였고, 담낭절제술군 에서 두위 상방 상태에서의 안압은 체위변환 전 안압보다 2 ± 0.12 mmHg 감소하였다. 두 군 간, 두위에 따른 체위 변환으로 6.5 mmHg의 유의한 안압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복강경술 시에 기복 형성은 안압 상승을 일으키며, 술식에 따른 체위 변동은 안압 변화를 일으켰고, 두 군 간에 안압의 차이가 있었다. 복강경 수술로 인해 장시간 안압 상승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복형성 및 두위 하강 체위 유지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10):1208-1214>

■ 접 수 일: 2011년 1월 7일 ■ 심사통과일: 2011년 3월 9일

■ 게재허가일: 2011년 7월 12일

■ 책 임 저 자: 권 정 도

부산시 금정구 남산동 374-75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안과

Tel: 051-580-1359, Fax: 051-512-1354 E-mail: kjdeye@naver.com

복강경하 수술은 기존의 개복하 충수돌기절제술 및 담낭 절제술보다 수술 반흔이 작으며,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조기 에 활동이 가능하며, 입원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고 있 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1-4

그러나 복강경하 수술에서는 수술 시야를 확보하고 수술기 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복(pneumopeitoneum) 을형성하고, 수술 접근 방식에 따라 환자의 체위를 두위 상 방, 두위 하방 체위로 변화시킨다. 이로 인해 마취 중에 폐 및 심혈관계와 여러 장기들에 중요한 생리적인 변화가 초 래되고, 뇌압 상승이나 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5-8

10 mmHg 이상의 기복 형성은 흉강내압 상승, 폐혈관 저 항증가, 고탄소혈증, 심박출량 감소, 대정맥 압박을 일으키 고, 이로 인해 상승된 중심정맥압은 안압 상승을 일으킨다.5 또한 두위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였을 때 심장과 중심정 맥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적 머리측 정수압 경사에 의한 체액이동으로 맥락막 혈관의 울혈과 상공맥정맥압 상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섬유주 유출의 감소로 안압 상승이 일

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7

이에 저자들은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 및 담낭절제술 을 받는 환자에서 복압 상승 및 체위 변동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20세에서 60세 사이 의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과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이 예 정된 환자들 중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분류 1 또는 2 군 에 속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안질환, 뇌질환, 심 혈관 질환, 당뇨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은 제외하였다. 본 병원의 임상 연구 심의위원회의 승인 하에 대상 환자에게 수술 전 본 연구의 방법 및 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얻었고, 상기 기준에 의거해, 충수돌기절제술 이 예정인 환자 30명과 담낭절제술이 예정된 20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환자는 수술실에 입실 후 체위변경 가능한 평평한 수술 대에 누워 심전도, 비침습적 자동혈압계, 맥박 산소계측기 를 설치하여 심박수, 혈압,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 로 감시하였다.

마취는 propofol 목표농도를 5 μg/ml로 하여 유도하였고, fentanyl 1.5 μg/kg과 thiopental sodium 5 mg/kg 투여 후

(2)

Table 1. Mean values of age, ophthalmic and health parameters

Variables Appendectomy Cholecystectomy *p-value

Sex (M/F) 19/9 8/12 0.083

Mean age (yr) 34.21 ± 10.95 50.45 ± 10.13 0.006

Mean height (cm) 170.47 ± 7.32 162.5 ± 10.24 0.211

Mean weight (kg) 69.25 ± 11.27 63.44 ± 14.14 0.16

BMI (kg/m2) 23.75 ± 3.08 23.77 ± 3.31 0.174

BCVA (log MAR) 0.11 ± 0.08 0.126 ± 0.11 0.632

Refraction error -0.74 ± 0.32 -0.62 ± 0.16 0.72

PAC§ 0.84 ± 0.12 0.81 ± 0.21 0.89

Axial length (mm) 23.92 ± 0.64 23.54 ± 0.32 0.48

T1Π (mm Hg) 14.92 ± 3.77 14.65 ± 2.88 0.39

Values are given as a mean ± standard deviation.

*p = Pearson’s correlation; Body mass index = weight (kg) divided by height (m) square; BCVA = best-corrected visual acuity; §PAC = peripheral anterior chamber; ΠT1 = before induction.

안검반사가 소실되면 succinylcholine 1 mg/kg을 정주하고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였고, 수술중에는 반폐쇄 순환식방법 으로 O2와 N2O 각각 2 L/min와 sevoflurane (1.5-3 vol%) 를 투여하여 유지하였다. Sevoflurane 농도는 평균혈압이 마취 유도전수치의 ±20%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조절하 였고, 용량형 마취호흡기(Cato, Dräger, Germany)로 일회 호흡량은 10 ml/kg, 호흡수는 10-16회/분으로 호기말 이 산화탄소분압이 30-35 mmHg 정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호 흡을 하였다.

수술 중 환자 체위는 다음과 같다. 복강경 충수돌기절제 술군의 경우, 30명의 환자 모두에서 수평 체위에서 기복형 성한 지 10분 후에 10-15도 두위하방 체위를 유지하였으 며, 복강경 담낭절제술군의 경우 20명 환자 모두에서 수평 체위에서 기복형성한지 10분 후에 10도 두위 상방 체위를 유지하였다. 복강내압은 충수돌기절제술군과 담낭절제술군 모두에서 12 mmHg로 유지하였다.

안압은 하결막낭에 0.5% proparacaine hydrochloride를 투여한 후 TonopenXL (Medtronic Solan, Jacksenville, Fl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한 명의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측정되었다. 안압의 측정은 좌안으로 임의 결정하여 2 회 측정 후 평균하였다. 안압 측정은 마취 유도전(T1), 마 취유도 10분 후(T2), 기복형성 10분 후(T3), 체위변환 10 분 후(T4), 기복제거 및 수평체위 전환 후 10분 후(T5)에 시행하였다.

안과 검사는 모든 환자에서 수술 시행 후 2일째 되는 날 에 시행하였으며, 시력 및 굴절이상, 세극등 검사, 안구축 길이, 전방깊이를 측정하여 전반적인 이상 소견을 확인하였 다. 시력검사는 한천석 시력표를 사용하였으며, 원거리 시 력의 비교를 위하여 logMAR로 환산하였다. 굴절이상은 자 동굴절검사기(Autorefractor Kowa KA-1000)를 이용하 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으며, 주변 전방 깊이는 Van

Herick Method를 이용하였는데, 세극등 빛을 수직방향으 로 한 뒤 그 빛을 이측에서 각막의 주변부에 60도 각도로 비춘 상태에서 한 명의 검사자에 의해 깊이를 판정하였다.

굴절검사에서 ±4.00D 초과의 굴절 이상, ±3.00D 초과 의 난시를 가진 자, 세극등 검사에서 눈의 염증이나 안과 수술 기왕력을 가진 자, 안구축 길이가 20-26mm 범주를 초과하는 경우, 주변 전방 깊이가 1/4 이하인 자는 제외하 였다. 상기 배제 기준에 의거해,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 을 시행한 30명 중 2명은 고도근시로 굴절 이상 및 안축장 길이가 범주를 초과하여 제외되었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수술 중 안압과 안과검사 결과들 및 연령, 신장, 체질량, 체질량 지수의 각 군의 비교는 Pearson correlation test를 하였고, 각 군에 있어서 시간대별 비교는 repeated measures of ANOVA를 시행하였다. 모든 결과 비교는 p값이 0.05 미만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 환자 48명 중,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군은 28명, 복강경하 담낭절제술군은 20명이었다. 복강경하 충 수돌기절제술군은 남자가 19명, 여자가 9명이었으며, 복강 경하 담낭절제술군은 남자가 8명, 여자가 12명이었다. 평 균 연령은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34.21 ± 10.95세, 담낭 절제술군에서 50.45 ± 10.13세이었으며, 평균 신장은 충 수돌기절제술군에서 170.47 ±7.32 cm, 담낭절제술군에 서 162.5 ±10.24 cm, 평균 몸무게는 충수돌기절제술군에 서 69.25 ±11.27 kg, 담낭절제술군에서 63.44 ±14.14 kg, 평균 체질량지수는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23.75 ± 3.08 kg/m2, 담낭절제술군에서 23.77 ±3.31 kg/m2로 측 정되었다. 안과검사에서 각 군의 평균치는 충수돌기절제술

(3)

Figure 1. Change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in the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T1 = before in- duction; T2 = 10 min after induction; T3 = 10 min after pneu- moperioneum; T4 = 10 min after lowering head (Appendectomy);

T4 = 10 min after raising head (Cholecystectomy); T5 = 10 min after deflation and horizontal position.

Table 2. Correlation between BMI, refractive error, peripheral anterior chamber, axial length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on T1,

T2, T3, T4, T5 i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Position IOP BMI

p-value (R)*

Refraction error p-value (R)*

PAC p-value (R)*

Axial length p-value (R)* Laparoscopic

appendectomy

T1 0.035

(0.730)

0.982 (0.003)

0.203 (-0.167)

0.151 (0.188)

§T2 0.775

(-0.380)

0.503 (0.088)

0.771 (0.38)

0.771 (0.38)

ΠT3 0.815

(0.031)

0.179 (0.176)

0.859 (0.023)

0.859 (0.023)

T4 0.478

(0.093)

0.819 (-0.030)

0.571 (0.750)

0.959 (0.007)

††T5 0.146

(0.190)

0.754 (-0.041)

0.608 (0.067)

0.252 (0.150)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T1 0.038

(0.720)

0.538 (-0.810)

0.729 (-0.460)

0.229 (-0.158)

§T2 0.982

(-0.003)

0.377 (-0.116)

0.867 (-0.220)

0.982 (-0.003)

ΠT3 0.538

(-0.810)

0.729 (-0.460)

0.229 (-0.158)

0.538 (-0.810)

**T4 0.203

(-0.167)

0.151 (0.188)

0.920 (0.13)

0.920 (0.13)

††T5 0.401

(-0.110)

0.136 (0.195)

0.983 (0.003)

0.537 (-0.081)

*p-value (R). R =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 = Pearson’s correlation; IOP = intraocular pressure; T1 = before induction, §T2 = 10 min after induction, ΠT3 = 10 min after pneumoperioneum; T4 = 10 min after lowered head; **T4 = 10 min after higher head, ††T5 = 10 min after deflation and horizontal position.

군에서 최대교정시력 0.11 ±0.08 logMAR, 담낭절제술군 에서 최대교정시력 0.126 ± 0.11 logMAR이었고, 굴절이 상의 평균은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0.74 ±0.32디옵터, 담낭절제술군에서 -0.62 ±0.16디옵터, 주변부 전방깊이 의 평균은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0.84 ±0.12, 담낭절제술 군에서 0.81 ±0.21, 안축장길이의 평균은 충수돌기절제술 군에서 23.92 ± 0.64 mm, 담낭절제술군에서 23.54 ± 0.32 mm, 마취 유도전 안압(T1)은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 14.92 ± 3.77 mmHg, 담낭절제술군에서 14.65 ± 2.88 mmHg로 측정되었다. 연령 및 신장에서 두 군간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23, p=0.043), 성별, 몸무게, 체질량지수, 최대교정시력, 굴절이상, 주변부전방 깊이, 안축장 길이, 마취 유도전 안압(T1)에서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두 군에서 최대교정시력, 굴절이상, 주변부 전방깊이, 안 축장 길이는 수술 중 측정한 안압(T1, T2, T3, T4, T5) 및 변화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체질량 지수는 T1 안압에서 충수돌기절제술군(r=0.73, p=0.035) 과 담낭절제술군(r=0.72, p=0.038), 각각의 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Table 2).

복강경하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는 T2 안압은 T1 안압 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

0.685), T3 안압은 T1, T2 안압에 비해 두 군에서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p<0.001). T4 안 압은 T3 안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0.01), T5 안압은 T4, T3 안압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01, p=0.047), T1, T2 안압에 비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p=0.039, p<0.01, Table 3, 4, Fig. 1).

복강경하 담낭절제술군에서는 T2 안압은 T1 안압에 비 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745), T3 안압은 T1, T2 안압에 비해 두 군에서 모두 통계적으

Time

(4)

Table 3. Mean values of IOP on T1, T2, T3, T4, and T5 i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T1 T2 §T3 ΠT4 T5

Laparoscopic

appendectomy IOP* (mm Hg)

14.92 ± 3.77 14.57 ± 2.70 18.27 ± 3.66 21.82 ± 3.83 16.71 ± 3.13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OP* (mm Hg)

14.65 ± 2.88 14.15 ± 2.90 17.3 ± 3.40 15.3 ± 3.52 15.25 ± 3.16

Values are given as a mean ± standard deviation.

*IOP = intraocular pressure;T1 = before induction, T2 = 10 min after induction, §T3 = 10 min after pneumoperioneum; ΠT4 = 10 min after positional change; T5 = 10 min after deflation and horizontal position.

Table 4. Multiple comparison of p-value on T1, T2, T3, T4, and T5 i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IOP* Laparoscopic appendectomy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value p -value

T1 §T2 0.685 0.745

ΠT3 <0.001 0.002

T4 <0.001 0.223

**T5 0.039 0.218

§T2 ΠT3 <0.001 0.009

T4 <0.001 0.406

**T5 0.008 0.406

ΠT3 T4 0.002 0.046

**T5 0.047 0.056

T4 **T5 <0.001 0.963

*IOP = intraocular pressure; p-value was determined by repeated measures of ANOVA test; T1 = before induction; §T2 = 10 min after induction; ΠT3 = 10 min after pneumoperioneum; T4 = 10 min after positional change; **T5 = 10 min after deflation and horizontal position.

Table 5. Comparison in IOP o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Appendectomy-cholecystectomy *p-value

T1 IOP (mm Hg) 0.82 ± 1.25 0.397

§T2 IOP (mm Hg) 0.17 ± 0.53 0.113

ΠT3 IOP (mm Hg) 1.27 ± 0.26 0.161

T4 IOP (mm Hg) 6.52 ± 0.30 0.037

**T5 IOP (mm Hg) 1.46 ± 0.02 0.553

Values are given as a mean ± standard deviation.

*p = Pearson’s correlation; IOP = intraocular pressure; T1 = before induction, §T2 = 10 min after induction, ΠT3 = 10 min after pneumoperioneum; T4 = 10 min after positional change; **T5 = 10 min after deflation and horizontal position.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p<0.01). T4 안압은 T3 안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며(p=0.046), T5 안압은 T4, T3 안압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963, p=0.056), T1, T2 안압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10, p=0.406, Table 3, 4, Fig. 1).

두 군 간의 T4 안압 비교에서 6.5 mmHg의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p=0.037), 그 외 다른 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Table 5).

고 찰

안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방수(aqueous humor)의 생성과 배출, 맥락막(choroidal plexus)의 혈액량, 중심정

맥압, 외안근의 작용, 안구에 대한 외부 압력 및 공막경축 (scleral rigidity) 등이 있으며 동맥압과 폐환기의 과도한 변화도 안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외에 기관내삽관, 기도 폐쇄, 기침, 체위 등도 안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18-20

복강경 수술 시에 안압 변화는 중심정맥압의 변화와 직 접적인 관계에 있으며, 중심정맥압은 기복형성에 따른 복 압 증가와 두위 변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Gannedahl et al21은 복강경 수술을 받는 환자에서 체위 변 동과 기복 형성이 혈역학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여 수평 체위에서의 기복 형성시에는 중심정맥압이 평균 4 mmHg 증가하고, 기복 형성 후 reverse-Trendelenburg 체 위에서는 중심정맥압이 평균 3 mmHg 감소하며, 기복형성 후 Trendelenburg 체위에서는 중심정맥압이 평균 9 mmHg 증가한다고 하였다. Macri22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심정맥

(5)

압이 4 mmHg 증가한 경우에는 주목할 만한 안압 상승을 가져오지 않지만, 중심정맥압이 9 mmHg 증가한 경우에는 6 mmHg의 안압 상승을 가져온다고 하였다. Lentschener et al23은 쥐를 이용한 실험연구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 고, 기복형성 및 Trendelenburg 체위를 한 경우에서만 유 의한 안압 증가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기복을 형성하였을 때 안압은 기복 형성 전 보다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는 3.70 ±0.96 mmHg, 담낭절 제술군에서는 3.15 ± 0.5 mmHg 상승하였다. 10 mmHg 이상의 기복형성은 흉강내압 상승, 폐혈관 저항 증가, 고탄 소혈증, 심박출량 감소, 중심정맥압 증가, 대정맥 압박 등의 심폐기능에 영향을 주며 중심정맥압 상승과 대정맥 압박은 목정맥(jugular v.), 안와정맥(orbital v.), 와정맥(vortex v.)을 거쳐 맥락막(choroid)까지 전달되어 혈관 팽대를 가 져오고 이로 인해 안압 상승이 발생한다.5

두위 하강에 따른 안압의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알려져 있다. 먼저, 10도 두위 하강한 상태에서 약간의 안압 상승 이 있었으며,10-12완전 역위 자세에서 2배 높게 안압 상승 이 있었다.13 평균 27세 여자 25명에서 머리 측 하방 6도 내렸을 때 와위와 비교하였을 때 1.9 mmHg의 안압 상승이 있었다.14 완전히 거꾸로 선 자세로 되었을 때 안압상승량 은 15.1 ±4.1 mmHg로 나타났다.9 이들 연구에서 안압의 상승은 복합된 기전으로 설명되는데, 머리를 하방으로 경사 지게 하였을 때 심장과 중심정맥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 적 머리측 정수압 경사에 의한 체액이동으로 맥락막 혈관 의 울혈과 상공맥정맥압 상승으로 인한 섬유주 유출의 감 소로 안압 상승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7 본 연 구에서도 충수돌기절제술군에서는 기복 형성 후 10분에 측 정한 안압(T3)과 비교하여 두위하방 체위변환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4)은 3.25 ±0.16 mmHg의 안압 상승을 보 였고, 마취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2)과 비교하여 두위하 방 체위변환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4)은 7.25 ±1.13 mmHg의 안압 상승을 보였다. 담낭절제술군에서는 기복 형 성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3)과 비교하여 두위상방 체위 변환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4)은 2.0 ±0.12 mmHg의 안압 감소를 보였고, 마취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2)과 비교하여 두위상방 체위변환 후 10분에 측정한 안압(T4) 은 1.15 ±0.62 mmHg의 안압 상승을 보였다. 충수돌기절 제술군에서 시간에 따라 T2, T3, T4 안압의 점진적 상승이 있었다. T2 안압에 비해 T3 안압의 상승은 기복형성으로 인한 중심정맥압 상승의 결과이며, T3 안압에 비해 T4 안 압의 상승은 머리측 정수압 경사에 의한 체액이동이 부과 되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한다.

대부분의 마취제는 뇌의 안압 중추를 억제하고, 외안근

을 이완시키고, 방수유출을 촉진하고, 혈압이나 정맥압을 감소시켜서 안압을 감소시킨다. 많은 연구들에서 des- flurane, halothane, isoflurane 같은 흡입 마취제, propofol, etomidate, thiopental 같은 정맥마취제, 그리고 fentanyl, alfentanil, remifentanil 같은 아편양제제들이 안압 감소효 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20,24,25Propofol은 마취 유지용량 으로 지속적으로 주입한 경우에도 안압을 감소시키고 안 압 감소 효과가 마취 각성후에도 지속된다고 하였다.20 Sevoflurane의 경우, Attru and Momota26는 쥐를 이용한 실험연구에서 sevoflurane만을 투여 받은 군 뿐만 아니라 sevoflurane과 alfentanil을 투여 받은 군에서 안압감소가 있었다고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도 마취유도 후에 충수돌기 절제술군에서 0.4 ±0.13 mmHg (p=0.685), 담낭절제술 군에서 0.5 ±0.21 mmHg (p=0.745)의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Lentschener et al8은 연구에 서는 마취 유지로 isoflurane을 사용하여 복강경하 부인과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마취 후 급격한 안압 하강이 있었으 나 기복형성 후 유의한 안압 상승을 보이지 않았다 하며, 두위 하강에서 안압 상승을 보였으나 마취 전 안압에는 미 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취 유지로 sev- oflurane을 사용하였으나 Lentschener et al8 연구에서는 isoflurane을 사용하여 마취 유지를 하였다. 이러한 마취 유 지 약물의 종류에 따라 안압 하강과 안압 상승 억제의 효과 가 다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향후 이에 관한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두 군에서 연령, 신장, 체중, 굴절이상, 주변부 전방깊이, 안축장 길이는 수술 중 측정한 안압(T1, T2, T3, T4, T5) 및 변화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없었으나 체질량 지수는 T1 안압과 충수돌기절제술군(r=0.73, p=0.035)와 담낭절제술군(r=0.72, p=0.03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이는 체질량지수와 안압 간의 직접적인 비 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들과 부합된다.27-32체질량 지 수가 증가할수록 비만과 관련 있고 비만의 경우 안압의 상 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27-32안압 상승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안와내 지방조직의 증가, 상 공막정맥압의 상승, 혈액 점도의 증가 등이 있으며, 이로 인 한 방수의 유출 기능의 저하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31,32 하지만 본 연구에서 기복형성 전 후 및 체위변환 후 안압의 변화는 체질량 지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체질량 지수가 기복형성 및 체위 변동으로 인한 안압의 변화 에 부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잠정적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향후 이에 관한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충수돌기절제술 군에서 기복제거 및 수평체위시의 안압 (T5)은 기복형성(T3) 및 체위변환시(T4)의 안압보다 유

(6)

의하게 감소하였다. 안압감소는 체위변동과 복압감소로 인 한 중심정맥압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하며, 마취 유 도전(T1) 및 마취유도 후(T2)보다 안압이 높았던 것은 체 위변동 시 마취회복을 위하여 마취제 투여를 중단함으로써 마취심도가 낮아진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 같다.33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복강 내 압을 12 mmHg로 유지하여, 복강 내압을 달리 했을 때 안 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두 군에서 수 술 술식 및 수술 시간이 달라 수술 술식 및 수술 시간에 따 른 차이가 안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두 군 간에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질병 발병의 연령이 다르 며, 실제 본 연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령차가 확인 되었다. 이로 인해 두 집단에서 연령차가 안압 변동에 미치 는 영향을 평가할 수 없었다. 넷째, 마취 유도 및 유지에 두 군에서 동일하게 약물이 사용되었으나 수술 중 평균 혈압 유지를 위해 투여된 vecuronium bromide 및 atropine에 의 한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다섯째, 대상 환자의 수가 적 고, 성별 분포가 고르지 않아, 성별에 의한 안압 차이가 나 타나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이상으로 기복형성 및 체위변화는 안압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강경 수술로 인해 장시간 안압 상승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복형성 및 두위 하강 체위 유지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다.

복강경 수술 중 안압의 상승과 변동이 녹내장 환자나 일반 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부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 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1) Ortega AE, Hunter JG, Peters JH, et al. A prospective, random- ized comparison of laparoscopic appendectomy with open appendectomy. Laparoscopic Appendectomy Study Group. Am J Surg 1995;169:208-12.

2) Long KH, Bannon MP, Zietlow SP, et al. A prospective random- ized comparison of laparoscopic appendectomy with open appen- dectomy: Clinical and economic analyses. Surgery 2001;129:390- 400.

3) Chung RS, Rowland DY, Li P, Diaz J. A meta-analysis of random- ized controlled trials of laparoscopic versus conventional appendectomy. Am J Surg 1999;177:250-6.

4) Liu CY. Laparoscopic hysterectomy. a review of 72 cases. J Reprod Med 1992;37:351-4.

5) Joris JL. Anesthesia for laparoscopic surgery. In: Anesthesia, 5th ed. Miller RD, ed. Philadelphia: Churchill Livingstone, 2000;2003-23.

6) Morey TE, Dennis DH. Laparoscopic procedure. In: Kirby RR, Gravenstein N, Lobato EB, Gravenstein JS, eds. Clinical Anesthesia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2002;1518-32.

7) Lee HJ, Oh TH, Park SG. The effects of intraperitoneal carbon di-

oxide insufflation and head-down tilt position on intracranial pressure. Korean J Anesth 1996;31:140-9.

8) Lentschener C, Benhamou D, Niessen F, et al. Intra-ocular pes- sure changes during gynaecological laparoscopy. Anaesthesia 1996;51:1106-8.

9) Baskaran M, Raman K, Ramani KK, et al. Intraocular pressure changes and ocular biometry during Sirsasana (headstand pos- ture) in yoga practitioners. Ophthalmology 2006;113:1327-32.

10) Carlson KH, McLaren JW, Topper JE, Brubaker RF. Effect of body position on intraocular pressure and aqueous flow.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7;28:1346-52.

11) Mader TH, Taylor GR, Hunter N, et al. Intraocular pressure, reti- nal vascular, and visual acuity changes during 48 hours of 10 de- grees head-down tilt. Aviat Space Environ Med 1990;61:810-3.

12) Frey MA, Mader TH, Bagian JP, et al. Cerebral blood velocity and other cardiovascular responses to 2 days of head-down tilt. J Appl Physiol 1993;74:319-25.

13) Linder BJ, Trick GL, Wolf ML. Altering body position affects in- traocular pressure and visual func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8;29:1492-7.

14) Christophe C, Marc-Antoine C, Anne P, et al. Changes in intra- ocular pressure during prolonged (7-day) head-down tilt bedrest.

J Glaucoma 2003;12:204-8.

15) Watenpaugh DE, Hargens AR. The cardiovascular system in microgravity. In: Fregly MJ, Blatteis CM, eds. Handbook of Physiology: Environmental Physiology. New-York: Oxford, 1996;

v. 3. chap. 29.

16) Smith TJ, Lewis J. Effect of inverted body position intraocular pressure. Am J Ophthalmol 1985;99:617-8.

17) Friberg TR, Sanborn G, Weinreb RN. Intraocular and episcleral venous pressure increase during inverted posture. Am J Ophthalmol 1987;103:523-6.

18) Miller RD. Anesthesia, 4th ed. New York: Chruchill Livingstone Inc, 1994;2175-9.

19) Morgan GE Jr, Mikhail MS. Clinical Anesthesiology, 2nd ed.

Stamford: Appleton & Lange, 1996;656-7.

20) Murphy DF. Anesthesia and intraocular pressure. Anesth Analg 1985;64:520-30.

21) Gannedahl P, Odeberg S, Brodin LA, Sollevi A. Effects of posture and pneumoperitoneum during naesthesia on the indices of left ventricular filling. Acta Anaesthesiol Scand 1996;40:160-6.

22) Macri FJ. Interdependence of venous and eye pressure. Arch Ophthalmol 1961;65:150-7.

23) Lentschener C, Leveque JP, Mazoit JX, Benhamou D. The effect of pneumo- peritoneum on intraocular pressure in rabbits with al- pha-chymotrypsin-induced glaucoma. Anesth Analg 1998;86:

1283-8.

24) Sator S, Wilding E, Schabernig C, et al. Desflurane maintains in- traocular pressure at an equivalent level to isoflurane and propo- fol during unstressed nonophthalmic surgery. Br J Anaesth 1998;

80:243-4.

25) Alexander R, Hill R, Lipham WJ, et al. Remifentanil prevents an increase in intraocular pressure after succinylcholine and tracheal intubation. Br J Anaesth 1998;81:606-7.

26) Attru AA, Momota Y. Trabecular outflow facility and formation rate of aqueous humor during anesthesia with sevofluranenitrous oxide or sevoflurane-remifentanil in rabbits. Anesth Analg 1999;88:781-6.

(7)

=ABSTRACT=

The Effect of Positional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on Intraocular Pressure

Hae Yoon Song, MD1, Jong Woo Choi, MD2, Jeong Do Kwon, MD1

Departments of Ophthalmology¹ and General Surgery²,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Busan, Korea

Purpose: The present study proposes to examine the change of IOP in response to the rise of abdominal pressure and in response to position chang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d 28 patients who had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20 patients who had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n both groups, the IOP was measured before surgery, after general anesthesia, after the occurrence of pneumoperitoneum, after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operative method, after the removal of pneumoperitoneum and und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When comparing the IOP before and after the occurrence of pneumoperitoneum, the IOP after the occurrence in- creased by 3.70 ± 0.96 mm Hg in the appendectomy group and by 3.15 ± 0.5 mm Hg in the cholecystectomy group. After the occurrence of pneumoperitoneum, the IOP measured in the head-low position was 3.25 ± 0.16 mm Hg higher than measured in the level position in the appendectomy group, and the IOP measured in the head-high position was 2 ± 0.12 mm Hg lower than measured in the level position in the cholecystectomy group. Between the 2 groups, there was a sig- nificant difference of 6.5 mm Hg in IOP according to the change of head position.

Conclus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occurrence of pneumoperitoneum in laparoscopic surgery increased IOP, and posi- tion change according to operative method also changed IOP. In addition, IO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2 groups. In order to prevent the patient from being exposed to high IOP for a long period during laparoscopic surgery, keep- ing the duration of pneumoperitoneum and a head-low position to a minimum may be helpful.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0):1208-1214

Key Words: Abdominal pressure, Intraocular pressure, Laparoscopic surgery, Positional change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eong Do Kwon, M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374-75 Namsan-dong, Geumjeong-gu, Busan 609-813, Korea Tel: 82-51-580-1359, Fax: 82-51-512-1354, E-mail: kjdeye@naver.com 27) Lee JK, Lee JS, Kim YK.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and health parameter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

50:105-12.

28) Lee JS, Kim CM, Choi HY, Oum BS. A relationship between in- traocular pressure and age and body mass index in a Korean popul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559-66.

29) Carel RS, Korczyn AD, Rock M, Goya I. Association between ocular pressure and certain health parameters. Ophthalmology 1984;91:311-4.

30) Klein BE, Klein R, Linton KL. Intraocular pressure in an American community. The Beave Dam Eye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2;33:2224-8.

31) Bulpitt CJ, Hodes C, Everott MG. Intraocular pressure and sys- temic blood pressure in the elderly. Br J Ophthalmol 1975;59:

717-20.

32) Shiose Y, Kawase Y. A new approach to stratified normal intra- ocular pressure in a general population. Am J Ophthalmol 1986;101:714-21.

33) Son YS, Oh SC, Chung KD, et al.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ropofol and sevoflurane anesthesias on intraocular pressure dur- ing laparoscopic hysterectomy. Korean J Anesth 2005;48:10-4.

수치

Table 1. Mean values of age, ophthalmic and health parameters
Table 2. Correlation between BMI, refractive error, peripheral anterior chamber, axial length and intraocular pressure (IOP) on T1,  T2, T3, T4, T5 i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Table 4. Multiple comparison of p-value on T1, T2, T3, T4, and T5 in laparoscopic appendectomy and cholecystectomy groups

참조

관련 문서

The study consisted of applying the taping measures to 10 professional golfers and observe its effects, before and after such measure. The taping was applied

After analyzing their behavior and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can be clai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not only provides the elderly with

In order to compare physical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measured physical strength is agility (side step), cardiopulmonary endurance

architecture adopted to construct a building of repetitive units: Mies brought this factuality and the commonplaceness of the modern urban office to a sublime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fter 12 weeks of practice with middle-aged women centered

At the mean draft between forward and after perpendicular, the hydrostatic data show the ship to have LCF after of midship = 3m, Breadth = 10.47m, moment of inertia of the

The change in active oxygen was decreased after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mean draft between forward and after perpendicular, the hydrostatic data show the ship to have LCF after of midship = 3m, Breadth = 10.47m, moment of inertia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