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장 성과평가 전략
1. 성과측정의 유형
1) 산출측정(Output performance measures)
2) 질의 성과측정(Quality Performance measures) 3) 결과 성과측정(Outcome Performance measures)
① 산술적인 계산(numeric counts)
② 표준화 척도(standardized measures)
③ 기능수준 척도(LOF scale: Level of Functioning scale)
④ 클라이언트 만족도(Client satisfaction)
1. 성과측정의 유형
잠깐!!
산출물(Output)과 결과물(Outcome)의 차이
1) 산출물(outputs) : 직접적이고 수량화가 가능한 프로그램 활동의 산물(product)
2) 결과물(outcomes):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활동의 결과
(results) 혹은 영향(impacts)으로 무엇이 변했는가 라는 질 문에 대한 답
1. 성과측정의 유형
Output (산출물) Outcomes(성과물) 한 부모 가정의 부모는 가정방문 서
비스를 6회 동안 제공받음 가정방문 서비스를 제공받은 한 부모 는 자녀의 발달단계에 대한 지식이 증대되었음
아동학대 방지를 위해 5번 미디어 공
익광고를 하였음 아동학대 예방 공익광고에 접한 대상 들이 아동학대의 징후를 이해하고 이 에 대해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됨
프로그램 기획회의를 3번 실시하였 고 프로그램 자문을 전문가로부터 3 회 받음
기획회의와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프 로그램의 자원을 더욱 확충하고 증가 시키게 됨
결과 성과측정의 스펙트럼
1) 단기 성과(short-term outcome)
2) 중간 성과(Intermediate outcome)
3) 장기 성과(Long-term outcome)
아동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서는 부모들에게 자녀의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 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내용으로는 관련된 책자 제작, 곳곳에 책자의 배포, 라디오와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 실시를 하였다.
Short-Term (단기/초기 성과)
지식의 습득: 부모는 책자와 홍보를 통해 다음의 지식이 증가• 아동기의 예방접종
이 많은 질병을 미리 예방한다는 지식증가
• 예방접종을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에 대 한 서비스 정보 증가
Intermediate (중간 성과)
행동의 변화 : 부모들은 알게된 지식을 실 지로 행동으로 보임
• 자녀의 예방접종을
제 때 할 수 있도록 행
동을 취한 부모가 증 가함
Long -Term (장기적 성과)
환경/상황(Condition) 의 변화: 이러한 행동
으로 상황이 변화함
• 예방접종에 대한 부
모의 행동변화로 지
속적인 예방접종이 가능해짐
•지역사회 전반에 아
동건강증진
단기간내 성취
측량이 쉬움, 프로그램의 결 과로 즉각적으로 나타남
장기간 후 성취 측량이 어려움, 프로그램 후 궁극적으로 나타나는
프로그램 활동 (Activities)
What happen in our organization?
산출물(Outputs)
What are the
tangible products of our activities?
단기 성과물 (Short-term outcomes)
What changes do we expect to occur within the short term?
중기 성과물 (Intermediate outcomes)
What changes do we want to see occur after that?
장기 성과물 (long-term outcomes)
What changes do we hope to see over time?
프로그램 내용 기술:
프로그램의 목적 기술:
자원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