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뇨계통 질환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비뇨계통 질환 -1"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비뇨계통 질환 -1

김 건 희 RN, Ph.D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2)

비뇨기계

신장, 요관, 방광, 요도로 구성

신장의 역할

 혈액 속의 노폐물 제거

 혈류량, 혈중 전해질 농도/산성도(pH) 조절

 적혈구 생산 조절

(3)

신장의 기능

대사물질 배설 수분/전해질 균형

호르몬 분비

• 혈장 삼투질 농도

전해질 혈장 농도

• pH

• H2O

요소, 요산

• 크레아티닌

• 빌리루빈

• 약물, 식품첨가물

• 각종 대사물 배설

• renin

• erythropoietin

(4)

신원(nephron)

 콩팥 피질(cortex)에 위치

 신장의 구조상 및 기능상 단위

 신소체(renal corpuscle) + 요세관(renal tubules)

 신소체

사구체(glomerulus) + 사구체낭(Bowman's capsule)

 혈액에서 소변을 걸러내는 역할 수행

 신장 한쪽에 약 100만개

(5)

소변의 형성

사구체 여과(Glomerular filtration)

세뇨관 재흡수(Tubular reabsorption)

세뇨관 분비(Tubular secretion)

(6)

요성분

 배뇨량 1.5L/day, 정화 혈액량 1,700L/day

 사구체  보우만낭의 내막과 외막 사이  요관극  근위세뇨관  피질 통과

 수질 통과 후 피질로  헨레고리(Henle's loop)  원위세뇨관  집합관(collecting tubules)

 수질로  신유두(renal papillae)  소신배  대신배  신우  요관

(7)

사구체 여과

사구체를 통과하는 혈장의 20%가 여과

혈장단백질과 혈구를 제외하고 모두 걸러짐

효율적 여과

 넓은 표면적과 얇은 여과막 두께: ~ 0.1 µm

 높은 사구체 모세혈관압

(8)

세뇨관 재흡수

여과량의 99%는 신세뇨관에서 재흡수, 1%는 소변으로 인체의 상황에 따라 재흡수량 변화

 수분 전해질 함량 조절  일정한 내환경 유지

유형

능동적 재흡수

운반체를 이용한 재흡수: glucose

농도차 및 전위차에 따른 재흡수: Na+, K+

수동적 재흡수 : Cl-, H2O, urea, HCO3-

(9)

세뇨관 분비

물질 이동 : 간질액  세뇨관 강 내

유형

 능동적 분비

최대분비치를 보이는 분비과정: penicillin, 유기산 등

농도차 및 전위차에 의한 분비: K+, H+

 수동적 분비: NH3, salicylic acid

(10)

소변의 농도 & 양 조절

ADH, antidiuretic hormone

 시상하부 - 혈액 농도변화 감지

 뇌하수체 후엽 - ADH 분비 조절

 ADH

원위세뇨관 & 집합관의 물에 대한 투과성 증대  물의 신원에서 세뇨관 주위 공간으로 이동  농축된 소량의 소변 배출

(11)

Aldosterone

 부신에서 분비

 신원 원위부 & 집합관에서 Na+, Cl- 재흡수 증가  소변으로 나가는 수분손실 감소

 혈압 하강 방지

(12)

심방 나트륨 배설증가 호르몬 (Atrial natriuretic peptide)

 소금이 함유된 액체를 다량 섭취했을 때 증가

 심방 신장 시 심방벽 세포에서 분비

 신장의 소변생산량 & 소변 Na+ 농도 증가  소금이 함유된 다량의 소변 배설

 혈액량 및 혈액 농도 조절

(13)

이뇨제(diuretics)

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

 알코올

뇌하수체 후엽의 ADH 분비 억제  희석된 다량의 소변 배출

 카페인 등

사구체 모세혈관의 압력 증가  여과압 증가  소변량 증가

(14)

참고문헌

대한병리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2013). 핵심병리학. 정문각.

김양호 외(2015). 기본병리학 제3판. 현문사.

이한기 외(2014). 최신 병리학. 수문사.

Kumar, V., Abbas, A. K., & Aster, J. (2012). Robbins Basic Pathology 9th ed. W. B. Saunders.

Reid, R., Roberts, F., & Macduff, E. (2011). Pathology Illustrated 7th ed. Churchill Livingstone.

참조

관련 문서

Robbins, Jesus the Teacher: A Socio-rhetorical... euvagge,lion tou/

지난 해 이후 오피스 임대시장 호황으로 오피스 빌딩은 꾸준히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공급과 매물이 수요에 못 미치면서 도심, 강남, 마포여의도 등 주요

약물 유발성 ARF는 신장의 혈류역학적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신장 관류의 감소, 신장 세뇨관 세포에 대한 직접적 독성(급성.. 혈류역학적 변화로

세부항목 중 ‘다음 환자에는 신중하게 투여할 것’ 항목에 ‘다른 세로토닌성 약물(선택적 세 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이하 SSRI)와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이하 SNRI)

약물에 의한 신독성은 한가지 이상의 기전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기전들에는 사구체내 혈역학적 변화, 세뇨관 세포손상, 장 내 염증 유발, 결정 형성, 횡문근

The authors would like to express appreciation to physician assistant Young-Hee Shim and Yun-Hui Han, who worked so hard to make this report... 경피적

On color Doppler flow imaging, most of the tubular adenomas (76.2%) tended to have blood flow signals, including 4 cases of lesions with marked vascular signals.. The

양국간에는 현실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