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령별 남성호르몬 농도와 비만지표들과의 연관성 이유정, 김현주, 공미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연령별 남성호르몬 농도와 비만지표들과의 연관성 이유정, 김현주, 공미희*"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ISSN 1226-4407 eISSN 2234-7631

서  론

중년 이상 남성에서 노화는 남성호르몬 분비의 점차적인 감소와 더불어 근육량의 감소, 체지방량의 증가와 같은 신체의 변화를 동반 하게 된다.1,2 이와 같은 남성갱년기는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 축의 감수성 감소, 고환의 라이디히세포(Leydig cell)의 기능감소, 부신에 서의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의 분비감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3 1년에 약 0.4%씩 총 남성호르몬(total testos- terone)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남성에서 이러한 남성호르몬

의 감소는 체성분 구성의 변화와도 연관되어 25세 남성과 비교하였을 때 70세 남성의 체지방률이 2배에 이르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2,4

국내에서는 2003년 남성호르몬 및 체지방량과 연관되어 발표된 연 구가 발표된 바 있으며 상기 연구에서 계산된 유리남성호르몬(calcu- lated free testosterone)과 체지방량 및 허리 엉덩이둘레비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5 그러나 체지방량이나 허리-엉덩이둘 레비 이외의 다양한 비만지표들과의 연관성을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 로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체중을 구성하는 전체적 체지 방량 자체 보다 그 분포가 건강에 더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하여 정

연령별 남성호르몬 농도와 비만지표들과의 연관성

이유정, 김현주, 공미희*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제주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besity Indices and Level of Male Hormone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Yoo-Jung Lee, Hyeon-Ju Kim, Mi-Hee K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Hospital, Jeju, Korea

Background: The decrease in testosterone level during the aging process is associated with decrease in muscle mass and increase in visceral fat and body fat percen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obesity indices and level of testosterone according to dif- ferent age groups. Methods: A total of 156 individuals who underwent specific health exams in a loc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July 2013 were included. Obesity indices were represented as BMI, waist circumference (WC), body fat percent (BFP), visceral fat area (VFA), subcutaneous fat area (SFA), and visceral to subcutaneous ratio (VSR).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age groups: 35-44 years, 45-54 years, 54-64 years, and over 65. Results: In almost all age groups obesity indices showed an inverse relation to testosterone level while VSR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ither total or free testosterone levels. All obesity indices (BMI, WC, BFP, VFA, and SFA), except for VSR, mani- fes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total testosterone level, especially among subjects in the age group of 35-44 years and those greater than 65 years. However, free testosterone level failed to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of the obesity indic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Conclusion: BMI and WC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age groups as total testosterone level decreased. Body fat percent, visceral fat area and subcutaneous fat area showed a significant inverse corre- lation with total testosterone in the relatively young aged subjects and in the old aged groups.

Key words: Testosterone, Obesity index, Age

Corresponding author Mi-Hee Ko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Jeju National University & Hospital,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5 Aran 13-gil, Jeju 690-767, Korea

Tel +82-64-717-1830 Fax +82-64-717-1581 E-mail mdoc74@daum.ne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2014 scientific promotion program fund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Apr. 21, 2014 Reviewed May 20, 2014 Accepted Aug. 4, 2014

Copyright © 20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상 체중이라 하더라도 복부비만으로 내장비만이 있을 경우 심뇌혈관 질환, 대사증후군의 발생 빈도가 더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6 또한 단순 허리둘레만으로 확인해 왔던 복부비만이 실제로 피하지방과 내 장지방에 대한 감별에 한계가 있었으나 전산화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통하여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에 대한 면적 비교 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남성호르몬의 농도와 다양한 비만 지표들과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기존의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및 체성분검사를 통한 체지방률 외에도 CT를 시행하여 내장지방면적 (visceral fat area, VFA),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 SFA)을 측정하여 내장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의 비율(VFA/SFA, visceral- subcutaneous fat ratio [VSR])을 계산하고 각각 남성호르몬이 연령별 로 어떠한 연관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지역대학병원 연구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 승인을 받았 다(IRB No. 2014-03-012-001).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 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복부비만 CT 및 체성분 검사 등 비만지표들을 측정하면서 동시에 남성호르몬 농도를 검사한 사람 중 한국인 남성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연구 방법

모든 대상자에서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하여 과거와 현재 병력, 복 용 중인 약물, 음주, 흡연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비만지표들로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허리둘레 (waist circumference, WC), 체성분검사를 통한 체지방률(body fat percent, BFP)과 복부 CT촬영을 통한 내장지방면적(VFA), 피하지방 면적(SFA),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VFA/SFA ratio, VSR)를 측 정하였다.

신체검사는 모든 대상자가 가벼운 검진가운만 착용한 상태에서 신 장, 체중을 측정한 후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누어 BMI를 계산하였고, WC는 똑바로 서 있는 자세에서 배꼽위치의 둘레를 측 정하였다. CT는 누워있는 상태로 배꼽부위를 촬영한 후 -140~-40 Housefield unit를 지방조직으로 가정하여 복부와 배부의 근육을 경 계로 측정한 안쪽의 VFA와 바깥쪽의 SFA를 측정하여 VSR을 계산하 였다.

혈액검사는 8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에 정맥에서 채혈하여 황체호르몬(corpus lutein hormone, LH)과 총남 성호르몬(total testosterone, TT), 유리 남성호르몬(free testosterone,

FT)을 측정하였다. TT 농도는 Chemiluminescence Microparticle Immunoassay (CMI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고 기기로는 ARCHI- TECT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였다. FT 농도는 radioimmunoassay (RIA) 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정량하였고 기기로는 COBRA II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였다.

3. 통계 분석

35-44세, 45-54세, 55-64세, 65세 이상의 4개의 연령그룹으로 나누 어 연령별 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그룹별 비만지표들과 호르몬 농도의 경향분석(P for trend)에는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 ance, ANCOVA)의 대비검정(contrast test)을 시행하였으며, 각각의 비만지표들과 호르몬농도 사이의 상관분석에는 연령을 보정하여 부 분상관분석(partial correlation)을 시행하였고 각 그룹별 상관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는 Z-test (comparison of correlation coefficients) 를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for windows (Version 12.0)와 MedCalc (Version 13)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연령별 집단의 특성

총 연구대상자는 156명으로 평균연령은 54.6±8.3세였다. 그 중 자 가기입식 설문지에서 질병력에 고혈압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사람이 18.6% (29명), 당뇨병으로 치료중인 사람이 5.8% (9명), 고지혈증 약물 치료 중인 사람이 7.1% (11명)였다.

생활습관력은 현재 흡연자가 44.9% (70명), 일주일에 4회 이상 1회 1병 이상 음주하는 경우는 21.8% (34명), 일주일에 3회 이상 땀나게 운동하는 경우는 29.5% (46명)였다.

Table 1. Basic obesity indices of the study population

Minimum Maximum Mean SD

Age (year) 38 76 54.6 8.3

BMI (kg/m2) 19.1 32.0 25.5 2.6

WC (cm) 66.0 105.0 88.9 7.0

BFP (%) 11.2 42.6 26.1 5.0

VFA (cm2) 19.1 376.2 150.0 62.9

SFA (cm2) 13.2 301.9 147.3 52.2

VSR 0.38 3.97 1.07 0.47

TT (ng/dL) 210 1,209 514.6 165.6

FT (pg/mL) 3.9 22.2 10.7 3.4

LH (mIU/mL) 1.2 19.9 4.4 2.5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BFP, body fat percent; VFA, visceral fat area; SFA, subcutaneous fat area; VSR, VFA/SFA; TT, total testosterone; FT, free tes- tosterone; LH, corpus lutein hormone; SD, standard deviation.

(3)

대상자들의 각 비만지표들(BMI, BFP, VFA, SFA, VSR)과 호르몬 농도(TT, FT, LH)는 Table 1과 같았다. 평균 체질량지수가 25.5±2.6 kg/m2으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25 이상 비만기준에 속하였으며 허 리둘레는 평균 88.9±7.0 cm 으로 정상범위에 속했다.

연령별 남성호르몬 농도 및 비만지표와의 상관성을 보기 위하여 연 령그룹을 35-44세, 45-54세, 55-64세, 65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각각 의 연령그룹에 24명, 55명, 58명, 19명이 해당되었다. 각 연령그룹별 비 만지표들과 호르몬 농도는 Table 2와 같아 연령대별 비만지표들에는

특별한 경향추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남성호르몬(FT)은 연령대 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고(P for trend<0.001) 황체호르몬(LH)은 연령 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 0.001).

2. 연령별 남성호르몬과 비만지표들의 연관성(Table 3)

모든 연령대에서 전반적으로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을수록 대부분 의 비만지표들이 증가하는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VSR은 모든 연령대 에서 호르몬 농도와 특별한 연관성이 없었다.

Table 2. Basic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age groups

Age group 35-44 years

(N= 24) 45-54 years

(N= 55) 55-64 years

(N= 58) 65 over years

(N= 19) P for trend

Age 41.7± 1.9 50.4± 2.6 59.7± 2.8 67.5± 2.7

BMI (kg/m2) 25.2± 2.5 25.8± 2.5 25.8± 2.5 24.1± 2.8 0.192

WC (cm) 87.4± 7.4 89.1± 6.2 90.4± 6.8 85.9± 8.6 0.629

BFP (%) 23.9± 5.0 25.8± 5.0 27.3± 4.5 25.6± 5.7 0.147

VFA (cm2) 132.8± 47.9 150.0± 57.6 161.7± 67.1 136.7± 76.9 0.688

SFA (cm2) 147.7± 53.1 151.5± 46.6 148.0± 53.2 132.8± 63.7 0.332

VSR 0.97± 0.35 1.04± 0.45 1.18± 0.56 0.95± 0.32 0.869

TT (ng/dL) 544.9± 191.5 521.5± 154.6 495.8± 174.9 513.5± 134.8 0.445

FT (pg/mL) 12.7± 3.7 11.3± 3.0 10.0± 3.2 8.8± 3.1 < 0.001

LH (mIU/mL) 3.4± 1.4 4.1± 2.3 4.5± 2.1 6.0± 4.4 0.001

P for trend by ANCOVA.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BFP, body fat percent; VFA, visceral fat area; SFA, subcutaneous fat area; VSR, VFA/SFA; TT, total testosterone; FT, free testoster- one; LH, corpus lutein hormone.

Table 3. Relationship between male hormone and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age groups

Age group 35-44 years 45-54 years 55-64 years 65 over years

TT FT TT FT TT FT TT FT

BMI (kg/m2)

r -0.453* -0.170 -0.418* -0.389* -0.354* -0.429* -0.614* -0.390

P 0.030 0.437 0.002 0.004 0.007 0.001 0.007 0.109

WC (cm)

r -0.605* -0.342 -0.323* -0.331* -0.380* -0.302* -0.615* -0.362

P 0.002 0.110 0.018 0.016 0.004 0.022 0.007 0.139

BFP (%)

r -0.415* -0.172 -0.385* -0.334* -0.187 -0.234 -0.522* -0.383

P 0.049 0.434 0.004 0.015 0.164 0.080 0.026 0.117

VFA (cm2)

r -0.422* -0.088 -0.200 -0.170 -0.259 -0.176 -0.580* -0.315

P 0.045 0.688 0.150 0.224 0.052 0.192 0.012 0.203

SFA (cm2)

r -0.553* -0.429* -0.245 -0.301* -0.261 -0.313* -0.716* -0.426

P 0.006 0.041 0.077 0.029 0.050 0.018 0.001 0.078

VSR

r 0.169 0.344 0.008 0.107 -0.028 0.099 -0.074 0.063

P 0.440 0.108 0.957 0.446 0.836 0.462 0.771 0.804

P values by partial correlation after adjusted for age. r represent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djusted by age (P > 0.05 by Z-test; comparison of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data not shown).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BFP, body fat percent; VFA, visceral fat area; SFA, subcutaneous fat area; VSR, VFA/SFA; TT, total testosterone; FT, free testosterone.

*P < 0.05.

(4)

남성호르몬 별로 살펴보면 TT의 경우 45-64세 사이 VFA와 SFA, 55-64세 그룹의 BFP을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대에서 각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5-44세 그룹과 65세 이상 그룹에서 는 VSR 외에 모든 비만지표들과 TT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FT의 경우는 대부분의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 었다.

비만지표들 별로 살펴보면 BMI와 WC는 모든 연령대에서 TT와 유 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5) 연령그룹별 상관계수 s값에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by Z-test, data not shown). VFA와 SFA는 35-44세, 65세 이상 그룹에서만 TT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그룹 간에 상관계수 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VFA, Z= 0.618, P= 0.537; SFA, Z= 0.805, P= 0.421).

고  찰

최근 중년 남성의 노화에 따른 다양한 임상증상들이 남성갱년기장 애(andropause), androgen deficiency of aging male (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of aging male (PADAM)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 되어지다가 현재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임상적 및 생화학적 증후군으 로서 전형적인 증상 및 남성호르몬 농도의 결핍상태를 후발성성선기 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이라 명명하기에 이르렀 다.7 연령의 증가에 따라 유리남성호르몬(free testosterone)은 1년에 약 1.2%씩 감소하고 알부민과 결합된 남성호르몬은 1년에 1.0% 감소 하며,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은 1년에 1.2% 증가하여 총 남성호르몬이 매년 0.4%씩 감소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총 남성호르몬 농도를 기준으로 진단하면 후 발성성선기능저하증의 발생률은 60세 이상에서 20%, 70세 이상에서 30%, 80세 이상에서는 50%에 이른다고 한다.

남성호르몬의 감소와 연관하여 체지방률의 증가와 복부비만 발생, 근육량의 감소는 잘 알려진 신체 변화이다.8 또한 남성 성선기능저하 증 환자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높 이게 되는데9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낮은 남성호르몬 농도가 남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예측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라고도 보고하고 있다.10,11

본 연구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총 남성호르몬의 농도가 낮을수록 비만지표가 증가하는 음의 연관성을 보여 이는 기존에 부분적인 비만 지표들과 살펴보았던 연구들과 같은 결과로서 기존의 연구를 한번 더 뒷받침하는 결과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살펴 보지 못했던 내장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들과의 연관성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 그 결과 내장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 각각 모두가 전 연령대에서 총 남성호르몬이 증가할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상대적으

로 젊은 연령대(35-44세 그룹)와 고연령대(65세 이상 그룹)에서 관찰 되었다. 연령그룹에 따라 특별한 농도의 경향변화를 보이지 않는 총 남성호르몬의 경우는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 경 우가 많았고,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유리남성호르 몬수치는 비만지표들과의 상관성이 유의한 경우가 총 남성호르몬보 다 적었다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통한 체형변화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 란의 여지가 많으나12-14 최근 고령의(65-78세) 남성에서 6개월간 하루 50 mg의 DHEA를 투여했을 때 내장지방, 피하지방의 감소와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이 호전되었고15 국내에서는 26명의 성선기능저하증으 로 진단받은 남성에게 12개월간 남성호르몬을 투여한 결과 제지방 근육량이 증가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호전된 연구보고가 있어16 향후 젊은 연령이나 고령을 대상으로 하는 남성호르몬 투여가 내장지방면 적 및 피하지방면적에는 어떠한 변화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 해 볼 필요가 있겠다.

비록 본 연구는 일개 병원에서 소수의 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일 회성으로 살펴본 단면 연구로서 대표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 으나 기존의 남성호르몬과 비만지표들 사이의 연구가 허리둘레, 체질 량지수, 체지방률에만 국한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CT검사를 통하여 피하지방면적과 내장지방면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남성호르몬과 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던 점, 그리고 이러한 남성호르몬과 다양한 비 만지표들 사이의 연관성을 연령대 별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던 시도에 는 기존 연구와는 다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추후 보다 대표성 이 있는 대규모의 연구대상자를 통한 추가 분석 및 실제 호르몬의 투 여가 어떠한 비만지표들에 변화를 주는지에 대한 선향적 연구도 진행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배경: 연령이 증가하면서 근육량은 감소하고 체지방량은 증가하는 신체변화를 보이게 된다. 특히 남성의 경우는 이 변화에 남성호르몬 의 감소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비만지 표로 사용되는 측정지표는 매우 다양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로 남성호르몬 농도와 이러한 다양한 비만지표들 간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7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 진센터를 방문하여 신체계측, 체성분검사, 복부비만 CT를 측정하면 서 동시에 남성호르몬 농도를 검사한 사람 중 한국인 남성 15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비만지표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성 분검사를 통한 체지방률, CT로 측정한 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 VFA),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 SFA)을 측정하였고

(5)

내방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의 비율(VFA/SFA, VSR)을 계산하였 다. 연령에 따라 35-44세, 45-54세, 54-64세, 65세 이상 총 네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비만지표들과 총 남성호르몬 및 유리남성호르몬 농도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을수록 비만지표 들이 증가하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VSR은 총 남성호르몬 및 유리남성호르몬 모두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35-44세 그 룹과 65세 이상에서 VSR 외의 모든 비만지표들(체질량지수, 허리둘 레, 체지방률, 내장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이 총 남성호르몬과 통계 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유리남성호르몬 농도와는 모든 비만지표들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그룹별에 따른 상관계수 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전 연령대에서 총 남성호르몬 농도가 낮을수록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 및 고령 에서는 체지방량, 내장지방면적 및 피하지방면적까지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중심단어: 남성호르몬, 비만지표, 연령

References

1. Rudman D, Drinka PJ, Wilson CR, Mattson DE, Scherman F, Cuisinier MC, et al. Relations of endogenous anabolic hormones and physical activity to bone mineral density and lean body mass in elderly men. Clin Endocrinol (Oxf) 1994;40:653-61.

2. Katznelson L, Finkelstein JS, Schoenfeld DA, Rosenthal DI, An- derson EJ, Klibanski A. Increase in bone density and lean body mass during testosterone administration in men with acquired hypogonadism. J Clin Endocrinol Metab 1996;81:4358-65.

3. Muller M, den Tonkelaar I, Thijssen JH, Grobbee DE, van der Schouw YT. Endogenous sex hormones in men aged 40-80 years.

Eur J Endocrinol 2003;149:583-9.

4. Bose K. Age trends in adiposity and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among adult white men resident in Peterborough, East Anglia, England. Coll Anthropol 2002;26:179-86.

5. Kim KY, Kang IS, Kang YG, Kim SL, Sin KK, Kim MJ, et al. The relationship among testosterone, IGF-1 and fat mass. J Korean

Acad Fam Med 2003;24:245-53.

6. Kwon KY, Han JH. Clinical significance of visceral adipose tissue.

J Korean Acad Fam Med 2007;28:739-47.

7. Nieschlag E, Swerdloff R, Behre HM, Gooren LJ, Kaufman JM, Legros JJ, et al. Investigation, treatment, and monitoring of late- onset hypogonadism in males: ISA, ISSAM, and EAU recommen- dations. J Androl 2006;27:135-7.

8. Mudali S, Dobs AS. Effects of testosterone on body composition of the aging male. Mech Ageing Dev 2004;125:297-304.

9. Pasquali R. Obesity and androgens: facts and perspectives. Fertil Steril 2006;85:1319-40.

10. Laaksonen DE, Niskanen L, Punnonen K, Nyyssönen K, Tuo- mainen TP, Salonen R, et al. Sex hormones, inflamma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Eur J Endocrinol 2003;149:601-8.

11. Laaksonen DE, Niskanen L, Punnonen K, Nyyssönen K, Tuo- mainen TP, Valkonen VP, et al. Testosterone and sex hormone- binding globulin predict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abetes in middle-aged men. Diabetes Care 2004;27:1036-41.

12. Anawalt BD, Merriam GR. Neuroendocrine aging in men. An- dropause and somatopause.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01;30:647-69.

13. Dayal M, Sammel MD, Zhao J, Hummel AC, Vandenbourne K, Barnhart KT. Supplementation with DHEA: effect on muscle size, strength, quality of life, and lipids. J Womens Health (Larchmt) 2005;14:391-400.

14. Tchernof A, Labrie F. Dehydroepiandrosterone, obesity and car- diovascular disease risk: a review of human studies. Eur J Endo- crinol 2004;151:1-14.

15. Villareal DT, Holloszy JO. Effect of DHEA on abdominal fat and insulin action in elderly women and men: a randomized con- trolled trial. JAMA 2004;292:2243-8.

16. Hong ES, Kim SY, Choi YJ, Kim SW, Shin CS, Park KS, et al. The effects on visceral fa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testoster- one replacement in secondary hypogonadal men. J Korean Soc Endocrinol 2005;20:252-60.

수치

Table 1. Basic obesity indices of the study population
Table 3. Relationship between male hormone and obesity indices according to age groups

참조

관련 문서

This result, therefore, showed that as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physical activity and do self-directed exercise, it results in

For two-way repeated ANOVA for SFT physical fitness,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eriod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s for the criterion of age, those in their 40s showed high value in task significance (of job characteristic), duty, job security, boss leadership, salary satisfaction,

The degree of stress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no signifiant statistical difference, while the degree of physica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articipants' motivation according to age,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motivation t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roblems of eating habits, but the obesity group considered overeating as a problem while the normal

First,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of visually impair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ir majors, but the level

The results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cultural accessibility according to either vast regional areas or a homogeneous space with core communities show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