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치료"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61

목 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에 대해 가능한 감염 유발 인자와 진단적 가치가 있는 검사법을 규명하고, 각 치료 법에 따른 재발률 및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3월에서 2000년 6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감염으로 치료 받은 환자 18예 중 1년 이상 추시 가 가능했던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부 감염은 환자의 임상 증상, 혈액 검사 소견, 방사선 소견, 핵의학 검사 및 슬관절 천자와 균 배양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운동 범위 및 슬관절 기능 점수인 HSS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score로 분석하였고, 감염의 재발 여부 및 술 후 합병증에 대해 조사 하였다.

결 과 :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의 발생률은 1.4%였으며, 재치환술이 시행된 14예 중 감염이 재발된 1예를 제외한 13예에서 술 전 운동 범위는 평균 55도에서 술 후 평균 86도로, HSS 기능 평가 점수는 술 전 평균 53점에서 술 후 평균 84점으로 증가하였으며,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4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을 얻었다.

결 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감염의 가장 확정적인 진단은 환부에서 동정된 균주의 확인 이며, 백혈구 스캔(WBC scan)과 혈침 속도(ESR), C 반응 단백(CRP) 등의 측정이 도움이 될 수 있었다. 치료는 항생제 함유 골 시멘트를 이용, 2단 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신 상태가 불량하거나 감염의 후유증인 경우 및 피부 괴 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관절 유합술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 슬관절, 심부감염, 슬관절 전치환술

561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치료

조우신∙정용갑∙박종희∙신헌규*∙김기용∙선명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정형외과학교실,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서 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은 수술 환경의 개선과 술기의 발달로 최근에 그 발생 빈도가 과거 5-23%에서 0.5-2%정도로 많이 감소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1.2,10,22,23,26). 감염을 유발하는 원인 인자에는 류마토이드 관절염, 당뇨병, 신부전증, 악성 종 양, 스테로이드 제재의 복용 등으로 인한 면역력의 감소에 관한 전신적인 요인과 이전의 슬관절에 대한 수술 병력, 슬관절부 연 부 조직 손상, 수술부의 창상 감염 등의 국소적 요인이 있다

1,17,25). 대부분의 원인균은 포도상 구균과 연쇄상 구균에 의하며

13,21), 이에 대한 감염의 치료는 정맥 항생제의 투여와 병행한 변

연 절제술 등의 보존적 치료나, 관절 절제 성형술, 재 치환술 및 관절 유합술 등이 있으나, 위의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드 물게 절단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을 대 상으로 가능한 감염 유발 인자와 진단적 가치가 있는 검사법을

규명하고, 각 치료법에 따른 재감염률과 그 임상적 결과를 평가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대상

1992년 3월에서 2000년 6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으로 치료 받은 환자 18예 중 1년 이상 추시(13개월-8 년 2개월)가 가능하였던 환자 1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년이었다. 3예는 전원 되었던 환자였으며, 나머지 14예는 본원에서 전치환술을 시행했던 환자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8세(27-79세)이었고, 이중 20대가 1예, 30대가 2예, 50대가 2예, 60대가 7예, 70대가 5예인 연령 분포를 보였으며, 성 비는 남자 3예, 여자가 14예였다.

2. 진단 및 치료

환자의 임상 증상과 병력 및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소견, 방 사선 소견, 핵의학 검사, 슬관절 천자 및 창상부의 균 배양 검사 561

561 통신저자 : 조 우 신

서울시 송파구 풍납동 388-1 서울중앙병원 정형외과

TEL: 02-2224-3530∙FAX: 02-488-7877 E-mail: wscho@www.amc.seoul.kr

(2)

결과 및 조직 병리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하였다.

최초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의 진단까지는 평균 11개월(2 주-48개월)이었으며, 감염에 대한 1차 치료는 1예에서 슬관절 유합술을, 4예에서 변연 절제술과 배농술을 시행하였고, 12예에 서 재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재치환술을 시행했던 12예 중 1예 는 1단계, 나머지 11예에서는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1 차 치료 후 변연 절제술과 배농술을 시행했던 4예 모두와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했던 1예에서 감염이 치유되지 않아, 이에 대해 2예는 2단계 재치환술을, 3예에서는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Table 1). 2단계로 수술을 시행했던 경우 삽입물 제거 후 재치 환술 혹은 유합술 시행까지의 기간은 평균 8.5주(4-28주)였다.

최초 슬관절 치환술시 사용되었던 기구로 Press Fit Condyle (Johnson & Johnson, U.S.A.)형이 7예, NexGen (Zimmer, U.S.A.)이 3예, Series 3000/7000 (Osteonics, U.S.A.)가 4예, Miller Galante II (Zimmer, U.S.A.)가 2예, Allopro (Protek, U.S.A.)가 1예였으며, 재치환술에는 Series 7000 (Osteonics, U.S.A.)가 8예, NexGen (Zimmer, U.S.A.)이 3예, Press Fit Condyle (Johnson & Johnson, U.S.A.)형이 2예, Miller Galante II (Zimmer, U.S.A.)가 1예 사용되었다.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4예 중 3예는 이전의 슬관절부의 화 농성 관절염이나 골수염으로 인한 치료 후의 유합 상태를 슬관 절 전치환술로 전환한 후 피부 괴사 및 지속적인 농루로 인하여 심부 감염이 재발했던 환자였으며, 1예에서는 전신 상태가 매우 좋지않은 환자였다. 유합술은 Huckstep nail (1예), 나사못(1 예), 일리자로프 외고정 장치(2예)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재치환술 시 골 결손에 대한 치료는 8예에서 동종 골 이식, 1 예에서 자가 골 이식, 3예에서 금속 보강물(Wedge: 1예/

block: 2예)을 이용하였고 전례에서 항생제(Vancomycin)를 함유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유합술시 골 결손에 대한 치료는 동종 골과 자가 골 이식술을 병행하였다.

3. 임상적 평가

발생 빈도와 원인 질병 및 원인 균주, 감염 유발 인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진단 당시의 검사 결과를 분석해 진단에 가장 도 움이 되었던 검사 수기를 평가하였다. 치료 후 재발률과 이에 대한 치료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술 후 임상적 기능 평 가는 관절 운동 및 슬관절 기능 점수(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점수)를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SAS system for Windows (V6.12)를 이용하여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 과

1.원인 질병 및 발병률

1992년 3월에서 2000년 6월까지 본원에서 저자에 의해 시행 했던 1,000예의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중 14예에서 감염이 발생 하여 발병률은 1.4%였다. 대상 환자 17예의 원인 질병으로는 퇴행성 관절염이 10예(58.9%)로 제일 많았고, 류마토이드 관절 염이 3예(17.6%), 외상성 관절염이 1예(5.9%), 예전의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혹은 감염에 대한 치료 후 슬관절이 유합 된 상태가 3예(17.6%)였다(Table 1). 타원에서 전원된 환자 3예는 퇴행성

Case Age Sex Initial Diagnosis Cultured Organism Initial Treatment Final Treatment

1 56 M OA* MRSA Debridement 2 stage revision TKRA

2 63 F O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3 64 F R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4 72 F OA* MRSA 2 stage revision TKRA -

5 58 F R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6 77 F PTOA MRCNS 2 stage revision TKRA -

7 69 F OA* MSCNS 2 stage revision TKRA -

8 66 F O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9 27 F Fused knee MRSA Debridement 2 stage revision TKRA

Arthrodesis

10 65 F OA* MRSA 2 stage revision TKRA -

11 37 F Fused knee MRCNS Debridement Arthrodesis

12 67 F OA* Unidentified 1 stage revision TKRA -

13 78 F OA* MRSA Arthrodesis -

14 71 F RA E.coli** 2 stage revision TKRA -

15 63 F O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16 39 M Fused knee MRSA Debridement Arthrodesis

17 79 M OA* Unidentified 2 stage revision TKRA -

Table 1.Clinical data of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ies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e 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Methicilline Sensitive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Escherchia coli.

(3)

관절염 환자였고, 본원에서 수술 후 심부 감염이 발생했던 환자 의 원인 질환별 발생률은 퇴행성 관절염이 872예 중 7예로 0.8%

에 비해, 류마토이드 관절염이 70예 중 3예로 4.3% (p<0.05), 강 직성 슬관절이 8예 중 3예로 37.5% (p<0.05)의 발병 빈도를 보 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발병 빈도를 보였다.

2. 원인균주 및 감염 유발 인자

슬관절 천자와 수술장 내에서 시행한 균 배양 검사에서는 포 도상 구균이 9예(52.9%;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6예, MRCNS: Methicilline Resis- 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2예, MSCNS:

Methicilline Sensitive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1예)로 가장 많았고, 대장균이 1예(5.9%)였으며, 균 배양 검사 상 검출이 되지 않은 경우가 7예(41.2%)였다(Table 1). 환자 의 병력 분석에서 슬관절에 대해 이전에 수술 받았던 예가 4예, 슬관절 및 주변 골의 감염력이 있었던 예가 3예, 당뇨병 환자가 4예, 류마토이드 관절염이 3예, 스테로이드 복용 중이었던 환자 가 3예였으며, 슬관절 전치환술 후 동반된 감염 소견은 요로 감 염이 3예, 호흡기 감염이 1예였고, 수술 후 창상 감염이 2예에서

E

C D

A B

Fig. 1. A: A-P and lateral plain radiographs of 64 years old female patient reveal an advanced osteoarthritis of right knee joint. B:

Primary TKRA was performed. C: Periprosthetic bony resorption was seen in the 5-year postop radiographs. D: After implants removal, antibiotic-cement block was inserted. E: 2-stage revi- sion TKRA was performed.

(4)

발생하였다.

3.진단

진단을 위해 균 배양 검사 외에 혈액학적 검사, 방사선 검사, 핵의학 검사 등을 시행하였으며, 혈액학적 검사 중 혈침 속도는 16예(94.1%)에서 30 이상으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며 C 반응 단백은 전례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관절 천자에서는 균 배 양 검사 외에 백혈구 수가 12예(70.6%)에서 25,000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이중 7예는 50,000 이상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8예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상 골 흡수 소견이 관찰되었는데, 이중 4예는 수술 후 6개월 내에 관찰되었으며, 2 예에서는 수술 후 1년경에, 2예에서는 수술 후 3년경에 골 흡수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1). 백혈구 스캔은 9예에서 시행되어 전례에서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골주사 검사(bone scan) 가 무균성 해리 소견과 감염의 감별이 힘든 점에 비해 감염과 단순 해리를 감별할 수 있어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모두 좋은 결 과를 보였다.

4.임상적 결과

1차 치료로 1예에서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으며 4예에서 변연 절제술과 배농술을, 12예에서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합 병증으로 변연 절제술을 시행했던 4예와 재치환술을 시행했던 1 예에서 감염의 재발 소견을 보여, 변연 절제술을 시행했던 4예 중 2예는 2단계 재치환술을, 나머지 2예와 재치환술 후 재발 된 1예(재치환술 후 8개월)에서는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재 치환술이 시행된 14예(Fig. 1)중 감염이 재발된 1예를 제외한 13예에서 수술 전 운동 범위는 평균 55도(10-65도)에서 술 후 평균 86도(82-90도)로 증가하였고, HSS 기능 평가 점수는 술 전 평균 53점에서 술 후 84점으로 증가하였다. 슬관절 유합술이 시행된 4예 중 3예는 감염 후유증으로 인한 강직성 슬관절이었 으며, 전례에서 평균 5.3개월 만에 유합 소견을 보였다.

고 찰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하는 슬관절의 심부 감염은 과거 5- 23%까지 높게 보고되던 발생률이 최근 수술환경의 개선과 술 기의 발달로 여러 저자들에1,2,9,10,19,25,26)의해 0.5-2%까지 감소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술 후 발생하는 심부 감염의 원인 으로는, 미숙한 술기나 이로 인한 반복되는 수술, 무균 시설의 미비 및 부적절한 수술 후 관리 등으로 인한 의료자 측면과, 환 자의 면역 상태, 기존의 선행 질환이나 타 부위의 감염 소견, 환 부의 연부 조직 상태 등 환자의 내재적 원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6,14,19). 감염의 유발 인자로 밝혀져 있는 것들은 류마토이드

관절염, 피부결손 및 누공 형성, 이전 슬관절 수술 병력, 비만, 동반 요로 감염, 스테로이드 제재의 복용, 신부전증, 당뇨병, 악 성 종양 질환, 건선 등의 인자들이 있다14,21,25). 본 연구에서도 슬관절에 대해 이전에 수술 받았던 예가 4예, 슬관절의 감염력 이 있었던 예가 3예, 4예의 당뇨병과, 2예의 류마토이드 관절염, 1예의 만성 신부전증, 1예의 쿠싱 증후군 등이 있었으며, 3예의 환자에서는 천식, 류마토이드 관절염, 신부전으로 스테로이드 및 기타 면역 억제제를 복용 중이던 환자였다. 환자의 병력 분 석 상 상기 병력에서의 발생 빈도가 높아 감염 유발 인자로 작 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진단은 환자의 임상 증상, 방사선, 핵의학 소견, 혈액학적 검사와 관절 천자술 및 농루에서 얻은 균 배양 검사 등이 이용된다.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환 자의 임상 증상은 부종과 홍진, 환부의 열감 등이 지속되며 증 가하는 슬관절부 동통 및 농루 등이 있으며, 혈액 검사상 진단 당시 혈침 속도가 30 mm/hr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가 60% 정 도에서 나타난다5,8,18). 이 외에 C 반응 단백도 감염의 진단 및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 예에서 정상치인 0.6 이상으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감염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단순 방사선 검사의 경우 삽입물 주변의 해리 소견이 감염의 만성도를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보고되기도 하지만, 많은 예에서 무균성 해리 소견이 관찰 되며, 실제 감염 환자에서도 초기에는 해리 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보다 정확한 감염의 진단을 위해서는 핵의학 검사 등이 필요하다. 삽입물의 무균성 해리 소견과 심부 감염을 감별하기 위한 핵의학 검사로 백혈구 스캔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 검사는 80-90%의 비교적 높은 감수성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시행되었던 전례에서 양성 소견을 보여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실제 가장 진단적 가치가 높은 슬관절 천자를 통한 균 배양 검 사는 정맥 항생제의 사용으로 65-70%에서만 균종이 동정 된다

고 하며8,13,21), 본 연구에서는 56%에서만 균이 동정 되었다. 하

지만 관절액 중 25,000 cell/mm3 이상으로 증가된 백혈구 수치 는 75%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며 심부 감염을 시사하는 소견이 라 할 수 있다5,19,21).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의 치료는 항생제 치료 와 병행하여 변연 절제술 및 배농술 등 인공 삽입물을 남겨두는 보전적 요법과 관절 절제 성형술, 관절 유합술, 재치환술 등 삽 입물을 제거하는 수술 및 절단술 등의 수술적 요법이 있다. 이 중 수술 후 관절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고 감염의 치료를 병행 할 수 있는 재치환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19,24).

정맥 항생제를 이용한 보전적 치료는 전신 상태가 수술을 견 디기 힘든 경우, 삽입물의 견고한 고정으로 제거가 힘든 경우, 균의 독성이 약하고 감수성이 좋은 항생제가 있는 경우 등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될 수 있고, 여러 저자들11,13,17,18)은 27%의 치료 율을 보고 했으며, 이후 여생동안 지속적인 경구 항생제의 복용

(5)

이 필요하거나, 내성균에 의한 재감염의 위험을 감수 해야 한다 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관절부의 변연 절제술 역시 삽입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 고, 독성이 약한 균종에 의한 급성 혈행성 감염에 의한 경우에 만 제한적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23%의 낮은 치료율이 보고되

었다19,20). 술 후 4-6주의 정맥 항생제 사용이 병행되며 수술 시

폴리에틸렌 삽입물의 일시적 제거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슬관 절 후방부로의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예에 서 1차 치료로 삽입물을 제거하지 않고 변연절제술과 배농술을 이용하여 보전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모두 감염이 치료되지 않아 권장할만한 방법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Falaheee 등7)에 의한 관절 절제 성형술은 삽입물과 골 시멘 트, 감염된 활액막의 제거 후, 골단부를 일시적으로 핀이나 봉합 사를 이용해 고정 후 안정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 6개월간 석고 고정을 시행하는 것으로 83%의 높은 치료율을 보이나, 수술 후 슬관절의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치료 방법 이라 볼 수 없다. 이 치료법은 다발성 류마토이드 관절염으로 보행이 제한된 고령의 환자에서 유합술에 비해 어느 정도의 관 절 운동을 허용한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슬관절 유합술은 술 후 운동 범위의 소실과 단축 등의 단점이 있으나, 동통의 해소와 안정된 하지를 얻을 수 있으며 감염의 치료율도 높다. 이 치료법은 술 후 왕성한 활동을 요망하는 젊 은 연령층과 단일 관절, 신전근 약화, 감염균의 높은 독성과 내 성을 보이는 경우에서 선호되나, 건측의 하지 관절에 문제가 있 을 경우에는 시행할 수 없다15,27). 관절의 고정을 위해서는 외고 정 장치, 나사못이나 골수강 내 정을 이용한 방법이 있으며, Broderson 등4) 및 Puranen과 Kortelainen15)은 71-81%의 유 합률을 보고하였다. 유합률은 남겨진 골단의 활성도 및 표면적, 감염의 잔존 여부에 따라 다양하고 구속형 삽입물(hinged implants)을 사용했던 경우에서는 50-56%의 상대적으로 낮은 유합률을 보고 하였다. 고정 기구에 따라서도 다른 유합률을 보 고하였는데 여러저자들15,17,18)은 외고정 장치를 이용해 얻은 71%의 유합률에 비해 골수강 내고정을 시행한 경우 91%의 높 은 유합술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예에서 유합술을 시행 하였는데, 3예는 예전의 슬관절부의 화농성 관절염이나 골수염 으로 인한 관절 강직 상태를 슬관절 전치환술로 전환한 후 피부 괴사 및 지속되는 농루로 심부 감염이 발생했던 경우였으며, 1 예에서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후 전신 상태가 심하게 저하되어, 보다 확실한 감염증의 치료가 필요했 던 환자였다. 유합술은 Huckstep nail (1예), 나사못(1예), 일 리자로프 외고정 장치(2예)를 이용하여 시행하여, 전례에서 유 합 되었으며, 1예는 일리자로프 고정 후 하지 부동에 대해 절골 술과 연장술을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재치환술에는 인공 관절의 제거와 동시에 재치환술을 시행하 는 1단계 재치환술과 인공 관절 제거 후 일정 기간의 정맥 항생 제 치료와 항생제 함유 골 시멘트 삽입 후 재치환술을 시행하는

2단계 재치환술이 있다22). 1단계 재치환술은 균 독성이 약한 경 우, 급성 감염에서 염증 소견이 심하지 않은 경우, 1차 변연 절 제술 시에 염증 조직을 거의 완벽히 제거 가능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 항생제 함유 골시멘트를 이용해 수술 후 감염의 재발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1단계로 재치환술 을 시행한 환자는 관절 천자술에서 균이 동정 되지 않았으나, 백혈구 수치가 증가되어 있었고, 방사선 소견상 경골부의 해리 소견과 백혈구 스캔에서 감염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장 소견상 염증 소견이 심하지 않았던 경우이다.

2단계 재치환술은 1차로 감염된 삽입물과 연부 조직의 제거 후 슬관절 내를 항생제 함유 골시멘트로 블록이나 염주형의 충 전물을 삽입한 후 일정 기간(4-6주)정맥 항생제를 투여하여 항 균 요법을 전신과 국소적으로 모두 사용하여 그 치료 효과를 높 이고 항균제의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 시켜, 최근에는 95% 이상의 높은 감염 치료율을 보고하고 있는 치료법이다

3,12,16,24,26). 이 방법은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와 기구 재삽입까지

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입원 기간의 장기화, 관절의 구축 및 하지의 단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항생제 골시멘트를 Articulating spacer로 만들어 사용하면 조기에 체중부하 및 관 절 운동을 시작할 수 있어, 그 임상적 기능 호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7). 본 연구에서는 13예에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에서 염주형 골시멘트를, 11예에 서 시멘트 블록을 이용하였다.

재치환술을 시행했던 14예 중 수술 후 합병증은, 2단계 재치 환술을 시행했던 13예 중 1예에서 감염의 재발이 발생하였으며, 나머지 13예에서는 재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심부 감염의 진단은 균의 동정 및 백혈구 스캔이 많은 도움이 되었고 치료는 삽입물을 제거하지 않는 변 연 절제술 등의 보존적 요법은 재발률이 높아 권장되지 않은 반 면에, 2단계 재치환술은 술 후 슬관절 기능의 보전이나 감염의 치료율 면에서 모두 좋은 결과를 보여 권장할만한 치료라 생각 된다. 그러나, 초기 진단이 감염에 의한 강직성 슬관절인 경우 나, 동정 균주가 내독성이 강한 경우, 피부 괴사가 심한 경우, 감염의 치료가 지연되었던 경우 등에는 관절 유합술도 우선적으 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1. Bae DK, Yim CM and Yang HS:Treatment of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J of Korean Orthop Assoc, 34: 501-508, 1999.

2. Bengtson S and Knutson K:The Infected knee arthroplasty. A 6-year

(6)

follow up of 357 cases. Acta Orthop Scand, 62: 301-311, 1991.

3. Borden LS and Gearen PF: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J Arthro- plasty, 2: 27-36, 1987.

4. Bordersen MP, Fitzgerald RH, Peterson LFA, Coventry MB and Bryan RS: Arthrodesis of the knee following failed total knee arthroplas- ty. J Bone Joint Surg, 61-A: 181-185, 1979.

5. Cuckler JM, Star AM, Alavi A and Noto RB:Diagnosis and man- agement of the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Orthop Clin N Am, 22:

523-530, 1991.

6. England SP, Stern SH, Insall JN, et al: Total knee arthroplasty in dia- betes melitus. Clin Orthop, 260: 130-134, 1990.

7. Falahee MH, Matthews LS and Kaufer H:Resection arthroplsty as a salvage procedure for a knee with infection after a total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72-A: 220-224, 1987.

8. Gregory PD, Paul FL and Kelly SS:Aspiration of the knee joint before revision arthroplasty. Clin Orthop, 331: 132-139, 1996.

9. Grogan TJ, Dorey F, Rollins J and Amstutz H:Deep sepsis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en-year experienc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is Medical Center. J Bone Joint Surg, 68-A: 226-234, 1986.

10. Lee DY, Shim JI, Kim TS, et al:Two-stage re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J of Korean Orthop Assoc, 34: 319-325, 1999.

11. Marsh PK and Colter JM:Management of an anaerobic infection in a prosthetic knee with long term antibiotics alone: A case report. Clin Orthop, 173: 1320-1322, 1983.

12. Marks KE, Nelson CL and Lautenschlager EP:Antibiotic-impreg- nated acrylic bone cement. J Bone Joint Surg, 58-A: 358-364, 1976.

13. Nelson JP, Fitzgerald RH Jr, Jaspers MT, et al:Prophylactic antimi- crobial coverage in arthroplasty patient[editorial] J Bone Joint Surg, 72-A:

1, 1990.

14. Poss R, Thornhill TS and Edward F:Factors influencing and out- come of infection following total joint arthropasty. Clin Orthop, 182: 117- 125, 1984.

15. Puranen J and Kortelainen P:Arthrodesis of the knee with intramed-

ullary nail fixation. J Bone Joint Surg, 72-A: 433-442, 1990.

16. Rand JA and Bryan RS:Reimplantation for the salvage of an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65-A: 1081-1086, 1983.

17. Rand JA, Bryan RS, Morrey BF, et al:Management of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Clin Orthop, 205: 75- 85, 1986.

18. Rand JA and Fitzgerald RH: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infect- ed total knee arthroplasty. J Bone Joint Surg, 20-A: 201-210, 1989.

19. Russell E, Windsor RE and Bono JV: Infected Total Knee Replace- ment. J Am Acad Orthop Surg, 2: 44 -53, 1994.

20. Schoifet SD and Morrey BF:Treatment of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by debridement with retention of the component. J Bone Joint Surg, 72-A: 1383-1390, 1990.

21. Schurman DJ, Johnson BL Jr and Amstutz HC: Knee joint infec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and Micrococcus species: Influence of antibi- otics, metal debris, bacteremia, blood, and steroids in a rabbit model. J Bone Joint Surg, 57-A: 40-49, 1975.

22. Scott IR, Stockey I and Getty CJM:Exchange arthroplasty for infect- ed knee replacement. J Bone Joint Surg, 75-B: 28-31, 1993.

23. Segawa H, Tsukayama DT, Kyle RF, Becker DA and Gustilo RB: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treat- ment of eighty one infections. J Bone Joint Surg, 81-A: 1434-1445, 1999.

24. Whiteside LA:Treatment of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y. Clin Orthop, 299: 169-172, 1994.

25. Wilson MG, Kelley K and Thornhill TS:Infection as a complication of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Risk factors and treatment in sixty seen cases. J Bone Joint Surg, 72-A: 878-883, 1990.

26. Windsor RE, Insall JN, Urs WK, et al: Two-stage reimplantation for the salvage of total knee arthroplasty complicated by infection: Further fol- low-up and refinement of indications. J Bone Joint Surg, 72-A: 272-278, 1990.

27. Woods GW, Lionberger DR and Tullos HS: Failed total knee arthro- plasty: Revision and arthrodesis for infection and noninfectious complica- tions. Clin Orthop, 173: 184-190, 1983.

(7)

Purpose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to determine the most useful test for the early diagnosis of infected TKRA, and to present the treatment modality and its possibl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7 cases, with follow up, among the 18 infected TKRA cases registered from March 1992 to June 2000. Diagnosis of deep infection after TKRA was made by assessing clinical symptoms, laboratory and radiological findings, nuclear scan studies and aspirate culture results. Data were analyzed clinically by HSS score, recurrence of infec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 The overall incidence of deep infection after TKRA was 1.4%. In fourteen of the 17 cases TKRA was revised. In 13 cases, excluding 1 case of infection recurrence after 2-stage TKRA revision, the mean ROM increased from 55oto 86oand the mean HSS score increased from 53 points to 84. Knee fusion was performed in 4 cases, including one case of infection recurrence after 2-stage TKRA revision.

Conclusion :The most reliable clinical results were achieved after a 2-stage TKRA revision. Knee joint fu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general condition is poor,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infection, and in the presence of skin problems.

Key Words : Knee joint, Infection, TKRA

Treatment of Infected TKRA

Woo-Sin Cho, M.D., Yong-Gab Jeong, M.D., Jong-Hi Park, M.D., Heon-Kyu Shin, M.D.*, Ki-Yong Kim, M.D., and Myung-Wook Se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Seo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ang Buk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Abstract

Address reprint requests to Woo-Sin Cho,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388-1, Pungnap-dong, Songpa-gu, Seoul 138-736, Korea

Tel : +82.2-2224-3530, Fax : +82.2-488-7877 E-mail: wscho@www.amc.seoul.kr

(8)

1. 경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2002년도 Fellow모집

저희 과에서는 대부분의 수술이 지도교수감독하에 전임의 선생님에 의해 집도 되며 매년 5-10편의 논문을 JBJS, CORR을 비롯한 해외학술지에 발표하고 있습니다.

�모집인원: ○명

�세부전문분야

-슬관절 조세현 교수: 경골 절골술, 인공관절술 -소아 송해룡 교수: 소아질환 및 기형

-고관절 구경회 교수: 수기오까절골술, 비구회전절골술, 인공관절재치환술

�연 락 처: 조세현-shcho@nongae.gsnu.ac.kr, 055-750-8100 송해룡-songhae@nongae.gsnu.ac.kr, 055-750-8102 구경회-khkoo@nongae.gsnu.ac.kr, 019-286-8592

2. 동아대병원 정형외과학교실에서 Fellow를 모집

�전 공: knee, spine, arthroscopy

�제출서류: 이력서

�모집인원: 2명

�문 의 처: Tel: 051-244-2431, Fax: 051-244-2431 E-mail: lekym@hanmail.net

3.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형외과 Fellow 모집

�모집분야: 인공관절

�담당교수: 김성곤

�모집인원: 1명

4. 경희대학교 정형외과 2002년도 전임의 모집 1) 모집분야: 고관절, 견주관절

2) 모집인원: 고관절-2명, 견주관절-1명

3) 담당교수: 고관절-유명철 교수, 조윤제 교수, 견주관절-이용걸 교수 4) 연 락 처: 경희대학병원 정형외과의국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

Tel: (02)958-8346, 8355 (의국), 958-8364 (유명철 교수), 958-8370 (이용걸 교수) Fax: (02)964-3865 (의국)

5. 서울중앙병원 2002년 Fellowship에 참여할 전임의를 공모합니다.

1) 모집부분

-Spine 김영태/이춘성 -Knee 조우신/빈성일

-Shoulder 전재명 -Hand 윤준오

-Research & Metabolic Disease 장재석 -Hip 이수호

-Trauma 김정재

Fellow 모집 공고

수치

Table 1. Clinical data of infected total knee arthroplasties
Fig. 1. A: A-P and lateral plain radiographs of 64 years old female patient reveal an advanced osteoarthritis of right knee joint

참조

관련 문서

 보수적인 회계처리는 사업 초기에 낮은 초과이익 을 기록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높은 초과이익을 보고.  반대로 공격적인 회계처리는 사업 초기에 높은

difficile 감염의 진단과 치료 up-to-date.

[r]

[r]

[r]

Dism /Capture-Image /ImageFile:C:\system-partition.wim /CaptureDir:D:\ /Name:&#34;system partition&#34;. Dism /Apply-Image /ImageFile:C:\system-partition.wim

제10조(사고대처 및 보고) ① 안전관리책임자는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신속히 사고수습 및 안전조치를 실시하고, 담당부서에 상황을 통보하여야 한다.. ②

• 병원체가 충분히 증식하여 숙주를 탈출하는 상태로 이행되고, 숙주 내에서 발견되는 상태... 호흡기계 감염병 세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