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감염의 정의 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감염의 정의 2."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감염의 정의

2. 감염기간

3. 감염과정과 6요소

4. 병원체

5. 병원체와 숙주의 상호작용

6. 발병과 관련되는 병원체의 특성

(2)

1. Definition of infection

2. Life cycle of infection

3. Chain of infection & 6 elements s of processing

4. Pathogen

5. Host–pathogen interaction

6. Pathogen characteristics related to outbreak

(3)

감염

• 병원체가 숙주(생물체)에 침입하여 발육 또는 증식

감염병

• 감염 결과 숙주가 병적인 이상 현상을 보이는 질병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1항에서 열거 규정하고 있는 질병

• 제1군감염병, 제2군감염병, 제3군감염병, 제4군감염병, 제5군감염병, 지정감염병, 세계보건 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

감염기간

• 병원체가 침입하여 감염이 종결되는 기간.

• 병원체가 숙주 내에서 생애주기(life cycle)를 보임.

(4)

잠재기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한 시점에서 탈출을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은익기이라고도 함.

전염기

• 병원체가 숙주로부터 탈출하는 시점에서 더 이상 탈출하 지 않는 시점까지의 기간. 전염병 관리상 아주 중요한 기간 잠복기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한 시점에서 그 병원체가 유발 한 질병의 임상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

이환기

• 병원체가 유발한 질병의 임상증상이 발현되는 기간 세대기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가장 많이 탈출할 때까지

(5)

감염 시점

잠재기 전염기 비전염기

감수성시기

감염 시점

잠복기 이환기(증상발현기) 비전염기

 질병의 관점

 전염의 관점

(6)

잠재감염

• 병원체가 증식을 중단하고 숙주와 평형을 이루어 임상증상을 발현 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상태

개방감염

• 병원체가 충분히 증식하여 숙주를 탈출하는 상태로 이행되고, 숙주

내에서 발견되는 상태

(7)

호흡기계 감염병 세대기 소화기계 감염병 세대기

(8)

감염과정 감염과정의 6 요소

1.

병원체

2.

병원소

3.

탈출

4.

전파

5.

침입

6.

숙주

.

감염의 결과

1.

성공

2.

실패

3.

종결

(9)

병원체의 종류 비세포성

병원체 프라이온, 바이러스

세포성 병원체

원핵세포 세균, 리켓치아, 클라미디아

진핵세포

단세포 원충(편모류, 위족 류, 포자류)

단세포다세포 균류

다세포 기생충(편형동물, 선형동물)

(10)

 프라이온(Prion)

구조: 4차구조 단백질

감염성 인자: 광우병, 크로이츠펠트 야콥병(CJD), 인간광우병 병원체

바이러스처럼 숙주세포 내에서 자기복제

변형 프라이온 자발적 생성

정상 프라이온 변이체가 변형 프라이온으로 변환

․ 변형 프라이온의 감염

체내에서 형성된 정상 프라이온

정상 프라이온과 변형 프라이온 상호반응

정상 프라이온이 변형 프라이온으로 변환

변형 프라이온 축적

(11)

 바이러스(Virus)

구조: 단백질 껍질(capsid)로 둘러싸인 핵산 코아(DNA 또는 RAN core)

숙주 특이성 , 숙주세포 밖에서는 생존 불가

숙주세포의 기구를 이용하여 복제능력을 갖음

숙주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붕괴시키고 질병을 유발하는 감염 인자

코아(Core: RNA)

단백질체(capsid, capsomer)

(12)

 바이로이드(Viroid)

구조: 한 가닥의 환상 RNA

상보적 염기(complementary base) 간에 짝을 이룸

염기가 짝을 이루지 않은 곳에서 루프(loop) 구조를 이룸

알려진 병원체 중 가장 작음

10여 종의 바이로이드는 식물체에 한정하여 식물 질병을 일으킴

loop complementary base

(13)

 박테리오파아지(Bacteriophage)

구조: 핵산을 포함하는 머리, 단백질로 구성된 꼬리와 숙주세포에 부착하 는 꼬리섬유, 숙주세포 친입 시 고정핀 작용을 하는 기저판

박테리아(세균)에만 감염하는 바이러스이다.

박테리아(세균) 세포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꼬리섬유가 특이함

식물과 동물세포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보다 체제가 더 복잡함

기저판 유전물질

꼬리섬유

머리

단백질코트 꼬리

(14)

 원핵세포(Prokaryotic cell)

2중막으로 둘러싸인 뚜렷한 핵이 없는 세포

유전물질 DNA가 환상이며 세포질에 퍼져 있음

단백질 합성기구인 리보솜(70s)이 있음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당단백질

안전하게 자기복제자를 보호하고,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 비축하는 원핵 세포성 생명체로 진화(세균류, 남조류)

(15)

세균의 형태

.

편모균의 종류와 운동 .

임질균 표면에 고르게 퍼져있는 유전물질 교환을 위해 형성된

(16)

 리켓치아 (Rickettsia)

세균보다 작은 감염인자(세균 퇴화종)

진핵생물의 내부에서 세균이 기생생활에 특화되면서 자기고유정보 이외 에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을 차츰 잃어가고 있음

Rickettsia rickettsii 내피세포의 식세 포작용에 의해 세 포 내로 침입

Rickettsia rickettsii

세포 막으로 둘러싸인 식세

포(phagosome) 형성 악틴꼬리를 이용하여 식 세포에서 탈출

악틴꼬리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탈출

Rickettsia rickettsii 세포감염 Rickettsia 세포탈출

C B A

A. 용균(lysis) 작용으로 탈출(R. prowazekii)

B. 출아(budding)로 탈출

(R. tsutsugamushi)

C. 용균(lysis) 작용 시 악 틴꼬리를 이용하여 탈 (R. rickettsii)

(17)

참진드기 매개

리켓치아성 질병의 감염경로

1

머릿니 매개

리켓치아성 질병의 감염경로

1

자연계에는 리켓치아를 보유하고 있는 절지동물과 척추동물이 많고 이들로 부터 리켓치아를 전파하는 매개충(vector) 존재

진드기가 매개할 경우 리켓치아는 진드기 난소에서 증식, 알에서 부화하는 다음 세대에 자동으로 전파(진드기는 병원소와 매개충으로 동시에 작용)

리켓치아성 질병유행은 산발적 양상을 보임. 왜냐하면 숙주가 매개충과 우

(18)

 클라니디아(Chlamydia)

리켓치아와 동일하게 세균과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

에너지 생성 대사기구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살아 야하는 편성세포내기생체

많은 항생물질이 증식을 억제한다. 클라미디아 감염은 강한 면역을 형성 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감염, 재발감염, 재감염이 일어난다.

앵무새병: 클라메디아성 감염병. 조류, 가금류의 깃털이 부풀고 기운이 없으며, 녹색 빛깔의 설사도 한다.

(19)

편모류

1개 또는 그 이상의 편모로 운동

환경이 좋을 때는 2분법으로 무성생식

환경이 나쁠 때는 포자를 형성, 휴면상태

포식성(세균, 원생생물 포식), 흡수성(체표면 을 통한 영양분 흡수), 기생생활

위족류(아메바)

일정한 몸의 형태가 없고, 위족을 내어 운동

영양형과 포낭형 2가지 생활사

식세포 작용: 1~2개 위족으로 먹이를 싸서 세포 속으로 넣어 양분 섭취

이질아메바(적리아메바): 대장 벽에 기생하 여 궤양 형성

자이알디아(Giardia): 동물 의 배설물에 의해 오염된 물에 감염되는데, 십이지장 점막에 붙어 기생하며 점액 성 설사를 일으킨다.

영양체는 1∼2개의 위족을 내어 운동하며, 세균 외에 적혈구 도 잡아먹는다. 포낭은 투명한 피막을 분비하여 낭포가 되어 변과 함께 배설된다.

파동편모충(Trypanosome):

분열에 의한 증식

(20)

포자류

기생생활: 운동기관, 수축포, 식포 등은 퇴화

생활사 중 일정 기간에 편모나 위족을 형성

생활사의 한 단계에서 감염성이 있는 저항 성 포자를 만들어 다음 단계의 숙주를 감염

저항성 포자는 생활사 중에서 일부가 숙주 에 남고, 나머지 일부는 다음 단계의 숙주를 감염시킴(말라리아 원충, Plasmodium)

말라리아 원충의 생활사

말라리아원충(Plasmodium): 중간숙주로 사람에 기생하 고, 최종숙주로 모기에 기생하여 생활사를 완성한다.

.

(21)

진균

기생생활

무성생식과 유생생식(환경조건이 분리하면 포자 형성)

진균 대사에서 분비하는 mycotoxin은 사람 에게 유해한 물질로 작용

불완전균류에는 인체 병원성 진균류가 포함

진균의 육안적 분류

효모형 진균(yeast like fungi)

사상형 진균(mold like funge)

구형, 난형 등의 단세포

출아에 의하여 증식

숙주 상태에 따라서 중 대한 병원미생물이 됨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진 균류가 병원성을 발현해 서 칸디다증(candidiasis) 등을 일으킴

집락외각 둘레는 섬모상

균사체로 구성

피부진균 등이 속함

포자형성 종류

유성포자 조균류(Phycomycetes) 담자균류(Basidiomycetes) 자낭균류(Ascomycetes)

무성포자 불완전균류(Fungi imperfecti)

(22)

기생충

숙주에 기생하는 기생동물

인체에 기생하며, 병원성 기생충들은 대부 분 편형동물과 선형동물에 속한다.

편형동물과 선형동물

22

편형동물

조충(촌충, tapeworm) 간흡충

선형동물

회충(roundworm) 편충(whipworm)

분류 종류

편형동물 조충류 무구조충(민촌충), 유구조 충(갈고리촌충), 광두열두 조충(긴촌충), 왜소조충 등 흡충류 (디스토마) 간흡충(간디스토마) 폐흡

충폐(폐디스토마) 등 선형동물 회충, 요충, 십이지장층, 편충, 아나사키

스(고래회충), 선모충,

말레이사상충, 반크로프티사상충, 개심장 사상충 등

(23)

병원체와 숙주와의 상호관계 상리공생(Mutualism)

두 종의 생물이 함께 이익을 얻는 경우

공생은 넓은 의미에서 상리공생의 한 형태

병원체의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는 기생자 이다.

병원체와 숙주와의 상호작용에서 질병 발생

병원체는 숙주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이 목적이 아 니고, 그들이 생존하고 자손을 번식시킬 서식처를 마련하는 것

편성기생체

숙주를 떠나서는 살 수 없는 기생체

생애 또는 어느 기간에 기생생활을 반드시 영위하는 기생체

세포기생체

말라리아원충처럼 체세포 안에 사는 기생체 편성세포내기생체

클라미디아는 에너지 생성기구가 없어 숙주 세포 내에서 분열 증식

바이러스는 에너지 생성과 단백질 합성 기구가 없 어 숙주 세포내에서 증식

편리공생 (Commensalism)

한쪽만이 이익을 얻는 경우

기생은 넓은 의미에서 편리공생의 한 형태

(24)

감염량

• 감염이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침입한 병원체의 종류 에 따른 병원체의 양

감염력

• 병원체가 숙주에 침입하여 알맞은 기관 조직에 자리 잡고 증식 하는 능력

발병력

• 병원체가 감염된 숙주에 대하여 현성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

독력

• 병원체가 숙주에 대하여 위중한 상태의 질병을 일으키 게 하는 능력의 정도

특이성

• 한 가지 병원체가 반드시 한 가지 질병만 일으키는 성질

감수성

• 병원체가 화학제 또는 항생제 치료약에 보이는 낮은 내성

항원성

• 병원체의 화학적 구성과 분자 배열에 따라 결정되는 본질적 특성

외계에서 생존능력

• 병원체가 병원소, 숙주를 탈출하여 감수성 숙주에 침입하기 전까지 병원체 개체군 생존을 위한 주요 제한요인

병원체 돌연변이

• 병원체와 숙주의 상호작용에서 적응 생존하기 위해 형 성되는 병원체의 돌연변이

(25)

 감염력 · 발병력 · 독력

상대적 강도 감염력 발병력 독력

높다

두 창 공 수 병

홍 역 공 수 병 두 창

수 두 홍 역 결 핵

폴리오 수 두 나 병

감 기

중간

풍 진 풍 진 폴리오

유행성이하선염 유행성이하선염 감 기

낮다 결 핵 폴리오 홍 역

결 핵

아주 낮다

나 병 나 병 풍 진

수 두

(26)

 면역력

면역력은 항원력 또는 역가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병원체가 숙주의 체내 에 감염되어 면역을 생산하는 능력이다. 면역력은 병원체의 숙주 내 감염 부위, 침입한 병원체의 양에 따라 차이가 있다.

유행성감기(Influenza): 감염 후 면역력이 아주 낮은 질병이다. 유행성감 기는 감염부위가 기관지의 상피세포 조직에 국한하기 때문이다.

홍역: 감염 후 면역력이 아주 높은 병이다. 즉, 효과적인 면역이 생산되어 오래 지속된다. 홍역은 일단 감염되면 혈류(액)을 따라 숙주의 몸 전체 감 염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참조

관련 문서

다 특이자 발생 시 감염병 관리자는 특이자의 증상 여부를 매일 추적 확인하... 나 발생규모 이동 경로에 따라 해당

- 위기징후 감시 결과는 필요시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를 통해 공유⋅전파하거나 필요시 홈페이지 및 국민재난안전포털 등을 통해 국민에게 알림.

* 다만, 시민단체·법인·개인 등이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전일제 수업의 형태 또는 기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의 경우, 학원 방역수칙을 적용함.2.

- 위양성: 급성 폐렴, 감염, 백신 투여 및 바이러스 발진 질환 등. - 만성 위양성: 말라리아, 만성 감염, 나병, 약물중독, 교원

 감염병 취약계층 및 지역에 대한 예방 및 관리 강화.. 배경 및 필요성

지정 전염병 : 제1군 내지 제4군 전염병 외에 유행여부의 조사를 위하여 감 시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장관이

감염병 관련 기사를 작성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한 뒤 작성하도록 하고 , 과도한 보도 경쟁으로 피해자들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한다..

감염병 관련 기사를 작성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자문을 구한 뒤 작성하도록 하고 , 과도한 보도 경쟁으로 피해자들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