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ffect of Growth Hormone Therapy on H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ffect of Growth Hormone Therapy on H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DOI 10.17480/psk.2016.60.4.211

소아의 키 성장에 대한 성장호르몬의 치료효과

정은진* · 천부순#

인제대학교 약학대학,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약제부*

(Received July 20, 2016; Revised August 26, 2016; Accepted August 30, 2016)

Effect of Growth Hormone Therapy on H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njin Cheong* and Pusoon Chun#

*Division of Pharmac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Seoul, Republic of Korea College of Pharmacy, Inje University, 197 Inje-ro, Gimhae, Gyeongnam 50834, Republic of Korea

Abstract — Growth hormone (GH) is widely used to treat growth disorders in patients with either GH deficiency (GHD) or non-GHD. However, the effects of GH therapy are inconsist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herapy on h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 retrospective clinical analysis was con- ducted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the subjects who started GH therapy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4 at a teaching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GH therapy, the aux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ight,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s (SDS), and height veloc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reat- ment and baseline height SDS. A total of 428 subjects were analyzed. GH therapy improved height SDS in the subjects treated for no more than 1 year as well as more than 1 year (0.27 vs. 0.68, p=0.006). Height SDS gai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ubjects with lower height SDS than the subjects with higher one at baseline (1.22 for SDS < -2 vs. -2SDS

< 0, p < 0.001; 1.23 for -2SDS < 0 vs. 0SDS, p < 0.001).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crease in height SDS after treatment and both baseline age and height SDS (r=-0.33 for age; r=-0.38 for height SDS, both p < 0.001).

Keywords □ growth hormone, children, adolescent, height growth

소아의 성장장애 치료를 위해 성장호르몬을 사용하기 시작한 지가 거의 60년에 이른다. 1958년에 Raben이 사체의 뇌하수체 에서 추출한 성장호르몬을 성장호르몬 결핍증 소년에게 투여하 여 성장효과가 있었음을 처음으로 보고하면서 성장호르몬이 성 장장애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그러나 인체성장 호르몬제는 Creutzfeldt-Jakob 질환(CJD)을 전파한다고 알려지면 서 1985년에 사용이 금지되었고2)바로 그 해에 유전자 재조합 에 의한 성장호르몬제(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somatropin)가 개발되어 저신장을 동반하는 여러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미국 FDA는,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증,

따라잡기 성장을 하지 못한 저신장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특발성(idiopathic) 저신장증, 성인의 성장호르몬결핍증, 성 인의 후천성 면역결핍증, 터너증후군(Turner's syndrome), 프라 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만성 신부전, SHOX (short stature homeobox) 유전자 결핍증,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등에 유전자 재조합 성장호르몬제의 사용을 허가했 다.3,4)소마트로핀은 소아의 근골격, 결합조직, 장기의 성장을 촉 진하며 성인에서의 대사작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말초에서 인슐린의 작용을 길항하고 인슐린과 인슐린양 성장인자(insulin- like growth factor-1, IGF-1)의 생성을 촉진한다. 소마트로핀에 의해 혈중농도가 상승한 인슐린양 성장인자는 연골형성뿐 아니 라 골격과 연조직의 성장에 직접적으로 관여함으로써 성장에 주 요한 기능을 한다.5)

소마트로핀은 액상제제와 동결건조분말제제로 공급된다. 액상 제제는 일정한 농도로 공급되므로 희석할 때 생기는 약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펜 타입의 경우는 주사 시 바늘만 끼우면

#

Corresponding Author Pusoon Chun

College of Pharmacy, Inje University, 197 Inje-ro, Gimhae, Gyeo- ngnam 50834, Republic of Korea

Tel.: 055-320-3886 Fax.: 055-320-3940 E-mail: pusoon@inje.ac.kr

Short Report

종설

(2)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동결건조 분말제제는 주사용 증류수 등 으로 사용 전에 분말을 용해한 후 사용한다. 피하주사의 약물동 태학적, 면역학적 안정성과 효과 등이 근육주사와 유사함이 밝 혀진 후 피하주사로 투여하는 것이 권장되며, 질병에 따라서는 복강 또는 혈관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6)사용량은, 단위 체중당 혹은 체표면적당 국제단위(International Unit, I.U)나 mg으로 표 시하며 WHO 기준에 의하면 소마트로핀 1 mg은 3 IU와 동등한 생체활성도를 가진다.7)투여 대상자의 질병에 따라 다르며 사용 량이 다르며 특발성 저신장증의 경우 1일 체중 kg당 0.067 mg 까지 투여할 수 있다.8,9)소마트로핀은 주당 투여량이 동일하다 고 하더라도 1주에 2~3회 투여하는 것보다 6~7회 투여하는 것 이 치료성과가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또한 저녁 에 투여한 경우 아침이나 오후에 투여한 경우에 비해 성장호르 몬 및 인슐린양 성장인자의 혈중농도 상승과 여러 가지 대사 반 응의 향상에 더 나은 성과가 관찰되어 1주에 6~7회 저녁에 투 여하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6,10,11)치료지속기간은 성장호르몬 검사 후 판단하는데 키 성장을 목표로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골 연령이 여아는 14-16세, 남아는 16-17세에 이를 때까지, 혹은 평 균 성장 속도가 1 년에 2~3 cm 이하가 될 때까지 치료한다.4,6) 소마트로핀은 그 안정성이 밝혀져 왔으며 가장 흔한 부작용인 두 통, 구토 등이 특별한 조치 없이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졌다는 보 고가 있다.12-14)

출생 후 키 성장은 영유아기 성장, 유년기 성장, 사춘기 성장 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영유아기 성장은 출생 후 3세까지 1 년에 10~20 cm 정도로 급격히 자라는 시기를 말한다. 이 기간 동안, 너무 작게 태어난 아이는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 을, 너무 크게 태어난 아이는 따라잡기 저성장(catch-down growth)을 하게 된다.15) 유년기 성장은 3세 이후 사춘기 시작 전 까지의 성장을 말하며 이 기간에는 연간 평균 5~6 cm 정도 자 란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다시 급성장을 하게 되는데 남아는 사 춘기 동안 평균 25~30 cm, 여아는 20~25 cm 자란다. 남아는 여아보다 사춘기가 늦게 시작하여 사춘기 전 성장이 8~10 cm 더 일어나게 되며, 또 사춘기 동안 남아가 여아보다 3~5 cm 더 성장하므로 최종 성인 키는 남자가 여자보다 12.5 cm 정도 더 크 게 된다.16)

성장 장애는, 성장 속도가 동일 인구 집단의 성(sex), 연령에 비해 저조한 경우로 3세 이상에서 사춘기 시작 전까지 연간 4~5 cm 미만으로 성장하는 것을 말하며, 저신장증이란 소아의 키가, 동일 연령 및 성을 가진 소아의 키 표준 평균치에서 −2 표 준편차 미만이거나 3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4,17,18) 거부터 저신장의 어린이들 대부분은 작은 키로 인해 심적 압박 을 받아왔으며 현대사회에서는 이런 점들이 더욱 가중되며 이로 인해 어린이뿐 아니라 그 부모들도 자녀의 작은 키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성장호르몬에 의한 신장 증가 효과가 대

중 매체에 의해 많은 일반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이로 인 해 신장 증가를 목표로 성장호르몬의 사용자가 늘어가고 있는 실 정이다. 성장장애 및 저신장증의 치료를 위해 성장호르몬이 널 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의 증대를 위한 성장호르몬 의 치료효과는 보고자 마다 차이가 있어 일치하지 않는다.19) 구나, 성장호르몬 치료효과의 저조함 혹은 만족스럽지 못한 성 과에 대한 불만족이 증가하고 있다.20)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서 성장호르몬제 치료를 받은 소아의 치료 시작시점의 연령, 키, 키 표준편차치(standard deviation score, SDS), 신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치료기간에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하 여 성장호르몬 치료가 최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투여 대상 군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기간에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병원에 내원하여 성장호르몬제 치료를 받기 시작한 모든 소 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아는 2~11세의 아동과 12~18세의 청소년으로 정의하였다.21)성장호르몬제와 생식샘자극호르몬방 출호르몬작용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를 병 용한 경우와 성장호르몬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소아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에서 제외했다. 지속적 사용은 본 대학병원 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고 처방전을 발급 받 았으며 발급 받은 처방전으로 약국에서 빠뜨리지 않고 연속적으 로 투약을 받은 경우로 정의하였다.22)연속하여 투약 받은 환자 를 선정하기 위해, 발급 받은 처방전으로 원내약국에서 투약 받 은 환자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이들의 투약기록부를 확인하였 다. 또한, 처방 일 수 및 투약 일 수에 근거하여 연속 투여가 확 실해 보이더라도 ‘추적지속기간(follow-up duration)’을 산출하기 에 적절한 키 측정치를 가지지 않은 경우는 본 연구에서 제외했 다. 성장호르몬의 제품 별 사용자는 구분하지 않았으며 모든 연 구대상자는 1주일에 체중 kg당 0.15~0.39 mg의 성장호르몬을 6~7회로 분할하여 매일 취침 전 1회 피하주사로 투여 받았다.

자료수집 및 정의

대상 소아의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후 처음 기록된 관측치와 성장호르몬의 지속적 투여 중 마지막으로 기록된 관측치를 조사하였다. 관측치로 역연령 (chronological age, CA), 성(sex), 키, 체중, 골연령(bone age, BA), 인슐린양 성장인자−1의 농도를 수집하였다. 신체질량지수 는 키와 체중의 관측치를 사용하여 산출하였고, 2007년 질병관 리본부와 대한소아과학회에서 발표한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3)

를 이용하여 키 표준편차치와 신체질량지수의 백분위 수를 구하 였다.23) 키 성장속도(height velocigy, HV)는 추적지속기간 동안 의 키의 변화를 사용하여 365일 동안의 키의 변화를 추정한 후 1년 동안의 키의 변화로 나타내었다(cm/year).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적지속기간(follow-up duration)”은 전 체 투약 기간이 아닌, 성장 평가를 위한 측정치를 보여주는 지속 적 사용 기간으로 정의했다. 즉, 최초 키 측정치를 가지며 성장 호르몬제의 투약이 이루어진 날을 “추적지속기간”의 산출을 위 한 시작일로, 지속적 사용 기간 중 키 측정치가 마지막으로 기록 된 날을 “추적지속기간”의 산출을 위한 마지막 날로 정의했다.

이전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다가 휴약기를 가진 소아가 추후 성 장호르몬 치료를 다시 받기 시작한 경우, 이전 사용의 마지막 일 로부터 다시 사용하기 시작한 첫 째 날까지의 기간이 6개월을 초 과하지 않은 경우는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성장호르몬 제의 최초 투약 일과 키를 포함한 최초의 관측치 기록 일이 일 치하지 않은 경우도 본 연구에서 제외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을 추적지속기간에 따라 ‘1년 이하 추 적지속기간’과 ‘1년 초과 추적지속기간’으로 크게 분류하여 성장호 르몬의 치료효과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은

‘6개월 이하’와 ‘6개월 초과’로 다시 분류하여 하부그룹분석을 수 행하였고, ‘1년 초과 추적지속기간’은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 과 3년 이하’, ‘3년 초과’로 다시 분류하여 ‘1년 초과 2년 이하’군 과 ‘2년 초과 3년 이하’군은 하부그룹분석을 수행하여 성장호르 몬제 사용 효과를 비교 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연구 대상자들을 기저(baseline)의 키 표준편 차치에 의해 표준편차치가 ‘−2 미만’인 집단, ‘−2 이상 0 미만’인 집단, ‘0 이상’인 집단으로 분류하여 성장호르몬제에 대한 치료 반응을 비교분석 하였다. 성장호르몬제의 치료효과는 성장호르 몬 투여 전후의 키, 키 표준편차치, 키 성장속도의 변화를 주요 평가지표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인제대학교 생명윤리위 원회(IRB)의 승인을 얻은 후 수행되었다.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0 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연속형 변수인 골연령, 역연령, 인슐린 양 성장인자의 농도, 키, 키 성장속도, 키 표준편차치, 체중, 체 질량지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 추적지속기간 등은 평균, 표준 편차, 범위로 나타내었고 남녀 성비의 범주형 변수는 절대수치 와 백분율로 나타냈다. 두 집단간 연속형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 Student’s t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고 범주형 변수의 비교를 위해서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세 집단 간의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후 Bonferroni correction을 사용하여 다중비교를 수행 하였다. 성장호르몬 투여 시작 시점에서의 역연령, 키, 키 표준

편차치,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와 키 성장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성장호 르몬 치료 시작 시점에서의 역연령, 키, 키 표준편차치, 체질량 지수 백분위수가 성장호르몬 치료 후의 키 성장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키 성장에 대한 관측치들의 상관관계와 효과크기는 “Cohen’s effect size”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Cohen's d: 0.2−0.3, 작은 효 과크기; 0.5 부근, 중정도 효과크기; 0.8 이상, 큰 효과크기;

Pearson's r: 0.1, 작은 상관관계; 0.3, 중정도 상관관계; 0.5 이상, 큰 상관관계).24)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 428명 중 ‘1년 이하 추적기간’을 가진 소아는 199 명(46.5%), ‘1년 초과 추적기간’을 가진 소아는 229명(53.5%)이 었다. 성장호르몬 사용 시작 시점에서의 골연령, 골연령과 역연 령의 비(BA/CA), 남녀 성비는 ‘1년 이하 추적기간’ 군과 ‘1년 초 과 추적기간’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년 이하 추적기간’

군은 ‘1년 초과 추적기간’군에 비해 역연령은 약 7개월 정도 더 많았으며, 키는 약 6 cm가 더 컸고 키 표준편차치는 약 0.2가 더 높았다.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 인슐린양 성장인자−1 의 농도 역시 ‘1년 초과 추적기간’군에 비해 ‘1년 이하 추적기간’

군에서 약간 높았다. 연구대상자를 성장호르몬 사용 시작 시점의 키 표준편차치를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키 표준편차치가 ‘−2 미 만’으로 저신장증에 속한 소아가 48명(11.2%)이었고, 키 표준편 차치가 ‘−2 이상 0 미만’의 소아는 275명(64.3%), ‘0 이상’의 키 표준편차치를 가진 소아는 105명(24.5%)이었다. 역연령은, ‘0 이 상’의 키 표준편차치를 가진 군이 키 표준편차치가 ‘−2 미만’인 군에 비해서는 약 2 살이, 키 표준편차치가 ‘−2 이상 0 미만’의 군에 비해서는 1살이 더 많았다. 키의 경우, 저신장증 군이 키 표 준편차치가 ‘−2 이상 0 미만’의 군에 비해 30 cm가, ‘0 이상’의 키 표준편차치를 가진 군에 비해서는 17.1 cm가 더 작았으며, 키 표준편차치의 경우는 저신장증 군과 ‘0 이상’의 키 표준편차치를 가진 군간에 약 2만큼의 차이가 있었다. 인슐린양 성장인자−1 농 도의 경우, ‘0 이상’의 키 표준편차치를 가진 군이 다른 두 군보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농도를 보여주었다. 키 표 준편차치, 인슐린양 성장인자−1의 농도는 세 군 중 어느 두 군 도 동일하다고 할 수 없었다. 골연령,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는 세 군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는 저신장증군 이 키 표준편차치가 ‘0 이상’인 군에 비해 약 1정도 높았으나 나 머지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A/CA의 경우는 저신장 증군이 키 표준편차치가 ‘0 이상’인 군에 비해 약 0.25 높았으나 나머지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I).

(4)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과 ‘1년 초과 추적기간’군에서 치료 효과의 비교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은 평균 약 220일 동안, ‘1년 초과 추적기간’군은 평균 약 630일 동안 관찰되었다. 키 성장에 있어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은 작은 성장(효과크기 0.32)을, ‘1년 초과 추적지속기간’군은 큰 성장(효과크기 0.97)을 달성했으며 ‘1 년 초과 추적지속기간’군은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에 비해 평 균 5.23 cm 더 자랐다(p<0.001). 키 표준편차치 역시 두 군 모 두에서 향상되었으며, ‘1년 초과 추적지속기간’군은 ‘1년 이하 추 적지속기간’군에 비해 키 표준편차치 0.25만큼 더 향상되었다 (p=0.006). 키 성장속도의 경우, ‘1년 초과 추적지속기간’군의 남 아가 연간 약 9 cm 성장하여 연간 약 8 cm 성장한 ‘1년 이하 추 적지속기간’군의 남아보다 약간 더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다 (p=0.011). 그러나 여아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성장호르몬제의 사용은 두 군 모두에서 인슐린양 성장인자−1 농도의 향상을 이루지 못했다(Table II).

‘6개월 이하’군과 ‘6개월 초과 1년 이하’군 간의 치료효과의 비교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을 ‘6개월 이하’군(n=76)과 ‘6개월 초과’군(n=123)으로 나누어 하부분석을 수행했을 때, ‘6개월 초

과’군의 남아가 키 표준편차치에서 큰 향상(효과크기 1.17)을 거 두고 여아가 키 성장에서 중정도의 성장(효과크기 0.53)을 달성 했지만, ‘6개월 이하’군에서의 향상은 작은 크기(0.12−0.20)에 불 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6개월 초과’군에서 관찰된 효과크기 와 ‘6개월 이하’군에서 관찰된 효과크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III).

1년 초과 2년 이하’군과 ‘2년 초과 3년 이하’군 간의 치료효과 의 비교

‘1년 초과 2년 이하’군(n=162)은 평균 약 530일 동안, ‘2년 초 과 3년 이하’군(n=63)은 평균 약 860일 동안 관찰되었다. 키 성 장에 있어 ‘2년 초과 3년 이하’군은 ‘1년 초과 2년 이하’군에 비 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키성장(효과크기 1.62 vs. 0.78).

0.97)을 달성했으며 ‘2년 초과 3년 이하’군은 ‘1년 초과 2년 이하’

군에 비해 평균 4.67 cm 더 자랐다(p=0.045). 키 표준편차치의 경우, ‘2년 초과 3년 이하’군은 큰 성장(효과크기 0.91)을, ‘1년 초과 2년 이하’군은 중정도 성장(효과크기 0.55)을 각각 달성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키 표준편차치에 있어 ‘2년 초과 3년 이 하’군에서 관찰된 향상과 ‘1년 초과 2년 이하’군에서 관찰된 향 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성장호르몬 치료전

Table I − Basel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ollow-up duration and height SDS

Characteristics

Follow-up duration Height SDS

Duration ≤ 1 year (n=199)

Duration>1 year

(n=229)

a

p-value Height SDS<-2 (n=48)

-2 ≤ Height SDS<0 (n=275)

0 ≤ Height

SDS (n=105)

b

p-value Sex, N (%) male, 90 (45.2);

Female, 109 (54.8)

male, 108 (47.2);

female, 121 (52.8)

b

0.689 male, 23 (47.9);

female, 25 (52.1)

male, 123 (44.7);

female, 152 (55.3)

male, 52 (49.5);

female, 53 (50.5)

c

0.683 Chronological age

(range), (year)

10.95±2.21 (4.24, 17.07)

10.38±2.20

(5.67, 14.7) 0.008 9.08±3.25 (3.86, 14.61)

10.66±1.99 (4.76, 15.75)

11.31±1.83

(5.76, 17.07) 0.001

d

Bone age (range), (year) 10.28±2.64 (3.42, 16)

9.80±2.72

(3.42, 16) 0.105 9.39± 2.89 (4.92,16)

9.71±3.10 (2.5,16)

9.92±0.48

(2.5, 16) 0.703

d

BA/CA (range) 0.97±0.31 (0.24, 3.08)

0.99±0.40,

176 (0.31, 2.54) 0.706 0.91±0.78 (0.48, 3.09)

0.76±0.48 (0.20, 3.17)

0.66±0.48

(0.25, 1.58) 0.018 Height (range), (cm) 139.34±15.35

(94.2, 175.8)

134.60±14.85

(101, 158.4) 0.001 118.46±16.51 (88, 146)

135.54±12.20 (99.8, 167.2)

148.50±11.92

(103.8, 175.8) < 0.001 Height SDS (range) -0.57±0.92

(-2.75, 1.77)

-0.78±1.06

(-4.42, 2.19) 0.035 -2.38±0.42 (-4.42, -2.00)

-0.87±0.52 (-1.99, -0.01)

-0.59±0.49

(1, 2.19) < 0.001 Body weight (range), (kg) 36.93±11.96 33.33±10.90 0.001

BMI (kg/m

2

) (range) 18.6±2.92 (12.72, 31.02)

17.75±2.73

(12.48, 24.31) 0.002 17.92±2.58 (14, 23)

17.93±2.69 (12, 26)

18.82±3.26

(12, 31) 0.019 BMI percentile (range) 59.33±26.69

(3, 100)

52.26±27.94

(3, 97) 0.008 52.42±28.09 (3, 95)

54.25±27.66 (3, 100)

60.38±26.73

(3, 100) 0.104

e

IGF-1 (range), (ng/mL) 335.06±149.71 (89.7, 857)

296.35±143.43

(101, 681) 0.010 198.98±101.98 (89.7, 857)

298.22±132.37 (65, 540)

414.33±147.39 (71,

771) < 0.001

BA, bone age; CA, chronological age; BMI, body mass index; SDS, standard deviation score.

a

p-value: Independent t-test;

b

p-value: one way

ANOVA followed by Bonferroni correction;

c

χ

2

-test;

d

Bone age,

d

BA/CA, and

e

IGF-1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who had the values: in

the group of Duration ≤ 1 year,

d

Bone age &

d

BA/CA, n=151 (75.9%);

e

IGF-1, n=176 (88.4%); in the group of Duration > 1year;

c

Bone

age &

d

BA/CA, n=176 (79.9%);

e

IGF-1, n=205 (89.5%); in the group of Height SDS < -2,

d

Bone age &

d

BA/CA, n=35 (72.9%);

e

IGF-1,

n=45 (93.8%); in the group of -2 ≤ Height SDS < 0,

d

Bone age &

d

BA/CA, n=218 (79.3%);

e

IGF-1, n=245 (89.1%); in the group of 0 ≤

Height SDS,

d

Bone age &

d

BA/CA, n=74 (70.5%);

e

IGF-1, n=91 (86.7%). Values of continuous variables are expressed as mean with

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noted.

(5)

과 후의 키와 키 표준편차치의 향상에 있어 남녀에 따른 평균 차 이는, ‘1년 초과 2년 이하’군내(키, 13.54 cm vs. 11.66 cm; 키 표 준편차치 0.67 vs. 0.56)와 ‘2년 초과 3년 이하’군내(키, 21.14 cm vs. 19.18 cm; 키 표준편차치 0.93 vs. 0.79)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남아가 여아보다 우수한 향상을 보였으나, ‘1년 초과 2년 이하’군과 ‘2년 초과 3년 이하’군 두 군간의 평균차이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다(Table IV).

3년 초과 추적지속기간을 가진 소아에서의 치료효과

3년 초과 추적지속기간을 가진 소아는 모두 여아로 4명이었으 며 평균 3.12년(3.05~3.23년) 동안 관찰되었다. 성장호르몬제 사 용 시작 시점에서의 평균 역연령은 9.24세, 기저 키는 128 cm, 키 표준편차치는 −0.74이었다. 성장호르몬제의 사용 후 평균 키 약 22 cm, 키 표준편차치 약 0.6의 향상이 있었으며 키 성장속 도는 연간 약 7 cm이었다.

Table II − Comparison of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no more than 1 year and more than 1 year

Characteristics

Duration ≤ 1 year (n=199) Duration > 1 year (n=229)

d

Mean

difference

b

p-value

f

Effect after-treatment size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after-treatment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Duration of

follow-up (day)

219.67±97.18

(range: 36, 365) - - 630.94±196.08

(range: 366, 1179) 411.27 < 0.001 -

Sex, N (%) male, 90 (45.2);

female, 109 (54.8)

b

0.689 - male, 108 (47.2);

female, 121 (52.8) - - -

g

0.683 -

Chronological age (year)

11.54±2.21

(0.60±0.27) < 0.001 - 12.11±2.21

(1.73±0.54) < 0.001 - 0.56 0.009 -

BA/CA, N (%) 1.04±0.26

(0.06±0.13), 57 (28.6) < 0.001 0.22 1.00±0.32

(0.02±0.15), 78 (34.1) 0.163 -0.08 0.04 0.436 -0.13 Height (cm)

Overall 144.18±15.03

(4.84±2.77) < 0.001 0.32 149.41±14.93

(14.81±5.00) < 0.001 0.97 5.23 < 0.001 0.35

Male 147.02±17.97

(5.10±2.71) < 0.001 0.28 155.36±14.82

(15.93±5.0) < 0.001 1.05 8.33 0.001 0.51

Female 141.82±11.65

(4.62±2.82) < 0.001 0.38 144.10±12.96

(13.80±4.82) < 0.001 1.00 2.78 0.164 0.18 Height SDS

Overall -0.35±0.88 (0.27±0.34) < 0.001 0.24 -0.1±0.96 (0.68±0.89) < 0.001 0.64 0.25 0.006 0.27 Male -0.49±0.97 (0.23±0.30) < 0.001 0.23 0.03±0.94 (0.75±0.41) < 0.001 0.74 0.52 < 0.001 0.54 Female -0.22±0.77 (0.23±0.37) < 0.001 0.27 -0.21±0.97 (0.61±0.51) < 0.001 0.56 0.01 0.919 0.01 Height velocity

(cm/year)

Overall 8.01±3.23 NA NA 8.63±1.75 NA NA 0.62 0.017 0.24

Male 8.01±3.24 NA NA 8.99±1.75 NA NA 0.98 0.011 0.39

Female 8.02±3.23 NA NA 8.31±1.70 NA NA 0.29 0.398 0.11

h

IGF-1 (ng/mL)

Overall, n (%) 492.57±149.44

(141.53±101.39), 89 (74.8) < 0.001 0.88 538.37±140.49

(244.57±120.18), 49 (21.4) < 0.001 1.57 45.79 0.08 -0.31 Male, N (%) 467.19±164.96,

(158.32±98.83), 40 (44.4) < 0.001 0.94 561.06±179.65

(253.47±133.42), 94 (87.0) < 0.001 1.32 59.73

i

0.671 -0.36 Female, N (%) 513.28±133.63

(127.83±14.63), 49 (45.0) < 0.001 0.85 531.77±141.41

(243.20 57±119.38), 105 (86.8) < 0.001 1.51 30.63 0.275 0.22

a

p-value: paired t-test for before-treatment vs.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b

p-value: independent t-test for Duration ≤ 1 year vs. Duration>1

year;

c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 of before-treatment and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d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after-treatment between two groups.

e

Effect size: before treatment vs.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f

Effect

size: Duration ≤ 1 year vs. Duration > 1 year;

g

χ

2

-test;

h

IGF-1: obtained from the subjects who showed the relevant data for each statistical

analysis;

i

Mann-Whitney U test. NA: not available; -: not applicable.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with 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noted.

(6)

기저 키 표준편차치가 ‘−2 미만’, ‘−2 이상 0 미만’, ‘0 이상’

인 군 간의 치료효과 비교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키 표준편차치가 ‘−2 미만’인 군 (n=48)은 약 500 일 동안, ‘−2 이상 0 미만’인 군(n=275)은 약 450일 동안, ‘0 이상’인 군(n=105)은 약 400일 동안 관찰되었다.

세 군간의 성장호르몬제 사용 기간이 동일하지 않아 세 군간의 치료효과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었다. 키 성장에 있어 키 표준편 차치가 ‘−2 미만’인 군은 ‘−2 이상 0 미만’군에 비해 평균 15.82 cm 더 자랐으며(p<0.001), 이러한 키 성장에서의 차이는 여아보다 남 아가 더 크게 보여주었다(남아, 17.38 cm vs. 여아, 14.81 cm). 한 편, ‘−2 이상 0 미만’인 군과 ‘0 이상’인 군을 비교할 때 ‘-2 이상 0 미만’군이 ‘0 이상’인 군에 비해 평균 11.67 cm 더 자랐으며 (p<0.001), 남아의 키 변화량이 여아의 키 변화량보다 거의 두 배 더 컸다(14.85 vs. 7.90). 키 표준편차치의 경우 ‘−2 미만’인 군은 ‘−2 이상 0 미만’인 군에 비해, ‘−2 이상 0 미만’인 군은 ‘0 이상’인 군에 비해 각각 1.22(p<0.001)와 1.23(p<0.001)만큼의

향상을 달성했다. 키 표준편차치의 향상에 있어 남녀에 따른 유 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키 성장속도의 경우, 기저 키 표 준편차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 았다(Table V).

기저 키 표준편차치가 ‘-2 미만’인 군에서 ‘추적지속기간’에 따 른 치료효과 비교

‘1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n=14)은 평균 208일 동안, ‘1년 초 과 추적기간’군(n=34)은 평균 623일 동안 관찰되었으며 성장호 르몬 치료 시작시점에서의 평균 역연령(평균±표준편차)은 각각 9.38±3.27세, 8.95±3.28세 이었다. 성장호르몬제의 사용으로 ‘1 년 이하 추적지속기간’군은 평균 4.78±2.72 cm, ‘1년 초과 추적 기간’군은 14.41±4.06 cm 자랐으며(p < 0.001) 키 표준편차치는 기저치에 비해 각각 0.30±0.24, 0.99±0.52만큼 향상되었다(p<

0.001). 성장속도의 경우, 각군은 연간 각각 9.15±3.72 cm, 8.44±

1.41 cm 자랐다(p=0.500).

Table III − Subgroup analysis for the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no more than 1 year

Characteristics

Duration ≤ 6 months (n=76) 6 months < Duration ≤ 1 year (n=123)

d

Mean

difference

b

p-value

f

Effect before- size

treatment

after-treatment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before- treatment

after-treatment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Duration of

follow-up (day)

117.83±41.70

(range:36, 180 ) - - 282.60±61.68

(range: 181, 365) - - 164.77 < 0.001 - Sex, N (%) male, 27 (35.5);

female, 49 (64.5) - - male, 63 (51.2);

female, 60 (48.8) - -

g

0.040 -

Chronological

age (year) 11.04±2.42 11.36±2.45 < 0.001 - 10.89±2.07 11.66±2.06 < 0.001 - 0.29 0.365 - Height (cm)

Overall 140.59±16.81 143.08±16.57

(2.50±1.39) < 0.001 0.15 138.57±14.39 144.85±14.03

(6.28±2.40) < 0.001 0.44 1.77 0.422 0.18 Male 141.89±23.47 144.63±23.04

(2.73±1.71) < 0.001 0.12 141.94±15.37 148.05±15.41

(6.11±2.4) < 0.001 0.39 6.78 0.483 0.19 Female 139.87±11.90 142.24±11.81

(2.37±1.17) < 0.001 0.20 135.03±12.46 141.49±11.61

(6.47±2.40) < 0.001 0.53 0.75 0.740 -0.06 Height SDS

Overall -0.49±0.95 -0.35±0.91

(0.14±0.28) < 0.001 0.15 -0.62±0.90 -0.34±0.86

(0.28±0.36) < 0.001 0.31 0.01 0.937 0.01

Male -0.75±1.10 -0.61±1.04

(0.14±0.31) 0.030 0.13 -0.71±0.94 0.44±0.95

(0.26±0.30) < 0.001 1.17 0.17 0.446 -0.17 Female -0.35±0.84 -0.21±0.81

(0.14±0.27) 0.001 0.17 -0.53±0.85 -0.24±0.75

(0.30±0.42) < 0.001 0.34 0.03 0.846 -0.04 Height velocity

(cm/year)

Overall NA 8.03±4.16 NA NA NA 8.00±2.50 NA NA 0.03 0.948 -0.01

Male NA 7.98±4.47 NA NA NA 8.02±2.59 NA NA 0.04 0.964 0.01

Female NA 8.01±4.03 NA NA NA 7.98±2.43 NA NA 0.09 0.897 -0.01

a

p-value: paired t-test for before-treatment vs.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b

p-value: independent t-test for Duration ≤ 6 months vs. 6 months < Duration ≤ 1 year;

c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 of before-treatment and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d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after-treatment between two groups.

e

Effect size: before treatment vs.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f

Effect size: Duration ≤ 6 months vs. 6 months < Duration ≤ 1 year;

g

χ

2

-test; NA: not available; -: not applicable.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with 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noted.

(7)

기저 역연령, 체질량지수,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 키, 키 표준편 차치와 키 성장과의 상관관계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역연령이 작을 수록, 또한 기저 키 표준편차치가 작을수록 성장호르몬 치료에 따른 키 표준편차 치의 증가는 컸다(연령: r=−0.33, p<0.001; 키: r=−0.38, p= p

<0.001) (Fig. 1, Fig. 2). 체중의 경우, 기저 체질량지수 백분위 수 가 작을수록 키 표준편차치의 향상이 컸으나 그 효과크기는 작았 다(r=−0.106, p=0.028). 반면, 기저 체질량지수와 키 표준편차치 의 증가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 았다(r=−0.06, p=0.194). 성장호르몬 치료에 따른 키 성장속도 의 증가와 기저 체질량지수, 기저 키 표준편차치 사이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체질량지수: r=−0.01, p=0.911; 키 표준편차치: r=−0.043, p=0.375). 그러나, 비록 효과 크기는 작더라도 기저의 역연령이 작을 수록, 기저 키가 작을수록 성장속도의 증가는 컸다(역연령, r=-0.23, p<0.001; 키, r=−0.22, p<0.001).

기저 역연령, 키 표준편차치, 체질량지수 백분위수가 키 성장에 미치는 효과크기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역연령과 키 표준편차치는 모두 성장호르몬 치료에 따른 키 표준편차치의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인과관계를 보였으며 이 중 기저 키 표준편차치가 성장호 르몬 사용 후 키 표준편차치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역연령 표준화계수: −0.308, p<0.001; 키 표준편 차치 표준화계수: −0.233, p<0.001). 반면, 기저 체질량지수 백 분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고 찰

성장호르몬 치료는 소아의 키, 키 표준편차치, 키 성장속도를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시켰다. 키 성장에 있어, 성장호르몬제의 평균 사용일이 길수록 키 성장도 비례적으로 향상되었다. 성장 호르몬제를 평균 약 200일 동안 사용한 경우는 5 cm, 860일 동

Table IV − Subgroup analysis for the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more than 1 year but not more than 3 years

Characteristics

1 year < Duration ≤ 2 years (n=162) 2 years < Duration ≤ 3 years (n=63)

d

Mean

difference

b

p-value

f

Effect before- size

treatment

after-treatment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before- treatment

after-treatment

(

c

mean difference)

a

p-value

e

Effect size Duration of

follow-up (day)

528.67±109.70

(range:366, 730 ) - - 861.64±109.59

(range: 732, 1098) - - 332.96 < 0.001 - Sex, N (%) male, 74 (45.7);

female, 88 (54.3) - - male, 34 (54.0);

female, 29 (46.0) - - -

g

0.299 -

Chronological

age (year) 10.44±2.32 11.88±2.30 < 0.001 - 11.29±1.91 12.66±1.91 < 0.001 - 0.78 0.018 - Height (cm)

Overall 135.63±15.96 148.15±15.67

(12.52±3.66) < 0.001 0.78 132.38±11.63 152.61±12.92

(20.24±3.10) < 0.001 1.62 4.67 0.045 0.30 Male 140.33±15.82 153.87±15.39

(13.54±3.81) < 0.001 0.86 137.45±11.59 158.59±13.11 (

21.14±2.77) < 0.001 1.69 4.72 0.124 0.32 Female 131.68±15.07 143.34±14.28

(11.66±3.31) < 0.001 0.78 126.43±8.54 145.61±8.51

(19.18±3.18) < 0.001 2.18 2.27 0.304 0.17 Height SDS

Overall -0.70±1.11 -0.09±1.01

(0.61±0.46) < 0.001 0.55 -0.98±0.94 -0.11±0.85

(0.86±0.44) < 0.001 0.91 0.02 0.863 0.95

Male -0.65±1.02 0.01±0.98

(0.67±0.44) < 0.001 0.63 -0.86±0.95 0.06±0.86

(0.93±0.26) < 0.001 0.99 0.05 0.805 0.05 Female -0.73±1.18 -0.18±1.04

(0.56±0.48) < 0.001 0.47 -1.11±0.92 -0.32±0.80

(0.79±0.58) < 0.001 0.83 0.15 0.492 -0.14 Height velocity

(cm/year)

Overall NA 8.66±1.93 NA NA NA 8.65±1.20 NA NA 0.02 0.943 -0.01

Male NA 9.03±1.98 NA NA NA 8.89±1.15 NA NA 0.15 0.691 -0.08

Female NA 8.35±1.84 NA NA NA 8.37±1.20 NA NA 0.01 0.969 0.01

a

p-value: paired t-test for before-treatment vs.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b

p-value: independent t-test for 1 year < Duration ≤ 2 years

vs. 2 years < Duration ≤ 3 years;

c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 of before-treatment and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d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after-treatment between two groups.

e

Effect size: before treatment vs.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f

Effect size: 1 year < Duration ≤ 2 years vs. 2 years < Duration ≤ 3 years;

g

χ

2

-test; NA: not available; -: not

applicable.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with standard deviation and the mean difference in parentheses, unless otherwise noted.

(8)

안 사용한 경우는 20 cm 정도의 성장을 달성했다. 반면, 6개월 이하의 짧은 기간의 사용은 키 성장에 효과가 거의 없었다. 키 성장속도의 경우, 1년 넘게 사용한 남아가 1년 이하로 사용한 남 아보다 연간 1 cm 정도 더 빨리 성장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사 용기간이 1년을 넘는 경우 사용 햇수에 비례하여 성장속도가 빨 라지지는 않았다. 키 표준편차치는 1년 넘게 사용한 군과 1년 이 하로 사용한 군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1년 넘게 사용한 군이 1 년 이하로 사용한 군에 비해 키 표준편차치 0.25만큼이 더 큰 성 장을 달성했다. 반면, 6개월 이하로 사용한 군에서는 효과가 미 미했다. 성장호르몬 치료에 따른 키와 키 표준편차치의 향상은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키 표준편차치가 작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유사한 사용기간 후, 키 표준편차치가 ‘−2 미만’인 저 신장증 군은 ‘−2 이상 0 미만’군에 비해 16 cm 더 자랐는데 이 러한 키 성장의 차이는 여아에서보다 남아에서 더 컸다(남아, 17 cm vs. 여아, 15 cm). 이와 유사하게, 키 표준편차치 ‘−2 이상 0 미만’인 군은 ‘0 이상’인 군에 비해 12 cm 더 자랐으며 남아의

성장은 여아의 거의 두 배나 되었다(남아, 15 cm vs. 여아, 8 cm).

키 표준편차치의 경우 저신장증 군은 ‘−2 이상 0 미만’인 군에 비 해, ‘−2 이상 0 미만’인 군은 ‘0 이상’인 군에 비해 각각 1.22와 1.23만큼 더 향상시켰다.

저신장증 군에서의 성장호르몬 치료효과를 사용기간에 따라 분석했을 때, 1년 이내(평균 208일)로 사용한 군(평균 역연령 9.5 세)은 약 5 cm, 1년 넘게(평균 623일) 사용한 군(평균 역연령 9.0 세)은 약 14 cm 자랐으며 키 표준편차치에 있어 각각 0.3, 0.99 만큼 향상했다. 또한, 1년 이내로 사용한 군은 연간 9.2 cm, 1년 넘게 사용한 군은 연간 8.4 cm 자랐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이 성과는 국내외에서 선행된 타 연구 결 과와 유사하다. 이 등은 평균연령이 11.4세인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에게 성장호르몬제를 주당 평균 0.22 mg/kg 용량으로 투여 한 후 키 표준편차치를 관측한 결과 1년 투여 군에서 0.3만큼, 2 년 투여 군에서는 0.85만큼의 향상을 관찰했다.25)한편 김 등은 성장호르몬이 정상 범위인 역연령 9−11세의 소아에게 주당 평균

Table V − Comparison of height growth according to the baseline height SDS

Characteristics

Height SDS < -2 (n=48) -2

Height SDS < 0 (n=275)

e

Mean

difference

b

p-value

0

Height SDS (n=105)

f

Mean

difference

c

p-value after-treatment

(

d

mean difference)

a

p-value after-treatment

(

d

mean difference)

a

p-value after-treatment

(

d

mean difference)

a

p-value Duration of

follow-up (day)

502.65±239.54

(range:50, 987) - 447.00±270.28

(range: 36, 1179) - 55.64 0.182 391.88±229.68

(range: 36, 996) - 55.13 0.065 Sex, N (%) male, 23 (47.9);

female, 25 (52.1) - male, 123 (44.7);

female, 152 (55.3) - -

g

0.754 male, 52 (49.5);

female, 53 (50.5) - -

g

0.422 Chronological

age (year)

10.45±3.31

(1.37±0.66) < 0.001 11.88±2.05

(1.22±0.75) < 0.001 1.43 0.005 12.38±1.76

(1.07±0.63) < 0.001 0.50 0.028 Height (cm)

Overall 130.07±17.36

(11.60±5.76) < 0.001 145.89±12.89

(10.34±6.69) < 0.001 15.82 < 0.001 157.56±11.19

(9.06±6.01) < 0.001 11.67 < 0.001

Male 132.30±18.98

(10.96±6.22) < 0.001 149.69±14.36

( 11.12±7.09) < 0.001 17.38 < 0.001 164.54±9.75

(10.77±6.39) < 0.001 14.85 < 0.001 Female 128.00±15.84

(12.20±5.36) < 0.001 142.61±8.12

(9.72±6.12) < 0.001 14.81 < 0.001 150.71±7.79

(7.39±5.16) < 0.001 7.90 < 0.001 Height SDS

Overall -1.60±0.61

(0.79±0.55) < 0.001 -0.38±0.59

(0.49±0.43) < 0.001 1.22 < 0.001 0.86±0.59

(0.26±0.44) < 0.001 1.23 < 0.001

Male -1.60±0.58

(0.74±0.54) < 0.001 -0.43±0.64

(0.51±0.42) < 0.001 1.17 < 0.001 0.92±0.59

(0.41±0.43) < 0.001 1.34 < 0.001

Female -1.60±0.64

(0.83±0.57) < 0.001 -0.34±0.55

(0.47±0.43) < 0.001 1.26 < 0.001 0.79±0.58

(0.12±0.55) 0.032 1.14 < 0.001 Height velocity

(cm/year)

Overall 8.65±2.31 NA 8.38±2.50 NA 0.27 0.487 8.11±2.84 NA 0.27 0.395

Male 9.20±2.91 NA 8.40±2.24 NA 0.80 0.139 8.59±3.13 NA 0.19 0.691

Female 8.14±1.46 NA 8.36±2.69 NA 0.22 0.691 7.64±2.47 NA 0.72 0.086

Height SDS: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a

p-value: paired t-test, before-treatment vs.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b

p-value:

independent t-test for Height SDS < -2 vs. -2 ≤ Height SDS < 0;

c

p-value: independent t-test for -2 ≤ Height SDS < 0 vs. 0 ≤ Height

SDS ;

d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before- and after-treatment in each group;

e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after-treatment between Height SDS < -2 and -2 ≤ Height SDS < 0;

f

Mean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after-treatment between -2 ≤ Height SDS < 0 vs. 0 ≤ Height SDS;

g

χ

2

-test.

(9)

0.33 mg/kg의 성장호르몬을 1년 동안 투여한 후 키 표준편차 0.3 만큼의 향상과 성장속도 7.7 cm/year을 보고했다.18)유사한 결과 가 스웨덴에서 Bang 등이 수행한 연구에서도 나타났다. Bang 등 은 사춘기이전 저신장증 소아에게 주당 평균 0.22 mg/kg의 성장 호르몬제를 1년이상 투여 후 키 표준편차 0.65 향상과 키 성장 속도 8.67 cm/year를 보고했다.26)반면, 국내에서 선행된 김 등 의 연구는 타 연구에서보다 우수한 효과를 관찰했다. 김 등은 5 세이상 사춘기 이전 저신장증 소아에게 성장호르몬제를 주당 0.37 mg/kg의 동일한 용량으로 6개월 동안 투여한 후 키 표준편

차가 0.57 향상되고 성장속도가 10.85 cm/year에 도달했음을 보 고했다.27) 스웨덴에서 Kriström 등이 수행한 연구 역시, 성장장 애를 가진 사춘기 이전의, 기저 역연령이 낮은 소아에서 우수한 결과를 관찰했다. Kriström 등은 성장호르몬 결핍, 저신장증, 혹 은 성장장애를 가진 3−11세 소아에게 성장호르몬제를 2년간 투 여 한 후 키 표준편차의 변화를 평가했다. 주당 0.3 mg/kg의 동 일한 용량으로 투여 한 군에서는 1.31만큼, 중간부모키 표준편차 에 근거하여 환아 개별화된 용량으로 0.12−0.7 mg/kg을 투여한 군에서는 1.36만큼의 키 표준편차에서의 향상을 관찰하고, 동일 용량 투여군과 환아개별화된 용량 투여군 간 치료효과에 차이가 없었음을 보고했다.28)김 등이 짧은 치료기간에도 불구하고 타 연구에서보다 큰 성과를 거두고, Kriström 등이 타 연구에 비해 탁월한 크기의 효과를 거둔 것은 이 두 연구에 포함된 소아의 평 균 역연령이 타 연구에 비해 작았다는 점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 명된다.

본 연구가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역연령, 키 표준편차 치가, 신체질량지수 백분위 수와, 성장호르몬 치료 후 키 표준편 차 및 성장속도의 향상과의 연관성을 분석했을 때, 성장호르몬 치료 시작시점의 역연령이 작을 수록, 키 표준편차치가 작을수 록 성장호르몬 치료에 따른 키 표준편차치의 증가는 컸으며, 이 때 키 표준편차치가 역연령에 비해 키 표준편차치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 성장속도의 경우, 기저 체 질량지수, 키 표준편차치에 의한 영향은 없었고 기저의 역연령 과 키가 작을수록 성장속도의 증가는 컸다. 한편, 기저 신체질량 지수 백분위 수가 작을수록 키 표준편차치가 더 크게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수준의 인과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아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한 연구로 연구방법에 의해 초래된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성장호르몬 의 치료효과를 진단 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지 못했다. 많은 경우, 성장호르몬 투여 기간 중 진단명을 2~3개씩 가지고 있었으며 성 장호르몬 결핍으로 최종 진단진단 받은 소아의 경우라도 성장 호 르몬 측정치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을 뿐 아니라, 저신장증 으로 진단받은 소아라도 키 표준편차치는 저신장증의 정의와 부 합하지 않았던 소아가 대부분이어서 진단명을 명확히 정의하고 분류하기 어려웠다. 둘째, 영양은 성장의 각 시기에서 매우 중요 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성장에 대한 영양 조건을 통제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선행된 거의 모 든 연구가 저신장증 소아만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 치료효과를 보도하고 있는 것에 반해, 저신장증 뿐 아니라 키 표준편차 값이

−2 이상인 소아에서의 효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더하여, 성장호 르몬제 사용 시작 시점에서의 키, 키 표준편차, 성장속도, 신체 질량지수, 그리고 성장호르몬제의 사용기간이 성장호르몬제의 치 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크기로 정량화하여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쉽게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Fig. 1 − Correlation between baseline age and increase in height SDS with growth hormone therapy. A nega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baseline age and increase in height SDS (r=-0.33, p=0.000).

Fig. 2 − Correlation between baseline height and increase in height

SDS with growth hormone therapy. A nega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baseline height and increase in height SDS

(r=-0.38, p=0.000).

(10)

결 론

성장호르몬제는 투여 대상 소아의 나이와 키가 작을수록 치료 효과가 컸으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사용했을 대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References

1) Raven, M. S. : Treatment of a pituitary dwarf with human growth hormone. J. Clin. Endocrinol. Metab. 18, 901 (1958).

2) Croes, E. A., Roks, G., Jansen, G. H., Nijssen, P. C. and van Duijn, C. M. : Creutzfeldt-Jakob disease 38 years after diagnostic use of human growth hormon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2, 792 (2002).

3) Richmond, E. and Rogol, A. D. : Current indications for growth hormone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ndocr. Dev.

18, 92 (2010).

4) LEE, K. H. : Growth hormone therapy in short stature in children. J. Korean. Med. Assoc. 51, 849 (2008).

5) Woelfle, J., Chia, D. J. and Rotwein, P. : Mechanisms of growth hormone (GH) action. Identification of conserved Stat5 binding sites that mediate GH-induced insulin-like growth factor-I gene activation. J. Biol. Chem. 278, 51261 (2003).

6) Park, Y. H. : Short Stature and Growth Hormone Therapy.

Yeungnam Univ. J. of Med. 22, 1 (2005).

7) Bristow, A. WHO International Standards /Reference Reagents Submission to ECBS of post-establishment stability monitoring/

stability evaluation. 2nd IS somatropin (rec human growth hormone). WHO/BS/10.2135 (2010).

8) Wit, J. M. and Rekers-Mombarg, L. T. ; Dutch Growth Hormone Advisory Group. : Final height gain by GH therapy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is dose dependent. J.

Clin. Endocrinol. Metab. 87, 604 (2002).

9) BIT Druginfo. Available from URL: https://www.druginfo.co.kr/.

Accessed 19 June (2016).

10) MacGillivary, M. H., Bapista, J. and Johanson, A. : Outcome of a four-year randomized study of daily versus three times weekly somatotropin treatment in prepubertal native growth hormone deficient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81, 1806 (1996).

11) Shin, C. H. : Current use of growth hormone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49, 703 (2006).

12) Bell, J., Parker, K. L., Swinford, R. D., Hoffman, A. R., Maneatis, T. and Lippe, B. : Long-term safety of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in children. J. Clin. Endocrinol. Metab.

95, 167 (2010).

13) Kemp, S. F., Kuntze, J., Attie, K. M., Maneatis, T., Butler, S., Frane, J. and Lippe, B. : Efficacy and safety results of long-

term growth hormone treatment of idiopathic short stature. J.

Clin. Endocrinol. Metab. 90, 5247 (2005).

14) Lampit, M., Nave, T. and Hochberg Z. : Water and sodium retention during short-term administration of growth hormone to short normal children. Horm. Res. 50, 83 (1998).

15) Völkl, T. M., Haas, B., Beier, C., Simm, D. and Dörr HG. : Catch-down growth during infancy of children born small (SGA) or appropriate (AGA) for gestational age with short- statured parents. J. Pediatr. 148, 747 (2006).

16) Sung I. K. : Monitoring Growth in Childhood: Practical Clinical Guide. J. Korean Med. Assoc. 52, 211 (2009).

17) Cohen, P., Rogol, A. D., Deal, C. L., Saenger, P., Reiter, E. O., Ross, J. L., Chernausek, S. D., Savage, M. O. and Wit, J. M. ; 2007 ISS Consensus Workshop participants. : Consensus statement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a summary of the Growth Hormone Research Society, the Lawson Wilkins Pediatric Endocrine Society, and the European Society for Paediatric Endocrinology Workshop. J. Clin. Endocrinol. Metab. 93, 4210 (2008).

18) Kim, J. H., Chung, H. R., Lee, Y. A., Lee, S. H., Kim, J. H., Shin, C. H. and Yang, S. W. : Growth responses to growth hormone 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uated growth who showed normal growth hormone response to stimulation tests.

Korean J. Pediatr. 52, 922 (2009).

19) Allen, D. B. : Clinical review: Lessons learned from the hGH era. J. Clin. Endocrinol. Metab. 96, 3042 (2011).

20) Bang, P., Ahmed, S. F., Argente, J., Backeljauw, P., Bettendorf, M., Bona, G., Coutant, R., Rosenfeld, R. G., Walenkamp, M. J.

and Savage, M. O. :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poor response to growth-promoting therapy in children with short stature. Clin. Endocrinol. (Oxf). 77, 169 (2012).

21) ICH Expert Working Group. : Age Classification of Pediatric Patients. ICH Harmonised tripartite guideline. Clinical investiga- tion of medicinal product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e11.

(2000). Available from URL: http://www.ich.org/fileadmin/

Public_Web_Site/ICH_Products/Guidelines/Efficacy/E11/

Step4/E11_Guideline.pdf. Accessed 20 June (2016).

22) Steiner, J. F. and Prochazka, A. V. : The assessment of refill compliance using pharmacy records: Methods, validity, and applications. J. Clin Epidemiol. 50, 105 (1997).

23)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fo0201.jsp?

menuIds=HOME001-MNU1154-MNU0004-MNU1889&cid=

1235. Accessed 20 June (2016).

24) Howell, D. C. : Statistical Methods for Psychology. 8th edition, Cengage Learning, Inc., Belmont, C. A., p. 245 (2012).

(11)

25) Lee, K. A. and Han, H. S. : Effects of growth hormone therapy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Korean J. Pediatr. 48, 865 (2005).

26) Bang, P., Bjerknes, R., Dahlgren, J., Dunkel, L., Gustafsson, J., Juul, A., Kriström, B., Tapanainen, P. and Aberg, V. : A comparison of different definitions of growth response in short prepubertal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Horm. Res.

Paediatr. 75, 335 (2011).

27) Kim, H. S., Yang, S. W., Yoo, H. W., Suh, B. K., Ko, C. W., Chung, W. Y., Lee, K. H., Hwang, J. S., Ji, H. J., Ahn, H. and

Kim, D. H. : Efficacy of short-term growth hormone treatment in prepubertal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Yonsei Med. J. 55, 53 (2014).

28) Kriström, B., Aronson, A. S., Dahlgren, J., Gustafsson, J., Halldin, M., Ivarsson, S. A., Nilsson, N. O., Svensson, J., Tuvemo, T. and Albertsson-Wikland K. : Growth hormone (GH) dosing during catch-up growth guided by individual responsiveness decreases growth response variability in prepubertal children with GH deficiency or idiopathic short stature. J. Clin. Endocrinol. Metab.

94, 483 (2009).

수치

Table II − Comparison of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no more than 1 year and more than 1 year
Table III − Subgroup analysis for the children treated with growth hormone for no more than 1 year
Fig. 1 − Correlation between baseline age and increase in height SDS with growth hormone therapy

참조

관련 문서

Effect of amino acid addition in culture media on the mycelial growth and g-aminobutyric acid (GABA) production of Sparassis latifol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wimming program for 12 weeks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growth hormone in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ingle-parented children.. 2009년

It might also act in conjunction with a growth factor, such as bone morphogenic protein (BMP), insulin-like growth factor, or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The result suggested that a taekwon aerobic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growth hormone in blood lipid in middle school girls.. The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dditional charge on the detailed growth mechanism of Alq 3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  Each effect creates two positive loops: One increases sales through market share gains, and one increases sales through expansion of the total size of the market.. Chapter

Effect of caloric restriction on the expression of PGC-1 and PPARs mRNA in liver of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Long-lived growth horm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