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자아존중감 미치는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자아존중감 미치는 효과"

Copied!
9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9년 2월 석사학위논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 미치는 효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술심리치료전공

이 은 정

(2)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ingle-parented children

2009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술심리치료전공

이 은 정

(3)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노 은 희

이 논문을 디자인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9년 2월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미술심리치료전공

이 은 정

(4)

이은정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경 순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노 은 희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한 선 주

2009년 2월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5)

목 차

ABSTRACT ···ⅴ

제Ⅰ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제Ⅱ장 이론적 배경 ···7

1. 한부모가정 아동 ···7

2.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 ···9

3. 집단미술치료 선행연구 ···17

제Ⅲ장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선정 기준과 특성 ···20

2. 연구절차 ···21

3. 검사도구 ···21

4.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4

5. 자료처리 ···25

제Ⅳ장 연구결과 ···26

1.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변화 ···26

2.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 ···29

(6)

3. 동적가족화(KFD)의 변화 ···30

4. 행동변화 ···37

5. 회기별 과정 ···38

제Ⅴ장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1 ···60

부록2 ···78

부록3 ···80

(7)

표 목 차

<표 1> 높은 자아존중감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의 특성 비교 ···15

<표 2> 연구대상 특성 ···20

<표 3> 불안검사 역순영역 ···22

<표 4> 우울검사 하위영역과 신뢰도 ···22

<표 5> 자아존중감 척도의 4개의 하위척도 및 문항수 ···23

<표 6>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24

<표 7> 불안점수 사전․사후 비교 ···26

<표 8> 우울점수 사전․사후 비교 ···28

<표 9> 자아존중감 사전․사후 비교 ···29

<표 10> A아동 KFD 사전․사후 비교 ···31

<표 11> B아동 KFD 사전․사후 비교 ···32

<표 12> C아동 KFD 사전․사후 비교 ···33

<표 13> D아동 KFD 사전․사후 비교 ···35

<표 14> E아동 KFD 사전․사후 비교 ···36

<표 15>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한부모가정 아동의 행동변화 ···37

(8)

그 림 목 차

<그림 1> 불안의 사전․사후 그래프 ···26

<그림 2> 자기비하 사전․사후 그래프 ···28

<그림 3> 신체증상 사전․사후 그래프 ···28

<그림 4> 우울정서 사전․사후 그래프 ···28

<그림 5> 흥미상실 사전․사후 그래프 ···28

<그림 6> 행동문제 사전․사후 그래프 ···28

<그림 7> 총 자존감 사전․사후 그래프 ···30

<그림 8> 사회 자존감 사전․사후 그래프 ···30

<그림 9> 가정 자존감 사전․사후 그래프 ···30

<그림 10> 학교 자존감 사전․사후 그래프 ···30

(9)

ABSTRACT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ingle-Parented

Children

Lee, Eun-Jung Advisor: Prof. Dr. Noh, Eun-Hee Psychological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ingle-parented children.

For the purpose, we provid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five single-par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day program of H area in Korea. The program was provided a total of twenty sessions twice a week from July 7 - September 10, 2008.

The pre- and post- behavior of the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y changes as follows.

Subject A covered his face with a hood attached to his shirt and was reluctant to present his opinion before other people. Subject B had small voice and no confidence. Subject C had small voice and looked depressed. He hated to present his opinion. Subject D was negative and aggressive. He clung to a puppy instead of his family. Subject E did not have an appetite and looked depressed.

Subject A, didn`t wear the hood of clothes, didn`t veil the face and confirmed the teacher`s instruction. Subject B, spoke louder than before, the face got

(10)

lighted up, and had got self-confidence. Subject C, speaking word 'Annoying' was decreased and spoke louder than before. Subject D, had got positive mind to the family and didn`t stick to a puppy any more. Subject E, ate much, and laughed more.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therapy, we used a STAI-Ⅱ, a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a self-esteem test and a kinetic family drawing(KF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sed the change they show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consequence of researching about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that decreases the feeling of unrest of single-parent children, we learned the researching group quotient of the group art therapy decreases from ave, 45.4 to ave, 32.2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 examined measure Z is 2.023, attention probability is 0.043. Therefore statically the group art therapy to has an effect on decreasing unrest.

Second, according to consequence of researching about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that decreases the depression, the quotient of the depression down from ave, 18.8 to 12.8, it has effect on decreasing the depression.

Third, according to consequence of researching about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that has effected on self-respect, pre-self-respect score ave, 94.6 is up to 112.8 post-self-respect, therefore we learned the numerical average score is up largely and it had effect on developing the self-respect.

Finally, pre- and post- Researching KFD changing, it has effect the on decreasing unrest, inferiority complex and on having got positive mind.

(11)

제Ⅰ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가정은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생활을 배우는 인생의 출발점이며 처음으로 인간 관계가 형성되는 사회생활의 장이다. 인간은 가정에서 부모에 의해 양육되어 인격의 틀을 갖추게 되며 생활양식을 배우고 인간관계를 맺으며 적응해 간다. 따라서 가족 내 부모의 역할과 가정환경이 아동의 인격 형성에 매우 중요하며 현재와 미래의 행동이나 모습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이혼이나 별거 등으로 인한 형태적 결손이 많아지고 이밖에도 맞 벌이 부부의 증가 등 가족 구조적 변화에 따라 자녀와의 접촉 시간이 줄어들고 부부간 의 대화부족으로 갈등이 심화되는 경우도 늘어나 가정의 기능적 결손이 늘어나고 있 다. 이전에는 결손의 주원인이 부모사망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처럼 이혼 및 별거의 증가, 미혼모의 증가 등으로 결손요인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추 세는 아동복지에 대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가정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부모의 상 실이 유발되었을 때, 그 자녀는 특히 심리적 과정과 정신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며 부모가 있는 일반가정 아동보다는 결손이 있는 가정에서 더 많은 문제가 생 겨날 것이다.1)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이혼가구 수는 1970년대 1만 1천 가구에서 2000년에 11만 9 천 가구, 2003년에는 16만 7천 가구에 이르러 10배 이상이 증가 하면서 단독가구 1세 대 가구의 증가, 이혼 증가로 인해 한 부모가정 또한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경우에서는 1990년대 후반기에 이르러 한부모가정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부모가정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약 8.6%인 1,370천 가구로 2000년도 1,124천 가구에 비해 21.0%로 증가하였다.2)

이와 같이 한부모가정은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하나의 가족 형태로 점점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1) 조금란,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주시 초등학교 아 동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p.1-2. 참조.

2) 통계청, 2005 인구주택총조사(가구, 주택) 서울 : 통계청, (2006).

(12)

이러한 가족의 형태는 한쪽 부모의 부재로 가족이 수행해야 할 다양한 역할들을 상 실하게 된다. 한부모가정이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면 부나 모의 구조적 결손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 심리적 문제, 자녀양육 및 교육문제, 가사문제,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가 족 구성원의 신체적 및 심리적 역기능 등이 있다.3) 특히 한부모가정의 자녀들은 부나 모의 부재로 오는 슬픔이나 상실감 등의 감정처리를 해야 하는 심리, 정서적 문제와 생활상의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문제 등 다양한 위기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한부모가정 아동들은 안정성, 활동성, 사회성이나 책임감이 낮고, 우울, 불안, 공격성 등을 포함한 부적응문제, 낮은 자아존중감 등과 같이 내면적인 문제로 대인관계의 위 축, 학업성적의 하락, 불안, 우울을 느끼어 타인에게 의존을 하게 되어 대인관계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4) 이중에서도 특히 불안과 우울은 상당수의 아동들이 보이는 대표 적인 정서적 반응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시기 아동은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학 교생활에서 끊임없는 시험과 경쟁, 학업성적의 부진, 교사의 질책 등으로 인해 불안감 이 고조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우울 성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아동기의 불안 과 우울 증상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하고 가볍게 보아서는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불안감에 쌓인 아동은 건전한 자아의식을 갖지 못하여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또래관계 속에서 따돌림을 받거나 고립되기 쉽다.

특히 한부모가정에서 기인된 아동의 불안과 우울 증상은 외현적으로 표현되기보다는 아동의 내면적 상태로 잠재되어 있어 행동적인 문제들이 부모나 주위 사람들에 의해서 만 부적절하게 문제시되어 왔고, 아동 우울과 불안에 대한 임상적 관찰과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그러나 최근 정신과 병원을 찾는 환자 중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문제에 있어서 외현적 행동의 문제보다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내면적 인 문제가 더 심각한 정서장애로 나타났다.5)

한편 한 인간의 발달적 변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변인 중의 하나인 자아 존중감은 개인의 바람직한 적응 및 건전한 성격 발달과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소로, 인 간의 행동, 감정, 동기, 성취 및 인간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향을 미친다.

3) 박수현․전순영, <집단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족의 모-자 자아존중감 및 관계지각에 미치는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3호, (2004), pp. 427-453. 참조.

4) 김호연, <결손가정과 정상가정 자녀의 성격특성 비교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5), pp. 10-13. 참조.

5) 오경자, 이현지, 하은혜, 〈청소년기 정서 및 행동문제의 성차〉, 《소아 - 청소년 정신의학》, 16(1), (2005), pp. 117-123. 참조.

(13)

쿠퍼스미스(Coopersmith)6)는 개인의 삶에 있어서 타인으로부터 받은 존경과 수용, 인간적인 대우를 받았는지에 대한 대우의 양과 개인이 성취한 객관적 지위와 사회적 위치를 포함한 인생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 이 두 요소가 자아존중감의 형성에 중요하 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아동기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 시기 아 동들의 자신에 대한 견해는 성격 발달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미 형성된 자아상은 전 생애를 통한 성공과 행복, 실패와 불행이라는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밑거름이 된다.

이처럼 한부모가정의 아동이 가지는 문제들은 아동이 성장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한부모가정의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보다 자존감이 낮아 불안이나 분노, 우 울과 같은 정서를 경험하며, 대인관계에서도 위축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낮은 자아존 중감은 자신감이 없고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경우가 많고 욕구와 감정의 형 성이 자유롭지 않아서 자아존중감의 성장을 방해한다.7)

카알(Kahle), 쿨카(Kullka) 그리고 클링겔(Klingel)8)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 람은 부적응의 원인을 내적 원인으로 귀인하고, 원만한 대인관계와 상호작용을 형성

․ 유지하는데 주도적이지 못하여 자기비하적 경향을 보인다. 아동 및 청소년기의 낮 은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형성을 어렵게 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부적응을 초래할 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감을 더 많이 느끼고 반사회적 행동성향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부모가정이 된 아동은 정상가정 아동보다 불안, 우울이 높고 자존감이 낮아서 자 신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거나 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부모가정 아동의 정서적인 측면에 접근하는 구체적인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아직까지 많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아동이 자신을 표현하는 데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의 예술 활동을 활 용한 예술심리치료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미술이라는 매개체는 아동의 내면 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방어를 감소시키고,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6)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 W. H. Freeman, 1967), pp. 230-235. 참 조.

7) 강윤정,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자기표출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99), pp. 1-14. 참조.

8) Kahle, L, Kullka, R. A., & Klinger, D. M. Low adolesc

ent self-esteem leads to multiple interpersonal problem :A test of social-adaptation theory

(Journa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0) pp.

496-502. 참조.

(14)

발산시키고 약점보다는 장점에 근거하여 좌절감을 덜 느끼게 하고 언어표현, 자아표현 에 매우 큰 의미를 강조하며 집단의 역동을 통해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여 새로운 문제 해결을 유추해 나가는 집단미술치료가 연구되고 있다.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심리치료에 미술을 도입한 것으로써 여러 사람이 집단에 참여하 게 되므로 하나의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되어서 개인 혼자만이 치료할 때보다 더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으며, 새로운 잠재적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아동이 흥미 를 지니는 다양한 매체와 자유로운 미술방법을 통해 인간의 내재적 갈등을 해소하고 자신의 감정을 비언어적인 미술매체와 행위로 표현하여 언어에 대한 불안감 및 공포를 감소시킨다.9) 그러므로 우울 아동이나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에게 있어서 자신을 표 현하기에 비교적 심리적 부담과 저항이 적은 정서적 개입으로 미술을 통해 더욱 더 분 명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고 긴장이나 불안을 완화시켜 미술경험을 통해 자기인식, 자기개념, 자기존중, 그리고 자기성장을 발달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이에 집단미술치료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성, 자아존중감 증진과 불안,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상의 증진, 자기인식변화, 집단원간의 상호작용과 감정의 승화된 표현 을 증진시킨다.10)

이와 같이 한부모가정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사례가 다수 보고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감소, 자아존중감 향상에 관한 집단미술치료 연 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존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아동의 불안/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9) 김태은, <저소득층 한부모 가족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활동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pp. 3-12. 참조.

10) 김경은, <자아개념 증진 집단미술활동이 아동의 공격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pp. 2-16. 참조.

김미영,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논문. (2000), pp. 3-5. 참조.

(15)

제2절 연구문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불안 및 우울 수준을 감소시킬 것인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행동 관찰을 통한 불안, 우울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

제3절 용어의 정의

1. 집단미술치료

집단미술치료는 집단 심리치료에 미술을 도입한 것으로 언어적 자기표현이 미숙한 아동에게 비언어적 심상을 통해서 자신을 표출할 수 있도록 돕고 집단활동의 체험을 함으로써 집단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치료의 효과를 올리려는 방법이며 아동의 심리 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기법을 응용하여 한부 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감소와 자기존중감 향상을 위해 아동에 맞게 연구자가 주 2 회, 각 60분씩 총 2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 한부모가정 아동

한부모가정은 별거․사별․이혼․미혼모 등의 사유로 인하여 부․모 중 한쪽만 있거 나, 법적․현실적으로 부모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가족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 아동’을 부모의 이혼 등의 사유로 여성 한부모 혹은 남성 한부모와 생활하고 있는 학령기 아동을 말한다.

3. 불안

불안이란 대상이 알려지지 않은 내적․외적인 힘에 의해 존재의 위협을 예견할 때 정신적․신체적으로 경험되는 불쾌한 감정으로서 생리적인 활성 또는 각성을 동반하며

(16)

주관적 긴장감을 특징으로 하는 복잡한 반응 형태로 외계상태․지식경험에 의해 조건 화 되어지며 일상 생활속에서 직면하는 위협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개인의 특성이다.

본 연구에서의 불안이란 특성불안을 말하며 슈필버거(Spielberger)11)가 개발한 상태- 특성불안척도를 김정택12) 이 번역하여 사용한 상태-특성불안 척도로 측정된 점수로 나타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심함을 의미한다.

4. 우울

우울은 슬픈 감정, 외로움 등의 정서적 증상과 죄의식, 무가치감, 사고력 및 주의력 저하, 자살에 관한 생각과 같은 인지적 증상, 불면증, 식욕감퇴와 체중감소, 피로감 등 의 생리적 증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심리 상태를 느끼는 것을 말한다. 아 동이 자기 스스로 자신의 우울 정도를 보고하는 CDI는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신체 증상의 다서 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우울 코바츠 (Kovacs)13)이 개발한 아동용 우울검사(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를 통해 사전․사후 비교하여 제시 하였다.

5.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에 대해 쿠퍼스미스에 의하면 가치롭고 중요하며 유능한 존재로 믿고 느 끼는가의 주관적 자기평가이다. 즉, 자신이 능력 있고, 중요하고, 성공여부 등을 개인적 으로 평가 판단하는 것 이라고 하였으며 가치 있다고 믿는 정도를 가리킨다. 본 연구 에서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다양한 속성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 으로 자아존중감을 자아개념과는 구분된 개념으로서 자신의 속성에 대한 주관적인 평 가에 수반되는 감정상태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쿠퍼스미스의 자아존중감 검사지(Self-Esteem Inventory) 최보가와 전귀연14)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활용한다.

11) Spielberger, C. D.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970), pp. 135-140. 참조

12)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 Spielberger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한국판.

13) Kovacs, M. "The Children's deperssion Inventory : A Self-rated Depression Scale for School-aged Youngster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Pittsburgh. (1983), pp. 149-150. 참조.

(17)

제Ⅱ장 이론적 배경

제1절 한부모가정 아동

1. 한부모가정

한부모가정은 부모 중 한쪽의 사망, 이혼, 유기, 별거로 인해 부자 혹은 모자와 자녀 와 이루어진 가구를 말하는 것으로, 결합형태에 따라 여성 한부모가정과 남성 한부모 가정으로 구분된다. 가족복지의 관점에서는 ‘편부모 가족’, 모자복지법에 근거한 행정적 인 관점에서는 ‘편부모 가정’, 통계청에서는 ‘편부모 가구’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서는 한국여성민우회를 중심으로 결손, 결핍의 의미가 강한 ‘편부모’라 는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 ‘온전한 하나의 가족’이라는 의미로 ‘한부모’라는 용어를 사 용하고 있다. 이는 가족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단지 한부모만 있더라도 정상적 인 가족의 범주로 보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한부모가정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해석되어 왔다. 슐레진저 (Schlesinger)는‘부모 중 한쪽과 18세 이하의 자녀가 함께 사는 부모-자녀 집단’이라고 보았고, 어겐(Again), 아드너(Orthner), 브라운(Brown), 퍼거슨(Ferguson)등은‘한가정에 서 사는 한쪽 부모와 요보호아동으로 구성된 가족’으로 정의하였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2006) 의하면 1990년대 후반기에 이르러 한 부모가정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약 8.6%인 1,370천 가구로 2000년도 1,124천 가구에 비해 2006년에는 21.0%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 인 사회현상에 그치기보다는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화, 여성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과 역할의 활성화, 그리고 전반적인 사회규범과 가치관의 변화가 가져온 결 과로써 우리 사회에서 상당기간 동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부모가정이 겪고 있는 문제를 살펴보면 한쪽 배우자의 부재로 인하여 경제적 문 제, 자녀문제, 건강 및 의료의 문제, 심리 사회적 자원의 문제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도 경제적 문제와 자녀문제가 한 부모가 느끼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여기고 있다. 남 성 한부모가정은 어머니의 부재로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고,

14) 최보가, 전귀연,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2(2), (1993), pp. 41-54. 참조.

(18)

여성 한부모가정에서는 생계를 담당하던 아버지의 부재로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 게 된다.15) 또한 한부모가정은 다수가 가족구조의 해체로 인하여 빈곤한 상태에 있고, 가족구성원의 보호와 정서적 결속을 위하여 가정관리상의 문제, 특히 모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가사노동의 대체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부의 부재로 자녀양육 및 교육 상의 문제, 사회적 참여기회의 부족, 대인관계의 결여와 같은 사회적 고립이나 위축문 제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16)

우리 사회에 한부모가정이 적지 않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들의 자녀에 대한 복지, 교 육, 정서적 지원에 대한 사회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을 이혼이나 사별로 인해 부자 혹은 모자와 자녀로 이루어 진 가구를 말한다.

2. 한부모가정 아동의 특성

현대사회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사회구조가 가족구조 및 기능상의 변화를 가져왔 고 이로 인해 부모의 이혼, 사망, 별거 등으로 가족해체 현상이 증가하여 한 부모가정 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써 많은 아동들이 부적응을 경험하게 되어 우울, 불안 등의 심 리적, 정서적문제와 비행, 공격성 등의 행동문제에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사별의 경우 한쪽 부모가 다른 한쪽 부모와 죽음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부모의 죽음에 대한 자녀의 반응이 결정된다. 에밀리(Emilly)17)는 부모 사후에 자녀가 보이는 반응으로 낮은 성취도, 사회적 관계에서의 위축, 불면증, 우울 등이 나타난다고 했다.

이혼의 경우 사별보다 더 큰 충격이 되는데, 가정이 주된 기능을 맡고 있는 부부가 이혼에 이르기까지 그 자녀들은 부부간의 갈등과 가정불화를 경험하면서 심리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혼 후 자녀들은 부모의 결별 이후 정서적 불안을 느끼며 고통 을 받는다. 그 반응은 연령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취학 전 아동의 경우 부모 의 별거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면서 혼란과 두려움을 가지는 반면에 취학 아동들은 부 15) 박충선,정영숙, <양부모가족과 편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지》, 6(3), (1999), pp. 217-236. 참조.

16) 임채은, <편모의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pp. 5-8. 참조.

17) Emilly S. Harris. Adolescent bereavement following the death if parent : an explatory study. (Child Psychiatry and Development 21, 4, 1992), pp. 30-35. 참조.

(19)

모의 이혼 사유를 보다 잘 이해하지만 자신의 장래에 미칠 영향을 걱정하며 심한 적개 심을 표출하기도 한다.18)

또한 한부모가정은 형태에 따라서 자녀가 받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부자 가정은 아동의 건전한 성장에 필요한 모성과의 상호작용, 정서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애정적 역할, 여아의 동일시 대상이 결핍되기 때문에 자녀의 건전한 성격형성을 저해 하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모성실조 가정의 자녀는 감정 통제력 결핍, 죄의식 결여, 대 인관계에서의 문제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반면 모자가정인 경우에는 경제문제로 인 한 긴장감과 그로 인한 심리적인 불안감을 가지게 되고, 이웃이나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열등감이나 수치감을 느끼게 된다.19)

선행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한부모가정 아동들이 지니거나 지닐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 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첫째, 한부모가정 아동은 사회적 역할을 습득하지 못하고 소극적이며 대인관계가 열 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대부분의 한부모가정 아동은 생활관리자인 부나 모의 부재로 인해 자신의 생 활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한부모가정 아동의 낮은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한부모가정 아동이 겪고 있는 어려운 상황은 아동의 인성 및 정서 발달과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아동의 낮은 자아존중감, 열등의식, 대인관계의 위축, 자기통제의 어려움, 부적응 등 여러 가지 어려움과 부정적 정서를 경 험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절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

1. 불안

불안은 매우 복잡하고 다면적인 개념으로서 인간의 정서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데 이는 어떠한 대상이나 사물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것과 같이 환경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무기력을 말하며 불안으로 인해서 불 확실성, 무기력감, 생리적인 각성 등의 증상을 경험하기도 하는데 불안의 대상이나 목 18) 여성한국사회연구회, 《가족과 한국사회: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삶 읽기》 (경문사 ,2001), pp. 15-17 참조.

19) 채명숙, <결손가정이 아동의 성격차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p. 8.

(20)

적이 분명한 경우도 있지만,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내적 충동이나 외적자극에 의 해 나타나기도 한다.

불안의 개념에 대해서 학자들마다 각기 다른 견해를 보이는데 슈필버거는 불안에 대 한 정의를 종합하여 불안을 일련의 정서적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는 긴장감 과 염려, 증대된 자율신경계통의 활동으로 특징 지워지는 유동하는 정서 상태나 조건 으로 불안을 정의하고 이런 불안을 특성불안(trait anxiety)과 상태불안(state anxiety) 으로 나누었다. 슈필버거는 특성불안을 객관적으로는 비 위협적인 광범위한 상황들을 위험한 것으로 지각하게 만드는 습득된 행동경향으로 설명한다. 이에 비해 상태불안은 보다 일시적인 정서적 흥분상태로 시간에 따라 그 강도가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상태 불안은 상황 속에서 위협이 지각될 때 나타나는 것으로 자율신경계가 활발해지면서 동 시에 긴장감과 걱정이 생긴다. 특성불안이 높은 사람은 자기 비난적이며 자기 자신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하고 있다. 자기 존중감과 관계된 검사 상황, 실패가 예측되는 상황, 자신의 능력과 관계된 상황일 때 특성불안이 높은 사람은 더 큰 위협을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난다.

특성불안이 높은 사람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크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이나 행동이 중요한 요인이 되는 수행 시 어려움을 겪는다. 실패와 자신의 능력이 관계된 수행은 특성불안이 높은 사람에게 자기 비난적이기 때문에 신체적인 위협 상황보다 자기 존중 감이 문제되는 상황일 때 높은 수준의 상태불안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불안을 설명하는 프로이드(Freud)20)는 불안을 처음에는 부적절하게 해소된 성적충동 과 해소되지 못한 흥분으로 생긴 긴장상태가 변화된 것이라고 보였지만 후의 많은 임 상결과에 의해서 불안은 자아의 기능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객관적이고 알아볼 수 있 는 출처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현실불안과, 자아가 무의식적 갈등 조절에 실패하므로 느끼게 되는 신경증적 불안, 그리고 도덕적 불안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아들러(Alder)21)는 불안을 대인관계로부터 비롯되는 열등감과 열등의식 때문으 로 보았고, 불안은 혼자가 아닌 타인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인간은 생애 초기부터 불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인간적이고 사회 적인 관계의 회복을 통해서 불안이 해소될 수 있다.

20) Freud, S. Inhibitidous, Symptoms, and Anxiety. (In the Major Works of Sigmund Freud, Chiago : Encyclopedia Britannica Inc. 1939), pp. 807-884. 참조.

21) Adler, A.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trans H. L. (Ansbacher, & R. R. Ansbacher, New York : Basic Books, 1956), pp. 305-430. 참조.

(21)

불안은 사회적, 환경적 조건하에서 형성되며 유아기 때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 치는데 유아가 불안감정을 느끼게 되는 요인들에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지배, 무관 심, 아동의 개인적 욕구를 존중하지 않는 것, 과잉보호, 다른 아이로부터의 격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유아와 애착대상인 부모와의 안정적인 관계를 방해하는 모든 요 소들이 기본적인 불안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2)

불안은 사회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발생하므로 아동의 대 인관계 행동과 심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불안장애가 있는 아동은 자기주장이 약하고, 더 수줍어하며, 더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 회적으로 매우 불안감을 느끼는 아동은 그 강도가 덜한 아동보다 부정적 자기 지각과 낮은 수준의 자존감을 보였다.

2. 우울

우울은 누구나 일생동안 여러 번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슬픈 감정이나 침울 한 기분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우울증은 성인의 우울증에 비해 그 진단이 애매한 것으로 DSM-

Ⅳ에서는 아동기 우울증이라는 별도의 진단을 제시하지 않고 성인에게 사용되었던 기 준을 사용하고 있고, 사춘기 전 아동의 우울증은 반복된 격리 불안의 경험과 연합된 것으로 불행한 기분, 흥미의 상실, 식사와 수면 등의 신체활동의 변화, 피로, 무가치함, 집중곤란, 자살에 대한 생각을 포함하여 나쁜 신체적 발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아동기 우울은 시간과 정도에 대한 감각이 다르고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정상적으로 정서가 가볍고 불안하다. 뿐만 아니라 학령기 전까지는 현 실 판단력이 부족하고 자기중심적이어서 논리적 사고 과정을 통해서는 심리적 고통으 로부터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부인(denial)을 주된 방어기제로 사용하여 일시적 이기 가 쉽다. 그러나 점차 후기 아동기가 되면 내적 경험에 대하여 숙고하는 능력이 생기 고 정서 조절 면에서도 상호작용에 의한 의존 상태에서 벗어나서 개인 내적인 조절단 계로 이행하므로 성인의 우울증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벡(Beck)23)은 우울증 환자의 사고 내용은 주로 생활에서의 중대한 상실에 관한 것이 22) 계은주, <특성불안과 우울수준에 따른 자아방어기제 사용>, 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논문. (2001), p. 8.

23) Beck, A. 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 (New York :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6), pp. 95-105. 참조.

(22)

라고 하였다. 우울증 환자는 그의 행복이나 안정에 있어서 기본적인 것을 상실했다고 지각하고, 어떤 중요한 과제로부터 부정적인 결과를 기대한다. 그리고 중요한 목표를 성취하는데 필요한 속성들이 자신에게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상실과 부정적인 기대 는 슬픔, 실망 그리고 무감동과 같은 우울증과 관련된 전형적인 정서들을 초래한다.

우울을 분류해 보면 가면성 우울증과 급성 우울증 및 만성 우울증으로 나눌 수 있 다. 가면 우울증은 겉으로는 보기에 전혀 우울하게 보이지 않는 행동으로 표출되는 수 가 있고 이것은 지나친 행동이나 비행 같은 문제들의 위장된 형태로 아동의 우울증이 나타나는 경우인데 이런 현상들이 매우 보편적이고 우울증으로 진단되지 않을 수도 있 다고 보고하고 있다.

발달단계에 따른 우울증상을 살펴보면 유아기에는 울음, 반항, 철회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아동전기에는 슬픔, 무기력과 같은 정서적 우울감을 경험하고 이를 언어적 으로 표현하기도 하며 아동 후기에는 점차 청소년기와 성인기에서 나타나는 죄책감, 자기비하, 자아존중감의 저하 등으로 일시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24)

우울한 아동은 슬픈 감정과 위축되어 보이기도 하며 다른 반응이나 태도 때문에 감 정은 위장되어 보이기도 한다. 전형적으로 우울은 무기력하거나 무가치감, 의기소침, 공허감, 절망감, 과도한 죄의식 또는 통제할 수 없는 울음 등의 감정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절망감은 심오하거나 종종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의 죄책감을 포함한다. 또 한 아동 생활이나 가족생활 상황의 변화를 원하는 것을 표현하나 성취 가능 여부를 불 가능하게 보아서 미래에 대해서 절망감을 나타내 보인다. 또 다른 아동에게는 분노, 흥 분 또는 공격적인 행동을 통해서 우울이 나타나기도 하며 품행장애로 진단되기도 한 다. 아동기 우울증은 첫째는 시간과 정도에 대한 감각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아동은 자 신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끝없이 계속하려는 반면 실망, 또한 쉽게 잊지 못하고 계속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정작 시간이 지나면 변할 수 있다는 미래와 같은 시간 적 개념에 대해서는 알지 못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아동은 자신의 감정이나 불편함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이를 신체적으로 호소하거나 행동으로 표현하기 쉽 고, 셋째는 정서가 불안정하고 감정이 쉽게 드러나는 특성이 있으며 넷째는 현실 판단 력이 부족하여 주로 부정과 무관심, 책임회피의 방법을 쓰고 자기중심적이어서 현실적 사실을 구분하여 처리하지 못한다. 다섯 번째는 후기 아동기에 가서는 죄책감을 느낄 수 있어 그 이전까지는 뭔가 나쁜 일이 있을 때 자신을 비난하기보다는 환경을 탓하는 24) 김은정, 오경자, <발달적 관점에서 본 아동 및 청소년기 우울증>,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3(1), (1992),

pp. 117-118. 참조.

(23)

성향이 많다고 한다.25)

오승환26)은 한부모가정의 아동이 정상 가정 아동보다 우울, 불안의 정도가 높다고 하였고, 편부가정의 아동이 가장 큰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한 한 부모가정 아동은 비 양육 부모의 상실과 부양자와 양육자 역할을 하는 양육부모와의 접촉하는 시간부족과 갈등으로 우울성향을 더 많이 지각할 수 있다.27)

이와 같은 연구들에서 볼 때 아동기 우울은 내면화 장애로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산만하고 과격한 행동장애와 같은 외현화 장애군 아동들 보다 조기에 치료에 개입되어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적다. 특히 한부모가정 아동의 부모의 상실에서 오는 스트레스 상황은 우울을 증가시켜, 성인기까지 우울을 지속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아동에 관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3.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지니고 있는 생각, 판 단, 태도, 감정, 행복 및 기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스스로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게 여기는 감정이다.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 자아가치, 자아의식, 자아동일성, 자기이행, 자기확신, 자기수 용, 자아상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이 중 특히 자아개념(self-concept) 과 자아존중감(self-esteem)은 혼동하여 사용하기 쉬운 단어이다.

자아개념은 자신을 대상으로 볼 때 자신에 대해 갖는 개인의 인지와 감정의 총체이 므로 자아존중감보다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자아존중감은 자 신의 특성, 능력, 그리고 행위에 대한 그 자신의 판단과 평가를 나타낸다.

로젠버그(Rosenberg)는 자아존중감을 하나의 특별한 객체, 즉 자아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태도라고 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을 가치로운 존재, 자신을 존경 받을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며, 자신에 관해서 긍정적 으로 느끼는 정도라고 하였고 낮은 자아존중감은 자기거부, 자기멸시, 부정적인 자기평 가를 나타낸다고 하였다.28)

25) 문세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위축행동 및 우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 19.

26) 오승환,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 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2, (2001), pp. 77-107. 참조.

27) 유안진, 이점숙, 서주현,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23(5), (2005), pp. 123-132. 참조.

(24)

하터(Harter)29)는 자아존중감이란 개인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또는 자기행동 의 결과에 대한 관찰 및 해석과 사회적 학습 등의 과정을 통해서 획득해가는 자아 평 가적 신념이라 하였다.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가치로운 존재로 인식하는 평가 적인 태도이며 감정적, 정서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자아존중감은 자기 자신을 스스로 가치 있고 능력 있는 존재로 인식하면서 각 개인의 내면에 지니게 되는 강력한 힘으로써, 외적인 성공이나 실패보다는 오히려 내 면적인 정신적 기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미래의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 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정신적 원천이다.

자아존중감 형성에 작용하는 주요 과정은 크게 네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주위 인물들로부터의 반응과 평가를 통해 자신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형성해 간다는 것이다. 즉 가족원이나 가까운 사람들의 지각에 의존하여 자기를 지각하고 경 험하면서 그들의 행동에 반사되어 있는 자신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하여 형성해 가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둘째. 자신이 주위 인물들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에 대한 평가와 판단을 내리고 그러 한 비교의 결과에 따라 자신의 다음 행동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셋째. 주위에 대한 자신의 행위결과에 의하여 자신의 역량 또는 자신의 가치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고 보는 것이다.

넷째. 독자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과 인간관계, 그리고 삶을 안 내해 줄 가치관과 자신을 이끌어 줄 인생목표에 대해서 독자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위협적인 상황이나 독자적으로 사고하고 생각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획득 할 수 있 다.30)

자아존중감 발달은 인간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사회적 환경내의 주요 인물들 중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면서 최초로 대면하고 관계를 맺는 어머니를 비 롯하여 친구, 교사, 등에 대한 지각 및 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평가하기 시

28) 김윤경, <미술치료가 학대받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출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1), pp. 6-7. 참조, 재인용.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pp. 35-60. 참조.

29) Harter, 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1982), pp. 87-97. 참조.

30) 강승규, <소아기 우울증-소아기 우울증 개관과 발달학적 측면>, 5, (1992), pp. 3-11.

(25)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

안정감

․ 새로운 과제에 의욕적으로 접근.

․ 권위에 대해 편안히 느낌.

․ 세상을 긍정적으로 조망.

․ 교사의 관심을 적절하게 구함.

․ 새로운 과제를 두려워함.

․ 권위에 대해 저항과 도전.

․ 비현실적인 두려움을 표현.

․ 잘못된 행동으로 관심을 구함.

정체감

․ 느낌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

․ 관심의 범위가 넓음.

․ 비평이나 자신과 다른 사람의 의견 에 방어하지 않고 수용함.

․ 느낌 의견의 표현을 꺼려함.

․ 관심의 범위가 협소함.

․ 비평이나 자신과 다른 사람 의견에 극도로 민감함.

작한다. 이들에게 인정과 수용은 자아존중감과 긍지를 심어주지만 거부와 멸시는 자아 존중감을 손상시킨다.

가정에서 부모의 긍정적인 반응과 강화는 자녀로 하여금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에 중 요한 기여를 하므로 자기수용과 정서적 안정감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칭 찬과 인정을 자주 하고 지지해 줄 필요가 있다.

쿠퍼스미스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활동적이고 표현이 풍부하며 학업에서나 사 회활동에서 성공적이고, 다른 사람과의 토론에서 적극적이며 다른 사람의 비판에도 크 게 당황하지 않으며, 일상생활에서 불안해하지 않고 그들 자신에게 덜 몰두하므로 대 회적인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 할 수 있고 지도자적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로젠버그의 연구에서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여 모험하는 일이 적고 타인에 대한 필요 없는 신경과 의존심이 많아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해 나가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한 낮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열등의식과 낮은 안 정성, 사려성, 책임성 및 부정적 결혼관, 부적응, 충동성, 비행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 로 보고하고 있다.31) 강위영32)은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의 특성을 다음 같이 비교했다.

<표 1> 높은 자아존중감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아동의 특성 비교

31) 양소영, <편부모 가족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p. 2.

32) 강위영, 《아동의 이해와 심리 ․ 행동 치료 교육》 (대구 : 대구대학교출판부, 1997), pp. 370-371.

(26)

소속감

․ 타인의 감정에 민감함.

․ 타인의 성취를 인정함.

․ 확고한 우정을 유지함.

․ 타인의 감정을 무시함.

․ 타인의 성취를 불인정.

․ 우정형성과 유지가 어려움.

목적

․ 자신의 방향을 세우고 목적 지향적.

․ 배우고 행하는 것에 관심과 열정을 보임.

․ 높은 기준을 세우고 열심히 공부함.

․ 지루해 보이고 쉽게 포기.

․ 노력을 거의 하지 않음.

․ 독립심, 방향감이 거의 보이지 않 음.

유능감

․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자부심 가 짐.

․ 책임감을 수용함.

․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정하고 수용함.

․ 자신이 할 수 있는 것도 다른 사람 에게 의지함.

․ 책임을 회피함.

․ 자신의 강점, 약점을 수용하지 못 함.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가치 있게 보는 평가적인 태도 이므로, 자신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자신을 포함한 주위 환경과의 관계의 질을 결정한 다. 또한 사회적응의 중요한 요소인 대인관계, 안정감과 소속감, 자신감, 성취감 등과 연결이 되어 결국 성공적인 사회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 는 수용적이고 지지적이며 일관된 양육태도를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김소연은 편부, 편모 가정환경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편부, 편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보다 대체로 낮은 편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인간관계의 크기가 작고, 수 용과 지지를 받지 못해서 자아존중감이 정상가정 아동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고 밝혔다.33) 권영미는 이혼가정 아동과 양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비교 연구 결과에서도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양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의 이혼으로 정서적, 심리적으로 아직 혼란스러우며 이혼 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인 시각과 평가로 자기를 낮추게 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34) 33) 김소연, <편부, 편모 가정환경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학위논문.

(2002), pp. 59-64. 참조.

34) 권영미, <부모의 이혼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p. 44.

(27)

발달과정인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은 청소년기, 성인기로 성장하면서도 지속적인 영향 을 미치며, 성격적인 발달과 가치관, 자아개념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그래서 아동기에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제3절 집단미술치료 선행연구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치료에 미술을 도입한 것으로, 집단미술치료에 매체가 되는 미 술은 내담자의 내면에 간직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것을 돕고, 언어로서 부딪 치는 감정의 위기를 완화시킬 수 있으며, 카타르시스 효과를 가지는 것과 함께 감정 교류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는 집단 구성원에게 집단의 한 일원으로서의 개인적 체험을 통해서 자기통찰을 하도록 돕고, 나아가 자신의 이미지를 시각화한다는 점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정신세계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35)

또한 개인미술치료보다 집단미술치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자기개방이 집단 활동을 통 해서 증가될 수 있고 또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의식하게 하며, 나아가서는 그 문제를 표출하고자 하는 의욕도 불어넣어 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36)

집단미술치료의 장점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부정적인 자기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통 찰,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자긍심 증진 형성의 기회를 줄 수 있고, 집단 속에서 여러 가 지 생활상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태도와 자기관리능력을 습득하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 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자발적으로 많은 경험을 표현 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사람을 의식할 필요 없이 먼저 미술재료에 그들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 기 때문에 자기 표출이 위협적으로 느껴져 집단을 회피하는 사람에게 유용하다.

셋째, 작품 자체가 집단과 개인에게 상징적으로 의미를 줄 수 있어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사람에게도 자기표현의 기회를 줄 수 있다.

넷째, 집단 원 모두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어 개인적 경험과 집단적 경험을 함께 제 공한다.

35) 한국미술치료학회 편,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1994), pp. 18-20. 참조.

36) 김희은,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원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2), p. 46.

(28)

다섯째, 미술은 상호작용을 쉽게 유발시키고, 의식의 검열을 적게 받도록 하기 때문 에 문제 행동 양식이 빨리 의식되어 집단 진행 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성을 가 진다.37)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집단미술치료과정은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므 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생기게 하고,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에게 대한 사랑을 배우고 자신의 장래에 대한 희망도 갖게 된다.

또한 비슷한 욕구를 가진 아동끼리 서로 지지해 주고 문제해결을 도와주며 다른 집 단원의 피드백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

그러므로 집단미술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기여는 이미지의 공유이며 타인과 함께 우 리의 경험의 양상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며 내재화된 이미지에 의해 느끼게 하고 다 른 구성원들과 의사소통하게 되어 자기탐색을 조명한다.

집단미술치료에 관한 국외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크라머(Kramer)38)는 미술치료를 공 격성이 있는 아동과 우울 성향이 있는 여성에게 실시한 결과 자신의 정서를 포함한 이 미지를 창출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 하였고, 디릭 헨리(Diric-Henry)39)는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효과적으로 자기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우울 과 불안을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오미지오(Omizio)와 미가엘(Michael)40)는 초등학생 50 명을 대상으로 미술활동을 적용한 집단상담의 효과에서 활동하지 않은 아동에 비해 활 동에 참여한 아동들이 사회적으로 동료관계가 향상되고 학교생활과 관련하여 자기존중 감 점수가 향상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국내 선행연구논문은 90년대 중반부터 연구보고 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집단미술치 료를 통해 공격적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되었고, 일탈행위를 일삼 는 여학생을 대상으로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집단원 모두의 자존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도벽, 집단폭행, 가출 및 폭 언, 폭행 등 일탈행위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41)

37) 이민정, <집단미술치료가 편모가족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과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3), p. 7 재인용

38) Kramer, E. Art as therapy with children. (New York : Schocken Books, 1971), pp. 80-95. 참조.

39) Diric-Henry, Lee. Pottery as Art Therapy with Elderly Ne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4, 1997), pp. 163-171. 참조.

40) Omizio, Michael M, & Omizo, Sharon A. Art Activities to improve Self-Esteem among Native Hawaiian Children. (Joural of Humanistic and Delvelopment, 27, 1989), pp. 167-176. 참조.

(29)

미술치료의 활동이 자신의 장점이나 능력을 부각시키는 주제일 경우는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데 도움 을 준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들은 자율적인 선택이나 결정, 개인적 선택이나 색상 의 선택,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나는 어떻게 나타낼 것인가를 대해 의지적인 선택과 결정을 하고 책임을 지는 집단 활동을 경험하게 되면서,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가지게 된다.42)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완벽하게 표현하지 않아 도, 토론과정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눔으로서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여유 를 갖게 되며, 말과 행동이 편안하고 자연스러워진다.

이와 같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내면의 욕구불만을 해소하면서 자기인식, 자기표 출, 자기수용, 자기통찰로 자발성이 향상되고 불안, 우울감소와 주의력을 집중시켜주고 충동성을 억제시키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는 연구논문들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하지만 불안과 우울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함께 보는 선행연구 논문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자는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아동의 불안/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41) 백양희,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 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5(2), (1998), pp. 145-162. 참조.

42) 전미향,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pp. 11-12. 참조, 재인용.

(30)

대상

아동 성별 연령 가정형태 학업

수준 개인별 특성

A 남 11세

․할머니

․아버지

․형(중2)

․부자가정

․ 할머니께서 돌봐주시고 형이 있음.

․ 훈육 시 채벌을 심하게 하심.(아버지)

․ 문제아동들과 잠시 어울렸으나 현재는 어울리지 않으며 학교에서 ‘일짱’으로 알려져 있고 행동지 도와 학습지도에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 다시 문 제행동이 나타남.

B 여 10세

․언니(초4)

․여동생(2세)

․어머니

․모자가정

하 ․ 기초생활수급자이며, 어머니는 식당에서 일하심.

․ 어머니와 언니의 성격이 강함.

C 여 12세

․오빠(중2)

․여동생(7세)

․어머니

․모자가정

․ 기초생활수급자이며 오빠와 동생 성이 다름.

․ 어머니는 마트에서 일하심.

․ 낯가림이 심하고 불만과 불평이 심함

․ 또래보다 동생들과 어울림.

․ 동생을 돌봐야 함.

D 여 10세 ․오빠(초4)

․아버지 하 ․ 대상아동 E와 남매.

․ 오빠와 자주 다툼.

제Ⅲ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대상 선정 기준과 특성

1. 연구대상 선정기준

본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H지역 공부방에 다니는 한 부모가정 아동 3,4,5학년인 아 동을 대상으로 아동용 우울검사(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 CDI)를 실시하여, 이들 가운데 우울 점수가 높은 아동 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대상 특성

<표 2> 연구대상특성

(31)

․부자가정 ․ 어머니와 가깝게 살고 있음.

․ 주장이 강하며 언니, 오빠들과 다툼이 잦음.

E 남 11세

․여동생(초 3)

․아버지

․부자가정

․ 컴퓨터 게임을 좋아해서 3~4년간 문제행동을 보였으나 현재는 컴퓨터 게임을 줄이고 또래아이들과 활동함.

․ 아버지의 늦은 귀가로 9시까지 밖에서 놈.

․ 꼼꼼하고 섬세함.

제2절 연구절차

1. 실험장소 및 기간

연구 장소는 전라남도 H군에 소재한 S공부방 내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고, 연구 기간은 2008년 7월 7일부터 9월 10일까지 주 2회 매 회기 당 60분간 20회기를 실시하 였으며 사전․사후검사는 S공부방 담당 선생님의 도움을 받았다.

제3절 검사도구

1. 불안

슈필버거가 제작한 상태-특성불안검사(State Anxiety Inventory : STAI)를 번안한 김정택(1978)의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 특성불안검사(STAI-Ⅱ)를 사 용하였다. 특성불안이란 비교적 안정된 성격 특성의 불안으로, 비교적 지속적이며 개인 차를 지닌 동기나 획득된 행동성향(Predisposition)을 말한다. 총 20문항으로 4점 척도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7문항은 역순으로 계산된다. 총 점수는 20점에서 80점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서 불안을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나타낸 다. 여러 연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는데, 그 중 김순이(1984)의 타당도 분석결과는 .89였고, 배미현(1995)의 Cronbach a= .86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

(32)

<표 3> 불안검사

역순 문항수 문항번호

7 1, 6, 7, 10, 13, 16, 19

2. 우울

본 척도는 코바츠와 벡(1977)이 만든 성인 우울 척도(BDI)의 아동용 수정판으로 조 수철과 이영식(1990)의 번안하고 표준화한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 CDI)'이다. 초등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수철, 이 영식에 의하면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2, 이다. CDI는 만8세에서 13세까지의 아동 대 상으로 사용하므로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동은 각 문항에 제시되어 있는 3개의 서술문 중 지난 2주일 동안의 자신을 가장 잘 묘사하는 서술문을 고르게 된다. 우울 증상에 따라 0점에서 2점까지 채점된다. <표 4>과 같이 5 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는데, 하위영역과 신뢰도는 이와 같다.

<표 4> 우울검사 하위영역과 신뢰도

하위영역 문항수 문항번호 신뢰도

자기비하 4 5,6,7,14 .67

신체증상 4 16,17,18,19 .55

우울정서 5 1,8,10,20,24 .70

흥미상실 7 2,4,12,21,22,23,25 .62

행동문제 7 3,9,11,13,15,26,27 .56

3.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에는 집단 자아존중감과 개인 자아존중감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 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더욱 많이 향상될 수 있다고 예측되는 개인 자아존중감을 다룬 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 중감 척도를 활용한다. 이것은 자아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를 나타내는 32개 의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참조

관련 문서

The self-esteem scale used comprehended Coopersmith's (1967) Self-Esteem Test and Lee Yeong-seon's (1997) Measures for Adaptation to School Life, composed of

The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the influence on self-esteem of children applying the MMTIC Growth Program to help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as well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Using Neurofeedback on EEG Changes and Self-Efficacy of Office Workers..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Voice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Creative Self-Efficacy and Change.. Self-Efficacy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factor and self-esteem formation, human relation factor as an interest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y on the Physical Self-Conceptu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