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03_김슬아 최재혁 이시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03_김슬아 최재혁 이시영"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 논문은 2018학년도 배재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임(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grant of Pai ChaiUniversity in 2018).

Corresponding author: ShiYoung L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Daejeon 35345, Korea, Tel.:

+82-42-520-5881, E-mail: sylee@pcu.ac.kr

도시텃밭 주요 특성요인 및 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Urban vegetable Garden

- Focused on Ulsan city -

김슬아* ․ 최재혁** ․ 이시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배재대학교 조경학과 Kim, Sula* ․ Choi, Jaehyuck** ․ Lee, Shiyoung**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국문요약

본 연구는 도시 텃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시민들을 위한 도시 텃밭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실 시되었다. 도시 텃밭과 관련된 이전 연구들을 검토하여 참가자와 시민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가장 일반적인 요인을 선별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대부분 중요하게 언급되었던 다섯 가지 요 소들은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이었으며, 이 다섯 가지 요소와 만족도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설문에 응답한 부수 중 적절히 작성된 294를 최종 분석하였다. 총 30문항 중 28개의 질문이 요인 분석을 통과했고, 28개 질문 요소들에 대해 응답자들은 긍정적인 관심을 나타내는 응답을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면 만족도와 지역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0.618)로 나타났으나, 조사 결과에 비추어볼 때 6가지 요소 모두 참 가자와 시민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전 연구들에서 선택 되고 조사된 5개의 요소들과 만족도는 도시 텃밭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는 의사결정자들에게 는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 urban vegetable garden within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urban vegetable gardens were reviewed to find out the most general factors that influenced participants and citizens. Five factors; safety, accessibility, openness, conformability, and regionality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hund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wo hundred ninety-four were properly answered. Twenty eight questions out of thirty were passed factorial analysis and all of them had positive response rate on the participants’ concerns. Satisfaction and regionality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0.618. The

(2)

1. 서론

도시농업을 텃밭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도시농업 행위를 기준으로 한 단순 현상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도시농업이 발생하는 장소와 텃밭 경작자의 필요성 즉 삶의 질 추구의 대체수단으로서의 가치 기준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농 업에서 텃밭은 장소와 관련한 물리적인 것과 행위 등 경작자의 가치 기준에 관련한 비 물리적인 것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으며, 도시농업을 텃밭으로 이해할 때는 도시 공 공 공간의 활용을 통한 자기성찰과 자아욕구의 실현이라는 관점으로 보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창출의 관점에서는 장소가 수단으 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으나, 텃밭을 경작하는 도시민에게는 도시 공공 공간의 활용이 라는 관점뿐만 아니라 행위의 가치기준 현상을 아우르는 측면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 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텃밭의 논리적 주요쟁점을 세 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는 텃밭이 도 시민참여의 공간으로 참여자에 동기요인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는 점, 둘째는 텃밭 이 지역공동체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 셋째는 텃밭이 도시민의 생활 속에서 힐링(healing)을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체수단으 로서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는 점 등이다. 다시 말해, 텃밭은 단순한 녹지공간이나 경작활동을 위한 공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환경적 가치와 삶의 질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사회적 욕구 충족과 생리적 욕구 실현을 위한 이론 적 논점으로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안전성⋅접근성⋅개방성⋅쾌적성⋅지역성을 텃밭의 주요 특성요인으로 도출하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설문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농업에 참여한 경험이 없거나 방법을 몰라서 참여 하지 못한 일반시민이 가지고 있는 도시 텃밭에 대한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도시농업에 대한 정책입안이나 제도의 수립을 위한 제언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2.1 선행연구를 통한 도시텃밭의 특성 요인 추출

기존 선행연구의 세부내용들을 조사한 결과와 도시텃밭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로써 텃밭의 사회적 욕구충족과 생리적 욕구의 실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김문환 외 2012; 노희영 2012; 손기철 외 2006), 또한 텃밭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지를 알아 보기 위한 연구들을(이진호 양명환 2012; Hou et al. 2009) 조사 분석한 결과를 바탕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also showed that citizens considered all six factors as important factors. In conclusion, all six factor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for decision-makers to create and operate the urban vegetable garden programs.

주제어 : 도시농업, 도시텃밭, 만족도

Keywords : Urban agriculture, Urban vegetable garden, Satisfaction

(3)

으로 도시텃밭 특성 요인을 설정함과 동시에 기존연구에서 가장 많이 중복적으로 언 급되었으며 관련 연구들을 통하여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설명되고 있는 특성요인들을 도출하여 이를 주요 특성 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렇게 선정된 주요 특성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본 결과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 영역성, 협력성, 경제성으로 나누어진 8개의 요인들이 도출되었고, 이 요인들에 대해 시민들을 개별 인 터뷰한 결과를 바탕으로 텃밭의 주요 특성요인들 중 중요도를 기준으로 5퍼센트 이상 의 높은 비율로 나타난 다섯 가지 요인인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을 도 시텃밭의 특성요인으로 최종 선택하였다.

2.2 표본선정

표본은 2018년 4월 기준으로 울산광역시 구⋅군 지역을 중심으로 일반시민을 대상 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2018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21일 간 총 400부가 배 포되었으며, 설문조사는 방문조사, 개별 인터뷰 병행 실시로 진행되었다. 이 결과 총 312부를 회수하여 78%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312부 중 불성실한 응답 18부를 제외한 29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변수들을 이용하여 추출된 요인의 타당성과 신 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의 구성에서 설문에 응답한 울산시 민은 총 294명이었으며, 그중 연령대의 특성은 50대 33.7%, 60대 25.2%, 40대 21.1%, 30대 12.2%, 70대 이상 4.4%, 20대 3.4% 순으로 구성되었다. 성별의 빈도로는 남자가 50.3%, 여자가 49.7% 순으로 남, 여 비율은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구성되었으며, 텃밭 참여 여부에서 텃밭 참여 경험이 있는 응답자 59.5%, 텃밭 참여 경험이 없는 응답자 40.5%로 구성되었다. 설문에 응답한 울산시민의 직업은 회사원이 25.5%로 가장 높게

연구자 연구내용 주요 요소

강기남외(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접근성, 개방성, 연계성, 어메니티, 이용률

이훈길외(2003)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접근성, 연속성, 장소성, 위계성, 공간구성 최기원외(2004) 지역문화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을 구현하는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접근성, 연계성, 개방성, 쾌적성, 체류성

이정원(2013)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연구 지역의 정체성, 참여의 위계, 협동적 체계

김태곤외(2014)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확산과 도농상생 방안 접근성, 연속성, 안전성, 치유기능

유시범(2014) 공공성의 관점에서 도시텃밭의 현황 및 특성 연구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 주체성, 공동체, 협력과정

조미정(2016) 공영텃밭의 형성과정에 관한연구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 인지성, 협력성

손병웅(2012) 유기농업에 기초한 포항시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접근성, 쾌적성, 개방성, 환경성, 지속성, 안전성 남궁희(2014) 도시공원 내 텃밭 도입에 따른 공원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접근성, 개방성, 지속성, 안전성, 공공성 김미향(2011) 도시 내 공지를 활용한 커뮤니티가든 모델연구 지역성, 개방성, 지속성, 안전성, 커뮤니티 남태호외(2013) 도시텃밭 분포 특성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지역성, 개방성, 접근성, 안전성, 동기요인

김지원(2015) 청주시를 중심으로 도시텃밭 시설의 이용 만족도 쾌적성, 개방성, 접근성, 안전성 손병웅(2008) 지속가능 유기농업과 생태적 삶을 위한 생태마을 조성 쾌적성, 안전성, 개방성, 지역성, 순환성

김민수(2016) 도시텃밭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지속성, 안전성, 지역성, 공동체, 순환성

김옥진(2009) 도시경작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영역성, 접근성, 지속성, 안전성, 개방성, 쾌적성 이차희(2012) 도시농업 운영주체별 조성과 운영방식 비교연구 안전성, 개방성, 접근성, 주체성, 지속성

<표 1> 선행연구를 통한 도시텃밭의 주요 특성요인 추출

(4)

차지하였고 주부 21.1%, 자영업 18.7%, 퇴직자 13.3%, 전문직 11.2%, 공무원 7.1%, 기 타 학생 3.1% 등의 순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울산시민의 월 소득은 1∼3백만 원이 42.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4∼6백만 원 38.4%, 1백만 원 이하가 12.6%, 6백 만 원 이상이 6.5% 순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울산시민의 텃밭 참여 여부로 텃밭참여 경험이 있는 시민은 59.5%, 텃밭참여 경험이 없는 시민은 40.5%로 텃밭에 참여한 경 험이 있는 응답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표 2)

구 분 빈도(N=294) 퍼센트(100%)

연령

20대 10 3.4

30대 36 12.2

40대 62 21.1

50대 99 33.7

60대 74 25.2

70대 이상 13 4.4

성별 148 50.3

146 49.7

텃밭 참여 여부 있다 175 59.5

없다 119 40.5

<표 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구성개념 내 용 (요인)

안전성

Ⅰ-1. 먹거리 안전성에 대한 인식 정도

Ⅰ-2. 텃밭을 통한 안전먹거리와 건강 관계

Ⅰ-3. 텃밭 재배 먹거리에 대한 관심의 정도

Ⅰ-4. 텃밭의 다품종 소량생산 안전성 신뢰

Ⅰ-5. 로컬푸드와 슬로우푸드 인식의 정도

접근성

Ⅰ-6. 텃밭과 거주지와의 이동거리

Ⅰ-7. 텃밭으로 접근하는 수단 및 동선

Ⅰ-8. 텃밭 진입 및 접근 다양성의 정도

Ⅰ-9. 텃밭의 주변 환경과의 접근 연계성

Ⅰ-10. 텃밭 내에서 접근하는 이동 동선

개방성

Ⅰ-11. 텃밭 경작 활동 및 기간의 보장

Ⅰ-12. 경작자별 일정 작업시간의 필요성

Ⅰ-13. 텃밭의 주변 경계의 정도

Ⅰ-14. 텃밭의 개방의 정도에 대한 인식

Ⅰ-15. 텃밭이 공공 공간이라는 인식의 정도

쾌적성

Ⅰ-16. 편의시설 설치 필요성

Ⅰ-17. 작업 공간 내의 환경적 편의성

Ⅰ-18. 텃밭과 주변 환경의 조경 개선의 인식

Ⅰ-19. 텃밭의 관수시설의 필요성

Ⅰ-20. 야간작업을 위한 조명의 필요성

<표 3> 특성요인별 설문항목

(5)

구성개념 내 용 (요인)

지역성

Ⅰ-21. 지역 내 텃밭의 인지 정도

Ⅰ-22. 지역 내 텃밭공간의 활용에 대한 인지 정도

Ⅰ-23. 지역 내 텃밭 존재 여부

Ⅰ-24. 지역 텃밭 소일거리의 용이성

Ⅰ-25. 지역 내 텃밭과 도심경관의 조화 대한 인식

만족도

Ⅱ-1. 텃밭을 통한 식품 안전성에 대한 만족의 정도

Ⅱ-2. 텃밭의 거리감에 대한 만족의 정도

Ⅱ-3. 텃밭의 개방 정도에 대한 만족의 정도

Ⅱ-4. 텃밭을 느끼는 쾌적성에 따른 만족의 정도

Ⅱ-5. 텃밭이 도심의 한 공간으로서 인지하는 만족의 정도

2.3 설문항목의 구성

선정된 6개의 요인들에 대하여 기존연구들의 결과에서 중요하게 기술되거나 빈도 가 높게 나타난 내용들을 바탕으로 요인별 5개씩 총 30문항의 설문내용을 도출하였으 며 이들 변수가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측정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 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몇 가지의 질문을 하나의 개념에 대한 측정 도구로서 사용하고자 할 때, 그 질문들에 대한 응답들이 동일한 개념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비 슷하게 나타나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분석이다. 신뢰도 계수로서 가장 널리 사용 되는 것이 cronbach’s α 계수이며 α 계수 값이 0.6이상이면 신뢰할 만한 측정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송지준, 2010).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 도구의 각 변수들 간 의 측정항목 수 및 cronbach’s α계수 값은 각 세부 요인별 cronbach’s α계수값이 0.603

∼0.780으로 나타나 총 30 항목들 대부분은 대체적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나 Ⅰ-2 와 Ⅰ-5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s α계수값이 0.6 이하로 나타나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은 도시민을 대상으로 도시농업에 참여한 경험이 없거나 또는 참 여의사가 있어도 방법을 모르는 일반시민이 가지고 있는 의식을 텃밭특성에 대한 설 문을 통하여 분석하고 도출하여 향후 도시농업에 대한 정책입안이나 제도의 수립을 위한 제언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 으로 도출된 특성 요인 및 변수들을 기준으로 작성한 후 2차의 예비조사 과정에서 확 인하고자 하는 공통 특성요인 8개 문항과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텃밭 특성 에 따른 25개 문항, 만족도 5개 문항 및 일반적 특성 6개 문항으로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설문은 5점 척도로 이용하였으 며 설문 항목의 구성 내용은 표 3과 같다.

2.4 분석방법

측정에 사용된 변수를 통한 검정을 위한 자료 분석에 앞서 측정 항목을 1차로 걸러 내고 걸러진 항목의 신뢰도, 타당도의 개괄적 방향을 보여줄 수 있는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다. 요인분석은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변수들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이는지를 확 인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된 변수의 다항목 척도 간의 신뢰도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텃밭 특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 변수는 척도 순화 과정을 통하여 일부 항목을 제거하였다.

측정변수는 구성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을 사용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하여 직교회전방식(varimax rotation)을

(6)

채택하였다. 고유 값이 1.0 이상, 요인 적재치가 0.4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18.0 를 사용하였으며, 도시민들이 인지하는 텃밭의 특성 및 만족도항목을 요인 추출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측정 항목에 대한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변인들 간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한 비교분석을 통해 요인들 간에 통계적으 로 어떤 유의무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노력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텃밭 특성의 요인분석

분석에 사용된 항목들은 대부분 요인적 가치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도출한 특성들 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텃밭특성 요인은 설문구성개념과 동일하게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으로, 나누어 만들고 여기에 만족도 에 대한 부분을 더하여 총 6개의 요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 인분석 결과는 표 4, 표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텃밭특성 영향 요인이 전체 문항에 대 한 설명력은 51.167%이며, 만족도 영향요인의 설명력은 52.914%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 항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요인5 공통성

안전성

Ⅰ-1

Ⅰ-3

Ⅰ-4

0.485 0.662 0.755

0.451 0.099 0.096

0.224 0.231 0.120

0.030 0.061 0.109

0.157 0.003 0.025

0.530 0.490 0.607

접근성

Ⅰ-6

Ⅰ-7

Ⅰ-8

Ⅰ-9

Ⅰ-10

-0.044 0.142 0.037 -0.097

0.045

0.562 0.764 0.579 0.619 0.771

-0.049 -0.153 0.034 -0.012

0.026

0.048 0.016 0.054 -0.045

0.050

0.330 -0.026 0.205 0.273 -0.088

0.432 0.628 0.383 0.469 0.607

개방성

Ⅰ-11

Ⅰ-12

Ⅰ-13

Ⅰ-14

Ⅰ-15

0.118 0.006 -0.090

0.085 0.166

0.284 -0.051

0.009 -0.081 -0.045

0.398 0.738 0.647 0.746 0.728

-0.321 0.136 0.034 -0.011

0.022

-0.126 0.025 -0.012 0.134 0.040

0.372 0.567 0.429 0.588 0.561

쾌적성

Ⅰ-16

Ⅰ-17

Ⅰ-18

Ⅰ-19

Ⅰ-20

0.142 -0.011

0.227 0.120 0.279

0.076 0.013 0.130 -0.012

0.027

0.029 -0.142

0.035 0.247 0.125

0.716 0.618 0.507 0.625 0.572

0.124 0.040 -0.016 0.099 -0.333

0.555 0.403 0.327 0.488 0.532

지역성

Ⅰ-21

Ⅰ-22

Ⅰ-23

Ⅰ-24

Ⅰ-25

-0.151 -0.090 0.193 -0.062

0.177

0.076 0.091 0.018 0.035 0.023

0.016 0.216 0.192 -0.046

0.201

0.292 0.150 0.067 -0.064 -0.029

0.697 0.748 0.739 0.654 0.628

0.626 0.645 0.626 0.439 0.467 전체

% 분산

% 누적

2.892 12.576 12.576

2.561 11.135 23.711

2.368 10.294 34.004

2.178 9.469 43.473

1.770 7.694 51.167

<표 4> 텃밭 특성 요인분석 결과

(7)

문 항 문항1 공통성

만족도

Ⅱ-1

Ⅱ-2

Ⅱ-3

Ⅱ-4

Ⅱ-5

0.830 0.812 0.685 0.623 0.634

0.469 0.426 0.659 0.690 0.402 전체

% 분산

% 누적

2.646 52.914 52.914

<표 5> 만족도 요인분석

3.2 설문분석

설문을 통해 도출된 응답결과를 보면 안전성에 있어서 3개 항목 모두 보통 이상으 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텃밭을 통해 재배한 먹거리로 인한 안전한 먹거리에 대 한 관심의 정도로 “그러함” 45.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통” 26.2%, “매우 그러함”

20.7%, “아님” 6.5%, “매우 아님” 0.7%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울산시민들이 텃밭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에 관심을 갖게 된다는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66.6%로 높 게 나타났다. 접근성에 대한 설문에서는 이동거리에 대한 설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 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텃밭까지의 거리를 도보가 아닌 차량으로 이동하는데 거부감이 없다는 Ⅰ-7 항목의 결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울산 시민들은 텃 밭으로 이동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어도 좋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71.7%로 텃밭이라는 공간이 굳이 가까이 있지 않아도 언제든 갈수 있는 거리에만 있다면 크게 개의치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텃밭 주변에 연계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것을 선호하여 73.9%가 그러함 이상에 답하였고, 거주공간에서 텃밭까지의 거리보다는 텃밭 내에서 의 이동거리를 더욱 중요시 하는 경향을(73.5%) 보이고 있었다. 개방성에 대한 항목 으로는 경작활동의 기간을 정해 보장해주기를 원하고 있었으며, 반면 경작지의 작업 시간을 정해서 작업하도록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 성향(22.5%)이 다른 항목들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울산 시민들은 텃밭 공간이 오픈되어 있어 도 된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66.3%로 높게 나타났으나 주변과의 경계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50%이상인 것을 확인했을 때, 텃밭 조성지의 영역을 명확히 해줄 필요가 있어 보였다.

쾌적성에 관한 질문 중 편의시설(화장실, 휴게실 등)의 설치가 중요한 요소로 답한 경우가 85%로 아주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관수 및 장비 보관 시설의 중요성이 82.6%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텃밭 자체를 그 지 역의 중요한 환경적 경제적 경관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텃밭으로 인해 주변 환경 의 인지도 역시 높아지고 안전한 공간으로 형성 된다고 인지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텃밭에 대한 만족도 조사의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편이라는 응답이 42.8%

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통이라는 응답이 53.1%로 나타나 텃밭까지의 거리가 멀 든 가깝든 텃밭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에 대해 울산 시민들은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 으나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도심지에서 어느 정도 거리가 있 는 외곽지역으로 나가야하는 것에 대한 반응이라 하겠다. 이외의 나머지 4개 항목 모 두 아주 만족스럽다는 결과가 나와 만족도 측면에서는 아주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 고 있었다.

(8)

구성개념 내 용 (요인) 리커드 척도 (%)

1 2 3 4 5 합계

안전성

Ⅰ-1. 먹거리 안전성에 대한 인식 정도 6.9 21.1 26.9 35.4 9.9 100

Ⅰ-2. 텃밭을 통한 안전먹거리와 건강 관계 - - - - - -

Ⅰ-3. 텃밭 재배 먹거리에 대한 관심의 정도 0.7 6.5 26.2 45.9 20.7 100

Ⅰ-4. 텃밭의 다품종 소량생산 안전성 신뢰 0.0 6.8 28.9 45.9 18.4 100

Ⅰ-5. 로컬푸드와 슬로우푸드 인식의 정도 - - - - - -

접근성

Ⅰ-6. 텃밭과 거주지와의 이동거리 7.8 18.4 28.2 27.6 18.0 100

Ⅰ-7. 텃밭으로 접근하는 수단 및 동선 0.3 7.5 20.4 45.2 26.5 100

Ⅰ-8. 텃밭 진입 및 접근 다양성의 정도 1.4 8.8 24.8 44.6 20.4 100

Ⅰ-9. 텃밭의 주변 환경과의 접근 연계성 0.3 6.1 19.7 41.2 32.7 100

Ⅰ-10. 텃밭 내에서 접근하는 이동 동선 0.0 5.1 21.4 44.6 28.9 100

개방성

Ⅰ-11. 텃밭 경작 활동 및 기간의 보장 0.0 5.4 32.7 44.2 17.7 100

Ⅰ-12. 경작자별 일정 작업시간의 필요성 1.4 24.1 41.5 23.1 9.9 100

Ⅰ-13. 텃밭의 주변 경계의 정도 0.7 2.4 27.2 53.4 16.3 100

Ⅰ-14. 텃밭의 개방의 정도에 대한 인식 0.0 2.7 31.0 43.2 23.1 100

Ⅰ-15. 텃밭이 공공 공간이라는 인식의 정도 3.4 25.5 48.6 13.6 8.9 100

쾌적성

Ⅰ-16. 편의시설 설치 필요성 0.0 6.1 9.9 32.0 52.0 100

Ⅰ-17. 작업 공간 내의 환경적 편의성 1.0 8.8 33.3 40.1 16.7 100

Ⅰ-18. 텃밭과 주변 환경의 조경 개선의 인식 0.7 10.5 31.0 44.2 13.6 100

Ⅰ-19. 텃밭의 관수시설의 필요성 0.0 4.4 12.9 43.5 39.1 100

Ⅰ-20. 야간작업을 위한 조명의 필요성 1.0 15 35.7 34.4 13.9 100

지역성

Ⅰ-21. 지역 내 텃밭의 인지 정도 0.3 7.8 15.3 46.6 29.9 100

Ⅰ-22. 지역 내 텃밭공간의 활용에 대한 인지 정도 1.7 7.8 19.4 49.3 21.8 100

Ⅰ-23. 지역 내 텃밭 존재 여부 1.4 10.9 26.2 38.8 22.8 100

Ⅰ-24. 지역 텃밭 소일거리의 용이성 0.7 2.0 27.9 51.0 18.4 100

Ⅰ-25. 지역 내 텃밭과 도심경관의 조화 대한 인식 2.0 11.6 39.1 30.3 17.0 100

만족도

Ⅱ-1. 텃밭을 통한 식품 안전성에 대한 만족의 정도 0.0 2.4 9.9 50.3 37.4 100

Ⅱ-2. 텃밭의 거리감에 대한 만족의 정도 1.4 2.7 53.1 39.1 3.7 100

Ⅱ-3. 텃밭의 개방 정도에 대한 만족의 정도 0.0 1.0 12.2 47.6 39.1 100

Ⅱ-4. 텃밭을 느끼는 쾌적성에 따른 만족의 정도 0.0 0.3 18.7 44.9 36.1 100

Ⅱ-5. 텃밭이 도심의 한 공간으로서 인지하는

만족의 정도 0.0 2.0 23.8 54.1 20.1 100

* 리커드 척도 1. 매우아님, 2. 아님, 3. 보통, 4. 그러함, 5. 매우 그러함

<표 6> 설문 결과 분석

3.3 텃밭특성 요인들의 상관관계

가설 검정을 실시하기 전에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들 간의 관련성의 정도와 방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8 과 같이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 계는 0.05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성과 접근성 0.369, 쾌적성과 지역성 0.397, 지역성과 만족도 0.618로 다소 높거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설문결과에서는 거의 모든 부분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여 각각의 요소 들은 문제가 없어 보였으나, 궁극적으로 텃밭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만족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를 참고하여 지역성을 높이는 것이 가장 효 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9)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적성 지역성 만족도

안전성 1.000 - - - - -

접근성 0.369(**)

(0.000) 1.000 - - - -

개방성 0.120(*) (0.040)

-0.027

(0.639) 1.000 - - -

쾌적성 0.143(*) (0.014)

0.048 (0.417)

0.085

(0.146) 1.000 - -

지역성 0.345(**) (0.000)

0.093 (0.112)

0.139(*) (0.017)

0.397(**)

(0.000) 1.000 -

만족도 0.282(**) (0.000)

0.088 (0.130)

0.184(**) (0.001)

0.314(**) (0.000)

0.618(**)

(0.000) 1.000 * 상관계수는 0.05 수준에서 유의합니다.

** 상관계수는 0.01 수준에서 유의합니다.

<표 7>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Pearson ‘s 상관계수)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된 변수들인 안전성, 접근성, 개방성, 쾌 적성, 지역성과 만족도에 대해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도시농 업활성화의 주요 변인으로 도출된 텃밭의 특성들은 모든 요인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 으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종 검정결과에서 확인된 지역성과 쾌적 성 및 안전성의 역할은 추후 도시농업활성화에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임을 찾아내게 되었다. 대체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고 있으나 반면 각각의 요인들이 강력하게 다른 요인들과 묶여서 서로 영향을 주는 상관관계는 일부 요인들을 제외하 고는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본 연구에서 찾아내고 정리한 5개의 요인들 모두를 적절히 관리하는 정책을 도입하여야만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 질 것이다. 또한 적절한 텃밭 공간의 조성에 있어서 편의 시설의 조성이 이용 시민들에게는 중요한 요소인 만 큼 도시형 텃밭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도 고려해 볼 사항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가급적 텃밭에 관심이 있는 지역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을 도시텃밭의 공급 지역으로 우선 고려하고 정책적으로 도시텃밭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책적 접근이 가장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참여도 또한 높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군⋅구의 도시농업 참여자와 일 반 도시민을 대상으로 약 1개월 간 이루어진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이므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객관적 조사가 아니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많은 선행연 구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타 시도별 조사와 시계열 자료의 수집을 통한 비교연구 등 중⋅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텃밭의 종류 및 거리별 만족도 등과 같이 상세한 부분을 세밀하게 중⋅장기적으로 조사 한 것이 아닌 일반적인 요인들과 만족도를 분석한 것으로 대략 적인 방향성만을 제시해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참 여자들을 상대로 설문이외의 추적조사와 이용행태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세밀한 연구 대상을 설정하고 수행하는 것이 더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결과 를 도출할 수 있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사료된다.

(10)

참고문헌

1. 강기남, 이종근, 김기황, 이만형(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충북대학교 건설기술논문집. 26(1): 167-176.

2. 김문환 외(2012) 텃밭정원 도시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 김미향(2011) 도시내 공지를 활용한 커뮤니티가든 모델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4. 김민수(2016) 도시텃밭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옥진(2009) 도시 경작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지원(2015) 청주시 도시텃밭 시설의 이용 만족도.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태곤, 허주녕, 전진희 (2014) 도시농업의 치유기능 확산과 도농상생 방안.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정책연구보고-P201.

8. 남궁희(2014) 도시공원 내 텃밭 도입에 따른 공원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태호, 정태열, 김수로(2013) 도시텃밭 분포 특성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 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33-38.

10. 노희영(2012)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기철 외(2006) 전문적 원예치료를 위한 평가도구 및 프로그램, 서울: 쿠북.

12. 손병웅(2008) 지속가능 유기농업과 생태적 삶을 위한 생태마을 조성: 포항시 죽장면 상 옥리를 사례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손병웅(2012) 유기농업에 기초한 포항시 도시농업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송지준(2010)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15. 유시범(2014) 도시 공공성의 관점에서 본 도시텃밭의 현황과 특성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원(2013)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대학교 환경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진호, 양명환(2012) 운동선수가 지각한 사회적 환경 요인과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3(1): 59-75.

18. 이차희 (2012) 도시농업 운영주체별 조성과 운영방식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훈길, 이주형 (2003) 서울 도심 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527-539.

20. 조미정(2016) 공영텃밭의 형성과정에 관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기원, 심우갑(2004) 지역문화시설의 ‘건축적 공공성’을 구현하는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4(2): 311-314.

22. Hou, J., Johnson, J., & Lawson, L. (2009).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Seattle’s. Urban Community Gardens.

원 고 접 수 일

심 사 일

게 재 확 정 일 3 인 익 명 심 사 필 : : :

2018년 11월 9일 2019년 6월 11일 2019년 6월 12일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점 때문에 본 연구에서 다양한 항우울제의 처방경향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으나 특별히 항우울제의 약물처방경향에 유의있게 영향을

첫째 소속에 따른 운동수행만족도의 결과 남자 기계체조 지도자의 지도유형 , , 의 훈련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심리만족과 운동수행만족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발도르프학교는 수학교육의 목표를 수학이 아닌 삶에 두고 있다는 점 이다.우리 교육 역시 수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수학교육의

친구들의 스마트알약 제품 홍보 발표를 들으며 친구들의 스마트 알약이나 문제 해결책의 장점이나 따라하고 싶은 점(Plus), 단점이나 아쉬운 점(Minus),

텃밭을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 농사를 짓기 위해 필요한 시설에 대해 알고, 이를 통해 농어촌연구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기대했던 점 : 수업시간이 아닌 다른 시간에 친구들과 함께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점과 선생 님들에게 교과 내용에서 한발 더 나아간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겠다는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하여 그는 점 만점에 점 정도의 점 수를 주고 있다 이처럼 직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지만 여기에도 김씨 나름대로의

이같이 다단계 판매는 많은 긍정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경제 발전 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다단계 판매는 불법적인 피라미드 판매와 그 개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