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黃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黃帝"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人體의 臟象과 養生Ⅰ_ 黃帝內經講讀 四講. 精神氣血津液(1)

학습목표

1. 精神氣血津液과 관련된 黃帝內經의 기록을 살핀다.

2. 經脈, 衛氣, 志意 및 精氣津液血脈의 개념을 파악한다.

3. 인체의 발생과정과 水穀대사 과정을 살펴본다.

1. 經脈, 衛氣, 志意의 작용 原文 1) 靈樞・本藏篇 第四十七

黃帝

問於岐伯

하야

曰人之血氣精神者

所以奉生

1)하야

而周于性命

2)

者也

,

經脈者

所以行血氣

하야

而營陰陽

하고

濡筋骨

하며

利關節者也

, 衛氣者

所以溫分肉

하고

充皮膚

하며

肥腠理

하야

司關闔

3)

者也

,

志意者

所以御精神

4)하고

收魂魄

하야

適寒溫

5)하고

和喜怒

6)

者也

니이다

. 是故

하면

則經脈流行

하야

營覆陰陽

7)하야

筋骨勁强

하고

關節淸 利矣

니이다

.

衛氣

하면

則分肉解利

8)하고

皮膚調柔

하며

腠理緻密矣

니이다

.

1) 奉生 : 생명 또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을 뜻한다.

2) 周于性命 : 性과 命을 지극히 하여 완수한다는 뜻이다. 性은 天地와 동일한 인간의 본성을 말하며, 命은 天地가 인격적으로 자신과 동일한 본성을 인간에게 부여하고 인간이 삶을 통하여 몸과 욕심을 가진 피조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스스로의 본성을 회복하도록 命令한 것을 말한다. 大學集註・章 句序“蓋自天降生民, 則旣莫不與之以仁義禮智之性, 然其氣質之禀, 或不能齊, 是以不能皆有以知其性 之所有而全之也. 一有聰明睿智, 能盡其性者, 出於其間, 則天必命之, 以爲億兆之君師, 使之治而敎之, 以復其性.”의 문장 참조.

3) 司關闔 : ‘司’는 맡다, 맡아 다스린다는 뜻이며, ‘關’은 문의 빗장, ‘闔’은 문짝이다. 그러므로 “司關 闔”은 빗장과 문짝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차단하듯이 衛氣가 分肉, 皮膚, 腠理를 조절하여 外氣의 인 체출입을 차단함을 뜻한다.

4) 御精神 : 사람의 神明이 처음 생성될 때에는 陰極인 精과 陽極인 神에서부터 魂, 神, 意, 魄, 志의 五臟神이 만들어지지만, 五神 생성 이후 영위되는 과정에서는 脾臟의 神인 意와 腎臟의 神인 志가 주도적인 역할을 함을 뜻한다.

5) 適寒溫 : 四時의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뜻한다.

6) 和喜怒 : 五臟이 장하고 있는 七情이 지나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하는 것을 뜻한다.

7) 營覆陰陽 : 經脈의 陰陽 循環을 반복한다는 뜻이다.

(2)

- 2 -

志意

하면

則精神專直

9)하고

魂魄不散

하야

悔怒不起

하며

五藏不受邪 矣

니이다

.

寒溫

하면

則六府化穀

하며

風痺不作

하며

經脈通利

하야

肢節得安矣

, 此

人之常平

10)

니이다

.

五藏者

所以藏精神血氣魂魄者也

, 六府者

所以化水穀而行津液者 也

人之所以具受於天也

, 無愚智賢不肖

無以相倚

11)

니이다

.

2. 精氣津液血脈의 구분

原文 2) 靈樞・決氣篇 第三十

黃帝

曰余聞人有精氣津液血脈

하되

余意以爲一氣耳

今乃辨爲六名

余不知其所以然

하노이다

.

岐伯

曰兩神相搏

하야

合而成形

常先身生

是謂精

이니이다.

何謂氣

.

岐伯

曰上焦開發

하야

宣五穀味

하야

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是 謂氣

니이다

.

何謂津

이니잇가

.

岐伯

曰腠理發泄

하야

汗出溱溱

是謂津

이니이다

. 何謂液

이니잇가

.

岐伯

曰穀入氣滿

하야

淖澤注于骨

하면

骨屬屈伸

하야

12)

澤補益腦髓

하 며

皮膚潤澤

하니

是謂液

이니이다

.

何謂血

이니잇고

.

岐伯

曰中焦受氣

하야

取汁變化而赤

是謂血

이니이다

. 何謂脈

이니잇고

.

8) 分肉解利 : 근육의 결이 또렷이 구분되며 운동방향에 따른 각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순조로움을 말한 다.

9) 精神專直 : 정신이 집중되어 사물에 대한 인식과 판단이 올바르게 됨을 뜻한다.

10) 常平 : ‘常’은 일반적이고 표준이 됨을 말하고 ‘平’은 陰陽氣血의 과불급이 없음을 말하니, 陰陽氣血 의 동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건강상태를 뜻한다.

11) 無愚智賢不肖, 無以相倚 : 太素에는 “愚智賢不肖, 無以相倚”로 되어 있다. 문의에 가장 적합한 문 장은 “無愚智賢不肖以相倚”이다.

12) 洩 : ‘泄’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새다, 새어나가다. 설.

(3)

- 3 -

岐伯

曰壅遏營氣

하야

令無所避

是謂脈

이니이다

.

3. 인체의 발생과정

原文 3) 靈樞・經脈篇 第十

人始生

先成精

하니

精成而腦髓生

하야

骨爲幹

하고

脈爲營

할세

筋爲剛

하 고

肉爲牆

하니

皮膚堅而毛髮長

이라

穀入于胃

하야

脈道以通

하고

血氣乃行

하니이다

.

4. 水穀의 後天之精 생성과정

原文 4) 素問・經脈別論篇 第二十一

食氣入胃

하야

散精於肝

할세

淫氣於筋

하니이다.

食氣入胃

하야

濁氣歸心

할세

淫精於脈

하니이다

.

脈氣流經

하야

經氣歸於肺

할세

肺朝百脈

하고

輸精於皮毛

하니이다

.

毛脈

13)이

合精

하야

行氣於府

14)하면

府精

神明

하야

留於四藏

이라가

氣歸 於權衡

15)하니

, 權衡以平

이면

氣口成寸

하야

以決死生

하니이다

.

飮入於胃

하얀

遊溢精氣

하야

上輸於脾

하니

, 脾氣

散精

하야

上歸於肺

하고

通調水道

하야

下輸膀光

하니이다

.

水精

四布

하야

五經

16)

並行

合於四時五藏陰陽

이면

揆度

以爲常也

니 이다.

[참고문헌]

1. 類編黃帝內經 (全國韓醫科大學原典學敎室. 대전. 주민출판사. 2009)

13) 毛脈 : 皮毛에 있는 脈을 말한다.

14) 府 : 피모에서 합성한 精을 모아두는 곳, 예를 들어 ‘丹田’ 같은 곳을 말한다.

15) 氣歸於權衡 : 새로 벌어들인 後天精에 의해 인체의 陰極과 陽極이 다시 설정되는 것을 뜻한다.

16) 五經 : 五臟의 經脈을 가리킨다.

(4)

- 4 -

2. 精校 黃帝內經素問 (洪元植.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81) 3. 精校 黃帝內經靈樞 (洪元植.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85) 4.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 (朴贊國. 파주. 집문당. 2005 ) 5. 補注注解 黃帝內經素問 (金達鎬, 李鍾馨. 서울. 의성당. 2001) 6. 補注注解 黃帝內經靈樞 (金達鎬. 서울. 의성당. 2002)

7. 重廣補注黃帝內經素問 (王冰 次注. 林億, 高保衡등 校正. 北京. 學苑出版社. 2014) 8. 黃帝內經靈樞注證發微 (馬蒔. 北京. 學苑出版社. 2012)

9. 黃帝內經太素 新校正 (楊上善. 北京. 學苑出版社. 2006)

10. 崔三燮. 氣에 대한 小考(내경을 중심으로). 199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7.

11. 嚴東明, 朴贊國. 營衛에 대한 고찰. 1995.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9.

12. 李南九. 靈樞・衛氣行篇에 대한 연구. 1997.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0(2).

13. 羅雄仁, 李南九. 靈樞·衛氣失常에 대한 연구. 199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2(1).

14. 鄭鐘國, 申榮日. 靈樞・五癃津液別에 대한 연구. 200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3(2).

15. 許琪會, 李容範. 天癸에 대한 연구. 200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3(2).

16. 金基郁, 朴炫局. 黃帝內經에 기재된 氣血・神의 운행체계에 관한 연구. 2002. 대한한의 학원전학회지15(2).

17. 김지용, 금경수. 靈樞・經水에 대한 연구. 200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6(1).

18. 白上龍. 神志의 활동과 衛氣의 역할. 200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6(1).

19. 鄭鐘國, 申榮日. 靈樞・五癃津液別에 대한 연구. 200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6(2).

20. 鄭承哲, 金容辰. 黃帝內經에 나타난 精의 의미에 대한 고찰. 2005.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지18(4).

21. 姜棟允, 趙學俊. 經脈과 絡脈의 循行양식과 營衛氣의 운행특징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

22. 2006.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2).

23. 소용섭, 노스텔라, 유정규, 이영진, 정헌영, 금경수. 靈樞・營氣에 대한 연구. 2006. 대한 한의학원전학회지19(3).

24. 姜庚來, 陸相元. 靈樞・五十營에 대한 연구. 2007.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0(1).

25. 柳姃我, 張祐彰, 丁彰炫. 水穀의 인체내 代謝과정 설명모델. 2008.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1(1).

26. 翁宜德, 林昭庚. 內經, 難經 中 營衛氣血觀念的探討. 2008.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1(4).

27. 오재근, 윤창열. 水穀의 運化와 배출. 2008.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1(4).

28. 白裕相. 素問・陰陽應象大論의 氣轉化 과정에 대한 고찰.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2(1).

29. 禄颖. 试论营卫昼夜节律性在睡眠活动中的作用.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2(4).

30. 陳曦. 试论《内经》气火的槪念与特点. 2009.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

31. 谷峰, 金曉哲. 《黃帝內經》“津液”槪念考辨.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3(1).

32. 金重漢. 「神氣存亡論」과 「元氣存亡論」을 중심으로 한 氣에 대한 연구. 2010. 대한한의학 원전학회지23(1).

33. 金楨洙, 黃萬錫, 白晋雄. ‘營’字와 ‘榮’字의 用例 분석 연구.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2).

34. 송지청, 금경수, 엄동명. 膀胱 津液과 氣化에 관한 고찰. 201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3(3).

35. 白裕相. 營衛陰陽論의 변천에 대한 소고 -黃帝內經과 溫病學說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1).

36. 송지청, 금경수, 엄동명. 脾藏營 肝藏血 腎藏精에 대한 고찰. 2011.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지24(3).

37. 신승훈, 배성철, 김기왕. 동아시아 고문헌에 나타난 정액의 생성 및 이동경로 – 측면장부 도를 중심으로-. 2012.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5(2).

38. 정헌영, 이정란, 박금숙. 心主汗에 대한 小考. 2015.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8(1).

참조

관련 문서

ダイパッド隆起量 :25μm 以下 熱伝導性 :300W/m・K 以上 ビア径/ピッチ

退溪先生嘅世 或言於退溪先生曰 雖有切近子弟 不能嚴敎者 實由於世衰俗薄 人心不古也 先生曰 然 吾亦如此 非但世衰 我且德薄 不能使之敬畏

90式戦車と同等あるいはそ れ以上の機動性能を実現可能 な、新戦車用動力装置(エンジ ン、冷却装置及び変速装置)..

夫浮屠有一入靑山 草喫泉吸 竟一生不迹紅塵者 是誠髡首被緇 者之所職然也 然以大道觀之 此亦孤立獨行 守一世之細節耳 又 安足道哉 達人則不爾 能與物推移而不染於物

身是某氏之婢也 而適與主家娘子同歲而生 故主家特與娘子而 爲使 使爲將來嫁時轎前婢 年僅九歲 而主家爲勢家所滅 田園盡 爲所奪 而只餘娘子與乳姆 逃匿他鄕 隷而從者

騷賦當主華贍 而不知者以爲當平淡也 論策當主雄渾 而不知者 以爲當端正也 記事者當典實 而不知者以爲當倂儷也 平淡非文病也 其弊至於㉠委靡 端正非文病也 其弊至於㉡疏散

余嘗從燕巖朴美仲 會山如碧梧桐亭館 靑莊李懋官貞蕤朴次修 皆在 時夜月明 燕巖曼聲讀其所自著熱河記 懋官次修環坐聽之 山如謂燕巖曰 先生文章雖工 好稗官奇書 恐自此古文不興

歌而文之者爲詩, 詩而被之管絃者爲歌, 歌與詩固一道也.. 自三百篇變而爲古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