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발달 선별 검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발달 선별 검사"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18, No. 1, May, 2010 □ 원 저 □

1)

접수 :2010 224 ,일 승인:201057 책임저자 : 김진경 대구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Tel : 053)650-4597, Fax : 053)622-4240 Email : kimjk@cu.ac.kr

전체 소아의 약 5-10% 정도의 높은 유병율

1)

발달 지연아에서 K-ASQ(Korean-Ages & Stages Quest 발달 선별 검사와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의 비교 ionnaires)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김 문 선 김 진 경

= Abstract =

Assess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Korean-Ages

& Stages Questionnaires(K-ASQ) an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test II(BSID-II)

Moon-Sun Kim, M.D. and Jin-Kyung Kim, M.D.

Department of Pediatric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Purpose : Ages & Stages Questionnaires (K-ASQ, parents report of developmental skills) was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detecting infant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This study was desig- ned for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K-ASQ in th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Methods : One hundred twenty-nine children(male: 94, female: 35, age: 8-39 months) with suspected developmental delay,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 rics i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09 were enrolle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ental Develop- mental Index of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test II(BSID II)(Group I: MDI

<70: significant delay, Group II: MDI 70-85: mild delay, Group III: MDI 85: within normal range),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K-ASQ.

Results : Group I was eighty-one children. Group II was thirty-eight children.

The scores of eighty children of Group I and thirty-three children of Group II fall below a given cut off score in one or more domains in K-ASQ. One child's score of group I didn't fall below a given cut off score but was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Five children's scores of group II didn't fall below a given cut off score. Only three children's score of these five were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Conclusion : There wa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K-ASQ and BSID-II for infant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ferral for further developmental evaluation is recommended if the scores showed below or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in any domain in K-ASQ.

Key Words : Korean-ages & stages questionnaires,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test II

(2)

보이는 발달 장애 (developmental disability) 는 발달의 주된 영역인 운동 대근육 소근육 ( , ), 언어 인 , 지 정서 및 사회성에 이상이 나타난다 다양한 범주 , . 의 질환들이 원인질환으로 알려져 있는데 정신 지 , 체 의사소통 장애 자폐 장애 뇌성 마비 시각 청각 , , , , 등의 특수 감각 기능 장애 학습 장애 주의력 결핍 , , 과잉 행동 장애 등이 흔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발달 장애 아동은 조기에 선별되어 적절한 중재를 받아야한다 선별은 전문적인 진단이 필요한지를 결 . 정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발달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 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소아과 의사는 발달 장애 . 를 보이는 아동을 조기 발견 할 수 있는 위치에 있 으며 또한 발달 장애가 있는 아동을 조기 중재하여 , 야 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발달은 개인차가 크며 . 이의 평가 또한 쉽지 않아 정상 발달과 비정상 발 , 달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영유아 건강 검진 . 에서 발달 장애 아동을 조기 선별하기 위하여 K-

발달 선별 검사

ASQ (Korean Ages & Stages 부모 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Questionnaires, )

가 사용되고 있다 . K-ASQ 선별 검사의 분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원에 발달 지연으로 내원한 아 , 동들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와 K- 선별 검사를 병행하여 두 검사간의 성적을 비 ASQ

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년 월부터 년 월까지 대구 가톨릭 2008 1 2009 8

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달 지연으로 내원한 월령 42 개월 이하의 아동 129 ( 명 남아 94 명 여아 ,

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35 ) .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는 1-42 개월 영유아의 발달 수준을 평가하여 인지발달지수(Mental De-

와 동작발달지수 velopmental Index, MDI) (Psy-

를 산출 chomotor Developmental Index, PDI) 한다 발달지수 . (Developmental Index, DI) 는 상 대적인 발달 상태를 분석하여 나타낸 수치로서 85 이상은 정상 발달 , 70-84 는 경도의 지연 , 70 미만 은 심각한 지연으로 구분하고 있다

2)

. 언어 능력 평

가는 2 세 이상 미취학 아동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 수용 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 척도 (PRES)’ 를 사용 하였으며

3)

, 2 세 미만이거나 2 세 이상이라도 언어 발달 지연이 심한 경우에는 영유아 언어 발달 검사 ‘

를 사용하였다

(SELSI)’

4)

. 자폐 스펙트럼 장애

는 의 기

(Autism spectrum disorder) DSM-IV 준을 따랐고

5)

, 참고적으로 한국형 아동기 자폐증 평 정척도(Korean Version of the Childhood Auti- sm Rating Scale, K-CARS)

6)

를 함께 시행하였 다.

선별 검사

K-ASQ

7)

는 4 개월에서 60 개월 사이 의 영유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검사로 영유아의 5 가지 발달 영역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 , , , 문제해결 개인 사회성 각각에 , - ) 6 개씩 총 30 개 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모가 질문에 답하게 구성 되어있다 각 항목에 대하여 보호자는 예 유아가 . ‘ ( 행동을 수행할 때 ) , ’ ‘ 가끔 행동을 보이기 시작할 ( 때 ) , ’ ‘ 아니오 아직 행동을 수행하지 못 할 때 ( ) ’ 세 가지 중 하나로 답하게 되어있다 . ‘ ’ 예 는 10 , 점 ‘ 가 끔 은 ’ 5 , 점 아니오 는 ‘ ’ 0 점으로 하여 발달 영역별로 , 각 6 가지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주어진 월령별 , 절선 점수와 비교한다 절선 점수는 평균으로부터 . 2 표준편차 아래의 점수로서 영역별로 정해져 있다.

각 영역별로 60 점이 최고 점수이며 점수가 모두 절 ,

선점수보다 높을 때를 양호 라고 판정한다 한 개 ‘ ’ .

이상의 발달 영역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얻은 아이는 발달 지연 의심 이라고 판정을 내린 후 ‘ ’

전문 기간으로 의뢰하고 절선 점수에 일치하거나 ,

근접하는 경우는 추후 재검사 한다 사용되는 질문 .

지는 월령별로 세분화 되어 있는데 , 4 개월부터 24

개월까지는 2 개월 간격 이후 , 36 개월까지는 3 개월

간격 이 후 , 60 개월까지는 6 개월 간격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질문지는 개월 씩 오차를 고려하여 . 1 10

개월용 질문지는 9-11 개월 사이에 사용할 수 있다 .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에서 산출된 인지 발달

지수 (MDI) 에 따라 세 군 (70 미만인 1 , 70-84 군

인 군 2 , 85 이상인 군 으로 나누어 3 ) K-ASQ 선별

검사와 비교하였다.

(3)

조사된 아동 129 명의 월령은 8 개월에서 39 개월 이었으며 남아 94 , 명 여아 35 명이었다 연령 분포 . 는 월령별로 12 개월 이하는 12 , 13-24 명 개월은 명 개월은 명이었고 이중 만삭아는 35 , 25-42 82 ,

명 미숙아는 명이었으며 미숙아는 세까지

102 , 27 , 2

교정 연령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 K-ASQ 는 8 개월 용부터 36 개월용까지이었다 (Table 1).

기저질환으로 기질적 뇌병변이 있었던 경우는 7 례로서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 례 수두증 례 대 , 3 , 1 , 뇌 피질 발달 장애 1 , 례 대뇌 위축 1 , 례 뇌량 형성 부전 (Corpus Callosal hypoplasia) 1 례가 있었으 며 소두증 , 2 , 례 염색체 이상 2 {47 XXX/XO, 례 유약 증후군 례 46X psuidic(X)(q21.2)}, X 1 ,

증후군 례 신경섬유종증 례 청 Silver Russell 1 , 1 , 각장애 례 2 , Beckwith Wiedman 증후군 례가 있 1 었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1.

인지 발달 지수 (MDI) 70 미만인 1 , 70 군 이상

미만인 군 이상인 군으로 나누었다 군

85 2 , 85 3 . 1

은 81 명으로 이 중 61 명이 동작 발달 지수 (PDI) 가 이하이었다 군은 명 이었다 군은 명이

70 . 2 38 . 3 10

었고 이중 명이 동작 발달 지수가 6 85 이상 이었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1 군에서 18 , 2 명 군에서는 2 명이었다 단순 언어 장애는 . 1 군에서는 3 , 2 명 군에 서는 8 , 3 명 군에서는 4 명이었다 (Table 2).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와 2.

선별 검사의 비교 K-ASQ

군의 선별 검사 결과

1) 1 K-ASQ

명 남 명 여 명 만삭아 명 미숙아 81 ( 62 , 19 / 72 , 9 명 에서 ) 80 명은 K-ASQ 검사에서 최소 1 개 영역 이상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가 있었다 나머 . 지 1 명은 10 개월용 K-ASQ 를 사용하였는데 모든 , 영역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는 없었으나 의 , 사소통 영역 15 ( 점 절선 점수 :14.8), 대근육운동 영 역 30 ( 점 절선 점수 :26.3) 으로 2 개 영역에서 절선 점수에 근접한 점수를 보였다 절선 점수 미만이 가 . 장 많이 있었던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이었고 그 다 , 음이 문제 해결 영역 개인 사회성 영역 소근육 운 , , 동 대근육 운동 순이었다 , (Table 3).

Table 1. Classifi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K-ASQ

K-ASQ sets No K-ASQ sets No K-ASQ sets No

4 month set 6 month set 8 month set 10 month set 12 month set

0 0 1 7 8

14 month set 16 month set 18 month set 20 month set 22 month set

1 3 9 6 6

24 month set 27 month set 30 month set 33 month set 36 month set

12 11 19 24 22

Table 2. Classifi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II

Group I(MDI <70) Group II(MDI 70-85) Group III(MDI 85)

Total ASD SLI Total ASD SLI Total ASD SLI

PDI<70 70<PDI<85 PDI>85

61 14 6

14 2 2

0 0 3

15 14 9

1 1 0

0 0 8

0 4 6

0 0 0

0 0 4

Total 81 18 3 38 2 8 10 0 4

Abbreviations : MDI, Mental Developmental Index; PDI,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ASD, autism spectrum disorder; SLI,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4)

군의 선별 검사 결과

2) 2 K-ASQ

명 남 명 여 명 만삭아 명 미숙아 38 ( 27 , 11 / 27 ,

명 에서 명이 한 개 이상의 영역에서 절선점 11 ) 33

수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나머지 명에서는 절선 . 5 점수보다 낮은 점수는 없었으나 , case 1, 2, 3 에서 최소 1 개 영역 이상에서 근접한 점수가 있었고 ,

는 근접한 점수도 없었다

case 4, 5 (Table 4).

각 영역별 성적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가 가장 많이 있었던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으로 27 명 이었으며 문제 해결 영역은 , 17 명이었으며 개인 사 , 회성 영역 대근육 소근육 순이었다 , , (Table 5).

군의 선별 검사 결과

3) 3 K-ASQ

군은 명 남 명 여 명 만삭아 명 미숙아 3 10 ( 5 , 5 / 3 , 명 으로 명은 표현성 언어 장애 명은 우측 편

7 ) 4 , 1

마비인 아동이었다 이들 . 5 명은 K-ASQ 검사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거나 근접한 점수를 보였는데 절 , 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가 있었던 경우는 1 (case 례 로서 표현성 언어 장애 아동이었고 나머지 례

6) , 4

는 절선에 근접한 점수만 있었다 (case 7-10)

(Table 6).

전체 아동 군 의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와

4) (1-3 )

선별 검사의 비교 K-ASQ

선별 검사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 K-ASQ

Table 3. K-ASQ Results of Group I

K-ASQ Below a given cut off score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Above and No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Total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77 53 61 73 69

4 12 6 3 5

0 16 14 5 7

81 81 81 81 81

Table 4. K-ASQ Data of Five Children of Group II Case 1

(18 mon)

Case 2 (10 mon)

Case 3 (24 mon)

Case 4 (18 mon)

Case 5 (36 mon) BSIDII

K-ASQ MDI PDI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74 64 25(14.2) 30(23.5) 40(12.4) 30(27) 50(25.6)

76 77 15(14.8) 30(26.3) 35(33.4) 40(28.2) 30(17)

72 58 30(20.3) 45(42.5) 40(30.8) 35(29.3) 35(30.7)

73 87 30(16.0) 60(43) 40(25) 40(20.7) 33.4(21.6)

82 82 45(35.8) 50(42.8) 55(37.7) 50(37.1) 60(34.2) () : Given cut off score

Abbreviations : MDI, Mental Developmental Index; PDI,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Table 5. K-ASQ Results of Group II

K-ASQ Below a given cut off score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Above and No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Total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27 15 10 17 15

3 4 5 7 7

8 19 23 14 16

38 38 38 38 38

(5)

수가 있어서 발달 지연의심으로 판정된 경우는 제 1 군 81 명에서 80 , 명 제 군 2 38 명에서 33 , 명 제 군 3 명 중에서 명이었다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

10 1 .

는 없으나 절선 점수에 근접한 점수만 있었던 경우 는 제 1 군 81 명에서 1 , 명 제 2 군 38 명에서 3 , 명 제 3 군 10 명에서 4 명이었다 (Table 7).

발달 장애 아동의 조기 선별을 목적으로 국내에 서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 선별 검사

8)

, 한국형 Den-

한국판 유아발달 선별검사

ver II9), (K-DIAL-

III)

10)

, K-ASQ 발달선별검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

발달 선별은 발달 장애가 의심되는 아동을 판별해 내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하는 과정인 데 한국형 영유아 발달 선별 검사 한국형 , , Denver 한국판 는 검사자에 의해 직접 시행되 II, DIAL-III

어야 하고 일정 시간이 소요되어 외래 진료에서 모 , 든 아동에게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발달선별검사

K-ASQ

3)

는 1980 년 미국의 Ore- 대학에서 개발된 판

gon ASQ 2

11)

을 한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 한 것으로 부모가 작성하는 영 유아 ㆍ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영유아의 , 5 가지 발달 영역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문제해결 개인

( , , , ,

사회성 에 개씩 총 개 문항의 질문지이다 부

- ) 6 30 .

모들이 유아를 관찰하고 그 능력에 관한 간단한 질

Table 6. K-ASQ Data of Five Children of Group III Case 6

(33 mon)

Case 7 (27 mon)

Case 8 (22 mon)

Case 9 (22 mon)

Case 10 (18 mon) BSIDII

KASQ

MDI PDI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92 90 30(32.8) 60(46.6) 60(32.1) 40(37.7) 40(32.9)

93 80 35(31.2) 55(35.2) 50(25.5) 45(33.8) 35(26.4)

110 81 20(16.4) 45(38.0) 45(29.6) 40(31.2) 40(35.4)

94 80 50(16.4) 40(38.0) 35(29.6) 45(31.2) 45(35.4)

87 107 20(16.0) 50(43.0) 40(25.0) 40(20.7) 40(33.4) () : Given cut off score

Abbreviations : MDI, Mental Developmental Index; PDI,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Table 7. K-ASQ Results of Group I-III Group I (MDI <70)

Group II (MDI 70-85 )

Group III (MDI >85) PDI

<70 PDI 70-85

PDI 85

PDI

<70 PDI 70-85

PDI 85

PDI

<70 PDI 70-85

PDI 85

KASQ Below a given cut off

score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Above and No

adjacent to a given cut off score

61

0

0

14

0

0

5

1

0

13

2

0

12

1

1

8

0

1 0

0

0 0

3

1 1

1

4

Total 61 14 6 15 14 9 0 4 6

Abbreviations : MDI, Mental Developmental Index; PDI,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6)

문지를 직접 작성 하도록 되어 있어서 진료실에서 면담을 하면서 혹은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나 우편 , 으로 보내거나 가정을 방문 하여 육아지도를 하면 , 서도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부모들이 그 . 들의 자녀에 관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활 용함으로써 선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 4 개월에 시작하여 60 개월까지 지속적으로 관찰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부모는 모든 문항 에 예 로 대답하여야만 자신의 아동이 정상 으로 ‘ ‘ ’ ‘ 판정되리라고 생각하여 애매한 문항도 모두 예 로 , ‘ ’ 대답하는 경우도 있었고 부모들이 이해하기가 어렵 , 거나 명확하지 못한 문항도 있었다 따라서 문항을 . 바르게 이해하였는지를 검사자는 확인하여야 한다.

문항이 1 번에서 6 번까지로 쉬운 순서에서 어려운 순서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어려운 문항은 하고 쉬 , 운 문항은 못한다고 대답한 경우에도 확인하여야 한 다.

검사자의 확인을 요하는 문항은 다음과 같다. 18 개월용 K-ASQ 의 대근육운동 항목 번 아이의 한 4 “ 손을 잡아주면 계단을 걸어 내려갑니까 에서 한 손 ?”

을 잡아준다는 것은 균형을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가 벼운 도움을 의미한다 . 20 개월용 K-ASQ 의 의사 소통 항목 번 아이에게 그림 공 고양이 컵 모자 4 “ ( , , , 등 을 가리키며 이것이 뭐예요 라고 물어보면 아 ) " ?" , 이가 하나 이상 정확하게 대답합니까 는 실물이 아 ?”

닌 그림에서의 적절한 대답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것 이다 . 22 개월용 K-ASQ 의 대근육 운동 항목 4 번 아이가 아무것도 잡지 않고 발길질하여 공을 찹니

까 는 아이의 한쪽 발이 바닥에서 떨어진 상태로 ?”

잠시 유지할 수 있는지를 확인 하는 것으로 발이 바 닥에 붙어있는 상태로 단순히 공을 미는 것은 예 “ ” 라고 답할 수 없다 . 6 번 문항의 아이가 두 발을 모 “ 아 깡충 뜁니까 는 두 발이 동시에 공중에 떠있어 ?”

야 하며 소근육 운동 항목 , 6 번 아이가 신발 끈 구 “ 멍이나 다른 구멍에 끈을 끼웁니까 는 끈을 구멍에 ?”

끼운 다음 완전히 빼내야 한다 . 30 개월용 K-ASQ 의 의사소통 항목 번 당신이 손으로 가리키거나 몸 6 짓으로 도움을 주지 않아도 아이에게 탁자 위에 , "

컵을 놓으세요 .", " 의자 아래에 책을 놓으세요 라고 ."

말하면 아이가 이 두 가지를 정확하게 행동 합니 , 까 ?” 는 위 와 아래 라는 단어를 이해하는지를 질 “ ” “ ” 문하는 것으로 위에 올리세요 아래에 내리세요 “ ” “ ” 등 힌트가 되는 표현을 하여서는 안된다 . 36 개월용 의 의사소통 항목 번 아이에게 오 팔 K-ASQ 6 “ " , , 삼 이라고 말한 후 바로 따라 하도록 하면 이 개의 " 3 숫자를 정확한 순서로 말합니까 는 숫자를 말할 때 ?”

각 숫자 간 1 초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말하여야 한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는 1969 년 Dr. Bayley 에 의해 개발된 후 , 1993 년에 BSID-Ⅱ

2)

로 개정 보완되었다 인지 척도 . (Mental Scale), 동작 척도

행동평정 척도

(Motor Scale), (Behavior Rating 로 구성되어 있고 인지 척도와 동작 Scale, BRS) ,

척도는 영유아의 인지 발달 언어 발달 개인 사회성 , , 발달 대 소근육 운동 발달 수준을 평가하며 행동 , · , 평정 척도는 검사 과정 동안 아이의 행동을 평가하 여 인지 척도와 동작 척도의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

세 척도는 각각 서로 다른 측면을 평가하면서도 상 호 보완적이다 정상 영아의 발달을 분류하고 기술 . 하는 전통적 심리 측정 입장에서 개발되었으나 같 , 은 연령의 또래와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발달이 지체된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발달 지체 아동을 진단할 때 한 가 . 지 검사만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은 불충분하기 때 문에 발달 진단 종합 검사 (Battery) 의 하나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 이후 아이의 발달을 추적하거나 영아 발달에 대한 , 부모 교육 도구로서도 사용되어 왔다

2)

.

국내에서는 Cho

12)

등에 의해 미국 규준을 사용 하여 한국 영유아의 수행을 분석하였는데 한국 영 , 유아의 수행은 인지 발달 척도에서는 미국의 영유아 와 유사하였으나 동작 척도에서는 미국 영유아에 비 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고 , 2006 년 에 한국판 표준화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

13)

가 완 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K-ASQ 선별 검사의 개 발달 영역 5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문제해결 개인

( , , , ,

(7)

사회성 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거나 근접한 점수가

- )

가장 많이 있었던 영역은 의사소통 영역 이었다 의 ‘ ’ . 사소통에 문제가 있을 때 언어 장애 정신 지체 자 , , 폐범주 질환 청력 장애 발음 장애 정서 장애 양육 , , , , 환경의 문제 등이 원인이 된다. Capute

14)

는 지능 지수가 50 미만인 중등도 이상의 정신 지체아는 발 달 지수가 50 이하로서 생후 12 개월까지는 진단이 되며 경도의 정신 지체아는 종종 학동기까지 간과 , 되지만 이러한 발달 평가를 통하여 생후 2-3 세에 진단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정신 지체의 유병률은 . 전체 인구의 1% 정도로 추정되며

15)

, 정신 지체의 진단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지능 검사가 가능한 연령인 최소 만 5 세 이후에 내려야 하며 그 이전의 연령에 해당하는 아동들에 대하여는 진단이 유보되 고 대신 발달 지연 이라는 명칭이 사용 된다 ‘ ’

16)

. 본 연구에서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의 인지 발달 지 수 (MDI) 와 동작 발달 지수 (PDI) 가 함께 70 미만 인 아동은 47 명으로 심각한 발달 지연 , (signifi- 에 해당되었고 향 후 cant developmental delay)

지적 장애가 예측될 수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최근 그 범위가 점점 넓어 져 유럽과 미국에서는 1,000 명당 6 명의 높은 유병 율이 보고되고 있다

17)

. 또한 자폐 장애의 40-50

많게는 까지 지적 장애가 동반

%, 75%

18)

된다고 알

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전체 , 129 명 중에서 자 폐 스펨트럼 장애 아동은 인지 발달 지수 70 미만 인 1 군에서 18 , 명 인지 발달 지수 70 에서 85 미만 인 제 군에서는 명으로 제 군에서 자폐스펙트럼 2 2 1 장애 아동이 더 많았다 . 3 세 이전에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자폐아의 형제자매에서 , 자폐 장애가 발생할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높아 조 기 진단이 필요함

19)

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어릴수록 , DSM-IV(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ICD-10(World Health Organization, 의 진단 기준에는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아

1992) 3

세 이전에 조기 진단되는 경우가 드물다 자폐 스펨 . 트럼 장애 아동의 대부분에서 사회적 기술의 결여나 언어 이전 단계의 몸짓언어의 결여가 18 개월경에는 나타나므로

20)

조기 선별 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

여야 하겠다.

자신의 연령에 적합한 사회 인지 감각 신경학적 , , , 발달을 보이지만 언어 발달은 자기 연령 수준에 이 르지 못한 경우를 단순 언어 장애(specific lan ‘ - 라고 한다 단순 언어 장애는 guage impairment) ’ .

아동기 발달 장애 중 흔한 질환으로서 , Tomblin 등

21)

은 학령 전기 아동의 7.4% 정도의 높은 유병율 을 보인다고 하였고 의사소통 이외에도 학습 및 사 , , 회생활의 어려움이 지속될 수 있다

22-24)

. 본 연구에 서는 베일리 검사에서 동작 발달 지수 (PDI) 가 85 점 이상 이면서 영유아 언어 발달 검사(SELSI)

4)

에 서 언어 연령이 평균치보다 배의 표준 편차 이하로 2 지연된 경우 혹은 취학 전 아동의 수용 언어 및 표 현 언어 발달 척도(PRES)

3)

에서 1 년 이상 지연된 경우에 단순 언어 장애로 분류하였다 언어의 수용 . 능력과 표현 능력이 함께 지연된 혼합형(mixed) 언어 장애는 1 군에서는 1 , 2 례 군에서는 6 명이었고 , 표현 능력만 지연된 표현형 언어 장애는 1 군에서는 명 군에서는 명 군에서는 명으로 이었다

2 , 2 2 , 3 4 .

그러나 단순 언어 장애로 진단하기에는 연령이 어려 서 후에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 Leonard

25)

에 의해 제시된 단순 언어 장애의 진단 기준인 비언어성 지 능이 85 점 이상인지 확인되어야 한다 .

본 연구는 일반 아동이 아닌 발달 지연이 의심되 어 내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지만 베일리 , 발달 검사의 인지 발달 지수 70 미만의 아동 81 명 에서 80 명이 인지 발달 지수 , 70-84 인 아동 38 명에서는 33 명이 K-ASQ 선별 검사에서 한 개 영 역 이상에서 절선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대부분의 아동이 K-ASQ 검사에서 선별됨을 확인할 수 있었 다 . Sung 등

26)

의 우리나라 일반 아동 67 명을 대상 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와 K-ASQ 발달선별 검사의 비교 연구에 의하면 K-ASQ 발달선별검사 는 민감도 (sensitivity) 50.0%, 특이도 (specifi-

양성 예측치

city) 78.0%, (positive predictive 음성예측치

value) 23.5%, (negative predictive 로서 높은 음성 예측치를 보여 소아 value) 92.0%

과 외래에서 발달 지연의 선별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

(8)

인지 발달 지수 70 미만의 아동 81 명에서 1 명이 , 인지 발달 지수 70-84 인 아동 38 명에서는 명이 5 선별 검사에서 절선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 K-ASQ

는 영역은 없이 근접한 점수만 있는 경우가 있었고 , , 근접한 점수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 K-ASQ 선별 검사를 추후 재검사 시행하여 동일 결과가 반복되 , 면 발달 지연을 의심하여 전문 기관으로 의뢰하여야 하겠다 또한 장애의 종류 특성 아동의 나이 등에 . , , 따라 한 번의 검사에서 선별 되지 않을 수 있어 이 전 선별 검사에서 정상 이었다 하더라도 주기적인 ‘ ’ 검사가 필요하며 동일한 발달 장애 아동이라도 사 , 용하는 검사 도구에 따라서 선별 되지 않을 수 있어

27)

주의를 요한다 한국 영유아들에 대해 적절한 선 . 별검사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서 더 많은 대상으로 장기적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

목 적 : 영유아 건강 검진에서 발달장애아를 조기 선별하기 위하여 K-ASQ 선별검사 (Korean Ages 부모 작성형 유아 모

& Stages Questionnaires,

니터링 체계 가 사용되고 있다 ) . K-ASQ 선별검사 의 분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원에 발달 지연으 , 로 내원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 사 (BSIDII) 와 K-ASQ 선별검사를 병행하여 두 검 사법간의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8 년 1 월부터 2009 년 8 월까지 대구 가톨릭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달 지연으로 내원한 월령 8 개월부터 39 개월 아동 129 ( 명 남아 명 여아 명 을 대상으로 베일리 영유아 발달 94 , 35 )

검사와 K-ASQ 선별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 베일리 영유아 발달 검사에서 산출된 인지 발달 지 수에 따라 3 ( 군 심각한 지연을 보이는 70 미만인 1 군 경도의 지연을 보이는 , 70-84 인 2 , 군 정상 범 위 85 이상인 군 으로 나누어 3 ) K-ASQ 선별 검사 와 비교하였다.

결 과 : 제 1 군 81 명에서 80 , 명 그리고 제 2 군 명에서 명이 선별 검사에서 한 개 영 38 33 K-ASQ

역이상에서 절선보다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제 군의 . 1

나머지 1 명은 절선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는 영역은 없었으나 근접한 점수를 보이는 영역은 있었다 제 , . 군의 명은 절선보다 낮은 점수는 없었는데 이중

2 5 ,

명은 절선에 근접한 점수를 보이는 영역이 있었다

3 .

결 론 : 발달 지연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베일 리 영유아 발달 검사와 K-ASQ 선별 검사를 병행 하여 비교하였을 때 높은 일치를 보였다. K-ASQ 선별 검사에서 절선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보이는 경우 뿐 아니라 낮은 점수는 없이 근접한 점수만을 , 보이는 경우에도 발달 지연을 의심하고 전문기관으 로 의뢰하여야 하겠다.

References

1) Simeonsson RJ, Sharp MC. Developmental delays. In: Hoekelman RA, Friedman SB, Nelson NM, et al, editors. Primary Pedi- atric Care. St Louis: Mosby-Year Book, 1992:867-70.

2) Bayley 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 ment. Psychological Corporation, New York, 1993.

3) Kim YT, Sung TJ, Lee YK. PRES: Pre- 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 tion center, 2003.

4) Kim YT, Kim KH, Yoon HR, Kim HS. SELSI: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oul: Seoul Special edu press, 2003.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 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 ders. 4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 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 1994.

6) Kim TR, Park RG. K-CARS: Korean Ver- sion of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Seoul: Seoul Special edu press, 2002.

7) Heo KH, Squires J, Lee SY, Lee JS. K- ASQ: 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 naires/parent-completed development sc- reening tool. Seoul: Seoul community re- habilitation center, 2006.

8)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Korean in- fant and child development test (KICDT).

Seoul: Kwangmun Publishing Co, 2002.

9) Shin HS, Han KJ, Oh KS, Ha MN. Korean

(9)

Denver II(K-DDST-II) Manual. Seoul, Hyunmoonsa, 2002.

10) Chun BU, Cho KS. Korean Developmenta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learning-3.

Seoul, Seoul Special edu press, 2003.

11) Bricker D, Squires J.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a parent-completed, child monitoring system second edition. Balti- 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999.

12) Cho BH, Park HW. The standardization study(1) of Korean Ba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K-BSID-II): Analyses of Korean Infants performance of K-BSID-II in terms of demographical variables. Kore- an J Devel Psychol 2004;17:191-206.

13) Cho BH, Park HW. Korean Ba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Edition Inter- pretation Manual. KIDSPOP Publishing Co, 2006.

14) Capute AJ, Palmer FB. Mental retardation.

Pediatr Rev 1994;15:473-9.

15) Moeschler JB, Shevell M. Clinical genetic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mental retar- dation or developmental delays. Pediatrics 2006;117:2304-16.

16) Schroeder S, Gerry M, Gertz G, Velasquez F. Final project report: usage of the term

"mental retardation": language, image and public education. Lawence, KS: University of Kansas, 2001:1-216.

17) Johnson CP, Myers SM. American Acade- my of Pediatrics Council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ediatrics 2007;120:1183-215.

18) Rapin I. Autism. N Engl J Med 1997;337:

97-104.

19) Johnson CP. Recognition of autism before age 2 years. Pediatr Rev 2008;29:86-96.

20) Johnson CP. Recognition of autism before age 2 years. Pediatr Rev 2008;29:86-96.

21) Tomblin JB, Records NL, Buckwalter P, Zhang X, Smith E, O'Brien M. Prevalence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kinder- garten children. J Speech Lang Hear Res 1997;40:1245-60.

22) Aram DM, Ekelman BL, Nation JE. Pre- schoolers with language disorders: 10 years later. J Speech Hear Res 1984;27:

232-44.

23) Stothard SE, Snowling MJ, Bishop DV, Chipchase BB, Kaplan CA. Language-im- paired preschoolers: a follow-up into adolescence. J Speech Lang Hear Res 1998;41:407-18.

24) Snowling M, Bishop DV, Stothard SE. Is preschool language impairment a risk fac- tor for dyslexia in adolescence? J Child Psychol Psychiatry 2000;41:587-600.

25) Leonard LB.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 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1998.

26) Kim EY, Sung IK. The ages & stages questionnaires: screening for developmen- tal delay in the setting of a pediatric out- patient clinic. Korean J Pediatr 2007;11:

1061-6.

27) Sices L, Stancin T, Kirchner L, Bauchner H. PEDS and ASQ developmental screen- ing tests may not identify the same child- ren. Pediatrics. 2009;124:e640-7.

수치

Table 2. Classifica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II
Table 4. K-ASQ Data of Five Children of Group II Case 1 (18 mon) Case 2 (10 mon) Case 3 (24 mon) Case 4 (18 mon) Case 5 (36 mon) BSIDII K-ASQ MDIPDI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7464 25(14.2)30(23.5)40(12.4)30(27)50(
Table 6. K-ASQ Data of Five Children of Group III Case 6 (33 mon) Case 7 (27 mon) Case 8 (22 mon) Case 9 (22 mon) Case 10 (18 mon) BSIDII KASQ MDIPDI Communication Gross motor Fine motor Problem solving Personal/Social 9290 30(32.8)60(46.6)60(32.1)40(37.7)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Leeward Side associated with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nglish reading strategies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As comparing between the process of the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 manner of them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hich has been published in Korean,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ovosibirsk State University, Russia 1 , Department of Cardiology, Surgut State University, Russia 2 , Department Funda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