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883-889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PB-1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내당능 장애, 지질대사이상 등 이 흔히 동반되는 질환군이다.

1)

대사증후군의 인슐린저항성은 고인 슐린혈증을 유발하고,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을 축적시켜 간 효소 중 γ glutamyltransferase ( γ - GTP )를 높이게 된다. 또한, 고인슐린혈 증은 동맥벽의 염증을 유발하고, 혈중 사이토카인을 증가시켜 간의 C - reactive protein ( CRP )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 다.

2)

γ - GTP 는 음주 시에도 오를 수 있으나, 대사증후군의 독립적 예측인자로 언급 된 바 있으며,

3)

Margit

4)

CRP 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밝힌 바 있다.

대사증후군 환자는 2 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심근경색,

뇌졸중을 포함한 뇌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2 배가량 높고, 심근경색 증 및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

한국에서의 연령을 보정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 년도의 24 . 9 % 에서 2001 , 2005 년에는 각각 29 . 2 %, 30 . 4 %, 2007 ~ 2010 28 . 8 %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3 년 한국인의 사망원인(인구 10 만 명당)은 1 위 악성신생물( 149 명), 2 위 뇌혈관질환( 50 . 3 명), 3 위 심장질환( 50 . 2 명), 5 위 당뇨병( 21 . 5 명)으로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이 주요 사망원 인을 차지함으로써 대사증후군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 다.

6-8)

국내외 논문을 통해서 음주, 흡연, 운동, 사회경제적 요인등이 대 사증후군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9-12)

Kim

7)

은 직업군별 대사증후군 연구를 통해 여성은 전업주부, 남성은 사무직에서 대사

일부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김완서

1

, 임상혁

2,*

, 윤간우

2

, 곽장신

1

, 한병석

1

1원진 녹색병원 가정의학과, 2노동환경건강연구소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Wan-Seo Kim

1

, Sang-Hyuk Im

2,*

, Kan-Woo Youn

2

, Jang-Shin Kwak

1

, Byoung-Seok Han

1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Green Hospital, Seoul; 2Department of Institute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Green Hospital, Seoul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in male public transport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 health examination of 980 male public-transport workers during 2013.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y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criter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age, drinking, smoking, exercise, personal history of hypertension,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work pattern, work duration and γ–glutamyltransferase.

Results: The overal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14.1%. The prevalence of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as as follows: 39.1% for high triglyceride levels, 33.3% for impaired fasting glucose, 30.5% for high blood pressure, 16.1% for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13.2% for abdominal obesi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the following variables: shift work (odds ratio [OR], 1.71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0 to 2.896), personal history of hypertension (OR, 5.957; 95% CI, 3.389 to 10.470),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OR, 7.568; 95% CI, 3.262 to 17.555), and high γ–glutamyltransferase group (OR, 2.608; 95% CI, 1.638 to 4.153).

Conclusion: Shift work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in male public transport workers. In addition, we can conclude that γ–glutamyltransferase might be a useful candidate in screening for metabolic syndrome.

Keywords: Metabolic syndrome; Shift-work; γ–glutamyltransferas

Received February 27, 2015 Revised September 21, 2015 Accepted September 21, 2015 Corresponding Author Sang-Hyuk Im

Tel: +82-2-490-2094, Fax: +82-2-490-2099 E-mail: imkooro@daum.net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Wan-Seo Kim,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증후군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2013 년 업무상질병 요양자로 인정된 뇌심혈관계 질환자는 요양대상자의 11 %( 684 명/총 6213 명)로 2012 년 9 . 7 %( 579 명/총 5972 명)보다 증가하였다.

13)

그러므로 뇌심혈관계 와 밀접한 연관 있는 대사증후군과 그와 관련된 직업적요인을 파악 하여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사업장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연구는 전자제조업장, 철 강사업장 및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시행되었다.

14-16)

한편, 대중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은 소음, 분진 등 유해 환경에 노출 될 가능성이 높고, 불규칙한 교대근무, 안전에 대한 강한 책임 의식으로 다른 직군에 비해 높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다.

17,18)

특 히 교대근무는 소화 장애 및 심혈관 장애를 일으키고, 직무스트레 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

또한, Bacquer

11)

교대근무가 대사증후군 위험을 증가시킨다 하였다. 그러나, 국내에 서 대중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교대근무와 대사증후군 유병률 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최근 서울시의 발표에 따르면, 2014 년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객은 1 , 100 만명을 넘어섰다고 하였다. 대 중 교통의 안전 운행과 관리는 시민의 안녕과 직결된다. 그리고 이 것의 가장 밑바탕을 이루는 것은 대중 교통업무 근로자들의 건강관 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대중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 증후군 유병률과 그 관련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원에서 2013 1 월부터 12 월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수도권 소 재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 1075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중 문 진표 및 혈액검사 자료가 누락된 10 명, 여성 13 명 그리고 직군 분류 가 애매한 72 명을 제외하고, 남자근로자 980 명을 연구대상자로 선 정하였다.

1)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대사증후군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Adult Treatment Panel III ( NCEP / ATP III ) criteria

20)

와 허리둘레는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Obesity 기준을 따랐다. 그리고 5 가지 구성요소 중 3 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진단하였다. 5 가지 항 목의 이상 소견 기준은 복부비만 허리둘레 남자 90cm 이상, 공복혈 당 100mg / dL 이상이거나 경구혈당강하제 또는 인슐린을 사용 중, 중성지방치가 150mg / dL 이상이거나 지질강하제 약물치료 중, 고 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HDL cholesterol , HDL - C )이 40mg / dL 미만 이거나 지질강하제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 혈압 130 / 85mm Hg 이상이거나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이다. 또한, 본원의 진단검

사 수치를 근거로 γ - GTP 73 IU / L 이상, CRP 0 . 3mg / dL 이상 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2) 자료수집

설문을 통해 개인적 요인인 연령, 음주, 흡연, 운동, 개인병력 및 가족병력을, 작업적 요인으로 근무기간과 직종을 수집하였다. 혈압 은 약 10 분간 안정을 취한 후 앉은 자세에서 자동혈압계로 측정하였 다. 허리둘레는 세계보건기구의 복부비만 진단기준인 직립자세에 서 최하위 늑골하부와 골반 장골능선의 중간부위를 측정하였다. 혈 당, 중성지방,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등의 검사는 약 12 시간 의 공복 후에 혈액채취를 통해 실시하였다.

음주습관과 관련하여 표준 한잔(알코올 14g )을 기준으로 주당 14 잔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1 회의 음주량이 5 잔 이상인 경우

21)

를 만족 하면 과도한음주군, 그렇지 않으면 건강한음주군으로 분류하였다.

흡연은 “담배를 피운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흡연자, “과거에 담배 를 피웠으나 현재는 피우지 않는다”고 응답한 과거흡연자, “담배를 피운다”고 응답한 현재흡연자로 각각 구분하였다. 운동은 건강검진 공통문진표상 최근 1 주일간 가벼운 강도 이상의 운동을 30 분 이상 시행한 날이 3 일 이상인 경우 건강운동군, 그렇지 않으면 운동부족 군으로 분류하였다. 개인병력은 “고혈압, 당뇨로 치료 중이다”고 응 답한 고혈압병력군 및 당뇨병력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가족병력 은 “부모, 형제, 자매 중에서 뇌졸중, 심장병, 고혈압, 당뇨를 앓았 거나 이러한 질병으로 사망한 경우가 있다”고 응답한 가족병력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였다. 직군은 근무형태에 따라 비교대근 무자, 교대근무자 2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3) 통계분석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 test , Chi - square test , 및 Wilcoxon rank sum test 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사증후군 과 관련 있는 인자를 보정하기 위해 연령, 음주, 흡연, 운동, 고혈압 병력, 당뇨병력, 가족병력, 교대근무, 근무기간, γ GTP , CRP 독립변수로하여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Table 1)

연구대상자를 비 교대근무자( 219 명, 22 . 3 %)와, 교대근무자( 761 명, 77 . 7 %)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령은 평균 48 . 2 5 . 39 )세였다.

45 세 이상 50 세 미만( 466 명, 47 . 6 %)군이 가장 많았고, 두 집단 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음주, 흡연, 운동, 고혈압병력, 당뇨병력 및 가족

병력 또한 두 집단 간의 유의성은 없었지만, 근무기간은 20 년 미만

( 596 명, 60 . 8 %), 20 년 이상 ( 384 명, 39 . 2 %)으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3)

김완서 외. 일부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 . 03 ).

2. 연구대상자들의 신체계측 및 검사실 소견 (Table 2)

체중,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은 교대근 무자가 비 교대근무자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장, 총콜레 스테롤,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 LDL cholesterol , LDL - C ), 공복 혈당, γ - GTP , CRP 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3. 대사증후군 유병률(Table 3)

연구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4 . 1 %였으며, 비 교대근 무자는 9 . 6 %, 교대근무자 15 . 4 %로 두 직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대사증후군 구성항목별 유병률은 고중성지방혈증이 39 . 1 %로 가장 높았고, 공복 시 고혈당 33 . 3 %, 고혈압 30 . 5 %, 저 고밀도 지 질단백 콜레스테롤혈증 16 . 1 %, 복부 비만 13 . 2 % 순이었고, 구성항 목별 유병률에 관한 두 직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 γ - GTP 증, 고 CRP 혈증 또한 유의하지 않았다.

4. 대사증후군과 관련요인 (Table 4, 5)

대사증후군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변량 분석 결과, 근무 형태, 음주, 고혈압병력, 당뇨병력, γ - GTP CRP 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요인들과 연령, 근무형태, 근 무기간, 흡연, 운동 및 가족병력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대근무자는 비 교대근무자에 비해 교차비가 1 . 711 ( 95 % confidence interval [ CI ], 1 . 010 ~ 2 . 896 )이었고, 고혈압병력, 당뇨병력, 고 γ - GTP 혈증이 있 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 시 각각 교차비 5 . 957 ( 95 % CI , 3 . 389 ~ 10 . 470 ), 7 . 568 ( 95 % CI , 3 . 262 ~ 17 . 555 ), 2 . 608 ( 95 % CI , 1 . 638 ~ 4 . 153 )이었다. 연령, 가족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 고, 근무기간이 긴 경우, 과도한음주군, 과거 및 현재흡연군, 운동 부족군 및 고 CRP 혈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교대근무 자에서 대사증후군 발생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고 찰

2007 ~ 2010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한국인 남자 대사증후군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Variables Daytime fixed

(n= 219)

Shift (n= 761)

Total

(n= 980) P

Age(years)

<45

≥ 45,<50

≥ 50

34 113 72

(15.5) (51.6) (32.9)

'170 353 238

(22.3) (46.4) (31.3)

204 466 310

(20.8) (47.6) (31.6)

0.09

Drinking Healthy Unhealthy

107 112

(48.9) (51.1)

322 439

(42.3) (57.7)

429 551

(43.8) (56.2)

0.09

Smoking Non-smoker Ex-smoker Current

53 74 92

(24.2) (33.8) (42.0)

183 278 300

(24.0) (36.5) (39.4)

236 352 392

(24.1) (35.9) (40.0)

0.73

Exercise Healthy Unhealthy

199 20

(90.9) (9.1)

704 57

(92.5) (7.5)

903 77

(92.1) (7.9)

0.43

Personal history of hypertension No

Yes

204 15

(93.2) (6.8)

700 61

(92.0) (8.0)

904 76

(92.2) (7.8)

0.57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No

Yes

216 3

(98.6) (1.4)

735 26

(96.6) (3.4)

951 29

(97.0) (3.0)

0.12

Family history of CVD and DM No

Yes

154 65

(70.3) (29.7)

521 240

(68.5) (31.5)

675 305

(68.9) (31.1)

0.60

Work duration(years)

<20

≥ 20

119 100

(54.3) (45.7)

477 284

(62.7) (37.3)

596 384

(60.8) (39.2)

0.03

Abbreviations:CVD and DM,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 Data are presented as numb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P: P-value<0.05 by t-test.

(4)

Wan-Seo Kim,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유병률은 31 . 9 %였다.

7)

본 연구에서는 14 . 1 %이었는데, 이는 건강근 로자 효과로 추측된다. 또한, 각 집단의 연령분포 및 대사증후군 진 단 기준 등이 상이 하므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직접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의 대사증후군 구성항목별 유병률은 고중성지방 혈증, 고혈당, 고혈압 순이었다. 이는 남자 소방공무원 연구와 같은 결과이지만, 전자제조업장 남자근로자에서는 고혈당 대신 복부비 만이 중요 구성항목이었다.

14, 16)

이는 근로자의 근무형태, 장소 등에 따라 대사증후군 발생에 영향을 주는 건강행위가 다양함을 시사한 다. 그러므로, 사업장 건강관리 시 사업장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독립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교대근 무, 고혈압병력, 당뇨병력, 및 고 γ - GTP 혈증이다. 교대근무는 대 사증후군 구성항목별 유병률과 관련이 있고, 교대근무 기간에 비례

하여 대사증후군 위험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본 연구 의 교대근무자와 비 교대근무자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각각 15 . 4 %, 9 . 6 %, 교차비 1 . 711 ( 95 % CI , 1 . 010 ~ 2 . 896 )이었으며, Sookoian

22)

의 연구에서도 교차비 1 . 51 ( 95 % CI , 1 . 01 ~ 2 . 25 )로 비슷한 결과 를 나타내었다. 이에 비추어, 사업장 대사증후군 관리 방법으로 생 활습관교정 외에도 장기간 교대근무자의 비 교대근무로의 전환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또한 더 나아가, Choi

14)

은 교대근무도 근무 형태에( 3 2 교대, 8 5 교대)따른 건강상의 특징이 다르다고 하였다.

향후 사업장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연구는 교대근무 형태를 세분화 하여 진행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Shin

23)

Kim

24)

은 고 γ - GTP 혈증과 당뇨전단계 및 당뇨병 의 발생증가와의 관련성을 밝혔다. 또한, 철강사업장 연구에서 고 γ - GTP 혈증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생 률이 3 . 345 배 증가했다.

12)

본 연구에서도 대사증후군 발생 교차비

Table 2. Physical status and laboratory findings of subjects.*

Variables Daytime fixed

(n= 219)

Shift (n= 761)

Total

(n= 980) P

Height(cm) 170.3 ± 5.7 170.8 ± 5.7 170.7 ± 5.7 0.16

Weight(kg) 69.9 ± 8.3 71.2 ± 9.5 70.9 ± 9.2 0.03

WC(cm) 80.8 ± 6.8 82.3 ± 7.1 82.0 ± 7.1 0.01

SBP(mmHg) 117.3 ± 10.6 118.9 ± 11.1 118.6 ± 11.0 0.03

DBP(mmHg) 76.7 ± 6.8 78.1 ± 6.8 77.8 ± 6.8 0.00

Total cholesterol(mg/dL) 200.0 ± 36.2 200.0 ± 34.0 50.4 ± 11.9 0.38

HDL-cholesterol(mg/dL) 51.0 ± 12.0 50.2 ± 11.8 200.0 ± 34.5 0.22

LDL-cholesterol(mg/dL) 120.8 ± 31.7 118.6 ± 31.4 119.1 ± 31.5 0.22

Triglyceride(mg/dL) 140.8 ± 101.7 158.0 ± 108.0 154.1 ± 106.9 0.02

Fasting glucose(mg/dL) 97.9 ± 14.4 99.2 ± 18.2 98.9 ± 17.5 0.24

γ-GTP(IU/L) 58.6 ± 102.9 54.4 ± 176.4 55.4 ± 162.8 0.39

CRP(mg/dL) 0.1 ± 0.2 0.2 ± 0.5 0.2 ± 0.4 0.20

Abbreviations: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γ–GTP, γ-glutamyltransferas; CRP,c-reactive protein.

* Data are shown as means± standard deviation.

P: P-value<0.05 by wilcoxon rank sum test.

Table 3. Prevalence of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factors

Characteristics* Daytime-fixed(n= 219) Shift(n= 761) Total(n= 980) P

Metabolic syndrome 21 (9.6) 117 (15.4) 138 (14.1) 0.03

Abdominal obesity 24 (11.0) 105 (13.8) 129 (13.2) 0.27

High blood pressure 57 (26.0) 242 (31.8) 299 (30.5) 0.10

Impaired fasting glucose 62 (28.3) 264 (34.7) 326 (33.3) 0.08

High triglyceride 77 (35.2) 306 (40.2) 383 (39.1) 0.18

Low HDL-cholesterol 32 (14.6) 126 (16.6) 158 (16.1) 0.49

γ-GTP(≥ 73 IU/L) 41 (18.7) 114 (15.0) 155 (15.8) 0.18

CRP(≥ 0.3 mg/dL) 20 (9.1) 80 (10.5) 100 (10.2) 0.55

Abbreviations: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γ –GTP, γ-glutamyltransferas; CRP, c-reactive protein.

* Abdominal obesity, defined as a waist circumference in men≥90cm, serum triglycerides≥15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triglycerides, serum HDL cholesterol<40mg/dL or drug treatment for low HDL cholesterol, blood pressure≥130/85 mm Hg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10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glucose.

P: P-value<0.05 by chi-square test.

(5)

김완서 외. 일부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가 2 . 608 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대사증후군 조기 선별 지표로써 γ GTP 의 활용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고 CRP 혈증은 대사증후군 각 항목들과 연관이 있다 하였다.

4, 25)

Malik

26)

은 대사증후군이 있으면서 CRP

>

3 . 0mg / L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3 . 33 배 높음을 확인하였고, 대 사증후군 예측인자로서 CRP 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Oda

27)

은 일본인에서 CRP 의 기준점을 0 . 65mg / L 로 제시하며, 서양의 기준을 동양인에게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 에서는 고 CRP 혈증은 0 . 3mg / dL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고 교차비는

1 . 405 ( 95 % CI , 0 . 783 ~ 2 . 521 )로 유의하지 않았다. 향후 한국인에게 맞는 기준점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실질적인 지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 점은 첫째, 단면연구로 대사증후군 구성항목과 관련요인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둘째, 사업장 근 로자 대상 연구이므로 건강근로자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한 국인에서 결혼여부는 대사증후군 발생과 관련 있다고 하나, 본 연 구에 반영하지 못 하였다.

28)

넷째, Kim

29)

은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근로자의 작업 특성, 직무스트레스 및 유해환경요인들을 직무 별로 세분화하여 여 러 건강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해야 하겠다.

30)

마지막 제한점은 교

Table 4. Metabolic syndrome risk for each associated factor*

Characteristics

Non-metabolic syndrome

(n= 842)

Metabolic syndrome

(n= 138)

P

Age(years)

<45

≥ 45,<50

≥ 50

176 407 259

(86.3) (87.3) (83.6)

28 59 51

(13.7) (12.7) (16.4)

0.33

Drinking Healthy Unhealthy

380 462

(88.6) (83.9)

49 89

(11.4) (16.1)

0.03

Smoking Non-smoker Ex-smoker Current

209 299 334

(88.6) (84.9) (85.2)

27 53 58

(11.4) (15.1) (14.8)

0.29

Exercise Healthy Unhealthy

778 64

(86.2) (83.1)

125 13

(13.8) (16.9)

0.46

Personal history of hypertension

No Yes

800 42

(88.5) (55.3)

104 34

(11.5) (44.7)

<0.001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No Yes

830 12

(87.3) (41.4)

121 17

(12.7) (58.6)

<0.001

Family history of CVD and DM

No Yes

584 258

(86.5) (84.6)

91 47

(13.5) (15.4)

0.42

Work pattern Daytime-fixed worker Shift worker

198 644

(90.4) (84.6)

21 117

(9.6) (15.4)

0.03

Work duration(years)

<20

≥ 20

515 327

(86.4) (85.2)

81 57

(13.6) (14.8)

0.58

γ-GTP

<73 IU/L

≥ 73 IU/L

728 114

(88.2) (73.6)

97 41

(11.8) (26.4)

<0.001

CRP

<0.3 mg/dL

≥ 0.3 mg/dL

763 79

(86.7) (79.0)

117 21

(13.3) (21.0)

0.04

Abbreviations:CVD and DM,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γ –GTP, γ–glutamyltransferas; CRP,c-reactive protein.

* Data are presented as numb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P: P-value<0.05 by chi-square test.

Table 5.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elective factors*

Characteristics OR(95% CI)

Age(years)

<45

≥ 45<50

≥ 50

1 0.772(0.455~1.309) 0.740(0.366~1.495) Drinking

Healthy Unhealthy

1 1.214(0.803~1.834) Smoking

Non-smoker Ex-smoker Current

1 1.265(0.734~2.181) 1.303(0.753~2.253) Exercise

Healthy Unhealthy

1 1.065(0.532~2.134) Personal history of hypertension

No Yes

1 5.957(3.389~10.470) Personal history of diabetes

No Yes

1 7.568(3.262~17.555) Family history of CVD and DM

No Yes

1 0.778(0.503~1.203) Work pattern

Daytime-fixed worker Shift worker

1 1.711(1.010~2.896) Work duration(years)

<20

≥ 20

1 1.086(0.642~1.837) γ-GTP

<73 IU/L

≥ 73 IU/L

1 2.608(1.638~4.153) CRP

<0.3 mg/dL

≥ 0.3 mg/dL

1 1.405(0.783~2.521) Abbreviations:CVD and DM,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γ –GTP, γ –glutamyltransferas; CRP,c-reactive protein.

*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95% confidence interval).

P: P-valuer<0.05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6)

Wan-Seo Kim,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ublic-transport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대근무와 교호작용이 있는 다른 요인들을 보정하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가 대사증후군 발생에 있어 의미 있게 나타 났지만, 향후 관련요인들을 보정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발 병은 교대근무 및 개인병력과 관련이 있었다. 더 나아가 개인적, 사 회적 및 작업적요인 등에 따라 사업장 간 대사증후군 발생과 그 구 성항목별 유병률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예방책 마 련 시 사업장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 사증후군의 조기 선별 지표로 γ GTP 의 활용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요 약

연구배경: 일부 대중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원에서 2013 1 월부터 12 월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수도 권 소재 대중 교통업무 관련 남자 근로자 980 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설문을 통해 연령, 음주, 흡연, 운동, 개인병력, 가족병력, 근무 기간과 근무형태를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 관련 데이터는 건강검 진자료를 이용했다. 대사증후군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Adult Treatment Panel III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4 . 1 %였다. 대사증후 군 구성항목별 유병률은 고중성지방혈증이 39 . 1 %로 가장 높았고, 공복 시 고혈당 33 . 3 %, 고혈압 30 . 5 %, 저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 테롤혈증 16 . 1 %, 복부 비만 13 . 2 %순 이었다. 교대근무자는 비 교 대근무자에 비해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odds ratio [ OR ], 1 . 711 ; 95 % confidence interval [ CI ], 1 . 010 to 2 . 896 ). 개인고혈 압병력( OR , 5 . 957 ; 95 % CI , 3 . 389 to 10 . 470 ), 개인당뇨병력( OR , 7 . 568 ; 95 % CI , 3 . 262 to 17 . 555 ), 및 고감마지티피( OR , 2 . 608 ; 95 % CI , 1 . 638 to 4 . 153 )의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 하여 각각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결론: 교대근무는 일부 대중 교통업무 관련 남자 근로자의 대사증 후군 유병률에 유의한 영향이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감마지티피 의 대사증후군 지표로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단어: 대사증후군; 교대근무; 감마지티피

REFERENCES

1. Grundy SM, Brewer HB Jr, Cleeman JI, Smith SC Jr, LenfantC.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Circulation 2004; 109:

433-8.

2. Juhan-Vague I, Morange PE, Alessi MC.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mplication for thromb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hophysiol Haemost Thromb 2002; 32: 269-73.

3. Rantala AO, Lilja M, Kauma H, Savolainen MJ, Reunanen A, Kesaniemi YA.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and the metabolic syndrome. J Int Med 2000; 248: 230-8.

4. MARGIT FRÖHLICH, ARMIN IMHOF, GABRIELE BERG, WINSTON L. HUTCHINSON, MARK B. PEPYS, HEINER BOEING, et al. Association Between C-Reactive Protein and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0; 23:

1835–9.

5.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 24: 683-9.

6. Lim S, Choi SH, Shin H, Cho SI, Song JH, Park KS,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 34: 1323-8.

7. Kim EG, Oh SW.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bes 2012; 21: 108-14.

8. Statistics Korea [Internet].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3. [cited 2015 Feb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english/

news/1/25/4/index.board

9. Alkerwi A, Boutsen M, Vaillant M, Barre J, Lair ML, Albert A, et al.

Alcohol consumption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therosclerosis 2009; 204:

624-35.

10. Sun K, Liu J, Ning G. Active smoking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PLoS One 2012;

7: e47791.

11. Bacquer D De, Risseghem M Van, Clays E, Kittel F, Backer G De, Braeckman L. Rotating shift work and the metabolic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9; 38:

848–54.

12. Kim S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dissertation]. Dae gu: Kyungpook National Univ.; 2013. Korean.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Internet]. Statistics on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3 [cited 2015, Feb 10].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www/boardView.do?contentId=3585 15&menuId=554&boardType=A2

14. Choi ES.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n electronics manufacturing compan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 18: 35-45.

15. Moon JH, Lee SJ, Park JD.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 with r-GTP in steel-mill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 19: 17-25.

16. Lee W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Factors in

(7)

김완서 외. 일부 교통업무 관련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Firefighters [dissertation]. Kyonggi: Kyonggi Univ.; 2014. Korean.

17. Choi SK, Lee KS, Lee JW, Koo JW, Park CY.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3; 15: 37-51.

18. Kim SE, Kim HR, Park JI, Lee HW, Lee JI, Byun JS,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iatric disorders and work-related problems among subway drivers in Korea.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4; 26-39.

19. Glazner LK. Shiftwork: its effect on workers. AAOHN J 1991; 39:

416-21.

20.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Donato KA,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 120: 1640-5.

21. A pocket guide for alcohol screening and brief intervention [Internet]. Rockville (MD):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2005 [cited 2015 Feb 1]. Available from: http://pubs.

niaaa.nih.gov/publications/Practitioner/PocketGuide/pocket.pdf 22. S. Sookoian, C. Gemma, T. Ferna’ ndez Gianotti, A. Burguen~ o, A.

Alvarez, C. D. Gonza’ lez, et al. Pirola1 Effects of rotating shift work on biomarke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nflammation. J Intern Med 2007; 261: 285-92.

23. Shin JY, Lim JH, Koh DH, Kwon KS, Kim YK, Kim HC, et al.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levels and the risks of impaired

fasting glucose in healthy men: a 2-year follow-up.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 39: 353-8.

24. Kim TY, Kim DH, Park CH, Cho KH, Lee SH, Ga H, et al. The Effect of Gamma-Glutamyltransferase on Impaired Fasting Glucose or Type 2 Diabetes in Korean Men. Korean Diabetes J 2009; 33:

215-24.

25. Son JC, Kim BT, Lee DJ, Choi HK, Chung HJ, Kim GM. The most associated risk factor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C-reactive protein. Korean JObes 2003; 12: 15-23.

26. Malik S, Wong ND, Franklin S, Pio J, Fairchild C, Chen R.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elevated C-reactive protein. Diabetes care 2005; 28:

690-3.

27. Oda Eiji, Oohara Kazuhiko, Abe Akihiro, Veeraveedu Punniyakoti T, Watanabe Kenichi, Kato Kiminori, et al. The Optimal Cut-off Point of C-Reactive Protein as an Optional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in Japan. Circ J 2006; 70: 384-8.

28. Park EO, Choi SJ, Lee HY.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Based on the KNHANES V 2010.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3; 38: 1-13.

29. Kim JW. Health-Related Behaviors and Job Stress Among Seoul METRO Employer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 oh Technology; 2009. Korean.

30. Oh YH, Nam IS, Kim SD, Kim DS, Park DS, Kim JH, et al. Health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PM10,PM2.5) of Indoor Air in Subway Statio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3; 20: 29-36.

수치

Table 3. Prevalence of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factors
Table 5. Odds ratio for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elective  factors*

참조

관련 문서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관련변인 분석에서 김정희(1996)는 연령,인간중심의 조직 특성,공식화,근무병원,자원의 부적합성,승진,복지후생 등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선수지도 스트레스요인분석에서는 경력과 최근 2 년 성적의 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소속,성별,연령,

In addition, measurements at 0 and 12 weeks (body composition, α-amylase,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were performed twice. For 12 weeks, the

최근 증가하는 비만환자와 성인병의 관리에 있어서 체중조절은 필수적이다.본 연구는 실제 환자의 진료에서 비만지표로서 이용하고 있는 BMI와 관련된 여러 요

A Retrospective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Neonatal Occipital

결과적으로 본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대한 예방 및 관리시 지질이상 특히 중성지방에 대한 관리가 더욱더 중요하다고 하겠다.본

Systems(ITS) which refer to efforts to add information and communica- tions technology to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vehicles in an effort to manage factors that typically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