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정도에 대한 탐색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정도에 대한 탐색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 o l. 1 1 N o . 1 , A u g u s t , 2 0 0 6 , p p . 3 9 ~ 4 9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정도에 대한 탐색

전남대학교병원 •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ᅭ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교신저자 신 은 숙* • 정 애 란* • 이 은 정* • 조 은 영* . 곽 경 옥*

최 정 현* • 박 아 영* • 임 소 원* • 임 유 진** • 최 자 윤

• o

...

Risk Degree of Pressure Sore According to Hospital Days in ICU Patients

Sin, E. S . * . Jung, A. R * . Lee, E. Y * . Cho, E. Y * • Kwak, K. ᄋ.*

Choi, J. H* • Park, A. Y.* • Lim, S. W * . 니m, Y, J.** • Choi, J. Y.***

*Chonnam National Univeristy Hospital

**G raduation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 — ... O ... —

> Abstract <

Purpose:

T h is s tu d y w a s a im e d to id e n tify th e c ritic a l p e rio d a n d fa c to rs o f p re s s u re s o re b y c o m p a rin g th e ris k d e g re e s fo r p a tie n ts in th e in te n s iv e c a re u n it (IC U ).

Method:

A fte r te a c h in g th e s ta n d a rd s fo r th e a s s e s s m e n t to o l, F ifty n u rs e s w h o w o rk in g a t b o th IC U s o f th e m e d ic a l a n d s u rg ic a l d e p a rtm e n ts c h e c k e d th e lis t o f p re s s u re s o re s o n c e a d a y a t th e s a m e tim e fro m A u g u s t 1 5 ,2 0 0 5 to N o v e m b e r 2 8 2 0 0 5 . T h e a s s e s s m e n t to o l w a s m o d ifie d b y in te g ra tin g p re v io u s to o ls . C ro n b a c h ’s a lp h a o f th is to o l w a s. 92. T h e d a ta w e re a n a ly z e d b y re p e a te d m e a s u re A N O V A a n d A N O V A .

교신저자 : Choi, Ja Yun

광주광역시 동구 학 1 동 5 번지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501-746 ),조교수 Tel: 062-220-4343, Fax: 062-225-3307, E-mail: choijy@jnu.ac.kr

-

39

-

(2)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11권 1호,2 0 0 6 년

R e s u lt: T h e s c o re s o f th e a s s e s s m e n t to o l fo r th e ris k d e v e lo p in g p re s s u re s o re s ra n g e d fro m 1 7 to 36. T h e ris k s c o re o f p re s s u re s o re s w a s h ig h e r o n th e 6 th d a y th a n a n y o th e r d a y (F = 1 9 .8 7 , p < .0 ). A m o n g th e s c o re s o f 1 2 fa c to rs , a c tiv ity w a s th e lo w e s t, on th e o th e r h a n d , in c o n tin e n c e w a s th e h ig h e st.

C o n c lu s io n : T h is s tu d y s u g g e s te d th a t th e c ritic a l p e rio d w a s fro m a d m is s io n to th e 5 th d a y a n d th e s tro n g e s t ris k fa c to r w a s th e d is tu rb a n c e o f a c tiv ity . F u rth e r s tu d y n e e d s to d e v e lo p a c o s t-e ffe c tiv e p ro to c th a t c o u ld a p p ly in te rv e n tio n s to re d u c e ris k fa c to rs d u rin g th e c ritic a l p e rio d in th e ICU.

Key words

: p re s s u re so re , c ritic a l p e rio d , ris k fa c to r, ICU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욕창은 압력 (pressure), 비틀림 (shear), 마찰

(friction )로 인해 조직의 혈액순환이 차단되어

생기는 국소적 조직 괴사 또는 궤양을 말한다 . 욕창은 예방이 가능하나 일단 발생하면 장기 간의 치유기간을 요하고 완치가 되어도 재발 가능성이 높아 입원기간의 연장 (Lee , 2003 )과 의료비 부담을 증가시킨다 (Erwin, 1995; Gerry, Carol, & John, 2004). 또한 이를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간호 시간이 욕창 형성을 예방하는

데 소요되는 간호 시간에 비해 1.5 배 이상이며

(Abruzzese, 1995) 욕창발생이 입원기간을 8.2 일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Allman, Goode, & Burst, 1999).

중환자실은 질병의 정도가 심하고,가동성이 심하게 제한되며,인공호흡기의 사용,약물사용 등으로 병동환자들에 비해 욕창 발생율이 높아 중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30 %까지 의 욕창 발생을 보고하고 있다 (Kim, 1998; Lee, Jung & Jun, 2003). 중환자 중 외과계 환자는 수술동안 움직일 수 없고 마취로 인해 통증을 느낄 수 없으며 수술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고 수술 후에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인공호

기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에게 연결

된 튜브로 인해 가동성에 제한을 받는다 <Park,

2005; Schoonhoven, Defloor, & Grypdonck,

2002). 그리고 중환자 중 내과계 환자는 대부분

노인환자가 많은데 노인은 마비를 포함하여 기 동력에 제한을 초래하는 만성질환을 보유한 사 람이 많고 , 동맥경화증,운동량 저하,감각기관 장애 등 여러 가지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 신체 적 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사소한 외부의 자극 에도 쉽게 욕창이 발생되게 된다 (Sieggreen &

Maklebust, 1997). 따라서 특히 중환자이면서

수술이나 노인환자라는 복합적인 문제점을 가 지고 있는 내 • 외과계 중환자실은 욕창을 예방 하기 위해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

욕창 관련 기존 연구를 요약해보면 욕창발생 요인에 대한 조사 (Kim, 1996; Lee, 2003; Song

& Choi, 1991; Yang & Kim, 1998), 욕창발생 시기 , 욕창예방 간호행위 증진에 관한 연구 (Choi, Park, & Choi, 1998; Kang, Choi, Kim,

& Ju, 1997), 욕창위험사정도구의 개발과 도구 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Choi, Bae, Choi,

& Bang, 2005; Kim, 2003; Lee, 2001; Lee, et

al., 2003 )들이 있다 .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욕창예방 프로토콜과 타당성 높은 사정도구의 활용 (Choi et al., 2005; Kim, 2003; Lee, 2001;

Lee, et a l, 2003 )으로 욕창발생을 예방할 수

(3)

있다는 고무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나 현재 국내 중환자실 인력이나 병원 지원체계내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기존 연구로부터 개발된 중재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가장 욕창에 영향력 있는 문제를 유효적절하고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 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 선행연구 결과 병동 환자나 중환자 모두 욕창발생 위험 시기

가 평균 입원 첫 주 이내로 나타나 iL ee , 2001;

Lim & Song, 1996; Song & Choi, 1991) 입원 첫 일주일 동안이 가장 욕창발생의 위험시기라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그러나 중환자를 대상으 로 한 욕창 발생 위험시기에 관한 연구의 경우 대상자 수가 10 명 내외로 적었거나 <Song &

Choi, 1991) 욕창발생 이후 발생시기를 역추적

한 연구들 <Lee , 2001; Lim & Song, 1996 )로 입원 기간 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지는 못하였 다 . 또한 욕창 사정 도구 항목에 포함된 욕창발 생위험 요인 중 내 • 외과계 중환자에서 가장 사정 점수가 낮은 부분에 대한 파악을 통해 집 중적으로 관리할 욕창발생위험 요인을 파악해 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내 ■ 외과계 중환자를 대 상으로 중환자실 입원기간동안 욕창 발생위험 추이를 살펴 욕창발생 위험시기를 확인하고 욕창사정도구의 항목 중 어떤 위험요인의 점 수가 낮은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시 간 효율적인 욕창 예방 중재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내 • 외과계 중환자를 대상으로 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사정점수를 비교한다 . 2) 내 • 외과계 중환자를 대상으로 욕창발생위

험 사정도구의 요인 별 점수를 비교한다 .

n.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중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에 따른 욕창 발생위험 사정도구의 요인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반복 연구이다 .

2.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G 시 C 대학교병원 내 • 외과계 중환자실에 8 월 15 일에서 11 월 28 일 까지 입원한 91 명중 선정 제외기준에 따라 46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대상자나 보호자 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협조에 동의한 경우 대상자로 포함하였고 1) 입원 당일과 이

틀째에 전실한 경우와 2) 중환자실에서 사망

한 경우는 대상자에서 제외되었다 . 3) 마지막 으로 욕창 사정 도구 사용 시 누락된 항목이 있는 경우에 자료가 제외 되어 46 명이 최종 분석 대상자였다 .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는 본 연구팀이 여러 문헌 (Norton, et al., 1962;

Gosnell, 1973; Waterlow, 1996; Douglas (Douglas & Watret, 1995); Braden, 1989 )을 참고하여 종합한 결과로 사정할 항목이 포괄 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통합하였다 . 욕창발 생위험 사정도구는 크게 전신 상태,정신 상 태,활동 정도,가동성 정도,실금 정도,순환 장애,투약,영양 상태,습윤,체온,피부 감각,

마찰력의 12 가지 범주로 구성 되었다 . 마찰력

영역을 제외하고 각 범주는 1-4 점 척도를 사

용하고 , 마찰력 영역은 1-3 점 척도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욕창 발생 위험이 높다 . 사정도구는

(4)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11권 1호

,

2 0 0 6 년

체크리스트 형식을 가지며 척도는 대부분

Likert scale 로 되어 있으나 정신상태의 경우

정상에서 혼미까지 단계별로 구분이 되어있고 실금정도 역시 정상,가끔 실금 , 자주실금 및 소변 대변 실금과 같이 심각성 정도에 따라 척도가 구분되어 있는 범주들이 있다 . 점수가 높을수록 욕창 발생 위험성은 낮음을 의미하 였다 . 본 연구에서의 도구의 신뢰도는 a = .9 2 였다 .

4.

자료 수집 방법

G 시 C 대학교 병원 내 • 외과계 중환자실 간

호사 50 명을 대상으로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의 점수 기준에 대한 교육을 2 시간 동안 실시 후 평가자간의 합의를 이루었고 2005 년 8 월 15 일부터 2005 년 11 월 2 8 일까지 C 대학교 병 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 자실 입원 기간 동안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를 사용하여 욕창발생위험 정도에 관한 사정 을 실시하였다 . 중환자실 입실 직후 1 차 사정 을 실시하였고,매일 초번 간호사에 의해 오전 10 시 - 11 시 사이에 정기적인 사정을 실시하였 다 . 그러나 평가자 간의 일치정도를 파악하지 않은 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생각된다 .

5.

자료분석 방법

SPSS 12.0 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

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서술적 통계방법 을 사용하였고 입원 기간 별 욕창발생위험 사 정도구 점수는 repeated measure ANOVA 를 사용하였으며 대응별 주요효과를 비교분석하 기 위해 pairwise comparision 를 사용하였고,

사정도구 요인 별 점수는 ANOVA 를 사용하

였다 . 입원 기간 별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점 수는 기존 문헌에서 첫 일주일이 위험시기라

는 보고가 있었고 (Lee, 2001; Lim & Song,

1996), 7 일 이후 환자의 전실이나 전원 등으로

인한 대상자 탈락이 많아 연구 가능성면에서 도 7 일 째까지만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7 일까지만 분석하였다 .

in.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자가 25^(54.3% ), 여자는 21 명 (45.7%) 이고,

평균연령은 58.2 세였다 . 정신 상태는 명료한

경우가 16 명 (34.8%), 진정상태를 포함한 기면

이하가 30 명 (65.3 %)으로 나타났다 . 경유지는

수술실을 경유한 경우가 28 명 (60.9 %)으로 병

동을 경유한 경우 (39.1 %)보다 많았다 . 과별

분포는 흉부외과가 20 명 (43.5 %)으로 가장 많 았고,다음으로 일반외과가 10 명 (21.7 % )이었 다 . 해당병실은 외과계중환자실이 31 명 (67.4 %),

내과계중환자실이 15 명 (32.6 %)으로 나타났다

〈Table 1>.

2.

입원 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점수

대상자의 입원 기간 별 욕창발생위험 사정 도구 점수의 변화는 <Table 2 >와 같다 . 입원 당일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점수는 17 점에서 36 점까지 분포하였으며,환자들의 입원 기간

은 최단기 2 일에서 최장기 4 0 일까지 다양하였

다 . 분석기간은 입원 일부터 7 일째까지였으며 입원 당일에서 2 일째까지는 46 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3 일째에서 5 일째는 45 명,

6 일째는 40 명, 7 일째는 31 일명으로 입원 7 일 째에 전실이 많았다 . 입원 기간 별 욕창발생위 험 사정점수는 1 일째가 29.00±4.16 으로 가장

-

42

-

(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 = 46)

Variables Classes n(%) Mean 土 SD

Sex Man 25(54.3)

Female 21(45.7)

Age < 60 years 23(50.0) 58.22 土 14.78

>=60 years 23(50.0)

Mental Alert 16(34.7)

< Drowsy 19(41.3)

Sedation 11(24.0)

Passage Operating room 28(60.9)

Ward 18(39.1)

Department CS 20(43.5)

GS 10(21.7)

CV 6(13.0)

Miscellaneous (PD, KD, GI) 10(21.8)

Type of ICU SICU 31(67.4)

MICU 15(32.6)

CS: Cardiac Surgery; GS: Gastrointestinal Surgery; CV: Cardiovascular; PD: Pulmonary Department; KD: Kidney Department; GI: Gastrointestinal Department; ICU: Intensive Care Unit; SICU: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Medical Intensive Care Unit

Table 2. Risk score of pressre sore according to hospital days

(N = 46)

Hospital day Number of Subject Mean ± SD F P

1th 46 29.00 4.16 19.87 <.001

2nd 46 29.28 4.10

3rd 45 29.44 4.05

4th 45 29.17 4.27

5 th 45 29.28 4.14

6th 40 31.06 4.29

7th 31 29.72 4.70

낮았고,다음으로 4 일째 29 .1 7 ± 4 .2 7 이었다 . 반면 6 일째는 31.06±4.29 점으로 가장 높았다 . 반복 측정한 욕창발생위험 사정점수는 입원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 19.87 ,

p<.0 이 ). 대응별 비교로 입원 기간 별 주요효

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Table 3 >과 같고 6

일째와 나머지 일과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p< .001~ .002).

(6)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11권 1호,2 0 0 6 년

Table 3. Pairwise comparison of hospital days on risk degree of pressure sore

Hospital Mean difference (p)

day 1th 2nd 3rd 4th 5th 6th 7th 1th - .278( .263) •444(.190) • 167( .579) .278( .472) 2.056(<.001) .722( .214) 2nd - .278( .263) - • 167(.187) - .111( .495) .000(1.000) 1.778( .001) .444( .457) 3rd - .444( .190) - .167( .187) - - .278( .135) - .167( .454) 1.611( .002) 278( .629) 4th - .167( .579) • 111( .495) .278(.135) - .111( .430) 1.889(<.001) .556( .288) 5 th - .278( .472) .000(1.000) .167(.454) - .111( .430) - 1.778(<.001) .444( .380) 6th -Z056(<.001) -1.778( .0

) -1.611 (.002) -1.889(<.001) -1.778(<.001) - -1.333(<.001) 7th - .722( .214) - .444( .457) -

. 2 7 8 ( . 6 2 9 )

- .556( .288) - .444( .380) 1.333( .002) -

Table 4. Difference on risk degree of pressure sore according to factors

(N = 46)

Risk Factors Mean ± SD F P Scheffe-test

Condition 1.89 •47 50.71 .00 a

Mentality 2.91 1.17 a

Activity 1.01 .07 a

Mobility 1.75 •77 a

Incontinence 3.88 .47 b

Circulation 3.05 •74 b

Medication 3.25 .84 b

Nutrition 1.31 .44 a

Moistness 3.19 .70 b

Temperature 3.60 .60 b

Sensation 3.21 .99 b

Friction 2.05 .74 a

3.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요인 점수 비교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의 요인 별 점수 비 교 결과는 <Table 4 >와 같다 . 전체 12 가지 요

인들 중 활동 정도가 1.01 ± .0 7 점으로 가장 낮

았고 다음으로 영양이 1.31 ± .4 4 점,가동성 정

도가 1.75±.77 점 , 전신 상태가 1.89±.47 점 순

이었다 . 반면 실금 정도는 3.88±.47 점으로 가

장 높았다 . 입원 기간 동안 반복 측정한 욕창

발생위험 사정도구의 요인별 점수는 각 요인

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 = 50.71,

P<.0 이 ). 이를 사후 분석 한 결과 전신 상태 , 정신 상태,활동 정도 , 가동성 정도,영양 및 마찰력이 실금 정도,순환장애 , 투약 , 습윤,체 온 및 피부감각에 비해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

44

-

(7)

W .

논 의

지금까지 중환자실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발생위험 시기와 욕창발생위험 요인을 분 석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첫째 , 입원 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점수 는 입원 1 일째에서 5 일째까지 낮은 점수를 보 였으며, 6 일째 가장 점수가 높았다 . 본 연구에 서 욕창발생위험이 높은 기간은 입원 후 5 일 이내로 추정되며,이는 병동환자를 대상으로 한 Song & Choi(1991 )의 연구에서 입원 후 4 일 이내에 욕창발생률이 47 %로 높았고 ,Lim

& Song (19 % )의 연구에서도 입원 4 일 이내 에 욕창발생률이 50 %로 가장 많았던 연구들 과 일치한다 . 이 연구들이 중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음에도 4 일 이내 욕창발생률이 높았 던 것은 신경계의 주요 문제인 부동을 동반한 환자라는 대상자의 특성으로 인하여 비슷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 중환자인 경우

입원 첫 주에 54.2 % 가 발생한다는 연구 (Lee,

2001 )와 입원 후 3 일에 17 명 중 6 명이 욕창이 발생되어 입원 후 3 일째가 가장 호발시기라고 보고한 연구 (Yang & Kim, 1998 )가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6 일 이후 다시 점수가 낮아진 것은 환자의 전신 상태가 호전 및 악화로 인해 전실과 퇴원이 발생하여 대상자가 이 시기에 많이 탈락하였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입원기간과 욕창발생위험의 정확한 인과관계 는 설명하기 어렵고 , 전실 등으로 측정되지 못 한 대상자의 욕창발생위험 정도의 진행경과를 추적관찰하지 못하였으므로 보다 심층적인 반 복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둘째 , 욕창발생위험 요인에 따른 욕창발생 정도에 관한 연구에서 활동성 , 연령,빈혈 , 이

완압,마찰,의학적 진단 , 환경적 변수,실금,

정신상태의 변화 , 운동 상태,습기,인종 , 자가 간호 변화,피부 상태,흡연 및 온도가 주요인 으로 확인되었다 (Spark, 1990). Gosnell(1989)

은 욕창에 관한 100 개의 연구논문을 검토한

결과 126 개의 위험 항목을 확인했다 . 가장 흔

히 나타나는 15 개의 주요 위험인자는 기동성 저하,지속된 압박,영양실조,소변 실금 , 대변 실금,약물 , 노화,기능적 장애,비틀림,음소 질소 평형,지각 부전 및 마비,탈수 , 저 체중,

습기 및 만성질환 상태이다 . Brandies, Morris, Lipsitz 와 Nash(1989 )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

해 3,6 이개의 양로원 거주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욕창과 관련된 10 개의 독립적 인 자로 영양실조,소변실금,침대나 의자에만 머 무름,대변 실금,마약 투약자,인슐린 요법 , 파킨슨병과 남성 등을 들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신 상태,활동 정도,가동성 정도,영양,마 찰력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 활동 정도와 가동성 정도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것은 중환자실 환자의 질환 별 중증도로 인해 활동제한과 부동이 원인이 될 수 있고,진정제 사용으로 인한 부동도 원

인이 될 수 있다 . Kim(2000 )은 욕창발생위험

요인을 확인한 연구에서 기동이 전혀 불가능 하여 완전히 타인에 의존하는 것이 가장 위험 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동작 제한으로 인한 것이 위험한 요인이라는 것은 Batson, Adam, Hall 과 Quirke(1993 )의 연구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 그들은 특히 견인장치 , 대동맥내 풍선

(IABP), 심한 수술 후 동통 등이 동작을 제한

했고,이 경우 환자 이동이나 체위변경을 더 어렵게 하기 때문에 욕창 발생이 가중된다고 하였다 . 이는 적절한 체위변경과 좋은 환자 이 동 방법만으로도 욕창발생 위험정도를 낮출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

-

45

(8)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11권 1호

,

2 0 0 6 년

전신 신체상태와 영양상태는 중요한 욕창발 생위험 요인일 뿐 아니라 치료 결과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력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Gosnell ,

1987), Batson 등 (1993 )의 연구에서도 장기간 영양실조상태의 만성적 영양저하 환자들에서 기초 대사율 저하와 욕창 발생 간에는 상관성 이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 더구나 질환에서 회 복되는데 요구되는 대사량이 증가하는 반면에 음식 섭취가 가능한 경우는 많지 않아서 영양 부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영양이 불량한 상태 에서 욕창발생위험이 더 높아진다고 하였다 (Yang & Kim, 1998). 또한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Yang 과 Kim(1998) 의 연구를 살 펴보면,욕창발생 유무별 영양상태 차이를 분 석한 결과에서 욕창 발생군이 욕창 발생이 되 지 않는 군에 비하여 체중 , 체질량지수 , 무지 방 체질량,체액량,알부민이 유의하게 낮았다 . 본 연구에서도 영양상태는 여러 요인 중 두 번째로 낮은 점수를 보여 중환자의 욕창발생 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결과 들은 질환자체의 기질적 이유로 영양섭취가 감소하는 경우나 수술 후 장운동이 돌아올 때 까지 금식을 하는 경우,그 외 치료 상의 이유 로 금식을 하는 환자가 많은 것이 주요 원인 인 것으로 추정된다 . 따라서 전문 영양사에게 영양상담을 받거나 중환자에게 요구되는 정확 한 칼로리 산출에 의거한 식이처방이 되지 않 는 현실을 고려할 때,욕창예방을 위해서 영양 상태 평가 및 적절한 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환자실 환자 대부분이 정 맥으로 영양을 공급 받고 있는데 , 그에 비해 위장관 영양은 값이 싸고,위장관 출혈의 위험 을 낮추고 담낭수축력 향상 및 수술에 따른 상처회복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 그러므로 환자의 상태가 허락된다면 정맥 영양 공급보 다는 위장관 영양 공급을 조기에 일찍 시작하

여야 할 것이다 .

마찰력 역시 욕창발생 요인 중 하나였고 , 마 찰은 침상 상부로 환자의 몸을 끌어 올리고자

할 때 침요와 신체가 부딪쳐서 발생한다 (Song

& Choi, 1991). Kim(2000 )은 많은 욕창발생 위험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외적 요인은 압력 , 전단력,마찰력 등이라고 밝혔다 . 마찰이 욕창의 일차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의 표피층을 벗겨내는데 기여하며 표피외층의 제거는 진피의 섬유소 분해 활동을 저하시켜 피부가 압박에 보다 민 감하게 되어 신체지지 표면에 욕창을 발생시 킨다고 한다 .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능동적인 체위 변경이 어려워 매 2 시간 마다 간호사에 의해 수동적 체위변경이 시행되므로 2-3 명의 간호사에 의해 체위변경이 이루어져 환자의 신체와 침요가 부딪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

욕창이 발생된 환자의 92 %는 실금에 의한

다는 한 연구 결과 (Shannon, 1984 )에서 실금

은 활동 및 운동 부전 다음으로 욕창을 발생 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욕창발생 위험요인으로서 실금점수가 낮았다 . 습기 ( 실변 , 상처누출 , 발열과 높은 중환실 실 내온도로 인한 발한)가 욕창발생의 위험요인

이지만 중환자의 경우 I/O 모니터링이나 다른

이유로 대부분의 환자가 유치도뇨관을 삽입하

고 있기 때문에 실금은 중환자에게 욕창을 발

생시킬 수 있는 상대적 위험정도가 낮다는 보

고 결과 (Keller, Wille, van Ramshorst, & van

der Werken, 2002 )를 반영해 주고 있다 . 따라

서 중환자와 일반 환자의 욕창발생 요인에 대

한 전향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또한 본 연구는 이상의 욕창 발생 위험 요인

들로 인하여 욕창이 실제 발생하였는지 유무

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연구의

(9)

제한점이라고 생각된다 . 따라서 중환자를 대 상으로 한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상의 위험 점수와 발생 건수와의 상관성에 대한 추후 연 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V■

결론 제언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들의 입원 기간에 따른 욕창발생 위험정도를 파악하고 욕창발생 위험 사정도구 각 요인들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반복연구로 2005 년 8 월 15 일에 서 11 월 28 일 까지 G 시 C 대학교 병원 내 •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48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내 •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50 명이 사정도구의 기준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입실 직후와 매일 초번 간호사에 의해 오전 10 시 ~ n 시 사이에 정기적인 사정을 7 일간 실시하였 다 . Norton, Gosnell, Waterlow, Douglas 및

Braden 의 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를 통합한 포

괄적인 사정도구를 사용하였다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8.22±14.78 세 였고,남자가 54.3%, 여자가 45.7%, 도착 시

의식이 명료한 경우가 34.7% 였다 . 과별 분포

는 흉부외과가 43.5 %로 가장 많았다 .

둘째,입원기간에 따른 욕창발생위험 사정 도구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으며 (F= 19.87, pc.001) 이를 대응별 비교로 입원 기간 별 주요효과를 분석한 결과 6 일째 와 나머지 일과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고 (p< .001~ .002), 1 일째가 29.00±4.16 점으로 가장 낮았고 6 일째가 31.06±

4.29 점으로 가장 높았다 .

셋째,욕창발생 위험요인 별 점수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F=50.71 , p<.001).

활동정도 (1.01 ±.07 ) 가 가장 낮았고 실금정도

(3.88±.47 )가 가장 높았다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 을 하고자 한다 .

첫째 , 중환자와 일반환자의 욕창발생위험 요인에 대한 전향적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둘째,욕창발생위험 사정도구 점수와 욕창 발생 건수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 다 .

셋째 , 중환자실 입원 기간 내내 모든 위험 요인을 중재하는 욕창 프로토콜을 적용한 군 과 욕창발생 위험시기 동안에 위험요인을 중 재하는 욕창 프로토콜을 적용한 군 간의 욕창 발생률과 비용효과를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

참 고 문 헌

Abruzzese, R. S. (1995). AHCPR treatment guideline for pressure ulcers.

Adv

Wound Care,

표 (1), 4.

Allman, R. M. , Goode, P. S., & Burst, N.

(1999). Pressure ulcers, hospital com­

plications and disease severity: Impact on hospital costs and length o f stay.

Adv Wound Care, 12(\), 22-30.

Batson, S., Adam, S., Hall, G., & Quirke, S.

(1993). The development o f a pressure area scoring system for crirically III patients : A pilot study. Intensive Crit

C a re N urs, 9,

1 4 6 - 1 5 1 .

Braden, B. J. (1989). Clinical utility of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Decubitus. 2 , 44-51.

Brandies, G. H. , Morris, F. N., Lipsitz, L.

-

47

-

(10)

전남대학교 간호과학논집 제11권 1호

,

2 0 0 6 년

A., & Nash, D. J. (1989). Correlates o f

Pressure sores in the Nursing home.

Paper Presented at Pressure Ulcers: A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Washington, D.C.

Choi, S. J., Bae, S. Y. , Choi, J. Y.,& Bang, H.

J. (2005). Development and predictive validity o f pressure ulcer predicting scale for patients with neurologic condition. Clin Nurs Research, 77(1), 95-108.

Douglas, D., & Watret, L. (1995). Auditing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J Wound

Care. 4(4), 189-191.

Erwin, T. P. (1995). Cost-effectiveness pressure ulcer management in extended care.

Ostomy Wound Manage, 41, 64-69.

Gerry, B. , Carol, D.,& John, P. (2004). The cost o f pressure ulcers in the UK. Age

Ageing, 33, 230-235.

Gosnell , D. J. (1987). Assessment and evaluation o f pressure sores. Nurs

Clinics North America, 22(2), 399-416.

Gosnell, D. J. (1989).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 A critique Part I : The Gosnell Scale, Decubitus, 2(3), 32-38.

Gosnell, D. J. (1973). An assessment tool to identify pressure sores. Nurs Res, 22 (1) , 55-59.

Kang, S. Y. , Choi, E. K., Kim, J. J., & Ju, M. J. (1997). CQI action tean approach to prevent pressure sores in Intensive Care Unit o f an acute hospital in Korea. KSMI, 4(\), 50-63.

Keller, B. , Wille, J., van Ramshorst, & van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review of risks and prevention. Intensive Care

Med, 28, 1379-1388.

Kim, S. S. (2003). Evaluating the predictive

validity fo r the new pressure sores risk assessmnet scal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im, Y. K. (1997). Evaluation o f a pressure ulcer risk assesment tool ( I ). J Korean

Acad Adult Nurs, 9(2), 272-285.

Kim, Y. K. (1998). Evaluation o 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 Nurs Sci, 10(2), 1-12.

Kim, Y. K. (2000). Evaluation o f predictive validity for the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 II. Nurs Sci, 12(2), 1

-

12

.

Lee, Y . H . (2001).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ve validity among pressure sore risk assessment tool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Lee, Y. H. , Jung, I. S., & Jun, S. S.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ve validity among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scales. J Korean Academy

Nurs, 33(2), 162-169.

Lee, Y. K. (2003). The relationship o 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 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 Korean Adult Nurs, 75(2), 267-277.

Lim, K.,& Song, M. (1996).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including 30 degree

der Werken, C. (2002). Pressure ulcers laterally inclined position on decubitus

(11)

ulcer prevention. J Korean Acad Adult

Nurs,8(2), 274-289.

Norton, D., et al. (1962). An investigation o f

Geriatric Nursing Problems in Hospital

London : National Corporation for the Care o f Old People.

Park, K. O. (2005). A study on decubitus

knowledge and decubitus nursing in­

terventions o 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 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Schoonhoven, L., Defloor, T., & Grypdonck, M. H. (2002).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due to surgery. J Clin Nurs, 11, 479-487.

Shannon, M. L. (1984). Five famous fallacies about pressure sores. Nurs, 14, 34.

Song, M., & Choi, K. S. (1991). Factors predicting development o f decubitus ulcers among patients admitted for neurological problems. J Korean Acad

Nurs, 21( 1 )

, 16-26.

Sparks, S. M. (1990). Nurse validation o f

pressure ulcer risk fac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

versity o f America, Washington, D.C.

Waterlow, J. (1996). Pressure sore assessments.

Nurs Times, 92, 53-58.

Yang, Y. H., & Kim, W. S. (1998). The

influence o f the risk factors and

nutritional status on the development

o f pressure sores for the risk patients

in ICU. J Korean Fund Nurs, 5(2),

280-292.

수치

Table  2.  Risk  score  of  press 니 re  sore  according  to  hospital  days
Table  4.  Difference  on  risk  degree  of  pressure  sore  according  to  factors

참조

관련 문서

비율이 1보다 크다는 것은 각 샘플이 하나의 모집단에서 왔을 가능성이 작다는 것이다. 즉, 각 집단의 평균이 같다는

Confirmation means a definite undertaking o f the confirming bank, in addition to that of the issuing bank, to honour or negotiate a complying

(2003), Nosocomial Infection of Malnourished Pati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 Anal ysis of Nutritional Support Status in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crit Ca re Med.

KL MrN O{zj  ~ € 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W Xl KL MMN ?,)6,6,+*3

Step 1 Setting up a mathematical model (a differential equation) of the physical process.. By the physical law : The initial condition : Step

The desalted crude is then sent to another series of heat exchangers (6 10) for heating to 427 o F then sent to exchangers (6-10) for heating to 427 o F, then, sent

To develope the water purifying system using the economical solar thermal energy, the box with the tilted angle of 15 o , 30 o , 45 o , 60 o and same basic area was

Explain the operation of binary counters, how to build them using F/F and 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