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당뇨성, 비당뇨성 신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당뇨성, 비당뇨성 신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당뇨성, 비당뇨성 신투석 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

1)

최수영1․ 서순림2

1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석사, 2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의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변화는 건강과 질병양상의 변화를 가져와 만성 퇴행성질환이 주요한 건강 위협요인이 되 고 있다. 그 중에서 만성신부전은 인구 일 백만 명당 1000명에 근접하여 전세계적으 로 높은 발생률과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 다(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2007).

만성신부전 환자의 약 39%는 당뇨성 신부전으로서, 고혈당과 함께 사구체 비대 및 기저막 비후 등의 형태학적 변화를 가 져와 미세 단백뇨를 야기하며, 이로인한 사구체 여과율 감소로 점차 신증후군, 고 혈압, 진행성 신부전으로 이행되어 요독증 을 초래하여 혈액이나 복막 투석을 촉진 하게 된다(대한신장학회, 2001).

혈액투석 환자는 식욕부진, 식사제한, 흡수장애 등에 의한 단백질과 에너지 섭 취량의 부족과 투석 액을 통한 영양소의 소실, 신부전에 의한 대사 장애 등으로 영 양부족이 발생하기 쉽다(Walser, 1983).

투석 환자에서 영양부족 상태는 면역기능 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른 감염증을 증가 시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Burowes 등, 2002). 실제로 혈액투석 환자의 55.5%에 서 혈청 알부민 농도가 3.5g/dl 이하를 나 타냈으며, 환자의 66.7%가 혈청 콜레스테 롤 수치 150mg/dl 이하로 영양불량 수준 을 나타냈다(김성미, 이영순, 조동규, 2000). 또한 만성 투석환자는 정상인에 비 해 체중과 체근육비가 낮고, 식이섭취량도 권장량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 었다(김양하, 서혜정, 김성록, 2001).

투석환자에서 당뇨병이 있다면, 비 당뇨 투석환자에 비해 영양불량 위험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되었으며(Cano 등, 2002), 투 석 후 감염, 합병증 등으로 생존율이 낮을 것으로 보았다(서미례 등, 2002).

한편, 정기적으로 투석하는 환자는 임상 증상, 스트레스, 치료적응문제 및 피로감에 의해 우울증상을 호소하게 된다(한상숙, 김 영희, 2005). Koo 등(2003)은 혈액 투석환 자의 56.5%에서 우울증이 나타났으며, 우 울로 인한 식욕저하는 영양 결핍으로 이어 질 수 있다고 했으며, 우울증이 있는 만성

주요어 : 당뇨병, 혈액투석, 영양상태, 우울 Adress reprint requests to : Suh, Soon Rim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1, Dongin-dong, Jung-gu, Daegu-city, 700-422, Korea.

Tel: 82-55-420-4927, Fax: 82-55-422-4931, E-mail: srsuh@knu.ac.kr

(2)

신부전환자는 우울하지 않은 군에 비해 헤 모글로빈, 헤마토크릿과 알부민 수치가 낮 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Kalender 등, 2006).

김성록(2010)의 연구에서도 투석환자에서 우울증이 58.7 %로 가장 흔하나 체계적 연 구는 적절히 되고 있지 않다고 했다.

투석환자 중에서 당뇨병은 투석치료에 대한 부담감을 가중시킴으로서 이러한 부 담감은 신체적 심리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김준영,최경애, 이병 환, 정인경, 유형준(2006)은 당뇨병 관리에 있어 우울증은 치료의 순응도를 낮추고, 혈당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 고한 바 있다. 김면빈 등(1998)의 연구에 의하면 혈액투석환자의 77.4%에서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을 보였으며, 당뇨군이 비당 뇨군에 비해 더 우울했고 우울 할수록 알 부민 농도와 체질량 지수, 주관적 영양상 태, nPCR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선행 연 구를 통해 당뇨성 신부전 투석환자는 우 울 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그로 인한 영 양상태가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여 당뇨성 신 투석환자와 비당뇨성 신 투석환자를 비교 하여 영양 상태와 함께 우울에 대한 연구 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당뇨성 신 투석환자와 비당뇨성 신 투석환자의 영양상태, 우울을 비교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당 뇨성 신 투석환자에게 적절한 영양교육과 심리적 상담을 제공하는 간호중재를 마련 하고자 시도하였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당뇨성 신부전 투석환자와 비당뇨성 신부전 투석환자의 영양상태 차이를 파악한다.

2.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당뇨성 신부전환 자와 비당뇨성 신부전환자의 우울정도를 파악한다.

3. 용어의 정의 1) 영양 상태

대상자의 체질량 지수, 삼두근 피부두겹두 께, 상완둘레, 상완위 근육 둘레, 주관적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조사지, nPCR , 생 화학검사를 통해 측정된 영양섭취상태를 말한다.

2) 우울

우울이란 삶에 대한 관심의 철회, 동기의 결여, 활력 상실, 절망감, 부적합감 및 열 등감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는 Zung의 자가 평가 우울척도를 김희진 (199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된 값 을 말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의 설계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 는 당뇨성 신부전증 환자와 비당뇨성 신 부전 환자의 영양상태와 우울을 비교 조 사한 연구이다.

(3)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일 광역시 대학병원에서 만 성 신부전으로 진단받은 후 6개월 이상 주 3회 지속적으로 혈액투석을 시행한 외 래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 간 중 감염성 질환이나 급성질환으로 입 원한 10인을 제외한 총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로 본 연구자가 직접 인공신장실 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읽어주는 면담법과 신체계측을 통하여 설문지를 작 성하였으며, 생화학적 수치는 의무 기록지 를 참조하여 조사하였다.

3. 연구 도구

1)영양상태 (1) 신체계측

① 체질량 지수

신장을 몸무게로 나누어 20미만 저체중, 20-25 정상, 25이상은 과체중 순으로 분 류하였다.

② 삼두근 피부두겹 두께

대상자의 동 정맥루가 없는 팔의 삼두박 근 부위에서 피하지방을 caliper(ZHONG YAN CO., CHIN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으며 남자 12.5mm, 여자 16.5mm를 정상치 로 기준하여 정상, 비정상으로 분류하였다.

③ 상완위 둘레

대상자의 동 정맥루가 없는 팔 어깨에 서 팔꿈치까지의 거리 중간지점을 줄자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으로서 남자 29.3cm,

여자 28.5cm를 정상치로 기준하여 정상, 비정상으로 분류 하였다.

④ 상완위 근육둘레

상완위 둘레- (0.314×삼두겹 피부두겹 두께)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으로 남자 25.3cm, 여자25.2cm를 정상치로 기 준하여 정상, 비정상을 분류하였다.

(2)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도구

Detsky 등(1987)의 주관적 영양상태평가 도구를 수정한 것으로 체중변화, 지난 1달동 안 식사섭취 상태, 소화기계 증상, 지난 1달 간의 기력, 신체 상태, 병력을 조사하였다.

각 항목은‘정상’(0),‘약간 문제 있 음’(1~2점),‘상당히 문제 있음’(3점),‘심 함’(4점)으로 계산하였으며 이들을 합하여 정상 (0~5), 영양결핍(6~9), 심한영양결핍(10 이상)로 최종 3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3) 간이식 영양조사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방법으로 일본 후생성 건강지표 책정 위원회(1977)에서 작성한 식품 섭취상황 조사표를 문수재 (1980)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설 문지는 17항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섭취 식품을 7군으로, 섭취영양소는 10종으로 나누어‘충분히 섭취’2점,‘보통섭취’1 점,‘약간섭취’0.5점,‘전혀 섭취안함’ 0 점으로 하여 합한 값에 환산표를 이용하 여 산출 하였다.

(4) 생화학적 검사

① 200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 까지 대 상자의 의무기록지에 수록되어 있는 Hemoglobin, Hematocrit, t-CO2, Bun, Creatine, Total protein, Albumin, total

(4)

DM Non-DM Total

χ²-test p n (%) n (%) n (%)

Gender Male 16(51.6) 21(61.8) 37(56.9) 0.68 0.409 Female 15(48.4) 13(38.2) 28(43.1)

Age <50 2(6.5) 9(26.5) 11(16.9) 9.71 0.021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Ferritin의 정상수치를 참조했다.

② 표준화 단백 이화률

단백질 섭취정도를 알 수 있는 생화학적지 표로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값을 0.8g/kg미만, nPCR≦0.8g/kg~1.4g/kg<nPCR, 1.4g/kg이상으로 분류하였다(Hakim, Levin, Depner & Parker,1992; Daugirdas 등, 1994).

2) 우울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김희진 (199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10개의 긍정문과 10개의 부정문항 으로 구성된 총 20문항이며, 우울척도는 Likert 형 4점 척도로 최저 20점에서 최고 80점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점수가 높을수 록 우울이 높다. 김희진(1995)의 연구에서 Cronbach α=.79였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α=.84였다.

4.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신 체계측, 주관적 영양상태, nPCR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후 당뇨성 신부전과 비당 뇨성 신부전 두 집단 간의 차이는 χ²-test 로 분석하였으며 질병 특성, 영양소 섭취조 사, 생화학적 검사, 우울은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두 집단 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군, 비당뇨군 모두 남자가 각각 56.8%, 61.8%로 가장 많았다. 연령은 당뇨군에서 50대가 45.2%

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60대로 35.5%

순이었다. 비당뇨군은 70대가 29.4%로 가 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대로서 23.5%순이 었는데, 통계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84.6%

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수준은 중․ 고졸이 당뇨군, 비당뇨군에서 각각 54.8%, 41.2%

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당뇨군, 비당뇨군 모두 직업이 없는 군이 대부분을 차지하 였고, 경제상태는 당뇨군 비당뇨군 모두 1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65)

(5)

50-59 14(45.2) 7(20.6) 21(32.3) 60-69 11(35.5) 8(23.5) 19(29.2) 70≦ 4(12.9) 10(29.4) 14(21.5)

Maritalstatus Single 3(9.7) 7(20.6) 10(15.4) 2.55 0.27 Married 28(90.3) 27(79.4) 55(84.6)

Education illiterate&

Elementaryschool 11(35.5) 9(26.5) 20(30.8) 4.93 0.08 Middle& High

school 17(54.8) 14(41.2) 31(47.7) Collegeandmore 3(9.7) 11(32.4) 14(21.5)

Occupation Yes 3(9.7) 5(14.7) 8(12.3) 0.37 0.53 No 28(90.3) 29(85.3) 57(87.7)

Monthly

income(10000won) >100 15(48.4) 13(38.2) 28(43.1) 4.62 0.09 100-200 14(45.2) 12(35.3) 26(40.0)

200≦ 2(6.5) 9(26.5) 11(16.9)

DM Non-DM Total

t-test p mean(SD) mean(SD) mean(SD)

Bodyweithtgain(kg) 2.1(0.68) 2.00(0.96) 2.06(0.83) 0.53 0.60 emodialysis period(year) 1.74(1.75) 3.47(3.98) 2.65(3.22) -2.30 0.03 DM : diabetes mellitus

Non-DM : Non-diabetes mellitus

2. 투석간 체중증가량과 투석기간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은 당뇨군이 2.11kg, 비당뇨군 2.00kg로서 두 군 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투석 기간 은 당뇨군 1.74년, 비당뇨그룹 3.47년으로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Table 2).

Table 2. Body Weight Gain between Hemodialyses and Hemodialysis Period

3. 영양 상태

1) 신체 계측치와 주관적 영양상태

대상자의 체질량 지수는 당뇨군 정상이 83.9% 그 다음이 과체중 12.9%이었고, 비 당뇨군은 정상이 67.7% 그 다음이 저체중 26.5%로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당뇨군, 비당뇨군 모두 삼두근 피부 두겹 두께 결핍이 각각 51.6%, 58.8%이었 고, 상완위 둘레 결핍이 각각 22.6%, 32.3%, 상완위 근육둘레 결핍이 각각 25.8%, 44.1% 이었으나 두군 간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주 관적 영양상태는 당뇨군 정상이 58.1%로

(6)

DM Non-DM

χ²-test p n (%) n (%)

BMI

subnormal weight 1(3.2) 9(26.5) 7.13 0.028 normal weight 26(83.9) 23(67.7)

over weight 4(12.9) 2(5.9)

TSF normal 15(48.4 14(41.2) 0.34 0.559

deficiency 16(51.6) 20(58.8)

MAC normal 24(77.4) 20(58.8) 2.56 0.109

deficiency 7(22.6) 14(32.3)

MAMC normal 23(74.2) 19(55.9) 2.38 0.123

deficiency 8(25.8) 15(44.1)

subjective nutrition

status

normal 18(58.1) 26(76.5) 3.77 0.15

moderate deficiency 11(35.5) 5(14.7) severe deficiency 2( 6.5) 3( 8.8) 가장 많았고, 약한 결핍 35.5%, 심한 결핍

6.5%로 나타났으며, 비당뇨군 정상이

76.5%로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Table 3).

Table 3. Body Measurement and Subjective Nutrition Status of Study Subjects (N=65)

*BMI; Body Mass Index, *TSF; Triceps Skinfold Thickness(mm)

*MAC; Midarm Circumference(cm), *MAMC; Midarm Muscle Circumference(cm)

2) 대상자의 에너지 섭취량

당뇨군, 비당뇨군 각각 총 에너지섭취량 은 1584.4cal, 1836.3cal로 나타나 비당뇨군 의 총에너지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으나, 두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중 철분, 칼슘, 비 타민 A에서 당뇨군이 비당뇨군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두 군간에는 유의한 차 이가 있었으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티 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는 당 뇨군 보다 비당뇨군의 섭취량이 높았으나 두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4).

(7)

DM Non-DM Covariate ; (age)

mean difference F p mean(SD) mean(SD)

Protein(g) 61.94(17.41) 70.82(24.98) 8.59 2.72 0.103 Fat(g) 37.63(13.71) 45.33(18.09) 7.56 3.61 0.061 Carbohydrate(g) 289.34(121.33) 290.38(83.63) -0.14 0.00 0.995 Fe(mg) 11.38(3.45) 13.91(5.55) 2.45 5.06 0.027 Calcium(mg) 611.45(178.97) 723.46(266.39) 109.06 3.92 0.052 Vitamin A(R.E) 521.09(186.28) 632.03(247.49) 108.54 4.08 0.047 Thiamine(mg) 0.97(0.34) 1.01(0.32) 0.04 0.24 0.623 Riboflavin(mg) 1.03(0.31) 1.21(0.44) 0.18 3.69 0.060 Niacin(mg) 16.33(6.12) 16.85(5.60) 0.44 0.10 0.756 Vitamin C(mg) 33.26(16.69) 41.29(19.71) 7.72 3.28 0.074 Total calorie 1584.43(422.63) 1836.29(625.61) 244.43 3.61 0.062 Table 4. Nutrient Ingestion of Study Subjects

3) 대상자의 nPCR

nPCR은 당뇨군이 0.8g/kg/day-1.4g/kg/day 범위에 있는 군이 64.5%, 비당뇨군 은

58.8%로 가장 많았으나 나이를 보정한 결 과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5).

Table 5. nPCR of Study Subjects (N=65)

DM Non-DM

χ²-test p n (%) n (%)

nPCR <0.8 7(22.6) 13(38.2) 3.47 0.177

0.8-1.4 20(64.5) 20(58.8)

1.4≦ 4(12.9) 1(2.9)

*nPCR;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4) 대상자의 생화학적 검사

대상자의 생화학적 검사결과에서 나이 보정을 한 후 t-CO²는 당뇨군이 21.57%

비당뇨군 20.3%로 당뇨군이 높았고, HDL-Cholesterol은 당뇨군이 40.13mg/dl, 비당뇨군 44.91mg/dl로 비당뇨군이 높은 수치를 보여서 각각 두군 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Hemoglobin, Hematocrit, total Choesterol, Triglyceride 은 당뇨군이 비당뇨군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BUN, Creatine, Total protein, Albumin, Ferritine은 당뇨 군이 비당뇨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able 6).

(8)

normal value

DM Non-DM Covariate;(age)

meandifference F p mean(SD) mean(SD)

Hemoglobin(g/dl) 13-18 10.53(1.55) 10.15(0.80) -0.39 1.72 0.196 Hematocrit(%) 40-54 30.96(4.91) 30.25(2.21) -0.75 0.66 0.421 t-CO2(%) 21-25 21.57(2.33) 20.30(2.46) -1.26 4.45 0.039 Bun(mg/dl) 7.8-23 63.58(15.03) 66.77(15.94) 3.32 0.76 0.388 Creatine(mg/dl) 0.6-1.5 9.86(2.62) 10.79(2.67) 0.93 1.99 0.163 TotalProtein(g/dl) 6.7-8.3 7.41(0.60) 9.14 (10.77) 1.69 0.76 0.388 Albumin(g/dl) 3.5-5.3 4.11(0.37) 4.17(0.60) 0.06 0.21 0.644

total

Choestero(mg/dl)125-200153.13(39.83) 151.18(36.86) -1.91 0.04 0.843 Triglyceride(mg/dl) 130-230140.23(87.80) 110.97(64.33) -29.79 2.43 0.125 HDL-Chol(mg/dl) 42-67 40.13(9.22) 44.91(9.28) 4.76 4.24 0.043 Ferritin(g/dl) 15-400150.11(154.69) 177.19(128.31) 26.85 0.58 0.451

DM Non-DM Covariate ; (age)

mean difference F p mean(SD) mean(SD)

Depression 48.35(8.68) 43.29(8.30) -5.07 5.71 0.02 Table 6. Chemistry Test of Study Subjects

HDL -Chol;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Values for dialysis patient : BUN less than 100, Creatinine 10-15 (Henry JB. 1996)

4. 우울

대상자의 우울은 당뇨군 48.35점, 비당뇨 군 43.29점로서 나이를 보정한 후 두 군간

을 비교한 결과, 당뇨군이 비당뇨군에 비 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7).

Table 7. Depression of Study Subjects

논 의

본 연구는 만성신부전으로 6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당뇨군과 비당뇨군 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우울을 비교 조 사하였다.

신체계측 결과 당뇨군에서 체질량 지수 (BMI)가 정상인 군이 비당뇨군보다 더 많 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삼두겹 피부 두겹 두께와 상완위 둘레, 상완위 근육 둘 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의 연령대 별

(9)

표본수가 작았고 당뇨군의 투석기간은 1.74년인데 반해 비당뇨군은 3.47년으로 당뇨 투석환자의 투석기간이 유의하게 짧 아서 기존 문헌(서미례 등, 2002; Cano 등, 2002)에서 제시하고 있는 당뇨 투석환 자의 영양불량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의 평균 열량과 단백질 섭취는 한국인 영양권장량과 비교 했을 때 당뇨군 68.9 %, 88.4 %, 비당뇨 군 79.8%, 100% 이었는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투석환자의 저 열량, 저단백섭취를 보고한 김성미 등(2000)과 심유미(2003) 및 유해 숙, 유혜주, 강응택, 조여원(2000)의 연구 와 유사하였다. 철분과 비타민 A는 당뇨 군이 유의하게 낮아서 영양섭취 제한 식 이 및 투석으로 인한 식욕부진이 비타민 대사의 이상과 철분과 같은 무기질 결핍 등의 영양불량을 동반한 결과로 볼 수 있 다(대한신장학회, 2001). 본 연구의 결과는 권숙정, 김은경(2002)등의 당뇨군 영양소 섭취 상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안정된 혈액투석환자에서 단백섭취량은 단백이화율과 같기 때문에(한대석, 이승 우, 2000) 본 연구에서는 nPCR을 영양상 태 지표로 이용하였으나 연구 결과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당뇨군과 비당뇨군의 생화 학적 수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대사성 산증(t-CO²)은 당뇨군이 높았고,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당뇨군 에서 낮았다. Acchiardo 등(1995)은 혈액

투석 환자에서 대사성 산증이 낮을수록 nPCR 및 단백섭취량이 높아지므로 단백 섭취의 증가가 대사성 산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라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사성 산증과 nPCR 및 단백섭취량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아, 당뇨군과 비당뇨군간에 이러한 영향 을 볼 수는 없었다. 이것은 김수만 손정 민, 채동완 연구(2005)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 신부전 투석환자의 식행동과 영양상 태 평가를 하는 가운데(김종연, 오세영, 임천규, 2001) 당뇨 투석환자를 지속적으 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우울을 비교한 결과 당뇨 군 48.4점, 비당뇨군 43.3점으로 당뇨군에 서 유의하게 높은 우울증상을 보였다. 당 뇨병성 신부전 투석환자의 경우 당뇨병 자체로 인한 식이 제한과 활동 장애 및 생활습관 변화 등에 의해 우울해 질 수 있는데다 투석으로 인한 장시간 기계 의 존과 투석과정의 복잡성, 주변 사람들에게 의존해야 함으로 인한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더 우울 할 것으로 본다. 이 결과는 김면빈 등(1998)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 로 당뇨와 비당뇨로 나누어 측정한 우울 점수 결과와도 같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당뇨성 신 투석환 자의 영양 상태는 비당뇨성 신 투석환자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t-CO, HDL-Cholesterol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 요소에서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존의 투석환자 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연구 표본 수의 제한과 영양상

(10)

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통제가 불충분 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그대로 일반화 시키기 어렵다고 본다.

우울은 당뇨성 신 투석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아 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위한 심리적 간호중재 시 당뇨 투석환자에게는 보다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성, 비당뇨성 신 부전 투석환자의 영양 상태와 우울을 비 교 조사하여 향후 당뇨성 신부전 투석환 자에게 적절한 영양교육과 심리적 상담을 제공하는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일 광역시에 소재한 대 학병원에서 6개월 이상 주 3회 지속적으 로 혈액투석을 시행한 외래환자 65명을 대상으로 200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 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양 상태는 신체계측과 주 관적 영양상태, 영양소 섭취, nPCR , 생화 학검사 결과를 이용하였고, 우울은 김희진 (1995)이 번안한 Zung의 자가 평가 우울척 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χ

²-test,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체질량 지수만 당뇨군에서는 정상이 83.9%, 비당뇨군은 정상이 67.7%

로서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 양소 섭취 조사 결과 철분, 비타민 A만

당뇨군이 비당뇨군보다 많이 섭취하는 것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nPCR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 고 생화학적 검사에서 t-CO²는 당뇨군 이 21.57%로 비당뇨군보다 높았고, HDL-Cholesterol은 당뇨군이 40.13mg/dl 로 비당뇨군보다 낮아서 각각 두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생화학적 검사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우울은 당뇨군 48.35점, 비당뇨군 43.29점 으로 당뇨군이 비당뇨군에 비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당뇨성 신 투석환자의 영양 상 태는 비당뇨성 신 투석환자에 비해 체질 량지수와 t-CO, HDL-Cholesterol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고 그 외 요소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는데, 본 연구의 표본수의 제 한점과 영양 상태에 영향 미칠 수 있는 변수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 했던 점에서 좀 더 체계적인 방법으로 반복 연구될 필 요가 있다고 본다. 우울은 당뇨성 신 투석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우울을 감 소시킬 수 있는 간호계획이 당뇨 투석환 자에게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REFERENCE

Acchiardo, S. R., Moore, L., Smith, S.

O., Testerman, S., Burk, L. B., Smith, S. J., & Will, K. (1995). Can we reconcile metabolic acidosis and nutritional status in hemodialysis.

(11)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6, 571.

Burrowes, J. D., Cockram, D. B., Dwyer, J. J., Larive, B., Paranandi, L., Bergen, C., & Poole, D. (2002).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rotein and energy intake, nutritional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comorbidity in older versus younger hemodialysis patient. Renal Nutrition, 12(2), 87-95.

Cano, N. J., Roth, H., Aparicio, M., Azar, R., Canaud, B., Chauveau, P., Combe, C., Fouque, D., Laville, M., & Leverve, X. M.: French Study Group for Nutrtion in Dialysis(2002). Malnutrtion in hemodialysis diabetic patients;

evaluation and prognostic influence.

Kidney International, 62(2), 593-601.

Han, D. S., & Lee, S. W. (2000). Treatment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hemodialysis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19(5), 765-768.

Han, S. S., & Kim, Y. H. (2005).

Factors predicting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35(7), 1353-1361.

Kalender, B., Ozdemir, A.C., & Koroglu, G. (2006).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marker of nutrition and inflamm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and end-stage renal disease.

Nephron Clinical Practice, 102, 115-121.

Kim, H. J. (1995). Effect of humor video tape on an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of the impaired mobility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J. Y., Choi, K. A., Lee, B. W., Jung, I.K.,

& Yoo, H. J. (2006). Factor influencing on depression in diabetes mellitus patient.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pring symposium abstract, 441

Kim, J. Y., Oh, S. Y., & Ihm, C. K.

(2001). Analyses on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nephritic patients with mild kidney malfunction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4(7), 770-777.

Kim, M. B., Gu, G. R., Chae, D. W., Kim, Y.J., Kim,G. H., Cheon, N. W.,

& Noh, J. W. (1998). Depression, insomnia pattern and nutrition of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in hemodialysis.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Spring symposium abstract, 37.

Kim, S. A., Sohn, C. M., & Chae, D.

W.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inflammational makers in DM and nonDM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0(5), 693-699.

Kim, S. M., Lee, Y. S., & Cho, D. K.

(12)

(2000).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3(2), 179-185.

Kim, S.R. (2010). Depression and anxie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9, 733-741.

Kim, Y. H., Seo, H. J., & Kim, S. R.

(2001). A Study of the nutritional status , nutritional knowledge , and dietary habits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4(8), 920-928.

Koo, J. R., Yoon, J. W., Kim, S. G., Lee, Y. K., Oh, K. H., Kim, G. H., Kim, H. J., Chae, D. W., Noh, J. W., Lee, S. K., & Son, B. K. (2003).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malnutrition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Aemerican Journal of Kideny Diseases, 41(5), 1037-1043.

Kown, S. J., & Kim, E. K. (2002).

Anthropometry , blood pressure , serum lipid levels and nutrient intakes in people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with diabete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5(3), 303-313.

Moon, S. J., Lee, K. Y., & Kim, S. Y.

(1980). Application of covenient method for the study of nutritional status of nutrtional status of middle aged Korean women. Yeonsei

Collection of Treatises, 203-215.

Park, K. A., Sim, Y. M., Kim, S. B., &

Choi-Kwon S. (2006). A Study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Nutrition, 39(2), 133-144

Suh, M. R., Lee, E. B., Yang, W. S., Kim, S. B., Park, S. K., Lee, S. G., Park, J.

S., & Hong, C. G. (2002). Survival analysis of hemodialysis patients - a single center study.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1(4),636-643.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1). Clinical nephrology. Seoul:

Gwangmoon publisher.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Registration committee (2007).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6(2), 459-481.

Walser, M. (1983). Urea metabolisim:

Sources of nitrogen and its regulation.

In Amino Acids: Metabolism and Medical Applictions, Littleton MA:

Wright-PSG, 77-87.

Yoo, H. S., Woo, H. J., Kang, E. T., &

Jo, Y. W. (2000).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 changes of biochemical parameters according to protein intake levels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19(5), 769-777.

(13)

- Abstract -

Comparis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in Diabetic Mellitus and Non Diabetic Mellitus

Hemodialysis Paients

Choi, Su Young1 ․ Suh, Soon Rim2

1Master in Nursing, Graduated school, K.N.U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a data base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by comparing nutritional status and depression of diabetic mellitus(DM) and non diabetic mellitus(nonDM)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65 patients doing maintenance hemodialysis selected from outpatient dialysis at one general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physical measurement, medical record, an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food recall and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from May. 1 to June. 30. 2006. Results: The body mass index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M group and nonDM group. The intake of DM group had more iron and vitamin A than its of non diabetic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CO² and HDL-Cholesterol between DM group and nonDM group. The other factors related to nutrition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The depression score of DM group(48.3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ts of the nonDM group(43.29). Conclusions: For improving nutritional status of DM hemodialysis pati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research considering properly of sample size and design controlled influencing factors and more specific psychological care for DM hemodialysis patient than nonDM hemodialysis patients.

Key words : Diabetic mellitus, Hemodialysi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65)
Table 2. Body Weight Gain between Hemodialyses and Hemodialysis Period
Table 3. Body Measurement and S ubjective Nutrition Status of Study Subjects                                                                  (N=65)
Table 5. nPCR of Study Subjects                                           (N=65)
+2

참조

관련 문서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11 to 13 from displaced North Korean (NK) families to compare their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with those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children's depression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current status, effects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lowering parent's anxiety of hospitalized children, I think I need a study for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imary material in discussing methods to activate the treatment effects of diabetes and reduce the rate of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omprehensive analysis for curriculum training excellent teac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ining program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