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ackground/Aim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 vitro effects of IFN (interferon)-γ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Background/Aim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 vitro effects of IFN (interferon)-γ"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38 - 50

1)

접수: 1998년 6월 23일, 승인: 1998년 8월 27일

연락처: 현진해, 136-705,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5가 126-1 고대안암병원 소화기내과

Tel: (02) 920-5565, Fax: (02) 953-1943

※ 본 논문의 요지는 1997년 추계소화기학회에서 발표되 었음.

서 론

한국의 위암은 전 악성 종양 중 1위의 빈도를 차 지하고 있으며 전체 암 사망의 수위를 기록하고 있

Interferon-γ가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과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소화기연구소 및 생화학교실*

박 민 희・진 윤 태・전 훈 재・이 성 준・이 구・김 광 희・송 치 욱

엄순호・이상우・최재현・김창덕・류호상・유수진・손정원*・현진해

E ffe c t o f In t e r fe r o n o n Gr o w t h a n d Ce l l Cy c le P r o g r e s s i o n o f S t o m a c h Ca n c e r Ce ll s

Mi n H e e P a r k , M.D., Yo o n Ta e J e e n , M.D., H o o n J a i Ch u n , M.D., S u n g J o o n Le e , M.D., Go o Le e , M.D., Kw a n g H e e Ki m , M.D.,

Ch i Wook Son g, M.D., Soo n Ho Um , M.D., San g Woo Le e , M.D., J ai Hyun Ch oi, M.D., Chang Duk Kim, M.D., Ho San g Ryu, M.D., Su J in Yu, M.D., J u ng Won Soh n, M.D.* a nd J in Hae Hyun, M.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Biochemistry*,

Institute of Nutrition and Gastroenter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Aim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 vitro effects of IFN (interferon)-γ

on growth of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and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IFN γ by cell cycle regulation. Methods: Thre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s, SNU-1, SNU-16 and AGS, and recombinant human IFN-γ were used. The cells were treated with IFN-γ for various time frames and/or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then, DNA synthesis, cell cycle and the expression of cel cycle regulators were examined. Results: IFN-γ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NU-1 and SNU-16 in time- and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s as judged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In the cell cycle analysis of SNU-1 and SNU-16, IFN-γ induced G1 block at the cell cycle. IFN-γ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wo or all three of the cycline-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s p21WAF1, p27Kip1, and p16INK4, depending on the cell line.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IFN-γ on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was mediated by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CDK inhibitors and blocking cell cycle at G1-S transition. (Kor J Gastroentero

1999;33:38 - 50)

Key Words: IFN-γ, Antiproliferative effect, Stomach cancer

(2)

박민희 외 13인. Interferon-γ의 위암세포에 대한 영향 39

어 임상 뿐만 아니라 국민보건적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대부분의 위암은 자각 증상의 발 현이 늦어 많은 예에서 완전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 된 상태로 진단되므로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1 따라 서 진행 위암의 새로운 치료 방법이 요망되고 있으 며, 최근에는 이러한 가능성을 지닌 치료법의 하나 로 면역요법이 임상에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인터페론이다.

인터페론은 1957년에 Issacs와 Lindemnamm2에 의하여 세포의 바이러스 감염을 막아주는 물질로 발 견되었다. 인터페론은 알파, 베타, 감마의 3 종류로 크게 구분되는데 인터페론 알파와 베타는 거의 모든 종류의 세포에서 생산된다. 면역 인터페론으로도 불 리는 인터페론 감마는 면역반응 중에 활성화된 T림 프구(T0, Th1, CD8 T 세포)와 자연살상세포 등에 의 해 생산되며 적어도 20 kD와 25 kD의 두 종류의 분 자가 있다. 인터페론 감마는 알파나 베타와는 분자 적 유사성도 없고 서로 다른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 지만 생리적인 활성은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인터페론 감마는 숙주의 자연살상세포와 대식세 포를 활성화시키는 등 면역반응을 증가시켜 간접적 으로 암조직의 성장을 억제할 뿐 아니라 여러 암세 포의 증식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3-5 암세포에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 하면 면역반응에 관계되는 세포 표면 항원들인 ICAM-1, MHC class I, II와 여러 종양 특이 항원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세포 표면 항원의 발현 증가는 면역반응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를 제거 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6,7 인터페론의 직 접적인 항증식 작용은 개개의 종양에 따라 크게 차 이가 나지만 종양의 종류와 증식 억제의 정도는 별 로 연관이 없다고 한다.8,9 인터페론은 c-myc이나 c- Ha-ras 등의 암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어, 이러한 암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세 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10,11 그러나 인터페론 감마가 어떤 분자생물 학적 기전에 의해 직접적인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 내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한 보고에서는 Retinoblastoma(이하 Rb) 단백질이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아포토시스(apoptosis)의 유도를 막는다고 하

여, 인터페론 감마가 특히 Rb 단백질의 기능을 상실 한 암세포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12

최근 특히 유전자 재조합 기법의 발달에 의해 인 터페론 감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짐에 따라, 그 항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 만성 골수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악성 흑색종, 신장암, 악성 림프관종 등의 치료에 인터페론의 유 효성이 보고되고 있다.13-17 그러나 인터페론 감마와 위암세포의 관계는 세계적으로 아직 확립되지 않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위암세포주인 Kato III 세포주 를 이용한 연구에서 인터페론 감마가 성장 억제 효 과가 없다는 보고가 있을 뿐이다.18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인체 위암세포의 직접 적인 성장 억제 효과를 여러 위암세포주에서 조사하 고,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성장 억제 효과가 있는 세 포주에서는 세포주기의 진행 및 세포주기 조절 인자 들의 발현 양상을 연구하여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성장 억제 효과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 배 지

Penicillin (100 units/mL), streptomycin (100 μg/

mL), 10 mM의 HEPES (N-2-hydroxyethyl pipera- zine-N-2-ethanesulfonic acid)와 10%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이 함유된 RPMI 1640 조직배양액(Gibco BRL) 을 사용하였다.

2) 위암 세포주

인체 위암세포주로는 SNU-1, SNU-16, AGS를 한 국세포주은행(서울대학교)에서 분주받아 37℃ 배양 기(5% CO2, 포화습도)에서 배양하였으며, myco- plasma에 감염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3) 인터페론 감마

럭키생명공학연구소에서 유전자 재조합기법(re- combinant DNA technology)으로 효모에서 생산하여 냉동 건조된 인터페론 감마를 증류수에 녹여 분주한

(3)

40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1, 1999

후 -7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2. 방 법

1)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시험관내 위암세포의 성장과 생존도의 측정

인터페론 감마가 위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상적인 [3H]-thymidine 통합 분석법으로 측 정하였다. SNU-1, SNU-16, AGS를 2×104 cells/mL, 100 L/well로 96 well microtiter plate (Costar, Cam bridge, MA, USA)에 분주한 후 인터페론 감마를 최 종농도가 0, 10, 100, 300, 1000, 6,000, 10,000 U/mL 이 되게 배양액에 희석하여 100 L/mL로 세포가 들 어있는 plate에 처리하였다. 3일간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3H]-thymidine (Amersham, Buckingha- mshire, England)을 l Ci/well로 더해주고 18시간 더 배양하였다. 세포를 반자동 세포 수확기(Skatron, Transby, Norway)로 유리섬유 filter에 수확하여 DNA에 통합된 [3H]-thymidine의 양을 -scintillation counter (Pharmacia, Uppsala, Sweden)로 측정하였다.

암세포의 성장 억제율(growth inhibition rate)은 다음 과 같이 계산하였다; Growth inhibition rate (%)=[1- (cpm of treated cells/cpm of non-treated cells)]×100.

2)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위암세포주의 세포 주기 분석

세포주기 분석에는 Becton Dickinson사의 세포주 기 분석 kit (Becton Dickinson, Mountain View, CA, USA)를 사용하였다. 요약하여 기술하면 암세포 배 양액에 1,000 U/mL의 인터페론 감마를 더해주고 24, 48, 72시간 동안 각각 배양한 후 수확하였다.

Trypsin과 spermine을 포함하는 용액 A를 더하여 실 온에 10분간 둔 후 RNase와 trypsin 억제제를 포함 하는 용액 B를 더하고 다시 10분간 두었다. 마지막 으로 propidium iodide를 더하고 어두운 곳에서 10분 간 반응시켰다. 세포당 DNA 함량은 585 nm에서 나 오는 형광을 유세포 측정기로 측정해서 세포의 DNA 함량에 따라 세포주기 각 단계의 분포를 Cell fit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3)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위암세포에서의 세포 주기 조절 인자 발현 분석

인터페론 감마가 위암세포에서 세포주기 조절 인 자로 알려진 단백질들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고자, SNU-1과 SNU-16에 1,000 U/mL의 인 터페론 감마를 2, 4, 8, 24, 48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 였고, 또한 SNU-1에는 10, 100, 1,000, 10,000 U/mL 의 인터페론 감마로 24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여 배 양한 후 수확하였다. 원심분리 후 2x 시료 완충액 (20% glycerol, 5% -mercaptoethanol, 0.5% brom- phenol blue, 20% SDS, 0.0625 M Tris-HCl, pH 6.8) 에 희석하고 80℃의 heat block에서 5분간 처리하여 단백질을 완전히 변성시킨 후 30 g의 단백질을 포 함하는 세포 용해액을 Laemmli 방법에 의하여, Rb 단백질의 분석시에는 8%, 그 외는 10% SDS- 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전기영동하였다.19

표준 단백질로는 prestained molecular weight mar- ker (BioRad, Hong Kong)를 사용하였고 크기에 따 라 분리된 단백질을 nitrocellulose막(Schleicher &

Schuell)에 전기적으로 전이시키고 막을 5% skim milk를 포함한 TBS-T (50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0.05% Tween-20) 차단 완충액에 넣 어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차단 후 막을 일차 항체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흔들며 반응시킨 다음 TBS-T에 넣고 10분씩 3회를 흔들며 세척하였 다. 일차항체로는 anti-p27Kip1, anti-p21WAF1, anti-CDK2 (Transduction Laboratories, KY, USA), anti-cyclin D1, anti-cyclin E, anti-p16 (PharMingen, CA, USA) 및 anti-CDK4, anti-cyclin A, anti-Rb (IF8), anti- E2F-1 (Santa Cruz, CA, USA) 항체를 사용하였다.

일차항체 반응 후 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붙은 anti-mouse IgG (H+L)(Transduction Laborato- ries, KY, USA) 및 anti-rabbit Ig (Amersham, Buc- kinghamshire, England) 이차항체를 차단 완충액에 각각 1:2,000과 1:1,000으로 희석하여 일차항체 때와 같이 반응시키고 TBS-T로 세척하였다. Chemilumi- nescence 기질용액(ECL, Amersham)에 막을 1분간 처리하고 plastic wrap으로 싸서 X선 film (X- Omat AR2, Kodak, Rochester, NY)에 노출시킨 후 현상하 였다.

(4)

Park et al. Effect of Interferon-γ on Stomach Cancer Cells 41

결 과

1. 인터페론 감마가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인체 위암세포주인 SNU-1, SNU-16는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에 비례하여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또 다른 인체 위암세포주인 AGS는 인터페론 감마에 의 한 성장 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다. SNU-1과 SNU- 16은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서로 유사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는데, 10, 100, 300, 1,000, 6,000, 10,000 U/mL의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하였을 때 SNU-1은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각각 8, 37, 44, 50, 53, 65%의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SNU-16은 각각 14, 40, 48, 51, 58, 59%의 성장 억제 효과가 관 찰되었다. SNU-1과 SNU-16은 모두 1,000 U/mL 농

도에서 50% 정도의 세포 성장 억제를 보였다(Fig.

1).

2. 인터페론 감마가 세포주기에 미치는 효과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증식이 억제되는 SNU-1과 SNU-16을 대상으로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인터 페론 감마는 이들 모두에서 G1단계의 세포비를 증 가시키고 S단계의 세포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시간이 길어질 수록 G1단계의 세포비 증가 및 S단계의 세포비 감 소 정도가 증가하였다. SNU-1에서는 1,000 U/mL의 인터페론 감마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대조 군에 비하여 G1단계 세포가 43.8%에서 52.9%로 증 가하였고, S단계 세포는 54.6%에서 40.2%로 감소하 였으며, G2+M단계 세포는 1.5%에서 6.9%로 증가하

Fig. 1. Representative assay of growth inhibition of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SNU-1, SNU-16, and AGS by IFN-γ. Cultures were treated with varing concentrations (0, 10, 100, 300, 1,000, 6,000, and 10,000 U/mL) of IFN-γ (in triplicate) for 72 hours and pulsed with [3H]-thymidine for 18 hours. Bars represent SD. a) SNU-1, b) SNU-16, c) AGS

(5)

42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1 호 1999

였다. 같은 농도로 72시간 동안 처리시 G1단계 세 포가 47.0%에서 59.4%로 증가하였고, S단계 세포는 50.4%에서 35.3%로 감소하였으며, G2+M단계 세포 는 2.6%에서 5.3%로 증가하였다(Table 1). SNU-16 의 경우 같은 농도의 인터페론 감마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G1단계 세포가 46.7%에서 64.0%로 증가하였고, S단계 세포는 36.1%에서 25.4%로 감소하였으며, G2+M단계 세포 는 17.2%에서 10.6%로 감소하였다. 같은 농도로 48 시간 동안 처리시에는 G1단계 세포가 54.6%에서 69.6%로 증가하였고, S단계 세포는 34.2%에서 20.5%로 감소하였으며, G2+M단계 세포는 11.2%에 서 9.9%로 감소하였다. 또한 같은 농도로 72시간 동 안 처리하였을 때는 G1단계 세포가 44.0%에서 72.5%로 증가하였고, S단계 세포는 51.0%에서 23.0%로 감소하였으며, G2+M단계 세포는 5.0%에 서 4.5%로 감소하였다(Table 2). SNU-1과 SNU-16 에 인터페론 감마를 24, 48, 72시간 동안 각각 처리 하여 관찰된 G1단계 세포의 증가와 S단계 세포의 감소는, 인터페론 감마의 처리에 의하여 G1에서 S 단계로의 진행이 억제된 것임을 보여준다. G2+M단

계의 세포비는 SNU-1에서는 증가하였으나 SNU-16 에서는 감소하여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성장 억제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 다.

3. 인터페론 감마가 세포주기 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SNU-1과 SNU-16에서의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발현 양상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세포주에 인터페론 감마를 시간 및 농도별 로 처리하여 Western 분석하였다.

세포주기 역조절 인자인 p21WAF1은 SNU-1에서 1,000 U/mL의 인터페론 감마를 시간별(2, 4, 8, 24, 48시간)로 처리하였을 때 2시간부터 증가하여 24시 간이 경과 후 감소했다. SNU-16에서도 p21WAF1의 발현 증감이 관찰되었는데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2시간 되는 때에 증가하였고 4시간부터 감소했다.

다른 세포주기 역조절 인자인 p27Kip1의 경우 SNU-1 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SNU-16에서는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2시간부터 증가하기 시 작해서 4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또 다른 세포 Table 1. Effects of IFN-γ on the Cell Cycle Distribution of SNU-1

Time (hours) IFN-γ (U/mL)

Cell cycle distribution (%)

G1 S G2+M G1:S ratio

24

72

0 1,000

0 1,000

43.8 52.9 47.0 59.4

54.6 40.2 50.4 35.3

1.5 6.9 2.6 5.3

0.8 1.3 0.9 1.7

Table 2. Effects of IFN-γ on the Cell Cycle Distribution of SNU-16

Time (hours) IFN-γ (U/mL)

Cell cycle distribution (%)

G1 S G2+M G1:S ratio

24

48

72

0 1,000

0 1,000

0 1,000

46.7 64.0 54.6 69.6 44.0 72.5

36.1 25.4 34.2 20.5 51.0 23.0

17.2 10.6 11.2 9.9 5.0 4.5

1.3 2.5 1.6 3.4 0.9 3.2

(6)

박민희 외 13인. Interferon-γ의 위암세포에 대한 영향 43

주기 음성 조절자인 p16INK4은 SNU-1의 경우 인터 페론 감마 처리한 후 2시간이 되는 때부터 증가하여 8시간부터 감소했고, SNU-16에서는 2시간부터 증 가하기 시작해서 8시간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24시 간부터 감소했다.

Rb 단백질의 발현은 SNU-1과 SNU-16에서 인터 페론 감마를 처리했을 때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SNU-1의 경우,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24시간 부터 발현이 증가하였고, 특히 과인산화 형태의 Rb 가 증가하였다. 이에 비해 SNU-16의 경우에는 인터 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24시간부터 발현이 감소하였 으며, 과인산화 형태와 저인산화 형태의 비는 변화 하지 않았다.

S단계의 DNA 합성에 필요한 세포주기 조절 인자 인 E2F-1의 경우 SNU-1에서는 인터페론 감마 처리 시간에 따라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는데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8시간부터 증가하기 시작해서 48 시간까지 계속 증가했다. SNU-16에서는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2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서 48 시간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그 밖의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인 cyclin D1, cyclin E, cyclin A, CDK2, CDK4는 SNU-1과 SNU-16에서 모두 인터페론 감마 처리 시간에 따라 각 단백질의 양이 변화하지 않았다. 인터페론 감마로 처리하였을 때 처리 시간에 따른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변화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Fig. 2).

SNU-1의 경우 인터페론 감마를 농도별(10, 100, 1,000, 10,000 U/mL)로 24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여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에 따른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 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았다. Western 분석 결과 인 터페론 감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주기 음성 조 절자인 p21WAF1와 p27Kip1 발현이 증가하였다.

p21WAF1의 경우 10 U/mL로 처리한 때부터 증가 하기 시작해서 10,000 U/mL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 였고, p27Kip1은 10 U/mL로 처리한 때부터 증가해서 1,000 U/mL부터는 감소하였다. 또한 G1에서 S단계 Fig. 2. (A), (B), (C), (D)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cell cycle regulators in SNU-1 and SNU-16. Cells were treated with IFN-γ (1,000 U/mL) for 2, 4, 8, 24, 48 hours. Cells were harvested and cell lysate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7)

4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1, 1999

의 이행을 조절하는 cy clin D1도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에 따라 발현 정도가 증가했는데, 10 U/mL로 처리한 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해서 10,000 U/mL까 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그 밖의 세포주기 조절 인자 들인 cyclin E, cyclin A, CDK2, CDK4, Rb, E2F-1 의 경우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에 따라 단백질 양이 증가하지 않았다. SNU-1에서 인터페론 감마로 처리 하였을 때 처리한 농도에 따른 세포주기 조절 인자 들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Fig. 3).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시간별 변화와 인터페론 감마 농도에 따른 발현 변화를 종합해 볼 때, SNU-1 에서는 인터페론 감마에 의하여 p16INK4과 p21WAF1 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SNU-16에서는 p16INK4, p21WAF1, p27Kip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인터페론 감마가 세포주기 역조절 인자들인 p16INK4, p21WAF1, p27Kip1의 발현을 증가시켜 G1-S세포주기

과정이 차단되면서 세포의 성장이 억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 찰

위암은 매우 예후가 좋지 않은 악성 종양의 하나 이며, 특히 한국인에게 그 발생 빈도가 높아 장기별 암 발생 빈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위암의 근치적 치료는 수술이지만 많은 환자가 진단 당시 이미 절 제가 불가능하며 임상적으로 절제가 가능한 경우에 도 실제 완치가 가능한 절제는 40% 이하이다.20 따 라서 진행 위암의 치료를 위하여서는 효과적인 전신 요법이 필요하나, 현재까지 개발된 항암화학요법으 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 부분의 위암 환자가 진단 당시, 혹은 치료 과정 중 전이성 질환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위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보다 효 과적인 전신항암제요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근래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유전자 재조합기법에 의한 cytokine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여러 인 체암에 대한 이들의 항암 효과가 많이 연구되고 있 으며 이 중 일부는 임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 었다. 인터페론은 항바이러스 효과, 항암 효과 및 면 역조절 기능을 가진 당단백질로 hairy cell leukemia, adult T cell leukemia, 만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악성 흑색종, 신장암, 악성 림프종 등의 치료에 유효 성이 보고되고 있다. 인터페론 알파, 베타, 감마 중 알파 인터페론을 이용한 연구가 가장 많아서 신장암 이나 악성 흑색종의 경우 10%에서 20%의 반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만성 골수종 백혈병의 경우 완전 관해율이 7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클론된 인터페론 감마는 그 자체 의 성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저농도에서도 MHC class I 및 class II 항원과 2 5 -oligoadenylate syn- thetase의 유도가 뛰어나고 강력한 단핵구의 activa- tor로서 면역 조절 기능이 뛰어나서 알파나 베타 인 터페론보다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단핵구는 인터페론 감마로 처리했을 때 활성화되어 NO synthease, TNF- , IL-1 등을 생산하게 된다. 인 터페론 감마에 의해 감작된 단핵구는 이후 촉발신호 Fig. 3. (A), (B), (C)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cell

cycle regulators in SNU-1. Cells were treated with IFN-γ (10, 100, 1,000 10,000 U/mL) for 24 hours. Cells were harvested and cell lysate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8)

Park et al. Effect of Interferon-γ on Stomach Cancer Cells 45

(triggering signal)를 받게되면 완전히 활성화되어 종 양세포를 죽일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게 된다. 인터 페론을 포함한 생물학적 반응조절제(BRM; biolo- gical response modifier) 물질들은 그 자체의 종양에 대한 항증식 효과 외에도, 개체의 종양에 대한 면역 조절 기능이 항암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BRM들의 생체내 항암 효과는 투여량에 직선적으로 비례하지 않고 bell shape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임상에 적용하 기 위해서는 최대의 항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용량 즉 biologically active dose (BAD)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in vivo 실험에서 계속되어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터페론 감마의 직접적인 성장 억제 효과는 다 른 cytokine들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더 좋은 효과 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13,15,16,21-28 그러나 인터페 론 감마의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 성장 억제 효과의 기전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3가지 인체 위암세포주를 사용하여 인터페 론 감마에 의한 직접적인 성장 억제 효과를 연구하 고 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발현 양상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3가지 인체 위암세포주(SNU- 1, SNU-16, AGS) 중 SNU-1과 SNU-16은 한국인 위 암 환자에서 유래된 세포주로, 인터페론 감마를 처 리하였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에 비하여 AGS는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에 따른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 에서는 위암 세포주의 2/3에서 인터페론 감마가 성 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인체 위암세포의 인 터페론 감마에 대한 전체적인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 해서는 좀더 많은 세포주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실험을 위한 기초 실험으로 인터페론 감마와 함께 인터페론 알파와 IL-4의 직접적인 성장 억제 효과도 같이 시험해 보았다. 인터페론 알파는 10, 100, 300, 1,000, 3,000, 10,000 U/mL의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SNU-1에서는 8, 16, 20, 30, 40, 44%, SNU-16에서는 3, 10, 20, 42, 65, 85%의 성장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AGS에서는 성장 억제

효과를 보이지 않아 인터페론 알파는 인터페론 감마 와 유사한 양상으로 인체 위암세포주의 증식을 억제 하였다. IL-4는 위암세포와 인체 신장암세포를 비롯 한 몇 종류의 암세포에서 증식 억제 효과를 보인다 는 보고가 있었으나29-32 본 연구에 사용한 세 가지 의 인체 위암세포주에서는 SNU-1, SNU-16, AGS에 서 모두 성장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종양의 종류에 따라 cytokine의 성장 억제 효과는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인터페론 알파와 감 마는 인체 위암세포주에서 동일한 반응 양상을 보 이나 같은 인체 위암세포주들 중에서도 인터페론에 대한 반응 양상은 개개의 세포주에 따라 차이가 있 었다.

최근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분자적 기전에 관한 지식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을 세포주기의 조절과 연관하여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 면 흑색종에서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TGF- 는 G1 단계의 세포비는 증가시키고 S와 G2+M기의 세포비 는 감소시켜 세포주기의 G1단계에서 S단계로 이행 하는 과정을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며,33 또한 위 암세포주에서도 IL-4가 G1단계에서 S단계로의 세포 주기 과정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29 본 실험에서 는 SNU-1과 SNU-16에 인터페론 감마를 24-72시간 처리하였을 때, G1단계의 세포비는 21-65% 증가하 였고 S단계의 세포비는 26-55% 감소한 결과를 얻었 는데,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시간이 길수록 G1단 계의 세포비 증가 및 S단계의 세포비 감소율이 증가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인터페론 감마도 G1-S 이행단계에서 세포주기의 진행을 억제함으로써 인 체 위암세포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2+M단계의 세포비는 SNU-1에서는 증가하고 SNU-16에서는 감소하여 일 정하지 않은 양상을 보였으므로 이 변화는 인터페론 감마의 성장 억제 효과에 중심적인 현상은 아닌 것 으로 판단하였다.

최근 인터페론 감마가 정상적인 인체 유선 상피 세포(mammary epithelial cell)에서 세포주기의 G1 단계를 차단하여 세포 성장을 비가역적으로 정지시 키며, 이때 저인산화 형태의 Rb가 증가되고 cyclin

(9)

46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1 호 1999

A, c-myc, cdc2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34 또 간세포에서 인터페론 감마가 p53 과 p21WAF1의 발현을 증가시켜 세포주기를 억제시킨 다고 보고된 바 있다.35 Cyclin은 세포주기의 진행에 따라 합성되고 파괴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cyclin dependent kinase(이하 cdk)의 활성과 기질 특이성을 조절한다. 포유동물 세포에서는 G1에서 S단계의 이 행을 조절하는 G1 cyclin이 세포주기 조절의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G1 cyclin에는 세 종류의 cyclin D와 cyclin E 등이 있고, 이 중 cyclin D1은 대표적인 세포주기의 양성 조절 인자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두경부 편평세포암, 식도암, 유방 암, 폐암, 방광암 등 여러 종류의 인체암에서 cyclin D1이 과발현되거나 유전자가 증폭된 것이 보고되었 고,36-39 위암세포주를 IL-4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성장 억제와 cyclin D1의 단백질 발현 감소가 관찰 된 바 있어 암유전자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29 본 실험에서도 인터페론 감마가 G1단계에서 S단계로 의 진입을 억제하는 분자적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 여 세포주기 진행에 관여하는 조절 인자들의 발현 을 분석해 보았다. SNU-1과 SNU- 16에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하고 cyclin D1, cyclin E, cyclin A의 발 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cyclin 단백질들은 전반적으 로 인터페론 감마 처리에 따른 단백질 발현의 변화 를 보이지 않았지만 cyclin D1 단백질의 경우 SNU-1에서는 인터페론 감마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 현 정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을 때 cyclin D1의 발현이 증가되는 이유는 확실치 않다.

CDK2 및 CDK4는 cyclin A, D, E와 결합하여 Rb 등의 기질 단백질을 인산화시킴으로써 G1-S 단계의 이행을 촉진한다.40 본 연구에서는 SNU-1과 SNU-16 모두에서 인터페론 감마의 처리에 의한 CDK2 및 CDK4의 단백질 발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DK2와 CDK4는 단백질 발현 수 준이 변화되지 않더라도 cyclin과 CDK inhibitor들에 의해 kinase 활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kinase 활성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 (CDKI)로 알려 진 음성조절 인자에는 p16INK4, p21WAF1, p27Kip1 등이

있다. 이들은 cyclin-cdk 복합체에 결합하여 cdk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주기의 G1 arrest에 관여한 다.40-46 세포주기 음성조절 인자들은 세포주기의 진 행을 억제하므로 암 억제 유전자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암종에서는 이들 유전자의 결핍 혹은 유전자 를 불활성화시키는 기전이 암종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5 또한 epidermal growth factor나 transforming growth factor로 처리한 세포에 서 G1 arrest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시 p21WAF1이나 p27Kip1의 발현이 증가된다는 보고도 있다.42,43 본 실 험에서도 SNU-1에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한 후 농 도 또는 시간을 증가시켰을 때 시간 변화에 따라 p16INK4, p21WAF1, p27Kip1 중 p16INK4, p21WAF1이, 농 도 변화에 따라 p21WAF1, p27Kip1이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어 SNU-1 경우 세포주기의 G1 정지는 p16INK4, p21WAF1, p27Kip1의 발현 증가에 의해 매개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NU-16에서도 인터페 론 감마의 처리 시간을 늘렸을 때 p16INK4, p21Kip1, p27Kip1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어 SNU-1과 SNU-16 모두에서 CDKI가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성장 억제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Rb 단백질은 세포주기의 G1-S 이행단계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48 Rb 단백 질은 G1단계에서 탈인산화되고 S, G2, M단계에서 는 과인산화되는데, 저인산화된 Rb는 정상세포나 암세포에서 G1 점검점(check point)을 통과하는 데 가장 중요한 억제인자이다.29,37 저인산화 형태의 Rb 단백질은 E2F-1과 결합하여 E2F-1의 기능을 억제하 는데, E2F-1는 S단계의 개시에 필요한 여러 유전자 의 전사를 증가시킴으로써 G1-S단계의 이행을 촉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7,48 p16INK4, p21WAF1, p27Kip1 등 세포주기 음성조절 인자들은 cyclin-cdk 복합체에 의한 Rb 단백질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반 면, cyclin D1은 cdk4에 의한 Rb 단백질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0,43,46 위암세포주에 IL-4를 처리하였을 때와,29 림프종에 인터페론을 처리하였을때,49 성장 억제와 함께 저인 산화형태의 Rb가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본 실 험에서는 SNU-1에 인터페론 감마를 처리하였을 때 처리한 시간에 따라 과인산화 형태의 Rb의 발현 증

(10)

박민희 외 13인. Interferon-γ의 위암세포에 대한 영향 47

가가, SNU-16에서는 Rb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SNU-1과 SNU-16에서 Rb의 발현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흥미롭게 Rb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E2F-1에서도 동일한 양상의 차이가 나타 났다. 즉, E2F-1의 발현은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시 간의 경과에 따라 SNU-1에서는 증가하였으나, SNU- 16에서는 감소하였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 이 세포주기의 G1 정지는 주로 Rb가 E2F-1과 결합 하여 E2F-1의 기능을 억제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본 실험의 결과 SNU-1에서는 Rb와 E2F-1의 발현이 함께 증가하고 SNU-16에서는 함께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터페론 감 마에 의한 세포주기의 G1 정지 때 Rb와 E2F-1의 병 합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이 결과 만으로는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서는 Rb와 결합하여 활성이 억제된 E2F-1과 Rb와 결합하지 않은 E2F-1의 양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3가지 인체 위 암세포주(SNU-1, SNU-16, AGS)에서 인터페론 감 마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그 중 SNU-1과 SNU- 16에서 세포주기의 G1정지를 동반한 세포 성 장 억제 효과와 함께 세포주기 음성조절 인자인 p16INK4, p21WAF1, p27Kip1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는 인터페론 감마가 세포주기 음성조절 인자들의 발현 을 증가시켜, 세포주기 진행 억제 및 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보다 많은 인체 위암세포주를 이용한 연구와 nude mouse 를 이용한 in vivo 실험에서의 성장 억제 효과 확인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요 약

목적: Helper T cells로부터 분비되는 인터페론 감마는, MHC class II 항원의 발현을 유도하여 cytotoxic T cells의 활성을 촉진하는 cytokine으로, 항암제로의 이용 가능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론 감마와 위암세포의 관계에 대한 연 구는 매우 미흡하여 인터페론 감마가 위암세포의 성 장과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이 확립되지 않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직

접적인 위암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와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발현 양상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대 상 및 방법: 위암세포인 SNU-1, SNU-16, AGS에 인 터페론 감마를 처리하여 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세 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인 터페론 감마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3H]- thymidine 통합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SNU-1, SNU- 16, AGS에 인터페론 감마를 0, 10, 100, 1,000, 6,000, 10,000 U/mL로 각각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 [3H]-thymidine를 처리하고 18시간 후에 수확 하여 DNA에 통합된 [3H]-thymidine 양을 측정하였 다.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발현 양상은 SNU-1, SNU-16에 각각 1,000 U/mL의 인터페론 감마를 0, 2, 4, 8, 24, 48시간 동안 처리하여 Western 분석법 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인터페론 감마에 의 한 세포 증식 분석 결과, SNU-1은 농도가 증가할수 록 8, 37, 44, 50, 53, 65%의 성장 감소를 보였고 SNU-16은 14, 40, 48, 51, 58, 59%의 감소를 보였 다. 그러나 AGS에서는 농도에 따른 의미있는 변화 가 관찰되지 않았다. SNU-1, SNU-16에서 세포주기 조절 인자들의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발현 양상을 Western 분석한 결과, 세포주기 조절 과정에서 cdk inhibitor로 알려진 p21, p27, p16은 인터페론 감마 처리 후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세포주기 조절 인자 들인 cyclin D1, cyclin E, cyclin A, CDK2, CDK4, Rb는 의미있게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 인터페론 감 마는 SNU-1, SNU-16에 성장 억제 효과가 있었으 며, 인터페론 감마에 의한 위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는 cdk inhibitors인 p21, p27, p16의 증가에 의한 것 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인터페론 감마, 증식 억제 효과, 위선암

참 고 문 헌

1. Kono S, Hirohata T. Nutrition and stomach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1996;7:41-55.

2. Issacs A, Lindemnamm J. Virus interference: I. The Interferon. Proc R Soc Lond [Ser B] 1957;147:258 265.

(11)

4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1, 1999

3. Darnell JE Jr, Kerr IM, Stark GR. Jak-Stat pathway transcriptional activation in response to IFNs and other extracellular signalling proteins. Science 1994;

264:1415-1421.

4. Fresa KL, Murasko DM. Role of natural killer cell in the mechanism of the antitumor effect of inter feron on Noloney sarcoma virus transformed cells Cancer Res 1986;46:81-88.

5. Fidler IJ. Macrophages and metastasis-a biological approach to cancer therapy. Cancer Res 1985;45 4714-4726.

6. Shimada S, Ogawa M, Schlom J, Greiner JW. Com parison of the interferon-gamma-mediated regulation of tumor associated antigens expressed by human gastric carcinoma cells. In Vivo 1993;7:1-8.

7. Ibrahim L, Dominguez M, Yacoub M. Primary hu man adult lung epithelial cells in vitro response to interferon-gamma and cytomegalovirus. Immunology 1993;79:119-124.

8. Bradley EC, Ruscetti FW. Effect of fibroblast, lym phoid, and myeloid interferons on human tumor colony formation in vitro. Cancer Res 1981;41:244- 249.

9. Ludwig CU, Durie BGM, Salmon SE, Moon TE Tumor growth stimulation in vitro by interferon. Eu J Cancer 1983;19:1625-1632.

10. Jonak GJ, Friedland BK, Anton ED, Knight E Jr Regulation of c-myc RNA and its proteins in Daud cells by interferon-beta. J Interferon Res 1987;7:41- 52.

11. Samid D, Chang EH, Friedman RM. Biochemica correlates of phenotypic reversion in interferon-trea ted mouse cells transformed by a human oncogene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84;119:21-28.

12. Berry DE, Li Y, Schmidt B, et al. Retinoblastoma protein inhibits IFN-γ induced apoptosis. Oncogene 1996;12:1809-1819.

13. Ono M, Tanaka N, Orita K.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human interferon and cepharanthin against human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Cance Chemother Pharmacol 1994;35:10-16.

14. Markman M, Reichman B, Hakes T, et al. Intraperi

toneal chem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ovarian cancer. Cancer 1993;71:1565-1570.

15. Lejeune F, Bauer J, Leyvraz S, Lienard D. Dissemi nated melanoma, preclinical therapeutic studies, clinical trials, and patient treatment. Curr Opin On- col 1993;5:390-396.

16. Chen JT, Hasumi K, Masubuchi K. Interferon- interferon-γ and sizofiran in the adjuvant therapy in ovarian cancer. A preliminary trial. Biotherapy 1992 5:275-280.

17. Wandl UB, Kloke O, Nagel-Hiemke M, et al Combination therapy with interferon -2b plus low-dose interferon-γ in pretreated patients with Ph-positive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Br J Haematol 1992;81:516-519.

18. 송형근, 박성희, 김노경, 이상국. 인체종양세포주들에 대한 재조합 감마인터페론의 세포살해능, 증식억제능, HLA항원 표현에 관한 연구. 대한의학협회지 1990;

33:292-304.

19. Laemmli UK.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1970;227:680-685.

20. Lawrence WT, Lawrence W Jr. Gastric Cancer: the surgeon' s viewpoint. Semin Oncol 1980;7:400-417.

21. Delvenne P, al-Salah W, Gilles C, Thiry A, Bonive J. Inhibition of growth of normal and human papillomavirus-transformed keratinocytes in monola- yer and organotypic cultures by interferon-γ and tumor necrosis factor- . Am J Pathol 1995;146 589-598.

22. Mallat A, Preaux AM, Blazejewski S, Rosenbaum J Dhumeaux D, Mavier P. Interferon- and γ inhibi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of human Ito cells in culture. Hepatology 1995;21:1003-1010.

23. Mauerhoff T, Belflore A, Pujol-Borrell R, Bottazzo GF. Growth inhibition of human endothelial cells by human recombinant tumor necrosis factor α and interferon-γ. Tumor 1994;80:301-305.

24. Snoeck HW, Van Bockstaele DR, Nys G, et al Interferon-γ selectively inhibits very primitive CD342+CD38- and not more mature CD34+CD38+

human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J Exp Med

(12)

Park et al. Effect of Interferon-γ on Stomach Cancer Cells 49

1994;180:1177-1182.

25. Palumbo A, Battaglio S, Napoli P, et al. Recom binant Interferon-γ inhibit the in vitro proliferation of human myeloma cells. Br J Haematol 1994;86:

726-732.

26. Jetten AM, Nervi C, Vollberg TM. Control o squamous differantiation in tracheobronchial and epidermal epithelial cells: role of retinoids. Monogr Natl Cancer Inst 1992;13:93-100.

27. Jia SF, Kleinerman ES. Antitumor activity of TNF , IL-1, and IFN-γ against three human osteosarco ma cell lines. Lymphokine Cytokine Res 1991;10 281-284.

28. Baron S, Tyring SK, Fleischmann WR Jr, et al. Th interferons: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appli cations. JAMA 1991;266:1375-1383.

29. Morisaki T, Uchiyama A, Yuzuki D, Essner R Morton DL, Hoon DSB. Interleukin 4 regulates G1 cell cycle progression in gastric carcinoma cells Cancer Res 1994;54:1113-1118.

30. Hoon DSB, Banez M, Okun E, Morton DL, Irie RF Modulation of human melanoma cells by interleu kin-4 and in combination with γ-interferon or α tumor nectrosis factor. Cancer Res 1991;51:2002- 2008.

31. Toi M, Bicknell R, Harris AL. Inhibition of colon and breast carcinoma cell growth by interleukin-4 Cancer Res 1992;52:275-279.

32. Obiri NI, Hillman GG, Haas GP, Sud S, Puri RK Expression of high affinity interleukin-4 receptor on human renal cell carcinoma cells and inhibition o tumor cell growth in vitro by interleukin-4. J Clin Invest 1993;91:88-93.

33. Rodeck U, Melber K, Kath R, et al. Constitutive expression of multiple growth factor genes by melanoma cells but not normal melanocytes. J Inves Dermatol 1991;97:20-26.

34. Harvat BL, Jetten AM. γ-interferon induces an irreversible growth arrest in mid-G1 in mammary epithelial cells which correlates with a block in hyperphosphorylation of retinoblastoma. Cell Gro wth Differ 1996;7:289-300.

35. Kano A, Watanabe Y, Takeda N, Aizawa S, Akaike T. Analysis of IFN-γ-induced cell cycle arrest and cell death in hepatocytes. J Biochem 1997;121:677 683.

36. Karp JE, Broder S. Molecular foundations of cancer new targets for intervention. Nat Med 1995;1:309- 320.

37. Jiang W, Zhang YJ, Kahn SM, et al. Altered expression of the cyclin D1 and retinoblastoma genes in human esophageal cancer. Proc Natl Acad Sci USA 1993;90:9026-9030.

38. Lukas J, Pagano M, Staskova Z, Draetta G, Bartek J. Cyclin D1 protein oscillates and is essential fo cell cycle progression in human tumour cell lines Oncogene 1994;9:707-718.

39. Bartkova J, Lukas J, Muller H, Strauss M, Gusterson B, Bartek J. Abnormal patterns of D-type cyclin expression and G1 regulation in human head and neck cancer. Cancer Res 1995;55:949-956.

40. Serrano M, Hannon GJ, Beach D. A new regulatory motif in cell-cycle control causing specific inhibition of cyclin D/CDK4. Nature 1993;366:704-707.

41. Toyoshima H, Hunter T. p27, a novel inhibitor o G1 cyclin-Cdk protein kinase activity, is related to p21. Cell 1994;78:67-74.

42. Fan Z, Lu Y, Wu X, DeBlasio A, Koff A Mendelsohn J. Prolonged induction of p21Cip1/

WAF1/CDK2/PCNA complex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ctivation mediates ligand-induced A431 cell growth inhibition. J Cell Biol 1995;131 235-242.

43. Polyak K, Lee MH, Erdjument-Bromage H, et al Cloning of p27Kip1, a cyclin-dependent kinase inhi bitor and a potent mediator of extracellular antimi togenic signals. Cell 1994;78:59-66.

44. Coats S, Flanagan WM, Nourse J, Roberts JM Requirement of p27kip1 for restriction points contro of the fibroblast cell cycle. Science 1996;272:877- 880.

45. Kawamata N, Seriu T, Koeffler HP, Bartram CR Molecular analysis of th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family: p16 (CDKN2/MTS1/INK4A), p18

(13)

50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1 호 1999

(INKC) and p27 (Kip1) genes in neuroblastomas Cancer 1996;77:570-575.

46. Harper JW, Adami GR, Wei N, Keyomarsi K Elledge SJ. The p21 Cdk-interacting protein Cip1 is a potent inhibitor of G1 cyclin-dependent kinases.

Cell 1993;75:805-816.

47. Sherr CJ. Cancer cell cycles. Science 1996;274 1672-1677.

48. Weinberg RA. The retinoblastoma protein and cell cycle control. Cell 1995;81:323-330.

49. Resnitzky D, Tiefenbrun N, Berissi H, Kimchi A.

Interferon and interleukin 6 suppress phosphoryla- tion of the retinoblastoma protein in growth sensitive hematopoetic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1992; 89:402-406.

수치

Fig. 1. Representative assay of growth inhibition of human stomach cancer cell lines, SNU-1, SNU-16, and AGS by IFN-γ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workers regarding COVID-19, and to provide the database for th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n factors on exercise commitment and schol happiness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y.. The population wa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behaviors among marriage-immigrant mothers and native-born mothers a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s of mentoring functions of corporate field teachers on the transfer of training of learning workers through th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extbooks, analyzing the contents that the singing/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s of wayfinding and choice architecture in the information book and to find a connection for the proper provis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Soru massage therapy on the following variables: fatigue, stress, and obesity-related indexes including weight, waist gir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value of modern early childhood learners' emotional cultivation and to present a method of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