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Development of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Development of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大 韓 土 木 學 會 論 文 集 第26卷 第4D 號·2006年 7月 pp. 627~634

施 工 管 理

건설해체공사의 폐기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발

A Development of Computerized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김창학*·김효진**

Kim, Chang Hak

·

Kim, Hyo Jin

···

Abstract

Now, in a domestic country, the rebuilding and redevelopment of existing hous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ith an eco- nomic growth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As a result of that, a lot of C&D waste has been also produced. Nev- ertheless, it is not easy to find the research results for appropriat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D waste in domestic.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optimum de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minimizing construction waste and increas- ing reuse or recycle rate of material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molition. The system makes it possible to plan and manage in advance quantity of C&D waste, demolition methods of each structural elements and application methods of produced C&D waste through an integrated and computerized system.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ultimately to contribute to minimizing environmental damages and reducing construction waste quantity of a country. This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four mod- ules such as planning of preliminary demolition survey, estimating of demolition quantity, planning of demolition schedule and planning of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and each module can be also us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 user.

Keywords :

demolition, construction waste, integrated demolition system, deconstruction

···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경제성장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라 기존주택의 재건축과 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적절히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철거개념과는 달리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분별해체 관리시 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해체량의 산정에서부터 각 구조부위별 해체방법, 발생된 자원의 활용계획 등을 통합전산시 스템에 의해 사전에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국가 전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파악하고 저하 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도록 하여 환경부하량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해체사전조사계획, 해체물량산정, 해체공사계획, 폐기물관리계획의 4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이 모듈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 에 따라 개별 모듈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핵심용어 : 해체, 건설폐기물, 통합시스템, 분별해체

···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복지 및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 라 재개발·재건축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추어 건설공사의 규모 또한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 이러한 재개발 재건축 등의 활성화로 인하여 도심지 해체공사가 증가함에 따라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이 증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 2001 년 기준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1 일 108,520 톤 / 일으로 96 년 28,425 톤 / 일에 비해 약 4 배가량 늘은 반면에 생활폐기물은 쓰레기 분리수거 등의 각종 규제 장치 등에 의해 폐기물이 오히려 감소하였다 .

건설폐기물의 연간 발생량은 2,594 만톤 규모이며 , 이 가운 데 콘크리트가 1,081 만톤으로 전체 규모의 69% 차지하고

있으나 이를 자원화하기 위한 연구는 재생골재 등에 관한 연구만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 발생량을 원천적으로 줄이기 위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 반면에 일본을 비롯한 유 럽의 각국은 10 여년 부터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고

이를 재자원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성과를 거두 고 있다 .

국내 해체산업의 시장은 점점 커져가고 있으나 해체업자의 규모가 매우 영세하고 기술개발 또한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지원과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 또 한 건물의 해체는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가장 많이 배출시키

*정회원ㆍ진주산업대학교토목공학과부교수ㆍ공학박사

(E-mail : ch-kim@jinju.ac.kr)

**대한주택공사연구개발실책임연구원

(2)

는 공종이기 때문에 해체의 기획부터 최종 건설폐기물의 처 리에 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한 시 점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철거개념에서 건설폐 기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 률을 높이기 위 한 최적의 분별해체 관리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시 스템은 해체양의 산정에서부터 각 구조부위별 해체방법 , 발 생된 자원의 활용계획 등을 사전에 계획하여 운영토록 함으 로서 국가 전체의 건설폐기물 발생량을 저하시키고 , 또한 환경부하량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2 연구동향

독일의 Rents 와 Schultmann 은 건물의 분리해체를 촉진하

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그림 1 과 같은 시스템을 제안하였 다 . 본 시스템은 건물해체과정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높이기 위한 분별해체 활동 , 계획 및 처리를 일원 화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

영국의 경우 CIRIA(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and Information Association) BRE(Building Research Esta-

blishment) 를 중심으로 건설공사에 의해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여러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선분리해체 (deconstruction) 에 중점되어 있다 . 특히 해체 자원의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CIRIA 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웹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 본 시스템 의 경우 지역별로 처리업자가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의 종류와 자신이 갖고 있는 시설을 등록하고 , 시공자 는 이를 통해 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자를 이 사 이트에서 찾도록 하고 있다 , 그러나 본 시스템은 시공사가 폐기물의 발생과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것은 없이 단순 처리업자와 시공사간의 연계를 돕고 있을 뿐이다 .

영국의 BRE 건설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이고 재사용

을 높이기 위해 폐기물관리 시스템인 SMARTWasteTM(Site Methodology to Audit, Reduce and Target Waste) 를 운영 하고 있다 . 이 시스템에서는 시공사가 정해진 양식에 의해

폐기물의 형태와 양 , 폐기물의 발생원인과 비용 , 발생시기 ,

구조물당 ( 작업단위당 ) 발생 폐기물 , 폐기율 , 핵심 폐기물 등을 기록하도록 하고있다 .

2. 국내외 해체 및 폐기물처리 현황분석

본 장에서는 해외 각국의 건설폐기물 발생현황과 재활용을 위한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연 구는 주로 일본 및 유럽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1 일본

일본의 경우 2000 년부터 자원순환형사회를 이끌기 위해

“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 ”(2000 년 6 월 ) 을 제정하여 식품 ,

건설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에 관한 각 법 등을 정비함으 로서 환경배려형사회를 추진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

특히 전체 산업폐기물의 20% 를 차지하는 건설폐기물을 줄

이기 위해 2000 년 5 월에 [ 건설공사에 속한 자재의 재자원화

등에 관한 법률 , 2000 5 ] 속칭 건설리사이클법을 제정

하여 2002 년 5 월 30 일부터 본격 시행하고 있다 .

현재 일본의 경우 건설공사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 및 아 스팔트 콘크리트의 경우 약 95% 이상 , 목재의 경우 91%

이상이 리사이클 되고 있다 . 그러나 건설혼합폐기물의 경우 리사이클률은 27% 로서 분별처리되지 않은 혼합폐기물의 리 싸이클률은 매우 저조하였다 . 이러한 이유로 동경도의 건설 리사이클 지침에서는 표 1 과 같이 2010 년까지 특정건설폐기

물 3 품목에 대해서 99% 이상의 재활용률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

그림 1. 분리해체 기획시스템의 구조

표 1. 일본의 폐기물 재활용목표

품 목 2010년도 목표

콘크리트 99%

건설발생목재 99%

아스팔트 콘크리트 99%

(3)

2.2 영국

영국은 5300 만톤의 건설폐기물이 발생하고 이중에서 비활

성 폐기물 2400 만톤이 재생되고 있다 . 건설폐기물이 혼합될

경우 혼합폐기물로서 매립할 경우 톤당 11 파운드의 세금을 지불해야 하며 , 혼합이 되지 않은 일반폐기물은 톤당 2 파운 드로 혼합폐기물의 경우 6 배의 세금을 더 지불하도록 함으 로서 자원의 재생과 재활용률을 높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

1996 년에 매립세 (landfill tax) 를 도입함으로서 영국에서는 고

정 또는 이동형 크러셔 장비수와 재생장비가 급격히 증가하

는데 일조 하였다 . 1994 년에 100 개의 재생업체가 1999 년

400 개의 업체로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 건설폐기물의 약 3

백만톤이 재생되고 있다 . 분리해체가 표준화되면 훨씬 더 많 은 양의 폐기물을 재생 또는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2.3 미국

미국에서 건설폐기물의 처리비가 톤당 $50 을 넘는 곳이 급격하게 퍼져가고 있다 . 이것은 연방정부와 비이익집단에서 주도하고 있다 . 연방정부는 노후 빌딩의 제거를 위한 철거의

대안으로 분리해체를 적극 유도 하고 있으며 , 캘리포니아주 의 경우 건설폐기물의 감소와 재활용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해오고 있으며 , 그 연구는 주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집중되어 있다 .

3. 통합해체공사 시스템 구축

3.1 해체공사 시스템의 주요 기능구성

해체공사를 위한 통합시스템의 주요 구성 모듈은 그림 2

와 같이 사전조사계획 , 해체물량산정 및 내역서 작성 , 해체 공사계획 , 폐기물관리계획의 4 가지 모듈로 구성되며 , 이의 주 요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가 . 해체공종분류체계 (WBS) (1) 시설물 , 평형 , 형식 , 구조 , 공간

(2) 부위분류 , 요소분류 , 재료분류나 . 수량자동 산출 나 . 수량자동 산출

(1) 폐기 자재의 자재별 발생량 원단위

(2) 해체 부위별 발생량 원단위

(3) 도면 실측에 위한 발생량 산출과 . 해체 공사비의 산출

다 . 해체공사비의 산출

(1) 총 해체공사비의 산정

(2) 총 폐기물 처분비의 산정

라 . 해체공사 작업계획

(1) 부위별 해체공법 및 공정계획

(2) 해체공사 및 공기 산정 ( 작업공기 및 순서 )

(3) 폐기물의 활용계획 ( 재활용 및 재생계획 )

(4) 해체작업과의 연계된 업무분석 ( 제약조건의 파악 및 해설 )

3.2 해체공사 시스템 구축모델의 개념

3.2.1 해체시스템의 개요

그림 3 은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 항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 위에서 논한바와 같이 통합관

리 시스템의 목적은 해체공사기획부터 해체 , 폐기물관리의 전 과정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시스템은 특히 해 체물량산정을 자동화하는데 많은 주안점을 두었다 . 현재 국 내 해체공사는 폐기물의 발생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이 없 기 때문에 해체업자 , 발주자 별로 과거의 경험에 의존해서 표 2. 건설폐기물의 년발생량

건설폐기물 발생량

콘크리트, 벽돌, 블록 350만톤

금속 280만톤

모르타르 120만톤

목재 80만톤

플라스틱 90만톤

석고보드 30만톤

종이 20만톤

초목 10만톤

기타 20만톤

표 3. 해체폐기물 년 발생량

폐기물 발생량

콘크리트 1200만톤

조적 720만톤

종이, 카드보드, 플라스틱, 기타 510만톤

아스팔트 450만톤

목재 100만톤

기타 2천만톤

표 4. 폐기물처분비

도시 폐기물처분비

뉴욕 $60/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25~$50톤

워싱턴 $97/톤

산타페 $60/톤 그림 2. 해체시스템의 개요도

(4)

물량을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 따라서 본 시스템에서는 본 연구에서 산정된 원단위 코드를 이용하고 , 도면이 있는 경우 에는 도면을 실측하여 산정하도록 하고 있다 . 이렇게 산정된

물량을 기준으로 무게환산계수 , 부피환산계수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무게와 부피를 계산하고 , 폐기물반출비용과 활용계 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 또한 공정관리기능을 추가함으 로서 세부적인 해체공정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도록 함으로 서 해체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 해체공 사를 위한 내역서를 본 시스템 내에서 작성하도록 함으로서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3.2.2 통합시스템의 모듈구성

3.2.2.1 시스템의 세부구성현황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관리시스템을 DCON-PM 이라 명

하였다 . 그림 4 는 DCON-PM 의 각 모듈별 연계과정을 나타

낸 것이다 . 그림에서 보듯 해체공사를 위한 사전공사계획요 소에는 해체공사를 위한 공사개요 , 건물현황조사 , 작업내용 ,

해체방법 , 폐기물 반출계획 등을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

한 해체 공정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입력하도록 하고 있으 며 , 이것의 주요 입력자료로는 투입장비 및 인력 , 주요 비용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러한 자료는 헤체공사별로 메 인 DB 에 저장 되므로 차후 공사에 이러한 자료를 참조 또 는 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과거 공사의 현황 분석을 통해 개선사항 등을 도출하여 보다 정확한 공사관리계획을 수립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해체물량과 비용산정을 위해서는 메인 DB 에 저장되어 있 는 통합원단위와 부위별 원단위를 이용할 수 있으며 . 또한 도면의 실측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 이러한 물량산정 을 위해서는 앞장에서 산정된 원단위 DB 와 연계하여 구동 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분석은 기본적으로 WBS 정보와 연계 하여 구동함으로서 사용자는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손 쉽 게 물량산정을 할 수 있다 . 해체공정계획은 기본적으로 일반 건설공사에서 활용되는 공정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기능을 가 진 시스템을 본 시스템 내에서 연동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기능은 해체공사관리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

3.2.2.2 사전조사모듈의 구성

본 모듈은 해체공사 착공전 사전계획모듈로서 해체를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서 전체 공사개요와 건물현황 을 조사하고 , 작업내용 및 해체방법을 입력하도록 구성하였 다 . 본 시스템의 개요도는 그림 5 와 같으며 , 사전조사모듈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

( 가 ) 건축물현황조사

건축물현황조사는 기본적으로 시설물의 현황과 본공사 착 공전 업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특히 대관업무양식 을 시스템내에 포함하여 신고내용의 접수가 적시에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

① 시설물현황 입력요소

- 건축물준공시기 , 구조형식 , 시설형식 , 층고 , 연면적 , 동 수 , 층수 , 주변현황 , 현장현황 , 기타개요

② 본공사 착공전 업무의 입력요소

- 작업장소 확보현황 , 폐기물반출경로 , 유해물처리계획 ,

그림 3. 해체시스템의 세부요소

그림 4. 종합시스템 구축 개념도 그림 5. 사전조사계획 모듈의 구성

(5)

장물 처리계획

③ 대관업무

- 건축물멸실신고 , 건축물관리대장 말소신고 , 비산먼지 발 생신고 , 특정공사 사전신고 , 폐기물 배출자 신고

( 나 ) 작업내용 및 해체방법

작업내용 및 해체방법은 주요 해체공정별로 작업내용 및 철거순서 , 중점고려사항 , 투입장비 및 기구를 입력하도록 하 여 착공전 장비운영계획과 위험요인을 사전에 고려하도록 하 여 사고발생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

( 다 ) 폐기물총량 및 처리계획

폐기물 총량 및 처리계획은 해체폐기물 총량과 폐기물처리 계획으로 구성되며 , 폐기물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사전에 계 획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특히 해체 폐기물 총량이 산정되면 발생부위별 발생량을 기록하도록 하고 , 처리방법에는 자가처 리와 위탁처리량을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3.2.3 해체물량 및 비용산정모듈의 구성

그림 8 은 해체물량 산정을 위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 이다 . 해체물량산정은 기본적으로 원단위의 활용과 도면실측 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 특히 도면실측계산의 경우 부위 별 , 재료별로 도면분석이 곤란한 경우 부위별 원단위를 활용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사용자는 기본적인 건물개요만을 입력하거나 선택함으로서 건축물의 폐기물량을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 가 ) 원단위의 구성체계

1) 전체원단위 활용

원단위의 구성은 전체원단위와 부위별 원단위로 구분된 다 . 이들 원단위의 활용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WBS

generator 를 통해 구하고자 하는 시설물의 형식을 선정하면 ,

이것은 분류코드와 연계되어 선정된 시설물정보에 맞는 원

그림 6. 작업내용 및 해체방법 입력화면

그림 7. 폐기물 총량 및 처리계획 입력화면

그림 8. 해체물량산정 모듈 구성도

그림 9. 전체 원단위 DB

(6)

단위가 자동으로 생성되게 되며 , 이것은 바닥면적과 곱해져

서 폐기물의 발생량이 계산되게 된다 . WBS generator 는 미

리 정해진 형식에 의해 그림 9 와 같이 DB 에 저장되어 있 으며 , 사용자는 정해진 프로세스에 의해 쉽게 찾을 수 있도 록 구성하였다 .

2) WBS 구축

부위별 물량과 도면실측계산을 위해서는 먼저 WBS 를 생 성하여야 한다 . 이 분류체계는 DB 에 미리 저장된 코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구성하며 , 이것은 도면실 측분석에도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 물량산정을 위해 구성 하는 WBS 의 개념도는 그림 10 과 같다 .

3) 부위별 원단위 활용

부위별 원단위는 공동주택의 부위별로 발생가능한 모든 재 료에 대해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 이것은 기본적으로 도면실 측계산에서 도면의 분실 등 부위별 요소 재료의 산정이 어 려울 경우 이 원단위를 활용 할 수 있다 . 부위별 원단위는 그림 11 과 같이 WBS 체계에 따라 나뉘어져 그 활용성을 쉽

게 하였으며 , WBS 를 활용한 부위별 원단위 작성 예는 그림

12 같다 .

( 나 ) 해체공사비 산정

해체공사비는 기본 내역체계를 따르도록 구성하였다 . 내역 서의 구성은 재료비 , 노무비 , 경비로 구분하였으며 , 이것의 기록은 원단위 또는 도면분석에 의한 물량을 기본으로 하여 공사비를 산정하게 되며 , 입출력화면은 그림 13 과 같다 .

( 다 ) 폐기물관리 모듈

물량산정 모듈에서 재료별 물량이 계산되면 각 재료별 폐 기물 처리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 폐기물관리모듈의 구성은 폐기 및 상차물량계산 , 폐기물 처리비용 계산 , 폐기물 반출 관리로 구성되며 , 이것의 개요도는 그림 14 와 같다 .

(1) 폐기 및 상차물량

폐기 및 상차물량은 물량계산에서 구해진 폐기물에 무게환 산계수 ( 단위중량 ) 를 곱해서 무게를 구하고 , 부피환산계수를 곱해서 늘어나는 체적을 계산하게 된다 . 이것은 운반차량의 무게나 부피로 나누게 되면 폐기물의 운반대수를 구할 수 있으며 , 입력화면의 구성 예는 그림 15 와 같다 .

그림 10. 물량계산을 위한 WBS 분류체계

그림 11. WBS generator의 구성

그림 12. 부위별 원단위 DB

그림 13. 해체공사비 산정

그림 14. 폐기물관리 절차 개요도

(7)

(2) 폐기물처리비용

폐기물 종류별로 폐기처분비용을 산출한다 . 폐기비용은 폐 기물량 × 단가로 계산하게 된다 .

(3) 폐기물반출관리

폐기물 반출관리는 발생된 폐기물의 처분계획을 수립하도 록 한 것이며 , 현장 재활용을 할 경우 자가처리 하는 것으 로 보았으며 . 현장외 반출은 위탁처리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

이것은 매일 일자별 폐기물 발생량과 반출량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폐기물의 발생량을 검증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 그 예는 그림 16 과 같다 .

3.2.4 해체공정계획모듈

본 시스템의 공정계획 모듈은 공정관리 전문프로그램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 다 . 그림 17 은 해체공사계획의 모듈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 다 . 해체공사의 공정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 체공종의 분류체계를 구축하며 , 이것은 대공종 , 중공종 , 소공

종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서 공종별 해체계획 , 자 원동원계획 , 인력관리 , 작업시간 , 해체비용을 통합하여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표준내역서와 표준공정분류체계에 의 해 어느 해체공사에도 쉽게 공정관리계획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 그림 18 은 WBS 구축을 위한 입력화면의 예이며 ,

그림 19 는 해체공사의 공정관리를 위한 공정표작성 예이다 .

이 모든 DATA 는 범용 스프레드쉬트와 자유롭게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 하였다 .

그림 15. 폐기 및 상차물량입력

그림 16. 폐기물처리현황

그림 17. 해체공사계획모듈 구성도

그림 18. WBS 구축

그림 19. 해체공정계획

(8)

4. 결 론

해외 선진국가의 경우 건설폐기물의 저감과 폐기물의 재활 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 그러나 국내 해체산업의 경우 매우 영세하고 그동안 기술개발이 많이 이 루어지지 않아 왔지만 폐기물의 저감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이의 적정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템의 중요성 은 더욱 커져 가고 있다 . 기존 연구결과를 보면 건설폐기물은 구조물의 해 체과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전통적 해체방법을 바꿈으로서 혼합폐기물 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또한 폐기물 발생량의 정확한 예측과 이의 재활용방안을 사 전에 기획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 한 부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예측 , 시공계획 및 관리 그리고 최종 처분계획까지를 일련의 한 시스템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건설폐기물의 예측을 위해 많은 도면분석과 내역서의 분석을 통해 원단위를 사용할 수 있도 록 구성하였으므로 이것은 해체구조물의 종류와 면적만으로 해체량의 부피 및 무게가 계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이 것을 확장적용하면 국가 전체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며 , 이것은 폐기물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또한 본 시스템은 해체 구조물의 해 체계획 , 시공계획 , 폐기물 발생량예측 , 처분계획 등을 한 시 스템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극 대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본 시스템은 낙후된 해체산 업을 발전시키고 건설폐기물의 적정 관리를 통해 자원순환 형 사회를 건설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감사의 글

이 논문은 한국과학재단의 해외 Post-doc. 연수지원과 건 설교통부 건설기술연구개발사업 (02 산학연 A04-01) 연구비지 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참고문헌

대한주택공사(2003) 공동주택 철거잔재의 활용성 향상을 위한 해 체기술 및 시스템 개발,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 사업 1차년 도 중간보고서.

대한주택공사(2004) 환경위해요인 최소화를 위한 도심지 고층건물 유형별 최족 해체기술개발, 2003년 건설기술기반사업 1차년 도 중간보고서.

환경부(2002) 환경통계연감.

建設廢棄物(特定建設資材廢棄物)(2002) 再資源化等促進事業報告 書, 環境省大臣官房 廢棄物·リサイクル對策部企劃課リサイ クル推進室.

コンクリト廢棄物の再利用(2003) 日本コンクリト工學協會 廢棄物 のコンクリト材料への利用報告書 別冊.

建設副産物の發生抑制·再生利用技術の開發報告書, 建設省, 財團 法人 國土開發技術硏究センタ一, 平成 8年.

(社)全國解體工事業 休體連合會 BROCHURE, 建設工事に係る 資材の再資源化等に關する法律(略 :建設リサイクル法)のご (社)東京建物解體協會 BROCHURE, 「建設リサイクル法 分別解 案內.

體·處理フロ一」.

建設副産物リサイクル 報推進會議 BROCHURE, 「總合的建設 副産物對策(2003年版)」.

Chini, A.R. (2001) Deconstruction and Materials Resue : Technol- ogy, Economic, and Policy, CIB.

Chini, A.R. (2002) Design for Deconstruction and Materials Resue, CIB Publication.

Philip Crowther (2000) Building Deconstruction in Australia, CIB

.

Frank Schultmann (2000) The State of Deconstruction in Germany, Ton Kowalczyk (2000) State of Deconstruction in the Netherlands,CIB.

Lars Myhre (2000) The State of Deconstruction in Norway, CIB.CIB.

Frank Schultmann (2001)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for Deconstruction in Germany and France, CIB.

Charles J. Kibert (2000) Implementing Deco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CIB.

James W. Hurley (2002) Design for Deconstruction-Tools and Prac- tice, CIB.

(

접수일

: 2006.3.14/

심사일

: 2006.4.28/

심사완료일

: 2006.4.28)

참조

관련 문서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주채무자 공동사업주체 시공자 등과 도급관계에 있는 수급인 그 대표자 또는 임직원 등 이해관계가 있는 자가 주채무자 공동사업주체 시공자 등에게 자금조달의 편의를

교사 효능감은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을 기초로 교사효능감을 정의하면,교 사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Construction New construction sites, road repair sites, demolition of  buildings.

‘나도 Dendist!’의 상황제시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이를 깨끗하게 닦은 후 검진액으로 자신이 깨끗하게 닦이지 않은 치아의 부분 을 거울을 통해 보고 깨닫고, 깨끗하게

본 연구를 통해 검은 물잠자리의 날개가 가지는 방수 의 특성을 알아내고 잔류로 남아 있는 물방울을 쉽게 털어 낼 수 있는 구조를

이 때 세트로 구입할 수 있는 생존 가방뿐만 아니라 실제 자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생존 물 품을 정하고 이를 인터넷으로 장바구니 쇼핑을 해보고, 모형 가방에 물건을

 James M. Els, “Strategic management of complex projects: a case study using system dynamics”, System Dynamics Review, Vol. Gordon, “Choosing appropri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