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IAGNOSTIC EFFICACY OF MENTAL NERVE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FOR THE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DIAGNOSTIC EFFICACY OF MENTAL NERVE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FOR THE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 서 론

삼차신경의 분지인 하치조신경의 손상은 악골절 등을 포함한 구강악 안면부의 외상과 감염, 악안면 기형에 대한 악교정 정형 술, 악골내 종양과 그 처치술, 하악 후구치부의 근관치료, 매복 제3대구치의 발거술, 인공치아의 식립 등의 처치와 연관되어 드 물지 않게 발생되고 있다1-11).

Osborn (1985)8)의 보고에 따르면 하악 제3대구치 발거후의 하

순의 감각이상은 0.6%의 발생율을 나타내고, Alling 등(1986)9)은 5 년간의 조사연구에서 240명중 1명에서 하순의 지각마비가 나타 났으며 이중 3.5%가 1년이상 증상이 지속되었다고 하였다. 이러 한 신경손상은 하순의 경우 96.5%, 혀에서의 87%가 특별한 치료 없이도 1년이내에 자연치유를 나타냈으나, 약 1%에서 영구적 감 각소실을 나타내 하순과 이부 및 치은의 지각마비 또는 통증을 동반한 지각이상을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신경손상은 Donoff 등(1982)12), Wessberg (1982)13), 및 Mozsary (1984)14)등이 미 세신경 재건술이나, 신경이식술 등을 통해 손상된 신경의 연속 성회복 및 기능회복 등이 치험결과를 보고하였으나 치료시기및 치료효과에 대한 견해는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김 등(1990)11) 은 종합적인 문헌고찰결과 일반적으로 손상의 정도가 불확실한 경우 1주 간격으로 1개월간, 1개월 간격으로 3개월간 객관적 방 법으로 비교관찰하여 지각의 회복이 없거나 동통을 동반하는 경 우 미세신경 재건술이 권유하고 있다.

하치조신경 손상시 턱끝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정현주∙김명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생역학연구부)

Abstract

김 명 래

158-710, 서울 양천구 목동 911-1

이화의대 목동병원 치과/구강외과 Myung-Rae Kim

Dept. of Dentistry & Oral Surger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Tel: 82-2-650-5014, 5197(외래) FAX: 82-2-652-1588 E-mail: myungrae@mm.ewha.ac.kr

DIAGNOSTIC EFFICACY OF MENTAL NERVE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FOR THE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Hyeon-Ju Jeong, DDS, MS., Myung-Rae Kim, DDS, MSD, PhD Department of Dentistry,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nsory dysfunction following the injury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requires objective examination to get a reproducible data and to provide necessary treat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f the SEP(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of the mental nerve can be used as an objectiv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nerve injury and sensory disturbances.

The subjects were nineteen patients (37.4±11.3 years old) who had been suffered from sensory disturbance of the unilateral lower lip and mental region for over 6 months after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ies confirmed by the microsurgical explorations.

The clinical neurosensory tests as SLTD(static light touch discrimination), MDD(moving direction discrimination), 2PD(two point dis- crimination), PPN(pin prick nociception) and accompanied pain were preceded to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s as SEP. The score of sensory dysfunction (sum score of all sensory tests) ranged from 0 to 8 were compared to the latency differences of the mental nerve SEPs.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sensory scores and SEPs were tested by Spearman nonparametric rank correlation analy- sis, the differences in SEP latency by Kruskal-Wallis test and the latency differences according to PPN and accompanied pain by Mann- Whitney U test.

This study resulted that the difference of the latencies between normal side and affected side was 2.22±2.46 msec and correlated sig- nificantly with the neurosensory dysfunction scores (p=0.0001). Conclusively,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of the mental nerve can be a useful diagnostic method to evaluate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ies and the change of sensory dysfunction to be repro- duced as an objective assessment.

Key words : Nerve injury, SSEP

※이 논문은 1999. 4. 3,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제40회 종합학술대회에서 구연발표되었음.

(2)

는 검사방법으로서 말초 및 중추 신경계의 체성감각 전도로의 병변 유무 및 그 정도를 반영하는 검사이다. SEP의 분석지표는 대뇌유발 첫 전위인 N1 잠시가 가장 객관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 외에 N1P1, N2, N2P2, N3의 변수들은 아직 연구중인 단계로 임상에서는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검사는 말초 감각신경 전도검사에서 반응이 보이지 않는 정 도의 심한 신경손상에서도 신경이 연결되어 있으면 미세한 반응 을 관찰할 수 있는 예민한 검사방법으로서 신경문합술 등의 결 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말초 감각신경 전도검사에 비해 훨씬 예민하지만 경도의 축삭손상에 대해서는 정상반응을 보이는 약 점도 있다. 또한 턱끝신경과 같이 말단 분지의 경우 말초 감각신 경 전도검사가 실제적으로 시행하기 어려우며, 현재 하치조신경 의 평가에 대한 턱끝신경 SEP의 보고는 극히 제한되어 있는 상태 로서 실제 임상에서 이용되는 이학적 지각검사와 비교될 만한 임상검사로서의 가치가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근 및 신경생리학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체성감각 유발 전위검사와 실제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이학적 지각검사 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각 평가방법과의 상관성을 확인해 하 치조신경 손상시의 턱끝신경자극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의 진 단적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996년에서 1998년까지의 만 3년간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 동병원에서 제3대구치 발거 및 하악골절에 의한 편측성 하치조 신경 손상으로 턱끝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고 이 후 미세외과적 신경재건술을 시행하여 신경손상을 확인한 19명 (남자 9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은 두발(hair)과 직경 0.15mm×2cm 및 0.25mm× 2cm polyacrylic monofilament를 이용하여 구부러질 때 까지 힘을 가해 이를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지각이상 점수를 부 여하였다(Fig. 1). 두발의 촉각을 인지하는 경우 0, 0.15mm fila- ment만을 인지하는 경우 1, 0.25mm filament만을 인지하는 경우 2, 모두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3으로 정하였다. 방향식별도는 같 은 filament를 이용 5회 이상 시행하여 모두 인지하는 경우 0, 4회 인지하는 경우 1, 3회 인지하는 경우 2,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경 우 3으로 정하였다. 유해자극인지도는 stress-tension gauge (Dentaurum, Germany)에 부착된 #30 needle을 이용하여(Fig. 2) 25gm의 힘에서 정상과 근접하게 지각하면 0, 정상측에 비하여 둔하게 인지하면 1, 과민하고 동통을 동반한 경우는 1점을 추가 하여 총합을 구하고, 그 합을 지각기능 이상의 점수(sensory dys- function score: SD score)로 표시하였다.

2)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는 Cadwell- Excel (Kennewick, USA)사의 근전도기를 이용 하였다 (Fig. 3). 검사시의 기록은 민감도 200

μ V

/division, 소인속도(sweep speed) 10msec/division, 여과는 10Hz�3KHz로 설정하였고, 자극 강도 및 주기는 각각 7�10mA, 3pps로 자극하였다. 앙와위의 충 분히 이완된 상태에서 기록전극은 국제 뇌파 10�20 EEG System 의 C3’에 활동전극(active electrode)을 부착시켰고, 참고전극(ref- erence electrode)은 Cz부에, 접지 전극은 활동전극과 참고전극의 중간부에 위치시켰다. 자극 전극은 막대전극을 이용하여 이공부 위의 턱끝신경을 자극하였다(Fig. 4). 이상의 자극에 의한 유발전 위를 평균 128회 자극을 가하여 공통전위를 찾아내는 평균화 기 법을 이용하였다. 턱끝신경 SEP는 검사결과의 반복성,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신경당 2회씩 시행하여 파형의 형태 및 N1 잠시를 확인하고, 건측과 이환측의 N1 잠시의 차이를 산출하였 다.

3) 이학적 검사와 턱끝 신경 SEP 검사결과의 비교

대상군의 이학적 지각검사점수를 검사별로 나열하고 이환측 턱끝신경 SEP의 N1 잠시 지연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4) 통계분석

검사자료의 통계적 검정은“SAS for Window release(6.12 ver-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ge 37.4±11.3 23�63 years old

Time elapsed after injury 10.1±8.8 2�30 months S.D. ; standard deviation

Mean±S.D. Range

(3)

sion)”을 이용하여 체성유발전위 검사결과의 이환측과 건측의 N1 잠시의 차이와 이학적 지각검사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 nonparametric rank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고, Kruskal- Wallis Test로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과 방향식별도에 따른 체성 유발전위 잠시(SEP latency)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유해자극 인지 도와 동통성 지각이상 유무에 따른 SEP잠시의 차이는 Mann- 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Ⅲ. 결 과 1. 이학적 신경지각검사 결과

이학적 지각검사에서는 모두 2점이상으로 평균 4.26±1.56점의 지각이상을 나타냈는데 2점이 2명, 3점이 5명, 4점이 3명, 5점이 7 명, 7점이 1명, 8점이 1명이었다.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에서는 1 점이 9명, 2점이 8명, 3점이 2명이었고, 방향식별도의 경우 1점이 8명, 2점이 9명, 3점이 2명이었다. 유해자극인지도는 13명에서 무 감각을 나타냈고 5명에서 동통성 지각이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수상후 SEP검사시까지의 경과기간은 6개월 이내가 8명, 1년이내 가 6명, 2년이내가 2명, 2년 이상이 3명이었다(Table 2).

2. 턱끝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SEP) 검사결과

이환측 턱끝신경의 SEP는 건측과 비해 지연된 N1 잠시를 보이 며, 잠시의 지연은 평균 2.22±2.46msec이었다(Table 2).

3. 턱끝신경의 이학적 지각검사와 SEP 검사의 비교

4종의 이학적 지각검사의 총합(SD score)과 턱끝신경 SEP의 N1 잠시 지연정도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correlation coefficient, r=0.779, p=0.0001).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과 방향식 별도의 경우 지각이상 점수가 높을수록 지연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correlation coefficient; r=0.689, r=0.605, p<0.05), 지각 검사의 총합(SD score),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 방향식별도의 순 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해자극인지도 및 동통성 감 각이상의 유무에 따른 지연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

Fig. 1. Polyacrylic monofilament used in clinical neurosensory

tests and static light touch discrimination.

Fig. 3. The EMG machine for SEP study(Cadwell-Excel

Co., USA).

Fig. 4. Cutaneous nerve stimulation to get the mental nerve

SEPs.

Fig. 2. Pin-prick nociception test (the left chin) and mapping

of sensory alterations (the right chin).

(4)

@?@K

3@@@6K @@f?W&?@?he?W&?g?W&? W2@6X?@@@@

N@e@@6KO26Xe?W26K?O26X?@?26T26X??@?@6KO&@@@L?W&K?O26X??*@W@K?O)X?7@?e@?eO-X?W&K?eO)X?e7@W@)?@??@e?O-K

?@e@?@@@@V1e?*@V'@@R')X@@@@@Y@)T&@e@@@Y@?@)T&@@@@@V1??N@@@@@@@)T@@@6X@W2@@R1?7@@@?@@@)Xe@@@Ye@??@e@@R@@@@6T2@@6?2@@@@@hf J@e@?3@@@@@f@?N@@?N@@@e@@@@@@U@?7@@@?@?@V'@?W@?@@@??J@??@@@@@@U@?@@@@@?@@@?@@@@?@e@)e?I'@6X@?fN@@@@@?B@@V'@@@?@@@@hf '@e@?S@@@@@e?'@?C@@?C@@@e@@@?@V'@?@?@@@@?@LN@W&@?@W5??'@?C@@@?@V'@W@@@@@?@@@?@??@?@L?@He@KV@@@@?O@eJ@?@@@?C@@?S@@@?@?@@hf V'f.MI4@@e?V4@0R4@0MI@e@?4@@?V'?@@0MI'@@@?@@@@@@0Y??V4@@<I4@@?V40R+?4@?@@@?3@@@?@@?@?e@@@@e@@@@e@@@0Y@@0R4@@R4@?@@@@hf

V+M?hf?I@? V+M?heI@e@Mh?@M?eI@

O)X??@@?@6?2@?e@@f?W-X

?@@@?)T26KO2@@)??@@?@@@@@?eN@?@@6T&@)T26X?W-X?W26?@?)X?

?@?@?@@Y@@@(Y@H??@@?@(Y@@?eJ@?@?@@Y@@@Y@1?7@)?&R4@@?@)?

J@@@?3@?@?@??@L??3@@@??3@?e@@?@@@@X@?@@@@?@?@@@e?@?@H?

7@@@?S5?@@@)X@,?e@@@(e@?e?@?@?@S@@@@@?@?@?@?@W@?3@@

@@@@@0Y?@MI4@0Y??@0?(Y?@@?e@@?@@@0R4@@@@@?3T5?@@@?N@5?V+YeI@?J@H

?@@?

@@@6T2@@6X N@XI'@eB1eW2@??@6T26X?@6T2@?

?@)XN@e?@e7Y@?J(R+R'1?@V@Y@L;)X@L?J@e@@@W&Ue?N@?@?@@@@

@6T@@@1?75f@(R1?'6X@?@?@?

N@(MW@@W(Ye@@0Y?@?V4@@?@?@@@?

J@e7R40Y?

@@@?@?

N@H?@?@?

?@e@?@?g?@

?3L?3T5?

?V/?V+Y?g@?

?/X??V/?

@@@? ?O2@

@?@?g@? O2@@@@@@

@@@L ?O2@@@@@@0MW@@L?

@?@@f?@@? O2@@@@@@0Mf?7@@)X

3X@H O@?2@@@@@@0Mh?3@@@)

V4@?g@? O2@@@@@0M?O@?2@@@@@0M?hf?N@@@@

?@@? W2@6X? ?O2@@@@@0M

*@@@1? ?O2@@@@@@0M?

?/X? N@@@5? ?O2@@@@@@@0M

@@@?f?V/? ?@@0Y? O@?2@@@@@0M?

@? O2@@@@@@0M

@@@@f?/X? O2@@@@@0M?

@?W5f?V/X O2@@@@@@@0M?

@W.YgV/ ?O2@@@@@@@0M

@0Y?f?@ O2@@@@@0?@M?

O2@@@@@@0M

@? W2@@f@@@@@6X?heW26Ke?O2@@@@@@X 7@@@L??J@@@@@@1?h?O&@@@@@@@@@0?'@@1

?/X? 3@@@@??'@@@@@@5?gO2@@@@@@@0M?fN@@5

?W&?f?V/? V'@?e?V'@@@@@Y?O@?2@@@@@0Y@@?h?@(Y

?7@? ?V'?fV'@?@@@@@@@@@0M?e?@@?h?(Y?

?@@?f?/T26Kh?W26X?g?V@@@@@0M?

?@@@@?f?N@@@@(?g?7@@)K?O2@@@@@@@@@X?I4@?f?J@@@@U?g?@@@@@@@@@0?@M?I'@,?

?7Y@?V)?2@@@@@?@?@M?heS(Y? ?W&??@@@@??@@@@??/T2@??@@6T2@?

J@@@@@@@@@@@X?he@6X?W2@U ?&@?e@?@??@V'@??V'@H?J@?B@@

?W&@@@@@@X?W@@1?h?J@@)?&@@1 ?@@@@??@?V@?eS5e7@e3@@?

?*@@@@@@@(?7@@@?h?'@@@@@@@5 ?3@@5?@?7He@5e?@H?

@?@?e?V'@@@@@(Y?3@@5?h?V'@(?'@@H ?V40Y?@?@?e(Ye@@

@?@?fV'X?I(Y??V40Y?heV+Y?V4@?

?J@?f?S@6X?

W&5?f?7@@1?

7@g?@@@@?

@@@?f?3@@5??V40Y?

W-X?f?V/??/X?

7@1?

@?@Lf?@

@?@@ @? ?@h?@h@?h@?f@? @?e?@e?@he@?e?@hg

@?g?@@??@@?@?@@?@?@@??@?@?@?@@?@?@@?@?@e@?f@6X?@?/Xe?@e?@@?h@?g?W.?gW. W.h/X ?W-X

3T&? ?I/?eV/?@e?@f@?@?@?@?e?@?@?@?.Y?@?@?@?.Y?@@?@?@?@?@?@?.Y?@?@?@eV/e?@@?@?@?@??@?@?@?@?.R/?@@?@?@?@?hg V4@?

@??@ ?@?@ @@ W-T. ?@@@ @@?@@6X? ?W2@?@@@@?he

@??@ J@ ?J@@L? 7@@U ?@?@ @H?@?S,? ?.Y@e?W@?he

@L?@ ?W&5 ?7@@@? @V'1 ?@@@ 3L?@?*U? ?@eW&@?he

3)T5 W&@? ?@@@ 39V@ ?@?@ S,?@?V1? ?@?W&8hf

V40Y &@@@ I4@? V4@@ ?3T5?V+Y 7H?@@@@?@? ?@?&@W.?he?V40Y?he

W&?@?@@@ ?W&??)X??@?W&?eW.

?W&@e?@eO-K?O)T-K??O@??O-KgO@?7@??@)X?@?&@?e*Ue?O@K W26K ?)X?

W.Y@@@?@@@@R@@@@@R@@@@@T2@R'@@6X?@@@T@@??@@)X@?N@?eV4@@@@@@@@6?2@@?@@@6X?7@V@@@@@?@@??@@6?2@@?31?

7H?@@@?@?@@@@?@?@?3@@?S@>5e@@@1?@?B@Y@??@V'@@e@?f?@W@@@@?@@@?@W(MI')T@@?@?@?@?3@L?@V'@@V@?N@?

3=?@?@?@@@e@?@?@?S@@?&@@UO&@?W5?@e@?@??@?N@@e@?e'6X@@Y@@@?@?@?@@U??V@@Y@?@?@?39V@1?@?S@@e?C5?

V4@@?@?@?4@@@?@?@@0R'?V+R4@@@@0Y?@@@@?@??@e@@e@?eV4@@@@@V4@@?@?(R4@@@@@?@?@?@?V4@@@?@@@R'T2@@H??I@?hfW5?3L?heI@?V+M?@

.Y?V/? ?@

Fig.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ory dysfunction

score(SD score) in clinical neurosensory tests and prolongation of N1 latency in the mental nerve SEPs.

7 1.3 4 2 2 0 0 8 2.1 5 2 2 0 1 9 4.6 5 2 2 0 1

10 10.9 8 3 3 1 1

11 2.3 5 2 2 1 0 12 1.9 3 1 1 1 0 13 0.8 3 1 1 1 0 14 1.5 5 2 2 1 0 15 2.4 4 1 1 1 1 16 0.1 2 1 1 0 0 17 2.4 5 2 2 1 0 18 2.3 3 1 1 1 0 19 0 3 1 1 1 0 SD; Sensory dysfunction score, Sum of SLTD, MDD, PPN, NP SLTD; 0(hair), 1(0.15mm filament), 2(0.25mm filament), 3(not recognized)

MDD; Moving direction; 0(100%), 1(80%), 2(60%), 3(not at all) PPN; Pin-prick nociception; 0(close to unaffected), 1(hypoesthesia) NP; Neuropathic pain: + 1(hyperesthesia)

@@?@?@?@?@?@?@?@?@?@e?@f?@h@?f@? @??@?@e?@?@?@f@?e@?@?@?@??@?@?@?@f@?@??@e@?@??@?@@?@@?@?@@?@@@?@?@?@?@?@?@@?@@?@@@@?@@@@?@@@?@?@@@@@@?@@?@@?@?@?@@@?@@@?@@@?@@@@?@@?/X??@@?@@?@?@@?@@?@?@e@?@?@?@@?@?@?@?@?@e?@?@?@e@?hf?@

?N1? ?@he@?@?@?@?@?@@@?@?@@?@@@@@@@@@@@@@@@@@@@@@@@@@@@@@@@@@@@@@@@?@@@@?'@?@@@@?@?'@?@@@?'@?@?@?@?@?)X?@?@?'@@@@@@@@@?g

@? ?@@? W2@@f@@hf?@@@6Xf@@h@@ @? ?W2@@@f?@hf@@g?@hf?W&?@?f@?g?W&? ?I@?V'e?I@?@?V'eI@?V'?e@?@?@?@)?@?@?V+Mhg

@? ?3@?@?f?@?)X?f@?f?7@@L?he7@g?7@?gW&@He?@6X7@@@e?J@@hfJ@@@@)e?J@5g?J@5 @?@??@ ?*@@@@L?eJ5hf@@g?@hfW&@@@Lf@?g?7@??N@??@1?e7Uf?W26K?e@@W)X??@@@L?he*@eI/hfJ@@? @?f@?f

@? ?7@?f?@@@)Xe@@@@@?e?@@@@?he@@@@@@e?3@1f?O&@@?eJ@@1 @? @@@@5?e31fW&@@@@e@@@@)X?@@@1?heV'@6X?e?@@?f?O&@@?e@@6X

@? ?@@?f?@?@@)e@@@@@?e?3@@hf?W(?'@e?N@@f@@@@@Le7YW5 @? @@@@H?eN@f*@?@@He@@(Y@1eI4@Lhe?S@@)Xe?@@?e?W2@@@@??J@@@, @?f

@? ?@@??O.??@@@f?W@?f?N@@)Xhe@@U??@e?J@@f@??@@1e@@@U @? @??@L?e?@L?eV4@@@?e@@HJ@@fV1he@@U?B1e?3@?e?7@??@@??7@@0Y @?f

@? ?@@@@@U??@?@L?eW&@W@?f@@@,he3@)?&5e?7@@f3@@@@@e3X@1 @? ?J@??@1??'@@)XfI'@?e@@?'@@e'@@5he@@)KC5e?V@Le?3@??@@??3@? @?f

?@@@@@)??@@@@?e&@@@@?f@@0YheV4@@0Ye?@@@fV4@@@@eV4@@ @? ?@@??@@??V4@@)f?S5?e@@?V4@eV40Yhe?I4@0Ye@@@@e?V4@@@@??V4@@? @?f

@K @? ?@@@H? @?f

@@@@@6?26?@?2@6?@?@?26?@?@?@K?eO@?@K?O@?@K?O@?@KO@?@?@?26?@?@?@?@?@?@?@?26?26?@KO@?2@@@@6?@?26?@KO@?@?@?@?@?@?@?@?26?@?@KO@?@?@?2@6?2@6?26?@?2@@@@@6?@?2@@@@@6?2@@@6?2@@@@@@@@@@@@@@@@@@@@@@@@@@@@@@@@@@@@??@@@@@@@@@@@@@@@6?@?@?@KO@?@?@?26?@?26?@K??@W@KO@K?O@?@?@?@?@?@?@KO@?@K?O@KO@K

@@@@@@@@@@@@@@@@@@@@@@@@@@@@@@@@@@@@@@@@@@@@@@@@@@@@@@@@@@@@@@@@@@@@@@@@@@@@@@@@@@@@@@@@@@@@@@@@@@@@@@@@@@@@@@@@@@@@@@@@@@@@@@@@@@@@@@@@@@@@@@@@@@@@@@@@@@0?4@@@@@@@@@@@@@@@@@@@@@@@@@@@@@@@@@@@@@@@@@@@@@@?J@@@@@@@@@@@@@@@@@@@@@@@@@@@@@@@@@@@@@@@@@@@@@@@@@@@@@@@@@@@@@@@@@@@@@@@@@@@@@@@@@@@@@@@@@@@@@@@@@@@@@@@?@@@@?@?@?@@?/T.?@?/T. ?O@?f

@?.M ?V+Ye?V+Y?@@@@@@@@@@@@@@@@@@@@@@@@@@@@@@@@@@@@@@@@@@@@@@@@@@@@@@@@@@@@@@@@@@@@@@@@@@@@@@?f

@? @? ?I4@@@@@@@@@@@0Mg@?f

@? @?f

@? @? ?@ ?@

@? ?@ ?@ ?@ @?f

@? @?f

@? @? ?@ ?@ @? @? ?@ ?@

@? @? ?@ @?f

@? ?@

@? @L @?f

@? ?@ @? ?@ @? @? @@@H ?@ ?@ ?@

@? @?@? @?f

)Xe?@e@?@?@??@f@??@?@e@?@??@f?@?@e@?@??@g?@e@?@??@?@he@?@??@f@??@?@?@e@?e?@e@?@?@?g@?@??@g?@?@e@?h@?e?@h?@hf@?h@?g@??@?@?@e@??@?@e@?e?@f@??@?@?@g?@?@?@e@?e?@e@?@?g@?@?@??@g?@?@?@e@? @?f

@1 @??@@@ ?@?@e@?g@??@e@?@?f@@e@?h?@e@?f

@@ @??@?@ @?f

@@ @??@?@ @?f

@@L? ?@ @? ?@ @??@@@ ?@

@@1? @??@@@ ?@ ?@ @?f

@@@? @??@?@ ?@ @?f

@?@? @? @??@?@

@@@? ?@ @? ?@ ?@ @??@?@ ?@ @@ @?f

@@@? @??@@@ ?@ ?@

@@@? @??@?@ @?f

@@@? @? @??@@@

@@@? @? ?@ @? ?@ @? @??@?@ ?@ @? @?f

@?@? @??@@@

@@@? ?@?@ ?@?@ @?f

@?@??@g@?he?@f@? ?@f@?g@??@e?@fJ@@@=?f?@@?e@KO2@@@@@?)X @??@?@

@?@? 7<?I4@@@h@@0M?@@@H?@)?2@@@@@?h@??@@@L? ?@e?@he@?e@?g@??@?@f@??@?@e@?@?h@??@?@hf?@he@? ?@g

@@@? 3=f?@L?he?@@5e@@@(MW@@hf?@?@)X ?O)X @?@??@

@?@? V4@@?@@@1?he?@(Ye@@@H?'@@1?h@??@?@@1 @@@)X? @?f

@?@? I@?@@@@?he?(Y?e@@@??V'?@?h@??@?@@@ ?B)X O2@@g?@he@@@@g/T&?

@?@? ?@ @? ?@ @??@?@?@ ?@ @@f31?@ ?@@Ue?@@@h@@@@?J@@e?@@@@?N@5?

@@@? ?W2@@6?@K?g@??@?@@@L? ?J@HfN@ ?N@)K??@@@L?he?'@@e?@@?@?J@ @?f

@?@? O&0MI4@@@@f?C5??@@@?@1? W&@?f?@ @@@@?@0R/?he?V4@e?@@@@?7@1?

@@@? @? ?@ @? ?@ ?@ @@@8fW@@@W2@@@@U?e?@@@@?hf?@ 7< ?@X?e@@@?

@@@? @@@T&K?O.MI4@@e?S,?W&?3@@@@@@6X ?J@?h@@ J@1? @?f

@@@? @6?2@?@@ ?C@0R4@@@0Y?eI4@@@@U?&@?V'@@@@0R)X? ?75?h@@L? ?@ ?@ ?@ @@@?

@?@? @@@@@?@@ O2@@@@U? ?B1?fN@X?e?3)X /X?W.? J@H?h?B1?

@@@?e@@@?he@?g@@@@@?@@f?@ @? ?@ ?@ ?@ @?he?@@Y@(MI/? @?f?31?e?N@1g?@gS)?&U?@( 75he?J@L

@?@??J@@@L @MI4@?@@ ?@@@0Y ?V'=f3@ 7@@@,?3U ?J@Hhe?.R)X? @?f

@@@??7<?B)K? W2@6T&eO@K? O2@@(M @?@?fV4@@@?V' @?I'U?S)X? ?75?hf?31?

@@@?J@e?@@6X?hf?)X? ?W&@X;@@T2@@@@ W2@@@@H? @?h?I'L @??N)T&@1? ?@g@@6Xf?N@? W-X? @?f

3@@?7@?@?3@S,??@f@??/T&?@)?@?h?@?@e@?hW-X?@?@?@??@g?@e@?@??@?@e@?@??@?@gO&R4@?(R4@@X@5?W&?@??@f@??@?@?@e@?e?@e@?@?@??@g?@?@e@?e?O&@@@@@?@?@e@?e?@e@?f?@e@?e?@@?@?@?N)X?/T.?@@?@?@f@?@?@0R4@?@?e?@h?@e@?@?@??@g@??@?@he?@@?e?C(?'1g@L ?W&@)KeO2@6K?

S@@?@5e?V'@H?h?N@@?@Y? ?W&@)?@@@L ?@@@hI'@??&@? ?@@@@(M? @?h?31?N@H?h?J5? ?J@? W2@0Y?N@g31 W&Y?@@@@0M?B@6X?e@?g@?@??@?@e@?g@??@f@@@?f@?@?

7Y@@(YfN@he?C@@@@@6X? ?7(Me?I'1 ?@@5h?V4)XV'= ?@0?(Y @?he?N@L?@he?7U? W&@@@? ?@e7(M?e?3@@fN@ W2@@6?&@@@@@@Xf@@1? @@5?

@?@@H?f?3L?g?O2@>@@@@@1?@@g?N)Xg@@@@@<?@e@?h?@he?W&Hg.R1?J(Y?fS@L? @6X@H?hfV'@<I'@??@(Yhe?I/KS@6K ?@eW26T2@hf@? @?hf31?3L?h?@)K@?hfN@?V/Xe?@e?@@@@@@? ?W&(Y@@??7@H?3@L ?@?J(Yf?V'@L?e?3L?hf?W&(MW@@@0MI@?4@f?I'LO.Y?gV')Xe?N)XgO2@@@@?7@HW&0Mh?)X?eN1 O2@@@0M??C@0Y? @?f

@?he@)?@?@6X@V4@@??@e@L@@h@@@@?@S@@?h@1 ?75??O2@@?e@LJ@HW20MI'=e3)X? ?J@T(Y@@@5 ?V'L?N@LV/KC@@ 7@@@<?@@@@ @?hf?@e?3L?fO&@@V'@1?@eN1h@@@@@L ?@5??V'1J(Y?eN@ W2@Hh?V')X?e3)X?e@@@0M?eJ@@T.Mhe?3)X?@X@L?7@@?heV'1?eV4)K?C@0M?e?O.MI+Y?he?V4)?@@@)X?@@6K?h?@h?O&@@@0YW2@@W(M? @?f

@?hfI4@@0Mhe3@L?@?hN@1?g?@he@HJ@f?V4)X@@?75?7<?eV'6XN@1? ?@@@@5e?@O&R@H? ?V'@Y?e@KV'@(e@@@? ?O2@0?@??O2@@? @?hf?N1?e31?/T@U?fN@@?he?3L??N)Xe?@(MI@?V'@ ?W&Hf?@L??7@?e@??31? ?J@?@?hf?V'LfI4@0M??@(?@0Y?N1he?(Y? ?I4)X??I'@e@KgO2@@6T2@@@<??B1?@?N@?C@@6Xe?@@0M?I+M?@5

?@@? ?J@T&5g?B@@@? ?@@T(Y ?V+Ye?I'= @0M? @?eV'LV'>@(f?@ J@@?f?N@? ?7@? ?@?@?@6Khe?@ ?@f@?3=C@@@U?I/K??@g?J(Y

?3@? ?7R@(Yh3@@? S@H? @6K?V@@@ ?W&?eW-X? @?hf3Le?V/?N@(Y 7Uh@? ?@5? I4@@?W&? V40R4@)K?V@@@@=?fW&H?

?N@? ?@?@H?hN@@L ?W&?&5 ?B@@@@@@L? O&5??W&@)? @? @? N)X?f?(Y?g@? @)h@L ?@H? I'T&@? I4@@@0MI'6K??W&@ @?f

@?he@Lg?@h?@@5he?3@)X? ?7@@0Yf?@ ?@e@0MI4@)Ke@? ?@@@e?.M? ?@)Xe?)X?h@L ?J@Hf@?e31 J@ ?V4@@? V4@6T&@@

31 J@0Yhe?N@@1? J@@? ?I'@@?e@@6XeW2@@@@@?@?eW@,? @?@? B)X??31?h@1 ?7@?hN@ 75 ?I40M?

N@L?hf?W&U 3@@L 7@@? N@g@)KO&@@@X?g7(Y? @? ?3)K?S5?h@@ ?@5?h?@ @H @?f

?@ ?@e@?e?@1?hf?7@1?@@Lhf?@@@ N@@1?@@5 ?J@0Y?@@5? ?3)Kf@@@@@0MI46K??/KC(Ye?@?@?V4@@?he?B@6KV@(Y? @? @?@? ?V4@@0Y?h3@L?e@?hf?@H?h?3L?N@1? J@he?N1? ?J@??7@? ?@e@??@f@?e?@?@he@?@? @??@he?@e@?e?@f?@h

@? ?3@1hf?@?@?N@@hf?@@5 ?3@Y?V'@@@ ?W&5W&<? @@@@@H?I@? @?@? ?3@??N@? ?W&@hf@??7@@hf@L J@5?@@H? @?f@?@? @?f

@@f?@f?@@@(Y N@?@L? W&@H ?@ @? @? @? ?@?@hf@1 V@

3@L?h?@@@H?he@?f?3T@1? 7@@?he?@ @? @?hf3L ?3@5g@?f@@L?he?@@@ ?@

N@1?hJ@@5 ?V'U@? @? @? N1 ?N@Hhf3@1?he?@@@ ?@

?@@Lh7@@H N@@Lhf@@5? @? ?@ @?@LhfN@@?he?@@@

@? @?hf?@@)X??@f@?@??@?'1?g3X@? ?3@1he?J@(Y??V'@he?7(Y ?@ ?@ ?@ @? @?@? ?@?@L?he?J5?@Hg@?f?3@?he?3@?@?@@hf?@@?he?@@5 ?@ @?f

@? ?N@?gV@5?@?@Lf?@@@H? N@@@g?@X@H??@@@L?f?@@@ @? ?@1?heW&H?@?hf?N@Lhf@,?@@?he75?J5? 31heW&(Y @?f

@? @W@1?@e?@@53@R'9?O2@@(Y @?h?3X@)K?O2@@@@@?V4@@@@@Y@(M ?@ ?@ ?@ @? @?@? ?3@Lhe(Y?7H?@1hf?@ N@L?h7@H??@1?g?J@@ ?@ @?

N@?V4@@0Y@H? ?I@?4@@0Y? @? ?@@@hf?@ ?@5?gW&@5 @?f

?@L?fJ5 @? ?@h?@eJ5 ?@Y?g7@@H

@? ?3)Xe?W&Hh@??N@,e?7@? @? @?@? ?@L?g?@e7H?31?gJ@e@? ?3@@@?f@@5?g@?e?@e@?e?@?@f@??@?@@?@?@?e?@e@?@??@f@?@??@?@e@?h@??N@@H?f@@H? @?he?@g@?hf@??@?@e@?e?@e@??@e@??@e@??@g

3UeC@@? @? ?N@Lg75?J5? 3@eO2@?@5

V4@@(M @? @)X?e?J@HW&H? V'@@@Ye(Y

@? I(Y? ?@@? ?@ ?@@? @? @?@? ?@ @@1?e?75?75he@?h?V4@@@6X

?@ @? @@@?eJ(Y?@H ?I4) ?@ ?@ ?@g

@? @V'Le7He@?@LN)KC5?e@?

@? ?@ ?@ ?@ ?@ ?@ @? @?@? 31?@@0Y?N@gW& @? ?@ @?f

@? ?@L?f7@

@? @? ?31?f@5

@? ?@ @? @? ?@ ?@ ?@ ?@ @?@? @? ?V'Le?C(Yhf@?N)X?@@H? ?@g

?3)X@@

@? ?@e@?hf?@e?@h?@he@?e?@ @?hf?@he@?f?@e@?@?e?@ ?V4@@@ ?@g

@?e?@f@?g@?@??@?@e@?e?@e@?@?e?@he@??@?@

@? @?

@? ?@g

@? ?@ @? ?@ ?@ @? @? @?

@? @?@? ?@ ?@ ?@ @? ?@g

@? @? ?@ ?@ ?@ @? @? /X @?

@? ?@ @?@? V/ @? ?@ @? ?@g

@? ?@g

@? @? ?@ ?@ ?@ ?@ ?@ @? ?@ @?

@? ?@g

@?

?@ @?@? ?@g?@e@?@?g@?f?@f@??@?@?@e@?e?@?@e@??@f@?e?@?@g?@e@?@? ?@ ?@g

@? ?@he@?h@?g?@f?@e@?'@g

?@ ?@e@? V'g

@? ?@ ?@@? ?@ ?@ @? ?3L?@??V/? @? @? @? ?@g

@? ?@ ?@

?@ ?)X? ?@

?@@? ?@@? @@ @?@? ?@)? ?@ @?@? @? @?@? @? @? @? @? ?@g

@? ?/X?@?@? ?@g

@? ?@ @? ?@ ?@ ?@ ?V/?@? @? ?@ ?@g

@K ?/X? @?

@@@@@?/X?@?@?@e@??@?@@?@?@?@?@?@??@?@?@?@6Xe/X?/X??@?@?/T.?@?@@?@?@@@?@?/X?@?@e@??@e?@?@?/X?@??/X??@e@?@?@?@?@?/X?@e@??@?@?@?@?@e@?@?@??@?@?@?@?@@?@?@@?@?/X??@?@?@e/Xe/Xe?@e@?@?@?@?@?@??@e?V/?'@6K ?O@K O@K?f

?I@?V/ I/eV/?V/?f?V+Y V/he?@f?V/?e?V/? V/ @?f?V/?hV/eV/ @?hV4@@@@@@@@@@@@@@@@@@@@@@@@@@@@@@@@@@@@@@@@@@@@@@@@@@@@@@@@@@@@@@@@@@@@@@@@@@@@@@@@@@@@@@@@@@@@@@@@@@@@@@@@@@?@@@@@@@@@@@@@@@@@@@@@@@@@@@@@@@@@@@@@@@@@@@@@@@@@@@@@@@@@@@@@@@@@@@@@@@@@@@@@@@@@@@@@@@@@@@@@@@@@f?I@MheI@MI@MI@?@M?I40MI@MI@Mg?I@?@Mh

Trial Trace N1 P1 N2 P2 L SSEP low 13.4 21.4 29.3 R SSEP low 13.4 21.7 30.6

Fig. 6. Reproduced SEP waves and latencies of the uninjured mental nerve presenting a typical normal response.

(5)

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correlation coefficient r=0.311, r=0.361, p>0.05), 수상후 검사시기까지의 경과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p>0.05) (Table 3, Fig. 5).

4. 체성감각 유발전위(SEP) 검사의 치료전후 변화

Fig. 8은 제3대구치 발거후 우측 하순부의 지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피검자(Case 9)의 술전, 술후 SEP검사결과로서 술전에

Trial Trace N1 P1 N2 P2 L SSEP low 12.18

R SSEP low 14.37

Fig. 7. A mental nerve SEPs presenting delayed N1 latency in the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right).

Fig. 8. Changes in the mental nerve SEPs of an example(Case #9); pre-operative(above), post-operative(below) SEPs.

(6)

예후 평가, 필요시 치료방법의 선택 등을 위해서 임상에서는 감 각과 신경기능에 대한 주관적 증상의 객관화를 위해 표준화된 이학적 지각검사(clinical neurosensory tests; Zuniga 등, 1992)17)등 이 권장되어진다. 신경손상후 단순히 감각저하를 호소하는 경우 와 이상감각을 가진 경우 치료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주증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지각이상 진단의 첫단계이며 임상적으로 는 시진 및 촉진등에 의해 수술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Tinels 증 후 등으로 신경손상 정도와 축삭재생을 예측해 볼 수 있다. 그러 나 이러한 촉진에 의한 동통유발반응(trigger response)은 하치조 신경 손상과 같은 골내 손상의 경우 직접적인 확인이 어렵다.

이학적 지각검사는 크게 기계적 자극 수용체(mechanoreceptor) 와 유해자극 수용체(nociceptor)에 대한 검사로 구성된다. Ghali 등18)은 신경섬유 중 주로 굵은 섬유군인 A-α섬유는 촉각과 움직 임 등을 전달하며 이러한 기계적 자극수용체는 정지성 경촉감인 지자극, 방향식별도, 2점식별능 등의 검사로 확인해 볼 수 있다.

동통과 온도감각의 전달은 A-δ와 C섬유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해 자극인지도, 온냉감각구별을 이용 유해자극 수용체에 대해 평가 해 볼 수 있다고 하였다.

Zuniga와 Essick17)에 따르면 이학적 지각검사는 단계적으로 방 향식별도와 2점식별능을 평가하고,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을 평 가한 후, 유해자극인지도를 평가하는 순차적 평가방법을 제시했 다. 이 방법은 신경 손상의 정도를 각 평가단계의 결과에 따라 구 분 지울 수 있는 데 방향식별도와 2점식별능에 의한 평가결과는 말단부 신경분포 밀도와 수용역(receptor field size)의 크기를 반 영해 신경내, 외주막등의 결합조직의 손상정도를 평가할 수 있 다.

이 단계에서 비정상반응을 나타내는 환자는 Semmes-Weinstein filament에 의한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을 이용한 검사를 시행하 는 데, 본 연구에서는 부드러운 두발과 굵기가 다른 polyacrylic monofilament를 이용하였으며, 비정상 반응의 경우 중등도의 손 상으로 간주하고 마지막으로 유해 자극인지도를 검사하였다. 유 해자극 수용체의 반응은 신경재생시 가장 먼저 회복되는 기능이 므로 비정상적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 고도의 손상이나 저감각 또는 무감각증을 의미한다11).

본 연구에서 체성감각 유발전위(SEP) 검사는 보다 객관적이며 손상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1960년대 팔다리에 서 시도된 이후 1970년 Larsson과 Prevec에 의해 처음으로 삼차신 경에 이용되었다19-22). 삼차신경의 체성감각 유발전위는

P23, N34를 보고하므로써 다양한 응용과 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측의 경우 약 14msec, 21msec에서 두 개의 파 형이 관찰되었다(Fig. 6). 이러한 파형의 차이는 자극 및 기록방법 의 차이등 적용방법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때 각 잠 시의 지연정도와 진폭의 변화가 임상에서 신경평가에 이용되는 항목이지만, Fagade 등25)과 Barker 등29)은 진폭(amplitude)은 개인 차 및 동일인에서의 전위 채득시마다 변이가커서 실제 임상에서 는 진폭보다는 잠시의 변화를 이용한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분석 이 주로 이용하였다. 또한 Findler 등20)에 의해 좌우 동일 신경의 분지에 대한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결과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Pogrel31)과 Vriens 등32) 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편측 하순에서의 연구결과에서 반대측 의 동일분지와 비교될 수 있고 편측 신경손상의 경우 각기 그 자 신의 대조군으로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SEP의 잠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는 기록부위, 자극강도,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데 기록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25)자극강도와 잠시의 변화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28,29). 연령과의 관계에서 는 Aminoff 등33)과 Garrel 등34)은 연령 증가시 잠시(latency)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으나, Findler 등25)과 Barker 등29)은 나이와 무관 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여성에서 2msec정도 짧 은 잠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25,28).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SEP검사 결과보고 이외에도 손상된 하 치조신경이나, 미세신경수술을 통해 하치조신경 복원후 치료효 과의 평가에 SEP검사를 적용한 경우 손상측과 건측의 비교시 잠 시의 의미있는 증가를 나타냈다는 Barker25), Ghali35), Nakagawa36), Jones27), Vriens32)등의 연구가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환측에서 건 강측에 비해 평균 2.22±2.46msec의 잠시 증가를 나타냈으며(Fig.

7) 이러한 잠시의 증가를 이학적 지각검사의 결과와 비교시 통계 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정지성 경촉감인 지자극과 방향식별도의 신경검사에서도 신경의 지각저하 정도 에 따라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냈고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 방향식별도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써 SEP검사는 비교적 큰 직경의 섬유군(large afferent fiber)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유해자극인지도 및 동통성 감각이상의 유무에 따른 지연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으며, 손상후 경과기간이나 나이 등은 SEP검사의 잠시 증가 와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턱끝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SEP)검사는 하치

(7)

조신경 손상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으며 치료효과의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SEP검사는 경도의 신경손상 이나 손상후 장기간 경과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비정상적으로 신 경재생이 일어난 경우에 지각이상이 존재하더라도 비교적 정상 에 근접한 체성유발전위의 파형을 얻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하 므로 신경손상후 각시기에 따라 SEP잠시의 지연정도를 비교하 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자극 및 기록방법의 표준화, 채득시 발생하는 기록 오류를 제거하고 진폭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한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편측성 하치조신경 손상으로 하순 및 치은의 지각마비와 동통 을 동반하여 신경생리학적 검사와 미세신경 재건술을 시행한 19 명을 대상으로 턱끝신경(mental nerve)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 와 이학적 지각검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1. 편측성 하치조신경 손상시 턱끝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SEP) 검사는 건강측과 비교시 이환측에서 평균 2.22±2.46 msec의 N1잠시(latency) 지연을 나타냈다.

2. 이학적 지각이상검사의 총합(sensory dysfunction score)은 건 강측과 이환측의 턱끝신경 SEP 검사의 N1 잠시 지연의 차이 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01)

3.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 방향식별도는 턱끝신경 SEP 검사의 N1잠시 지연의 차이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p<0.05), 지각이상점수, 정지성 경촉감인지자극, 방향식별도 의 순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SEP검사는 유해자극 인지도, 동통성 지각이상의 유무와 이환기간과는 무관한 것 으로 나타났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턱끝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는 편측성 하치조신경 손상의 유무와 미세수술적 신경재건의 필요도 및 술 전후의 경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검사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1. Schwartz LJ.; “Lingualanesthesia following mandibular odontecto- my”,J. Oral Surg 31:918-920, 1973.

2. Walter JM Jr. Gregg JM.; “Analysis of post surgical neurologic alter- ation in the trigeminal nerve.”J. Oral Surg 37:410-414, 1979.

3. Martis C. ; “ Complication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osteotomy.”J.Oral Maxillofac Surg 42:101-107, 1979.

4. Zaytoun HS Jr. Phillips C. Terry BC.; “Long-term neurosensory deficits following transoral vertical ramus and sagittal split osteotomies for mandibular prognathism.”J. Oral Maxillofac. Surg 44:193-196, 1986.

5. Merril RG.; “Prevention, treatment, and prognosis for nerve injury related to the difficult impaction.”Dent. Clin North 23:471-488, 1979.

6. Kipp DP. Goldstein BH. Weiss WN Jr; “Dysesthesia after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 a retrospective study & analysis of 1377 surgi-

cal procedures.” J. Am. Dent. Assoc 100:185-192, 1980.

7. Goldberg MH. Nemarich AN. Marco WP; “Complications after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A statistical analysis of 500 consecu- tive procedures in private practice.”J. Am. Dent. Assoc 111:277-279, 1985.

8. Osborn TP. Fredrickson G. Small IA. Torgerson TS; “A prospective study of complications related to mandibular third molar surgery.”

J. Oral Maxillofac Surg

43:767-769, 1985.

9. Alling III CC; “Dysesthesia of the lingual & inferior alveolar nerves following third molar surgery.”J. Oral Maxillofac Surg 44:454-457, 1986.

10. Wofford DT. Miller RI; “Prospective study of dysesthesia following odontectomy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J. Oral

Maxillofac Surg

45:15-19, 1987.

11. 김명래; 하악구치부 수술후 하순지각마비의 진단적 평가와 치료.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8(12):107-114, 1990.

12. Donoff RB. Guralnick W; “The application of microsurgery to oral neurologic problems.”J. Oral Maxillofac Surg 40:156-159, 1982.

13. Wessberg GA. Wolford LM. Epker BN; “Experiences with microsur- gical reconstruct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J. Oral Maxillofac

Surg

40:651-655, 1982.

14. Mozsary PG. Middleton PA;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lin- gual nerve.” J. Oral Maxillofac Surg 42:415-420, 1984.

15. Campbell RL. Shamaskin RG. Harkins SW; “Assessment of recovery from injury to inferior alveolar and mental nerves.”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64:519-526, 1987.

16. Robinson PP; “Observations on the recovery of sensation following inferior nerve injuries.”Br. J. Oral Maxillofac Surg 26:177-189, 1988.

17. Zuniga JR. Essick GK; “A contemporary approach to the clinical evaluation of trigeminal nerve 1992.

18. Ghali GE. Epker BN; “Clinical neurosensory testing: practical appli- cations.” J. Oral Maxillofac Surg 47:1074-1078, 1989.

19. Buettner UW. Petuch F. Scheglmann K. Stohr M. 1982. “Diagnostic significance of cortic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following trigeminal nerve stimulation.”Advances in Neurology 32:339, 1982.

20. Findler G. Feinsod M. Sahar AA; “Trigeminal neurinoma with unusual presentation ; report of a case with trigeminal somatosenso- ry evoked responses.”Surg Neurol 19:351, 1983.

21. Kountouris D. Fritz D. Fritz J. Blumm R. Greulich W. Gehlen W;

“Blink reflex & trigeminal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 essentials in vascular brainstem diseases.”Monogr Neural Sci 11:222, 1984.

22. Stohr M. Petrdch F. Scheglmann K; “Somatosensory evoked poten- tials following trigeminal nerve stimulation in Trigeminal neuralgia.”

Ann Neural

9:63, 1981.

23. Wastell DG. Bennett AJ. Barker GR; “Early experiences using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o assess sensory deficit.”Electroenceph clin Neurophysiol 63:79, 1985.

24. Bennet AJ. Wastell DJ. Barker GR. Blackburn CW. Rood JP;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Int J. Oral Maxillofac

Surg

16:408, 1987.

25. Barker GR. Bennet AJ. Wastell DJ; “Applications of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TSEPs) in oral & maxillofacial surgery.”Br J. Oral Maxillofac Surg 25:308-313, 1987.

26. Godfrey RM. Mitchell KW;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o electrical stimulation of mental nerve.”Br J. Oral Maxillofac Surg 25:300-307, 1987.

27. Jones DL. Wolford LM; “Intraoperative recording of trigeminal evoked potentials during orthognathic surgery.”Int. J Adult Orthod

Orthognath Surg

5:167-174, 1990.

28. Bennet MH. Janetta PJ; “Trigeminal evoked potential in Human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48:517-526, 1980.

29. Fagade OO. Wastell DG;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 tial :technical parameters, reliability & potential in clinical dentistry.”

J. Dent 18:137-141, 1990.

30. Singh N. Sachdev KK. Brisman R; “Trigeminal nerve stimulation:

short latency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Neurology 32:97- 101, 1982.

(8)

수치

Fig. 1. Polyacrylic  monofilament  used  in  clinical  neurosensory tests and static light touch discrimination.
Fig. 6. Reproduced SEP waves and  latencies of the uninjured mental nerve presenting a typical normal response.
Fig. 7. A mental nerve SEPs presenting delayed N1 latency in the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right).

참조

관련 문서

Sacculus 둥근주머니 : The otolith organ that detects linear accelerations and head tilts in the vertical plane.. Utricle 타원주머니: The otolith organ that senses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merican psychi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4)the spiral ganglion (5)the auditory nerve fibres.. The Basilar Membrane is a Mechanical Analyzer of Sound Frequency The Basilar Membrane is a Mechanical Analyzer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ion pattern of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