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농업브리프 (2022.1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중국농업브리프 (2022.12)"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가격 동향

도매시장가격 / 01 소비자물가 / 03

무역 동향

농식품 수출입 / 04 식량 수출입 / 14

한중 농식품 수출입 / 18

12

(2)

가격 동향

도매시장가격 1)

l

2022년 11월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는 125.3로 지난 10월 대비 2.5% 하락, 전년 동월 대비 3.5% 하락

채람자(

菜篮⼦

) 농산물: 전월 대비 2.9% 하락, 전년 동월 대비 4.8% 하락

식량 및 식용유: 전월과 일치, 전년 동월 대비 5.7% 상승

<그림 1> 중국의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지수 추이

< 농산물 도매가격 200지수 > < 채람자 농산물 가격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

< 식량 및 식용유 가격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

주: '농산물 도매시장가격200지수'는 2015년=100 자료: 中国农业信息网(http://www.agri.gov.cn)

l

농산물 품목별 10월 대비 가격이 상승한 주요 품목은 딸기(28.7%), 오이(16.8%), 수박(8.9%), 복숭아(8.0%), 감자(1.8%)임

주요 가격 하락 품목은 배추(-29.9%), 양배추(-29.8%), 느타리버섯(-27.8%), 무(-25.3%), 쪽파(-23.9), 감 (-22.5%), 대파(-20.6)

1) 중국은 2017년 1월부터 2000년도 기준의 농산물 도매가격지수 발표를 중단하고 2015년도 기준의 ‘농산물도매가격200지수’를 새롭 게 발표함. ‘농산물도매가격200지수’는 총 111개 품목(채소 32개, 과일 11개, 축산물 7개, 수산물 49개, 식량 7개, 유지작물 5개)을 대상으로 전국의 대표적인 농산물 도매시장 200개의 가격에 기초하여 작성함.

(3)

<표 1> 주요 품목별 도매시장가격 추이(2022년 7월 ~ 11월)

단위: 원, %

품목

2022년 11월 증감률

7월 8월 9월 10월 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식량 중단립종쌀(20kg) 20,364 20,466 20,887 20,717 19,461 -6.06 5.19

콩(1kg) 1,551 1,482 1,480 1,584 1,522 -3.88 9.18

엽근 채소

배추(10kg) 3,167 3,495 4,336 3,671 2,575 -29.87 -44.67

무(18kg) 6,820 6,920 8,522 7,572 5,657 -25.30 -33.00

양배추(8kg) 2,907 3,029 3,533 3,302 2,317 -29.83 -58.56

당근(20kg) 10,687 10,563 10,463 10,359 9,806 -5.33 -16.56

감자(20kg) 9,560 10,019 10,145 10,597 10,791 1.83 21.77

양념 채소

건고추(600g) 3,948 3,953 4,229 4,259 4,106 -3.59 -1.82

양파(kg) 459 468 481 496 451 -9.18 -8.63

마늘(kg) 1,170 1,237 1,321 1,336 1,221 -8.57 -18.78

대파(kg) 888 1,017 1,162 1,062 842 -20.65 -28.10

쪽파(kg) 1,220 1,439 1,709 1,530 1,164 -23.90 -29.20

과일

사과(부사, 15kg) 24,162 24,582 25,392 24,765 24,109 -2.65 30.77 배(풍수, 15kg) 20,694 21,611 21,961 21,759 19,196 -11.78 18.82

복숭아(kg) 1,481 1,276 1,273 1,437 1,552 8.05 30.64

포도(거봉, 5kg) 12,106 11,242 10,553 10,567 10,403 -1.56 35.71

감귤(만다린, kg) 1,191 1,182 1,112 1,127 1,047 -7.12 25.49

감(10kg) 11,853 12,660 12,074 12,462 9,655 -22.53 0.93

과채

딸기(2kg) 7,563 7,786 7,861 7,882 10,147 28.74 -22.95

토마토(10kg) 6,781 6,660 8,434 10,656 9,049 -15.08 -5.77

오이(kg) 845 969 837 770 899 16.79 -32.82

수박(kg) 616 610 670 702 765 8.87 -21.27

축산물

쇠고기(kg) 14,944 14,873 15,343 15,411 14,673 -4.79 2.78

돼지고기(kg) 5,660 5,654 6,141 6,787 6,431 -5.24 44.72

닭고기(kg) 3,538 3,645 3,779 3,810 3,622 -4.95 15.39

버섯

느타리버섯(2kg) 3,381 3,779 3,819 3,112 2,245 -27.84 -14.95

새송이버섯(2kg) 2,880 3,029 3,409 3,457 3,135 -9.31 2.12

팽이버섯(2kg) 2,495 2,854 3,437 2,992 2,567 -14.22 -3.43

표고버섯(2kg) 4,722 4,920 5,092 4,949 4,521 -8.66 6.12

임산물 밤(kg) 2,404 2,278 2,447 2,306 2,217 -3.86 8.71

대추(kg) 2,920 3,169 2,833 2,352 2,147 -8.71 -6.38

주: 전국 도매시장 평균가격

자료: 中国农业信息网(http://www.agri.gov.cn)

(4)

소비자물가

l

2022년 11월 소비자물가는 10월 대비 0.2% 하락, 전년 동월 대비 1.6% 상승

이 중 식품가격은 전월 대비 0.8% 하락,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

11월 식품가격 상승은 육류와 조란이 주도(각각 17.6%, 9.9% 상승). 신선채소 가격은 21.2% 하락

<그림 2>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변화 추이

자료: 中国国家统计局(http://www.stats.gov.cn)

<표 2>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감률

구분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22.8 ‘22.9 ‘22.10 ‘22.11 ‘22.8 ‘22.9 ‘22.10 ‘22.11

소비자물가지수(CPI) -0.1 0.3 0.1 -0.2 2.5 2.8 2.1 1.6

∘ 식품・담배 및 주류 0.4 1.3 0.2 -0.5 4.5 6.3 5.2 3.0

식품 0.5 1.9 0.1 -0.8 6.1 8.8 7.0 3.7

- 식량 0.0 0.2 0.2 0.2 3.3 3.6 3.6 3.0

- 육류 0.6 3.0 5.2 0.1 10.1 16.0 23.6 17.6

- 조란(鸟卵) 3.1 5.4 2.2 1.3 1.7 7.3 11.8 9.9

- 수산물 0.0 0.8 -2.3 -1.1 -0.5 2.8 2.8 3.4

- 신선채소 2.0 6.8 -4.5 -8.3 6.0 12.1 -8.1 -21.2

- 신선과일 -1.0 1.3 -1.6 1.5 16.3 17.8 12.6 9.6

∘ 의류 및 복장 -0.2 0.8 0.3 0.3 0.6 0.5 0.5 0.5

∘ 생활용품 및 관련 서비스 0.0 0.0 0.3 -0.3 1.3 1.4 1.4 1.5

∘ 의료보건 0.1 0.0 0.0 0.0 0.7 0.7 0.5 0.5

∘ 교통 및 통신 -1.7 -0.6 -0.4 0.1 4.9 4.5 3.1 2.9

∘ 교육・문화 및 오락 0.1 0.4 0.2 -0.4 1.6 1.2 1.2 1.3

∘ 주택(거주) 0.0 -0.1 -0.1 0.0 0.6 0.3 -0.2 -0.2

∘ 기타용품 및 관련 서비스 0.3 -0.3 0.4 -0.1 2.2 1.6 1.9 2.3

주: 육류는 가금육을 포함하지 않음(2016년 1월부터 CPI 구성 항목 조정).

자료: 中国国家统计局(http://www.stats.gov.cn)

(5)

무역 동향

농식품 수출입

l

2022년 11월 중국의 농식품 수입액은 181.4억 달러로 전월 대비 23.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6.0% 증가

(농산물) 수입액은 133.0억 달러(73.3%) 전월 대비 32.5%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

* 수입액 상위 5개 품목류: 두류(38.4%), 식물성유지(12.9%), 곡류(9.8%), 과실류(6.6%), 채유종실(4.5%) → CR5 72.2%

(임산물) 수입액은 3.4억 달러(1.9%)로 전월 대비 28.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9.1% 감소

* 수입액 상위 3개 품목류: 과실견과류(92.2%), 임산물 기타(6.3%), 락과 수지류(1.0%) → CR3 99.5%

(축산물) 수입액은 45.0억 달러(24.8%)로 전월 대비 2.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7.5% 증가

* 수입액 상위 5개 품목류: 포유가축 육류(55.5%), 낙농품(22.9%), 가금육류(7.4%), 모‧수모류(4.1%), 딘백질류(2.8%)→ CR5 92.8%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두류(28.2%), 포유가축 육류(13.8%), 식물성유지(9.5%), 곡류(7.2%), 낙농품(5.7%), 과 실류(4.8%), 채유종실(3.3%), 식물성 섬유(3.3%), 주류(2.7%), 기타조제농산품(2.5%) → CR

10

80.9%

(수입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대두(27.2%), 쇠고기(9.0%), 팜유(5.3%), 돼지고기(3.9%), 면(2.9%), 밀 (2.3%), 조제분유(2.2%), 혼합조제식료품(2.1%), 유채(2.1%), 닭고기(1.8%) → CR

10

58.7%

<표 3> 중국의 농식품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총액 14,685 (100.0) 18,136 (100.0) 191,217 (100.0) 23.5 6.0 3.7 - 가공 5,935 (100.0) 6,639 (100.0) 62,478 (100.0) 11.9 8.7 1.8 - 신선 8,749 (100.0) 11,497 (100.0) 128,739 (100.0) 31.4 4.6 4.6

농산물 10,041 (68.4) 13,303 (73.3) 141,743 (74.1) 32.5 7.6 6.6

- 가공 4,497 (75.8) 5,148 (77.5) 44,878 (71.8) 14.5 16.1 2.7

- 신선 5,544 (63.4) 8,155 (70.9) 96,865 (75.2) 47.1 2.8 8.5

임산물 262 (1.8) 336 (1.9) 1,953 (1.0) 28.2 -39.1 -24.2

- 가공 31 (0.5) 26 (0.4) 318 (0.5) -17.2 -26.1 -4.8

- 신선 231 (2.6) 311 (2.7) 1,634 (1.3) 34.3 -40.0 -27.1

축산물 4,381 (29.8) 4,497 (24.8) 47,521 (24.9) 2.6 7.5 -2.8

- 가공 1,408 (23.7) 1,465 (22.1) 17,282 (27.7) 4.1 -10.7 -0.3 - 신선 2,974 (34.0) 3,032 (26.4) 30,239 (23.5) 1.9 19.2 -4.2 주: 농식품의 범위는 수산물을 제외한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이며, 중국 해관의 수출입상품 HS코드 분류상 HS 8단위 세번 1,158개 품목(2022

년도 기준)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림축산식품 품목별 코드(AG코드) 분류를 참고해 중국 기준 HS 8단위 1,158개 품목을 농산 물 39개 품목류, 축산물 22개 품목류, 임산물 8개 품목류로 분류함.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6)

<그림 3> 중국의 연도별·월별 농식품 수입액 추이(2020.1∼2022.11)

단위: 백만 달러

농식품 전체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그림 4> 중국의 수입액 상위 30개 농식품 품목류 및 세부 품목(2022년 11월)

수입액 상위 30개 품목류(CR30=97.9%) 수입액 상위 30개 세부 품목(CR30=79.0%)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022년 2021년

2020년

(7)

<그림 5> 중국의 농식품 수입 대상국 순위(2022년 11월)

수입액 상위 30위 수입대상국(농식품 전체, CR30=94.9%)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농산물, CR20=91.0%)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임산물, CR20=97.8%) 수입액 상위 20위 수입대상국(축산물, CR20=97.1%)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8)

<표 4> 중국의 농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곡류 1,311.0 1,298.0 18,441.7 -1.0 -2.8 -0.2

2 서류 85.2 88.8 2,041.7 4.2 13.0 29.4

3 두류 3,018.9 5,107.2 55,929.9 69.2 -2.4 13.3

4 전분 149.4 215.7 2,072.4 44.4 14.0 28.7

5 채유종실 281.4 598.8 4,046.1 112.8 92.5 -2.9

6 과실류 663.7 876.5 14,417.6 32.1 11.4 6.2

7 기타곡실류 20.4 29.3 451.1 43.3 -17.2 9.3

8 채소류 78.4 77.0 830.3 -1.8 -17.0 -12.6

9 화훼류 21.8 28.7 196.1 31.5 -11.3 5.9

10 버섯류(농산물) 0.4 0.4 6.9 19.1 -68.2 -22.0

11 기타 산식물 0.4 0.5 6.4 24.2 -11.1 -17.2

12 식물성유지 1,310.8 1,719.3 11,085.6 31.2 61.0 -13.1

13 유지가공품 141.4 131.7 1,410.7 -6.9 11.2 46.9

14 농산물 납류 0.6 0.6 21.4 -11.4 -60.5 8.7

15 식물성 액즙 21.6 24.9 323.4 15.6 -12.0 2.9

16 박류 267.1 251.7 2,682.2 -5.8 1.9 20.8

17 사료 220.3 204.0 1,969.6 -7.4 3.9 18.6

18 기타 식물성 물질 44.6 61.2 568.9 37.2 7.6 8.6

19 기타농산부산물 0.9 1.7 11.5 92.4 -22.3 -3.1

20 빵류제조용 1.7 3.6 39.7 104.3 -56.8 -35.0

21 효모류 1.7 2.4 18.6 38.2 22.1 -13.8

22 소오스류 16.3 18.1 180.3 11.2 -18.8 -11.2

23 향신료 4.0 5.1 50.2 27.8 -42.4 9.4

24 지방성물질 61.0 61.4 909.7 0.8 -14.6 67.4

25 식물성재료 2.1 0.8 52.4 -62.9 -79.2 -23.6

26 커피류 105.1 95.0 1,017.1 -9.6 20.9 31.5

27 코코아류 106.6 116.1 831.2 8.9 -15.9 -8.8

28 차류 12.0 14.2 132.1 18.0 -7.5 -21.2

29 연초류 161.3 54.6 1,495.1 -66.1 -68.6 15.0

30 인삼류 11.3 9.9 96.6 -12.0 64.2 17.9

31 한약재(농산물) 51.0 39.8 400.7 -21.9 62.2 -2.9

32 주류 411.9 497.9 4,090.2 20.9 -13.3 -17.7

33 당류 250.4 353.6 2,328.4 41.2 19.6 10.0

34 음료 73.6 73.0 866.2 -0.8 -14.4 -14.5

35 과자류 116.2 143.7 1,428.7 23.7 -20.0 -1.7

36 면류 29.4 39.8 322.2 35.2 15.6 7.4

37 기타조제 농산품 532.8 450.9 5,334.2 -15.4 -17.8 6.2

38 잠사류 5.2 8.2 57.4 57.3 160.9 -5.0

39 식물성 섬유 448.9 598.7 5,579.0 33.4 112.2 21.9

합계 10,040.7 13,302.9 141,743.5 32.5 7.6 6.6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9)

<표 5> 중국의 축산물·임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포유가축류 89.5 72.1 776.1 -19.4 323.9 -2.6

2 가금류 0.0 0.0 16.9 n.a. -100.0 -55.9

3 기타포유류 0.5 0.3 8.7 -33.2 -53.1 22.1

4 조류 기타 0.2 0.0 6.7 -100.0 n.a. 44.5

5 파충류(reptilia) 0.0 0.0 0.1 -40.6 n.a. -56.7

6 양서류(Amphibian) 0.0 0.0 0.0 n.a. n.a. n.a.

7 곤충류 0.0 0.0 0.1 77.5 49.2 7.3

8 기타 산동물 0.0 0.0 0.0 -35.0 14.7 53.9

9 포유 가축 육류 2,417.6 2,495.7 24,318.9 3.2 26.5 -6.4

10 가금육류 355.8 334.6 3,780.4 -6.0 -10.4 19.7

11 기타 육류 69.5 73.5 807.5 5.7 31.3 44.4

12 동물성 유지 11.4 7.9 101.6 -30.6 -24.7 -14.6

13 동물성 납 0.2 0.1 1.1 -38.3 -78.7 -51.0

14 골류 3.2 3.2 25.8 -0.7 26.7 -15.8

15 한약재(축산물) 0.1 0.0 52.1 -100.0 -100.0 -4.9

16 기타 축산물 부산물 1,013.1 1,030.3 12,356.0 1.7 -12.7 -0.9

17 낙농품 40.8 55.3 471.9 35.8 -53.3 -50.5

18 난류 0.0 0.0 0.0 n.a. 29,135.7 34,385.7

19 단백질류 99.7 124.7 1,055.8 25.1 39.1 26.6

20 모.수모류 169.1 186.0 2,453.7 10.0 -10.5 0.6

21 원피류 109.6 110.0 1,252.8 0.3 -24.8 -4.3

22 생모피류 1.2 3.2 34.8 173.0 -7.4 -72.2

합계 4,381.4 4,497.0 47,521.0 2.6 7.5 -2.8

1 수목류 0.7 0.7 9.5 -9.1 51.7 -27.6

2 산채류 0.2 0.0 1.2 -100.0 -100.0 -33.7

3 버섯류(임산물) 0.1 0.0 0.1 -100.0 -100.0 -82.8

4 과실·견과류 230.4 310.0 1,623.5 34.6 -40.0 -27.1

5 락과 수지류 3.6 3.5 38.4 -3.2 -16.3 -15.1

6 죽재류 0.0 0.0 0.3 -47.9 -76.3 -66.4

7 등나무류 0.9 1.0 15.1 18.2 -39.7 21.7

8 임산물 기타 26.5 21.2 264.5 -20.2 -26.6 -4.1

합계 262.4 336.4 1,952.7 28.2 -39.1 -24.2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0)

l

2022년 11월 중국의 농식품 수출액은 60.4억 달러로 전월 대비 10.1%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2% 감소

(농산물) 수출액은 51.9억 달러(85.8%)로 전월 대비 10.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9% 증가

* 수출액 상위 5개 품목류: 채소류(22.0%), 과실류(12.9%), 기타조제농산품(7.0%), 버섯류(농산물)(5.0%), 사료(4.6%) → CR5 51.6%

(임산물) 수출액은 3.0억 달러(4.9%)로 전월 대비 19.3%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9.8% 감소

* 수출액 상위 3개 품목류: 과실견과류(53.8%), 임산물 기타(20.7%), 버섯류(임산물)(13.5%) → CR3 88.0%

(축산물) 수출액은 5.6억 달러(9.3%)로 전월 대비 0.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6.7% 감소

* 수출액 상위 5개 품목류: 가금육류(31.0%), 기타 육류(19.7%), 단백질류(14.8%), 포유가축류(8.7%), 포유가축 육류(7.2%) → CR5 81.4%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채소류(18.9%), 과실류(11.0%), 기타조제농산품(6.0%), 버섯류(농산물)(4.3%), 사료 (4.0%), 소오스류(3.9%), 과자류(3.6%), 채유종실(3.3%), 차류(2.9%), 식물성 액즙(2.9%) → CR

10

60.9%

(수출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혼합조제식료품(4.8%), 기타 소오스제품(3.6%), 마늘(3.6%), 기타버섯(3.4%), 채소혼합물(3.2%), 사과(2.7%), 기타식물성액즙(2.5%), 닭고기(2.2%), 사료첨가제(2.2%), 기타 채소(2.2%) → CR

10

30.4%

<표 6> 중국의 농식품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총액 5,491 (100.0) 6,044 (100.0) 60,452 (100.0) 10.1 -2.2 9.3

- 가공 2,343 (100.0) 2,569 (100.0) 28,271 (100.0) 9.6 -1.0 18.9 - 신선 3,147 (100.0) 3,475 (100.0) 32,181 (100.0) 10.4 -3.1 2.1

농산물 4,685 (85.3) 5,186 (85.8) 51,316 (84.9) 10.7 1.9 12.0

- 가공 2,162 (92.3) 2,373 (92.4) 25,677 (90.8) 9.8 0.4 19.6

- 신선 2,523 (80.2) 2,813 (80.9) 25,639 (79.7) 11.5 3.2 5.3

임산물 248 (4.5) 296 (4.9) 2,926 (4.8) 19.3 -39.8 -22.7

- 가공 61 (2.6) 69 (2.7) 1,009 (3.6) 13.1 -22.8 19.4

- 신선 187 (5.9) 227 (6.5) 1,917 (6.0) 21.4 -43.6 -34.8

축산물 558 (10.2) 562 (9.3) 6,210 (10.3) 0.7 -6.7 9.1

- 가공 121 (5.1) 127 (4.9) 1,585 (5.6) 5.1 -10.8 8.6

- 신선 437 (13.9) 435 (12.5) 4,625 (14.4) -0.5 -5.5 9.2 주: 농식품의 범위는 수산물을 제외한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이며, 중국 해관의 수출입상품 HS코드 분류상 HS 8단위 세번 1,158개 품목(2022

년도 기준)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림축산식품 품목별 코드(AG코드) 분류를 참고해 중국 기준 HS 8단위 1,158개 품목을 농산 물 39개 품목류, 축산물 22개 품목류, 임산물 8개 품목류로 분류함.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1)

<그림 6> 중국의 연도별·월별 농식품 수출액 추이(2020.1∼2022.11)

단위: 백만 달러

농식품 전체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그림 7> 중국의 수출액 상위 30개 농식품 품목류 및 세부 품목(2022년 11월)

수출액 상위 30개 품목류(CR30=92.9%) 수출액 상위 30개 세부 품목(CR30=59.5%)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2022년

2021년 2020년

(12)

<그림 8> 중국의 농식품 수출 대상국 순위(2022년 11월)

수출액 상위 30위 수출대상국(농식품 전체, CR30=87.1%) 수출액 상위 20위 수출대상국(농산물, CR20=80.6%)

수출액 상위 20위 수출대상국(임산물, CR20=86.9%) 수출액 상위 20위 수출대상국(축산물, CR20=87.5%)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3)

<표 7> 중국의 농산물 품목류별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곡류 140.4 160.8 1,347.0 14.5 42.5 11.8

2 서류 67.4 66.7 502.6 -1.1 39.3 24.1

3 두류 74.2 94.3 882.5 27.1 -1.0 4.0

4 전분 6.0 7.5 194.0 25.7 -43.4 53.5

5 채유종실 142.6 199.2 1,610.3 39.7 0.3 9.7

6 과실류 624.5 667.7 5,473.8 6.9 -5.5 -11.1

7 기타곡실류 48.3 69.4 605.5 43.7 6.0 3.4

8 채소류 1,111.2 1,142.8 11,420.8 2.8 -0.1 6.3

9 화훼류 24.6 27.4 304.4 11.1 -15.8 4.1

10 버섯류(농산물) 192.2 261.8 2,246.9 36.2 42.0 61.1

11 기타 산식물 3.7 3.4 39.8 -7.3 -20.6 -1.2

12 식물성유지 84.6 110.8 1,148.3 31.0 15.4 27.6

13 유지가공품 99.5 122.4 2,132.6 23.0 -20.3 77.4

14 농산물 납류 0.6 0.4 6.2 -24.1 169.1 73.0

15 식물성 액즙 156.3 176.0 1,817.1 12.6 -13.5 32.1

16 박류 41.4 44.7 754.2 7.8 -13.1 -14.9

17 사료 234.1 240.5 2,862.1 2.7 -13.9 17.2

18 기타 식물성 물질 28.1 31.7 221.4 12.8 67.1 23.8

19 기타농산부산물 6.3 8.0 71.5 25.9 0.1 7.5

20 빵류제조용 46.9 42.1 413.2 -10.2 45.1 60.8

21 효모류 29.0 28.1 329.7 -2.9 -10.6 -1.0

22 소오스류 175.4 235.8 2,028.2 34.4 20.5 11.2

23 향신료 4.8 5.6 68.8 17.2 -24.5 -62.0

24 지방성물질 0.0 0.0 0.8 378.0 -75.1 -9.8

25 식물성재료 1.3 1.5 21.2 17.1 62.8 47.7

26 커피류 18.1 15.4 287.2 -14.6 30.8 95.2

27 코코아류 40.1 45.1 389.6 12.6 -0.4 1.5

28 차류 160.3 177.9 1,862.1 11.0 -22.6 -8.8

29 연초류 69.9 68.7 704.2 -1.8 -16.0 14.0

30 인삼류 8.8 5.6 71.5 -36.5 -12.5 9.1

31 한약재(농산물) 85.3 113.7 1,134.1 33.2 -10.9 -0.1

32 주류 137.5 152.6 1,341.3 11.0 41.4 27.7

33 당류 58.5 59.0 668.7 0.9 24.1 50.2

34 음료 93.9 94.5 887.2 0.6 8.6 0.0

35 과자류 193.4 215.7 2,126.8 11.5 15.9 25.8

36 면류 97.9 97.4 1,095.2 -0.5 -5.5 15.9

37 기타조제 농산품 337.4 360.8 3,832.6 6.9 3.0 15.4

38 잠사류 23.6 26.2 303.8 11.0 51.7 141.2

39 식물성 섬유 17.1 5.2 108.7 -69.7 -32.4 378.6

합계 4,685.1 5,186.2 51,316.2 10.7 1.9 12.0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4)

<표 8> 중국의 축산물·임산물 품목류별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포유가축류 49.2 48.9 417.6 -0.7 1.2 -9.7

2 가금류 0.2 0.1 1.4 -10.6 -14.5 -58.6

3 기타포유류 1.6 1.4 19.0 -9.7 10.6 87.6

4 조류 기타 0.0 0.0 0.0 n.a. n.a. #DIV/0!

5 파충류(reptilia) 1.7 1.4 9.4 -14.5 127.3 21.6

6 양서류(Amphibian) 0.0 0.0 0.0 -100.0 n.a. #DIV/0!

7 곤충류 0.0 0.0 0.0 48.4 84.1 3.2

8 기타 산동물 0.1 0.3 0.9 125.9 811.9 103.6

9 포유 가축 육류 39.6 40.3 442.7 1.9 -15.6 -1.2

10 가금육류 190.7 174.1 2,048.5 -8.7 -9.5 19.7

11 기타 육류 94.7 110.6 1,045.3 16.8 6.3 8.4

12 동물성 유지 7.1 6.1 88.8 -14.3 -28.4 -0.9

13 동물성 납 4.1 3.0 45.6 -26.7 -18.2 13.9

14 골류 0.0 0.0 0.0 n.a. n.a. -99.8

15 한약재(축산물) 4.3 4.1 22.4 -6.1 103.6 12.5

16 기타 축산물 부산물 13.0 19.6 173.9 50.3 -0.7 -37.3

17 낙농품 28.5 27.2 345.8 -4.5 -39.5 -16.5

18 난류 26.6 26.8 274.1 0.5 42.1 41.3

19 단백질류 84.8 83.2 1,124.3 -1.9 -10.7 28.0

20 모.수모류 8.0 8.9 104.1 11.8 -35.8 -30.5

21 원피류 3.3 5.7 45.4 73.7 91.8 109.4

22 생모피류 0.1 0.0 0.4 -100.0 -100.0 1,347.0

합계 557.6 561.7 6,209.8 0.7 -6.7 9.1

1 수목류 1.6 1.3 15.2 -21.4 -17.1 -6.3

2 산채류 23.5 26.5 259.7 12.8 -15.6 6.4

3 버섯류(임산물) 34.2 39.8 387.9 16.6 -74.3 -66.3

4 과실·견과류 127.7 159.3 1,254.1 24.8 -25.5 -18.0

5 락과 수지류 0.9 0.8 11.5 -8.7 -24.8 34.2

6 죽재류 5.1 5.5 66.1 8.1 -28.5 -8.2

7 등나무류 0.9 1.6 13.9 79.7 -20.5 35.7

8 임산물 기타 54.2 61.1 917.6 12.8 -22.3 21.6

합계 248.0 295.9 2,926.1 19.3 -39.8 -22.7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5)

식량 수출입

l

2022년 11월 주요 곡물(쌀, 밀, 옥수수, 보리, 수수) 수출량은 311.4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2.9%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42.5% 증가

품목별 수출량: 쌀 244.7천 톤(78.6%), 보리 52.3천 톤(16.8%), 밀 14.0천 톤(4.5%), 수수 0.3천 톤 (0.1%), 옥수수 0.2천 톤(0.1%)

최대 수출 곡물인 쌀의 수출량은 전월에 비해 30.2%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51.5% 증가. 품종별 수 출량을 보면 중단립종 백미(HS 1006.3080)가 166.8천 톤으로 68.2% 차지

5대 곡물 옥수수와 수수는 전년 동월 대비 수출량이 감소 (각각 73.3%, 48.1%) 했지만 나머지는 모두 증가. 밀의 증가율이 74.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쌀 51.5%, 보리 9.2% 순

쌀 수출량 상위 10위 대상국: 터키(13.9%), 북한(12.3%), 불가리아(12.3%), 푸에르토리코(8.6%), 코트디부아 르(8.4%), 레바논(8.2%), 수단(8.2%), 파푸아뉴기니(7.9%), 한국(7.8%), 시에라리온(5.1%) → CR

10

92.6%

* 대 한국 쌀 수출 물량은 19,117톤, 이 중 중단립종 현미(HS 1006.2080) 19,117톤, 중단립종 백미(HS 1006.3080) 0톤

<표 9> 중국의 곡물 수출입 추이(2022년 9월 ~ 11월)

구분 품목 2021년

2022년 11월 증감률

9월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2,447.9 144.5 188.0 244.7 2,058.9 30.2 51.5 -7.3

- 중단립종 백미 1,860.1 119.1 143.9 166.8 1,649.1 15.9 26.5 -3.5

- 장립종 백미 296.2 0.7 20.1 26.6 125.0 32.0 73.7 -50.3

83.9 8.5 7.6 14.0 129.1 83.6 74.3 83.4

옥수수 7.7 0.1 0.0 0.2 1.1 3016.2 -73.3 -80.4

보리 361.4 43.8 57.5 52.3 419.2 -9.1 9.2 37.8

수수 3.6 0.1 0.4 0.3 3.4 -11.0 -48.1 43.0

합계 2,904.5 197.0 253.5 311.4 2,611.6 22.9 42.5 0.4

4,966.0 490.3 397.2 325.1 5,776.3 -18.2 -33.0 31.8

- 중단립종 백미 126.0 4.1 1.7 4.9 59.0 180.0 17.5 -47.6

- 장립종 백미 2,269.8 163.1 215.7 204.4 2,252.0 -5.3 -9.0 15.7 9,775.3 370.2 1,244.9 1,012.4 8,879.5 -18.7 35.4 0.5 옥수수 28,360.0 1,534.1 547.8 741.8 19,753.4 35.4 -5.9 -26.9 보리 12,494.3 362.6 340.9 532.9 5,295.2 56.3 -65.2 -50.7

수수 9,416.7 919.8 607.1 501.4 10,036.7 -17.4 -5.7 25.1

합계 65,012.3 3,677.1 3,137.9 3,113.5 49,741.0 -0.8 -23.7 -15.7 단위: 천 톤, %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6)

l

2022년 11월 주요 곡물(쌀, 밀, 옥수수, 보리, 수수) 수입량은 311.4만 톤으로 전월에 비해 0.8%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도 23.7% 감소

품목별 수입량: 밀 101.2만 톤(32.5%), 수수 50.1만 톤(16.1%), 옥수수 74.2만 톤(23.8%), 쌀 32.5만 톤(10.4%), 보리 53.3만 톤(17.1%)

* 쌀의 품종별 수입량 비중: 장립종 백미(HS 1006.3020) 62.9%, 장립종 쇄미(HS 1006.4020) 21.1%, 중단립종 쇄미 (HS 1006.4080) 13.3%, 중단립종 백미(HS 1006.3080) 1.5%, 중단립종 쌀가루(HS 1102.9029) 0.8%, 장립종 쌀 가루(HS 1102.9021) 0.4%

옥수수 수입국: 미국(90.4%), 우크라이나(4.5%), 미얀마(2.7%) → CR

3

97.5%

보리 수입국: 캐나다(60.7%), 프랑스(22.4%), 카자흐스탄(6.4%), 우크라이나(5.6%) → CR

4

95.1%

수수 수입국: 호주(59.8%), 아르헨티나(40.1%), 미얀마(0.2%)→ CR

3

100.0%

밀 수입국: 캐나다(46.8%), 미국(27.0%), 호주(19.5%), 프랑스(5.0%), 카자흐스탄(0.7%) → CR

5

99.0%

쌀 수입국: 태국(26.8%), 베트남(26.4%), 미얀마(22.9%), 인도(8.3%), 파키스탄(8.2%), 캄보디아 (6.3%) → CR

6

98.8%

* 중단립종 백미(HS 1006.3080) 주요 수입국 및 수입량: 미얀마 4,879톤, 베트남 295톤, 일본 135톤

<그림 9> 중국의 5대 곡물 수출입 대상국 순위(2022년 11월)

쌀 수출(2022년 11월) 쌀 수입(2022년 11월)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7)

밀 수출(2022년 11월) 밀 수입(2022년 11월)

옥수수 수출(2022년 11월) 옥수수 수입(2022년 11월)

수수 수출(2022년 11월) 수수 수입(2022년 11월)

보리 수출(2022년 11월) 보리 수입(2022년 11월)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8)

l

2022년 11월 대두 수출량은 10.6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166.9%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9% 감소

주요 수출 대상국: 한국(81.0%)과 일본(10.3%)이 91.3% 차지. 다음으로 홍콩(2.4%), 대만(1.5%) 순

l

2022년 11월 대두 수입량은 7,350.4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77.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4.2% 감소

주요 수입 대상국: 미국이 46.0%로 대부분을 차지. 다음으로 브라질(34.5%), 아르헨티나(15.7%) 순

<표 10> 중국의 대두 수출입 추이(2022년 9월 ~ 11월)

품목 2021년

2022년 11월 증감률

9월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대두 수출 75,289 16,529 3,971 10,600 93,163.0 166.9 -5.9 54.2 - 황대두

HS 1201.9011 HS 1201.9019

66,933 16,009 3,591 9,944 86,609.6 176.9 -5.9 61.4 - 16,009 3,591 9,944 86,609.4 176.9 n.a. n.a.

- 0 0 0 0.2 n.a. n.a. n.a.

- 기타 8,356 520 380 655 6,553.4 72.6 -4.7 -3.1

대두 수입 96,537,791 7,715,056 4,136,474 7,350,404 80,548,349.7 77.7 -14.2 0.9 - 황대두

HS 1201.9011 HS 1201.9019

96,534,003 7,715,056 4,136,474 7,350,404 80,548,349.5 77.7 -14.2 0.9 - 88,286 93,470 85,427 1,590,443.0 -8.6 n.a. n.a.

- 7,626,770 4,043,004 7,264,977 78,957,906.5 79.7 n.a. n.a.

- 기타 3,788 0 0 0 0.2 230.0 -28.3 -100.0

단위: 톤, %

주: 황대두(HS 1201.9010)는 2022년부터 HS 1201.9011(유전자변형이 아닌 것)와 HS 1201.9019(기타)로 세분. 기타에는 HS 1201.1000(종자 용 대두), HS 1201.9020(비종자용 흑대두), HS 1201.9030(비종자용 녹두), HS 1201.9090(비종자용 기타대두), HS 1208.1000(대두분) 포함.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그림 10> 중국의 대두 수출입 대상국 순위(2022년 11월)

대두 수출(2022년 11월) 대두 수입(2022년 11월)

자료: Global Trade Atlas(https://www.gtis.com/gta)

(19)

한중 농식품 수출입

l

2022년 11월 우리나라의 중국산 농식품 수입액은 4억 5,913만 달러로 전월 대비 1.9%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8.3% 감소

(농산물) 수입액은 3억 1,781만 달러(69.2%)로 전월 대비 2.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

*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채소류(26.3%), 기타조제농산품(12.5%), 채유종실(8.0%), 박류(7.7%), 두류(5.3%), 과자류

(4.4%), 사료(4.2%), 면류(3.5%), 소오스류(3.0%), 한약재(농산물)(2.5%) → CR10 77.4%

(임산물) 수입액은 1억 2,135만 달러(26.4%)로 전월 대비 3.7%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8.9% 감소

*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석제품(39.5%), 가구류(18.2%), 기타목재(18.0%), 버섯류(임산물)(4.8%), 합판류(4.7%),

산채류(3.5%), 임산물 기타(2.5%), 과실견과류(2.0%), 단판(1.9%), 제재목(1.6%) → CR10 96.7%

(축산물) 수입액은 1,997만 달러(4.3%)로 전월 대비 24.8% 감소, 전년 동월 대비 29.1% 감소

*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모‧수모류(39.1%), 단백질류(22.1%), 가금육류(17.1%), 난류(4.8%), 원피류(4.4%), 기타 육류(4.2%), 기타축산물(1.9%), 기타포유류(1.7%), 가죽류(1.4%), 포유가축류(1.2%) → CR10 97.8%

(수입액 상위 10개 품목류) 채소류(18.2%), 석제품(10.4%), 기타조제농산품(8.7%), 채유종실(5.5%), 박류 (5.3%), 가구류(4.8%), 기타목재(4.7%), 두류(3.7%), 과자류(3.0%), 사료(2.9%), → CR

10

67.3%

(수입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화강암제품(9.3%), 혼합조제식료품(6.4%), 전분박(4.9%), 기타채소(4.4%), 고추 (3.9%), 김치(3.4%), 기타 가구(2.6%), 양파(2.1%), 들깨(1.9%), 대두(1.8%) → CR

10

40.7%

<표 11> 중국산 농식품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구분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총액 468,019 (100.0) 459,130 (100.0) 5,174,430 (100.0) -1.9 -8.3 12.3 - 가공 271,790 (100.0) 285,446 (100.0) 3,339,201 (100.0) 5.0 -8.8 10.9 - 신선 196,229 (100.0) 173,685 (100.0) 1,835,229 (100.0) -11.5 -7.6 15.0 농산물 324,401 (69.3) 317,805 (69.2) 3,456,202 (66.8) -2.0 -1.7 20.7 - 가공 148,255 (54.5) 163,961 (57.4) 1,829,268 (54.8) 10.6 3.8 25.6 - 신선 176,146 (89.8) 153,844 (88.6) 1,626,934 (88.7) -12.7 -6.9 15.7 임산물 117,045 (25.0) 121,353 (26.4) 1,427,068 (27.6) 3.7 -18.9 -2.9 - 가공 104,990 (38.6) 107,921 (37.8) 1,293,596 (38.7) 2.8 -20.0 -3.7 - 신선 12,055 (6.1) 13,432 (7.7) 133,472 (7.3) 11.4 -8.1 6.1

축산물 26,572 (5.7) 19,972 (4.3) 291,159 (5.6) -24.8 -29.1 6.2

- 가공 18,544 (6.8) 13,563 (4.8) 216,337 (6.5) -26.9 -32.8 2.9 - 신선 8,028 (4.1) 6,408 (3.7) 74,822 (4.1) -20.2 -19.9 17.4 주: 농식품의 범위는 농산물 42개 품목류(484개 세부 품목), 축산물 25개 품목류(151개 세부 품목), 임산물 24개 품목류 (105개 세부 품목)등 총 91

개 품목류(740개 세부 품목)임.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0)

<그림 11> 연도별·월별 중국산 농식품 수입액 추이(2020.1∼2022.11)

단위: 백만 달러

농식품 전체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그림 12> 수입액 상위 30개 중국산 농식품 품목류 및 세부 품목(2022년 11월)

수입액 상위 30개 품목류(CR30=91.9%) 수입액 상위 30개 세부 품목(CR30=67.0%)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022년 2021년

2020년

(21)

<표 12> 중국산 농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곡류 25,146 1,897 209,997 -92.5 4.8 39.2

2 서류 2,231 1,781 18,182 -20.2 50.0 84.7

3 두류 23,681 16,854 148,080 -28.8 -8.6 36.1

4 전분 2,555 2,678 29,131 4.8 -27.2 14.4

5 채유종실 23,080 25,428 198,390 10.2 -37.8 -1.9

6 과실류 9,617 7,338 84,479 -23.7 -21.1 9.2

7 기타곡실류 2,379 3,094 34,436 30.0 -33.8 -17.9

8 채소류 77,689 83,515 775,899 7.5 13.7 15.4

9 화훼류 1,833 2,004 30,936 9.3 -18.7 8.6

10 버섯류(농산물) 3,926 3,621 36,272 -7.8 -32.5 -1.2

11 기타 산식물 20 182 1,376 811.5 47.5 25.2

12 식물성유지 2,034 3,707 20,806 82.3 110.9 16.0

13 유지가공품 1,400 1,472 16,567 5.1 8.8 23.5

14 농산물 납류 5 9 88 99.0 -28.7 -25.0

15 식물성 액즙 8,351 5,872 71,838 -29.7 -24.9 17.6

16 박류 15,246 24,467 262,638 60.5 46.6 24.2

17 사료 14,453 13,442 171,016 -7.0 -6.3 17.3

18 기타 식물성 물질 1,162 1,391 12,150 19.7 121.9 123.9

19 기타농산부산물 614 525 9,035 -14.5 -39.9 -5.6

20 빵류제조용 1,241 3,011 22,032 142.6 406.3 116.8

21 효모류 2,296 1,983 27,525 -13.6 -15.8 17.5

22 소오스류 8,965 9,482 103,223 5.8 -22.4 4.8

23 향신료 32 34 129 4.8 10.2 13.6

24 지방성물질 230 171 607 -25.5 n.a. 202,229.3

25 식물성재료 0 0 22 n.a. n.a. n.a.

26 커피류 1,333 720 12,571 -46.0 60.6 595.2

27 코코아류 3,226 1,509 25,874 -53.2 -56.4 14.2

28 차류 506 358 4,552 -29.1 108.4 -11.8

29 연초류 2,960 5,983 46,407 102.1 631.4 495.6

30 인삼류 94 98 1,898 4.7 51.5 -30.6

31 한약재(농산물) 6,451 8,033 86,989 24.5 7.0 17.1

32 주류 5,097 5,984 64,338 17.4 -27.2 -6.6

33 당류 8,066 6,166 97,943 -23.6 -14.8 22.2

34 음료 4,641 5,136 65,702 10.7 104.8 52.7

35 과자류 12,074 13,881 129,639 15.0 10.6 24.2

36 면류 9,740 11,030 111,315 13.3 10.5 11.3

37 기타조제 농산품 38,328 39,729 479,567 3.7 -14.4 33.1

38 효소류 2,485 2,301 24,410 -7.4 7.1 21.2

39 잠사류 219 1,230 6,978 461.5 383.5 18.7

40 식물성섬유 30 9 268 -69.9 806.6 74.0

41 고무류 0 0 0 n.a. n.a. n.a.

42 향료 968 1,681 12,897 73.7 27.6 -2.7

합계 324,401 317,805 3,456,202 -2.0 -1.7 20.7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2)

<표 13> 중국산 축산물·임산물 품목류별 수입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구분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포유가축류 344 249 4,314 -27.7 -34.3 1.1

2 가금류 0 0 0 n.a. n.a. n.a.

3 기타포유류 165 336 3,077 104.1 5.6 45.9

4 조류 기타 0 0 0 n.a. n.a. n.a.

5 파충류(reptilia) 7 0 140 -100.0 -100.0 -66.6

6 양서류(Amphibian) 69 238 465 244.5 29,616.5 69.0

7 곤충류 0 0 0 n.a. n.a. n.a.

8 지렁이(축산) 0 0 0 n.a. n.a. n.a.

9 기타 산동물 0 0 0 n.a. n.a. n.a.

10 포유 가축 육류 0 0 118 -100.0 -100.0 6.7

11 가금육류 5,780 3,405 47,730 -41.1 -21.4 38.7

12 양서류 육류 0 0 0 n.a. n.a. n.a.

13 기타 육류 546 836 6,893 53.2 26.3 25.0

14 동물성 유지 1,404 133 31,751 -90.5 -97.6 -34.3

15 동물성 납 0 31 350 n.a. 1.6 -18.5

16 골류 0 32 66 n.a. 450.1 -32.6

17 한약재(축산물) 0 0 0 n.a. n.a. -100.0

18 기타 축산물 부산물 671 377 5,769 -43.9 -45.8 -2.8

19 낙농품 0 0 104 135.9 -94.1 178.4

20 난류 445 967 6,318 117.1 -35.2 -39.9

21 단백질류 4,185 4,412 53,713 5.4 2.4 22.7

22 모.수모류 12,440 7,805 118,971 -37.3 -10.0 14.0

23 원피류 400 877 8,066 119.3 -27.2 -23.1

24 생모피류 0 0 0 n.a. n.a. n.a.

25 가죽류 115 273 3,316 138.3 -14.7 17.1

합계 26,572 19,972 291,159 -24.8 -29.1 6.2

1 원목 0 2 33 n.a. n.a. 27.7

2 제재목 1,969 1,912 34,744 -2.9 -77.4 -55.7

3 합판류 5,666 5,720 76,053 0.9 -40.4 -20.9

4 단판 3,552 2,335 42,248 -34.3 -43.7 2.2

5 섬유판류 652 729 11,556 11.9 -17.3 -5.8

6 파티클보드류 123 59 3,122 -52.3 -23.8 -82.0

7 칩삭편상의 목재 0 0 17 n.a. -83.0 6.5

8 목탄류 473 732 4,673 54.6 82.7 10.0

9 기타목재 20,038 21,796 254,969 8.8 -3.8 15.0

10 수목류 75 207 952 176.2 -52.3 -23.8

11 종자류 0 25 158 n.a. 31.8 -29.3

12 산채류 3,696 4,274 52,559 15.6 -7.8 18.4

13 버섯류(임산물) 5,024 5,865 42,605 16.7 -2.4 -3.0

14 과실·견과류 3,014 2,487 33,118 -17.5 -17.6 3.6

15 락과 수지류 534 864 15,403 62.0 209.5 39.7

16 수피류 120 240 1,932 99.4 79.6 2.7

17 엽류 6 49 177 685.4 121.1 32.4

18 죽재류 245 290 6,830 18.3 14.4 3.2

19 등나무류 99 61 1,333 -38.3 -58.3 -33.6

20 편조물 기타 215 138 2,702 -35.9 -63.2 -13.4

21 원석 246 573 4,048 133.1 15.9 0.6

22 석제품 44,831 47,971 514,304 7.0 -11.2 3.9

23 임산물 기타 3,128 2,976 32,731 -4.9 -18.5 15.2

24 가구류 23,338 22,049 290,803 -5.5 -26.1 -10.2

합계 117,045 121,353 1,427,068 3.7 -18.9 -2.9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3)

l

2022년 11월 우리나라의 대 중국 농식품 수출액은 1억 537만 달러로 전월 대비 4.9%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 은 달에 비해서도 20.6% 감소

(농산물) 수출액은 9,095만 달러(86.3%)로 전월 대비 1.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1% 감소

*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면류(20.3%), 당류(14.3%), 기타조제농산품(13.0%), 과실류(12.2%), 인삼류(8.2%), 과자류

(8.1%), 음료(5.1%), 커피류(4.0%), 소오스류(3.6%), 채소류(3.4%) → CR10 92.3%

(임산물) 수출액은 580만 달러(5.5%)로 전월 대비 52.4%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6.4% 증가

*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석제품(46.6%), 기타목재(43.4%), 원석(4.9%), 임산물 기타(1.6%), 과실견과류(1.6%), 가 구류(0.6%), 섬유판류(0.5%), 단판(0.4%), 합판류(0.3%), 락과 수지류(0.03%) → CR10 99.99%

(축산물) 수출액은 863만 달러(8.2%)로 전월 대비 5.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2.1% 김소

*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낙농품(84.6%), 모‧수모류(6.4%), 가죽류(3.2%), 원피류(2.4%), 기타 육류(1.1%), 기타 축산물 부 산물(0.9%), 단백질류(0.8%), 포유가축육류(0.4%), 동물성 납(0.2%), 동물성유지(0.1%) → CR10 99.9%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류) 면류(17.5%), 당류(12.3%), 기타조제농산품(11.2%), 과실류(10.6%), 인삼류 (7.1%), 과자류(7.0%), 낙농품(6.9%), 음료(4.4%), 커피류(3.4%), 소오스류(3.1%) → CR

10

83.7%

(수출액 상위 10개 세부 품목) 라면(17.0%), 자당(11.9%), 혼합조제식료품(10.5%), 조제분유(6.4%), 홍삼 (5.0%), 기타음료(4.2%), 기타조제품(3.4%), 과실혼합물(3.3%), 단일과실조제품(3.1%), 기타석제품(2.6%) → CR

10

67.3%

<표 14> 대 중국 농식품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구분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수출 총액 110,836 (100.0) 105,373 (100.0) 1,161,601 (100.0) -4.9 -20.6 -3.6 - 가공 89,821 (100.0) 82,235 (100.0) 957,966 (100.0) -8.4 -21.3 -0.1 - 신선 21,015 (100.0) 23,138 (100.0) 203,635 (100.0) 10.1 -17.9 -17.4

농산물 89,571 (80.8) 90,947 (86.3) 990,434 (85.3) 1.5 -20.1 -4.0

- 가공 73,312 (81.6) 68,400 (83.2) 801,883 (83.7) -6.7 -20.7 -0.3 - 신선 16,258 (77.4) 22,548 (97.4) 188,551 (92.6) 38.7 -18.0 -17.1

임산물 12,177 (11.0) 5,799 (5.5) 70,938 (6.1) -52.4 46.4 22.9

- 가공 7,720 (8.6) 5,419 (6.6) 58,227 (6.1) -29.8 50.2 40.5

- 신선 4,457 (21.2) 380 (1.6) 12,710 (6.2) -91.5 7.5 -21.9

축산물 9,088 (8.2) 8,627 (8.2) 100,229 (8.6) -5.1 -42.1 -13.4

- 가공 8,788 (9.8) 8,416 (10.2) 97,855 (10.2) -4.2 -42.2 -13.3

- 신선 300 (1.4) 211 (0.9) 2,374 (1.2) -29.6 -37.6 -15.5

주: 농식품의 범위는 농산물 42개 품목류(484개 세부 품목), 축산물 25개 품목류(151개 세부 품목), 임산물 24개 품목류 (105개 세부 품목)등 총 91 개 품목류(740개 세부 품목)임.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4)

<그림 13> 연도별·월별 대 중국 농식품 수출액 추이(2020.1∼2022.11)

단위: 백만 달러

농식품 전체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그림 14> 대 중국 수출액 상위 30개 농식품 품목류 및 세부 품목(2022년 11월)

수출액 상위 30개 품목류(CR30=99.4%) 수출액 상위 30개 세부 품목(CR30=91.0%)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022년 2021년

2020년

(25)

<표 15> 대 중국 농산물 품목류별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곡류 291 611 2,988 110.1 51.8 -1.8

2 서류 23 51 271 120.4 -38.1 -58.9

3 두류 1 1 154 -1.7 -11.1 -47.4

4 전분 1 0 20 -86.2 n.a. -18.0

5 채유종실 0 0 121 -100.0 n.a. -91.4

6 과실류 7,253 11,132 96,503 53.5 -20.6 -17.0

7 기타곡실류 0 70 84 n.a. 29.9 -84.0

8 채소류 1,128 3,129 14,149 177.4 67.8 1.8

9 화훼류 23 42 361 81.0 -49.3 -32.9

10 버섯류(농산물) 0 3 5 n.a. -71.5 -93.7

11 기타 산식물 0 0 0 n.a. n.a. n.a.

12 식물성유지 227 281 2,930 23.7 -7.8 -32.5

13 유지가공품 30 18 437 -40.6 -77.8 -26.1

14 농산물 납류 17 8 226 -53.1 -74.7 -47.7

15 식물성 액즙 1,345 738 11,913 -45.1 -46.8 -20.9

16 박류 0 0 0 n.a. n.a. -100.0

17 사료 419 683 4,616 62.9 9.4 -30.0

18 기타 식물성 물질 20 54 1,118 172.1 -45.4 -9.8

19 기타농산부산물 0 0 4 -55.7 -51.5 -60.1

20 빵류제조용 67 110 1,359 63.2 -47.2 -37.6

21 효모류 21 6 317 -69.0 -79.5 -3.1

22 소오스류 4,106 3,316 40,000 -19.2 -33.3 -25.3

23 향신료 0 0 70 n.a. -100.0 -89.2

24 지방성물질 814 426 15,559 -47.7 -80.2 -4.6

25 식물성재료 0 0 25 n.a. -100.0 723.3

26 커피류 3,368 3,615 37,144 7.3 -17.9 -4.0

27 코코아류 1,537 643 9,096 -58.2 -54.0 7.5

28 차류 2 30 191 1,320.7 12.7 -30.1

29 연초류 0 23 19,970 n.a. -98.8 4.4

30 인삼류 7,462 7,461 72,987 -0.0 -30.1 -18.8

31 한약재(농산물) 78 48 928 -38.4 -84.3 -3.9

32 주류 2,813 2,745 38,140 -2.4 11.7 8.5

33 당류 9,007 12,962 84,420 43.9 15.9 8.1

34 음료 5,767 4,673 82,045 -19.0 -21.8 -4.3

35 과자류 10,600 7,408 93,568 -30.1 -44.5 -11.9

36 면류 17,629 18,481 172,612 4.8 11.0 21.7

37 기타조제 농산품 15,233 11,806 180,814 -22.5 -35.7 -2.2

38 효소류 7 36 555 391.9 -27.2 -19.0

39 잠사류 0 0 0 n.a. -100.0 -100.0

40 식물성섬유 0 0 2 -100.0 -100.0 -47.7

41 고무류 0 0 0 n.a. n.a. n.a.

42 향료 282 339 4,733 20.2 -16.5 14.7

합계 89,571 90,947 990,434 1.5 -20.1 -4.0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26)

<표 16> 대 중국 축산물·임산물 품목류별 수출 추이(2022년 10월 ~ 11월)

단위: 천 달러, %

구분 번호 품목명

2022년 11월 증감률

10월 11월 누적

(1~11월)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전년 동기 대비

1 포유가축류 3 2 52 -34.1 -66.1 -28.5

2 가금류 0 0 0 n.a. n.a. n.a.

3 기타포유류 1 1 18 -35.1 80.0 4.1

4 조류 기타 0 0 0 n.a. n.a. n.a.

5 파충류(reptilia) 0 0 0 n.a. n.a. n.a.

6 양서류(Amphibian) 0 0 0 n.a. n.a. n.a.

7 곤충류 0 0 0 n.a. n.a. n.a.

8 지렁이(축산) 0 0 0 n.a. n.a. n.a.

9 기타 산동물 0 0 0 n.a. n.a. n.a.

10 포유 가축 육류 125 38 626 -70.1 -74.2 36.9

11 가금육류 9 3 26 -70.5 -89.5 -23.4

12 양서류 육류 0 0 0 n.a. n.a. n.a.

13 기타 육류 86 91 712 5.9 -12.3 -22.5

14 동물성 유지 2 4 96 128.1 -41.1 26.0

15 동물성 납 11 15 122 31.8 -54.0 -49.8

16 골류 0 0 0 n.a. n.a. n.a.

17 한약재(축산물) 0 0 0 n.a. n.a. n.a.

18 기타 축산물 부산물 75 77 940 2.7 35.5 -28.2

19 낙농품 7,014 7,296 79,129 4.0 -39.3 -7.8

20 난류 0 0 0 n.a. n.a. n.a.

21 단백질류 300 69 1,195 -77.0 127.8 36.3

22 모.수모류 998 549 9,810 -45.0 -31.9 -4.7

23 원피류 196 208 3,733 6.3 -83.1 -69.2

24 생모피류 0 0 0 n.a. n.a. n.a.

25 가죽류 267 274 3,770 2.5 -36.7 8.9

합계 9,088 8,627 100,229 -5.1 -42.1 -13.4

1 원목 0 0 12 n.a. n.a. -95.9

2 제재목 23 0 628 -100.0 -100.0 4.5

3 합판류 15 15 310 -0.0 -35.5 41.3

4 단판 50 22 1,424 -56.7 -85.4 26.0

5 섬유판류 62 31 409 -49.5 -62.1 -52.7

6 파티클보드류 0 0 33 n.a. n.a. 3,209.9

7 칩삭편상의 목재 0 0 3 n.a. n.a. -82.0

8 목탄류 0 0 16 n.a. n.a. -51.4

9 기타목재 4,097 2,517 25,253 -38.6 74.2 18.8

10 수목류 0 0 315 n.a. n.a. -46.4

11 종자류 0 0 0 n.a. n.a. n.a.

12 산채류 0 0 0 n.a. n.a. n.a.

13 버섯류(임산물) 0 0 0 n.a. n.a. -100.0

14 과실·견과류 4,269 94 9,846 -97.8 23.5 -21.4

15 락과 수지류 0 2 96 262.6 -79.9 223.7

16 수피류 0 0 1 736.7 -81.4 -95.2

17 엽류 0 0 0 n.a. n.a. n.a.

18 죽재류 0 0 0 n.a. n.a. n.a.

19 등나무류 0 0 0 n.a. n.a. -100.0

20 편조물 기타 0 0 6 -100.0 n.a. -54.2

21 원석 189 286 2,537 51.6 3.2 -10.8

22 석제품 3,318 2,703 25,957 -18.5 54.1 116.9

23 임산물 기타 54 95 2,479 76.1 12.9 -0.3

24 가구류 102 35 1,612 -65.5 n.a. -42.5

합계 12,177 5,799 70,938 -52.4 46.4 22.9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http://www.kati.net)

참조

관련 문서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활동 후 활동보고서를

Key Words: Carbon tax, labor migration, tax regime, welfare effect, fossil fuel deman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double dividend hypothesis..

『기상기술정책』지는 범정부적인 기상·기후 분야의 정책 수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고, 창의적인 기상기술 혁신을 위한 전문적인 연구 조사를 통해 기상·기후업무 관련

에너지 자원분야에서는 현재 각 기관 구축된 자료의 공유 활성화 및 활용 기술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활용할 경우 중복투자 방지를 통한 비용 손실을 줄

최근 해양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해양의 변화는 해양 산성화(acidification)이다. 인위적으로 증가된 이산화탄소가 해양에 흡수 저장되면서 화 학적

― 미래형 융합교육을 위한 학교에 대한 영역별·단계별 선도 모델을 체계화함... 선도모델

[r]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른 균형가격과 균형가 격을 계산해내며, 이러한 과정이 수요 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임을 논리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