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주 강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주 강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주 강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몽골어 개관

몽골어는 독립국가인 몽골과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몽골민 족의 언어를 이른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 볼가 강 유역, 아프가니스탄 및 페르시아 동부 지역 일부 등 유라시아 대륙에서 사용되는 몽골어 계 전반을 가리킨다.

몽골어 사용 인구는 전 세계를 통틀어 약 570만 여명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대 다수는 몽골과 내몽고 자치구(内蒙古自治区)에 거주하고 있다. 이른바 ‘알타이 제 어’의 하나로 간주되는 몽골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Ÿ 모음조화(vowel harmony)가 있다. 몽골어의 모음조화는 구개를 중심으로 전설모음과 후설모음 간의 대립 관계의 수직적 조화(vertical harmony) 혹은 구개 적 조화(palatal harmony)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단순모음이나 이중모음 모두에 통용된다, 예) бага/baga/ 작은, сайн/saiŋ/ 좋은, үнэн/üneŋ/ 사실, өдөр /ödör/ 날, захиа/zahia/ 편지, нэртэй/nertei/ 유명한. 이런 모음조화의 규칙은 격변 화나 어미변화에 의해 구성되는 모든 형태소내의 모음들에도 적용된다. 또한, 제1음 절의 모음과 같은 모음이 제2음절에도 온다는 순음동화(labial attraction)도 모음조 화의 규칙과 관련된 것이다, 예) олон /oloŋ/ 많은, айраг /airag/ 말젖술.

Ÿ 어두의 자음이 제약을 받고 있다. 어두에 자음군이 오지 않으며, 특정 자 음, 특히 r이 분포할 수 없다. 현대몽골어 어휘에 등록되어 있는 лхагва/lhagva/ ‘수 요일’이나 роман/roman/은 외래어이다. роман의 경우 모음이 첨가되어 /aroman/으 로 발음한다.

Ÿ 형태적 분류상 교착성(膠着性)을 보여 준다. 어간에 접미사/어미가 첨가 되어 문법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어간과 접미사/어미의 연결이 대단히 기계적이어 서 규칙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모든 접미사/어미는 단일한 기능을 가진다. над (‘나’의 어간) руу(향격조사) ‘나에게’, үгс(үг 語+ с 복수접미사) ‘말들’.

Ÿ 관계대명사와 접속사가 없다. 인구제어의 그것과 현저하게 다른 점이다.

관형사형 어미와 부동사어미가 이를 대신하고 있다.

S1 : Би өчигдөр гоё цэцэг авсан 나는 어제 꽃을 샀다 / S2 : Цэцэг гоё байна.

꽃은 예쁘다 → Би өчигдөр гоё цэцг авсан. 나는 어제 예쁜 꽃을 샀다.

Ÿ 부동사가 있다. 몽골어에서 한 문장 내에서 두 동사는 접속사가 아닌, 선 행동사의 부동사형을 취하여 연결한다.

Тэр хүн ойртож ирэв. ‘그 사람은 다가왔다.’

Би энэ ажлыг хийж үзнэ. ‘내가 이 일을 해 보겠다.’

(2)

몽골제어

몽골제어는 서기 12~13세기 이래 군사원정로를 따라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 광활 한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공시적으로 통시적으로 단일한 언어일 수 없다.

그래서 주변의 언어들과 접촉하여 영향을 주고받으며, 각기 다른 발전과정을 겪었 으므로 각 언어는 다른 언어들로부터 구별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몽골제어는 다 음과 같이 분류된다.

n 서부몽골어파 1) 칼미크 그룹

러시아 연방 칼미크 공화국.

① 되르베트, ② 부자와 ③ 토르구트: a) 우랄, b) 오렌부르크 ④ 사르트-칼미크

*칼미크어는 20세기 이전에는 고유문자인 ‘토드 비칙’으로, 20세기 이후에는 키릴문 자로 표기됨.

2) 오이라트 그룹

중국 신강 우이구르 자치구 서남, 서북과 몽골 서부 지역.

① 되르베트-오이라트. ② 바이트. ③ 토르구트. ④ 오리양하이. ⑤ 자흐친. ⑥ 담 비-욀레트. ⑦ 밍가트. ⑧ 중가르-토르구트.

*전통적으로 ‘토드 비칙’을 사용함.

n 동부 몽골어파 1) 남부 그룹 중국 내몽골 자치구.

① 올란-찹 제방언: 두르분 후헤트, 모밍간, 오라트. ② 오르도스. ③ 차하르 및 그 와 유사한 제방언: 우줌친, 호친, 수니트, 아바가, 아바가나르, 실링골. ④ 하르친- 투메트. ⑤ 조-오다 제방언: a) 나이만, 아르-호르친, 자루트, 헤식텐, 바린, 아오 한, 초호르-할하, 옹니우트, b) 지림: 호르치트, 잘라이트, 두르부트, 고를로스. ⑥ 칩친/호친-바르구.

2) 중앙 그룹

몽골의 공식어로서 몽골 전역에서 사용함. 1945년 전통 몽골문자에서 키릴문자로 전환하였음.

① 할하: 중앙할하(올란바타르), 북부할하, 고비할하(다리강가), ② 호토고이투(델 게르, 벨치르, 테스 강 유역의 계곡), ③ 다르하트(할하어와 부리야트어의 중간 위 치의 방언).

(3)

3) 북부 그룹

부리야트 공화국, 몽골 동북, 내몽골 바르구 지역, 대흥안령 서부.

① 서부 부리야트: 알라르, 통카, 오카, 니시네우딘스크, 우르가, 보항, 에흐리트, 볼 가트.

② 동부 부리야트: 코리(현대 부리야트어 문어의 기반이 됨), 아가. ③ 바르구진- 부리야트: 바르구진, 카반. ④ 바르구 부리야트. ⑤ 남부/셀렝게 부리야트: 총골(라 틴문자로 쓰여진 문어), 사르툴(할하에서 부리야트로 옮아가는 과도적 방언).

n 고립어 1) 모골

아프가니스탄 서북, 헤라트 지역, 수니파 무슬림.

① 마르다. ② 망구트. ③ 제이-모골. 아랍문자를 사용함.

2) 몽구오르

중국 청해성 동부, 감숙성

① 후추: 할치 골, 훌란 나라, 나린 골. ② 민호.

3) 보안

중국 청해성 통그렌 지역(불교), 감숙성 회족자치구(이슬람)

① 대하가(大河家): 감숙성 임하회족자치주 보안족자치현. ② 통렌(同仁): 보안성 통렌현(保安城的同仁县).

4) 동향

중국 감숙성 임하회족자치주의 동향족자치현, 신강 일리카자흐자치구(이슬람).

5) 시라유구르 중국 감숙성 장액시

6) 다구르

중국 내몽고 북부, 신강 우이구르 자치구 서남부, 흑룡강성.

문어로서 한자나 만주어를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① 하일라르. ② 치치하르. ③ 부트하. ④ 아이군 (①-④ 내몽고자치구). ⑤ 일리- 다구르. ⑥ 타르바가타이 (⑤-⑥ 신강우이구르자치구)

(4)

발달사

세계의 모든 언어는 각기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역사적 변천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몽골어도 이에 예외가 될 수 없으며, 몽골어 발달사는 몽골어의 음운이나 형태, 통사, 어휘 등의 통시적인 변천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관건이라고 할 수 있 다. 여러 학자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몽골어는 고대, 중세, 근대의 3단계를 거쳐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고대는 몽골어가 생겨난 그 어느 시기부터 서기 12세 기까지이고, 중세는 13세기 몽골제국의 성립부터 16세기 말까지, 근대는 17세기 말 에서 오늘날을 말한다. 일부 학자들은 대대적인 문자개혁이 이루이진 1946년 1월 1일 이후를 별도의 항목으로 잡아 4단계로 구분하기도 한다.

n 고대 몽골어

고대 몽골어 시기는 몽골어가 형성된 그 어느 시기부터 서기 12세까지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13세기 이전의 몽골어 즉, 고대몽골어에 관한 자료는 전해오는 것이 없어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고대몽골어로 추정할 수 있는 자료 가 있으니, 그것은 거란(契丹)어이다.

거란어는 10세기 초부터 12세기 초에 걸쳐 중국 북방에 요(遼) 왕조를 출현시킨 거란족의 언어이다. 거란족은 자신들의 말을 표기하는 거란문자(契丹文字)를 고안 했다. 거란문자에는 ‘대자(大字)’와 ‘소자(小字)’가 있다. 한자의 자형과 원리를 참고 한 표의문자의 특성이 강한 것이 ‘대자’이고, 그 후에 우이구르 문자를 참조하여 음 절 단위의 표음적인 요소를 첨가한 것이 ‘소자’이다.

거란어는 현재로서는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전해오는 거란문자 자 료는 극히 한정적인데다가, 해독도 거의 이루어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사(遼史)>

나 <거란국기(契丹國記)> 등 중국 사서에 한자로 표기된 거란어 어휘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을 몽골어와 비교해 보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 어 ‘陶里’ tauli는 토끼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몽골어의 taulai ‘토끼’와 비교된다. 또

‘討’ tau는 수사 5를 뜻하고, 이는 몽골 문어의 tabu(n)과 일치한다.

몽골 문어는 현대 몽골어는 물론이고 중세 몽골어 시기의 구어와도 큰 차이를 보이 고 있다. 몽골 문어에서 어중자음(語中子音) *γ와 *g 그리고 모음 i와 e는 잘 보존 되어 있다. 음운발달의 측면에서 볼 때, 몽골 문어는 고어적(古語的) 특징들을 보여 주고 있다. 고대 몽골어에 존재했을 것으로 믿어지는 *p와 *f를 제외하면, 몽골 문 어는 고대 몽골어의 특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고어(古語)라 할 수 있다. 그 외에 몽골어 각 방언들의 어휘를 통해 변화하기 전의 고어형(古語形)을 추정할 수 있다.

(5)

앞서 기술했듯이 몽골 문어 또한 고어적 특징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믿어진 다. 다음은 고대 몽골어의 특징이다.

1) 어두(語頭)의 무성양순자음(無聲兩脣子音) *p 또는 *f가 존재한다. 이 자음들은 중세 몽골어 시기에 h로 변화하고 근대 몽골어 시기에는 사라진다. 이처럼 어두에 무성양순자음이 나타나는 낱말은 중국 감숙성의 몽구오르어에 등록되어 있다, 예) 몽구오르 fuguor ‘소’ > 몽골 문어 üker > 할하 үхэр/üxür/.

2) 어두의 모음 i와 e는 그 음가(音價)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들 모음은 근대 시기 에 들어 후행하는 모음의 영향을 받아 역행동화 된다, 예) 몽골문어 miqa(n) ‘고기’

> 할하 мах /mah/, 몽골문어 ebül ‘겨울’ > 할하 ѳвѳл /övöl/.

n 중세 몽골어

중세 몽골어 시기는 13세기에서 16세기까지 3세기에 걸친다. 이 때는 대체로 몽골 제국 전성기부터 원조 붕괴 후 몽골 초원에 북원이 세워진 시기이다. 고대 몽골어 의 상황과는 달리, 중세 몽골어 자료는 상대적으로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의 대표적 문헌자료로는 13세기 중반에기술된 것으로 믿어지는 <몽골비사(元朝秘 史)>를 비롯해서 13세기 후반에 고안된 팍바 문자로 기록된 각종 문서들과 비문, 패자(牌子) 그리고 13~14세기에 서록된 아랍-몽골어, 페르시아-몽골어, 그루지아 -몽골어, 아르메니아-몽골어 사전류 등이다.

중세 몽골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어두에 무성연구개자음(無聲軟口蓋子音) *γ와 *g가 경우에 따라서 탈락하기 시 작한다. 그러나 축약(縮約)은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다, 예) 몽골문어 aγula ‘산’ >

중세몽골어 a’ula, > 할하 уул /uul/, 몽골문어 čilaγun ‘돌’ > 중세몽골어 čilaγ un~čilaγun > 할하 чулуу /tšulū/.

2) 만주에서 사용되는 다구르 몽골어와 아프가니스탄의 모골어는 중세 몽골어의 특 징들을 지니고 있다. 어두음절(語頭音節)의 *p와 *f가 h로 변화한다, 예. *püker ~

*füker > 다구르어 hüker ‘소’ > 할하어 үхэр /üxür/.

모음 i와 e는 모든 음절(音節)에서 보존되어 있다, 예. 몽골 문어 miqan > мах, ebüdüg > өвдөг ‘무릎’.

3) 파찰음(破擦音) č와 ǰ는 치찰음가(齒擦音價)를 유지하고 있다. 이 둘은 일부 현 대몽골방언들에서 /ts/와 /dz/로 발달하였다, 예) 몽골문어 čisun ‘피’ > 할하 цус /tsus/, 몽골문어 ǰaγun ‘100’ >зуу /dzū/.

n 근대 몽골어

근대 몽골어의 시기는 16세기 말엽 혹은 17세기 초엽에 시작된다. 이 때는 티베트 불교가 몽골 전역에 널리 확산되어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기이자, 몽골문어의 정서

(6)

법이 확립되어 티베트어 불경의 몽골어 번역과 역사서 편찬이 성행하게 된다. 불교 의 영향을 받아 <알탄 토브치(黃金史綱)>, <에르데니인 토브치(蒙古源流)>와 같 은 연대기와 <마법에 걸린 시체(Siditü kegür-ün üliger orosibai)>, <32개 나무 인형의 이야기>, <간주르(Kanǰur)>, <탄주르(Tanǰur)> 등 인도와 티베트에서 전 래된 설화와 불경의 몽골어 번역이 이루어진다. 근대몽골어의 언어적 특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1) 어두의 h(< *p/*f)가 사라진다, 예) *püker/*füker > 중세몽골어/다구르어 hüker > 할하 үхэр /üxür/.

2) 모음 사이에 있는 연구개자음(軟口蓋子音) *γ/*g가 탈락하고, 두 모음이 축약 (縮約)하여 장모음(長母音)으로 발달한다, 예) *aγula.‘산’ < 중세 몽골어 a’ula <

할하 уул /uul/.

3) 어두음절(語頭音節)의 모음 i와 e는 다른 母音으로 변화하는 ‘i-꺽임 (i-Breaking)’이 일어난다, 예) 몽골문어 miqa(n) ‘고기’ > 할하 мах /mah/, 몽골 문어 ebül ‘겨울’ > 할하 ѳвѳл /övöl/.

문자

몽골인들이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용한 문자들은 다음과 같다.

(1) 우이구르(Uighur) 문자: 튀르크계 우이구르 인들에게서 전해 받았다고 하여 우 이구르-몽골 문자(уйгуржин монгол бичиг)이라 부른다. 우이구르 문자는 중세 이 란어의 일파인 소그드(Sogd)어를 표기하던 소그드 문자를 차용한 것이다. 이는 시 리아 문자를, 또 시리아 문자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하였다. 아람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가 그 기원이다. 우이구르 문자는 16세기 말까지 본래의 자형(字形)이 대체로 유지되다가, 17세기에 들어서면서 문자의 자형이 새로운 모습을 보이고, 정서법에 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17세기 초반 이후의 것은 몽골고전문자(монголын с онгодог бичиг)라고 부른다.

현존하는 옛문헌의 거의 대부분이 우이구르-몽골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도 중국 내몽고자치구에서는 몽골어와 어웡키어 표기에 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본 래 소그드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나가는 횡서(橫書) 방식이었던 반면, 우 이구르-몽골 문자는 글자를 시계진행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왼쪽에서 오른 쪽으로 쓰는 종서(縱書) 방식을 취했다. 우이구르 문자의 특징은 각 글자마다 어두, 어중, 어말의 위치에 따라 글자의 모양이 달라진다는 사실과 글자 하나가 두 가지 소리를 지닐 수 있다는 점이다. 어중과 어말에 오는 모음 o/u, ö/ü, a/e는 서로 같은 자형을 되어버려 구별이 불가능하고, 자음 t/d, k/g, q/γ, ž/y도 어중과 어말에서 변 별적 특징이 사라진다. 심지어 어중과 어말에 오는 a/e/n도 자형상 구별이 불가능하

(7)

다. 우이구르 문자에서 파생한 것으로는 오이라트 문자, 만주 문자, 바긴타라 문자 가 있다.

(2) 팍바(Phags-pa) 문자: 팍바 문자는 원대(元代) 세조(世祖) 쿠빌라이의 명으로 당시 제사(帝師)인 팍바가 창안한 문자이다. 1269년 창제된 때부터 원이 몰락할 때 까지 관용문자(官用文字)로서 사용되었다. 몽골어뿐 아니라 광할한 제국의 영토에 서 사용되는 중국어, 티베트어, 튀르크어 등 몽골 통치 아래 있는 여러 민족의 언어 를 표기하기 위한 공용문자로 고안되었던 것이다. 팍바 문자는 기존의 우이구르 문 자와 구별하여 몽고신자(蒙古新字) 또는, 네모진 자형에 따라 사방문자(四方文字 д ѳрвѳлжин үсэг)라고 부른다. 자음 30자, 모음 8자로 구성되어 있어 표음력이 뛰어 난 문자였다.

(3) 토드(Todo) 문자: 1648년 오이라트의 불교승려인 자야 판디타(Zaya Pandita) 가 기존의 몽골 문자를 개량하여 만든 문자이다. 그 목적은 한편으로는, 몽골어 실 제 발음을 충실하게 반영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티베트어와 산스크리트어 불 경 등을 글자 본디의 음에 가깝게 전사(轉寫)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기존 몽골 문자에서는 어중과 어말에서의 자형상 구별이 불가능했던 a/e/n, o/u, ö/ü, t/d를 명 확히 구별할 수 있게 되어 ‘тод бичиг(명료한 문자)’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4) 소욤보(Soyombo) 문자: 1686년 몽골의 활불(活佛) 보그드 자나바자르(Bogdo Zanabazar)가 만들었다. 문자의 원리를 보면, 글자 모양은 인도의 란차 문자 (rajana)를, 모아쓰기는 데바나가리(devanagari) 문자 체계를 본뜬 것이다.

(5)바긴다라(Bagindara)문자:..1905년 부리야트의 불교 승려 아그왕 도르졔프 (Agwan Dorjiev)가 몽골 문자를 개량하여 만들었다.

(6) 키릴(Cyrilic)문자...키릴문자는 러시아키릴문자에 모음 ѳ와 ү를 첨가하여 만든 문자이다. 이 문자는 1946년 1월 1일부터 몽골국의 공식문자로 사용되고 있다. 키 릴문자 채택에 앞서 유럽의 라틴문자를 본뜬 라틴문자를 잠시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소련의 간섭으로 폐지되었다.

참조

관련 문서

교육대학원은

휴학생은 휴학기간이 만료되면 복학신청서를

전공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력을 증진하고 고찰을 통해 현 장에서 가질법한 문제에 대해 창의적으로 주제를 결정하고 수 행하는 과제.. ※ 각

2017 학년도 하계

5 가지 사항에 대하여 성실하게 이수해주시기를

보상 수준: 치료비 및 휴업급여(최저임금 미달 시 최저임금에 준하여 지급) 등을 보상받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금급여도 수급 가능.. 현장실습생이 현장실습을

[r]

여러분이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야 할 때 여러분의 친구와 선배로서, 스승이자 든든한 버팀목으로서 강원대학교 가족들이 함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