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ASMR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고등학생의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 탐구 및 App 개발)

2016. 11. 30.

보평고등학교

< 연구 결과요약 >

과 제 명 ASMR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고등학생의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 탐 구 및 App 개발

연구목표

본 연구는 이미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ASMR을 분류하고, 설문을 통한 통계분석과 뇌파 및 심전도 등 생리학적 분석방법으로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긴장이완에 효과적인 ASMR을 찾아 학업 등 다양한 요인으로 스트레스에 시달려 수면시 간이 줄어드는 고등학생들에게 수면의 질을 높이는 도구로서 ASMR을 제안 하는 어플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

1. ASMR의 분류

A우리가 분류한 ASMR의 하위영역은 크게 3가지이고, 각각 talking, no-talking, 반복되는 소리가 있다.

2. ASMR의 과학적 검증 가. 실험 1

1) 내용 :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결과를 대응표본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ANOVA)으로 분석한다.

2) 결과 : ASMR을 들은 후 오히려 우울지수와 불안지수가 높아졌으며, 음원에 따라 우울지수, 불안지수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실험결과 후속 실험 2 설계에 반영할 점

□ 변인통제와 독립변인 처치에 오류가 있어 이를 보완한다.

□ 설문 도구를 긴장이완도 설문지로 변경한다.

나. 실험 2

1) 내용 : 실험방법을 개선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대응표본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일변량분산분석하여 긴장완화에 효과적인 음원을 찾는다.

2) 결과 : ASMR을 들은 후 긴장이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p<.01) 상승 했으며, 음원에 따라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트레스지수와 수면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스트 레스를 완화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면의 질임을 알게 되었다.

3) 실험결과 후속 실험 3 설계에 반영할 점 □ 실험장소의 환경을 개선한다.

□ 설문조사 방법을 개선한다.

다. 실험 3

1) 내용 : 실험2의 실험환경을 개선한 것 외에는 모두 실험2와 동일하다.

2) 결과 : ASMR을 들은 후 긴장이완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p<.01) 상승했으며, 스트레스 상과 중일 때는 음원의 종류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없었고 스트레스 하일 때는 음원 2가 음원 3에 비해 유의미 한 차이를 보이며 긴장이완에 도움을 주었지만, 공변량 분석 결과 음원

(2)

에 따라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라. 실험 4

1) 내용 : 음원을 5분간 청취 후 뇌파의 변화를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로 측정해 스트레스 지수별로 효과적인 ASMR 종류 검사한다.

2) 결과 : ASMR은 긴장이완과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 긴장완화와 수면에 도움을 주는 ASMR은 스트레스 지수가 상과 중일 때, No talking 유형이, 스트레스 지수가 하 일 때, talking 유형의 ASMR과 반복 되는 소리 유형이다.

- 뇌파분석 결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주는 ASMR은 스트레스 지수 가 상과 중일 때, No talking 유형의 ASMR과 Talking 유형의 ASMR이, 스트레스 지수가 하일 때, No talking 유형의 ASMR과 Talking 유형의 ASMR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3) 실험결과 후속 실험 5 설계에 반영할 점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ASMR을 분류하고 이를 제안하는 어플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화된 자료가 필요하므로 뇌파실험으로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심박수 측정을 통한 긴장 이완 정도를 검증한다.

마. 실험 5

1) 내용 : ASMR 청취하기 전후의 심박율의 변화를 측정한다.

2) 결과 : 전에 비해 청취 후 평균적으로 정도 심박수가 느려졌으며, 스트레 스 상은 talking과 No talking이 효과적이고, 스트레스 중은 talking과 No talking이 효과적이며, 스트레스 하는 반복되는 소리와 No talking이 효과적이다.

3. ASMR 범주화를 통한 어플 제작

스트레스 정도별로 효과적인 다른 종류의 ASMR을 추천하는 어플을 제작했 다. 어플의 구성은 ASMR의 소개, 스트레스 지수 측정,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ASMR 추천으로 되어있다.

연구성과

기존에 개발된 ASMR을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수면 보조장치의 기준을 정립해 수면 보조장치로서의 ASMR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뇌파분석과 심전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SMR이 긴장이완을 통해 수면에 도움을 주며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준다는 것을 통계적․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큰 효과를 나타 내는 ASMR 음원을 생리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ASMR을 추천 하는 어플을 제작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부작용 없이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보조수단의 대안으로서 ASMR을 제안하는 바이다.

주요어 (Key words)

뇌파, 심전도, ASMR, 자가보고식 설문지, 스트레스, 긴장이완, 수면, 어플, Talking, No- talking, 반복되는 소리

ASMR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고등학생의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 탐구 및 APP 개발

1. 개요

가. 연구목적 ○ 연구 동기

바빠진 생활 속에서 현대인들은 물리적으로 수면시간을 보장받기 힘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불면의 요인으로 인해 수면에 쉽게 들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겪는 사람들은 실제로 우리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버지가 불면증이 있어서 힘들어하실 때, 누나가 ASMR을 권하여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 ASMR은 자율 감각 쾌락 반응(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ese, 이하 ASMR)의 약자로서 현재 인터넷 상에서 불면을 겪는 이들이 찾는 소리로, 기분을 좋게 해주는 간질간질한 소리의 형태를 띠고 있다. 예로는 귀 파주는 소리, 물건을 만지는 소리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아버지의 불면증 치료의 대안으로 처음 접했던 ASMR은 예전에는 생소한 소리에 불과했지 만, 요즘은 유투브 등 여러 통로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어 많은 사람들이 불면의 보조수단으 로 활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TV에서 ASMR을 이용한 코미디가 나올 정도로 그 인기가 날로 높아지며 수면 도구로 상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다양한 종류에 비해 ASMR의 효능에 대해 아직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가 없으므로 올바른 ASMR 사용을 위하여 과학적인 방법을 통한 효과 검증과 범주화가 필요하다.

수면을 돕는 방법으로 약물치료, 향기치료, 수면습관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 만, 그 부작용 또한 존재한다. 그러므로 안전하게 수면을 돕는 방법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 는 수면 보조장치 개발에 앞서 수면 보조장치가 충족해야 할 기준을 표 1과 같이 마련하였다.

안정성 인체에 무해한 것이어야 한다.

효율성 사람들의 수면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야 한다.

접근성 경제적, 사회적으로 접근이 쉬워 모든 사람이 사용가능해야 한다.

표 1 수면 보조장치의 기준

(3)

수면 보조장치의 기준을 안정성, 효율성, 접근성으로 볼 때, ASMR은 음원으로 평소 생활 속의 작은 소리이므로 무해하며, 수면습관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는 댓글과 많은 사람들이 다운로드해 활용하고 있어 효과를 본 사람들이 많으며, 현재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공유하고 있어 접근선이 뛰어나는 등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수면보조도구임을 알 수 있다.

○ 연구 목적

현재 인터넷을 통해 널리 상용되고는 있지만 너무 많은 종류의 ASMR이 개발되어 난무하고 있고, 그 활용법에 대한 정보도 부족해 어떤 상황에서 어떤 ASMR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과연 ASMR이 효과가 있는지도 알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 ASMR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그 활용법에 대한 구안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개발된 ASMR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수면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분류된 ASMR 종류별로 대표적인 음원을 뽑아 들려 준 후 수면에 도움이 되는지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한다.

셋째, 스트레스 정도가 다른 상황에서 어떤 ASMR이 효과적인지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넷째, ASMR을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ASMR을 사용할 수 있도록 추천하는 APP을 개발해 유포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 증진을 위한 수면 가능 시간 최대 활용방안을 구안한다.

나. 연구 범위

본 연구는 표 2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수면습관개선 방안으로서 ASMR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스트레스와 같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ASMR 범주화하여 ASMR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App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과학적으로 검증 되지 않던 ASMR의 효과를 생리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수면연구를 하는 데는 시간적․경제적으로 무리가 있고, 많은 수의 피실험자를 모집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해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수면에 효과적인 ASMR을 분류해 추천하는 App을 개발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직접적으로 수면에 대한 효과 검증 보다는 ASMR의 수면에 대한 효과를 간접적으로 검증하고자 긴장이완 과 스트레스이완에 대한 효과로 제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많은 표본의

검사를 진행하기는 여건상 어려워 그 대상을 보평고등학교 재학생을 기준으로 자가보고 식 설문지, 뇌파분석, 심전도 분석 실험 순으로 각각 300명, 18명, 70명의 학생으로 긴장이완도 의 변화를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면 보조장치의 기준 수립과 ASMR의 가능성 분석 수면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 분석

수면 보조도구로서 효율적인 ASMR 조건 정립

특성에 따른 ASMR 분류

음원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음원의 구성에 따른 분류

ASMR의 효과 검증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ASMR 듣기 전후의 상태 변화 비교 )

설문도구 뇌파검사 심전도검사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효과적인 ASMR 범주화

스트레스 정도를 체크해 적합한 ASMR을 추천하는 App 개발 표 2 연구의 개요

(4)

2. 연구 수행 내용

가.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음악과 긴장이완

음악은 인간에게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사회적인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낸다. 음악 감상은 음악을 형성하고 인식하는 근원적 활동이며, 특히 긴장이완의 방법으로서 매우 유익하기 때문에 감정조절과 스트레스 관리법으로 사용된다(Byrnes, 1996).

음악감상시 선곡에 있어, Gaston(1968)은 단절적인 음과 역동력이 강한 자극적 음악 은 사람에게 흥분과 긴장을 불러일으키고,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안정적 음악은 긴장을 이완시키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안정적 음악은 레가토적인 멜로디 중심의 음악이며, 조성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관계 조의 자연스러운 변화가 나타나는 것, 음역의 폭이 좁고 급격한 멜로디의 변화를 가져 오지 않으며, 대개 반복을 동반하는 음악으로서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라 하였다.

Hammer(1996)의 연구에서도 자극적인 음악보다 진정적인 음악에서 심박수와 호흡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음악 감상 시 실험 환경에 대한 중요성도 있는데, Christenberry(1979)는 미리 녹음 된 테이프로 음악을 감상할 때, 헤드폰과 카세트를 이용하는 것이 음악에 대한 집중력 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고,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음량에 대한 연구 에서 보통의 음량이나 큰소리에 비해 작은 음량의 긴장이완 음악을 더 선호하였다 (Staum & Brotons, 2000)

2) 긴장, 이완과 자율신경계의 관계

긴장이란 근육의 긴장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이나 감정의 흐름을 방해하는 과도하거나 불필요한 에너지이다. 신체가 긴장 상태에 있을 때 가장 쉽게 관찰되는 생리적 현상은 순환기 의 변화이다. 심장의 활동이 강화되고 촉진되며 혈압이 정상보다 10mmHg 혹은 그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그 결과 호흡이 빨라지고 얕아지며 맥박도 빨라진다. 또한 피부색도 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창백하게 되며 때로. 또 다른 변화로는 동공의 확대, 뇌 활동의 증가, 입마 름증, 이뇨작용, 아드레날린의 분비 증가 등을 들 수 있다(정청희와 김병준, 1999).

Jacobson(1996)은 우리 신체가 긴장이나 스트레스에 반응하는데 호흡 시간이나 강도의 불규칙 적 변화, 맥박수의 증가, 높은 주파수의 근육의 수축 신호 발생 등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신체에서 감정과 생리 기능의 관계를 조절하는 부분은 자율신경계가 담당하는데 자율신경 계는 신체상태의 불균형을 조절하여 평형을 유지하며 여러 가지 감정의 지배를 받고 있는 인 간행동을 원활하게 수행해주는 역할을 한다. 측정할 수 있는 생리학적 신호인 심장 박동수, 혈 압, 피부전도반응, 피부온도, 호흡, 뇌의 활동 등이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러한 자 율신경계는 크게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e system)와 부교감 신경계(parasympathetic nervesystem)로 나누어진다. 이 중 부교감 신경은 신체장기의 조절에 관련된 국소적 기능을 수 행하는 반면, 교감 신경계는 신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기능과 응급상황에 대처 하여 여러 가지 신체반응을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외부의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신 체의 변화를 적절히 유지시킨다. 그러므로 강한 스트레스나 공포, 불안, 긴장 등 불안상태에서 는 교감신경에 의한 생리적 반응들이 나타나는데 이때에는 혈압이 올라가고 심장 박동수가 증 가하고 손바닥에 땀이 나며 근육긴장도가 증가하는 등의 여러 가지 생리적 변수들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Rosenzweig & Leiman, 1995).

자율 신경계의 지배를 받는 기관들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적 요인들의 변화는 주관적인 심 리현상, 즉 정서라고 불리는 우리가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것들과 관련이 있으며, 긴장도는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에 의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생리적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심장의 박동, 혈압, 피부온도, 근육의 긴장도, 뇌파, 피부 전도 반응 등이 그 예이다.

3) 뇌파

가) 뇌파의 발생원인

뇌파가 발생하는 데에는 신경세포, 교세포, 그리고 혈뇌장벽이 관여하게 되는데 주로 신경 세포에 의해 발생한다. 뇌 무게의 반을 차지하는 교세포들은 신경세포가 연접해 있는 부위인 시냅스에서 이온, 분자의 흐름을 조정하고 신경세포들 간의 구조 유지, 지탱 보수 역할 등을 한다. 혈뇌장벽은 뇌혈관 속에 있는 각종 물질 중 필요한 물질만 골라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세포와 혈뇌장벽에 의한 뇌파의 변화는 조금씩 천천히 일어나며 이에 비해 신 경세포의 활동에 의한 뇌파의 변화는 크고, 빠르며 다양하게 발생한다.

(5)

나) 뇌파의 종류

뇌파는 매우 복잡한 패턴으로 진동하는 파형형태로 보인다. 따라서 뇌파 파형 그대로 시각 적으로 관찰하는 건 그다지 유용하지 않으며 흔히 뇌파를 관찰할 때는 주파수에 따라 분류하 는 파워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한다. 파워 스펙트럼 분석은 뇌파가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는 단 순 진동들의 선형적 결합이라고 가정하고, 이 신호에서 각각의 주파수 성분을 분해하여 그 크 기(또는 파워)를 표시한 것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일반적으로 뇌파는 진동하는 주파수의 범위 에 따라 인위적으로 델타 -δ파(0.2 ~ 3.99 Hz), 쎄타 -θ파(4 ~ 7.99 Hz), 알파 -α파(8 ~ 12.99 Hz), 베타 -β파(13 ~ 29.99 Hz), 하이 베타 - highβv파(23~28 Hz)로 구분한다.

(1) 알파파

알파파는 긴장이완과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주로 나타나며,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일수록 진폭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규칙적인 파동의 형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두정부와 후 두부에서 가장 크게 기록되고 전두부에 가장 작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특히 안정된 알파파 가 나타날 때는 눈을 감고 진정한 상태에 있을 때이고, 만약 눈을 뜨고 물체를 주시하게 되면 정신적으로 흥분하게 되어 알파파는 억제된다. 이 현상을 ‘알파 저지’라고 부른다. 알파파는 뇌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유아기에는 낮은 주파수에서 측정되다가 20세 정도 성인이 되면 주파수가 증가하게 된다.

(2) 베타파

베타파는 주로 전두부에서 많이 나타나며, 깨어 있을 때, 말할 때와 같이 모든 의식적인 활동을 할 때 나타난다. 특히, 베타파는 ‘스트레스파’라고도 불리는데, 불안한 상태나 긴장 시, 복잡한 계산처리 시에 크게 나타나기도 한다. 하이베타파는 23~28 Hz 영역대의 뇌파로 긴 장, 심리불안 및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파형이다.

(3) 쎄타파

쎄타파는 정서적 안정 또는 수면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주로 나타나는 파동으로 성인보 다는 어린이에게 더 많이 분포한다. 쎄타파는 기억력, 초능력, 창의력, 집중력, 불안해소 등 많 은 다양한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고는 있으나, 연구자들마다 실험프로토콜과 피험자 특성이 조금씩 달라 각 대뇌피질 부위별 증감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등 아직은 표준화된 결 과들이 다소 부족한 상태이다.

다) 뇌파 분석 방법

보통 특정상태의 뇌파특징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은 0-50Hz의 각 주파수 성분에 대 한 파워의 분포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파워스펙트럼 분포를 먼저 관찰한 후, 유의미하게 변 하는 주파수 성분을 찾아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파워스펙트럼 분포는 머리표면의 각 측정부위마다 조금씩 다른 양상을 띤다. 머리 표면 아래의 대뇌피질은 전두엽, 두정부엽, 측두엽, 후두엽 등으로 크게 나뉘고 담당 역할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면, 후두엽에는 일차시각피질이 있어 일차적인 시각정보 처리를 담당하 고, 정수리근처에 해당하는 두정부엽엔 체성감각 피질이 있어 운동/감각관련 정보처리를 담당 한다.

뇌파 측정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극 수가 많을수록 동시에 여러 부위의 뇌파 양상을 관 찰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사용하고 있는 전극 수가 적을 때는, 연구목적과 관련 깊은 부분에 만 집중적으로 전극을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머리표면 위에 뇌파전극을 부착하는 위치는 국제적으로 명명된 MCN 시스템이 추천된다. 보통 20채널이하인 경우, 10/20전극시스템을 사용 하기도 한다.

그림 1 뇌파를 이용한 스펙트럼 분석

(6)

4) 심전도

가) 심장의 전기 전도 과정

심장의 전기활동은 심장 세포사이의 이온 농도 차이에 의한 활동전위(action potential)에 의해 일어난다. 심장이 수축하고 이완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세포막의 전 기 자극이 필요한데, 동방결절(SA node: sinoatrial node)이 그 역할을 수행한다. 심장의 자연적인 심장박동 조율기(pacemaker)인 동방결절은 주기적으로 탈분극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한 전기 신호가 좌우 두 심방으로 퍼지며 심방을 수축시키고, 심방 내부의 혈 액을 심실로 보내게 된다. 또한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탈분극파는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한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에 도달하고, 방실결절에서 약15-20 ms의 지연이 있은 후, 방실다발(bundle of His)을 거쳐 좌․우 다발갈래(left, right bundle branches)를 지나 심장전도 근육섬유(purkinje fibers)로 전도되며 심실을 수축시킨다. 즉 심장 근육 의 기계적인 수축과 이완은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탈분극파가 심장 전체로 퍼져 나감에 의해 발생하며, 혈액을 펌핑하게 되는 것이다.

심장의 전기 전도에 의한 정상적인 심장의 심박은 분당 70여회 정도이고, 심박수는 신체의 여러 가지 생리적, 심리적 상태에서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수면 시에 는 느리고, 감정의 상태나 신체 운동 상태에 따라 빨라지게 된다.

나)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심전도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 시 발생하는 생체 전위를 체표에서 검출하여 기록한 것으로, 임상적인 심장 전기전도 체계의 이상 유무, 심근 손상, 심장 박동수 검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심전도에 의한 파형은 심방의 탈분극에 의한 P-파, 심실의 탈분극에 의한 QRS-복합 체(QRS-complex), 심실의 재분극에 의한 T-파로 구성된다.

정상인의 경우 심전도의 진폭은 0.5-4 mV이며 신호 주파수 범위는 0.01-250 Hz 이 며, 심방 탈분극의 시작점으로부터 심실 탈분극의 시작점까지의 시간 간격인 PR-파 간 격은 0.12-0.2초 사이로, 이 보다 긴 경우 심방과 심실 간의 전도 체계의 이상을 나타 낸다. 심실의 수축을 의미하는 QRS-complex는 0.06-0.1초 사이로, 이보다 긴 경우 정상 적인 전도경로의 차단을 의미한다. ST-파 간격은 심근 전체가 탈분극 상태에 있을 때

이며 따라서 정상적인 경우 등전위선(isoelectric line)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 ST-파 간격의 위치가 등전위선(isoelectric line)으로부터 상하로 편향된 경우 심근경색 을 의심 할 수 있다. 심실의 전기적 수축(electrical systole)으로도 알려져 있는 QT-파 간격은 약 0.4초로 심장 박동수에 따라 역으로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 파형의 변화로 분석하기 보다는 심전도 파형의 규칙적인 부분 의 R파와 R파 사이 간격을 60초로 환산하여 분당심박수인 심박율의 변화를 측정한다.

그림 2. 일반적인 심전도 파형

○ 선행연구

연번 연도 연구자 연구주제 본 연구에 반영한 내용

1 2003 유지현 음색이 긴장이완에 미치는 영향 v 긴장이완을 측정하는 척도

2 2006 최경미 음색이 음악 비전공자의 긴장 이완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v 음색이 긴장이완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v 긴장이완 설문지, ANOVA 통계분석

3 2012 정한나 최현주

라벤더향이 수면장애가 있는 여자 성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v 라벤더향이 수면 질이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의 뇌파에 영향을 미침.

v 수면과 관련되는 뇌파의 종류와 변화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

표 3 선행연구 분석표

(7)

나. 연구 주제의 선정 1) 문제 제기

◯ 고등학생의 수면부족 현상

가) 수면 부족으로 인한 학습 효율 퇴보

수면 부족은 우리 몸의 운동 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의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뿐만 아니라 잠을 자는 동안 뇌에서는 기억을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잠 부족은 곧 학습의 퇴보로 이어진다 할 수 있다. 2015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만족도 를 조사한 결과, 피로가 회복될 만큼 잠을 충분하게 잤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27.8%뿐이었다.

청소년 4명 중 3명은 수면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러한 동향은 청소년들의 주간졸음증 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수면습관 개선의 필요성

2015년 서울통계의 '서울 청소년의 건강생활 변화'에 따르면 2015년 서울 청소년이 하루에 학습 등으로 앉아서 보내는 평균 시간은 9시간 52분이었다. 2013년 9시간 27분에 비해 25분 늘어났다. 청소년 주중 평균 수면시간은 2010년 6시간12분에 비해 6분 줄어든 6시간 6분이었 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학업에 치여 갈수록 의자에 앉아 지내는 시간은 늘어나고, 수면시간은 줄어든다. 물리적으로 수면의 시간을 늘리지 못한다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청소년들에 게 필요한 것은 수면가능 시간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 기존 불면증 대안의 문제점

수면하는 동안 우리의 신체와 뇌는 회복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습관으로 수면시간을 줄인다 해도 근본적으로 뇌가 필요로 하는 시간이 정해져있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적인 시간 부족으로 수면 부족에 시달리는 우리에게는 수면 가능한 시간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불면증 환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대안은 ‘약물 복용’이다. 약물 복용의 대표적인 예가 수면제인데, 수면제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호르몬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우리 몸의 사이클과 수면의 질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의 반응시간을 늘리고, 협응

능력을 감소시키며, 기억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우려 속에 다른 대안을 찾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 스트레스와 불면의 관계

불면증의 원인으로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가장 흔히 나타나는 유형은 스트레스성 불면증이 다1). 스트레스성 불면증은 일반적으로 ‘잡생각에 잠이 안 온다.’라는 말처럼 스트레스를 받 아 경직되면서 불면에 이르게 되는 유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최대수면시간 활용을 위 해 스트레스로 인해 경직된 몸을 긴장이완 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2) 대안탐색

우리는 수면 가능한 시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자율 감각 쾌락 반응(ASMR)'을 이용하 려고 한다. ASMR은 최근 들어 불면증을 겪는 많은 이들이 찾는 소리인데, 아직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가 없다. 그래서 이 ASMR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개인적인 편차가 큰 수면 의 특성을 고려해 개인의 특성에 맞는 ASMR을 범주화하려고 한다.

특히 우리가 설계한 ASMR의 입증 방법은 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증명인데, 특히 이 중 뇌 파는 ‘뇌파는 수면과 긴밀한 관련이 있고, 불면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선 수면 뇌파를 안정화 시켜야 한다.’라는 차 의과 대학교 교수의 말이 실린 기사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뇌파 분석은 기존의 수면관련 연구에서 진행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보다 주관성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설문지보다 시설이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되는 표본 집단의 수가 적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뇌파 분석이라는 실험 방법이 본 연구의 강점이자 한계점이라 생각했고, 이를 보 완하기 위해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실험과 심전도 검사(ECG)를 통한 실험도 진행하였다.

3) 주제선정

본 연구는 기존에 나와 있는 ASMR을 분석하고,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과정 이다. 현재 ASMR의 종류는 다양하여 범주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ASMR은 아직까지 과학적으 로 입증된 바가 없다. 그래서 ASMR를 분류하고, 자가보고식 설문지와 생리학적 분석을 이용 해 효과 분석을 해 개개인에 따른 ASMR을 범주화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제이다.

1) 불면증의 종류, 대한 수면 연구 학회, 2004

(8)

다. 연구 방법

연구의 흐름은 아직 과학적으로 분석이 되지 않은 ASMR을 분류하고, 효과를 측정해 결론적 으로 범주화 하는 것이다. ASMR을 분류하는 과정은 크게 물리적 특성 분석과 문화적 특성 분석으로 나눴다. ASMR이 소리라는 점을 이용해 파동 분석을 시도한 것을 물리적 특성 분석이라고 정의하였고,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된 ASMR을 구성 방식에 따라 분석한 것을 문화적 특성 분석이라고 정의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한 ASMR의 유형별 대표 음원을 뽑아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이 방법은 설문측정과 생리학적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특히 생리학적인 분석 방법은 뇌파 분석과 심전도 분석, 두 방법으로 나눠 진행하였다.

뇌파 분석 실험은 차세대 융합 연구원의 이시영 연구원의 자문을 받아 연구소에서 진행하였 다. 결론적으로 두 방법의 결과 값을 통계화하여 개인별 특성, 특히 스트레스별로 효과적인 ASMR을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범주화 한 ASMR 모델을 App으로 제작한 산출물 을 1학년 조수연 학생의 도움을 받아 제작하였다.

연번 연구과정 연구방법 연구내용 담당자

1

ASMR의 특성 분석 및

분류

물리적

특성 분석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펙트럼 분석 및 분류 오승윤 문화적

특성 분석 ASMR의 구성 내용 분석으로 ASMR을 분류 염나은

2

음원별 효과 검증

설문조사 분석

ASMR 듣기 전․후의 우울형용사, 불안지수, PSQI, 스트레스지수, 긴장이완도 설문조사

오승윤 염나은 설문조사 결과 SPSS v.22.0을 이용한 대응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일변량분산분석을 통한 ASMR의 효과 검증하여 음원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로 분석

황혜인 오승윤 염나은

뇌파 검사 분석

ASMR 듣기 전․후의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음원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로 분석

이시영오승윤 염나은 심전도

검사 분석

ASMR 듣기 전․후의 심박율(분당심박수) 변화 측정하여 음원과 스트레스간의 관계로 분석

오승윤 염나은

3 ASMR 범주화 개발된 ASMR의 다운로드수 기준으로 선정하고, 스 트레스별로 효과적인 ASMR을 분류

오승윤 염나은

4 ASMR 추천 APP개발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긴장이완에 효과적인 ASMR

을 추천하는 App 제작 조수연

표 4 연구 방법

라. 연구 활동 및 과정

1) 수면의 양상을 변화시키는 요인 조사

우리의 연구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 효율 증진을 위한 수면 가능 시간 최대 활용방안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면양상을 변화 시키는 요인을 조사 및 탐구하고 그에 맞추어 실험을 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수면에 관여하는 요인에는 물리적인 환경, 질병, 식이요법 등 다방면의 요인이 있지만 우리 가 주목한 것은 심리적 스트레스였다. 그래서 STAI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피 실험자 들의 개인적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이 후 실험 통계를 내면서 실제로 수면지수와 스트레스 지 수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실험에 사용될 음원의 기준 수립

우리가 지적한 ASMR의 허점은 무분별하게 만들어지고 제대로 분류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 었다. ASMR에 관련된 선행연구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ASMR이라는 것에 대한 정의가 무분 별하게 쓰이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음파와 수면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우리가 실험에 사용하고 최종적인 산 출물을 만들 때 쓰일 기준 3가지를 세웠다. 이는 앞서 언급한 ASMR의 3기준안 중 효율성을 만족하기 위해 제작한 기준안이다. 소리의 3요소를 나눠 각각의 기준을 세운 기준안이다. 기준 안의 내용은 표 5와 같이 낮은 진폭, 반복되는 주파수, 보편성이다.

낮은 진폭 크지 않은 소리로, 정서 이완에 도움이 되는 소리여야 한다.

반복되는 주파수 소리에 주기성이 있어 일정한 주파수가 반복되는 소리여야 한다.

보편성 모든 이의 경험 속에 있는 소리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야 한다.

표 5 음원 효율성의 기준

우리는 ASMR의 이상적인 목적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마음을 안정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과정을 돕는 음원은 대부분 낮은 진폭과 주기적인 주파수를 갖 는다는 것2)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게 되어 낮은 진폭과 반복되는 주파수를 음원 효율성의 기 준으로 설정하였다.

2) 유지현(2003)에서 인용

(9)

또한 우리는 소리의 3요소 이외에 ‘음색’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음색은 소리의 맵시에 감정을 고려하여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세 번째 기준으로 보편성을 내세웠다. 이는 이 소리가 많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음색으로 평가되기 위하여 모든 이에게 친근한 소리를 찾는 과정이다. ‘친근함’이라는 것에는 경험이 관여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후의 연구에서 사용하 는 음원을 모든 이들이 경험해 봤을 만한 소리를 담은 음원들을 기준으로 추출하였다.

3) ASMR의 분류

가) ASMR의 물리적 특성 분석

유투브에서 조회 수가 200만이 넘는 ASMR을 임의 추출하여 스펙트럼 분석과 포락선 분석 의 2가지 방법으로 물리적 특성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스펙트럼 분석은 일정구간의 스펙트럼을 정량화하는 방법이고, 포락선 분석은 일정 구간을 정하고 최고, 최저의 주파수 까지 걸리는 시 간의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사용한 프로그램은 sigview와 praat 프로그램이었는데, 이 둘은 모두 음색의 파형을 그려 스펙트럼 값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었다.

그림 3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펙트럼 분석

하지만 ASMR의 파형을 그려본 결과 주기적인 파형을 갖지 않고, 파형 또한 매우 불규칙적 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분석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포락선 분석의 경우 주기 자체 를 정의할 수 없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ASMR을 물리적으로 분류하기 보 다는 ASMR의 내용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나) ASMR의 문화적 특성 분석

ASMR의 사용 실태를 보면 흔히 백색소음과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크게 보면 ASMR 에 백색소음이 포함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는 ASMR이 제작되었다는 것에서 백색소음 과 구분된다고 판단했다. ASMR은 전문 제작 유투버가 있을 정도로 사람들이 제작하여 올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알게 된 것이다. 이렇게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ASMR은 인위적인 특성을 갖게 되는데 이 점이 기존의 백색소음과는 차이점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때 언급 되는 인위적인 특성이란, 생소한 인공적인 소리가 아닌, 자연스러운 소리를 제작했다는 점을 말한다. ASMR의 구분은 그림 4와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했다.

그림 4. ASMR 분류

첫 번째로 ASMR을 이야기 전개성을 가지는 것과 반복되는 소리로 나눴는데, 이는 공통적 으로 일상 속의 소리인 ASMR 중에서 바람소리, 물소리 같은 반복되는 소리와 이야기 전개성 을 가지고 상황극을 연출하는 소리로 나눈 것이다.

반복되는 소리는 기존의 백색소음과 대부분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실제로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백색소음을 ASMR에 포함되는 관계로 취급하였다.

이야기 전개성이 있는 소리는 한 번 더 하위그룹으로 나눴다. 실제 ASMR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때를 보면, ASMR의 제목 옆에 No talking 혹은 talking을 표시해놓았다. 이는 영상의 제작자의 목소리가 가미되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talking의 경우 낮고 작은 소리로 일정하게 이야기 하는 것이 특징이다.

(10)

4) ASMR의 효과 검증 실험 실행

실험은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 분석 실험과 생리학적 변화 측정실험으로 구분되면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험 1.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결과 ASMR을 들은 후 오히려 우울지수와 불안지수가 높아짐. 실험과정 상에 문제가 발견되 어 이를 수정한 실험 2를 계획함.

실험 2.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결과 ASMR을 들은 후 긴장이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나 스트레스별로 음원 의 효과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긴장이완을 위한 환경 조성을 보완한 실험 3를 계획함.

실험 3.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결과 ASMR을 들은 후 긴장이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스트레스가 중간 정도 일 때는 음원 간의 효과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스트레스 상과 하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긴장이완 설문조사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생리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어 실험 4를 진행함.

실험 4.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뇌파검사

실험결과 ASMR을 들은 후 긴장이완과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으로 뇌파가 나타났으나 많은 표 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많은 인원으 르 대상으로 실험하고자 실험 5 심전도검사를 진행함.

실험 5.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심전도검사

◯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 1(이하, 실험 1) (1) 실험방법

기간 2016.07.20. ~ 2016.07.21.

대상 표본집단 보평고 2학년 재학생 중 음원별 30명 무작위 추출, 총 90명3) 설문도구 우울형용사, 상태불안 척도(이하, STAI), 수면 척도(이하, PSQI), 스트레스 지수 분석방법 대응표본 t-검정, ANOVA, ANCOVA를 이용한 스트레스별 음원을 들은 후의

우울형용사, 상태불안 척도(이하, STAI) 변화 정도 분석 표 6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1 실험방법

3) 손충기, 백영균, 박정환 (2006)에서 집단의 사례수를 30이상으로 잡아야 통계 분석가능 함을 알게 됨.

(2) 가설 및 변인 (가) 가설 설정

① ASMR을 들은 후에 학생들의 우울한 정도와 상태불안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

②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우울한 정도와 상태불안의 변화시키는 ASMR 종류 가 다를 것이다.

(나) 변인 설정

조작변인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ASMR음원

- 유투브 조회 수 기준 200만 이상 중 3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음원 선정 talking(일상적인 대화), no talking(지우개 소리), 반복되는 소리(심장 소리) 종속변인 STAI와 우울 형용사 지수 설문지 점수의 음원을 들은 후의 값

통제변인 음원의 종류 외 모든 요인(온도 26도, 보평고 과학실, 소등 상태, 5분 간 진행) 표 7.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 1 변인

그림 5 실험 1의 실험환경

(3) 설문 도구

(가) 한국판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

피 실험자의 실험 전과 후의 우울정서 및 긴장 이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영호(1993)가 제작한 <한국판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는 현 재의 우울정서를 측정하기 위해서 우울한 상태를 나타내는 21개의 형용사와 긍정적인 기분 을 나타내는 11개의 형용사로 구성되어 있고 척도의 점수는 우울 체크된 우울형용사 개수에 다 체크되지 않은 긍정형용사 개수를 더하여 산출된다. 그 산출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해 지고 우울할수록 호르몬의 영향으로 긴장이완이 잘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영호(1999)의 한국판 우울형용사 체크리스트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에서 이 검사가 일시적인 우울상태 를 측정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1)

(나) 상태불안(STAI)

실험 당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1983)의 상태 특 성불안검사(Y형STAI-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Y Form) 가운데 상태불안(State Anxiety)으로 측정하였다. STAI Y형은 상태불안과 기질불안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하고 객관적인 자기보고형의 단일척도로서 Spielberger, Gorsuch, 및 Lushene(1967)에 의해서 1964 년부터 착수되었고 1970년 상태특성불안검사X형(STAI-X;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X Form)을 보완하여 1983년 Spielberger 에 의해 완성되었다.

기질불안은 개인차를 지닌 동기와 획득된 성향으로 평소에 자신이 지니고 있는 비교적 변 하지 않는 지속적인 것인 반면, 상태 불안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 강도가 변화하는 것으 로 주관적, 의식적으로 지각된 감정에 따라 개인이 환경을 지각하여 특수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을 의미하는 것이다4).

이처럼 ASMR에 대한 불안과 긴장상태의 측정을 위해 이 도구를 사용했으며 소리에 대한 연구에 Thaut와 Davis(1993)이외에도 상태 불안 검사의 많은 사용이 있었다(Logan &

Robert,1984; Sandrock & James, 1989; Thaut와Davis, 1989, Liebman & Maclearen, 1991;

Robb et all, 1995; Hammer, 1996). 상태불안은 10개의 부정적 문항과 10개의 긍정적 문항으 로 총 20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Liker식의 4점 척도로 되어있다. 점수는 최저 20점 에서 최고 8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상태불안은 신 뢰도가 (Cronbach's Alpha 계수로)α=.86이다. 국내에서 본 도구의 표준화 작업이 한덕웅, 이 창호, 전겸구, 그리고 Spielberger(2000)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 수로 α=.92였다

(다) PSQI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 Buysse et al.1989)는 1989년 Buysse에 의해 개발된 이래 수 면 질과 수면 방해의 일시적 변화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중요한 수면 측정 도구 중 하나로 활용된다.(Christopher et al,2003).PSQI는 표준화된 이후 많은 의학 분야 연구에 주로 사용이 되어 왔고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수면 질의 연구에서도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 다.(Brown,2002 재인용) 척도가 개발될 당시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83이었고 검사-재검사 신 뢰도는 85였다.

4) 류리, 2001

(라) 스트레스 지수

1996년 Yim 등[11]에 의해서 개발된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의 한 국어판으로 외래에서 간단히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스트레스 평가척도로 총 5가지 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0-4 점)의 점수를 합하여 평균을 구한다. 신뢰도 조사에서 검사- 재검사법의 신뢰도 계수는 0.68이었으며, 내적일치도(Cronbachʼsα)는 0.80으로 조사되었다.

◯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 2(이하, 실험 2)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확인 실험 1”을 분석한 결과, ASMR이 오히려 우울함과 불안감을 높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 ASMR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우리의 가설과는 상반되는 결과로, 실험 1을 재검토 한 결과 문제점을 발견해 표 8과 같 이 일부 수정 후 재 실험하였다.

실험 1 실험 2

ASMR

친숙도 실험 당일 처음 접한 ASMR 일주일 간 ASMR을 들으며 수면일지를 작성하기 변인통제 통제되지 않은 조명, 남녀비율 각 요인별로 맞춘 조명, 남녀비율

검사도구 우울, 불안의 간접적인 척도 긴장이완의 직접적인 척도

표 8 실험 1을 보완한 실험 2 설계

우선 실험 대상자들의 ASMR 친숙도가 낮은 것이 문제였다. 약 일주일간 수면일지를 쓰면 서 피 실험자들에게 음원을 들으며 적응하는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검사 도구 또한 간접적인 불안지수와 우울지수로 분석하는 대신 실험 2에서는 직접적으로 긴장이완 척도를 검사하여 이 러한 위험 요소를 줄였다. 또한 실험 1에서 조명등의 실험환경이나 남녀 구성비에 대한 변인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판단해 이 점을 개선해서 실험 2를 진행하였다.

(1) 실험방법

기간 2016.09.01. ~ 2016.09.07.

대상 표본집단 보평고 2학년 재학생 중 음원별 25명 무작위 추출, 총 75명 설문도구 긴장이완 척도, 수면 척도(이하, PSQI), 스트레스 지수 등 3개 설문도구 분석방법 대응표본 t-검정, ANOVA, ANCOVA를 이용한 스트레스별 음원을 들은 후의

긴장이완도 변화 정도 분석

표 9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2 실험방법

(12)

(2) 가설 및 변인 (가) 가설 설정

① ASMR을 들은 후에 학생들의 긴장이완도가 높아질 것이다.

②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긴장이완도를 높이는 ASMR 종류가 다를 것이다.

(나) 변인 설정

조작변인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ASMR음원

종속변인 긴장이완도 설문지 점수의 음원을 들은 후의 값

통제변인 음원의 종류 외 모든 요인(온도 26도, 보평고 과학실, 소등 상태, 5분 간 진행) 표 10.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 2 변인

각 영역 별 음원을 유투브 조회수 100만을 넘긴 영상을 기준으로 구독자가 많은 순서대로 각각 1개의 음원을 추출하였다. talking의 경우 dana asmr의 [한국어 상황극 ASMR] 친구야 귀 파줄게 :) Ear Cleaning RP, no talking의 경우, message asmr의 ASMR Touch Tapping 5.5 No Talking Just Relaxation, 반복되는 소리의 경우 before sunrise asmr의 [2 Hours ASMR] 밤 늦 게 공부할 때 듣기 좋은 자연의 소리 Nature Sound for late night study 음원을 채택하였다.

종류 음원 이름 조회수

Talking (DANA

ASMR 중)

한국어 상황극 ASMR 친구야 귀파줄게 2,627,766회

한국어 ASMR 노랑통닭 잇팅사운드 2,288,196회

Mouth Sounds, Lip Smacking 1,562,677회

No -Talking

ASMR 10 Hours of Tapping, Crinkle & Trigger Sounds - No

Talking Just Sounds- massage asmr 7,419,702회 ASMR Soft Spoken Personal Attention 6,603,621회 Soft/Slow Breathing, SkSkSk, Kissing 3,877,382회 반복

되는 소리

밤 늦게 공부할 때 듣기 좋은 자연의 소리 109,072회

차 안에서 듣는 조용한 빗소리 8,600회

비오는 날 쉬면서 듣기 좋은 ASMR 2,365회

표 11 선정한 음원의 조회수 비교

(3) 설문도구

학생들의 긴장이완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Smith(1998c)가 고안한 이완 상태검사인 SRSI(Smith's Relaxation States Inventory)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긴장이완 훈련으로 인해

개인이 경험하는 긴장이완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모두 18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문항들은 졸음, 신체적 이완, 걱정, 심리적 안정, 즐거움, 사랑받음 등의 하위영역을 측정한 다. 각 문항은 Likert식의 4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최저 16점 최고 7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 록 긴장이 이완된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ASMR 종류별 긴장이완 효과 검증 실험 3(이하, 실험 3) 실험 2 결과 음원을 들은 후 긴장이완도는 높아졌으나 스트레스 별로 음원 간의 긴장이완도 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긴장이완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어 실험 2와 모든 방법이 동일하지만, 측정 장소를 보평고등학교 여교사 휴게실을 빌려 이불을 덮고 누워 있는 상태에서 5분간 휴식 후 긴장이완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음원을 5분간 들은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 생리학적 뇌파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실험 4)

실험 1과 2와 달리 실험 3은 뇌파 분석을 통해 ASMR의 경향성을 보는 방법으로, 앞서 진 행한 자가 보고식 설문지 보다 객관적인 지표 해석을 위해 진행하였다.

(1) 실험방법

기간 2016.10.7.~2016.10.8.

대상 표본집단 보평고 2학년 재학생 중 음원별 6명 무작위 추출, 총 18명 측정도구 Neuro Scan

분석방법 뇌파 값을 Power Spectrum Analysis을 이용 분석 표 12 생리학적 뇌파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 방법

(2) 가설 및 변인 (가) 가설 설정

① 스트레스 완화와 긴장이완에 ASMR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② 스트레스가 높은 피 실험자일수록 ASMR에 큰 효과를 가지는 경향성을 가질 것이다.

(13)

③ 피 실험자의 스트레스 수준 별로 효과적인 ASMR의 종류가 다른 경향성을 보일 것이다 (나) 변인 설정

조작변인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ASMR음원 종속변인 alpha, high-beta, theta파의 스펙트럼 값

통제변인 음원의 종류 외 모든 요인(차세대 융합 기술 연구원 뇌파 실험실) 표 13. 생리학적 뇌파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 변인 설정

피 실험자에게 사전에 눈 깜빡임과 손이나 머리 움직임을 자제하고 정확한 실험값을 위해 잠들지 말라는 주의사항을 공지하였고, 전극은 피 실험자 전전두엽 (각각 아래 그림에서 Fp1, Fp2부위), 전 두엽 (각각 아래 그림에서 F3, F4 부위) 부위에 총 4개의 전극을 설치하였다.

◯ 생리학적 심전도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실험 5)

앞서 진행한 자가보고식 설문지 실험의 주관성과 뇌파분석 실험의 적은 표본 수를 보완하 기 위해 심전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앞선 실험과 달리 이번 실험에선 설문과 생리학적 측정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며, 그 표본 집단의 수는 72명이었다.

(1) 실험방법

기간 2016.11.9.~2016.11.16.

대상 표본집단 보평고 2학년 재학생 중 무작위 추출, 총 72명 측정도구 MBL 심전도 센서

분석방법 심전도 값을 heart rate variabillity을 이용 분석 표 14 생리학적 심전도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 방법

그림 6. 뇌파측정 전극을 붙인 부위

(2) 가설 및 변인 (가) 가설 설정

④ 긴장이완에 ASMR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⑤ 스트레스가 높은 피 실험자일수록 ASMR에 큰 효과를 가지는 경향성을 가질 것이다.

⑥ 피 실험자의 스트레스 수준 별로 효과적인 ASMR의 종류가 다른 경향성을 보일 것이다 (나) 변인 설정

조작변인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한 ASMR음원 종속변인 ASMR 음원을 들은 후 심박율

통제변인 음원의 종류를 제외한 모든 요인(보평고 여교사 휴게실 침상에서 실험을 진행) 표 15. 생리학적 심전도분석을 통한 ASMR 범주화 실험 변인설정

피 실험자에게 사전에 눈 깜빡임과 손이나 머리 움직임을 자제하고 정확한 실험값을 위해 잠들지 말라는 주의사항을 공지하였고, 심전도센서의 전극은 피 실험자 왼쪽 손목과 오른쪽 손목, 오른쪽 팔꿈치 부위에 총 3개를 설치하였다.

그림 7. 심전도 전극 설치 부위

(14)

3. 연구 결과 및 시사점 5) 연구 결과

총 3번의 설문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뇌파 분석, 그리고 심전도 분석까지 총 5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설문 통계 분석은 SPSS v.22.0을 이용해 대응표본t-검정과 ANOVA분석을 실시했다. 뇌파 분석은 표본 집단 수가 적어 경향성만 파악하였고, 심전도 분석에서 각 스트레 스별, 음원별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1차 음원 실험

ASMR을 듣기 전과 후의 우울형용사와 불안지수(STAI)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 해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N 사전검사 사후검사

t값 유의도

M SD M SD

우울형용사 108 12.13 6.83872 17.40 6.00006 -6.506 .000 불안지수 108 45.95 10.74460 49.64 10.65821 -2.727 .007 표 16 . ASMR을 듣기 전후의 우울형용사, 불안지수 대응표본 t-검정 결과

ASMR을 듣기 전후의 우울형용사와 불안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p<.01) 증 가하여 ASMR이 우울과 불안지수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가설과는 상반된 결과이다. 이에 1차 실험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오류를 수정해 2차 실험을 진행하였다.

○ 2차 음원 실험

1) 음원을 듣기 전과 들은 후 긴장이완도 변화 비교

음원의 종류가 긴장이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음원별로 30여명을 배 치하고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 검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활용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제거하다보니 음원별 참가자수가 30명 보다 적게 되었다.

ASMR을 듣기 전에 비해 들은 후에 긴장이완도가 증가하였는데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ASMR이 긴장이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음(p<.01)을 알 수 있다.

N 사전검사 사후검사

t값 유의도

M SD M SD

긴장이완도 71 52.86 8.292 58.77 9.688 -5.945 .000 표 17 . ASMR을 듣기 전후의 긴장이완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2) 집단의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 검증

사후 긴장이완도의 음원집단별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분석방법으로 ANOVA분석을 하기 위해 서는 집단의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이 만족되어야 한다. 2학년 모집단 전체 중 임의로 선발 한 집단을 임의로 음원 1, 2, 3에 편성하였으므로 각 집단은 독립적이다. 또한 정규성 검정 결 과 사전, 사후 긴장이완도가 Shapiro-Wilk에서 유의확률이 모두 0.05보다 이상이므로 정규성을 만족한다. 이때의 음원 1은 No- talking, 음원 2는 반복되는 소리, 음원 3은 Talking 유형의 ASMR음원이었다.

Kolmogorov-Smirnova Shapiro-Wilk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긴장이완도사후

1 0.106 24 .200* 0.980 24 0.902

2 0.162 24 0.105 0.948 24 0.239

3 0.087 23 .200* 0.985 23 0.970

표 18. 긴장 이완도의 정규성 검정 결과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사전긴장이완도(p=0.935)와 사후긴장이완(p=0.283)는 P>0.05를 만족하므로 등분산성을 만족하였다.

Levene 통계량 자유도1 자유도2 유의확률

사후긴장이완도 1.285 2 68 0.283

표 19. 긴장 이완도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3) ASMR 종류에 따른 긴장이완도 변화 ANOVA 분석결과

어떤 음원이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원을 독립변인으로, 사후긴장이완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는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를 실시한 결과 음원2번이 3번에 비해 확연하게 긴장이완에 효과적(p<.05)이었으며 음원 1 (No-talking)과 2(반복되는 소리), 1 (No-talking) 과 3 (talking)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원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1 24 53.21 8.638 59.46 7.169

2 24 55.42 7.354 61.88 10.169

3 23 49.83 8.206 54.83 10.465

표 20. 음원에 따른 긴장이완도 사전. 사후 검사 결과

(15)

구분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사후

긴장 이완도

집단-간 600.507 2 300.253 3.420 0.038

집단-내 5969.888 68 87.792    

전체 6570.394 70      

표 21. 긴장 이완도 ANOVA 분석 결과

음원 평균차이(I-J) 표준오차 유의확률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2.417 2.705 0.646 -8.90 4.06

3 4.632 2.734 0.215 -1.92 11.18

2 1 2.417 2.705 0.646 -4.06 8.90

3 7.049* 2.734 0.032 0.50 13.60

3 1 -4.632 2.734 0.215 -11.18 1.92

2 -7.049* 2.734 0.032 -13.60 -0.50

*. 평균차이는 0.05 수준에서 유의합니다.

표 22. 사후분석 다중비교 Tukey HSD 결과

즉, 음원 2 (반복되는 소리)는 음원 3 (talking)에 비해 유의미하게 긴장이완도 변화에 영향 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4) 긴장이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상관관계분석

긴장이완도는 개인의 특성이므로 각종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사후 긴장이 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PSQI 스트레스지수 사전긴장이완도 사후긴장이완도 음원 Pearson 상관 -0.210 -0.028 -0.164 -0.193

유의확률(양측) 0.079 0.818 0.171 0.107

N 71 71 71 71

PSQI Pearson 상관 .266* 0.086 0.060

유의확률 (양측) 0.025 0.475 0.619

N 71 71 71

스트레스

지수 Pearson 상관 -0.153 -0.099

유의확률 (양측) 0.204 0.411

N 71 71

사전 이완도긴장

Pearson 상관 .575**

유의도 0.000

N 71

*. 상관관계가 0.05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 상관관계가 0.01 수준에서 유의합니다(양측).

표 23. 음원, PSQI, 스트레스지수, 사전긴장이완도, 사후긴장이완도 간의 상관관계

PSQI와 스트레스지수 간의 상관관계(p=0.025)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긴장 이완도가 사후긴장이완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p=0.000)를 나타냈다.

○ 3차 음원 실험

ASMR의 종류가 긴장이완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음원별로 30여명을 배치하고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 검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활 용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제거하다보니 음원별 참가자수가 30명 보다 적게 되었다. 일원분산분석 전에 사전․사후 긴장이완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두 설문 결과 요인 배치가 다르고 신뢰도도 낮게 나타나는 설문 문항을 삭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였다.

1) ASMR을 듣기 전과 들은 후 긴장이완도 변화 비교

ASMR을 듣기 전에 비해 들은 후에 긴장이완도가 증가하였는데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음원을 들은 후에 긴장이완도가 유의미하게(p<.05) 높아져 ASMR이 긴장이완에 효과적임 을 알 수 있다.

N 사전검사 사후검사

t값 유의도

M SD M SD

긴장이완도 71 52.9365 9.88298 56.2857 11.62510 -2.187 .035 표 24 . ASMR을 듣기 전후의 긴장이완도 대응표본 t-검정 결과

(16)

2) 집단의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 검증

사후 긴장이완도의 음원집단별 차이를 비교하는 통계분석방법으로 ANOVA 분석을 하기 위 해서는 집단의 독립성, 정규성, 등분산성이 만족되어야 하는데, 2학년 모집단 전체 중 임의로 선발한 집단을 임의로 음원 1, 2, 3에 편성하였으므로 각 집단은 독립적이다. 또한 정규성 검정 결과 사전, 사후 긴장이완도가 Shapiro-Wilk에서 유의확률이 모두 0.05보다 이상으로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의 동질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스트레스 상일 때 사후 긴장 이완도의 p=0.183, 스트레스 중일 때 p=0.853로 P>0.05, 스트레스 하일 때는 p=.067로 만족하므 로 등분산성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때의 음원 1은 No- talking, 음원 2는 Talking, 음원 3은 반복되는 소리 유형의 ASMR음원 이었다.

3) ASMR 종류에 따른 긴장이완도 변화 일변량분산분석(ANCOVA) 결과

스트레스 정도 별로 어떤 ASMR이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스를 상중하로 3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스트레스 그룹별로 음원 1,2,3을 분석하려고 하니 표집수가 너 무 적어 통계적 오류에 빠질 수가 있어 실험 2와 3의 설문결과를 모두 모아 표본 수를 늘려 SPSS v.22.0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2와 3은 긴장이완 정도에 미칠 수 있는 환경 조건이 조금 다르지만, 실생활 속에서도 이정도 차이는 존재하므로 사전 긴장이완도를 공변량으로 두고 사후긴장이완도를 음원별로 분석하였다.

스트레스가 상과 중일 때 어떤 음원이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ASMR 종류를 독 립변인으로, 사후긴장이완도를 종속변인으로, 사후긴장이완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사전 긴장이완도를 공변량으로 둔 일변량분산분석(ANCOVA) 결과, 표 31과 32와 같이 음원 에 대한 특이성 없이 음원을 들은 후 모두 긴장이완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변량원 SS df MS F P

주효과 255.310 1 255.310 2.619 .115

공변인(사전긴장이완도) 1628.042 1 1628.042 16.703 .000 음원(1,2,3) 285.897 2 142.948 1.467 .245

오차 3216.539 33 97.471

전체 118496.000 37

표 25. 스트레스가 상일 때 ASMR 종류별 사후긴장이완도 일변량분산분석 결과

변량원 SS df MS F P

주효과 2107.502 1 2107.502 32.054 .000

공변인(사전긴장이완도) 864.305 1 864.305 13.146 .001 음원(1,2,3) 88.109 2 44.054 .670 .516

오차 3747.624 57 65.748

전체 220756.000 61

표 26. 스트레스가 중일 때 ASMR 종류별 사후긴장이완도 일변량분산분석 결과

스트레스가 하일 때는 음원을 독립변인으로, 긴장이완도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일원배 치분산분석(ANOVA)에서는 음원 2 (talking)의 사후긴장이완도가 음원 3 (반복되는 소 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p<0.05)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구분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사후 긴장 이완도

집단-간 876.695 2 438.347 3.650 .037

집단-내 3962.944 33 120.089

전체 4839.639 35

표 27. 스트레스가 하일 때 ASMR 종류별 사후긴장 이완도 일변량분산분석 결과

음원 평균차이(I-J) 표준오차 유의확률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7.26923 4.38692 .267 -18.5136 3.9752

3 4.68182 4.57435 .597 -7.0430 16.4066

2 1 7.26923 4.38692 .267 -3.9752 18.5136

3 11.95105* 4.48941 .040 .4439 23.4582

3 1 -4.68182 4.57435 .597 -16.4066 7.0430

2 -11.95105* 4.48941 .040 -23.4582 -.4439

*. 평균차이는 0.05 수준에서 유의합니다.

표 28. 사후분석 다중비교 결과

사후긴장이완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사전긴장이완도를 공변량으로 둔 일변량분산분석 (ANCOVA)에서는 음원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17)

변량원 SS df MS F P

주효과 1601.294 1 1601.294 13.784 .001

공변인(사전긴장이완도) 245.477 1 245.477 2.113 .156 음원(1,2,3) 598.091 2 299.046 2.574 .092

오차 3717.467 32 116.171

전체 120553.000 36

표 29. 스트레스가 하일 때 ASMR 종류별 사후긴장이완도 일변량분산분석 결과

○ ASMR에 대한 뇌파 분석

ASMR을 통해 고등학생들의 긴장 이완 및 수면 유도에 도움이 되는지 알기 위해 스트레스 지수와 음원 별로 나눈 학생들의 알파파, 하이 베타파, 그리고 세타파를 각각 분석하였다.

Neuro Scan을 이용하여 각각의 뇌파 값을 Power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나온 뇌파 값에 대해 전두엽 쪽에 꽂은 두 채널의 평균값과 전전두엽 쪽에 꽂은 두 채널 의 평균값이 듣기 전과 후의 비율 값을 알아냈다. 그 후 9개의 각 집단들에 대해 그 비율들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였다.

1) Alpha wave

Alpha wave (8-13 hz) / 측정 전후 비교

전두엽 전전두엽 전두엽 전전두엽

1 0.8768724926 1.3929883114 상 0.73784249796 0.87168024672 2 0.73986402553 0.79306173072 중 1.0585982838 1.2652334496 3 0.72465258137 1.0375828621 하 0.54494831771 1.0867192079

전전두엽 긴장이완순위 전두엽 순위

상1 0.90277604028 3 상1 1.1054258245 x

상2 0.76351264309 2 상2 0.80056818026 2 상3 0.54723881053 1 상3 0.70904673544 1

중1 1.0358311208 x 중1 2.0720780479 x

중2 1.045587203 x 중2 0.89320797638 2

중3 1.0943765276 x 중3 0.83041432447 1

하1 0.6920103167 3 하1 1.0014610619 x

하2 0.41049223048 1 하2 0.68540903552 1

하3 0.53234240597 2 하3 1.5732875264 x

표 30 뇌파 검사 알파파 파형 분석 결과

*상3은 스트레스 상 상태의 사람이 ASMR 음원 3(No talking)번을 들은 후의 뇌파 검사 결과이다.

알파파는 수면과 긴장이완에 관련한 뇌파로, 수면에 접어들 때, 긴장이완 상태에서 감소한다.

위 표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음원 1은 반복되는 소리, 음원 2는 TAlking, 음원 3은 No talking 유형의 ASMR음원이다.

첫째, 1,2,3번 음원은 전전두엽의 alpha wave를 감소시켰으며 이는 긴장이완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일 때, 음원 3,2,1 순으로 긴장이완이 되었다.

셋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하일 때, 음원 2,3,1 순으로 긴장이완이 되었다.

넷째, 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일 때 음원 3,2 순으로, 스트레스가 중일 때, 음원 3,2 순 으로, 스트레스가 하일 때, 음원 2번만 긴장이완이 되었다.

검사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은 전반적인 알파파의 감소로 ASMR이 긴장이완에 도움을 주어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2) High-Beta wave

High-beta wave (20-28 hz) / 측정 전후 비교

전전두엽 전두엽 전전두엽 전두엽

1 0.9554788967 0.9443598366 상 0.63370931569 1.2726350703 2 0.61846673669 0.4974829016 중 0.8760002549 1.0900796719 3 0.67479415208 1.6167944529 하 0.73903021488 0.69592244894

전전두엽 긴장이완순위 전두엽 순위

상1 0.76195440119 3 상1 0.67761380848 2 상2 0.62240124741 2 상2 0.66132960861 1 상3 0.51677229848 1 상3 2.4789617937 x

중1 1.0156747482 x 중1 0.96803556794 2

중2 0.61422609729 1 중2 0.40244813941 1 중3 0.99809991922 2 중3 1.8997553083 x

하1 1.0888075407 x 하1 1.1874301334 x

하2 0.61877286539 2 하2 0.42867095677 1 하3 0.50951023853 1 하3 0.47166625669 2 표 33 뇌파 검사 베타파 파형 분석 결과

(18)

하이베타파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뇌파로 스트레스 상태에서 증가하는데, 위의 표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음원 1은 반복되는 소리, 음원 2는 TAlking, 음원 3은 No talking 유형의 ASMR음원이다.

첫째, 1,2,3번 음원은 전전두엽의 high beta wave를 감소시킨다.

둘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일 때 3,2,1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셋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중일 때 3,2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넷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하일 때 3,2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다섯째, 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일 때 2,1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여섯째, 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중일 때 2,1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일곱째, 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하일 때 2,3 순으로 스트레스가 완화되었다.

검사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은 전반적인 하이베타파의 감소로 ASMR이 스트레스 완 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3) Theta Wave

Theta wave (4-8 hz) / 측정 전후 비교

전전두엽 전두엽 전전두엽 전두엽

1 0.80988121731 1.0714820179 상 1.1225003154 1.9170673374 2 0.61099138612 0.97840388739 중 0.95848108834 1.0058988487 3 1.2161023261 1.9643737769 하 0.55599352574 1.0912934961

전전두엽 수면순위 전두엽 수면순위

상1 0.78698172853 x 상1 0.80221549945 x

상2 0.80214690442 x 상2 1.1755522299 2

상3 1.7783723133 1 상3 3.7734342828 1

중1 0.66061212393 x 중1 0.64183261741 x 중2 0.60704444961 x 중2 0.74829323228 x

중3 1.6077866915 1 중3 1.6275706965 1

하1 0.98204979947 x 하1 1.7703979368 1

하2 0.42378280433 x 하2 1.0113661999 2

하3 0.26214797341 x 하3 0.49211635142 x 표 34 뇌파 검사 세타파 파형 분석 결과

세타파는 수면과 긴장이완에 관련한 뇌파로, 수면이 깊어질 때, 긴장이완 상태에서 감소한다.

위 표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음원 1은 반복되는 소리, 음원 2는 TAlking, 음원 3은 No talking 유형의 ASMR음원이다.

첫째, 3번 음원은 전전두엽의 theta wave를 증가시킨다.

둘째, 전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 중 일 때 음원 3번만 긴장이완이 되었다.

셋째, 전두엽에서는 스트레스가 상일 때 음원 3,2 순으로, 스트레스가 중일 때 음원 3번만, 스트레스가 하일 때 음원 1,2 순으로 긴장이완이 되었다.

검사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은 전반적인 세타파의 감소로 ASMR이 긴장이완에 도움을 주어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위의 세 가지 뇌파 검사 결과를 모두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레스

적합한 ASMR

긴장이완과 수면 스트레스 완화

상 No talking No talking , talking 중 No talking No talking , talking 하 talking, 반복되는 소리 No talking , talking 표 35 스트레스별 긴장이완과 수면, 스트레스 완화에 적합한 ASMR 종류

○ 심전도 분석

ASMR이 긴장 이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심전도 분석을 72명 대상으로 실 시하였으나 사전심박율이나 심박율 변화가 비정상적으로 측정된 표본을 제거하니 64명 이 되었다. 음원을 듣기 전후의 심박율을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했을 때 음원을 들 은 후에 심박율이 유의미하게(p<.01) 낮아져 긴장이 이완되었음을 알 수 있다.

N 사전검사 사후검사

M SD M SD 유의도

심박율 64 82.0313 33.08045 67.5313 13.44001 .001

표 36 . ASMR을 듣기 전후의 심박율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각 음원 별로 스트레스 상, 중, 하 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학생들 중 스트 레스가 상 표본이 상대적으로 적어 각 집단마다 표본 숫자에 차이가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철근에 해당하는 것은 교원 섬유로 짜여진 바구니이며, 그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시멘트에 해당하는 것이 골질이다.. 골질은 탄산 칼슘·인산 칼슘

4번의 설문조사 끝에 별빛 예술제는 문화, 예술과 과학을 융합하여 과학의 흥미를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다른 천체 관측 행사에 참여하겠다는

혈장과 세균, 감염 예방에 대한 키워드로 논문을 조사해보면 대부분 병에 걸렸을 때 혈장 의 변화, 헌혈 후 세균의 오염가능성 등에 대한 논문이며, 영어

Ÿ 점도가 높은 액제의 단위시간당 이동거리가 달라짐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 하여 점도에 따는 혈액점도 측정용 종이미세유체칩 개발 및 실제 혈액을 통해

전체의 2%만 수지로 구성돼 있고, 나머지는 공기층이어서 자원절약형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물에 젖으면 완충, 단열, 포장등의

대덕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미적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내용을 제일 어려워하는가에 대해서

이에 최적의 정유 추출조건을 산출하여 산업계에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 겨울철에 학교뿐만 아니라 천장형 난방기를 사용 중인 실내에서 적은 비용만으로도 히터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 천장형 난방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