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별기고]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특별기고]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1"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1

나종걸

이화여자대학교 jgna@ewha.ac.kr

1. 팀명: 석유화학공정을 대체할 4차 산업 형 end-to-end 청정화합물 생산 시스템 연구 그룹

본 팀은 지구 온난화, 해양 산성화 및 생태계 파 괴를 포함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통 석유 화학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청정화합물 생산 시스 템에 대한 거시적 논의를 이루고 그 방법론에 관한 4차 산업형 원천연구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청정화합물 생산 기술 및 공정에 관련 된 몇 가지 가시적인 공동연구 발판을 마련하는 결 과를 얻게 되어 매우 의미 있는 사업이었다고 생각 한다.

2. 팀장 및 구성원 정보

기관명 전공 성명 직위/

직급 E-mail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부 공정시스템 (팀장)

나종걸 조교수 jgna@ewha.ac.kr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계산화학 백서인 조교수 sback@sogang.ac.kr 국민대학교

응용화학부

촉매소재 및 전기화학

이찬우 조교수 cwlee1@kookmin.ac.kr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에너지연구센터 공정시스템 이웅 선임

연구원 ulee@kist.re.kr 한국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전주기평가 안진주 선임

연구원 jjan@krict.re.kr

3. 수행내용 및 성과

본 사업을 통해서 이루고자 했던 일차적인 목표 는 전기화학 기반 청정화합물 생산 시스템 관련 최신 기술과 촉매-반응기-공정 시스템을 아우르며 설계 할 수 있는 개념설계 기법과 전주기평가 방법론을 모 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여러 번의 세미나와 회 의를 진행하고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였으나, 2020년 COVID-19라는 펜데믹이 전 세계를 강타하며 일상적 인 대면 행사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없었다. 본 팀 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 내에서도 최대한의 연구 교류 를 수행하기 위해 위 내용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Joint Symposium 1회를 대면/비대면 포맷으로 모두 준비하 였고, 다행스럽게도 국내 상황이 매우 좋았던 7월 중 에 대면 포맷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할 수 있었다.

해당 심포지엄은 “Future Visions of Process Systems Engineering”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화학 시 스템을 위한 멀티스케일 접근법과 자율공정시스템 두 세션으로 나눠 총 6개의 대학 및 연구소 기관 (이 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국민대학교, 서울대학 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의 연사 들을 모시고 강연을 듣는 시간을 가졌다. 멀티스케 일 접근법에서는 특히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환원 에 대한 양자계산, 반응기해석, 공정설계, 전주기평 가를 모두 아우르는 주제로 강연이 이어져 청중들 로 하여금 특정 도메인 지식이 매우 다양하게 접근

(2)

될 수 있다는 큰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

특히, 본 팀원들의 활약이 돋보였는데 서강대 학교 백서인 교수는 “Rational Electrocatalyst Design Through Atomic Simulations”라는 제목으로 DFT 가 전기화학촉매 설계에 사용되는 방법을 소개 하였고 국민대학교 이찬우 교수는 “Converting Carbon Dioxide to C1 and C2 Chemicals at the Electrochemical Interfaces”라는 주제를 통해 현재 이 산화탄소 환원을 통한 유용화합물 생산 기술이 상 용화 단계에 가까웠음을 알렸다. 또한, 한국과학기 술연구원 소속 이웅 선임연구원은 “Towar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atalytic CO2 Conversion for Value Added Chemical Production”이라는 강연을 통해 이 산화탄소 환원기술을 실제 파일럿 수준에서 구 현된 사례를 보임으로 기술이전의 가능성을 보였 고 한국화학연구원 안진주 선임연구원은 “Green Gas Emission Accounting of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Technologies: Methodology and Lessons Learnt”강연을 통해서 전주기평가를 통해 위 기술들 이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 책연구를 통해 어떤 시사점들이 있는지를 소개함으 로써 연구자들이 간과할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한 정 리를 도왔다.

이후, 이어진 자율공정시스템 세션에서는 서울

대학교 이종민 교수님께서 특별강연으로 강화학 습이 화학 공정을 설계하고 또 제어시스템을 구축 하는 데 있어서 완전히 새로운 결과들을 낸다는 것 을 소개해 주심으로서,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시 스템 설계를 하는 시대가 멀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 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계학습 기반 인공지능 기법들이 공정설계, 제어, 운전 및 분석 등에 적용 되는 다양한 사례들을 연사들이 소개함으로써 4차 산업형 설계기법에 대한 실체를 조금은 구체화해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을 보내었다.

본 심포지엄은 약 10개교의 다양한 학생들과 교 수님들이 참석해주시어 총 100여 명의 청중과 함께 해 크게 흥행하였다. 이는 해당 주제가 현재 많은 연구자가 관심 있게 보고 있다는 의미이자 그와 비 례하는 부담감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는 중요한 사 명을 우리 모두 짊어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시간이 었다. 본 심포지엄을 개최하는데, 물심양면으로 도 움을 주신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전공 교 수님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이원보 교수님 과 이종민 교수님, 그리고 closing remark를 맡아주 신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문일 교수님께 특별 히 감사드리며 참석해주신 공정시스템부문위원회 회원 및 여러 필드에 계신 다양한 연구자분들께 감 사드린다.

그림 1.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주최하고 한국화학공학회와 공정시스템부문위원회에서 후원하여 개최된 2020 Young Researcher Joint

Symposium.

(3)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2

유승호

고려대학교 seunghoyu@korea.ac.kr

1. 그룹명: Nano/Energy Materials for Wearable Electronics

2. 구성원

본 그룹의 구성원 정보는 표 1과 같으며, 전원 2020년 한국화학공학회 정회원으로 구성되었다.

3. 목표

가. 웨어러블 유연전자소자 시스템에 적합한 차세 대 나노/에너지 화공소재 개발: 입을 수 있는 형 태의 에너지 저장/변환 나노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나. 다양한 소재분석법을 통한 메커니즘 분석 툴 개 발: 실시간 분광분석 및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통한 소재의 제조 메커니즘 분석

다. 나노/에너지 화공재료 관련 최신 연구 동향 및 시장요구 파악 수요자 중심의 연구 주제 발굴 및 공동연구 추진

라. 신진 연구자들 간의 학술교류 활성화를 통한 연 구 네트워크 구축 및 학회 활동 활성화

4. 수행내용

총 5차에 걸친 연구회 회의를 진행하였고, 각 회

표 1. 그룹구성원 소개

이름 소속 전공 분야 이메일

유승호 (그룹장)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고용량 리튬이온전지 전극 개발 - 차세대 이차전지 시스템 개발

- 오페란도 (operando) 엑스선(X-ray) 분석

seunghoyu@korea.ac.kr

이지은 전남대학교 화학공학과

- 나노구조 기반의 열전재료 개발 - 열전기술 기반 냉각/발전 소자개발 - 열전소자 응용 및 시스템 개발

jelee@chonnam.ac.kr

최문기 UNIST 신소재공학부

- 웨어러블/생체삽입형 전자소자 개발 - 초박형 디스플레이 개발

- 생체고분자 기반의 원격제어 가능한 소프트로봇 개발

mkchoi@unist.ac.kr

김재엽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전기화학 공정 개발 및 분석

-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양자점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 태양광 물분해 및 수소생산

jykim@dankook.ac.kr

양지웅 DGIST 에너지공학과

- 무기 나노입자 합성 공정 개발

- 반도체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전자소자 개발 (QLED, 태양전지) - in-situ TEM을 이용한 나노스케일 동적현상 분석

jiwoongyang@dgist.ac.kr

(4)

의 주요 논의사항을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하였다.

5. 총평 및 소감

유승호 교수(고려대학교)

Young Researcher Group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화학공학 나노/에너지 재료 분야의 신진 연구자들 이 만나, 그룹 구성원들과 공동연구로 연결될 수 있 는 아주 좋은 기회들을 가졌습니다. 그룹 구성원 모 두 교수 임용이 되기 전부터 잘 알던 사이지만, 거 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만 나도 세부적인 연구 분야가 달라 연구적으로 아주 자세한 이야기를 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연구 교류 를 목적으로 만난 이번 모임들을 통하여 그룹 구성 원들의 연구를 더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었고, 어떻 게 나의 연구와 융합하여 지금껏 하지 않았던 새로 운 연구로 개발할 것인지에 관해 구성원들과 논의

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웨어러블 유연전자소자 시 스템에 적합한 차세대 나노/에너지 화공소재 개발 에 관심이 있어, 본 그룹 구성원들과 고성능의 웨어 러블 배터리 개발 연구를 추진 중입니다. 마지막으 로 이 프로그램을 지원해준 한국화학공학회와 참여 한 그룹 구성원들, 이지은 교수님, 김재엽 교수님, 최문기 교수님, 양지웅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지은 교수(전남대학교)

우리 연구그룹은 나노재료를 바탕으로 하여 플 렉서블 소자와 에너지 소자 개발에 대한 논의를 주 로 진행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른 연 구 분야의 신진연구자들과 교류하고 각 분야의 전 문가들로부터 연구 동향들을 파악할 수 있는 소중 한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차전지와 광전기화학, 플렉서블 소자에 필요한 나노소재의 개발 방향과 트렌드에 대한 논의가 도움이 많이 되

표 2. 회의 일시, 장소 및 주요 내용

차수 일시 장소 주요 내용

Kick-off 7월 15일(수) 고려대학교

연구회 착수 회의

1) 플렉서블 에너지 소자에 대한 연구 필요성 제고 2)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대한 연구 논의 3) 양자점 디스플레이 논의

진도회의 1 8월 10일(화) UNIST

플렉서블 배터리 총괄적 이해

1) 리튬이온전지에 관한 전반적인 원리 및 플렉서블 배터리 개발 동향에 관한 세미나 개최 (발표자: 유승호 교수님)

2) 플렉서블 배터리 현재 동향 및 개발 방향에 관한 논의

3) 플렉서블 배터리의 공기 노출을 막기 위한 코팅 및 sealing문제 논의

진도회의 2 10월 16일(금)

온라인 회의:

한국화학공학회 2020년도 e-conference

플렉서블 열전소자 총괄적 이해 1) 열전소자의 원리와 활용에 대한 이해

2) 플렉서블 열전소자 구현을 위한 재료 개발 동향 및 장단점 논의 3) 다양한 열전 재료의 개발 방향에 대한 논의

진도회의 3 10월 30일(금) 전남대학교

플렉서블 광전소자 총괄적 이해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현재 동향 및 개발 방향에 관한 논의 2) 플렉서블 태양전지 현재 동향 및 개발 방향에 관한 논의

3)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등 차세대 광전소재를 이용한 차세대 플렉서 블 광전소자 개발 방안 논의

최종회의 12월 23일(수) 온라인 회의 1) 연구회 그룹 활동 정리 보고

2) 공동 과제 기획 및 차후 연구 협력 방안 논의

(5)

었습니다. 서로의 분야에 대하여 질문하고 필요한 부분을 함께 고민하면서 연구분야의 융합을 통하여 공동연구로 나아가는 커다란 발판을 마련하였습니 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하여 서로의 연구분야에 대 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하며, 바쁜 가운데에서도 모든 회의에 전원 출석이라는 높은 참여율을 보여준 구성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좋은 기회를 주신 한국화학공학회에 감사드리며, 프로그램에 추천해 주신 재료부문위원회 위원장님, 총무간사님께도 감 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김재엽 교수(단국대학교)

본 연구그룹은 태양전지, 태양광 물분해 등 광 전기화학에 기반한 에너지 소자, 소재 연구를 진 행 중입니다. 최근에는 양자점을 광흡수체로 활용 하여 에너지소자에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는 데, 양자점은 광학 밴드갭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 고, multiple exciton generation 효과 등이 있어 광학 소자 및 광에너지 소자에 활용하기에 뚜렷한 장점 을 지닌 소재입니다. 특별히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DGIST 양지웅 교수 연구그룹과 Cu-In-Se 양자점 연구에 대해 활발한 교류를 할 수 있었습니다. 양자 점의 조성을 조절에 따른 광학적 성질의 변화가 태 양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중에 있으 며, 나아가 태양광 물분해에도 응용하기 위한 연구

를 추진 중입니다. 그 외에도 본 프로그램을 통해 이차전지, 유연성 소자 등의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 하였고 이는 향후 좋은 공동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비슷 한 시기에 임용된 교수들끼리 연구활동에 대해 다 양한 방면에서 토의할 수 있었던 점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최문기 교수(UNIST)

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분야를 연구 하고 있는 신진과학자들이 모여 각자 하고 있는 연 구들에 대해 소개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었 던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본 연구실의 경우 나노 소재 맞춤형 전사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소자들을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기판위 에 제작하여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만드는 연구들을 수행하다 보니 센서나 디스플레이에 전원 공급 역 할을 해줄 수 있는 태양전지 혹은 배터리에 관한 관 심이 많았는데 심도있게 접할 기회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기회를 통해 친목 도모 외에도 각 분야 에서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 중이신 다른 교수님들 의 발표를 통해 에너지 소자 분야의 최신 동향을 파 악할 수 있었고,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서 다양한 나 노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웨어러블 배터리, 디스플 레이 소자로 활용하고자 하는 공동연구들을 진취적 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런 소 통의 기회를 마련해주신 한국화학공학회와 재료부 문위원회, 그리고 함께한 유승호 교수님, 김재엽 교 수님, 양지웅 교수님, 이지은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이 프로그램이 앞으로 다수의 공동 연구의 마중물이 될 것을 기원합니다.

양지웅 교수(DGIST)

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화공재료 분야의 신 진연구자들과 연구 교류모임을 가지는 뜻깊은 시간 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본 Young Researcher 그룹의

“Nano/Energy Materials for Wearable Electronics”이

사진 1. Kick-off 미팅.

(6)

라는 주제는 다양한 전문분야의 융합이 필요한 연 구 주제입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고 어떻게 협업 을 진행할 수 있을지 논의할 수 있었습니다. 구체 적인 예시로 저희 실험실은 무기나노입자 합성 및 in-situ TEM 등의 분석에 특화되어 있는데, 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단국대학교 김재엽 교수 연구그 룹과 양자점 태양전지 및 태양광 물분해, UNIST 최

문기 교수 연구그룹과 웨어러블 양자점 디스플레 이에 대한 공동연구를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이외 에도 이차전지, 열전소자 등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이해하고 추가적인 공동연구도 계획 중입니다. 뜻 깊은 프로그램을 지원해주신 한국화학공학회, 저 희 Young Researcher 그룹을 추천해주신 재료부문 위원회, 그리고 본 그룹 구성원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1. 팀명: 차세대 분리막 소재 및 공정 연구회

현대의 분리기술은 기존의 상변화에 기반한 증 류와 흡수에서 상변화가 적어 에너지 효율이 상대 적으로 높은 흡착과 분리막 기반의 기술로 넘어가 는 과도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분

리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분리기술 중 하나 인 분리막에 사용되는 소재와 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신 공정에 대한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현황을 파악하고 전통 화학공학의 근간을 이루는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3

정용철

부산대학교 drygchung@gmail.com

사진 2. 1차 진도회의. 사진 3. 3차 진도회의.

(7)

분리기술에 대하여 신진연구자들간의 기술교류를 위해 “차세대 분리막 소재 및 공정 연구회”를 구성 하게 되었다.

분리막 기술은 크게 분리막을 이루는 소재, 분리 막을 감싸는 모듈, 그리고 분리막 공정으로 나뉘어 진다. 이 중 분리막을 이루는 소재는 분리성능을 결 정하는 중요한 요소 기술이며 적용 분야에 따라 소 재의 선정이 중요하다. 분리막 공정은 다른 분리공 정 보다 직관적이지만 여러 가지 내재된 한계점 때 문에 단일 공정으로 적용하기 쉽지가 않다. 따라서

분리막과 다른 분리공정 (흡착, 흡수, 증류)을 혼합 하는 하이브리드 분리공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우 리 팀은 이에 따라 플랜트 모델링에서 나노 소재 모 델링 그리고 소재 합성 및 성능 측정 등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인원으로 팀원들을 구성하였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리막 및 흡착 복합 공정에 대 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팀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2. 팀장 및 구성원

본 팀은 화학공학회 부산경남지부 소속 4명과 1

그림 1. 차세대 분리막 소재 및 공정 연구회 구성원.

표 1. 팀장 및 구성원

구분 성명 직위 소속 전공분야

팀원

권혁택 조교수 부경대학교 다공성소재

조계용 조교수 부경대학교 고분자, 다공성소재, 분리막

김 정 조교수 인천대학교 분리공정, 내용매성 분리소재, 생체소재

이인규 조교수 부산대학교 공정시스템 공학

팀장 정용철 부교수 부산대학교 계산소재설계 및 분리기술

(8)

명의 경인지부 인사로 구성되어 있다. 팀 구성원은 표 1과 같으며 만 40세 이하 전임교원으로 구성되 어 있다.

3. 활동내용 및 소감

본 연구회는 당초 외부 인사들을 초청하여 2회 이상 세미나를 하고 관련 연구에 대한 연구 결과 및 공동연구 주제들을 도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해 7월이 되어서야 kick- off meeting을 가질 수 있었다. 7월 kick-off meeting 에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의 고동연 교수님이

“Can We Evolve Beyond Thermal Separations?”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해 주셨고 팀에 속한 교수님들이 아래의 제목으로 발표를 해 주셨다.

· 김정 (인천대) New Frontiers in Membrane Technology

· 권혁택 (부경대) Molecular Sieve for Separation and Beyond

· 조계용 (부경대) Applied Materials Chemistry

· 이인규 (부산대) Cryogenic Energy on LNG Value Chain

한국화학공학회 가을 국제 학술대회에서 팀원들 이 만나 공동연구 주제 도출 및 연구 교류를 진행하 려고 온라인으로 개최됨에 따라 교류를 하지 못하 여 모두들 아쉬워 하였다. 그 뒤 12월 달에 한차례 더 세미나를 진행하려고 하였으나, 급격하게 늘어 나는 코로나 확진자 숫자에 세미나를 진행하지 못 하였다. 대신 동아대학교의 사영진 교수님과 부산 에 있는 팀원들간의 간친회를 통해 hydrate 기반 분 리공정 및 소재에 대한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화학공학 분리기술 및 소재 공정 분야의 신진연구자들이 모임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특히 다양한 전 공을 가진 팀원들끼리 부족하나마 서로 교류의 시 간을 보낼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 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었던 것 같 다. 특히 분자모델링을 전공하고 있는 필자는 소재 와 공정에서의 관점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정말 귀중 한 경험이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라는 특수한 상 황속에서도 연구회 세미나와 회의를 열심히 참석해 준 팀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특별히 본 프로그램을 지원해주신 한국화학공학회와 추천 서를 작성해주신 부산경남지부 지부장 허광선 교수 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그림 1. 2020년 7월 kick-off meeting(부산대학교 화공생명공학

과에서).

(9)

Young Researcher Group 결과보고서 4

조창범

인하대학교 jochangbum@inha.ac.kr

1. 그룹명: 다공성 소재 기반의 미세먼지 제 거 연구팀

2. 구성원 정보(표 1)

3. 과제 목표

흡착 및 촉매 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화학공학 융 합연구 논의를 위한 연구회 구성 및 유기적인 연구 협력 모임체의 지속적인 연결망을 구축하고자 하였 다. 특히, 탄소배출 제로화 등 탄소중립을 위한 환 경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파편화된 다양한 화학공 학 분야 즉, 다공성 소재, 탄소소재, 흡착, 촉매공학 의 통합점 및 교차점을 공유하고 전문성을 통합하 는 융합연구 추진을 위해 본 과제를 지원하였다. 다 양한 분야뿐만 아니라, 각 지역에 퍼져 있는 신진연 구자들의 모임체 구성을 통해 주기적으로 환경 문 제 해결을 위해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공동으로 해 결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한 유기적 연결 네트워

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실제 연구자들 간의 협력 연구가 진행되었고, 일차 결과들이 과제 기간 내에 도출됨에 따라 추후 보강 연구를 통해 실질적 연구 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 활동 내용 및 소감

당초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잦은 모임을 갖고 이 를 통해 구성원 간의 활발한 소통 및 연구협력을 도 모하고자 하였으나, 코로나 확산의 여파로 모임에 상당한 제한을 갖게 됨에 따라 계획한 만큼 모임을 갖지 못하였다. 처음으로 만난 모임은 공업화학회 기간의 광주에서의 모임이었다. 각 팀원별 본인의 전문분야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 다. 참여한 구성원들의 전문분야 및 활동 소감을 아 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조창범 박사: 나노다공성 소재를 이용한 촉매 반응 및 담지체로의 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표 1. 팀 구성원

성명 소속 전공분야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조창범 인하대학교 나노다공성소재 합성 및 분석 032-860-8672 jochangbum@inha.ac.kr 김경수 전북대학교 나노탄소소재 합성 063-270-3423 kyoungsookim@jbnu.ac.kr

조강희 에너지기술연구원 흡착 042-860-3292 chokanghee@kier.re.kr

박민범 인천대학교 촉매 032-835-8671 mbpark@inu.ac.kr

강성봉 광주과학기술원 환경촉매 062-715-2465 sbkang@gist.ac.kr

(10)

코로나 사태로 비록 한 번 밖에 모이지는 못했지만, 그 한 번의 만남에서도 참 좋은 사람들, 연구자들과 함께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고, 연구에 대한 식견 을 넓힐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김경수 박사: 다양한 구조의 기능성 나노다공성 탄 소 합성 및 이의 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 다. 같은 분야의 연구자들과 관계망을 넓히고 학술 적 교류를 할 수 있어 매우 유익했었다. 비록 코로 나 19 시국으로 인하여 적극적으로 교류의 장을 가 질 수는 없었던 것이 아쉽지만, 지속적으로 관계를 이어간다면 추후에도 언제든 좋은 공동연구의 기회 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민범 박사: 평소 관심은 많이 가지고 있었지만 가 까워질 수 있는 기회가 없어 가끔 보면 안부만 묻고

지나가던 내 또래의 연구자들을 만나 보다 더 가까 워질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코로나로 인한 비상 시국이 프로그램을 더욱 잘 활용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여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추후에도 비슷한 프로그램이 있다면 적 극적으로 추진하고 싶습니다.

강성봉 박사: 이동원 및 고정원 적용 emission control catalyst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 근에는 HC-NOX 동시제거를 위한 SCR 촉매 개발 을 위하여 다공성 소재에 대한 적용을 모색 중이다.

학회 지원으로 young researcher 분들과 연구 및 친 목 교류의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화학공학회에 감 사함을 느낀다.

끝으로, 실질적으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는 후 속세대들의 참여의식 고취와 자신감 향상을 위해 서 본 연구회 활동이 발판이 되어 더욱 활발한 공동 과제 진행과 연구 인프라 교류의 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활동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 더불어, 이와 같은 신진연구협의체를 구성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지원해 주신 한국화학공학회 및 촉매부문 위원회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수치

그림 1.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주최하고 한국화학공학회와 공정시스템부문위원회에서 후원하여 개최된 2020 Young Researcher Joint  Symposium.

참조

관련 문서

중간뇌의 (11)아래둔덕(inferior colliculi)을 경유한 청각 신호를 받아 속섬유막(internal capsule)과 청각로부챗 살(auditory radiation)을

④ 안전행정부장관은 다른 행정기관이나 농협 또는 새마을금고를 통하여 접수ㆍ처리할 수 있 는 민원사항의 종류, 접수ㆍ교부 기관 및 추가비용 등을 관계

A “not substantially equivalent” determination, a denial of a PMTA or a marketing order withdrawal by the FDA on one or more products could have a

파란색 바탕으로 하이라이트 된 부분이 흰색으로 변하도록 반드시 모두 입력해야 함.. Title: Professor, Researcher, Dr.,

그러나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으므로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빛의 반사와 굴절을 과학과 수학적 관점에서 학습하고 나아가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Therefore, if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inue to provide child-care center teacher in the next scene, their infants and young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의 다양한 문제점 중에서 자신의 신체적 한계를 뛰어 넘어 삶의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해주는 첨단보조기기의 종류와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Hwi-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