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1.

1)

우리나라는 1945년 해방 이후 경제 재건에 이 르기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여러 선진국으로부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ckcho@knu.ac.kr)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조 철 기*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Cho, Chul-Ki*

요약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을 분석한 것이다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리 교육과. . , 정에서 Stage 4Stage 5의 필수 지리는 개발교육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지 않고 삶의 질의 차이와 원조 연계를 통 해 개발교육에 접근하고 있는 반면 심화 과목인 선택 지리의 경우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 . Stage 6 에서도 개발지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보다 심화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에서는 개발교육. , 이 개발에 대한 학습에서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의 차이를 선행하여 학습한 후 개발 및 개발 척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이해하도록 하고 이러한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개인 또는 조직으로서 , 어떻게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으로 계열화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개발을 직접적으로 다루. , 기보다는 이와 관련한 삶의 질의 차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중등학교 고학년에서는 개발지리에 대해 직접 학, 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발교육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인 개발 개발 척도 원조 등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 , , , 에서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발교육은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와의 구체적인 개발 연계 사례를 통해 추상. , 적인 상호의존성이라는 개념과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가치를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기술하거나 정부 및 비정부기구 등과 같은 조직의 차원에 한 정하지 않고 개인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그들의 가치와 행위를 감정이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주요어 지리 교육과정 지리 교과서 개발교육 글로벌 불평등 글로벌 시민성 , , , ,

Abstract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and geography textbooks developed by it. The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s as follows. Firstly, Development Education is implicitly described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and aid links in Geography (Mandatory) Stage 4 and Geography (Mandatory) Stage 5, but clearly in Geography Elective. Moreover, Development Geography is one of unit to learn deeply in case of Global Challenges in Stage 6. Secondly, in geography textbooks, development education is sequenced with learning of the quality of life in everyday life, understanding of diverse meaning of development and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role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for reducing the global inequalit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ly, geography curriculum needs to be consist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 school, and development geography in high school. Secondly, the major concepts of development education like development, measure of development and the aid etc. need to be described in the different views. Thirdly, development education needs learners to learn the interdependence and practice the global citizenship through learning of specific links of our country with others. Finally, geography textbooks should not describe the normative efforts for reducing global inequality, and treat individual practical cases as well as organizations like government and NGOs so that learners empathize with their value and attitude through individual practical cases.

Key Wordsthe Geography Syllabus, geography textbooks, development education, global inequality, global citizenship

(2)

터 1999년까지 약 127억불의 원조를 받았으며, 년 세계은행의 차관 졸업국이 됨으로써 사실 1995

상 수원대상국에서 졸업하게 되어 세계에서 보기 , 드물게 처음으로 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이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원조 비율. 은 경제 수준이 향상되면서 점점 늘어나기 시작하 였고 그와 더불어 소득의 일부를 기부하는 것에, 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현장에 뛰어가서 봉 사를 하는 사람들의 수도 증가하였다 박 에스더( , 2011).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걸 맞는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 .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문 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 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 여하는 사람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 학기술부, 2011.1). 이는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학 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도록 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교 교육을 통한 글로벌 시민의 육성은 년대 이후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1960

학습 국제이해교육 개발교육 등의 다양한 이름하, , 에 전개되어 왔다 처음에는 비정부기구. (NGO)를 중심으로 전개되던 양상이 점차 학교 교육으로 편 입되고 서로 경쟁적이면서도 협력적인 관계 속에, 서 글로벌 시민을 기르기 위한 개발교육이 활발하 게 전개되어 오고 있다(Hicks, 1983; Robinson and

박선영 이태주

Serf, 1997; Binns, 2002; , 2009; ・ 김다원, 2010; 고미나 조철기・ , 2011).

사실 우리나라는 일찍이 선진국에 진입한 서구 국가들이나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어 개발교육에 대한 관심이 적을 수밖 에 없었다 그렇지만 . 1990년대 이후 원조 공여국 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는 현재 그 사정, 은 많이 달라졌다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 . 불평등 해소와 글로벌 시민성 육성을 위한 교육과 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시. 대적 요구에 따라 이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 함양, 을 위해 개발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 아 NSW(New South Wales) 주 지리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지리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개발 및 개발교육의 의미 2.

개발 또는 발달(development)이란 무엇인가 경? 제 개발 아동의 발달 등과 같이 개발 또는 발달, 은 일상적인 용어로 변화(change)와 관련하여 사 용되며 이러한 변화는 보통 긍정적인 변화를 의, 미한다 그러나 지리에서 개발은 이보다 더 구체. 적인 의미를 가진다 지리에서 개발은 보통 국가 . 수준의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변화의 프로세스들, , 뿐만 아니라 가난하거나 주변부에 있는 사람들의 삶의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으로부 터 초래하는 긍정적인 변화와 관련된다 개발은 . 프로세스가 될 뿐만 아니라 또한 보통 국가나 지, 역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존재의 상태로 정의될 수 있고 높은 수준의 도시화 복잡한 경제활동과 , , 삶의 표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 정의들은 시공간을 횡단하여 다양한 이데올로기 를 반영하는 것처럼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Willis, 2009, 365). 한편, Witherick et al.(2001, 72)은 지 리학적 관점에서 개발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인문지리학에서 개발은 특정 사회의 상태와 그 안에서 경험되는 변화의 과정과 관련된다 . 개발은 일반적으로 가지 주요한 방향들 즉 경 4 , 제성장 기술사용의 향상 개선된 복지 근대화 , , , 등에서 어느 정도의 진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차원들은 제 세계 . 1 (First World) 와 제 세계 3 (Third World), 그리고 경제적으로 더 발달된 국가 (MEDCs) 와 경제적으로 덜 발달 된 국가 (LEDCs) 를 구분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 다 개발의 의미는 . 20 세기 후반기 동안 급격하 게 변화해왔다 원래 개발은 경제적 발달 또는 . 경제적 성장을 의미하였다 요즘 개발에 대한 . 관점은 전체적으로 더욱 광범위해졌는데 전체 , 사회를 포함하고 경제적 발달과 기술적 발달뿐 만 아니라 문화적 발달과 사회적 발달을 포함 한다 .

개발을 경제적 지표 또는 척도에만 근거하는 방 식에서 벗어나 사회적 지표를 수용하면서 인간개 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가 주요한 척

(3)

도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개발을 경제성장 보다 . ‘ ’ 빈곤의 감소 에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 이러한 빈

‘ ’ .

곤에 대한 초점은 2000년 국제연합에 의해 합의 된 밀레니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에 성문화되어 있다 좀 더 시간을 Goals: MDGs) .

거슬러 올라가면 제 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은 원, 2 래 근대화이론의 관점에서 정의되었으며, 1960년 대 이후 종속이론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으 로 불균등 발전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

년대 이후에는 신자유주의적인 관점에서 개 1970

발을 재정의하게 되고, 1990년대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로 이어지게 된다 개발은 원래 인간중심의 . 관점으로 간주되어져 왔지만 경제적 사회적 발전, ・ 이 자연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면서 지속가능한 개발 이라는 개념을 ‘ ’ 출현시켰다 이와 같이 개발의 의미는 고정되고 . 불변한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재해석되고 있다, (Willis, 2009).

개발에 대한 정의와 의미가 변화했다는 것은 개 발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 다 원래 개발교육은 원조 및 자선 단체 교회 국. , , 제연합 등이 개발도상국 또는 제 세계 에 대한 관( 3 ) 심으로부터 출현했다 이러한 단체들은 선진국이 . 개발도상국에게 보다 많은 정치적 지원과 재정적 원조를 할 것을 촉구하는 개발교육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이 당시 개발교육은 제 세계의 기근과 3 빈곤에 대한 인식을 증대시키고 개발도상국의 사, 회적 경제적 변화를 위한 지원을 촉구하는데 목적・ 을 두었다.

개발교육이라는 용어가 1960년대에 처음 사용 되었지만, 1970년대까지는 공교육으로 흡수되지 못했다. 1970년대 이후 점차 공교육에서 개발교육 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선진국의 학교교육에서 지, 리학습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개발교육의 특성들은 변화하는 요구와 관심 에 부응하여 계속해서 진화해 오고 있다 개발교. 육은 개발도상국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개선시・ 키는 것을 궁극인 목적으로 추구하고 있지만 개, 발교육의 원리와 가정들은 계속해서 변화되어 오 고 있다 현재 개발교육은 개발도상국에만 한정하. 지 않고 전세계 모든 사람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 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개발교육은 선진국과 . ,

개발도상국 모두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 며 국가 간의 상호의존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Tilbury, 1997).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격차가 계속해서 증가하 면서 개발교육은 더 비판적이고 정치적인 관점으 로 전환되고 있다 개발교육은 선진국이 식민화. , 인종차별주의 불공정한 무역 다국적 기업 무기 , , , 판매 등을 통해 개발도상국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둔다 이제 개발교육은 개발도상국. 뿐만 아니라 홈리스 실업자 소수민족 원주민 여, , , , 성 등과 같이 주변화된 집단들로 관심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교육은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 모두에서의 인권 공정 사회정의 등에 관, , 해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년대 들어오면서 개발교육은 또한 인간뿐

1980 ,

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환경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 추고 있다 자연환경의 보존에 대한 관심을 점증. 하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의 많은 국가들은 아직, 도 기본적인 일상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 불가능하게 환경을 사용하고 있다 환경과 개발에 . 관한 UN회의는 개발교육에서 지속가능성의 개념 을 위한 기회를 분명히 하였다 이와 같이 개발교. 육은 환경 및 사회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개발 학, 생들로 하여금 보다 정의롭고 공정한 세계를 만드 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식 기능 가치를 배우는데 , , 중요성을 부과하고 있다(Tilbury, 1997).

오스트레일리아 주의

3. NSW

지리교육과정

주 교육과정의 개관 1) NSW

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는 개 주별로 독

2008 9

자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해 오던 체제에서 벗어 나 국가교육과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일련의 시도 를 해오고 있다. 2011년 이후 연차적으로 시작하 여 2013년부터 모든 주가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할 국가교육과정은 8개의 학습영역(learning area)- 영어 수학 과학 인문학 및 사회과학 역사 지리, , , ( , , 경제 경영 시민성, , ), 외국어 예술 보건 및 체육, , , 기술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학 및 사회과학에 - . 해당되는 지리는 2010년에서 2012년까지 개발을

(4)

완료하여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 국가교육과정이 모든 주에서 전면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는 주별도 별도로 교육과정을 운영하, 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 NSW 주 교육과정에 초점을 둔다.

사실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논 의는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당시 . NSW 주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혁운동을 주도하던 연방정부의 노력과 맞물려 1990년 교육개혁법(the 을 발표하고 주 교육연구 Education Reform Act) ,

위원회(the Board of Studies)를 설립하였다 이 법. 은 학생들의 성취기준에 관한 진술에 관해 규정하 고 있는데 교육과정 문서를 교수요목으로 구성했, 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학생들의 성취목표 중심 의 접근에 대해 강조하기 시작한 것은 이 법을 설 치하면서 부터이다 손민호( , 2004). 그리고 교육연 구위원회 산하 교육과정개정위원회는 1991년 K-

학년 교육과정 성취 목표진술서 개발에 착수하 12

였다 그리고 이때부터 교육과정 문서는 기존의 . 교육과정 단위였던 학년제에서 벗어나 여섯 단계, 즉 K-2, 3-4, 5-6, 7-8, 9-10, 11-12로 재구분 하여 규정되기 시작하였고, 1993년까지 각 Stage 에 맞는 교육과정 목표 개발에 주력하였다 그리. 고 1995년 새로이 들어선 노동당 주도의 주 정부 는 NSW 주 교육과정평가(Review of Profiles and

를 단행하였으며 그 결과 나온 평가

Outcomes) ,

보고서가 엘티스 보고서‘ (the Eltis Review)’라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교육과정을 학년별이 아닌 . Stage 별로 구분하여 초등학교는 Stage 1-3, 중학교 자 격시험과정(School Certificate syllabus) Stage 4-5, 은 대학입학 자격시험과정(Higher School Certificate, 은 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것 HSC syllabus) Stage 6

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교육과정 . 개정작업으로 곧바로 이어져, 1997년부터 고등학 교 11-12학년에 해당하는 Stage 6의 교육과정 개 정을 시작으로 부분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교 육과정 개정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1998년에는 교 육연구위원회가 교육과정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본격적인 개정 작업에 들어가 교육과정 시안을 작 성하기 위한 자문 및 연구를 실시하였다. 11-12학 년 교육과정 초안을 작성 검토하여 , 1999년 교육

부 장관의 최종 승인을 거쳐 새로운 교육과정이 공포되었다 그리고 . 2000년 11학년부터 적용 시행 한 이 안을 따라 2002년에는 새로운 대학입학 자 격시험 요강이 발표되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에 . 포함되는 지리의 경우 7, 8학년이 2005년부터, 9, 학년이 년도부터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행 10 2006

하게 되었다.

지리교육과정의 특징 2)

전체적인 구성 체제 (1)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의 교육과정(Syllabus)에 서 지리는 그림 과 같이 유치원 및 초등 단계인 1

학년에서는 변화와 연속성 환경 문화 사회

K-6 , , ,

시스템과 구조 등의 스트랜드로 구성된 인간사회‘ 와 환경(HSIE: Human Society and Its Environ-

에 통합되어 있으며 학년의

ment)’ , 7-10 Stage 4-5 에서는 지리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으며 필수와 선 택으로 나뉜다. 7-10학년을 위한 지리는 Stage 4 의 지리 필수(Geography (Mandatory) Stage 4), Stage

의 지리 필수

5 (Geography (Mandatory) Stage 5), 와 의 지리 선택

Stage 4 Stage 5 (Geography Elective), 지리 생활 기능(Geography Life Skill)으로 구성된 다. Stage 4와 Stage 5의 지리 선택은 현재 또는 사전 학습과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과목이며 지, 리 생활 기능은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가진 학생 들 특히 지적인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과목, 이다(Bliss, 2006, 151). 그리고 11-12학년에 해당 되는 Stage 6에도 지리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이는 학생들이 Stage 4와 Stage 5에서 발달시킨 이해와 기능을 확장하고 정교화 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한다.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교육과정은 지리 는 공간적 차원 사물은 어디에 있고 그것들은 왜 ‘ ( 그곳에 있는가?)’과 생태적 차원 인간은 환경과 ‘ (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라는 두 가지의 핵심적 인 차원을 포함하는 풍부하고 복잡한 학문이라고 규정하면서 지리 교과의 목표를 지리는 공동체 “ 생활에의 능동적인 참여 생태적인 지속가능성 정, , 의로운 사회의 창출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평, 생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공민. 과 시민성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

(5)

스케일에서 존재하는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지식 을 발달시키며 그것은 학생들에게 책임있고 교양, 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라고” 명시하고 있다(Board of Studies NWS, 2003, 8).

지리 필수 의 내용 체계 (2) ‘ ’

학년의 의 지리는 세계지리 7-10 Stage 4-5 ‘ (Global

와 오스트레일리아 지리 Geography)(Stage 4)’ ‘

로 구분된다 각 (Australian Geography)(Stage 5)’ .

는 각각 개의 초점 영역 으로 Stage 4 (focus areas) 구성되어 있다 세계지리. (Global Geography)(Stage

의 초점 영역은 세계를 조사하기

4) ‘4G1 ’, ‘4G2

글로벌 환경’, ‘4G3 글로벌 변화’, ‘4G4 글로벌 쟁 점과 시민성의 역할 이며’ , 오스트레일리아 지리

는 오스트레

(Australian Geography)(Stage 5) ‘5A1

일리아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기’, ‘5A2 오스트레일 리아의 공동체를 변화시키기’, ‘5A3 오스트레일리

아의 환경의 쟁점들’, ‘5A4 지역 및 글로벌 맥락 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다 그림 ’ ( 2).

학습해야 할 내용은 필수적인 내용‘ (essential

그림 1.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의 지리 교육과정의 위치 (Board of Studies NWS, 2003, 9)

그림 2.

Stage 4 세계지리

’와 ‘

Stage 5 오스트레일리

아 지리

’의 내용 조직(Board of Studies

NWS, 2003, 22)

(6)

과 부가적인 내용 로 content)’ ‘ (additional content)’

구분된다 먼저 필수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 . 생들은 세계지리의 학습에 100시간 오스트레일리, 아 지리의 학습에 100시간을 이수해야 한다 지리 . 교육과정은 지리의 모든 내용에 대한 학습을 위해 기초를 형성하는 두 개의 핵심적인 차원들 공간적 ( 차원 사물들은 어디에 있고 그것들은 왜 그곳에 - 있는가?, 생태적 차원 인간은 환경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가 을 가지고 있다 둘째 부가적인 내용?) . , 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에게 지리적 기능 지식과 . , 이해를 넓히고 심화시키기 위해, Stage 4와 Stage 의 초점 영역들은 관련된 환경 또는 공동체 또는 5

지리적 쟁점에 대한 부가적인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교육과정이 적어도 하나. ‘ (At least ONE)’

또는 적어도 둘‘ (At least TWO)’에 대한 학습을 명시하는 곳에서 학생들은 그들의 관심과 전문적 , 지식에 따라 부가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지리 선택 의 내용 체계 (3) ‘ ’

한편, 7-10학년을 위한 선택 교과목으로서 지 리를 명시하고 있다 선택 교과 지리 교과과정은 . 학생들에게 부가적인 지리 내용에 참여하도록 하 며 보다 심화된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 , . 과정은 학생들에게 지리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보 다 폭넓은 이해와 지리탐구의 프로세스를 제공하

며 초점 영역에 대한 유연한 프로그램의 계획을 , 통해 심층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학생들은 . 와 또는 에서 선택 교과로서 지리 Stage 4 / Stage 5

에 대한 학습을 100시간 내지 200시간을 이수할 수 있다. 100시간짜리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지리

선택 의 개의 초점 영역 중에서 적어도 ( ) 8 (E1 E8) ~

개를 개발해야 하며 시간짜리 프로그램을 위

3 , 200

해서는 개의 초점 영역8 (E1 E8) ~ 중에서 적어도 5 를 개발해야 한다 그림 ( 3).

지리 생활기능 (4)

한편 오스트레일리아 , NSW 주 지리교육과정은 지리 생활기능 을 별도로 제시하고 있

‘ (Life Skills)’

다 지리 생활기능의 초점 영역은 . ‘LSG1 세계를 조사하기’, ‘LSG2 글로벌 환경’, ‘LSG3 글로벌 변 화’, ‘LSG4 글로벌 쟁점과 시민성의 역할’, ‘LSG5 오스트레일리아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기’, ‘LSG6 변화하는 오스트레일리아 공동체들’, ‘LSG7 오스 트레일리아 환경의 쟁점들’, ‘LSG8 지역 및 글로 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등 개로 구성되’ 8 어 있다.

지리교육과정 및 지리교과서의 4.

개발교육 내용 분석

지리교육과정의 개발교육 내용 분석 1)

는 개발교육의 핵심적인 쟁점들로 Tilbury(1997)

인구성장 식품의 안전성 도시화 에너지 산업, , , , , 생태계 국제경제 갈등 환경파괴 등을 제시하면, , , 서 이들은 본질적으로 지리적 관심의 일부분이라, 고 주장한다 따라서 지리교육과정은 당연히 개발. 교육에 대한 내용을 언급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 불구하고 개발교육에 대한 내용을 지리교육과정에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사례는 쉽게 찾아볼 수 없다고 덧붙인다 그렇다면 오스트레일리아 . , NSW 주의 지리교육과정은 어떨까?

첫째, Stage 4와 Stage 5의 지리 필수 교과목의 목표 및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여기에도 개발교 육을 명시적으로 구체화하고 있지는 않았다. ‘개 발 이라는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대신에 삶’ ‘ 의 기회의 차이 와 오스트레일리아와 다른 국가 ’ ‘

그림 3. 선택 지리 교과목의 내용 조직(Board of

Studies NWS, 2003, 44)

(7)

간의 연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역할 을 통해 개발’ 교육을 함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Stage 4와

의 지리 필수 교과목의 목표 중에서 개발 Stage 5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항목은 학생들은 자“ 연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글, , , , 로벌 공동체를 포함한 공동체들을 어떻게 형성하 는지에 관한 지식과 이해를 발달시킬 것이다 이다” . 이와 관련하여 Stage 4의 성취기준은 “4.9 학생은 전 세계에서의 삶의 기회의 차이를 기술한다 이며” , 의 성취기준은 학생은 오스트레일리 Stage 5 “5.9

아와 다른 국가들과의 연계 그리고 글로벌 공동체 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의 역할을 설명한다 이다” (Board of Studies NWS, 2003, 23).

와 의 지리 필수 교과목의 내용 Stage 4 Stage 5

역시 개발교육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 지만 목표와 성취기준은 더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 있다. Stage 4 세계지리의 초점 영역 4G1 4G4~ 와

오스트레일리아 지리의 초점 영역

Stage 5 5A1~

중에서 개발교육과 관련된 것은 세

5A4 Stage 4

계지리의 ‘4G3 글로벌 변화 와 오스트레일리아 지’ 리의 ‘5A4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 리아 이다’ . <표 1>에서처럼, Stage 4의 지리 필수

의 경우 경제 교육 식품 건강 주거 물 자원, , , , , , 삶의 기회와 삶의 질에서의 글로벌 불평등 과 이‘ ’ 러한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고 생태적 지속가능성 을 촉진하는데 참여하는 집단 정부 비정부기구 ( , 등 으로서 글로벌 조직 에 대해 학습하도록 하고 ) ‘ ’ 있다 특히 최근 개발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생. ( 태적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 며 그것을 관리 보존 환경적 계획 및 관리와 연, , , 계하도록 하고 있다. Stage 5의 지리 필수의 경우 오스트레일리아에 초점을 두면서 원조 커뮤니케, 이션 문화 방어 이주 관광 무역 스포츠 등을 , , , , , , 통한 다른 국가들과의 상호작용하는 지역 및 글로 벌 연계를 비롯하여 이러한 연계에 대한 사례학, 습으로서 연계의 본질 연계와 관련한 정부 비정, / 부기구의 역할 연계와 관련한 조약 협정 이러한 , / , 연계의 장점과 단점 사회정의와 공정의 쟁점에 , 대해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용의 관. 점에서 볼 때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지는 않, 지만 개발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다양한 주제와 쟁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리 선택, (Stage 4, Stage 5)의 내용은 그 림 에서처럼 총 개의 초점 영역으로 조직되어 3 8

글로벌 변화

4G3 5A4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글로벌 불평등

• 빈곤과 부의 양극단

• 다음을 포함한 삶의 필수적인 양상에 대한 사람들 의 접근의 차이

- 교육 - 식품 - 건강 - 주거 - 물

• 자연자원의 분포 접근 사용의 차이 , , 자연자원의 사용

-

자연자원의 지속가능성 -

• 전 세계의 상이한 삶의 기회와 삶의 질 글로벌 조직

• 다음을 조사하기 위한 글로벌 조직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는데 참여하는 집단 -

또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데 참여하는 -

집단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역 및 글로벌 연계들

• 다음을 포함하여 오스트레일리아가 다른 국가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들

원조 이주

- -

커뮤니케이션 관광

- -

문화 무역

- -

방어 스포츠

- -

원조 방어 이주 무역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 , , 지역 및 글로벌 연계

• 연계의 본질

• 연계와 관련하여 정부와 비정부기구의 역할

• 연계와 관련한 조약과 또는 협정 /

• 오스트레일리아에 미치는 문화적 경제적 지정학 , , 적 이익과 불이익

• 오스트레일리아와 다른 국가들의 사회정의와 공정 의 쟁점

표 1. 초점 영역을 통해 본

‘지리 필수’의 개발교육 내용(Board of Studies NWS, 2003, 31, 43)

(8)

있는데 이중에서 개발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 ‘E4 개발 지리(Development Geography)’이다 지리 필. 수와 달리 지리 선택은 개발교육을 명시적으로 구 체화하고 있다 즉 지리 선택에서는 지리 필수를 . , 학습한 학생들로 하여금 개발교육에 대해 더 명확 하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장소. , 주제 쟁점에 대한 사례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개, 발의 개념을 보다 심층적으로 조사해야 하고 개, 발 수준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이해하며 개발의 , 차이들을 구체화할 수 있는 방법 상이한 사람들, 의 집단들의 삶의 질에 관한 그것들의 영향뿐만 아니라 국가들의 상호의존성이 개발에 어떻게 영 향을 주는지를 고찰하도록 하고 있다 표 ( 2).

셋째 지리 생활기능의 경우 개발교육과 관련된 , 초점 영역은 ‘LSG3 글로별 변화 와 ’ ‘LSG8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이다 표 ’ ( 3).

여기서는 지리 필수 교과목와 마찬가지로 개발교 육을 명시화하고 있지 않으며 지리 필수 교과목, 의 일부 내용 즉 인권 글로벌 불평등 오스트레, , , 일리아의 다른 국가들과의 연계에 대해 학습하도 록 하고 있다 이는 지리 생활기능의 경우 특별한 . 교육적 요구 특히 지적인 장애가 있는 학생들을 , 위한 교과목이기 때문에 개발교육에 기본적인 이 해를 위해 보다 간략하게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11-12학년에 해당하는 Stage 6의 지리 교육과정에서는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 다. 11학년의 예비과정(preliminary course)에서는

시간을 이수하게 되어 있는데 생물리학 상호

120 ,

작용(54시간), 글로벌 변화 인구지리 문화적 통합( , 으로부터 선택된 개의 연구 정치지리 개발지리2 , , , 자연자원 이용)(54시간), 지리 프로젝트(12시간 를 ) 다루도록 명시하고 있다 글로벌 변화의 한 사례. 로서 개발지리를 다루도록 명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 12학년의 본 과정 역시 120시 간을 이수하게 되어 있으며 위험한 생태계, (40시 간), 도시 장소들(40시간), 인간과 경제 활동(40시 간 을 다루도록 하고 있다) .

지리교과서의 개발교육 내용 분석 2)

분석 대상 교과서의 구성 체제 (1)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한 교과서는 오스트 레일리아 NWS 주의 7-10학년 지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Pearson 출판사가 발행한 Geography 시리즈이다 이 교과서를 분석 대상 교과 Focus .

서로 선택한 이유는 현행 오스트레일리아 NSW

개발

• 개발의 정의

• 개발의 지표

개발도상국 (developing world) 에서 적어도 한 국가

• 그 국가의 개발 수준에 기여하는 요인들

• 개발의 수준과 비율에 있어서 지역적 차이

•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계획

• 그 국가의 사람들의 삶의 기회를 강화하기 위한 공동체에 기반한 계획

다음에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현대의 개발 쟁점 - 인구성장

- 경제의존

정치적 권리와 인권 -

자원에 대한 접근 -

다국적기업의 역할 -

국제적 원조 -

- 난민

여성의 역할과 지위 -

- 건강 - 환경악화

표 2. 초점 영역을 통해 본

‘지리 선택’의 개발교육

내용(Board of Studies NWS, 2003, 52)

글로벌 변화

LSG3 LSG8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 기본적인 인권

• 글로벌 인간 불평등

• 시민성이 기본적인 인권을 보호하는 방법

• 오스트레일리아가 근린국가들 및 다른 국가들과 가지는 연계의 유형들

무역 방어 원조

- - -

스포츠 이주 환경

- - -

- 관광

표 3. 초점 영역을 통해 본

‘지리 생활기능’의 개발교육 내용(Board of Studies NWS, 2003, 65, 73)

(9)

주의 7-10학년 지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출판된 몇 종의 교과서를 비교 검토한 결과 개발교육 내・ 용을 사례 중심으로 비교적 상세하고 충실하게 다 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는 두 권으로 구. 성되어 있는데 Geography Focus 1 은 Stage 4를 위한 세계지리 교과서이며, Geography Focus 2 는 Stage 5를 위한 오스트레일리아 지리 교과서이 다. 이와 같은 이유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오스 트레일리아 NSW 주의 7-10학년 지리 교육과정 이 Stage 4에서 세계지리를 먼저 학습한 후, Stage

에서 자국의 지리인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를 학 5

습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에서 개발교육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 되는 내용은 Geography Focus 1 의 경우 세 번 째 대단원 글로벌 변화 의 중단원 ‘ ’ ‘9. 글로벌 불 평등 에서’ , Geography Focus 2 의 경우 네 번째 대단원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 아 의 중단원 ’ ‘12.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 연계들’

에서 다루고 있다 표 ( 4).

그리고 이들 교과서의 개발교육 관련 중단원 의 하위 단원 및 주제를 살펴보면 개발교육에 , 대한 접근을 개략적으로 알 수 있다 표 ( 5). 먼저 의 중단원 글로벌 불평등 의 Geography Focus 1 ‘ ’ 소단원 및 주제의 시퀀스를 보면 삶의 질의 차이 ‘

국가 간의 불평등 측정 또는 개발 정도를 측정

하는 척도 →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실천 과 행동 → 글로벌 불평등을 해소를 위한 글로벌 조직 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먼저 삶의 질의 차’ . , 이에 대한 학습을 한 다음 개발의 의미를 이해하, 고 이러한 국가 간의 개발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 는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개인 및 조직의 행동과 실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음으로 Geography Focus 2 의 중단원 오스‘ 트레일리아의 원조 연계들 의 소단원 및 주제의 ’ 시퀀스는 국제적 원조의 유형과 양 ‘ → 오스트레 일리아의 다른 국가에 대한 원조 연계 → 원조 연

Geography Focus 1 (Stage 4) Geography Focus 2 (Stage 5)

대단원 또는

초점 영역 중단원 대단원 또는 초점

영역 중단원

세계를 조사하기

세계를 열어젖히기

1. 오스트레일리아의

자연 환경을 조사하기

1. 오스트레일리아 독특한 대륙 - 우리의 세계와 유산

2. 2.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동체들에 영향

을 주는 자연재해

글로벌 환경

극 지방

3. 변화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동체들

3. 오스트레일리아의 독특한 인문적 특 성들

4. 산호초 4. 두 개의 오스트레일리아 공동체

5. 산지

오스트레일리아 환경의 쟁점들

지리적 쟁점들에 대한 개관 5.

6. 열대우림 6. 대기의 질

7. 사막 7. 해안 관리

글로벌 변화 8. 변화하는 글로벌 관계 8. 토지와 물 관리 글로벌 불평등

9. 9. 도시의 성장과 쇠퇴

글로벌 쟁점과 시민성의 역할

10. 기후변화 10. 쓰레기 관리

담수에의 접근 11.

지역 및 글로벌 맥락에서의 오스트레일리아

11.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역적 글로벌 , 연계들

12. 도시화 12.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 연계들

토지 침식

13. 13. 오스트레일리아의 방위 연계들

14. 인권 14. 오스트레일리아의 무역 연계들

위험에 직면한 서식지

15. 15. 오스트레일리아를 위한 미래의 도

전들

표 4. Geography Focus 1 과 2 교과서의 구성 체제

(10)

계로 인한 편익 비용 - → 원조에 있어서 비정부기 구(NGO)의 역할 → 글로벌 원조 사례 → 인간의 행동과 실천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역시 자국인 ’ .

오스트레일리아와 원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개발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은 Geography Focus 과 마찬가지로 개발의 의미를 처음부터 다루는 1

글로벌 불평등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 연계들

소단원 주제 소단원 주제

9.1 삶의 필수품에 접근하기 깨끗- 한 물

• 오늘날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 맑고 안전한 물에의 접근, - 이용할 수 있는 물의 글로벌 불

평등

12.1 국제적인 원조란 무엇인가?

• 원조의 유형

• 원조의 양

9.2 삶의 필수품에 접근하기 식품- 과 주거

• 식품에 대한 접근 - 식품은 충분한가?

• 기아의 순환

• 주거에 대한 접근

12.2 오스트레일리아의 세계와의 원조 연 계들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 프로그램에 자금을 지원하기

- 국제개발처(AusAID)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의 수혜자들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는 어떻게 사 용되는가?

• 국제적인 원조 조약들과 협정들

9.3 삶의 질의 다 른 양상들

• 여성의 역할과 지위

• 정부의 유형

• 의료에 대한 접근

12.3 오스트레일리아의 파푸아 뉴기니에 의 원조

• 경제 개발 - 인간개발척도들 - 개발 문제들

• 원조 제공자들

• 오스트레일리아의 파푸아 뉴기니에의 원조

9.4 세계와 자원

• 자연적 자원이란 무엇인가?

• 화석연료

- 화석연료의 대안들

• 누가 세계의 자원을 이용하는가?

• 세계의 자원에 대한 이용은 얼마 나 지속가능한가?

12.4 원조 연계의 비 용 편익 분석-

• 수혜국들을 위한 편익들

• 원조 공여국들을 위한 편익들 - 경제적 이익들

- 지정학적 전략적 이익들,

• 수혜국들을 위한 비용들

• 원조 공여국들을 위한 비용들

9.5 국가 간의 불평 등을 측정하기

• 개발도상국에서의 삶의 질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란 무엇인 가?

• 개발을 측정하기

GDP는 개발을 측정하는 최선의 척도인가?

12.5 원조에 있어서 비 정부기구(NGOs) 의 역할

• 비정부기구들은 어떻게 원조 프로세 서를 도와주는가?

9.6 인간개발지수

UN의 개발의 분류

- 인간개발지수(HDI)에서 GDP 의 통계들은 무엇이 있나?

0(worst)에서 1(best)까지

• 인간개발지수는 어떻게 사용되나?

12.6 인도양 쓰나미에 의 원조 대응

• 글로벌 원조 대응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조 대응

• 인도네시아의 반다아체(Banda Aceh) 에의 쓰나미의 영향

- 아체(Aceh)에서의 원조의 노력

9.7 전 세계에서의 삶의 기회

• 개발 척도들 - 인도의 삶의 질 - 말리의 삶의 질 - 미국의 삶의 질

12.7 원조에 있어서 사 람들의 힘

• 빈곤퇴치(Make Poverty History)

• 빈곤퇴치 캠페인의 목적들

• 개인들은 차이를 만들 수 있다

9.8 글로벌 불평등

을 줄이기 • 밀레니엄 개발 목표

9.9 행동 실천 의 중( ) 요성

1985년의 밴드 에이드(Band Aid) 와 라이브 에이드(Live Aid)

2005년의 라이브 8(Live 8)

• 라이브 8(Live 8)의 결과들 9.10 글로벌 조직 • 비정부조직(NGOs)

표 5. 개발교육 관련 중단원의 하위 단원 및 주제

(11)

것이 아니라 원조라는 개념을 통해 개발에 대한 의미로 접근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불, 평등을 줄이기 위한 개인 및 조직의 실천과 행동 에 초점을 두고 있다.

(2) Geography Focus 1의 개발교육 내용 분석 이 교과서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개발교육 에 대한 접근은 삶의 질의 차이와 공간적 불평‘ 등’, ‘개발 및 개발 척도에 대한 정의’, ‘글로벌 불 평등을 줄이기 위한 실천과 행동 의 측면에서 살’ 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이 교과. 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질의 차이와 공간적 불평등에 대한 , 이해를 개발교육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 다 그리고 삶의 질의 차이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 명한다 자칫 삶의 질의 차이를 경제적 측면에 한. 정할 수 있는데 이 교과서에서는 의식주 의료, , , 자원에 대한 접근의 차이뿐만 아니라 남성과 비, 교한 여성의 삶의 질의 차이 정부의 유형에 따른 , 삶의 질의 차이를 조명함으로써 이를 사회적 문, 화적 정치적 차원으로 확장하고 있다, .

둘째 개발 및 개발 척도에 대해 어떻게 정의를 , 내리고 있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 에 의하면 개발 척도 Morgan and Lambert(2005) ,

는 인간의 삶의 실재를 얼버무리고 넘어가거나 단 순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즉 개발 척도. , 를 경제적인 측면으로 한정하거나 평균적인 통계 만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 교과서. 에 나타난 개발 및 개발 척도에 대한 관점을 분석 한 결과 이러한 개발 척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 하면서 다양한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교과서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를 삶의 표준과 질에 대한 차이에서 접근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삶의 표준과 질이 높은 반면 개발도상국에 살고 , 있는 많은 사람들의 삶의 표준과 질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언급한다 그리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 구분하는 개발 척도로서 경제개발을 측정하는 척 도인 국내총생산(GDP) 또는 국내총수입(GNI)이 사용되지만, ‘GDP가 개발을 측정하는 최선의 척

도일까 라고 질문을 던진다 국내총생산?’ . (GDP)과

인당 국내총생산 은 유용한 척도

1 (GDP per capita)

이지만 사람들이 향유하는 삶의 표준을 완전하게 , 보여주지는 못한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개발 척도. 로서 국내총생산 또는 국내총수입 그리고 인당 1 국내총생산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 한 국제연합(UN)의 인간개발지수(HDI: Human

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간개발 Development Index) .

지수는 인당 국내총생산1 (GDP)뿐만 아니라 기대, 수명(life expectancy), 문해력과 교육 수준 등 가3 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 교과서에서는 인간개발지수 이외에 인, 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개발 척도를 깨끗한 물 의사 인당 인구 여성이 차지, 1 , 한 의회의 수 인터넷 사용 정부의 유형 유아사, , , 망률 등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인구 인구밀도. , , 총사망률 인구가 배 되는 시간 도시 농촌 비율, 2 , / , 인당 전기 사용 유아사망률 기대수명 성인의

1 , , ,

문해력 비율, 1인당 국내총생산 인간개발지수 인, , 터넷 사용자 인구 , 100,000명 당 의사 비율 등의 척도를 사용하여 인도 말리 미국의 삶의 질을 비, , 교한다.

이와 같이 이 교과서에서는 개발에 대한 단일의 척도를 거부하고 있으며 개발 척도는 사회적으로 ,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즉 한 국가가 개발 또는 발전되었다는 것은 경제 적 척도만으로 이해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사, 회적 정치적 문화적 개인적 척도와 결합되어야 한・ ・ ・ 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교과서는 이러한 국가 간의 글, 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 한다 이 교과서에서는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 구호나 형식적인 언급 수준에 머물지 않고 매우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개인 수준에서 국제연합 및 비정부기구와 같은 단체 수준으로 나아가면서 제 시하고 있다.

먼저 단체 및 조직적 차원에서의 활동으로 년 월에 제정된 국제연합의 밀레니엄 선언 2000 9

을 비롯하여 비정부 (UN Millennium Declaration) , 기구의 종류 예를 들면 그린피스( , (Greenpeace), 월 드비전(World Vision), 옥스팜(Oxfam) )등 와 각각 의 역할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사실 글로. ,

(12)

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글로벌 조직에 대한 사례는 여느 교과서에서도 유사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 교과서에서는 개인적 . 수준에서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행동 및 실천 사례를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 다 개인적인 실천 사례는 가수인 밥 겔도프와 드 . 보노 영화배우인 안젤리나 졸리 유명한 크리켓 , , 선수 출신인 스티워 워프와 관련된 것이다.

년의 밴드 에이드 와 라이브 에 1985 (Band Aid)

이드(Live Aid)의 사례에 대해 소개한 후 이에 대, 한 반성으로 다른 실천 방식인 2005년의 라이브

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그림 전자

8(Live 8)’ ( 4).

는 밥 겔도프 주도로 라이브 에이드 콘서트를 통 한 기금을 마련하여 아프리카의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원조를 한 성공적인 사례라면 후자는 이러, 한 기금 모금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라이브 8 콘서트를 통해 선진국 G8 국가들에게 아프리카의 채무를 변제해 줄 것을 청원한 것으로 보다 구조 적인 모순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 교과서가 개발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 는 대표적인 사례는 표지에서 읽을 수 있다 의 교. 과서의 표지는 빈곤퇴치‘ (Make Poverty History)’

라는 깃발을 들고 행진하는 사람들을 배경으로 자 신의 노래를 개작하여 G8 정상들에게 개발도상국 에 대한 원조와 채무변제를 요구하는 노래 부르는 락 그룹 U2 출신의 보노(Bono)의 모습을 싣고 있 다 이와 더불어 밥 겔도프의 실천 사례에 이어 . , 락 가수이자 인권운동가인 보노가 2000년 월에 9

그림 5. Geography Focus 1 의 표지와 국제연합에 증서를 제공하는 의 보노 U2 (Bono) (Zuylen, 2011a, 226)

그림 4. Live 8 콘서트 밥 겔도프 빈곤퇴치 , , (Make Poverty History) 포스터 (Zuylen, 2011a, 224-225)

(13)

세계에서 가장 큰 탄원서를 국제연합에게 넘겨주 는 모습을 싣고 있다 그림 ( 5). 이 탄원서는 역시 부유한 국가들에게 가난한 국가들의 채무를 변제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보노는 다음과 같이 . 이야기 한다 우리 세대는 무엇으로 기억될 까요. ‘ ? 인터넷? 그렇습니다 테러와의 전쟁. ? 그렇습니다. 만약 또한 우리가 빈곤퇴치 에 착수한다면 위대‘ ' , 하지 않겠습니까?’

이와 같이 국제연합이나 비정부기구와 같은 단 체와 같은 역할의 중요성에 머물지 않고 그리고 , 행동과 실천의 정당성과 당위성에 대한 기술 수준 에 머물지 않고 이 교과서는 개인적인 행동의 실, 천 사례를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감정이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개인적 행동은 단순히 . 기금을 모아서 빈곤한 국가를 원조하는 차원을 넘 어 개발도상국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는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3) Geography Focus 2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

이 교과서를 전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개발교육 에 대한 접근은 원조의 개념 유형 편익 비용‘ , , - ’,

오스트레일리아의 세계와의 원조 연계들과 사례

‘ ’,

원조에 있어서 사람들의 힘 행동과 실천 의 측면

‘ ( )’

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측면에서 . 이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 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원조는 개발교육의 , 초창기에 강조했던 관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 여전히 원조는 개발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 다 이 교과서에서는 국제적 원조로 통한 연계에 . 대한 개념 유형 편익 비용 등을 매우 자세하게 , , -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원조의 개념. 에 대한 정의에 머물지만 여기에서는 오스트레일 리아가 제공하는 국제적 원조의 유형을 양자간 원 조(bilateral aid), 다자간 원조(multilateral aid), 구 속성 원조(tied aid), 비구속성 원조(untied aid), 식품 원조(food aid), 기술 원조(technical assistance), 긴급 원조(emergency aid) 등 가지로 제시하고 7 정의 및 사례 지역을 매우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가 국.

제적 원조를 통해 다른 국가들과 어떤 유형의 원 조 연계를 맺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하나 주목할 만한 것은 원조의 편익 비용 - 분석에 대한 것이다 즉 원조의 양면성에 대한 관. , 점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원조는 선진국인 공여. 국이 개발도상국인 수혜국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공여국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측면만을 다루는 경 향이 있다 그러나 이 교과서에서는 원조 수혜국. 과 원조 공여국 각각의 편익뿐만 아니라 원조 수, 혜국과 원조 공여국 각각의 비용을 균형성 있게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편익으로는 원조공여국의 . 경우 구속성 원조일 경우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고 수혜국의 경우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는 것이다 반면 비용으로는 공여국의 경우 수혜. 국을 더 의존적으로 만듦으로써 더 많은 비용이 든다는 것이며 수혜국의 경우 환경적 비용 사회, , ・ 문화적 비용 경제적 비용 지정학적 비용이 든다, , 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학습하는 학생. , 들은 원조가 맹목적인 지원이 아니라 의도적이고 , 유목적적인 활동일 수 있다는 것을 알 게 될 것이 며 보다 바람직한 원조에 대해 가치 판단을 할 ,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오스트레일리아의 세계와의 원조 연계들, ‘ ’ 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의 원조를 관리하는 국제개발처(AusAID)를 비롯하여 오스트레일리아 , 적십자(Australian Red Cross), 케어(Care), 월드비 전(World Vision), 오스트레일리아 옥스팜(Oxfam

과 같은 다양한 비정부기구 의 역

Australia) (NGO)

할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들 단. 체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조하는 주요 지역 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과 주요 영역들 거버넌

( - ) (

스 교육 인도주의적 긴급 구호 난민 건강 하부, , / , , 구조 농촌 개발 등 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고 있, ) 다 특히 오스트레일리아의 파푸아 뉴기니에 의 . ‘ ’ 원조에 대해서는 별도의 소단원을 구성하여 사례 학습을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고 있 다 그리고 국제적인 원조를 위한 조약과 협정에 . 대한 정의와 유형 양자간 조약과 다자간 조약 을 ( ) 구분하여 차이점을 제시하고, 오스트레일리아가 맺고 있는 조약의 목적과 유형을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예를 들면 양자간 조약으로 개발협. , 력에 관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와 인도네시아 정

(14)

부 간의 일반 협정(1999)이 있으며 다자간 조약, 으로 식품 원조 조약(1999), 솔로몬 제도에 대한 원조에 관한 다자간 협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 통해 원조를 통한 지역 간의 연계 또는 상호의존 성에 대해 깊이 있게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조에 있어서 사람들의 힘 행동과 ( 실천 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대표적인 실천 사례) 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 Geography Focus 1 에서의 개발교육의 마지막 부분과 매우 유사하다 고 할 수 있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의 관점에서 .

단체 정부 또는 비정부기구 의 캠페인 타자로서

‘ ( ) ’, ‘

의 개인적 사례’, ‘학생들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사례 등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 수 있다 타자로서의 개인적 사례로는 . Geography 과 마찬가지로 단체의 캠페인으로는 빈

Focus 1 ‘

곤퇴치(Make Poverty History) 캠페인’, ‘타자로서 의 개인적 사례로는 ‘Live 8 콘서트 를 다루고 있’ 다 한편 타자로서 개인적 실천 사례의 하나로 개. ‘ 인들은 차이를 만들 수 있다 는 제하에 올해’ ‘ (2006 년 의 젊은 오스트레일리아인 으로 선정된 트리샤 ) ’ 브로드브리지(Trisha Broadbridge)라는 한 여성의 실천적 사례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 ‘당신은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통해 학생?’

들이 빈곤 타파를 위해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흰색 손( 목밴드를 사서 글로벌 화이트 밴드 데이(Global

참여 지역구의 국회의원 수상 White Band Day) , , 또는 외무부장관에게 원조 예산을 늘려달라고 요 청하는 이메일 또는 편지 쓰기, World Vision 또 는 Plan과 같은 조직을 통해 어린이에게 지원 이), 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있다.

결론

5. : 개발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함의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 과정과 7-10학년 지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출판 된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양상을 검토 한 것이다 분석 결과와 이에 근거하여 개발교육. 에의 시사점과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오. 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함의는 지리 교육과정적인 측면과 교과

서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교육과정의 목표 성취기준 내용의 측면에서 볼 때 개발교육, , , 은 중학교에 해당하는 Stage 4와 Stage 5의 기본 적인 필수 교과목에서는 개발교육을 명시적으로 구체화하지 않고 개발교육의 다양한 요소들을 장, 소 및 주제와 관련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는 반 면 심화 선택에 해당하는 선택 교과목의 경우 개, 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 Stage 6에서 도 개발지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보다 심화하 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영국. 의 국가교육과정이 초등에 해당하는 KS1-2 지리 의 경우 개발교육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고,

에서는 개발교육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KS3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 원조공여국으로서 앞으로 지리교육과정에서 개발 교육을 별도의 단원을 통해 다루게 된다면 중학, 교 수준에서는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삶의 질의 차 이와 글로벌 불평등에 대한 학습을 하도록 하고, 고등학교 선택과목에서는 개발교육을 명시화하여 개발의 정의에서 시작하여 개발 격차를 줄이기 위 한 실천방안에 대한 학습을 하도록 계열성을 확보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NSW 주의 지리 교 육과정에 의한 분석 대상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 제를 통해 볼 때 개발교육은 개발의 정의와 의미, 에 대한 학습에서 바로 출발할 것이 아니라 우리 의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의 차이 부와 빈곤의 , 차이에 대한 학습에서 개발의 의미를 다양한 척도 를 중심으로 개발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고 이, 러한 개발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개인으로서 또는 조직으로서 어떻게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으로 나 아갈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될 때 지리는 학생들에. 게 우리나라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는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 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교육과학기술부( , 2011), 즉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 대상 교과서의 개발교육의 내용 분, 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함의로는 개발

(15)

교육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인 개발 개발 척도, , 원조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교육을 통해 . 자국과 다른 국가와의 구체적인 연계 사례를 통해 추상적인 상호의존성이라는 개념과 글로벌 시민성 이라는 가치를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 위한 노력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기술하는 것을 지 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부 및 비정부기구 등과 , 같은 단체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개인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감정이입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 으로 자신이 어떻게 이를 위해 동참할 수 있는지 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 2011,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학, 기술부.

고미나 조철기・ , 2010, 영국에서 글로벌학습을 위 한 개발교육의 지원과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 교육학회지, 18(2), 155-171.

박선영, 2009, 세계화를 대비하는 지구시민교육의 필요성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 , 7(3), 13-24.

박에스더, 2011, 지리교사의 국제개발 사례 한국, 지리환경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집, 5-9.

손민호, 2004, 호주의 교육과정 개정정책에 대한 일 고찰 뉴사우스웨일즈주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을 -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4(1), 245-267.

이태주 김다원・ , 2010,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 회지, 45(2), 293-317.

Binns, T., 2002, Teaching and learning about development, in Smith, M. (ed.), Aspects of Teaching Secondary Geography, The Open University, London, 265-277.

Bliss, S., 2006, Geography and Geographical Education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5(2), 149-158.

Board of Studies NSW, 1999, Syllabus: Geography Years 11-12, Board of Studies NSW.

Board of Studies NSW, 2003, Human society in its environment K-6 syllabus, Board of Studies NSW.

Board of Studies NSW, 2003, Syllabus: Geography Years 7-10, Board of Studies NSW.

Hicks, D., 1983, Development Education, in Huckle, J. (ed.), Geographical Education: Reflection and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89-98.

Morgan, J. and Lambert, D., 2005, Geography:

Teaching School Subjects 11-19, Routledge, London.

Robinson, R. and Serf, J., (eds.), 1997, Global Geography: Learning through Development Education at Key Stage 3, GA/DEC, Birmingham.

Tilbury, D. 1997,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evelopment education: teaching geography for a sustainable world, in Tilbury D. and Williams, M. (eds),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Routledge, London, 105-116.

Willis, K.D., 2009, Development: Critical Approach in Human Geography, in Clifford, N.J., Holloway, S.L., Rice, S.P. and Valentine, G., Key Concepts in Geography, Sage, London, 365-377.

Witherick, M., Ross, S. and Small, J., 2001, A Modern Dictionary of Geography, Arnold, London.

Zuylen, S., Trethewy, G. and McIsaac, H., 2011a, Geography Focus 1: stage four, Pearson Australia, Melbourne.

Zuylen, S., Trethewy, G. and McIsaac, H., 2011b, Geography Focus 2: stage five, Pearson Australia, Melbourne.

한국국제협력단: http://www.koica.go.kr(ODA 바 로알기)

접수 수정 채택

( : 2013.07.02, : 2013.07.22, : 2013.07.31)

수치

그림  4. Live 8  콘서트 밥 겔도프 빈곤퇴치 ,  ,  (Make Poverty History)  포스터 (Zuylen, 2011a, 224-225)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fulcrum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research on Southeast at the University of Malaya comprised the Departments of History and Geography which also introduced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extbooks, analyzing the contents that the singing/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Third, looking at the sub-factors in terms of textbooks and software by priority, they were in the order of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learning tools

2재화 2요소 헥셔-올린 모형에서는 어느 한 경제에서 어느 한 요소의 양이 증가하면, 그 요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산업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