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의의의및목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연구의의의및목적."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일반또래와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rt Activities Focusing on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the Infants with Autism

조 영 자

*

Cho, Young Ja

< 요 약 >

본 연구는 미술활동을 통한 통합수업이 자폐유아들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 여 알아보았다 자폐유아 . 3 명을 대상으로 일반유아와 5 개월 동안 통합수업이 이루어졌 다 수업내용으로 통합수업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수용언어와 표현언어의 발생을 관찰 . ,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기초선 기간에 나타낸 수용언어 41.4%, 표현언어 29.4% 발생비율이 프로그 램을 적용한 실험기간에는 수용언어가 55.6%, 표현언어가 34.5% 나 증가 발생하였으며 , 유지기간에 수용언어 67.2%, 표현언어 36.4% 로 보여준 언어반응은 미술활동을 통한 통 합수업의 처음과 비교하여 수용언어 약 30%, 표현언어 약 7% 증가율을 보였다 .

결과로 알 수 있는 바는 언어사용에 제한을 갖고 있는 자폐유아들에게 비교적 언어사 용이 적은 미술을 통한 일반아동과의 통합수업 활동시간을 갖는 것이 자폐아동들의 언 어향상에 도움이 된다 연구결과로서 일반아동들과 자폐아동의 미술통합교육 시간확보 . 와 통합수업시간에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이 함께 할 수 있는 미술활동 프로그램 제공의 , 필요성을 제안할 수 있다 .

핵심어 : 미술활동 자폐유아 언어이해 언어표현 , , ,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연구의 의의 1.

* 대구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겸임교수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aegu University

Vol. 43, No. 2, pp. 113 133, 2004. ~

(2)

자폐유아들은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내는데 그 중에서도 자폐유아들이 나타내 는 심한 증상의 하나로서 언어를 포함한 의사소통의 장애는 자폐성 장애의 주요 한 증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초기 유아자폐증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 으로 대명사 반전 혼잣말 반향어 음의 고저이상 등을 지적하는 등 자폐성 유, , , 아들의 언어문제는 자폐아동을 연구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많은 학자들의 끊임없 는 관심의 대상으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자폐성 유아들은 언어가 발달. 한 경우라도 표현 언어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여러 면에서 이상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특히 언어의 의미적 측면과 언어를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 하는 실용적 측면에 문제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자폐유아들이 갖는 언어적 특성은 확산 시행되고 있는 통합교육 환 경 내에서 일반학급에서 교사의 지시 따르기에 곤란을 겪기도 하고 더욱이 수, 업내용의 이해가 곤란하여 학습기술 획득의 곤란 등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Harris, Handleman, Alessandri, 1990; Buysse & Bailey, 1993: Pavri &

자폐유아에게 심각하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또 다른 주요 Monta 2001).

특성은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결함으로 약 50% 정도가 기능적인 언어습득에 실 패하며 상황에 적절한 언어를 구사하지 못한다 강수균 이재국 이효신 전헌선( , , , , 자폐유아들은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결함으로 인해 의사소통을 위한 주시 1999).

행동 또래와의 상호작용결함 주도행동이나 공동관심 행동형성과 인사하기 행동, , 등에 어려움이 있다(Hauck, Fein-Waterhouse & Feinstein, 1995; Hobson &

Lee, 1998).

언어적 결함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뿐 아니라 사회적 기능 수행을 방해 한다(Weiss & Harris, 2001). 따라서 이러한 영역의 중재활동에서 주요목표는 자폐유아들의 사회성 기술과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킴으로써 사 회적 회피와 사회적 인식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자폐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촉진시키기 위한 연구에서 유아가 언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 훈련되어야 하며 언어중재는 유아들이 그들의 자연적 환경에서 의사, 소통 할 사람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McDonald, 1990; 김은경, 1997).

현재까지 수행되어 온 전통적인 지도방법은 교육실에서 지도자와의 일대일 관 계로 유아에게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언어지도를 실시해 왔으며 이와 같은 자폐 성 아동의 언어지도는 대부분 언어를 조작적 행동으로 조건화시켜서 지도하거나 보다 체계적이고 통제된 상황에서 언어의 반복적 모방에 중점을 두어 수행되어 왔다 때문에 이렇게 습득된 언어는 단순히 암기수준에 머물거나 더 나아가 아. 동의 일상생활 가운데 일반화되어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들.

(3)

을 인식해 최근에는 자연적 언어교수법과 환경중심 언어지도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자폐유아들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교육접근 방법 중 하나로 일반아동, 과 함께하는 통합교육의 실시는 자폐유아들을 일반유아들과 의미 있는 상호작용 을 갖게 하는 기회를 제공해 줌은 물론 관찰학습을 통한 생활연령에 적절한 행 동의 습득(Turnbull, 1982), 진보된 교육환경을 통한 인지 및 언어 발달의 촉진, 등의 많은 교육적 혜택들이 보고되었다 통합교육에 따른 효

(Guralnick, 1986) .

과는 장애아동이 가진 장애의 범주나 정도 아동의 연령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 를 나타내고 있지만 통합학급 아동들이 장애아동들에게 적절하게 반응해 줌으, 로써 장애아동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주며 모방과 학습의 기회를 제, 공해 줄뿐만 아니라 장애아동들의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및 의사전달 등 인, 지능력 발달을 증진시켜 준다.

자폐아동에게 어휘를 교수한 연구에서 사회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아동이 시각 단서에는 반응적이었다고 설명하였다(Wert &

시각자극을 통한 자기표현 미술활동은 아동이 흥미를 지니 Neisworth, 2003).

는 다양한 매체와 자유로운 미술방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비언어적인 미술매 체와 행위로 표출함으로써 언어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를 감소할 수 있으며 미, 술활동은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음으로 외부자극 또한 적게 받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또래들과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이해 및 표 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 2.

첫째 일반또래들과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다, . 둘째 일반또래들과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다, .

용어의 조작적정의 3.

언어이해 1)

언어이해는 말하는 단어의 개념을 알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세요 그려보자 부치자 등의 지시하는 용어를 알아듣고 대상아, ,

(4)

동이 그에 따른 동작취하기와 이름을 부르면 고개를 돌리거나 물음에 고개를, 끄덕여 반응하는 수용언어능력을 말한다.

언어표현 2)

자신의 생각 느낌 궁금증 요구 등을 말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 , . 에서는 이름을 부르면 녜‘ ' ’ ‘응 으로 대답하는 행위와 ~ ~하자 등 자신이 요구 하는 바를 말하기 우와 좋아 등 감정을 나타내는 말을 하는 표현언어능력을, ! ! 말한다.

.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대구지역 일반아동 28명과 특수아동 3명으로 하였다. 일반아동은 특수유치원에서 도보로 10분 내 이동이 가능한 장소에 위치한 M 치원 아동들이며 자폐아동들의 정신연령과 생활연령을 고려하여, 5세반 아동들 을 참여인원으로 하였다 자폐아동들은 대구시내. D특수학교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3명의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은. DSM-(APA,1994)와 자폐아 행동체크리스트(Krug, Arick, Almond, 1980)를 통해 실시하였다 대상 자폐아. 동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폐아동 특성

< 2-1>

자폐아동 아동 A 아동 B 아동 C

성별 남 남 여

생활연령 6 세 3 개월 5 세 8 개월 6 세 1 개월

가족관계 및 특성

부모님이 계시지 않으 며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 다 타인에게 잘 접근하 . 여 어울리기도 하나 성격 의 변화가 심하다 .

남자아동으로 엄마 아 , 빠 남동생 살고 있다 고 , . 집이 세고 블록 갖고 놀기 를 좋아한다 교사가 지시 . 하는 말을 듣고도 무시해 버리는 행동 특성이 있다 .

남동생 형제가 있으며

부모님께서 맞벌이를 하시

는 관계로 유치원을 마치

고 어린이집에서 오후시간

을 보내기도 한다 활달한 .

성격으로 주위사람들과 잘

어울린다 .

(5)

자폐아동 아동 A 아동 B 아동 C

현재 수준

언어

일상사용 용어를 알아 듣고 행동하거나 답하기 도 한다 자신이 요구하 . 고 싶은 말을 표현한다 .

노 녜 등의 한 음절의

‘ ’ ‘ ’

단어는 따라 말한다 시키 . 면 듣고 동작취할 수 있 다 .

이름 부르면 불분명하지 만 응 이라고 대답할 수 ‘ ’ 있으며 일상적으로 되풀이 되는 지시어는 알아듣고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 미술

완성품을 보고 재료를 가지고 만들고 싶은 모양 을 흉내 내어 만들 수 있 다 .

물감불어 모양꾸미기 , 색종이에 풀칠하여 모양꾸 미기를 할 수 있다 .

손동작이 서툴러 크레파 스로 그리기나 만들기는 도와주어야 한다 .

PEP 검사 종합 세 :3 6 개월 언어 세 :2 10 개월

종합 세 :3 0 개월 언어 세 :1 8 개월

종합 세 :3 2 개월 언어 세 :2 0 개월

ABC 67 점 68 점 72 점

연구기간 및 장소 2.

째 주부터 월 넷째 주까지 개월로 하였다 일반아동

2004 3 1 2004 7 5 .

과의 통합활동은 매 주 금요일 09:30 11:00 까지 M 일반유치원 5세반에서 실 시하였다.

3. 연구도구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훈련도구

1) ( )

본 연구에서 사용된 미술활동 내용은 일반유치원 교육과정 중 표현활동 내용, 을 비교 분석한 내용으로, 장애가 있는 아동들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내용을 추출하여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자폐아동들이 일반아동들과 함께 프 로그램을 실행함으로 자폐아동들이 나타내는 언어이해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자폐아동들이 일반아동들과 함께 참여하여 활동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6)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 2-2>

월 주 제 재 학습활동

4

1 봄의 변화 ․ 간단한 장난감을 만들기

나비 모양의 종이에 물감으로 멋진 모양 만들기

2 봄의 식물 ․ 말하는 꽃을 만들어 놀잇감으로 활용하기 3 겨울잠에서 깨어난 동물 ․ 다양한 재활용품으로 개구리 만들기 4 봄의 곤충 ․ 음악에 맞추어서 신나게 표현하기

5

2 임업시험장 견학 ․ 견학 장소의 자연환경 표현하기

임업시험장에서의 수목들을 관찰하고 그리기

3 스승의 은혜 ․ 스승의 고마움을 알고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4 우리가족 . 가족구성원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5 우리집과 물건들 ․ 우리집 꾸미기

6

1 우리가족의 역할 ․ 우리가족 구성원 꾸미기 2 동물원 동물 ․ 동물원 동물 특징 살려 그려보기 3 물고기 ․ 물감을 사용하여 물 속 풍경 그려보기 4 공룡의 종류와 생김새 ․ 찰흙으로 공룡 만들기

7 1 여름과일과 채소 ․ 친구와 협동해서 멋진 과일 바구니를 완성하기 2 대청소 ․ 노끈을 이용해서 먼지털이를 만들기

관찰 기록지 측정도구

2) ( )

본 연구의 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기초선 프. , 로그램 적용 유지에 사용된 도구는 본 연구자가 미술과 통합활동 프로그램의, 결과로 나타나는 아동 A, B, C의 언어이해와 언어표현 발생횟수를 기록하였다.

부록 ( 1)

(7)

4. 연구절차

기초선 1)

본 연구에서는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였다 아동. A의 기초선 안정 후 미술활동 통합교육 프로그램적용이 시작되어 효과가 나타났을 때 아동 B의 기 초선 측정이 시작되었고 아동, C 역시 아동 B의 기초선 안정 후 프로그램적용 이 시작되어 효과가 나타났을 때 기초선 측정이 시작되었다.

아동A - 3월 한 달 동안 매주 금요일 주 1회씩 총 5회에 걸쳐 10분 동안 수 용언어와 표현언어의 발생 횟수가 측정되었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미술활동 통, 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일반아동과의 자유놀이시간에 대상아동을 참 여시켰으며 관찰과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서 비디오로 촬영한 녹화테이, 프를 이용해 실시했다.

아동B - 3월 첫 주 금요일, 3 3째 주 금요일, 4월 첫째 주 금요일4월 셋 째 주 금요일 총 5회에 걸쳐 10분 동안 언어사용 행동에 대한 기초선이 측정되 었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미술활동을 하지 않고 일반아동과의 자유놀이시간에, 대상아동을 참여시켰으며 관찰과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서 비디오로 촬, 영한 녹화테이프를 이용해 실시했다.

아동C - 3월 첫 주 금요일, 3월 넷째 주 금요일, 4월 둘째 주, 4월 넷째 주 금요일 총 4회에 걸쳐 10분 동안 언어사용 행동에 대한 기초선이 측정되었고, 기초선 단계에서는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일반아동과의 자유놀이시간에 대상아동을 참여시켰으며 관찰과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 서 비디오로 촬영한 녹화테이프를 이용해 실시했다.

프로그램 적용 2)

본 연구에서는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했으므로 아동 A, B, C의 프로그 램적용기간이 동일하지 않다 아동. A에게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통합의 효과가 나타나 안정되었을 때 아동, B가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에 참여했으며 아동, C 역시 아동 B의 통합 효과가 나타나 안정되었을 때 미술, 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아동 A - 4월 첫째 주5월 둘째 주 금요일, 5월 넷째 주 금요일, 6월 셋째 주 금요일 총 7회에 걸쳐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실시 후 10분간의 자유 놀이 시간을 갖게 했다 통합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 안정된. 6월 이후에는 간

(8)

헐적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일반아동들과의 자유놀이시간 동안에 나타나는 언어. 능력을 한 명의 관찰자가 관찰했으며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비, 디오 촬영 후 이를 면밀히 검토하는 형식에 의하였다.

아동 B - 4월 넷째 주5월 넷째 주 금요일, 6월 둘째 주 금요일6월 셋째 주 금요일 총 6회에 걸쳐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실시 후 10분간의 자유 놀이 시간을 갖게 했다 통합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 안정된. 7월 이후에는 간 헐적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일반아동들과의 자유놀이시간 동안에 나타나는 언어. 능력을 한 명의 관찰자가 관찰했으며 관찰과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서, 비디오로 촬영한 녹화테이프를 이용해 실시했다.

아동 C - 5월 둘째 주5월 넷째 주 금요일, 6월 둘째 주 금요일6월 셋째 주 금요일 총 5회에 걸쳐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실시 후 10분간의 자유 놀이시간을 갖게 했다 통합교육의 효과가 어느 정도 안정된. 7월부터는 간헐적 으로 측정을 실시했다 일반아동들과의 자유놀이시간 동안에 나타나는 언어능력. 을 한 명의 관찰자가 관찰했으며 관찰과 기록은 측정의 정확성을 위해서 비디, 오로 촬영한 녹화테이프를 이용해 실시했다.

유지 3)

프로그램 적용기간이 끝난 후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의 효과가 유지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후인 7월 둘째 주 금요일넷째 주 금요일 총 3회에 걸쳐 대상 아동들을 일반아동과의 자유놀이 시간에 참여시켜 언어능력을 관찰하 고 측정하였다.

5. 자료처리

자료수집방법 1)

언어능력에 관한 자료는 기초선기간과 프로그램적용기간 유지기간에 걸쳐 각, , 각의 자폐아동들이 자유놀이 시간에 보인 언어행동 반응을 대학의 전공학부 학 생이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후 이를 특수교육학과 대학원생인 관찰자 두 명이 함께 보면서 관찰 자료를 기록하였다.

연구대상 자폐아동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에 관한 관찰자간 신뢰도를 확보하 기 위해 두 관찰자간의 합의 반응수와 비 합의 반응수를 합한 수로 나눈 다음

을 곱한 백분율을 구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는 언어이해 아동

100 . A 91%,

(9)

아동B 96%, 아동 C 92%로 전체 평균 일치율은 약 93%이며 언어표현, 아동A 92%, 아동 B 94%, 아동 C 92%로 전체 평균 일치율은 약

이다 93% .

자료 분석 2)

본 연구의 언어능력에 관한 자료처리는 아동 A, B, C의 행동반응을 수집된 자료내용을 바탕으로 15초 관찰, 5초 기록하였다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를 비율. 기록으로 나타내었다 결과처리는 시각적 분석으로 나타내었다. .

결과 및 해석 .

본 연구는 일반또래와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에 미치 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자폐아동, 3명을 선정하여 일반아동과 통합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활동 통합교육을 통한 자폐아동의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에 관한 연구결과를 실험절차에 따라 기초선 프로그램실행 유지단계에, , 서 나타낸 행동반응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통한 언어능력이 A, B, C아동들의 기초선 프, 로그램적용 유지기간을 거쳐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

언어이해 결과분석 1.

각 단계별로 주세요 그려보자 부치자 등의 미술활동에서 지시하는 용어를 알, , 아듣고 대상아동이 그에 따른 동작취하기와 이름을 부르면 고개를 돌리거나 물, 음에 고개를 끄덕여 반응하는 언어이해 즉 수용언어능력의 평균반응비율을 살, 펴보면 아래 < 3-1>과 같다 아동들이 기초선 기간에 나타낸 수용언어 반응. 38.7%의 반응을 보였다 프로그램적용기간에는 기초선 기간에 보여준 언어. 능력보다 수용언어 면에서 약 17%가 증가된 55.6%의 반응을 보였다 유지기간. 에도 프로그램적용기간보다 약 12% 정도 많은 수용언어반응을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아동과 아동은 평균보다 높은 접근행동을 보여주었으나 아동은 전체 평

A C , B

균 언어능력보다 낮게 반응하였다.

(10)

언어이해능력 평균반응비율

< 3-1>

단계 아동 A B C 전체

수용언어 수용언어 수용언어 수용언어

기초선 67.2 17.4 31.5 38.7

실험처치 87.3 31.8 47.6 55.6

유지 93.7 48.7 59.3 67.2

각 아동의 회기별 언어이해 반응비율을 살펴보면 아래 표 <3-2>와 같다 각. 아동들의 언어반응비율을 살펴보면, A아동은 기초선 단계에서 보인 반응보다 유 지 단계에서 보인 반응이 수용언어가 무려 27%나 증가되었다. C아동 역시 프로 그램 적용기간이 끝나고 안정에 들어선 유지기간에 수용언어 증가율은 무려 나 되었다 아동 역시 수용언어 면에서는 기초선 기간에 나타난 반응과 유 28% . B

지기간에 보인 반응이 31%의 많은 증가를 나타났다.

회기별 언어이해능력 반응율

< 3-2>

단계 회기 A 아동 B 아동 C 아동

수용언어 수용언어 수용언어

기초선

1 68 17 30

2 68 17 31

3 67 20 33

4 66 16 32

5 67 17 37

프로그램 적용

6 74 23 42

7 82 23 47

8 87 34 56

9 89 28 56

10 91 35 56

11 94 48 61

12 94 50 61

유지

13 93 48

14 94 48

15 94

아동 1) A

아동 A는 기초선 기간 5회기 중에 평균 수용언어 반응이 67.2%발생하였다. 달라진 환경 변화에도 비교적 잘 적응을 하였으며 일반아동들과 스스럼없이 대,

(11)

하며 놀았고 아동들이 같이하자는 말을 하지 않아도 접근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보이기도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에는 아동들이. A아동의 이름을 “00 ~” 고 부르면 웃으며 고개 돌려 반응하며 예전부터 친하게 지낸 친구처럼 자연스, 럽게 대하기도 하였다. 4 3째 주의 개구리 만들기 활동에서는 조각난 색종이 를 풀로 개구리 등에 지적하는 곳에 붙이기를 잘 하였으며, 5 4째 주의 가족 구성원 그리기에서 “00그려보자 에 해당하는 구성원을 특징 살려 그리는 등 일 반아동들과의 협동과제에서 요구되는 행동을 잘 수용하여 수용언어는 87.3% 반응을 나타내었다 유지 기간에는 프로그램 적용 마지막 회기 때 나타난 반응. 보다 다소 낮아지긴 했으나 수용언어는 93.7% 반응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누구에게나 잘 접근하여 말을 붙이거나 따르는 붙임성 있는 성 격으로 일반아동들과 같이 하는 미술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 협동으로 완성, , 해야 하는 미술활동에서 교사가 지시하는 행동이나 일반아동들이 요구하는 과제 를 잘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언어이해력이 증가하게 된 것이라 사료된다.

아동 2) B

아동은 기초선 기간 회기 중에 수용언어가 로 다른 아동들에 비해 낮은

B 5 17.4%

반응을 보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에는 수용언어는 기초선 기간보다 약. 14%의 증 가를 보였다 주변의 일반아동들이 관심을 끌려고 말을 붙이거나 특이한 행동을 해. 도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고 혼자놀이에 몰두하기도 하였다 가끔은 일반아동들이. 건네는 말에는 대꾸를 하지 않아도 5 3째 주의 꽃 만들기에서 꽃의 수술을 장식 하기 위해 잘라둔 수수깡을 하나씩 건네받거나, 6 3째 주의 물고기 비늘을 장식 하기 위해 스팽글을 하나씩 건네받는 과정에서 “~ ”줘 하는 요구어에는 반응을 보이 기도 하는 등 재미난 현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유지 기간에는 수용언어. 48.7% 프로그램적용 마지막 회기에 나타낸 수용언어 반응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훨씬 많. 은 평균 25회의 접근행동 반응을 나타내었다.

주위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자폐성향을 갖고 있는 B아동의 특성에도 일반아동과의 미술활동을 통하여 언어이해능력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동 3) C

아동 C는 기초선 기간 5회기에 걸쳐 수용언어가 31.5%보여주었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에는 일반아동과의 미술활동을 통한 잦은 접촉으로 익숙해 진 분위기속 에서 수용언어는 기초선 기간에 비해 16%의 증가를 보여 수용언어가 많은 향상

(12)

을 나타내었다 활달한 성격 때문에 일반아동들이 관심을 보이면 반응을 나타내. 며 아동들의 요구를 들어주기도 하였다. 5 2째 주부터 5 4째 주에 걸친 그 리기 미술활동에서 크레파스를 건네 달라고 하기도 하고 견학 중 같이 어울리, 기 위한 일반아동들의 이리와~, 저리로 가자~ 등의 요구에 응하기도 하였다 유. 지 기간에는 프로그램적용기간 중에 나타난 반응보다 조금 횟수가 증가한 수용 언어 반응을 나타내었다. C아동 역시 일반아동과의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적용횟수가 늘어나면서 일반아동들의 C아동에 대한 경계적 반응이 사라지고 공 동미술작품 제작 등을 통해 상호작용 행동이 늘게 되면서 언어적 자극과 반응이 많아졌다.

세 아동의 언어이해 발생비율을 그래프화 하여 나타내면 아래 그림

A, B, C <

과 같다 3-1> .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A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B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C

기초선 프로그램적용 유 지

그림 대상아동들의 언어이해 발생비율

< 3-1>

(13)

언어표현 결과분석 2.

각 단계별 대상아동의 이름을 부르면 녜‘ ' ’ ‘응 으로 대답하는 행위와 ~ ~ 자 등 자신이 요구하는 바를 말하기 우와 좋아 등 감정을 나타내는 말을 하는, ! ! 표현언어능력의 평균반응비율을 살펴보면 아래 < 3-3>와 같다 아동들이 기. 초선 기간에 나타낸 표현언어는 29.4%의 반응을 보였다 프로그램적용기간에는. 기초선 기간에 보여준 언어능력보다 표현언어 면에서 약 5%의 향상을 보인 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유지기간에도 프로그램적용기간보다 약 증가

34.5% . 2%

36.4%반응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과 아동은 평균보다 높은 접근행동을 보여주었으나 아동은 전체 평

A C , B

균 언어능력보다 낮게 반응하였다.

언어표현 평균반응비율

< 3-3>

단계 아동 A B C 전체

표현언어 표현언어 표현언어 표현언어

기초선 46.0 10.8 31.2 29.4

실험처치 56.3 11.5 35.6 34.5

유지 58.0 12.0 39.3 36.4

각 아동의 회기별 표현언어 반응비율을 살펴보면 아래 < 3-4>과 같다 각. 아동들의 언어반응비율을 살펴보면, A아동은 기초선 단계에서 보인 반응보다 유 지 단계에서 보인 반응이 12%의 향상을 보였다. C아동 역시 프로그램 적용기간 이 끝나고 안정에 들어선 유지기간에 9%의 향상을 나타내고 있다 두 아동에. 비해 B아동은 언어표현은 9%의 향상만 나타났다.

(14)

회기별 언어표현능력 반응율

< 3-4>

단계 회기 A 아동 B 아동 C 아동

표현언어 표현언어 표현언어

기초선

1 46 12 30

2 46 11 30

3 46 11 33

4 47 10 32

5 45 10 32

프로그램 적용

6 51 10 33

7 54 12 36

8 60 12 37

9 56 12 40

10 56 11 40

11 57 12 39

12 60 12 39

유지

13 58 12

14 58 12

15 58

아동 1) A

아동 A는 기초선 기간 5회기 중에 평균 언어표현이 46% 발생하였다 달라진. 환경 변화에도 비교적 잘 적응을 하였으며 일반아동들과 스스럼없이 대하며 놀, 았고 아동들이 같이하자는 말을 하지 않아도 접근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보이기, 도 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인. 4 2째 주에는 일반유아들이 말하는 꽃을 만 들어 A아동의 이름을 “00 ~” 하고 부르면, “ ”응 하며 예전부터 친하게 지낸 친 구처럼 자연스럽게 대답하기도 하였고, 6 3째 주의 바닷 속 물고기들을 만들 어 놀이에 참여하고 싶은 마음으로 “~뭐하는 거야?”라고 물으며 관심을 표현하 기도 하였다 표현언어도. 56.3%반응을 나타내었다 유지 기간에는 프로그램 적. 용 마지막 회기 때 나타난 반응보다 다소 낮아지긴 했으나 표현언어가 58% 응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누구에게나 잘 접근하여 말을 붙이거나 따르는 붙임성있는 성 격으로 일반아동들에 대한 거부감이 처음부터 갖지 않아 쉽게 친해질 수가 있, 었다 때문에 같이 어울려 놀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표현언어 발. 생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 것이라 사료된다.

(15)

아동 2) B

아동은 기초선 기간 회기 중에 수용언어가 표현언어가 로 다

B 5 17.4%, 10.8%

른 아동들에 비해 낮은 반응을 보였다 표현언어는. 1회기에서 회기가 지날수록 표현언어의 발생이 낮아져 5회기에는 10%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적용기간에는. 수용언어는 기초선 기간보다 약 14%의 증가를 보였으나 표현언어는 거의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주변의 일반아동들이. 6 3째주에는 관심을 끌려고 물감을 손에 묻히며 그리기 하자고 말을 붙이거나 특이한 행동을 해도 크게 관심을 보 이지 않고 혼자놀이에 몰두하기도 하였다 가끔은 일반아동들이 건네는 말에는. 대꾸를 하지 않았지만 주변의 물감이나 색종이를 요구하는, , “~ ”줘 하는 요구어 에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 등 재미난 현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유지 기간에 는 수용언어 48.7%, 표현언어 12%로 프로그램적용 마지막 회기에 나타낸 수용 언어 반응과 표현언어 반응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훨씬 많은 평균. 25회의 접근 행동 반응을 나타내었다.

주위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자폐성향을 갖고 있는 B아동의 특성으 로 인하여 표현언어의 발생상황이 주어져도 다른 두 대상아동에 비해 많은 표현 언어 능력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아동 3) C

아동 C는 기초선 기간 5회기에 걸쳐 표현언어가 31.2%로 비슷한 능력을 보 여주었다 프로그램적용기간에는 표현언어는 약. 4%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단어. 를 분명하게 발음하지는 못하여도 6 2째 주에 만든 동물들을 보며 오왜 와!”

같은 특정음을 소리 내며 동물소리를 흉내 내려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 였다 유지 기간에는 일반 유아들과 같이 작업한 과일바구니를 보며. 우와! ~ 등 표현언어 반응을 나타내었다. C아동 역시 일반아동과의 공동미술작품 제 작 등을 통해 아동들과의 언어표현 반응이 많아졌다.

세 아동의 언어표현 발생비율을 그래프화 하여 나타내면 아래

A, B, C <그림

3-2>와 같다.

(16)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동 A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아 동 B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3/1 3/2 3/3 3/4 3/5 4/1 4/2 4/3 4/4 5/2 5/3 5/4 6/1 6/2 6/3 6/4 7/1 7/2 7/3 7/4

동 C

기초선 프로그램적용 유 지

그림 대상아동들의 언어표현 발생비율

< 3-2>

(17)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에서는 일반또래와의 미술활동을 통하여 자폐유아의 언어이해 및 언어 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통한 언. 어능력 향상을 보기 위한 연구로서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또래와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이해 능력을 증가시킨다, . 유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언어이해 면에서 많은 향상을 나타내, 었다 이는 일반유아들과의 미술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으로 일반아동들로부터 많. 은 언어적 자극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일반또래와의 미술활동이 자폐유아의 언어표현 능력을 증가시킨다 그러, . 나 자폐성향이 강한 아동보다 약한 아동이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이 같은 결과는 언어사용의 제한을 갖고 있는 자폐유아들에게 다른 인 지교과 활동들보다 비교적 언어사용이 적은 미술과 같은 예능활동을 통한 통합 수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과의 통합교육에서 또래와의 활동 을 통하여 많은 언어적 자극으로 언어이해력을 넓힐 수 있으며, 일반유아들과 의 많은 활동을 갖게 해 주어 언어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반유아와.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시간의 확보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18)

참고문헌

강수균 이재국 이효신 전헌선, , , (1999). 자폐아 언어치료. 대구 대구대학교출판: .

김은경(1997). 자폐성장애의 증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3(2), 193-220.

국립특수교육원(1997).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국립특수교육원 행정간, . 행물등록번호: 27060-81510-57-9707.

박소영(2000). 그림일기를 통한 언어지도가 자폐성 아동의 언어이해 및 표현능 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

이근매(1995). 언어훈련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성 향상 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1), 95-110.

이근매 최은영, (2000). 언어지도와 병행한 미술치료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정서 학습장애아 교육 연구, 16(1) , 117-138.

이상복(1992). 자폐아의 언어능력에 관한 연구. 정서학습장애아 교육 총론, 1, 35-48.

조영자(2001). 효율적인 통합교육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2(4), 49-72.

조영자(2003). 미술활동을 통해 알아 본 자폐아동의 사물인식 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4(1), 151-166.

한국미술치료학회(1994).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대구 동아문화사. :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Bricker, D.(1978). A rationale for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preschool children. In M. Guralnick(Ed.), Early intervention and the integration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pp. 3026). Bo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Buysse, V., & Bailey, D. B.(1993).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outcomes i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and segregated settings:

A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6(4), 434-461.

Guralnick, M. J.(1986). The peer relations of young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In P. S. Strain, M. J. Guralnick, H. M.

Walker(Eds.). Children s social behavior : Development, assessment

(19)

and modification. NY : Academic.

Harris, S. L., Handleman, J. S., & Alessandri, M.(1990). Teaching youths with autism offer assistance.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3, 297-305.

Hauck, M., Fein, D., Waterhouse, L., & Feinstein, C.(1995). Social initiations by autistic children to adults and other children.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5, 579-595.

Hobson, R. P., & Lee, A. (1998). Hello and goodbye: A study of social engagement in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 117-127.

Krug, D. A., Arick, J. R., & Almond, P. J. (1980). Behavior checklist for identifying severely handicapped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autistic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1, 221-229.

Pavri, S., Monta-Amaya, L.(2001). Social Support in Inclusive Schools Student and Teacher Perspectives : Exceptional Children 69(1), 375-390.

Seth, S.K., Erik, T. S., & Eldevik, S. (2002). Intensive behavioral treatment at school for 4-to 7-year-old child with autism: A I year comparison controlled study. Behavior Modification, 26(1), 49-68.

Turnbull, H. R.(1982). Mainstreaming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Perspective of Parents of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the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6, 114-120.

Weiss, M. J., & Harris, S. L.(2001). teaching social skills to people with autism. Behavior modification, 25, 785-802.

Wert, B. Y., & Neisworth, J. T.(2003). Effects of video self-modeling on spontaneous requesting i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5(1), 30-37.

(20)

부록 행동 관찰기록지

〔 Ⅰ〕

아동 이름

관찰자이름

시작 시간 종료 시간

1 2 3 4 5

20 2020202020202020202020202020

/ / / / / / / / / / / / / / /

6 7 8 9 10

20 2020202020202020202020202020

/ / / / / / / / / / / / / / /

표시 반응행동 일반아동반응 발생 발생하지 않음

( : / , + , )

(21)

<abstract>

The Effects of a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Art Activities Focusing on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the Infants with Autism

Cho, Young J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clusive classes using art activities on autistic infants' linguistic ability. Three autistic infants were given an inclusive educational program in an inclusive class with common infants for five months.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intended to induce the infants to us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which was observed and recorded.

As a result, the occurrence rates of their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which were 38.7% and 29.4% respectively at the baseline, increased to 55.6% and 34.5% respectively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their linguistic responses were improved to 67.2% and 36.4% for eac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which marked an increase by about 30% and 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eginning of the inclusive class using art activities.

The results prove that autistic infants having restrictions with their language use can benefit from studying along with general kids in an inclusive environment using art activities with relatively less demand for language use. It is also implied how necessary it is to secure lessons for inclusive art education and provide such art activities programs as provide the opportunities for disabled children to work with non-disabled children during inclusive classes.

Key Words : art activity, infants with autism, receptive language, expressive language

수치

표 미술활동 통합수업 프로그램 &lt; 2-2&gt; 월 주 제 재 학습활동 4 1 봄의 변화 ․ 간단한 장난감을 만들기 나비 모양의 종이에 물감으로 멋진 모양 만들기․2 봄의 식물․말하는 꽃을 만들어 놀잇감으로 활용하기 3 겨울잠에서 깨어난 동물 ․ 다양한 재활용품으로 개구리 만들기 4 봄의 곤충 ․ 음악에 맞추어서 신나게 표현하기 5 2 임업시험장 견학 ․ 견학 장소의 자연환경 표현하기 임업시험장에서의 수목들을 관찰하고 그리기․3 스승의 은혜․ 스승의
표 언어이해능력 평균반응비율 &lt; 3-1&gt; 단계 아동 A B C 전체 수용언어 수용언어 수용언어 수용언어 기초선 67.2 17.4 31.5 38.7 실험처치 87.3 31.8 47.6 55.6 유지 93.7 48.7 59.3 67.2 각 아동의 회기별 언어이해 반응비율을 살펴보면 아래 표 &lt;3-2&gt; 와 같다 각
표 회기별 언어표현능력 반응율 &lt; 3-4&gt; 단계 회기 A 아동 B 아동 C 아동 표현언어 표현언어 표현언어 기초선 1 46 12 302461130 3 46 11 33 4 47 10 32 5 45 10 32 프로그램 적용 6 51 10 33754123686012379561240 10 56 11 40 11 57 12 39 12 60 12 39 유지 13 58 12 14 58 12 15 58 아동1) A 아동 A 는 기초선 기간 5 회기 중에 평균

참조

관련 문서

Through the continuous experience of this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the children not onl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art activities, but also

Understanding the visual language demands the ‘Visual clue’ which helps the information audiences comprehend the structure of the visual language and grasp

Seeing the type of medium to obtain sexual information, the order in getting the more accurate sexual information was education, video, language, print, PC

To learn about the necessity of textile art education and tapestry technique, to study the value of tapestry education and to utilize it in art education

Among the many educational methods of Waldorf Kindergarten, art activities for infants are centered on the process-oriented emotional color education that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rough play in modern children'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The status of classics such training courses on the challenge of learning objectives, classical literature, language... educators, researchers and resulting lack

Effects of Mother's Types of Language Control and Rearing Attitudes on Young Children's Social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