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direct Immunofluorescent Tsutsugamushi in tsutsugamushi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direct Immunofluorescent Tsutsugamushi in tsutsugamushi"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앙병리럼마고I익외7\ 1

:

머133뀐 머12오,

74-80 , 2001.

2000년 전라남도 지역에서 간접 IFA 에 의한

Orientia tsutsugamushi

항체 가 분포 조사

광주보건대학 임상병리과 이영종·주경웅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Tsutsugamushi Disease in Jeollanamdo, 2000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Assay

Lee, Y Ol mg long. ,

1∞,

Kyeng

WI∞ng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

Kwan따u

Health College , Kwangju ,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seroepidemiological patterns of scrub typhus in leollanamdo , 199 patients' sera with acute febrile episodes from each area were tested for the antibody to Orientia tsutsugamushi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assay technique from May to December in

2α)().

Ou t of 199 patients , 173 (86.9%) patient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0.

tsutsugamushi and the fema1e outnumbered the ma1e. 25.4% of seropositives to o.

tsutsugamushi was in the age of the fifties , and 83.2% of seropositives to 0. tsutsugamushi was shown between the forties and seventies of the age. Am ong each area , 20 showed positive reaction to 0. tsutsugamushi.

πlese

results might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scrub typhus in leollanamdo.

Key words Orientia tsutsugamushi , IFA

*

이 연구는 2α)()년도 광주보건대학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1.

쓰쓰가무시병은 사람에 있어서 발진과 특징적 인 가피를 동반하는 급성열성질환으로

(W eiss

등,

1984)

국내에서는 1951 년 6.25 동란 때 주로 UN군에서 발생한 보고가 (Murπo-Faure와

Missen ,

1951)

있은 후 국내 전역에 만연되어 있는 토착

병임이 알려지게 되었다 (장 등,

1987;

장 등,

(2)

1989a;

장 등,

1989b;

장 등,

1990;

장 등,

1992a;

장 등,

1992b;

장 등,

1994).

이 질병은 국내에서 신증후출혈열, 랩토스피라증, 발진열과 함께 가 을에 유행하는 대표적인 급성발열질환의 하나이 다 (박 등,

1993). Ri ckettsia

tsutsugamushi는 T따nura 등 (1995) 에 의해 새로운 속인

Orientia

속으로 분류되 어 현

Orientia

tsutsugamushi로 명 명 되 고 있다.

국내에서 쓰쓰가무시병의 환자발생은 10월에 증가하여 11 월에 정점에 달하며 (이 등,

1986a;

이 등,

1986b;

장,

1988),

그 임상상은 잠복기 후 에 권태감, 근육통, 두통, 식욕부진 등의 전구증 상에 이어 발열이 시작된다. 고열은 발병 4-5 일 후에

39-40

0

C

에 달한다.

Sheehy

등 (1973)은 치 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 고열이 10-36 일간 계속 된다고 보고하였다. 장 등 (1989b)은 잠복기가

5

일에서 13 일까지 평균 8 일이며, 또한 발열기가 10-19 일 (평 균 14 일)로 보고하고 있다 (장 등,

1987).

이 질병의 중요한 진단적 소견으로는 가

피를 들 수 있다. 이는 털진드기에 물린 자리에 홍색구진이 형성되고 수포로 발전한다. 이 수포 는 농포로 변한 뒤 작은 궤양이 발생하고 이어 서 흑색가피를 형성하게 된다 (전과 장,

1989).

장 등 (1 989b)은 충청지역에서 특징적인 가피의 존재를 89% 로 관찰하였으며, 가피수는 대부분 한 환자당 한개씩 관찰된다고 보고하였다.

쪼쪼가무시병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더불어 혈 청학적 진단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혈청 학적 진단법은 몇가지 방법이 있으나 표준혈청 검사법으로 추천되고 있는

indirect immunofluo- rescent antibody assay

(in따rect

IFA)

(장, 1994) 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도에 전라남도에서 발생하는 쓰쪼가무시병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열을 주증으로 하는 급성열성환 자의 혈청을 수집하였고

indirect IF

A에 의해

Q

tsutsugamushi의 항체가를 측정한 후 감염양상,

지역별 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II.

재료 및 방법

1 .

검체

2α)()년 5월부터 12월까지 전라남도의 각 지 역 에서 열성질환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혈청을 대 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혈청은 7일 간격으로 2회 채취하였으며, 일부 환자 혈청은 1 회 채취한 것 도 있다.

2.

간접

IFA

항원

0. tsutsugamushi

K따P

(ATCC VR-1500) , Gil1iam (ATCC VR-312)

Kato (Nigata

strain)주 를 유정란의 난황낭에 접종하여

spot

slide에 냉 아세톤으로 고정한 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항체 측정 혈 청 을

0.01 M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4)로 32배부터 2 배씩 계단희석 하여

spot

slide의 각 well에 가한 후

moisture

chamber에 넣어 370C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 응 후 PBS로 3 회 세 척 한 다음 각 well에

anti- human IgG conjugated FITC

(Cappel)를

25

μ씩 가하여 370C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를 다시 PBS로 3 회 세척하고 증류수로 1 회 세척한 후

mounting media

(Sigma) 로 mounting하여 형 광현 경으로 관찰하였으며, 특이 형광이 관찰되는 최 대 혈청희석배수의 역수를 항체가로 정하였다 (Bozeman과

Elisberg , 1963).

양성 판정 1 회 검사에서

1:128

이상인 경우에 는 양성을,

1:128

미만인 경우에는 1주 후 2차 검 사에서 4 배 이상의 역가가 상승한 경우에 양성 으로 판정하였다.

3.

발생양상 분석

환자의 주소, 연령 및 성별 등을 기초자료로 하여 분류한 후 필요에 따라 결여된 정보를 다 시 추가하여 실험결과를 종합한 후 역학적 발생 양상을 분석하였다.

(3)

m.

결 과

1.

항체양성률

Table

3과 같다. 전라남도 각 시

·

군 가운데 20

개 시

·

군에서

0.

tsutsugamushi에 대한 항체 양 성자가 나타났다. 그 중 곡성군이 17.9% 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며, 담양과 순천시가 각각 환자 199명 중 항체 양성자가 173명으로

86.9% 1 1. 0% , 16.8% ,

그리고 나머지 조사지역은 10% 이 였으며 이 중 남자가 62명으로

84.9% ,

여자가 하의 발생율을 보였다.

111 명으로 88.1% 였다

(T able 1).

2.

항체 양성자의 연령별 분포

N.

고 찰

연령별 환자 발생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항 즈즈쪼가무시병의 진단은 크게 임상증상과 임 체 양성자를 연령별로 분석하였다

(T able 2). 40

상병리학적 진단, 세균학적 진단 및 혈청학적 진 대에서 70대 사이의 연령층이 전체 환자 중에 단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특징적인 임상 83.2%를 차지하였으며, 50대와 60대가 각각

25 .4%

소견인 가피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및 24.9%로 가장 많았다. 발견하기 어려우며, 특히 재감염시에는 가피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진단시 문제점이 있

3.

항체 양성자의 지역별 분포 다. 환자의 혈액 등에서 분리하는 세균학적 진단

은 동물접종 및 세균 분리 등 그 방법이 까다롭 항체 양성자의 거주지를 지역별로 표시하면 고 분리율도 비교적 낮아 진단시 감수성의 문제

Table 1. Sexual distribution of seropositive cases to Or ientia tsutsugamushi among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여.es

in Jeollanamdo , 2000

Sex Male Female

Tota1

No. of tests 73 126 199

No. of

P∞itive

(%) 62 (84.9) 111 (88.1) 173 (86.9)

Table 2. Age distribution of seropositive cases to Orientia tsutsugamush among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odes in

Je이lanamdo, 2αm

Age No. of tests No. of positive Occurence rate (%)

< 10 3 0.6

10 - 19 10 7 4.1

20 - 29 5 3 1.7

30 - 39 15 12 6.9

40 - 49 26 25 14.5

50 - 59 49 44 25.4

60 - 69 51 43 24.9

70 - 79 33 32 18.5

> 80 7 6 3.4

Tota1 199 173 100.0

(4)

Table 3.

Disπibution

of seropositive cases to Orientia tsutsugamushi among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odes by country in Jeollanamdo ,

2뻐

Country No. of tests No. of positive Oc curance rate( %)

Bosung 0.6

Damyang 20 19 11.0

Gan밍in

5 4 2.3

Gohung 5 4 2.3

Gokseong 33 31 17.9

Gurae 10 8 4.5

Haenam 3 2 1.2

Hampyong 4 2 1.2

Hwasun 0.6

Janghung 0.6

Jangsung 5 5 2.9

Jindo 19 16 9.2

Kwangyang 3 2 1.2

Mokpo 8 6 3.5

Muan 8 6 3.5

Naju 6 5 2.9

Sinan 18 16 9.2

Sunche아l

31 29 16.8

Yeosu 5 4 2.3

Youngam 13 11 6.3

Total 199 173 100

가 제기되고 있으며 원인균의 분리 및 동정에는 강원지역에서는 18주 중 l 주만이 보령주였으나 3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됨으로 진단에 실질적인 중남부지방인 충북, 충남, 전북, 경남지역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장 등, 1989b). 따라서 몇가 95주 중 87주가 보령주로 지역에 따라 유행하는 지 혈청학적 진단법 중 WHO에서 표준혈청검사 혈청형이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법의 하나로 추천하고 있는

IF A (Tamura, 1987)

본 연구에서는 Gil1i때, K없p 및 Kato의 세가지 를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에서 쓰쓰가무시병의 원형균주를 사용하여 IFA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발생양상을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세가지 원형균주 외에 보령주를

국내에서 분리된

0. tsutsugamushi

중 대부분이 보령주이고, 그외에 K따p와 Gilliam주도 분리

·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장 등 (1992a)은 한국에서 는 쓰쓰가무시 병 진단 항원으로 Gilliam, K때

Kato

세가지 원형균주외에 보령주를 추가하여

네가지 균주를 항원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Chang 등 (1990)은 북부지방인 경기,

추가하여야 할 것이며 본 조사지역에서도 균분 리를 통한 유행 혈청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 다고 사료된다.

Chang

등 (1 990)은 동종항원에 대한 항체가

320배에 비해 이종항원에 대해서도 40배의 항체 가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 김 등 (1988)은 다른 strain에 비해 8 배 이상의 높은 항체가를 나

(5)

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strain을 구별하였다 49.3%로 여성의 45.6% 보다 많았다. 본 조사에서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str빠1 구별의 어려움으로 는

Table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남자가

84.9% ,

3 가지 사용 혈청형에 대한 역가 중 가장 높은 것 여자가 88.1% 로 나타나 여자가 더 많은 발생률 을 항체가로 표시하였다. 을 보였으며 전체적인 발생률도 상승하였다.

쪼즈즈가무시병의 양성 판정기준은 이 질병의 연령별 항체 양성자의 분포는 50대에서 70대 토착 정도 및 기후 등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에 가 전체 발생수의 68.8% 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따라 달라지므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양성 판 80대 이상에서 3.4%로 나타났다

(Table 2).

장 등 정기준이 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Bozeman과 (1 994) 이 30대에서 60대가 전체 발생수의

72.2% , Elisberg

(1963) 과 Elisberg와

Bo zeman

(1 966)은 처 특히 40대에서 60대가 전체발생수의 57.8% 로, 문 음으로 IFA에서 1:10을 양성 기준으로 보고하였 과 김 (1 997)은 40대에서 60대가 전체발생수의 으며

Johnson

등 (1982)은

1:50 , Brown

(1978)

75.6% 로 보고하였으며, 이 (2α)())는 50 대에서

60

1 :25 , Bourgeois

등 (1977)은 1:40을 기준으로 대가 전체 발생수의 60.0% 로 보고하였다. 본 조 판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장 등 (1989b)은 IFA의 사에서는 7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예년보다 많 양성 판정기준을 1:80으로 하였을 경우에 특이도

및 양성 예측도가 높아 환자 진단목적의 양성 혈청기준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은 발생수가 나타나 연령층이 더 노령화되었음 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쓰쓰가무시병의 감수성 이 노인층에 있다기보다는 국내 농촌인구의 노 는 1:128을 양성 판정기준으로 하였다. 령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장 등,

1994) ,

IFA에 의한 혈청학적 진단시에 단일 검체를 본 조사지역에서는 더욱 심한 농촌인구의 노령 대상으로 양성 판정기준에 의한 진단은 발병일 화를 반영하고 있다.

로부터의 유병기간에 따라 초기에는 민감도나

Table

3은 전라남도

207R

·

군에서 지역별 양성 예측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반드시 3-5 일 간 항체양성자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실제로 지 격으로 복수 검체를 채취하여 역가상승을 증명 역에 따라 환자발생률에 차이가 있는 것인지 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장 등,

1989b).

니면 일선 임상의사의 즈즈즈즈가무시병에 대한 관 2000년에 전라남도 각 지역에서 수집된 열성 심도의 차이 때문인지는 앞으로 더 조사가 필요 질환이 의심된 환자의 혈청은 199 예이었다

(Table

하다고 생각된다.

1).

이는 장 등 (1994) 의 보고에서 1993년에 전라 남도 지역에서 의뢰된 혈청학적 검사자 603명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숫자이다. 2000년 전라남도 지역의 쓰쓰가무시병의 총 발생률은 86.9% 로

(Table 1)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의 전국 및 전 라남도의 환자발생률

40.8% , 66.8%

(장 등,

1989b) ,

1993 년도 발생률

43.1 %, 53.7%

(장 등,

1994) ,

1996년도 발생

6 1. 6%

(문과 김

,

1997) 와 비 교 하여 볼 때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으나 1999년도 발생률

87 .1 %

(이, 2α)())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성별 환자발생 양상은 1986년부터 1992 년까지 의 보고에서 (장 등,

1989b)

남성이

43% ,

여성이 48.4%였으나, 1993년도에는 (장 등,

1994)

남성이

쪼즈즈가무시병의 윌별 발생현황을 보면 8월에 환자발생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과 11 월에 절 정에 달하고 12월에 급격히 감소되었다(자료 미 제시). 이 시기에 항체양성자 수와 환자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은 이 시기의 국내 기후조 건이 털진드기의 탈바꿈 과정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V.

2α)()년도에 전라남도에서 발생하는 쓰즈즈가무 시병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발열을 주 증으로 하는 급성열성 환자의 혈청을 각 지역으

(6)

로부터 수집하였다.

0.

tsutsugamushi에 대한 특 이항체를 IFA로 측정, 분석하여 아래와 같은 결 과를 얻었다.

1.

총 199 예 중 173 예인 86.9% 가 항처l 양성자 였으며 남자가

84.9% ,

여자가 88.1% 의 항제 양성률을 보였다.

2.

40대에서 70대 사이의 연령층이 전체 환자 중에 83 .2%를 차지하였으며, 50대와 60 대가 각각

25 .4%

및 24.9% 로 가장 많았다.

3.

항체 양성자수의 지역별 분포는 전라남도

207B

·

군에서 항체 양성자를 나타냈다.

칩고문흰

1. Bourgeois A.L., et a l. Epidemiological and sero- logical study of scrub typhus among Chinese

militaη

in the Pescadores islands of Taiwan.

Trans R Soc Trop Med Hyg 71:338-342 , 1977 2. Bozeman F.M. and B.L. Elisberg. Serologic

diagnosis of scrub typhus by indirect immuno- fluorescence. Proc Soc Exp Bi ol 112:568-573 ,

1963

3. Brown G.W. , et al. Serological evidence for a high incidence of transmission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two Orang Asli sett1ements in peninsular Malaysia. J Am Trop Med Hyg 27:

121-123 , 1978

4. Chang W.H., et al. Serological classification by monoclonal antibodies of Ri ckettsia

tsutsugamzαhi

isolated in Korea J Clinical Microbiol 28:685- 688 , 1990

5. Elisberg B.L. and F.M. Bozeman Serological diagnosis of rickettsial diseases by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rch Inst

p,αsteur

Tunis 43:

193-204 , 1966

6. Johnson D.E., et al.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fection in a rural

πlai

village. Trans R Soc Trop Med Hyg 76:

1-3 , 1982

7.

Murπo-Faure

A. and M.D. Mi ssen. Scrub typhus in Korea. J Roy Army Med Corps 97:227-229 ,

1951

8. Sheehy T.W. , et al. Scrub typhus-A comparison of chloramphenicol and tetracycline in its treat- ment. Arch Int Med 132:77-80 , 1973

9. Tamura A. Antigens of Rickettsia tsutsugamushi.

Report of meeting of the task force on the serological diagnosis of tsutsugamushi disease (Scrub typhus).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m pacific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p.19- 22 , 1987

10. Tamura A. et al. Classification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a new genus , Orientia gen.

nov. , as Orientia

tsutsugamlιshi

comb. nov. Int J Systemic Bacteriol 45:589-591 , 1995

11. Weiss E., et al. Rickettsiales in Bergeys

man뻐

of systemic bacteriology. Williams Wilkins , Baltimore pp.687-698 , 1984

12.

김윤원 등. 강원도 지역에서 발생한 발진열 과 쭈쭈가무시

.

감염.

20: 105-116 , 1988 13.

문홍만, 김석홍. 1996년 전남지역에서의

IFA

에 의 한

R tsutsugamushi

항제 가 분포조사. 광 주보건대학논문집.

22:281-291 , 1997

14.

박병규 등. 소아 쭈쭈가무시병환자 28 명의 임 상상 및 유병기간에 따른 간접면역형광항체 가의 변동상. 감염.

25:109-123 , 1993

15.

이강수 등. 쭈쭈가무시병으로 규명된 진해지 방에서 발생하던 발진성 질환. 대한미생물학 회지.

21: 113-120 , 1986a

16.

이영종. 1999년 전라남도 지역에서의 간접면 역 형 광항체 법 에 의 한

Orienti tsutsugamushi

체가 분포 조사. 광주보건대학논문집.

25: 189- 199 ,

2아)()

17.

이정상 등. 국내 상주 한국인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쭈쭈가무사병 9 예를 포함하여

Ri ckettsia

감염. 대한의학협회지.

29:430-438 , 1986b

(7)

18.

장경문 등. 혈청학적으로 확진된 쪼쓰가무시

(Tsutsugamushi disease)

20 예 의 임 상적 고찰.

한의 학협

. 30:638-646 , 1987a

19.

장우현. 우리 나라 쪼쪼가무시 병 의 발생 양상

Rickettsia

tsutsugamushi원형 의 분포. 대 한 의학협회지.

31:601-607 , 1988.

20.

장우현 등. 혈청학적으로 진단된 1986년도 Rickettsia질환의 발생양상. 대한내과학회지.

33:

604-612 , 1987b

2 1.

장우현 등. 1987년 및 1988년에 한국에서 발 생한 발진열의 혈청학적 조사. 대한미생물학 회 지

. 24:399-409 , 1989a

22.

장우현 등. 한국에서 발생하는

Scrub typhus

의 혈청학적 진단을 위한 면역형광항체가의 평가. 대한미생물학회지.

24:281-289 , 1989b 23.

장우현 등. 충청지역에서 발생한 즈즈쪼가무시

병의 임상상, 원인균의 혈청형 및 혈청역학 적 연구. 감염.

21:67-82 , 1989c

24.

장우현 등. 1989년에 한국에서 발생한 즈즈즈즈 가무시병의 혈청역학 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25:227-235 , 1990

25.

장우현 등. 쓰쪼가무시병의 혈청학적 진단에

IgG

IgM

항체가의 진단적 의의 및 항원 으로서의 보령주의 평가. 대한미생물학회지.

27:19-27 , 1992a

26.

장우현 등. 1991 년에 발생한 쓰즈즈가무시병의 혈청역학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27:435-442 , 1992b

27.

장우현 등. 1992년에 한국에서 발생한 쓰쓰 가무시병의 혈청역학 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29:153-160 , 1994

28.

장우현. 한국의 쪼즈즈가무시병. 서울. 서홍출판 사.

pp .l -153 , 1994

29.

전기엽, 장우현. 1986년, 1988 년 전북지역에 서 발생한 쭈쭈가무시병 24 예. 대한내과학회

. 36:395-402 , 1989

수치

Table  2.  Age  distribution  of  seropositive  cases  to  Orientia  tsutsugamush  among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odes  in  Je이lanamdo,  2αm
Table  3.  Disπibution  of  seropositive  cases  to  Orientia  tsutsugamushi  among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odes  by  country  in  Jeollanamdo ,  2뻐

참조

관련 문서

We investigated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involvement and characteristic endoscopic findings in scrub typhus, and we also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Haemorr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caused by Hantanvirus has been one of the principal acute febrile disease in Korea. Hantaviruses are carried by numerous

The Eschar Distribution According to Gender and Orientia tsutsugamushi Genotypes of

Phylogenetic analysis of Orientia tsutsugamushi strains based on the sequence homologies of 56-kDa type-specific antigen genes. FEMS

Full genome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hepatitis C virus from sera of chronic hepatitis patients in Korea. Detection of hepatitis C virus RNA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D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 p= 0.02) and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ibronogen were decreased ( p= 0.021) in abnormal bleeding patients

It results that ideal cut-off value to diagnose scrub typhus for acute febrile patients is over 1:64 on lgG(sensitivity/specificity 67.5%/88.1%) and 1:16

Kim DM, Yu KD, Lee JH, Kim HK, Lee SH:Controlled trial of a 5-day course of telithromycin versus doxycycline for treatment of mild to moderate scrub typhus. Scr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