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년 5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20년 5월"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0년 5월 (누계) 농림수산식품 수출 동향 보고서

Ⅰ 총 괄

5월 (확정) 농림수산식품 수출은 38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 신선 5.4억불(△0.7%), 가공 24.2(2.8%↑), 수산 8.9(△15.2%) - □ ‵20년 5월 (누계) 농림수산식품 수출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3,845.4백만불

◦ (신선) 김치 (59.3, 36.6↑) , 가금육류 (30.9, 12.3↑) 등 증가 불구, 채소류 (135.1,

△4.5) , 과실류 (103.2, △4.5) , 인삼류 (79.5, △1.2) , 버섯류 (19.4, △5.7) 부진으로 감소 ◦ (가공) 연초류 (379.2, △10.8) , 음료 (160.1, △10.9) , 주류 (123.6, △21.2) 감소 불구,

면류 (325.4, 33.3↑) , 과자류 (203.4, 17.6↑) , 소스류 (118.5, 18.3↑) 호조 ◦ (수산) 어류 (408.2, △20.6) , 해조류 (265.9, △4.4) 등 전 부류 부진 지속

* `20년 5월(누계) 국가 전체산업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감소한 2,015억불

* 쌀 무상원조 실적 `18년(5.3.천톤, 8.7백만불), `19년(1.0천톤, 2.0백만불), `20년(1.0천톤, 1.8백만불) 제외

□ 일본 (801.4, △7.4)・ 중국 (602.8, △8.5)・ 아세안 (736.7, △3.1) 감소세 유지, 미국

(575.9, 22.8↑) 증가세 유지 , EU (232.5, △2.1) 감소세로 전환

◦ (일본) 긴급사태선언 (4.7~5.26) 으로 인한 소비 침체 지속으로 파프리카(36.6,

△12.0), 토마토(4.3, △21.6), 참치(64.5, △17.2) 등 주요 품목 부진 ◦ (중국) 인삼류(28.9, 19.8↑), 면류(70.2, 50.9↑) 등 일부 증가 불구 신선

(80.3, △1.8), 가공(341.9, △0.9), 수산(180.6, △22.1) 감소

◦ (미국) 신선(89.0, 24.2↑) 및 가공(362.2, 32.9↑) 식품은 큰폭 상승 반면, 수산은 김(55.1, 28.2↑) 제외 전반적인 부진으로 소폭 감소(124.6, △0.1) ◦ (아세안) 면류 (58.8, 14.6↑) , 과자류 (21.5, 9.4↑) , 소스류 (21.0, 6.1↑) 등

가공 (479.1, 4.8↑) 증가 불구, 신선 (94.7, △5.1) , 수산 (162.9, △19.9) 감소

<2020년 5월 주요국 농림수산식품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불, %)

구 분 2018 2019(A) 2020(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1,851.2 3,830.2 1,946.1 3,943.9 1,868.9 3,845.4 △4.0 △2.5

□ 농림축산 1,598.7 2,850.6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 신 선 232.5 518.6 255.1 539.4 240.9 535.8 △5.6 △0.7

◦ 가 공 1,366.3 2,332.1 1,401.6 2,351.8 1,370.2 2,417.1 △2.2 2.8

□ 수 산 252.5 979.6 289.3 1,052.7 257.8 892.5 △10.9 △15.2

<최근 3개년 5월 (누계) 수출실적>

(단위 : 천톤, 백만불, %)

국가 일본 중국 홍콩 미국 ASEAN

OIC EU

베트남 태국 인니

‘19.5 864.9 658.6 171.3 468.9 760.1 272.0 180.2 85.5 379.4 237.5

‘20.5 801.4 602.8 171.2 575.9 736.7 248.9 152.1 83.6 336.5 232.5

증가율 △7.4 △8.5 △0.1 22.8 △3.1 △8.5 △15.6 △2.2 △11.3 △2.1

비중 20.8 15.7 4.5 15.0 19.2 6.5 4.0 2.2 8.8 6.0

(2)

Ⅱ 5월 국가별 동향

1 일 본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증감 원인

누계

801.4 △7.4%

- 긴급사태선언

(4.7~5.26)

으로 인한 이동 자제로 장기 보존식품

(라면)

및 면역력 제고 식품

(인삼류, 김치)

수출 호조, 반면, 레스토랑·

호텔 휴업 및 영업시간 단축 등으로 업무용 판매 비중 높은 파프리카, 소스류는 수출 감소

* 수출실적(누계) : (김치) 30.4, 26.9%↑, (라면) 22.4, 52.9↑ (인삼류) 13.8, 4.5↑ / (파프리카) 36.6,

△12.0, (소스류) 8.6, △6.3

CV19 관련 농식품 동향

◈ (외식업계 동향) 5월 외식산업계 현황

(6.11 일본영농신문 자체 조사)

- 패스트푸드사(맥도날드, 모스버거, KFC)를 제외한 대부분의 외식업체가 마이너스 성장. 특히, 이자카야 등 주류 판매를 주로 하는 업계는 90% 이상 매출 감소한 회사도 발생

환율 동향

◈ 전년부터 증가세를 보인 원/엔 환율은 하락 국면을 보이다가 세계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2월부터 다시 반등 국면을 보인 이후 상승세 유지

* 환율 추이(원/100엔) : (`19.12) 1,077.18 → (`20.1) 1,065.25 → (`20.2) 1,084.95 → (`20.3) 1,134.75 → (`20.4) 1,135.31 → (`20.5) 1,144.33

경제

동향

◈ 니혼케이자이신문은 `20년 2/4분기 GDP 성장률을 △21.2%로 전망, 19년 4/4분기 △7.1%, 20년 1/4분기 △3.4%에 이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기록하면서 장기적 경기침체 우려

사회 문화적

이슈

◈ 일본정부 긴급사태 선언이 해제되었으나, 당분간 소비 회복은 어려울 전망이며, 방일 외국인 관광객 지속 감소 추세

비관세

장벽 ◈ 특이사항 없음

전망 및 농식품 수출 확대 전략

◈ (전망) 일본 정부의 긴급사태선언이 해제되었으나 여전히 외출 자제는 이어지고 있어 소비 회복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됨. 비대면 구매(온라인몰, 배달 음식)는 수요가 계속 증가하였으나 자숙 분위기 지속으로 호텔, 외식 등 식재료 시장 은 당분간 감소 전망

◈ (전략) 오프라인 매출이 지속 감소하고 있어 온라인을 타깃으로 한 집중 마케팅이 필요하며, 수출 확대를 위한 품목별 맞춤 전략 필요

- 화훼류 : 8월 오봉(일본 추석) 수요 증가 시기 국화 등 안정적 공급기반 마련 - 토마토 : 기존 업무용 이외 신품종(스낵토마토 등)을 중심으로 소매시장 적극 개척 필요

(판촉, 바이어 산지초청 등)

- 소주 : 소용량 가정용 제품의 매출 상승 현상을 감안, 소용량 사이즈 집중 공략 - 굴 : 수출단가 높게 형성되어 수입업계 소극적 경향, 수출 상승세 유지를 위해서는

해외공동물류 등을 통한 단가 조절 필요

(3)

□ 품목별 증감 현황

품목 증감사유 및 전망

김치

◈ (누계) 30.4백만불 (26.9% )

- 금년 한국산 배추 가격 상승으로 1~2월 수출여건은 지난하였으나, 일본 TV(아사히 TV)에서 김치 효능에 대해 방영되는 등 면역력 강화 식품으로 주목받으면서 현지 소비 확대

- 일본산 김치 공급 안정적 증가로, 향후 한국산 김치 추가 주문 감소 우려

라면

◈ (누계) 22.4백만불 (52.9% )

- 외출 자제에 따른 가정용 소비 지속 확대로 대량구입 및 보관성이 용이한 라면류 시장은 지속 확대 추세

- 여름철 한국 냉면 제품 중심 판매 확대 기대

인삼류

◈ (누계) 13.8백만불(4.5%↑)

- 일본 내 건강시장 규모는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면역력 관심 지속으로 한국산 인삼 수출 지속 증가

- 다만, 신제품이 시장에 활발하게 진출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산 인삼의 명확한 효능 입증을 기반으로 한 홍보 확대 및 판로 다변 화(온라인) 등이 필요

◈ (누계) 23.1백만불(1.8%↑)

- 일본 굴 주요산지인 히로시마산의 금년도 굴 생산량 감소에 따른 한국산 냉동굴 확보 수요 확대 및 및 코로나에 따른 가정 소비용 굴 조제품 수 입확대 영향으로 수출 확대

- 전반적으로 냉동굴

(일본산 재고량 및 `19년 한국산)

재고가 충분하고 한국산 굴 양식 품목 전환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는 등 수출 확대 애로

파프리카

◈ (누계) 36.6백만불(△12.0%)

- 3~4월까지 한국 내수 가격이 양호하여 수출량이 하향 조정되었고, 비상사태선언 이후 레스토랑, 호텔 등 식자재용 수요 감소 및 일본산 채소 가격 전반 하락 경향 등으로 한국산 파프리카 수출 감소 - 소매용은 가정 소비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으나 업무용은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 등으로 수요 회복이 불확실하고, 거래량이 감소한 업무용 물량이 도매시장에서 낮은 가격으로 중소형 수퍼 등에 낙찰되어 유통되는 등 한국산 가격 하락 우려

화훼류

◈ (누계) 1.8백만불(△24.6%)

- 졸업식 등 이벤트 취소 및 자제 분위기로 화훼 수출여건 악화 -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확산으로 호텔 및 고급살롱 등 업무용 소비는

당분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개인용 소비 또한 8월 오봉(일본 추석)시즌까지 특별한 수요 확대 요소가 없는 상황

소스류

◈ (누계) 8.6백만불(△6.3%)

- 가정소비 증가로 혼합조미료 수출은 확대되었으나, 한식당 휴업 등으로 고추장, 기타소스제품 등 수요 감소하여 소스류 수출실적 감소

- 양념치킨 소스 등 외식업계 사용 기타 소스류 제품 발주가 크게 감소하여 당분간 수출회복이 어려울 전망

소주

◈ (누계) 17.3백만불(△1.7%)

- 외식산업 침체에 따른 업무용 주류 수요 급감

- 향후 수출확대가 불투명하나, 기존 소용량 가정용 제품에서는 매출 상승을 보이고 있음

전복 ◈ (누계) 10.9백만불(△37.5%)

- 주 거래처인 호텔, 결혼식장, 고급 레스토랑 등 외식수요 급감으로 수출 큰 폭 감소

(4)

2 중 국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증감 원인

누계 602.8 △8.5%

-

수출 비중이 높은 수산식품 수출 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식료품 소비 활성화와 대형유통매장 식료품 소비 회복 으로 수출 감소폭은 둔화 추세

* 수출 증감률 추이(누계) : (1월) △22.6 → (2월) △16.2

→ (3월) △8.5 → (4월) △8.6 → (5월) △8.5

** 수출실적(누계) : 농림축산식품 556백만불 (△4.0%), 수산식품 245.3(△14.1)

CV19 관련 농식품 동향

◈ (유통·소비 동향) 2020년 1∼4월 소비 동향 분석(중국 상무부)

- 코로나19 확산 둔화 및 생산 재개로 경제회복세이나 수요는 여전히 부진 - (온라인 소비) 1∼4월 온라인 판매액은 2.56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8.6%↑

- (서비스 소비) 4월 요식업 수입은 2,30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31.1%

하락하였으나 3월 대비 하락폭은 축소(3월 46.8%하락)

환율 동향

◈ 코로나19로 인한 세계경기 침체로 원화와 위안화 가치 동반 하락하여 원/위안 환율 보합세 유지

* 월별 환율 추이 : (’20.2) 170.48 → (’20.3) 173.98 → (’20.4) 172.80 → (’20.5) 172.42

경제

동향

◈ 미중 무역 분쟁 ‧ 기업 부채 증가 ‧ 내수 침체 ‧ 코로나 19 확산 등으로 1분기 중국경제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6.8%로 44년만에 첫 역성장 기록

사회 문화적

이슈

◈ 특이사항 없음

비관세

장벽 ◈ 특이사항 없음

전망 및 농식품 수출 확대 전략

◈ 중국 내 동북지역 확진자 증가 및 베이징 최대 농산물도매시장(신파디 시장) 집단 감염 등으로 당분간 온라인 중심 비대면 소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

◈ 인삼은 한국의 대표 면역력 강화식품으로서의 수출 확대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온라인몰·왕홍 등을 활용한 비대면 마케팅 강화전략을 추진하고, 소스류·커피조제품 등 온라인몰 중심을으로 매출이 지속 증가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지원 필요 ◈ 수출 감소 폭이 큰 김은 국내 김 작황부진·생산량 하락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바이어들이 한국산 발주 확대를 보류하고 있어, 수출 단가를 예년 수준으로 회복

하기 전까지는 수출 확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5)

□ 품목별 증감 현황

품목 증감사유

라면

◈ (누계) 66.8백만불(50.9%↑)

- CV19 확산에 따른 현지 필수 식료품 위주 소비 증가 분위기 속에서 한국산 라면 수요가 크게 증가

- 코로나 종식 전까지는 온라인 판매 중심으로 수요 지속 확대 전망

인삼류

(누계) 28.9백만불 (19.8%↑)

- 5월 들어 한국인삼류 취급매장의 영업이 정상화되고 있고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현지 수요 증가 추세이기 때문에 향후 한국산 인삼 제품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수출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는 온라인몰, 약국 체인, 백화점 연계 판촉 등 필요

소스류

◈ (누계) 23.6백만불(43.2%↑)

- 외식 감소 및 가정 내 식사 증가하면서 가정 간편 사용 소스류 판매 증가

- 업소용 대용량 제품판매는 감소하고 있으나, 소포장 가정용 제품 판매는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5월부터는 현지 대형유통매장 판매가 활성화 되면서 오프라인 매출 비중도 회복 추세

맥주

◈ (누계) 14.3백만불(△59.1%)

- 맥주 주요 판매처인 식당 방문고객 회복에 시일이 소요되어 재고 물량 소진이 원활하지 않아 수출이 크게 감소

- 또한, 대형유통매장내 주류 시음 및 식당 판촉 등의 판매 촉진도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단기간내 수출 정상화 지난 전망

채소종자

◈ (누계) 3.4백만불(△9.9%)

- 5월 노지파종 고랭지지역(운남성 등) 농업 종사자 근로 정상화 및 파종 재개로 당월 수출은 큰폭 증가하였으나, 1분기 농업종사자 격리 및 파종 지체에 따른 수출 감소 영향으로 누계실적은 감소 - 향후 학교·공장 급식 및 식당 식자재 수요가 다시 증가한다면

7~10월 장강(长江) 이남 남방지역 파종 정상화로 이어지면서 수출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누계) 43.4백만불(△30.6%)

- 국내 김 생산량 하락 및 단가 상승으로 바이어 발주 보류

- 올 겨울 작황이 회복되어 수출 단가가 예년 수준으로 회복되기

전까지는 수출 회복 지난 전망

(6)

3 미 국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증감 원인

누계 575.9 22.8%

- 식료품 사재기 현상 및 홈쿡 트렌드로 인해 장기간 보관 및 조리가 간편한 라면, 김치, 스낵류 등이 수출상승 주도

* 수출실적 : (김치) 8.9백만불, 52.6%↑, (라면) 28.5, 36.5↑, (과자류) 48.8, 27.8↑

CV19 관련 농식품 동향

◈ 유통·소비 관련 동향

- 5월 미국의 온라인 식품 매출 66억불로 전월 대비 24% 증가(Supermarket News) - 3~5월 미국 내 쌀 소매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증가(닐슨)

◈ 바이어·수입 동향

- (A사) 코로나의 영향으로 홈쿡 트렌드에 힘입어 가정에서 소비가 늘어난 즉석밥, 쌀면 등 취급을 시작하여 수입 중

- (B사) CV19로 캐나다 중국계 및 교포 마켓에 삼계탕이 인기리에 판매 중이며, 향후 중국계 마트 외 타인종 마트에서도 판촉 행사를 통한 홍보 예정

- (C사) 코로나19로 주문량이 급증했던 밀가루, 건면, HMR, 라면 등이 최근 마트에서 주문이 조금씩 줄고 있으나, 과자류는 주문량이 꾸준함

환율 동향

◈ 코로나19 2차 대유행 우려 속 금융시장의 위험회피 심리 확산으로 달러화 강세 지속

* 원·달러 환율 월별추이: (`20.2) 1,193.79 → (`20.3) 1,220.09 → (`20.4) 1,225.23 → (`20.5) 1,228.67

경제

동향

◈ 봉쇄령으로 경제가 마비되고 4월 미국 소비심리가 50년만에 가장 큰 낙폭을 보이자 재난지원금을 포함 3조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 - 5월 20일부터 미국 내 50개 모든 주가 부분적 또는 전면적 경제활동 재개 사회

문화적 이슈

◈ 조지 플루이드 사망 관련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한인타운 업소 피해 및 일부 대형마트 체인 일시 폐쇄

비관세 장벽

◈ 미농무성 : CV19로 인한 정부의 여행 금지 및 권고 조치에 따라 인가기관과 제3자 인증기관에서 현장 감사 진행이 불가능하게 되었기에, 임시적으로 인가기관과 제 3자 인증기관에서 현장 감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인가 및 인증을 발행할 수 있도록 임시 허용

전망 및 농식품 수출확대 전략

◈ 사재기 수요는 안정화되겠으나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온라인 마켓의 수요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 서·남부 지역 중심 코로나19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향후 상황 악화 여부가 전체 수출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품목별 수출확대 전략

- (라면) 6월말부터 여름 시즌을 앞두고 볶음면, 비빔면 등의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 되어 이에 맞춘 신제품 출시 등 공략 필요

- (버섯류) 버섯 생산업체들의 수출용 버섯 안전성 관리 강화, 농장 자동화 시설 등 조치 필요 - (마늘) 현지 시장진출 확대를 위해 진열·관리가 쉬운 플라스틱 용기 포장 등 현지 맞춤

패키징화 및 온·오프라인 판촉·홍보가 필요하며, 유통 관리를 통한 품질·신선도 유지 시

수출량 계속 증가 전망

(7)

□ 품목별 증감 현황

품목 증감사유

김치

◈ (누계) 8.9백만불(52.6%↑)

- 가정식, 건강식 및 발효식품에 대한 수요증가와 대형 유통매장 입점 확대로 수출 확대

- 주류마켓 입점 확대 및 교민을 대상으로 각 지역에서 수입하여 소규모로 판매하는 김치시장도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당분간 수출 호조 예상

라면

◈ (누계) 28.5백만불(36.5%↑)

- 저장식품 소비 확대로 교민마켓뿐만 아니라 주류 대형마켓에서도 라면 수요 증가

- 한국산 라면의 물량 공급이 원활하고 여름시즌을 맞아 비빔면 등의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라면류 수출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인삼류

◈ (누계) 7.9백만불(2.8%↑)

- 코로나 관련 면역력 강화 제품으로 고농축 고가 인삼가공품의 수요 가 늘어났고 및 3~4월 재고 소진 이후 바이어 수입물량도 증가 추세 - 인삼가공품 가맹점의 임시 휴업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오프라인 매출은

감소하고 온라인몰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

소스류

◈ (누계) 27.3백만불(21.0%↑)

- 고추장, 된장 등 장류 판매 확대와 더불어 HMR 수요 확대에 따른 인스턴트 카레와 매운 소스 등 기타소스제품의 증가에 힘입어 수출 확대

- 가정 내 소스류 소비 확대와 매운소스 신제품에 대한 현지시장내 입소문 등으로 수요 지속 전망

버섯류

◈ (누계) 5.2백만불(△7.0%)

- 리스테리아균 사태로 팽이버섯 주문이 취소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 혼합 선적이 어려워진 새송이버섯 수출도 감소

- 수출용 팽이버섯에 대한 품질 관리 개선 및 농장 자동화 시설 설치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언론 홍보를 통한 소비자 인지도 제고 등도 필요

음료

◈ (누계) 32.0백만불(△0.7%)

- 코로나 확산세에 따른 경기침체와 소비심리 둔화로 음료 소비 소폭 감소 - 미국 식품 트렌드 변화에 맞춰 스파클링, 스무디 등 신제품 개발을

통한 수요 지속 창출 필요

◈ (누계) 5.8백만불(△30.8%)

- CV19 장기화로 인한 요식업체 폐업 및 소비 둔화, 유통매장 구매력 감소 등의 영향으로 굴 수출 하락

- 대형유통업체 판매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현지 교포 운영 레스토랑이 CV19 영향으로 문을 닫거나 폐업하는 사례가 점점 늘면서 굴 식 재료 활용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수출은 당분간 지속 감소 전망 - 생굴은 식자재 소비 둔화 지속, 창고 보관 기간 장기화 등으로 취급

어려움 가중되고 있으며, 가공품은 이전과 비슷한 수준에서 소비

되고 있음

(8)

4 아 세 안

수출실적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증감 원인

누계 738.5 △3.1%

- (베트남 248.9, △8.5%)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오프라인

매장 판매 감소로 인삼류 수출 하락 및 중국·유럽·미국 등으로의 재가공 수출 중단으로 참치(원물) 수요 감소 영향으로 수출 부진

- (태국 152.1, △16.1%) 홈쿠킹 수요 확대로 라면, 소스류

등 가공식품 수이출 증가하고 있으나, 국가 비상사태 연 장(3.26-5.31) 및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에 따른 원재료 수요 감소로 주요 B2B 품목(참치, 김) 수출 감소 지속

- (인니 83.6, △2.2%) 코로나19에 따른 록다운・셧다운

등으로 인한 실업 증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감소 등 으로 수출여건 악화 추세

CV19 관련 농식품

동향

◈ 인도네시아

- ‘20년 식품 판매 성장률은 연평균 성장률인 7%보다 낮은 4∼5% 예상(인니 식음료업체연합) - 식·음료 온라인 매출은 2∼3월 145% 증가, 4월 온라인 구매율은 2월 대비 1.5배 증가 - ‘20년 1분기 성장률은 3.98% 달성하였으며 인기 식품은 양념류, 통조림, 라면, 스낵류, 유제품

◈ 태국

- 경기침체 및 소비자 구매력 감소로 고급 프리미엄 제품군 매출 감소 - 온라인몰 및 Lazada, Shopee 등 오픈마켓을 중심으로 식품류 매출 증가

- 한국 드라마 인기 등으로 고추장, 김치 등 홈쿡 요리용 소스류 및 즉석 편의식품 수요 증가

◈ 말레이시아

- (수입바이어 동향/K사) 4-5월 기준 전년 대비 매출 부진(약 △20%), 김치, 차류(인삼차 등) 건강식품 매출은 소폭 상승(15-20%↑)

경제 동향

◈ (태국)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제와 상품 교역의 위축, 외국인 관광수입 감소, 소비 부진 등의 요인으로 금년 경제성장 전망을 당초 1.5-2.5% 성장에서 5-6% 감소로 하향 조정 *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

◈ (인니) 조코위 대통령 재선으로 인프라 개발 등 일관된 경제정책으로 목표 경제 성장률 5.3% 설정 * 인니중앙은행

사회 문화적

이슈

◈ (베트남) 베트남 코로나 확산 둔화로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적 거리두기'로 전환

◈ (태국) 5월 이후 확진자 수 감소하며 제한조치 점진적 완화하고 있으며 사회적 거리 유지 조건하에 쇼핑몰, 음식점 및 식료품점 등 단계별 사업장 영업재개

- 락다운과 소매점의 폐쇄로 인해 태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페이스북 라이브 소셜 판매 증가, Grab, Foodpanda 등 배달서비스 수요 확대

◈ (인니) 인도네시아내 신종코로나 확진자가(18,496명) 증가하면서 대규모 사회적 제약(PSBB) 실시(휴교, 휴무/재택근무, 종교활동/공공시설 활동 제한, 대중교통 제한 등), 르바란 연휴 연말로 대체 및 귀향 금지

비관세

장벽

◈ 특이사항 없음

전망

◈ (베트남) 외부활동 재개로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농식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건강식품 등 한국산 농식품의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코로나로 인해 상반기 급감한 참치 원물의 수요는 하반기 무역 재개 시 회복 전망

◈ (태국) 태국 신규 확진자 수 감소 추세에 따라 소비가 일부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 경기 침체로 인해 전반적인 소비자 구매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상반기까지는 보합세 또는 소폭 감소 전망

◈ (인니) 코로나가 지속될 경우 실업증가·구매력 감소 등으로 수출여건 악화 전망

(9)

□ 품목별 증감 현황

품목 증감사유

라면

◈ (누계) 48.9백만불(12.5%↑)

- (태국) 한국 드라마 인기와 홈쿠킹 수요 확대로 대표 식품인 라면 수요 증가 및 주요 온라인몰(Lazada, Shopee) 식료품 시장 성장세에 기인, 수출 확대 - (베트남) 매운치즈볶음면, 미역라면 등 현지인 입맛에 맞는 다양한 신제품

출시 및 미디어·SNS 등 공격적인 홍보 마케팅으로 한국 라면 인지도 제고

* 수출실적(누계) : (태국) 11.4백만불, 51.9%↑, (베트남) 9.4, 40.1%↑

소스류

◈ (누계) 21.0백만불(6.1%↑)

- (태국) 한국 드라마 영향으로 한식 인기 높아지며 온·오프라인 매장 에서 고추장이 품절되는 등 소스류 수출 호조, 5월 중순부터 쇼핑몰 및 음식점 영업이 재개되고 있어 향후 B2B 수요도 회복 전망

- 고추장은 유사 로컬 생산제품도 등장하고 있으나 한국산 맛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한국산에 대한 인지도 강화 위해 SNS 등을 통해 한국산 고추장의 품질·차별화 마케팅 추진 필요

* 태국 수출실적(누계) : 2.9백만불(39.6%↑)

닭고기

◈ (누계) 21.5백만불(6.1%↑)

- (베트남)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생산량 감소

(△20%)

로 가격이 상승한 돼지고기의 대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닭고기 수출 증가. 다만, 사회적 격리 기 간(3.26~4.23) 동안 주 소비처인 식당의 일시 폐쇄으로 증가폭 둔화

- 한국산은 현지인이 좋아하는 질긴 식감을 갖고 있어 미국산 대비 선 호도가 높고 안정적인 공급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요 지속 증가 전망

* 베트남 수출실적(누계) : 21.1백만불, 6.7%↑

음료

◈ (누계) 51.6백만불(△13.6%)

- (캄보디아) CV19로 캄보디아 주 소득원인 관광업, 의류업, 건설업 부진으 로 인한 소득 하락 및 유동인구 감소로 인해 소비 위축

- (태국) 로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은 상황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한국산 음료 제품군이 제한적이고 현지 음료 시장경쟁 강화로 수출 확대 애로

* 태국 바이어 의견 : B2B & B2C 채널 수요가 부진하고,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라 새로운 건강 기능성 음료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용량을 줄여 가격대를 낮추는 등 음료 업계 마케팅 경쟁 심화 추세

** 수출실적(누계) : (캄보디아) 31.0백만불(△13.2%), (베트남) 10.7백만불(△

6.1%) (태국) 0.7백만불(△78.5%)

인삼류

◈ (누계) 8.3백만불(△5.8%)

- (베트남) 사회적 거리두기

(3.26~4.22)

로 온라인을 통한 매출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주 유통채널인 건강식품전문판매장의 일시적 폐쇄 및 대형마트 방문객 급감 영향으로 수출 감소

* 베트남 수출실적(누계) : 6.3백만불(△6.1%)

참치

◈ (누계) 56.8백만불(△32.0%)

- (태국) 전세계 참치캔 수요는 증가했으나, 주요 참치 공급국인 중서부 태평양 국가들의 선원·선박 출입금지조치로 전재(운반선에 옮겨담는 작업)에 제약이 생겼고, 이로 인해 가공 허브인 태국으로 원어 공급에 차질 발생 - (베트남) 어획량 감소에 따른 수출단가 상승과 더불어 베트남 내 재가공후

제3국 수출하는 무역로 차단 등의 영향으로 참치 원물 수요 감소

* 수출실적(누계) : (태국) 37.5백만불(△36.2%), (베트남) 8.5백만불(△57.4%)

◈ (누계) 33.2백만불(△24.2%)

- (태국) 김스낵 주 소비고객인 관광객 감소와 더불어 완제품 중국 수출 감소

(중국 내 자체 생산 확대로 경쟁 심화 및 수요 하락)

및 소량 제품 출시에 따른 마른김 원료 수요 감소 영향

- (베트남) 가정 내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먹을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접근성이 좋은 김제품의 수요 지속 증가세. 다만, 최근 한국산 김과 맛은 비슷하나 가격이 저렴한 현지 생산 조미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

* 수출실적(누계) : (태국) 19.2백만불(△41%), (베트남) 5.4백만불(47.8%↑)

(10)

Ⅲ 5월 품목별 동향

신선 인삼류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79.5 △1.2%

- (중국 / 28.9백만불, 19.8%↑) 비대면 소비 확산 대응 온라인 마케팅 강화로 수출 증가 - (일본 / 13.8, 4.5↑) 면역력 강화식품 수요

확대 및 온라인몰 연계 판촉로 수출 호조 - (홍콩 / 11.0, △23.5) 주 소비고객인 중국인

관광객 급감 및 경기침체로 고가품·기호품 구입 감소 - (베트남 / 6.3, △6.1) 주 유통채널인 건강식품

전문 판매장의 일시적 폐쇄 및 대형마트 방문객 급감 영향으로 수출 감소

전망 및 수출확대 전략

언택트 소비 확산에 따른 적극적인 온라인 플랫폼 활용(직구 등) 및 온라인몰 연계 판촉 등으로 한국 인삼 수요는 지속 증가 전망

- (중국) 한국 대표 면역력 강화식품으로서의 수출 확대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온라인몰·왕홍 등을 활용한 다양한 비대면 마케팅 강화전략 마련 필요

- (일본) 건강시장 규모는 지속 확대되고 있으나 최근 건강식품 신제품 증가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한국산 인삼의 명확한 효능 입증을 기반으로 한 홍보 확대 시 소비 확대 가능

신선 김 치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59.3 36.6%↑

- (일본 / 30.4백만불, 26.9%↑) 일본 TV에서 김치 효능에 대해 방영되는 등 면역력 강화 식품으로 주목받으면서 현지 소비 확대

- (미국 / 8.9백만불, 52.6%↑) 가정식·건강식, 발효식품에 대한 수요증가 및 대형 유통매장 입점 확대로 수출 확대

- (홍콩 / 3.0백만불, 44.6%↑) 김치가 장기보관 가능 식료품으로 여겨지면서 구매가 확대되 었고, 대형유통매장 중심 한국산 맛김치 수 요가 증가하면서 수출 호조

생산 동향

◈ `19년 4분기부터 지속된 김치 원료 가격 상승은 2월 들어 안정세를 보이다가 5월 다시 상승세

* 가락시장 경락가격(5.15) : 배추 3,207원/포기(상승주의, 평년비 53.3%↑),

무 779원/개(하락주의, △38.3%) 전망 및 수출확대 전략

◈ 코로나19로 인한 외식 기피, 가정식 증가로 인한 대형유통매장, 온라인 매출확대로 반찬류인 김치 소비 확대

지속될 전망이며, 주류 현지마켓 연계 판촉 강화 및 김치 효능을 강조한TV광고 등 홍보 마케팅 필요 - (일본) <하야시 오사무의 지금이죠> TV프로그램(4.28)의 김치 효능 방영 이후 김치 소비 가속화

- (미국) 한국 수출 김치가 미국내 점유율 1위를 지속하고 있고, 코로나19에 따른 대형유통매장 식재료 사재기, 아마존 등 온라인 식품구매 증가로 증가세 유지 전망

- (호주) 코스트코 입점 정착 시 수출 호조세 지속 기대

(11)

신 선 파프리카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36.7 △12.0%

- (일본 / 36.6백만불, △12%) 1~3월 국내 작황 부진과 더불어 비상사태 선언 이후 레스토랑, 호텔 등 외식 가공용 수요 감소 및 일본산 채소 가격 전반 하락 경향 등으로 수출 부진

생산 동향

◈ 4월 하순부터 생산이 지속 증가되고 있으나 주력국인 일본의 수출물량 감소가 내수 공급물량 증가로 이어지며 도매가격 하락

- 5월 도매가격(aT KAMIS) : 3,226원/kg(’19년 3,614원, △10.7%) 주력국

시황

◈ (일본) 외출 자제 분위기로 인한 외식시장 전반의 침체 영향으로 소비 감소

전망 및 수출확대 전략

◈ 소매용은 가정소비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으나 외식소비 위축으로 인한 업무용

수요 하락 및 대면 마케팅 제약으로 상반기 수출 애로 지속 전망되며, 이에 따라 TV CF 마케팅 등 비대면 마케팅 강화전략 필요

- 거래량이 감소한 업무용 물량이 도매시장에서 낮은 가격으로 중소형 수퍼 등에 낙찰되어 유통되면서 한국산 파프리카의 가격 하락 우려

가 공 라 면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249.3 35.6%↑

- (중국 / 66.8백만불, 50.9%↑) 현지 필수 식료품 위주 소비 증가 및 온라인 중심 판매 확대 - (미국 / 28.5, 36.5↑) 저장식품 소비 확대로

교민마켓 및 주류 대형마켓 수요 증가, 여름시즌을 앞두고 비빔면 등의 판매 확대 전망

- (일본 / 22.4, 52.9↑) 가정용 소비 지속으로 온·오프라인 구매 모두 증가 추세

- (태국 / 11.4, 51.9↑) 한국 드라마 인기, 홈 쿠킹 수요 확대 및 온라인 성장세에 힘입은 공격적 마케팅 등으로 수출 증가

전망 및 수출확대 전략

◈ 라면 수요 확대 기반 국가별 맞춤형 마케팅으로 수출 상승세 유지 필요 - (중국) 온라인몰(징동닷컴 등) 연계 판촉 확대

- (일본) 편의점 등 다양한 유통업체 연계 페어 추진으로 집중 홍보

- (미국) SNS 인기 품목(미역국면, 매운라면 등), 여름시즌 비빔면 등 품목별 마케팅 추진

(12)

가 공 소스류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118.5 18.3%↑

- (미국 / 27.3백만불, 21%↑) 고추장, 된장 등 장류 수요 확대와 더불어 HMR 수요 확대에 따른 인스턴트 카레 수출 증가 및 매운 소스 신제품 출시에 따른 기타소스제품 호조

-

(중국 / 23.6, 43.2↑) 업소용 대용량 제품은 판매가 감소하였으나, 가정용 소포장 제품 판매는 큰 폭 증가

- (일본 / 8.6, △6.3) 코로나19로 한국식당 밀집 지역(신주쿠 등)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감소하면 서 B2B 수요 하락

- (태국 / 2.9, 39.6↑) 한국 드라마 인기로 고추장을 구매하는 현지 소비자 확대

* 드라마에 나온 요리(고추장 앙념 돼지범벅)로 고추장에 대한 태국 소비자 관심 증가

전망

◈ 외출제한 유지, 연장으로 식당 납품용 제품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집에서 요리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소매용 제품 판매가 늘 수출실적 보합세 전망

수 산 김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230.3 △4.0%

- (미국 / 55.1백만불, 28.2%↑) 일본 김 이미지 저하 및 사재기 현상에 따른 한국산 김 수출 호조 - (중국 / 43.4, △30.6) 국내 김 생산량 하락

및 단가 상승으로 바이어 발주 확대 보류 - (태국 / 19.2, △41) 김스낵 주 소비고객인

관광객 감소와 더불어 완제품 중국 수출 감소 및 소량제품 출시에 따른 마른김 원료 수요 하락 영향

생산 동향

◈ ‘20.4월 김 생산량은 전년대비 19.1% 감소한 1,885만속으로 평년보다 작황이 좋지 못하여 생산을 조기 종료한 어가가 많았음

전망

◈ 주요 시장인 중국의 내수 회복, 미국 등 CV19에 따른 사재기 현상 및 일본산 김의 다 소 높은 가격에 따른 한국산 김 경쟁력 향상 등으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국내산 김 작황 부진 및 일·중 김 입찰 시기 연기에 따른 상반기 물량 소진에 대한 위 협 요소가 연간 김 수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

(13)

수 산 참치

수출실적 및 증감률 (백만불)

구분 수출액 증감률(%) 국가별 증감 원인

누계 179.9 △27.8%

- (일본 / 64.5백만불, △17.2%) 황다랑어, 눈다랑어, 참다랑어 등 고급 횟감용 참치 수출 감소

- (태국 / 37.5, △36.2) 전 세계적으로 참치캔 수요는 증가했으나, 주요 참치 공급국인 중서부 태평양 국가들의 선원 및 선박 출입금지조치로 참치 전재(운반선에 옮겨담는 작업)에 제약이 생겼고, 이로 인해 가공 허브인 태국으로의 원어 공급 차질 발생 - (프랑스 / 11.1, △35.8%) 이동제한 조치 이후

호텔, 식당 등이 영업을 중단하면서 도매 수요 감소 생산

동향

◈ 외국인 선원 수급문제(코로나 19로 인해 입국 제한 등), 연안국의 옵서버* 배치 중단 및 항구 전재 어려움 등이 공급에 지장 야기 (출처 : 원양산업협회)

* 옵서버 : 원양어선에 승선하여 조업실태, 어획정보, 국제규범 준수 여부를 조사하는 사람으로 국제수산기구의 의무승선율이 있어서 꼭 승선시켜야 함

주력국 시황

◈ 해수부, 키리바시와 수산자료 공유에 관한 양해각서(MOU)체결함으로써 불법·비보고·

비규제 어업 근절 및 한국 원양어선의 안정적 조업 활동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키리바시 : 한국의 2019 태평양 참치 어업량 중 50% 차지 전망

◈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사회적 거리두기는 여전히 지속되는 등 참치소비 감소와 조업제약 등 수출감소 요인이 여전히 존재. 옵서버 송환 조치 등 관련 조치들이 5월까 지 지속됨에 따라 2분기까지 코로나19로 인해 수출실적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14)

농림수산식품 수출실적(2020년 5월 확정)

□ 부류별

(단위 : 천톤, 백만불, %)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9,529.2 1,946.1 3,943.9 1,868.9 3,845.4 △4.0 △2.5

□ 농림축산식품 7,025.7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 신 선 1,381.2 255.1 539.4 240.9 535.8 △5.6 △0.7

- 과실류 351.5 43.1 108.0 38.1 103.2 △11.7 △4.5

- 채소류 324.2 58.5 141.4 38.5 135.1 △34.1 △4.5

- 인삼류 210.3 4.1 80.5 4.0 79.5 △0.6 △1.2

- 김 치 105.0 12.4 43.4 16.6 59.3 34.1 36.6

- 가금육류 65.0 22.5 27.5 22.1 30.9 △1.9 12.3

- 버섯류 54.4 8.3 20.5 7.7 19.4 △6.4 △5.7

- 곡 류 51.9 69.7 32.7 73.2 32.5 5.1 △0.6

- 화훼류 17.2 0.6 5.4 0.5 4.0 △15.8 △25.5

- 돼지고기 6.1 0.4 1.9 1.5 6.1 274.1 217.4

- 산림부산물 195.8 35.6 78.0 38.5 65.8 8.2 △15.6

❍ 가 공 5,644.5 1,401.6 2,351.8 1,370.2 2,417.1 △2.2 2.8

- 연초류 929.4 27.5 425.3 25.4 379.2 △7.7 △10.8

- 면 류 612.0 80.5 244.1 106.2 325.4 31.9 33.3

- 과자류 440.9 52.6 173.0 55.7 203.4 5.9 17.6

- 음 료 422.0 194.7 179.7 174.0 160.1 △10.6 △10.9

- 주 류 383.7 169.2 156.9 131.8 123.6 △22.1 △21.2

- 소스류 255.9 37.6 100.2 43.7 118.5 16.4 18.3

- 낙농품 155.2 14.4 59.3 15.8 63.7 9.4 7.3

- 목재류 222.9 258.4 99.3 238.3 91.9 △7.8 △7.4

- 기 타 2,222.5 566.8 914.0 579.4 951.2 2.2 4.1

□ 수산식품 2,503.5 289.3 1,052.7 257.8 892.5 △10.9 △15.2

- 어 류 1,213.3 186.5 514.3 168.2 408.2 △9.8 △20.6

- 해조류 661.3 26.6 278.2 24.3 265.9 △8.5 △4.4

- 연체동물 260.8 17.1 100.1 17.1 94.8 0.3 △5.3

- 갑각류 209.1 5.6 94.7 5.8 73.4 3.3 △22.5

- 기 타 158.9 53.5 65.4 42.4 50.2 △20.8 △23.2

* 십만불 단위 반올림으로 부류의 합은 총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19년 對미얀마·라오스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2.0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 `20년 對필리핀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1.8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15)

□ 국가별(농림수산식품)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비중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9,529.2 1,946.1 3,943.9 1,868.9 3,845.4 △4.0 △2.5 100.0 일 본 2,158.3 361.4 864.9 327.6 801.4 △9.4 △7.4 20.8

중화권

소 계 2,408.9 533.1 968.8 430.6 921.0 △19.2 △4.9 24.0 중 국 1,628.7 393.2 658.6 300.4 602.8 △23.6 △8.5 15.7 홍 콩 413.3 82.2 171.3 78.5 171.2 △4.5 △0.1 4.5 대 만 366.9 57.7 138.9 51.8 147.0 △10.3 5.9 3.8

ASEAN

소 계 1,811.8 454.5 760.1 533.1 736.7 17.3 △3.1 19.2 베트남 671.7 201.1 272.0 207.8 248.9 3.3 △8.5 6.5 태 국 398.2 90.1 180.2 96.8 152.1 7.5 △15.6 4.0

인 니 197.7 48.2 85.5 90.9 83.6 88.5 △2.2 2.2

인 도 54.2 11.6 19.9 17.4 25.8 49.8 29.9 0.7

중남미 소 계 172.5 47.8 72.0 33.8 56.3 △29.4 △21.8 1.5

브라질 15.7 2.7 5.4 2.5 5.8 △6.4 6.2 0.1

북 미

소 계 1,304.7 161.1 519.9 189.6 635.3 17.7 22.2 16.5 미 국 1,171.3 145.4 468.9 171.9 575.9 18.2 22.8 15.0 캐나다 133.3 15.7 51.0 17.7 59.4 13.2 16.4 1.5

이슬람 국 가

(OIC)

소 계 754.2 215.4 379.4 244.2 336.5 13.4 △11.3 8.8 UAE 137.6 17.5 110.4 12.0 81.9 △31.6 △25.8 2.1

카자흐스탄 29.9 3.1 9.8 2.5 8.0 △19.8 △17.7 0.2

사우디 26.9 2.3 11.2 2.9 10.2 25.3 △8.9 0.3

이 란 2.6 1.3 2.2 0.3 1.1 △75.5 △49 0.0

E U

소 계 559.8 103.5 237.5 108.8 232.5 5.2 △2.1 6.0

네덜란드 99.7 16.7 44.4 25.7 52.6 54.2 18.3 1.4

프랑스 73.5 9.7 31.6 8.3 23.5 △14.2 △25.7 0.6

이탈리아 58.6 6.7 24.9 5.5 18.0 △18.5 △27.7 0.5

폴란드 28.2 9.9 13.3 3.8 9.9 △61.9 △25.8 0.3

오 세 아니아

소 계 240.2 33.3 90.9 36.3 100.0 9.0 10.1 2.6 호 주 161.2 19.8 61.2 22.5 70.0 13.6 14.3 1.8

뉴질랜드 39.0 5.3 15.2 5.1 15.1 △2.7 △0.5 0.4

아 프 리 카

소 계 160.4 68.1 77.8 56.1 53.6 △17.7 △31.2 1.4

남아공 19.2 3.0 9.5 2.1 6.4 △31.6 △32.9 0.2

러시아 204.7 54.7 85.4 33.9 67.9 △38.1 △20.6 1.8

기 타 123.7 16.7 51.3 14.6 49.9 △12.3 △2.7 1.3

* 십만불 단위 반올림으로 부류의 합은 총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19년 對미얀마·라오스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2.0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 對라오스 무상원조는 태국실적에서 제외(태국 항구 통관 후 육로이송)

* `20년 對필리핀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1.8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단위 : 천톤, 백만불, %)

(16)

□ 국가별(농림축산식품)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비중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7,025.7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100.0 일 본 1,426.9 310.5 579.4 284.4 556.0 △8.4 △4 18.8

중화권

소 계 1,768.6 474.3 692.9 366.2 693.0 △22.8 0.0 23.5 중 국 1,106.0 338.4 426.8 242.7 422.2 △28.3 △1.1 14.3

홍 콩 352.9 81.2 151.2 77.2 151.1 △5 0.0 5.1

대 만 309.7 54.7 114.8 46.2 119.7 △15.4 4.3 4.1

ASEAN

소 계 1,372.4 348.2 556.9 436.7 573.8 25.4 3.0 19.4 베트남 514.0 167.3 199.3 180.2 190.4 7.7 △4.5 6.4

태 국 197.0 30.1 80.0 51.7 87.2 71.7 9.1 3.0

인 니 169.7 43.3 76.2 82.1 70.4 89.8 △7.6 2.4

인 도 53.4 11.5 19.5 17.4 25.7 51.0 31.6 0.9

중남미 소 계 129.1 30.8 48.6 28.6 48.3 △7.1 △0.5 1.6

브라질 12.7 2.6 5.0 2.5 5.1 △6.9 2.5 0.2

북 미

소 계 969.2 147.7 381.1 177.5 496.7 20.1 30.3 16.8 미 국 874.2 133.1 344.2 160.9 451.2 20.9 31.1 15.3

캐나다 94.9 14.6 36.9 16.6 45.5 13.5 23.3 1.5

이슬람 국 가

(OIC)

소 계 683.9 194.8 349.7 228.4 311.9 17.3 △10.8 10.6 UAE 135.9 17.5 109.7 11.9 81.3 △31.7 △25.9 2.8

카자흐스탄 27.0 3.0 8.5 2.5 7.7 △15.4 △9.5 0.3

사우디 26.7 2.3 11.1 2.9 10.0 25.8 △9.4 0.3

이 란 2.6 1.3 2.2 0.3 1.1 △75.5 △49 0.0

E U

소 계 385.1 94.6 167.3 96.4 171.1 1.8 2.2 5.8

네덜란드 89.6 16.3 39.4 25.4 49.0 55.6 24.4 1.7

프랑스 27.5 8.3 11.4 7.2 10.3 △13.1 △9.4 0.4

폴란드 26.7 9.8 12.9 3.7 8.8 △62.3 △31.8 0.3

이탈리아 21.6 4.5 7.9 3.7 7.2 △17 △8.9 0.2

오 세 아니아

소 계 203.6 28.8 77.8 31.1 84.9 8.2 9.1 2.9

호 주 142.8 19.1 54.5 21.6 61.9 13.1 13.5 2.1

뉴질랜드 33.6 5.1 13.1 4.9 12.7 △3.7 △2.5 0.4

아 프 리 카

소 계 116.6 47.8 57.5 43.3 41.7 △9.3 △27.5 1.4

남아공 17.7 2.8 9.2 1.9 6.1 △32 △33.6 0.2

러시아 168.5 48.0 72.7 30.5 55.2 △36.6 △24 1.9

기 타 109.8 14.7 45.2 13.1 44.5 △10.8 △1.7 1.5

* 십만불 단위 반올림으로 부류의 합은 총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19년 對미얀마·라오스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2.0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 對라오스 무상원조는 태국실적에서 제외(태국 항구 통관 후 육로이송)

* `20년 對필리핀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1.8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단위 : 천톤, 백만불, %)

(17)

□ 주요 품목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9,529.2 1,946.1 3,943.9 1,868.9 3,845.4 △4.0 △2.5

□ 농림축산식품 7,025.7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 신 선 1,381.2 255.1 539.4 240.9 535.8 △5.6 △0.7

인삼류 210.3 4.1 80.5 4.0 79.5 △0.6 △1.2

김 치 105.0 12.4 43.4 16.6 59.3 34.1 36.6

채소류

소 계 324.2 58.5 141.4 38.5 135.1 △34.1 △4.5

파프리카 91.5 15.2 41.7 12.4 36.7 △18.4 △12

채소종자 56.0 0.2 16.7 0.2 15.9 2.8 △4.9

딸 기 54.4 4.5 40.6 3.7 39.1 △16.1 △3.6

토마토 17.5 2.8 6.6 2.5 5.8 △10.9 △13.2

과실류

소 계 351.5 43.1 108.0 38.1 103.2 △11.7 △4.5

배 83.3 5.8 16.1 6.1 16.2 5.6 0.5

유자차 38.5 4.9 14.5 5.7 16.6 17.6 15.0

포 도 23.5 0.1 0.4 0.3 4.9 345.8 1,099.0

단 감 8.3 0.2 0.4 0.3 0.7 36.3 59.5

사 과 7.0 0.9 2.5 0.7 1.8 △26.5 △26.2

감 귤 2.9 0.1 0.2 0.1 0.5 87.8 87.5

화훼류

소 계 17.2 0.6 5.4 0.5 4.0 △15.8 △25.5

백 합 6.1 0.1 0.6 0.0 0.3 △57.5 △50.8

장 미 1.7 0.2 0.8 0.2 0.8 △6.3 △8.6

난 초 0.9 0.0 0.3 0.0 0.0 △91.8 △93.1

버섯류

소 계 54.4 8.3 20.5 7.7 19.4 △6.4 △5.7

새송이버섯 26.3 2.9 10.2 2.8 9.6 △4.5 △5.7

팽이버섯 22.7 4.9 8.4 4.4 7.8 △9 △7.9

곡 류 소 계 51.9 69.7 32.7 73.2 32.5 5.1 △0.6

쌀 24.7 50.8 22.0 51.5 19.4 1.3 △11.9

가금육

소 계 65.0 22.5 27.5 22.1 30.9 △1.9 12.3

닭고기 61.5 21.9 25.6 22.1 30.9 1.1 20.6

오리고기 2.9 0.6 1.6 0.0 0.0 △100 △100

❍ 가 공 5,644.5 1,401.6 2,351.8 1,370.2 2,417.1 △2.2 2.8

가 공

라 면 467.0 53.4 183.9 74.6 249.3 39.6 35.6

음 료 422.0 194.7 179.7 174.0 160.1 △10.6 △10.9

맥 주 146.2 82.8 61.2 46.0 30.6 △44.5 △50

비스킷 116.1 8.2 47.8 8.0 47.2 △2.4 △1.2

쌀가공식품 108.4 21.2 41.9 22.3 51.0 4.9 21.8

조제분유 95.9 3.2 36.1 3.6 37.7 12.5 4.2

소 주 89.7 27.2 37.0 24.6 34.0 △9.5 △8.1

고추장 37.7 7.3 15.6 8.4 19.1 15.7 22.4

제3맥주 35.7 19.8 12.9 21.8 14.2 9.9 10.2

생우유 19.0 4.2 7.4 4.2 7.2 △0.8 △3.3

막걸리 12.2 5.2 5.0 4.6 4.4 △12.1 △12

기타가공

궐 련 717.4 23.9 352.6 21.2 298.9 △11.6 △15.2

커피조제품 270.3 31.4 111.2 28.5 106.5 △9.2 △4.2

설 탕 119.8 92.0 39.9 101.9 45.7 10.7 14.5

□ 수산식품 2,503.5 289.3 1,052.7 257.8 892.5 △10.9 △15.2

어 류

참 치 571.6 94.7 249.1 77.9 179.9 △17.8 △27.8

삼 치 55.9 5.3 21.8 3.6 12.6 △32.8 △42.1

넙 치 55.9 2.9 22.3 2.0 13.8 △30.6 △38

고등어 49.5 28.3 29.1 27.5 24.1 △2.9 △17

연체동물

굴 76.7 6.1 40.3 5.2 37.4 △14.7 △7.2

전 복 61.5 0.7 20.3 0.5 14.0 △27.3 △31.1

오징어 34.2 2.1 9.5 3.0 14.3 45.2 50.6

바지락 29.8 1.6 5.1 2.8 9.2 83.0 81.3

해조류 김 579.2 11.8 240.0 10.3 230.3 △12.1 △4

미 역 39.6 12.8 21.0 12.4 20.8 △2.9 △0.6

(단위 : 천톤, 백만불, %)

(18)

□ 주요 품목별(금액순)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9,529.2 1,946.1 3,943.9 1,868.9 3,845.4 △4.0 △2.5

□ 농림축산식품 7,025.7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 신 선 1,381.2 255.1 539.4 240.9 535.8 △5.6 △0.7

❍ 가 공 5,644.5 1,401.6 2,351.8 1,370.2 2,417.1 △2.2 2.8

□ 수산식품 2,503.5 289.3 1,052.7 257.8 892.5 △10.9 △15.2

궐 련 717.4 23.9 352.6 21.2 298.9 △11.6 △15.2

김 579.2 11.8 240.0 10.3 230.3 △12.1 △4.0

참 치 571.6 94.7 249.1 77.9 179.9 △17.8 △27.8

라 면 467.0 53.4 183.9 74.6 249.3 39.6 35.6

음 료 422.0 194.7 179.7 174.0 160.1 △10.6 △10.9

커피조제품 270.3 31.4 111.2 28.5 106.5 △9.2 △4.2

인삼류 210.3 4.1 80.5 4.0 79.5 △0.6 △1.2

맥 주 146.2 82.8 61.2 46.0 30.6 △44.5 △50.0

설 탕 119.8 92.0 39.9 101.9 45.7 10.7 14.5

비스킷 116.1 8.2 47.8 8.0 47.2 △2.4 △1.2

쌀가공식품 108.4 21.2 41.9 22.3 51.0 4.9 21.8

김 치 105.0 12.4 43.4 16.6 59.3 34.1 36.6

조제분유 95.9 3.2 36.1 3.6 37.7 12.5 4.2

파프리카 91.5 15.2 41.7 12.4 36.7 △18.4 △12.0

소 주 89.7 27.2 37.0 24.6 34.0 △9.5 △8.1

배 83.3 5.8 16.1 6.1 16.2 5.6 0.5

굴 76.7 6.1 40.3 5.2 37.4 △14.7 △7.2

전 복 61.5 0.7 20.3 0.5 14.0 △27.3 △31.1

닭고기 61.5 21.9 25.6 22.1 30.9 1.1 20.6

채소종자 56.0 0.2 16.7 0.2 15.9 2.8 △4.9

삼 치 55.9 5.3 21.8 3.6 12.6 △32.8 △42.1

넙 치 55.9 2.9 22.3 2.0 13.8 △30.6 △38.0

딸 기 54.4 4.5 40.6 3.7 39.1 △16.1 △3.6

고등어 49.5 28.3 29.1 27.5 24.1 △2.9 △17.0

미 역 39.6 12.8 21.0 12.4 20.8 △2.9 △0.6

유자차 38.5 4.9 14.5 5.7 16.6 17.6 15.0

고추장 37.7 7.3 15.6 8.4 19.1 15.7 22.4

제3맥주 35.7 19.8 12.9 21.8 14.2 9.9 10.2

오징어 34.2 2.1 9.5 3.0 14.3 45.2 50.6

바지락 29.8 1.6 5.1 2.8 9.2 83.0 81.3

새송이버섯 26.3 2.9 10.2 2.8 9.6 △4.5 △5.7

쌀 24.7 50.8 22.0 51.5 19.4 1.3 △11.9

포 도 23.5 0.1 0.4 0.3 4.9 345.8 1,099.0

팽이버섯 22.7 4.9 8.4 4.4 7.8 △9.0 △7.9

생우유 19.0 4.2 7.4 4.2 7.2 △0.8 △3.3

토마토 17.5 2.8 6.6 2.5 5.8 △10.9 △13.2

막걸리 12.2 5.2 5.0 4.6 4.4 △12.1 △12.0

단 감 8.3 0.2 0.4 0.3 0.7 36.3 59.5

사 과 7.0 0.9 2.5 0.7 1.8 △26.5 △26.2

백합(화훼류) 6.1 0.1 0.6 0.0 0.3 △57.5 △50.8

감 귤 2.9 0.1 0.2 0.1 0.5 87.8 87.5

오리고기 2.9 0.6 1.6 0.0 0.0 △100.0 △100.0

장 미 1.7 0.2 0.8 0.2 0.8 △6.3 △8.6

난 초 0.9 0.0 0.3 0.0 0.0 △91.8 △93.1

(단위 : 천톤, 백만불, %)

(19)

□ 다변화 시장 20개국 수출실적

구 분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비중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656.8 2,891.2 1,611.1 2,952.8 △2.8 2.1 100.0

합 계(a+b) 198.5 354.7 182.7 349.6 △8.0 △1.4 11.8

최우선 전략

소 계(a) 124.4 199.5 107.8 184.8 △13.4 △7.4 6.3

신남방

말레이시아 24.4 42.0 30.6 48.9 25.2 16.6 1.7

미얀마 2.2 6.6 3.0 8.0 33.1 21.0 0.3

캄보디아 36.3 44.1 31.3 39.1 △13.7 △11.4 1.3

신북방

러시아 48.0 72.7 30.5 55.2 △36.6 △24 1.9

몽골 7.8 20.6 7.4 20.8 △4 0.9 0.7

카자흐스탄 3.0 8.5 2.5 7.7 △15.4 △9.5 0.3

중남미 브라질 2.6 5.0 2.5 5.1 △6.9 2.5 0.2

차순위 전략

소 계(b) 74.1 155.2 74.9 164.8 1.1 6.2 5.6

신남방

라오스 0.5 1.1 0.5 1.1 1.1 △2.9 0.0

인도 11.5 19.5 17.4 25.7 51.0 31.6 0.9

필리핀 27.3 49.4 29.4 58.9 7.9 19.2 2.0

신북방 우즈베키스탄 1.2 2.2 0.9 2.2 △20.3 1.1 0.1

유럽

독일 6.1 23.7 6.3 23.4 4.3 △1.4 0.8

이탈리아 4.5 7.9 3.7 7.2 △17 △8.9 0.2

폴란드 9.8 12.9 3.7 8.8 △62.3 △31.8 0.3

중동 사우디 2.3 11.1 2.9 10.0 25.8 △9.4 0.3

중남미

멕시코 3.7 9.5 4.1 10.5 12.1 9.5 0.4

아르헨티나 0.8 1.8 0.6 1.6 △17.3 △12.7 0.1

페루 0.8 1.8 0.7 2.0 △17.7 10.1 0.1

칠레 2.9 5.1 2.7 7.4 △6.2 46.0 0.3

남아프리카 남아공 2.8 9.2 1.9 6.1 △32 △33.6 0.2

* `19년 對미얀마·라오스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2.0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 `20년 對필리핀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1.8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단위 : 천톤, 백만불, %)

□ 파프리카 국가별 수출실적

구 분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전 체 15,230 41,669 12,432 36,672 △18.4 △12

일본 15,211 41,578 12,410 36,587 △18.4 △12

홍콩 18 86 16 73 △9.9 △14.2

대만 0 0 4 8 0.0 0.0

베트남 0 0 1 3 0.0 0.0

미국 0 0 0 1 0.0 0.0

말레이시아 0 0 0 1 0.0 0.0

러시아 0 2 0 0 △90.7 △88.3

싱가포르 0 4 0 0 △100 △100

(단위 : 톤, 천톤, %)

(20)

일본 농림축산식품 수출실적(2020년 5월 확정)

□ 부류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426,883 310,531 579,397 284,412 556,009 △8.4 △4 ❍ 신 선 267,004 36,529 111,091 30,404 108,844 △16.8 △2 - 채소류 120,043 18,727 51,931 15,487 45,577 △17.3 △12.2

- 김 치 55,184 7,017 23,959 8,704 30,406 24.0 26.9

- 인삼류 34,483 282 13,218 236 13,809 △16 4.5

- 과실류 27,883 3,592 13,049 2,918 11,030 △18.8 △15.5

- 화훼류 9,990 365 2,373 291 1,790 △20.3 △24.6

- 가금육류 3,358 184 823 305 1,366 66.3 65.9

- 버섯류 804 72 208 61 155 △15.9 △25.7

- 곡 류 351 124 198 10 59 △91.6 △70.2

- 돼지고기 14 0 0 0 4 454.0 794.7

- 산림부산물 14,893 6,166 5,331 2,390 4,649 △61.2 △12.8 ❍ 가 공 1,159,879 274,002 468,306 254,008 447,164 △7.3 △4.5 - 연초류 390,379 7,576 156,203 7,030 138,769 △7.2 △11.2 - 주 류 151,929 64,496 60,016 61,149 54,005 △5.2 △10 - 과자류 89,290 24,263 34,557 22,299 37,703 △8.1 9.1

- 면 류 50,187 6,509 22,539 9,335 30,578 43.4 35.7

- 소스류 22,032 3,538 9,227 3,349 8,642 △5.4 △6.3

- 낙농품 14,301 1,489 5,088 1,735 6,439 16.5 26.6

- 음 료 8,167 3,975 3,521 3,968 3,196 △0.2 △9.2

- 목재류 49,404 21,977 22,373 17,316 16,804 △21.2 △24.9 - 기 타 384,191 140,179 154,782 127,828 151,029 △8.8 △2.4 (단위 : 톤, 천불, %)

(21)

□ 주요 품목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수출 단가 (불/톤)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426,883 310,531 579,397 284,412 556,009 △8.4 △4 -

❍ 신 선 267,004 36,529 111,091 30,404 108,844 △16.8 △2 -

김 치 55,184 7,017 23,959 8,704 30,406 24.0 26.9 3,493

인삼류 34,483 282 13,218 236 13,809 △16.0 4.5 58,393

채소류

소 계 120,043 18,727 51,931 15,487 45,577 △17.3 △12.2 - 파프리카 91,244 15,211 41,578 12,410 36,587 △18.4 △12.0 2,948 토마토 14,267 1,987 5,528 1,548 4,331 △22.1 △21.6 2,798

고 추 4,106 306 1,883 378 2,054 23.6 9.1 5,429

과실류

소 계 27,883 3,592 13,049 2,918 11,030 △18.8 △15.5 -

유자차 5,917 621 2,080 604 2,070 △2.6 △0.5 3,425

밤 4,557 318 1,754 188 1,095 △40.9 △37.6 5,838

키 위 1,668 513 1,423 292 783 △43.1 △45.0 2,680

감(임산물) 1,132 23 345 73 1,107 221.6 221.1 15,106

화훼류

소 계 9,990 365 2,373 291 1,790 △20.3 △24.6 -

백 합 6,026 56 561 25 266 △56.1 △52.7 10,786

장 미 1,622 194 824 181 746 △6.5 △9.5 4,111

국 화 999 16 186 0 0 △100.0 △100.0 0

버섯류 소 계 804 72 208 61 155 △15.9 △25.7 -

새송이버섯 487 72 208 53 147 △26.8 △29.3 2,793

곡 류

소 계 351 124 198 10 59 △91.6 △70.2 -

쌀 96 17 37 0 0 △99.8 △98.6 12,861

보 리 38 46 38 0 0 △100.0 △100.0 19,000

가금육 소 계 3,358 184 823 305 1,366 66.3 65.9 -

닭고기 3,358 184 823 305 1,366 66.3 65.9 4,475

❍ 가 공 1,159,879 274,002 468,306 254,008 447,164 △7.3 △4.5 -

가 공

소주 44,557 15,180 17,646 14,139 17,348 △6.9 △1.7 1,227 제3맥주 34,276 19,391 12,427 21,304 13,701 9.9 10.3 643 라면 33,745 4,093 14,657 6,763 22,409 65.2 52.9 3,314 식초 28,284 5,256 9,416 7,692 14,364 46.4 52.5 1,867 쌀가공식품 16,130 3,723 7,054 3,353 6,164 △9.9 △12.6 1,839

음료 8,167 3,975 3,521 3,968 3,196 △0.2 △9.2 805

막걸리 6,481 2,807 2,607 2,461 2,254 △12.4 △13.6 916

비스킷 4,955 409 1,920 424 1,880 3.6 △2.1 4,435

고추장 4,410 927 1,898 826 1,804 △10.8 △5.0 2,184

들기름 3,537 131 2,290 56 945 △57.3 △58.7 16,848

맥주 1,869 926 744 704 571 △23.9 △23.3 810

기타가공

궐련 218,566 6,630 99,469 5,608 76,649 △15.4 △22.9 13,668 기타담배 171,812 946 56,734 1,422 62,120 50.3 9.5 43,691

커피조제품 9,226 739 4,191 439 2,697 △40.6 △35.6 6,143

설탕 3,367 1,892 1,361 2,523 1,819 33.3 33.7 721

(단위 : 톤, 천불, %)

(22)

중국 농림축산식품 수출실적(2020년 5월 확정)

□ 부류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105,983 338,355 426,846 242,706 422,158 △28.3 △1.1 ❍ 신 선 243,319 39,737 81,730 44,803 80,259 12.7 △1.8 - 과실류 106,336 13,250 37,854 10,374 32,999 △21.7 △12.8

- 인삼류 69,390 648 24,173 945 28,948 45.8 19.8

- 채소류 17,993 661 4,691 463 4,343 △29.9 △7.4

- 곡 류 3,190 1,154 852 2,007 1,045 74.0 22.7

- 화훼류 1,304 137 681 98 211 △28 △69

- 돼지고기 556 35 262 13 112 △63.1 △57.2

- 김 치 388 33 137 42 171 25.6 24.8

- 버섯류 202 8 19 3 12 △67.9 △35.9

- 가금육류 200 16 70 0 5 △98.3 △92.7

- 산림부산물 43,759 23,797 12,991 30,858 12,413 29.7 △4.4 ❍ 가 공 862,664 298,618 345,116 197,903 341,898 △33.7 △0.9 - 면 류 130,752 15,423 46,504 24,404 70,184 58.2 50.9 - 주 류 103,210 50,133 44,302 26,012 24,887 △48.1 △43.8

- 낙농품 96,941 6,994 36,188 7,076 33,275 1.2 △8

- 과자류 63,154 3,969 26,422 4,913 34,502 23.8 30.6

- 음 료 57,667 17,261 25,069 19,048 25,944 10.4 3.5

- 소스류 45,975 6,859 16,494 9,323 23,611 35.9 43.2

- 연초류 14,752 265 6,138 399 9,584 50.6 56.2

- 목재류 42,025 112,525 23,670 22,214 10,541 △80.3 △55.5 - 기 타 308,188 85,189 120,330 84,514 109,371 △0.8 △9.1 (단위 : 톤, 천불, %)

(23)

□ 주요 품목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수출 단가 (불/톤)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105,983 338,355 426,846 242,706 422,158 △28.3 △1.1 -

❍ 신 선 243,319 39,737 81,730 44,803 80,259 12.7 △1.8 -

인삼류 69,390 648 24,173 945 28,948 45.8 19.8 30,634

김 치 388 33 137 42 171 25.6 24.8 4,081

채소류

소 계 17,993 661 4,691 463 4,343 △29.9 △7.4 -

채소종자 15,412 58 3,754 29 3,382 △48.9 △9.9 114,715

토마토 974 275 294 271 430 △1.3 46.4 1,585

양 파 196 154 14 0 0 △100.0 △100.0 0

과실류

소 계 106,336 13,250 37,854 10,374 32,999 △21.7 △12.8 -

유자차 16,665 2,228 5,884 2,067 5,754 △7.2 △2.2 2,783

포 도 5,646 20 54 121 2,124 494.6 3,824.8 17,568

오렌지 176 63 68 14 53 △77.7 △22.8 3,735

레 몬 129 71 79 11 14 △84.6 △82.7 1,246

화훼류

소 계 1,304 137 681 98 211 △28.0 △69.0 -

난 초 607 23 203 1 4 △97.7 △97.9 8,120

백 합 70 3 70 1 50 △65.0 △27.6 53,627

안개초 17 0 17 0 0 △100.0 △100.0 0

버섯류

소 계 202 8 19 3 12 △67.9 △35.9 -

팽이버섯 168 7 15 0 0 △100.0 △100.0 0

새송이버섯 7 1 5 2 8 90.7 71.7 3,987

곡 류

소 계 3,190 1,154 852 2,007 1,045 74.0 22.7 -

밀 2,409 1,118 711 1,941 861 73.7 21.1 444

보리 539 12 97 4 26 △70.7 △73.5 7,223

쌀 12 2 6 0 3 △80.3 △45.9 10,702

가금육 소 계 200 16 70 0 5 △98.3 △92.7 -

닭고기 198 16 70 0 5 △98.3 △92.7 19,687

❍ 가 공 862,664 298,618 345,116 197,903 341,898 △33.7 △0.9 -

가 공

라 면 124,434 14,478 44,224 22,897 66,751 58.2 50.9 2,915 맥 주 83,058 43,460 35,111 18,489 14,346 △57.5 △59.1 776 조제분유 73,774 2,483 27,234 2,540 23,634 2.3 △13.2 9,307 음 료 57,667 17,261 25,069 19,048 25,944 10.4 3.5 1,362 소스류 45,975 6,859 16,494 9,323 23,611 35.9 43.2 2,533

생우유 18,360 4,091 7,224 3,982 6,868 △2.6 △4.9 1,725

비스킷 17,114 1,376 7,281 1,291 7,224 △6.2 △0.8 5,596

캔 디 13,623 641 6,843 1,056 10,222 64.7 49.4 9,680 곡류조제품 12,330 783 4,562 1,230 8,311 57.1 82.2 6,760 소 주 9,022 2,951 4,261 2,420 3,534 △18.0 △17.0 1,461 쌀가공식품 8,039 1,990 3,025 1,922 3,982 △3.4 31.6 2,072 아이스크림 7,797 1,504 4,504 1,409 3,881 △6.3 △13.8 2,755

기타가공

궐 련 14,749 265 6,134 399 9,584 50.7 56.2 23,995

커피조제품 33,867 2,781 15,028 1,861 11,750 △33.1 △21.8 6,314 설 탕 69,698 47,767 18,774 49,574 20,273 3.8 8.0 409 (단위 : 톤, 천불, %)

(24)

신남방 농림축산식품 수출실적(2020년 5월 확정)

□ 부류별

구 분 2019 2019.1.1.~5.31(A) 2020.1.1.∼5.31(B) 증감률(B/A)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 농림축산식품 1,425,785 359,686 576,389 454,095 599,495 26.2 4.0 ❍ 신 선 245,851 47,012 102,463 42,322 97,173 △10.0 △5.2

- 과실류 56,371 5,574 13,422 4,834 13,644 △13.3 1.7

- 채소류 55,080 5,427 32,661 3,737 32,620 △31.1 △0.1 - 가금육류 50,893 20,814 22,211 18,643 21,595 △10.4 △2.8

- 인삼류 28,300 1,805 9,018 1,757 8,382 △2.7 △7.1

- 곡 류 10,377 9,953 4,423 9,289 4,350 △6.7 △1.6

- 버섯류 7,245 1,330 2,720 1,421 3,006 6.8 10.5

- 김 치 5,894 647 2,231 993 3,662 53.5 64.2

- 돼지고기 2,914 175 700 700 2,008 300.4 186.7

- 화훼류 539 10 169 5 91 △54.9 △46.4

- 산림부산물 28,237 1,276 14,907 942 7,814 △26.2 △47.6 ❍ 가 공 1,179,934 312,674 473,926 411,773 502,321 31.7 6.0 - 연초류 150,971 3,817 62,479 2,772 37,698 △27.4 △39.7 - 음 료 144,573 53,257 59,730 45,587 51,640 △14.4 △13.5 - 면 류 128,406 15,943 52,456 17,905 59,880 12.3 14.2

- 과자류 55,724 3,681 19,795 4,444 21,593 20.7 9.1

- 소스류 51,389 6,787 20,115 7,000 21,497 3.1 6.9

- 주 류 31,050 8,740 12,082 9,133 12,133 4.5 0.4

- 낙농품 20,872 878 8,710 1,379 13,799 57.0 58.4

- 목재류 51,751 76,954 22,042 152,057 29,285 97.6 32.9 - 기 타 545,198 142,617 216,517 171,496 254,797 20.2 17.7

* `19년 對미얀마·라오스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2.0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 `20년 對필리핀 쌀 무상원조 실적(1.0천톤, 1.8백만불)은 수출실적 집계대상에서 제외

(단위 : 톤, 천불, %)

참조

관련 문서

 자기 참조 구조체(self-referential structure)는 특별한 구조체로서 구성 멤버 중에 같은 타입의 구조체를.. 가리키는

[r]

통신 사 이동전화 ARPU 상승 및 영업이익 성장 기대감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긍정적 주가 반응 이 예상된다.. 3사 모두 이동전화매출액이 성장을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1968년 프랑스 5월 혁명 슬로건 ii Il est interdit d'interdire.(It is forbidden to forbid.).. i

2 학기에 어서 학우 여러분을 만나서 같이 2학기를 꾸며나 갔으면 좋겠습니다. 부족한 저희지만 2학기에는 즐거운 학과 생활을 만드는 것에 조금이라도 일조할 수 있다면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

(7) 냉방기, 영상감시장치 또는 비상통화장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