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악가창 국악가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악가창 국악가창 "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8년 2월

교육학석사(음악교육)학위논문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

국악가창 국악가창

국악가창 지도 지도 지도 지도 방안 방안 방안 연구 방안 연구 연구 연구

- -

- - 제 제 7 제 제 7 7 7 차 차 교육과정을 차 차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중심으로 - 중심으로 - -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이유림

(2)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

국악가창 국악가창

국악가창 지도 지도 지도 지도 방안 방안 방안 방안 연구 연구 연구 연구

- - -

- 제 제 7 제 제 7 7 7 차 차 교육과정을 차 차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중심으로 중심으로 - 중심으로 - - -

The study guidance plan of singing

korean classical music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 : Focused on the 7th curriculum

2008년 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 교육전공

이유림

(3)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 지도 방안 연구

지 도 교 수 이 한 나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음악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7 2007 2007

2007 년 년 년 년 10 10 10 10 월 월 월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 교육전공

이유림

(4)

이유림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박 계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 한 나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승 일 인

2007년 1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5)

목 차

ABSTRACT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제2장 국악가창 교육

··· 3

제1절 가창교육의 의의 ··· 3

제2절 국악가창의 종류와 특징 ··· 5

1.민요 ··· 5

2. 판소리와 단가 ··· 10

3. 시조와 가곡 ··· 12

4. 가야금 병창 ··· 13

5. 가사와 잡가 ··· 14

6. 범패 ··· 15

7. 무가 ··· 15

8. 창작 노래 ··· 16

제3절 가창지도의 단계 ··· 17

1. 호흡 지도 ··· 17

2. 발성 지도 ··· 17

3. 시김새 지도 ··· 18

4. 장단 및 사설붙임 지도 ··· 20

5. 가락 지도 ··· 20

(6)

제3장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가창 교수-학습

··· 21

제1절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온 국악가창곡 분석 ··· 21

1.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별 국악가창곡 현황 ··· 21

2.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의 국악가창 종류별 현황 ··· 22

3.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의 지역별 민요 현황 ··· 23

제2절 고등학교 국악가창의 실제 ··· 24

1. 가창 중심의 교수-학습 ··· 24

2. 가창 & 기악 교수-학습 ··· 29

3. 가창 & 감상 교수-학습 ··· 33

4. 가창 & 창작 교수-학습 ··· 43

제4장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0

(7)

표 목 차

<표 1> 제창 형식 ··· 7

<표 2> 가곡과 시조의 비교 ··· 13

<표 3> 12가사와 시조의 비교 ··· 15

<표 4>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별 국악가창곡 비율 ··· 21

<표 5>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종류별 국악가창곡 ··· 22

<표 6>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지역별 민요곡 수 ··· 23

<표 7> 본시 학습 지도안(1/1차시) - 오돌또기 ··· 24

<표 8> 본시 학습 지도안(1/1차시) - 몽금포 타령 ··· 29

<표 9> 본시 학습 지도안(1/1차시) - 동창이 밝았느냐 ··· 33

<표 10> 본시 학습 지도안(1/1차시) - 가시버시 사랑 ··· 43

(8)

악 보 목 차

<악보 1> 경기 민요 : 경토리 ··· 8

<악보 2> 동부 민요 : 메나리 토리 ··· 8

<악보 3> 서도 민요 : 수심가 토리 ··· 9

<악보 4> 남도 민요 : 육자배기 토리 ··· 9

<악보 5> 육자배기 토리 - 새타령 ··· 19

<악보 6> 수심가 토리 - 수심가 ··· 19

<악보 7> 오돌또기 ··· 26

<악보 8> 치기나 칭칭 ··· 27

<악보 9> 둥당애 타령 ··· 28

<악보 10> 몽금포 타령 ··· 31

<악보 11> 몽금포 타령 정간보(단소 연주용) ··· 32

<악보 12> 동창이 밝았느냐 ··· 35

<악보 13> 백구사 ··· 36

<악보 14> 태평가 ··· 37

<악보 15> 가시버시 사랑 ··· 45

<악보 16> 어부사시사 ··· 46

<악보 17> 민요의 음계를 이용한 전통 음악 가락 짓기 ··· 47

(9)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The The The

The Study Study Study Guidance Study Guidance Guidance Guidance Plan Plan Plan Plan of of of Singing of Singing Singing Singing Korean Korean Korean Korean Classical Classical Classical Classical

Music Music Music

Music in in in High in High High High School School School School Music Music Music Music Textbook Textbook Textbook Textbook

- - -

- Focused Focused Focused Focused on on on on the the the the 7th 7th 7th curriculum 7th curriculum curriculum curriculum - - - -

Yu-Lim Lee Advisor : Prof. Han-Na Lee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Music Education’ purposes to develop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of students, help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the music, and raise students’ quality of life so that leads them to become the whole person. Besides, musical education also leads students to understand, love, and enjoy the music an interrelationship of culture, society, and history.

Korean classical Music takes a large part of giving teenagers to have rightful value and good emotion. Therefore, it is our responsibility to learn through the Korean classical music well so that we make students aware of our national culture and they take over from us and

(10)

develop it.

However, if we look at our educational curriculums 1st to 7th, a large part of curriculum contents take places in western(Europe and American) music.

It is true that western music has been taking a big space of musical education than Korean classical music. It happened time by time after the civilization period which brought enormous information of educational method from west. As a result, students who are educated from general schools for years mostly have enough knowledge of western music as well as expression of it while they have lack of understanding Korean classical music. Some of them even consider Korean classical music negatively. Nevertheless they learn Korean classical music from school, it is difficult for them to represent it properly because they learn it through a procedure that fits for learning western music but Korean classical music. According to above statements, it is not exaggerated even if it is stated the present musical education now is absent of an idea that the amount of western and Korean classical music have to make in a balance.

The 7th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system is divided into comprehensive and activity areas. Activity area is again divided into singing, performing instruments, creating, and appreciating music.

Singing is most easy and basic way to get musical growth.

This project aims to find a best method for singing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n eight kinds of music textbooks and raise students’ creativity and musical emotion through Korean classical music singing.

This project analyzes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Korean classical

(11)

music singing part which is a core requirement of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s in present eight kinds of music textbooks of Korean common basic subjects.

The process of this project is following.

First, it organizes varieti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al music songs and suggests a basic guidance of singing activity by stages.

Second, it summarizes music materials through analyzing Korean classical songs in the 7th high school textbooks.

Third, it provides not only a guild proposal of singing-cored professor-studying, but also it’s unification of ‘Singing & Performing instruments’, ‘Singing & Creation’, ‘Singing & Music appreci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re have been lots of attempts to the elemental and functional teaching in the study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singing. However, now it is time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for Korean classical music singing activities by teachers’

effective education methods with various and systemized singing activities.

(12)

제 제

제 제1 1 1장 1 장 장 장 서론 서론 서론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국악’이라는 이름으로 통칭되는 한국의 전통 음악은 오랜 역사와 함께 우리의 생활 속에서 성숙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이다. 그러므로 전통음악을 통한 음 악적 성장을 도모하는 일은 오늘날 학교 교육이나 사회 교육에 있어서 반드시 다 루어져야 할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그러나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이 유로 전통 음악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어지지 않았으며, 서양 음악에 치우친 편식 (偏食)적 음악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1) 그 동안의 1차부터 7차까지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보면 교과내용의 상당 부분이 서양음악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개화기 이 후 서양음악과 그 지도방법이 유입되면서 음악교육은 큰 변화를 겪었고, 시간이 흐 름에 따라 서양음악이 전통음악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 한 결과 수년간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을 받아온 학생들의 대부분은 서양음악에 대 한 지식과 생각, 표현 등은 풍부하지만 전통음악에 대해서는 이해도가 부족하고, 또한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며 전통음악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나마 학교에서 전통음악을 접한 학생들도 전통음악에 적합 한 교육을 받았다기보다는 제재곡만 전통음악일 뿐 교육방법은 서양음악을 배울 때와 비슷한 방법으로 교육받았기 때문에 역시 전통음악에 맛을 제대로 살려 표현 하지 못했다. 이처럼 그동안의 음악교육은 서양음악과 국악이 형평성을 지니지 못 한 상태에서 지속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우리만의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리 전통음악은 오랜 세월동안 우리 민족과 함께 해온 삶과 희로애락이 진하게 표현되어 있는 살 아 숨쉬는 음악이다. 전통음악 교육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가치관과 풍 부한 정서를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반만년 우리 역사와 함께 이 어져 온 전통음악을 바르게 배우고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자 과제이다.2) 가창활동은 음악을 배움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도 접근하기 쉬운 방법이다. 어 느 정도 기능을 익혀야만 가능한 기악연주활동이나, 이미 습득된 배경지식을 응용 한 창작활동, 감상활동에 비해 단순히 듣고 따라 부르는 가창활동은 음악적 성장을 이루기 위한 가장 쉬운 영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악교육 또한 가창활동을 통해

1) 송지형, “국악과 교육.”『한국국악교육학회』, 1, n.20(2002), pp.11

2) 이세전, “중학교 국악가창에 대한 지도방안 연구: 민요 ‘밀양 아리랑’을 중심으로” (음악석사학위론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p. 1.

(13)

그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의 국악가창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논문3)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유아나, 초등학생,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 내용이 대부분이었고 그 내용이 부분적이었다. 청 소년 시기의 정서적 성장이 완성되는 고등학교 시기에 있어 국악교육이 갖는 의의 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가 창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인적자원부의 제 7차 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하여 제작된 고등 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의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신설된 ‘음악과 생활’은 선택 과목이므로 제외 시키기로 한다.

셋째, 전통음악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을 활용하고자 하며, 주제에 대한 이 론적 타당성을 위하여 선행 연구자들의 저서나 논문을 참고하고자 한다.

넷째, 국악가창곡을 11가지로 분류하여 그 종류와 특징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섯째, 호흡 ․ 발성 ․ 시김새 ․ 장단 및 사설 붙임 ․ 가락 지도 순의 단계적인 가 창지도를 제시해 본다.

여섯째, 가창 교수-학습을 다른 음악활동(창작, 기악, 감상)과 연계하여 통합적인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작성해 본다,

3) 변미혜(2000), 이세전(2004), 태재옥(2005), 허수현(2006)

(14)

제2장 국악가창 교육

제1절 가창교육의 의의

L. Murcell(1893-1963)은 ‘대부분의 음악적 경험은 노래를 부르고 배우는 것에 서 시작하여 점차 음악적 능력이 향상되고, 노래 부르는 일은 자연히 감정 경험의 기초가 되므로, 완전한 음악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우선 노래 부르는 것부터 시작해 야 한다’4)고 말하였다.

변정자는 ‘가창은 학생들이 가장 자연스럽게 음악과 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과의 중심적인 존재라 할 수 있으며, 학교교육에서 음악이 채용된 이래 보편적인 원칙이다’5)라고 가창학습의 의의를 말하였다.

이용일은 ‘사람은 노래 부르는 것을 통해 음악을 알고, 음악을 생각하며, 그것들 을 통해 음악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가창은 음악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고 하였다.

Z. Koday(1882-1967)는 ‘모든 사람은 음악의 축복을 받고 태어났다. 따라서 우 리는 모든 사람들이 음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음악활동은 음악을 듣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노래를 부르고 싶은 것은 모든 정상적인 사람에게 있어서 자연스런 욕구이다. 그리고 그 노래 부르는 능력은 훌륭한 음악작품에 접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어려운 다성부의 악곡을 연주할 수 있을 정도로까지 향 상될 수 있다.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목소리만이 일반적인 음악문화의 기초로서 공 헌 할 수 있다’7)라고 하였다. 이 말은 가창활동이란 음악교육의 기본적인 활동인 동시에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음악개념을 형성하고 자신의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 현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학교교육에서 노래를 다루어 주는 것은 마땅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국 악 노래를 다루어 주는 것은 그들이 속한 민족과 그 문화에 대한 의식을 보다 분 명히 해 준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국악가창교육이 학교교 육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8)

첫째, 한국음악에서 가창 부분은 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

4) J. L. Murcell ․ 한국음악교재연구회(역), 『음악적 성장을 위한 교육』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6), p72.

5) 변정자,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삼호출판사, 1988), p.75.

6) 이용일, 『음악교육학 개설』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88), p.158.

7) C. R. Hopper ․ 안미자(역), 『음악교육론』 (서울: 세광출판사, 1992), p.168.

8) 권덕원 외,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가창편』 (국립국악원, 2001), p.9.

(15)

다. 일정기간의 연습이 반드시 필요한 기악 영역에 비해 가창 영역은 우선 간단하 게 따라 부르는 것으로 시작이 가능하다. 쉬운 노래를 지도하고, 그 노래의 맛을 느끼게 해 준다면 학생들은 국악이 어렵다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학생들은 흔히 국악이 어려운 것이라고 여기기 쉽다. 물론 전문가들이 하는 국악은 어려운 것이지만, 일반 대중들이 부르는 노래들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쉬 운 노래들을 가르침으로써 국악이 어려운 것이 아님을 경험하게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학생들이 국악노래들을 가까이 접하게 될 때 그들의 삶에서 ‘국 악의 생활화’는 실현될 것이다.

둘째, 가창 영역의 지도에 있어서 빠르기를 달리해서 부른다거나 가사를 바꾸어 부른다거나 가락을 바꾸어 부르는 등의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 음악성을 키워줄 수 있다. 전래동요나 민요들은 개방형의 노래들이다.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의 창의성 을 한껏 발휘해 볼 기회를 줄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악에서 중요한 개념을 가창활동을 통하여 지도할 수 있다. 예컨대 메기고 받는 형식, 음계, 시김새, 장단, 음높이, 다양한 리듬, 놀이와의 관계, 일과 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중요한 음악적 개념들을 노래 부르는 활동과 연계하여 지도 할 수 있다. 가창곡을 올바로 잘 부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런 노래들을 통해 국 악에서 중요시되는 학습 요소를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 역시 필요한 것이다.

(16)

제2절 국악가창의 종류와 특징

1. 민요

가. 민요란?

민요란 예술음악(藝術音樂)의 대칭으로서 민중들의 입에서 입으로 거쳐 내려 온 전통적인 소박한 노래이다. 이러한 노래들은 거의 농업․어업등의 노동과 관계가 있 어 형식적으로 볼 때에 대개 메기고 받는(Call & Response) 유절형식으로 되어 있다.9)

나. 민요의 특징

(1) 토리

우리나라는 작은 국토이지만, 산이 많아서 옛날에는 교통이 매우 불편하였다. 그 래서 인근 지역과의 교류가 어려운 탓으로 지방마다 말씨가 약간씩 다른 사투리가 생겼으며, 노래에 있어서도 지방마다 '시김새' 가 조금씩 다르게 발달되었는데, 이 를 '토리'라고 한다. 이처럼 지역 간의 교류가 어려웠다는 것은 민족문화의 동질적 형성에는 단점이 될 듯도 한데, 신기하게도 특징의 주요 핵심적 요소들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지역별로 특색 있게, 그리고 다양하게 발전되어 온 점을 발견할 수 있다.

(2) 창법

우리 국악에서는 가락을 멋지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농현법'이 있다. 이 ‘농현법’

은 서양 음악에서 볼 수 없는 기묘한 표현 방법이다. 농현법을 크게 분류하여 보면 전성, 평성, 퇴성 등이 있다. 농현법은 서양 음악의 비브라토(Vibrato)와는 전연 다 른 감명을 주는 요소로써 우리음악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악에서는 ‘농현 법’이라 하고, 성악에서는 ‘시김새’라고 한다. 우리민요는 시김새를 넣어서 불려야 만 제 맛이 나는 것이다. 이 시김새를 표현하는 창법은 지역적으로 민요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시김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성은 흔드는 폭이 조금 크고 약간 느린데, ‘흔드는 목’이라고도 한다.

9) 한만영, 『국악개론』 (사단법인 한국국악학회, 1975), p.213.

(17)

둘째, 평성은 어떤 음을 변화 없이 평으로 내는 것을 말한다.10)

셋째, 퇴성은 원음보다 위 음에서 끌어내리거나 아래 음에서 끌어올려서 내는 소 리인데 ‘꺾는 목’이라고도 한다.

넷째, 요성은 폭을 작게, 그리고 좀 빠르게 흔드는 소리이다.

다섯째, 굴리는 목은 원음 앞에 굴리듯이 장식음을 넣어서 부르는 것이다.

다. 민요의 형식

(1) 메기고 받는 형식

옛날에 우리 조상들은 고된 농사일을 '두레'와 같은 풍습으로 집단적 공동 노동 을 하였다. 이런 집단노동에는 필연코 음악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공동노동 가운데 음악을 함께 함으로서 지루하고도 고된 노동을 즐거운 노동으로 전환시켜 작업능 률을 올리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생활음악 속에서 발전된 것이 주고받 는 형식이다. 유절(有節)형식으로 된 민요나, 반복되는 노동요에서는 한 사람이 독 창으로 메기면 여러 사람이 합창으로 받는데, 이 합창으로 받는 후렴구는 대개 일 정불변이지만 메기는 독창부분은 일정하지 않고 변한다.11)

메기는 부분은 독창으로 선창하는데, 즉흥적으로 사설을 만들어 가면서 부르는 것이다. 받는 부분은 여럿이 제창을 하는데, 사설이 변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흥을 돋우어 주는 데에는 일품이다. 후렴과 같은 형태이지만, 서양음악에서의 후렴과는 느낌이 다른 특이한 음악 형식이다. 한사람이 의미 있는 노랫말을 넣어 소리를 메 기고 나머지 여러 사람들이 의미 없는 후렴으로 받는 형식을 '선후창(先後唱) 방식' 이라고 한다. 타작이나 뱃일 등 여러 사람이 호흡을 맞춰 함께 해야 하는 일을 할 때 이러한 선후창 방식의 노동요를 부른다.

(2) 엮음 형식

이야기하듯이 사설을 읊어 가는 방법인데, '정선아리랑'은 엮음 형식의 대표적인 민요로써, 대단한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3) 제창 형식

제창 형식은 역할 분담 없이 모두 한꺼번에 같은 노래를 하거나 한 사람이 독창

10) 허수현, “국악가창 시김새 지도 방안 연구” (음악교육석사학위론문, 성신여자대학교, 2006), pp.18-18.

11) 한만영, 『국악개론』 (사단법인 한국국악학회, 1975), p.34.

(18)

을 하는 방식이다. 길쌈과 같이 여러 사람이 행동을 통일할 필요가 없는 일일 때 이런 방식의 노래를 주로 부른다. 주로 여성들의 수공업에 이런 형식의 노래가 많 이 불리는데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일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대체로 노랫말이 긴 편이고 스토리가 있는 경우도 많이 있다. 밖에서는 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토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구성지고 처연한 노래가 많다.

<표 1> 제창 형식

구분 부르는 방법 가사의 형태

메기는 부분 독창-선창 사설이 변함

받는 부분 제창-후렴 사설이 변치 않음

라. 민요의 종류

우리나라 민요에서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리랑'이다. 그런데 이 아리 랑에 관한 노래만하더라도 조사된 것이 수백곡이나 되며, 민요의 성격, 내용, 지역 등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많다. 세계의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이 우리와 같이 이렇 게 다양하게 발전된 민요를 갖고 있는 민족이 있겠는가?

민요의 종류를 분류함에 있어서는 불리어지는 범위, 용도, 지역 등으로 분류하기 도 한다.

(1) 범위에 따른 종류 (가) 토속민요

널리 알리어지지 않고 다만 어느 지역에 한정되어서 불리어지는 민요이다. 그 지 방의 소박한 감정과 생활정서가 있다.

예) 지신밟기 노래, 모심기 노래, 상여 노래 등등.

(나) 통속민요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서 불리어지는 민요인데, 보통 전문 소리꾼이 토속민요를 잘 다듬어서 여러 곳을 다니면서 부르게 되어 통속 민요로 되는 경우가 많다.

예) 아리랑, 도라지 타령, 풍년가 등등.

(2) 용도에 따른 종류

- 노동요, 유희요, 남창요, 여창요, 열녀가 등등.

(19)

(3) 지역에 따른 종류12)

(가) 경기 민요(서울․경기․충청도 일부)

① 특징

가락이 밝고 경쾌하며 서정적이다.

② 음계

‘솔라도레미’ 또는 ‘라도레미솔’ 의 5음 음계이다.

<악보 1> 경기 민요 : 경토리

③ 잘 알려진 민요

‘노들강변’, ‘군밤타령’, ‘창부 타령’, ‘천안 삼거리’, ‘늴리리야’, ‘한강수 타령’ 등 이 있다.

(나) 동부 민요(강원도․경상도․함경도)

① 특징

가락의 굴곡이 심하며 씩씩한 창법을 지니고 있다.

② 음계

‘미솔라도레’ 의 5음을 많이 사용한다.

<악보 2> 동부 민요 : 메나리 토리

③ 잘 알려진 민요

함경도의 ‘신고산타령’, 강원도의 ‘한오백년’, ‘정선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경 상도의 ‘쾌지나 칭칭 나네’, ‘옹헤야’, ‘밀양 아리랑’ 등이 있다.

(다) 서도 민요(평안도․황해도)

① 특징

12) 이강율 외, 『고등학교 음악』 (박영사, 2007), p.12.

(20)

대개 기악 반주를 하지 않고 콧소리와 요성(떠는 소리)을 많이 사용한다.

② 음계

‘레미솔라도’ 의 5음 음계이며 ‘레’, ‘라’, ‘도’ 3음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라’음 을 많이 떨어준다.

<악보 3> 서도 민요 : 수심가 토리

`

③ 잘 알려진 민요

평안도의 ‘수심가’, 황해도의 ‘산염불’, ‘몽금포타령’ 등이 있다.

(라) 남도 민요(전라도)

① 특징

격렬하게 떠는 음과 꺾는 음을 구성지게 표현한다.

② 음계

‘미라시’ 의 3음 음계

<악보 4> 남도 민요 : 육자배기 토리

③ 잘 알려진 민요

‘육자배기’, ‘남원산성’, ‘농부가’, ‘강강술래’, ‘진도 아리랑 등이 있다.

(마) 제주도 민요

① 특징

제주도 특유의 방언으로 육지와 다른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다.

② 음계

서도 지방의 음계가 많이 쓰이나 종지 형태나 선율 구조는 서도 민요와 다르다.

③ 잘 알려진 민요

‘이야홍 타령’, ‘서우제 소리, ‘개구리 타령’, ‘산천초목’, ‘중타령’ 등이 있다.

(21)

2. 판소리와 단가

가. 판소리란?

부채를 든 1명의 창자(唱者)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아니리(사설)·발 림(몸짓)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 음악이다. 판소리에는 춘향가, 흥부 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강릉 매화전, 가루지기타령, 장끼타령, 옹고집전, 배비 장전, 무숙이 타령, 가짜신선타령 등의 12마당이 있는데, 현재는 춘향가, 흥부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가 주로 불려지고 있다.13)

라. 제

'제'(制)는 판소리의 유파(類派)를 일컫는 말이다. 판소리가 전승되면서 전승 계보 에 따라 음악적 특성에 차이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를 제라고 한다. 제는 현존하는 실체라기보다는 다양한 판소리를 구분하여 유형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관념적으로 구성된 참조의 틀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에는 동편제(東便制)·서편제(西便制)·중고제(中高制)가 있다.

동편제는 우조를 주로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씩씩하고 웅장한 가락의 맛을 특징 으로 삼았다. 동편제 판소리는 섬진강 동쪽지방에 있는 구례운봉 순창 출신의 명창 들에 의해서 많이 공연되었으며 송흥록을 동편제의 시조로 삼는다고 한다. 서편제 는 섬진강 서쪽에 자리한 광주, 나주, 보성 출신 명창들이 발전시킨 판소리의 한 유파인데, 서편제의 가락은 계면조를 많이 써서 정교하고 감칠맛이 풍기는 것을 특 징으로 삼는다고 한다. 박유전(朴裕全을 서편제의 시조로 삼는데, 박유전의 호를 따서 서편제라는 말 대신에 강산제(江山制 )라고도 부른다.14)

중고제는 염계달․감성옥의 창제를 말한다.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인 중간이지만 비교적 동편제에 가깝고 담담하고 맑은 가락에 특징이 있다.15)

마. 조

‘조’(調)란 선법(旋法), 또는 선율(旋律)의 형태에 따라 나눈 판소리의 음악적 특 성을 가리키는 말인데, 선법과 창법(唱法)을 구분하여, 선법을 '길', 창법을 조라고

13) 유신, 『판소리 예술론』 (삼호출판사, 1992), p.81.

14)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97), p.454.

15) 유신, 『판소리 예술론』 (삼호출판사, 1992), p.174.

(22)

부르기도 한다. 조에는 계면조(界面調)·우조(羽調)·평조(平調)가 있다.

계면조는 전라도의 향토 선율형으로, 이른바 시나위 조 · 육자배기 조와 같은 것 이다. 음계는 '미·솔·라·도·레'이며, 본청은 '라'이다. 대부분이 '라'로 종지하며, 간혹 '미'로 종지하는 경우도 있다. '도'에서 '시'에 이르는 미분음적 하강음이 존재하며, 미끄러지거나 꺾어 내린다. '시'는 반드시 '도'를 거쳐 나타나며, 단독으로는 나타나 지 않는다. '미'는 떨고, '솔'은 대개 생략된다. 슬픈 대목을 노래하는 데 주로 쓰인 다.

우조의 음계는 '솔·라·도·레·미'이며, 본청은 '도'이다. '도'로 종지하는 경우가 많 고, 간혹 '솔'로 종지하기도 한다. 도약 진행이 많으며, 웅장하고 씩씩한 대목을 노 래하는 데 주로 쓰인다. 평조의 음계는 '레·미·솔·라·도'이며, 본청은 '솔'이다. '솔'로 종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간혹 '레'로 종지하는 경우도 있다. '미'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라'에서 '솔'로 올 때 얕은 농현이 있거나 음정이 낮아지는 경향이 많 다. 화평한 느낌을 노래하는 데 주로 쓰인다. 이밖에도 더 많은 선법이 존재할 가 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며, 경드름 · 설렁제 등을 선법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바. 장단

음악의 스타일이나 성격에서 리듬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듯이, 판소리의 이면표현 수단에서 가장 일차적인 수단은 장단이라고 할 수 있다. 소리의 속도 ․ 액센트 ․ 박 자구조 등 형성해 가는 음악의 흐름이 이야기의 극적 전개와 직결되기 때문이 다.16)

판소리의 장단은 서양음악의 리듬과 가장 가까운 개념인데, 일반적인 수준에서는 박자와 거의 동일하게 인식된다. 판소리의 장단은 진양 ․ 중모리 ․ 중중모리 ․ 자진 모리 ․ 휘모리 ․ 엇모리 ․ 엇중모리로 나눌 수 있다.17)

진양은 느린 6박을 한 단위로 하며, 이것이 4개 모인 24박이 한 장단을 이룬다.

매 박이 3분박이므로 18/8로 표시한다. 한가한 장면이나 슬피 탄식하는 서정적인 대목에 주로 쓰인다. 중모리는 보통 속도의 12박으로 구성되는데, 12/4 혹은 12/8 로 적는다. 서정적인 대목이나 해설하는 부분에 주로 쓰인다.

중중모리는 약간 빠른 12박인데, 12/8로 적는다. 흥겨운 대목이나 몸부림치며 통 곡하는 대목에 주로 쓰인다. 자진모리는 약간 빠른 4박으로 구성되는데, 매 박이 3 분박이므로 12/8로 적는다. 사물이나 사건을 나열하거나 긴박한 장면을 묘사하는 데 주로 쓰인다.

16) 백대웅 외, 『전통음악개론』 (도서출판 어울림, 2005), p.183.

17)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97), p.460.

(23)

휘모리는 매우 빠른 4박으로 구성되는데, 매 박이 2분박이므로 4/4로 적는다. 사건 이나 사물을 매우 빨리 반복 나열하는 데 주로 쓰인다.

엇모리는 매우 빠른 2·3·2·3의 10박으로 구성되며, 10/8으로 적는다. 2분박과 3분 박이 섞인 혼합박자로, 신비한 인물이나 사물을 묘사하거나 이들이 등장할 때 주로 쓰인다.

엇중모리는 중모리의 절반으로 6박으로 구성되는데, 매 박이 2분박이므로 6/4으로 적는다. 사유를 말할 때나 뒤풀이 대목에 쓰이는데, 판소리에서 가장 적게 쓰이는 장단이다.

아. 단가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일종의 다스름 즉, 서곡이다. 사 설 내용은 강산풍월이나 인생무상 등을 노래한 것이 많고, 장단은 중모리나 중중모 리의 중간속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판소리처럼 극적인 분위기를 만들지 않고 담담 하게 노래한다. 대표적인 단가로는 「만고강산」, 「진국명산」, 「강상풍월」,

「호남가」, 「백발가」 등이 있다.18)

3. 시조와 가곡

시조와 가곡은 정가이다. 정가는 바른 노래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양반과 중인층 에서 즐기던 노래이다. 민요, 판소리 등의 노래보다 느리게 부르며, 감정의 표현 절 제되어 있다. 복모음을 단모음으로 나누어 발음하는 특징이 있다.19)

시조는 조선 중기에 발달한 음악으로 전문가의 음악이 아닌 일반인들이 즐겨 부 를 수 있는 소박한 노래이다. 시조는 가곡 같이 시조시를 가사로 하면서도 화려한 기악 반주 없이 장구나 무릎장단의 반주로 이루어지는 소박하고 꿋꿋한 음악의 특 징을 지니며 3장의 계면조로 구성되었다. 5박과 8박 장단이 사용된다.

시조의 종류는 시조의 지역을 기준으로 한 구분으로 경제(서울과 경기), 영제(경상 도), 완제(전라도), 내포제(충청도)등이 있다. 시조는 경제 평시조가 원형이며, 남창 과 여창의 구분이 있다. 평시조의 초장을 높게 질러내는 지름시조와, 장형시조를 촘촘하게 부르는 사설시조, 그리고 지름시조와 사설시조의 특징이 섞여 있는 사설 지름시조 등이 있다. 그 외에 우조지름시조, 각시조 등의 종류가 있다.20)

18) 김국희, “음악교과서의 국악내용 구성에 관한 분석 연구: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석사학위 론문, 숙명여대 교육대학교, 2004), p. 54.

19) 이용일 외, 『음악과 생활』 (서울: (주)교학사, 2002), p.57.

(24)

가곡은 전통 가창곡 중 판소리, 범패와 함께 3대 성악곡으로 일컬어지는데, 조선 시대 성행한 시조시를 가사로 한 예술성 높은 노래이다. 전체 악곡은 5장과 대여음 과 중여음으로 구성되며 16박과 10박 장단과 우조(평조)와 계면조 음계이며 세악 편성의 악기로 반주된다.

<표 2> 가곡과 시조의 비교21)

구분 시조 가곡

음악형식 3장형식(초장, 중장, 종장) 5장형식(초장, 2장, 3장, 4장, 5장)

장단 5박과 8박 16박 또는 10박

음계 3음 음계의 계면조 5음 음계의 평조 3음 음계의 계면조

반주 장구 장단과 간단한 악기

혹은 무릎 장단 세악반주

전주, 간주 없음 대여음(전주), 중여음(간주)

종류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초수대엽, 농, 락, 편, 태평가 등 특징 가사의 전달을 중요하게 여긴다. 가락의 표현을 중요하게 여긴다.

4. 가야금 병창

단가(短歌)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독립시켜 가야금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음악.

김창조가 판소리의 ‘허튼 가락’을 정리하여, 가야금을 퉁기면서 노래를 아울러 부르 기 시작한 병창의 시조이다.22)

가야금병창은 판소리와 기악연주의 중간지점에서 출발하여 독특한 영역을 구축해 온 음악이다. 장단은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진양·엇중모리 등을 쓰며 장구반주 가 따른다. 1968년 가야금산조와 함께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되었으며, 기 예능보유자에 정재국(鄭在國, 1997 해제)·안숙선(安淑善)이 있다. 대표적인 곡으로 는 〈녹음방초〉·〈호남가〉·〈사랑가〉·〈제비노정기〉 등이 있다.

20) 이용일 외, 『음악과 생활』 (서울: (주)교학사, 2002), p.49.

21) 김성수 외, 『고등학교 음악』 ((주)대한교과서, 2002), p.54.

22) 유신, 『판소리 예술론』 (삼호출판사, 1992), p.91.

(25)

5. 가사와 잡가23)

가. 가사란?

가사체의 긴 노래말을 일정한 장단에 의해 노래하는 성악곡으로 그 감정적인 표 현이 자유로운 편이다. 조선 후기에 형태를 갖추게 되었는데, 가곡의 영향을 받기 도 하고, 서도 소리나 남도소리, 잡가의 영향을 받아 음악적인 특징이 매우 복합적 이다. 따라서 떠는 소리, 끌어내리는 소리, 가성 등을 사용하여 시김새가 매우 다양 한다.

가사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데, 단지 농암 이현보(李賢輔:

1467~1555)가 어부사를 지었다는 것이 알려졌을 뿐이다. 지금은 12곡이 전해지기 때문에 12가사라고 부른다.

가사는 장구만의 반주로 연주하기도 하고, 대금, 세피리, 해금, 장구 등의 반주악 기로 연주하기도 한다. 장구의 장단은 5박자와 6박자의 장단을 사용한다.

▶12가사: 백구사, 황계사, 죽지사, 춘면곡, 어부사, 길군악, 상사별곡, 권주가, 수양 산가, 처사가, 양양가, 매화타령

나. 잡가란?

조선 말기에서 10세기 초에 특히 성행하였던 잡가는, 주로 전문 소리꾼이 부르 던 노래로서, 가사․판소리․민요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내용과 형식이 매우 다양하 다. 부르던 지역에 따라 경기 잡가, 서도 잡가, 남도 잡가로 나눌 수 있으며, 경기 잡가는 속도가 느리고 가사가 긴 12잡가(긴 잡가)와 속도가 빠른 휘모리 잡가로 구별된다.

(1)경기 잡가: 경기 잡가의 긴 잡가에 해당하는 12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가 있 다. 또한 휘모리 잡가로는 ‘곰보타령, 생매잡아, 만학천봉, 육칠월 흐린 날, 한잔 부 어라, 병정타령, 바위타령, 맹꽁이 타령’등이 있다.

(2)서도 잡가 : 평안도와 황해도에서 부르건 서도 잡가에는 ‘공명가, 사설 공명가, 제천, 초한가, 추풍감별곡, 적벽고, 관동팔경, 영변가, 관사융마’등이 있다.

(3)입창 : 입창 즉 선소리는 특히 뚝섬패, 왕십리패, 성북동패, 과천패 등과 같은 선소리패들에 의해 불리다가 차차 다른 지역으로 퍼져 나가면서 서도 입창과 남도 23) 김성수 외, 『고등학교 음악』 ((주)대한교과서, 2002), p.62.

(26)

입창이 발전하게 되었다. 경기 입창에는 놀량,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 등 이 있고, 서도 입창에는 산타령, 그리고 남도 입창에는 보렴, 화초사거리 등이 있 다.

가사와 잡가를 간단하게 비교하면 <표4>와 같다.

<표 3> 12가사와 12잡가의 비교24)

12가사 12잡가

대표적인 장단 도드리장단 도드리장단

반주형태 장구와 피리 또는 대금 장구

서도민요 창법 조금 섞임 많이 섞임

6. 범패

범패란 불교의 법문(法文)이나 게송(偈頌)을 영창(詠唱)하는 것으로 범음(梵 音), 어산(魚山), 인도 소리라고도 하며 주로 사찰의 주요의식에서 불린다.

범패는 무박자(無拍子)의 불규칙한 단성선율(單聲旋律)로 구성된 곡으로 구전 심수(口傳心授)의 방법으로 배우는 것이 전통이다.

범패는 안채비 소리, 바깥채비 소리, 화청 및 고사염불로 나뉜다. 안채비 소 리는 사찰 내에 가장 덕망 있는 병법(秉法)이나 법주(法主)가 한문으로 된 법문 을 비교적 짧게 부르는 형식을 취한다. 바깥채비 소리 또는 겉채비 소리는 전 문적으로 범패를 습득한 어산승(魚山僧)들에 의해 불리는데 독창으로 부르는 홑소리와 어장(魚丈 : 범패의 최고승을 지칭함)이 인도하며 제창으로 부르는 홑 소리의 두 종류로 나뉜다. 화청은 일반대중이 알아듣기 쉬운 장단과 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도 축원화청 이외는 한글 가사로 되어 있다.25)

7. 무가

무가는 한마디로 무당이 굿판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24) 이용일 외, 『음악과 생활』 (서울: (주)교학사, 2002), p.53.

25) 김선영, “동편제 판소리 흥보가와 범패의 사방찬 가창 연구” (음악석사학위론문, 동국대 문화예술대학 원, 2005), p. 6.

(27)

그 내용에 따라 일반무가와 서사무가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무가는 신(神)의 청배(請拜) ․ 찬덕(讚德) ․ 기원축(祈願祝)에 관한 내용이고 서사무가는 서사적 인 민담(民譚)을 노래한 것으로 성조(成造)굿 ․ 진오귀굿 ․ 성황(城隍)풀이 ․ 군

웅청배(軍雄請拜)굿 등이 있다.26)

8. 창작 노래

국악창작의 시조는 판소리 창우(倡優)들이다. 창우들은 사설과 곡조를 새롭게 만 들어 독특한 장기로 인정받았으며 '더늠'이라는 형식을 빌어서 많은 토막소리를 만 들어내어 창극무대를 새롭게 했다.

또 서도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인 창작활동을 했는데, 그들은 판소리에서 사 설을 빌려오고 선율은 서도지방의 고유한 어법에 따라 장형의 서사음악인 서도잡 가를 만들었다. 대표적인 서도소리의 창작자로는〈배뱅이굿>의 창작자 김관준을 들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창작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랐으나 신민요의 창작이 많이 이루어졌다.〈아리랑〉·〈도라지〉·〈노들강변〉·〈청춘가〉·〈석탄가〉 등이 그 예이다.

고등학교 가창교육과정에서의 창작노래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이나 중학교 교육과 정에서 선택된 창작국악동요의 수준에서 벗어난 것이다. 민요나 정악 기악곡 등의 전통 국악곡의 음악특성을 새로운 악곡의 형식으로 표현한 곡인 것이다.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창작노래로는 ‘가시버시 사랑’, ‘어부사시사’,

‘꽃분네야’ 등이 있다.

26) 유신, 『판소리 예술론』 (삼호출판사, 1992), p.64.

(28)

제3절 가창지도의 단계

1. 호흡 지도

우리나라 노래는 여러 박이 모여서 한 장단을 이루는데, 가창 시 이 장단과 가사 를 기준으로 호흡을 하여야 한다. 호흡법은 단전 호흡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힘점의 위치를 엉덩이 중심 부분에 두어 자연스럽게 단전에 기운이 모이게 한다.

서서 하는 것과 앉아서 하는 것, 누워서 하는 것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교 실에서 활용 가능한 앉아서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7)

첫째, 허리를 곧게 펴고 결가부좌를 하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둘째, 양 손바닥을 배꼽 아래에 갖다 댄 후 단전의 위치를 확인한다.

셋째, 하나에 숨을 코로 들이마시고 숨을 간직했다가 둘에 숨을 천천히 내쉰다.

다섯째, 차츰 박의 수를 늘려가면서 호흡을 길게 하는 연습을 계속한다.

여섯째, 단전호흡을 하면서 숨을 내쉴 때 길게 천천히 내보내면서, 소리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일곱째, 소리를 낼 때는 혀를 입천장에 가까이 대고 ‘쓰(스-)’발음에 숨을 실어 내보내도록 한다. 호흡을 길게 하면서, 미리 정한 양의 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내쉬는 숨을 소리로 길게 바꾸어 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들숨과 날숨을 잘 운용해야 하는데, 들숨은 빠르면서도 소리 나지 않게 들 이마시고 날숨은 발성을 지속시킬 때까지 고르게 내쉰다. 숨이 턱까지 닿도록 다 써버리면 힘이 달려 거친 들숨소리와 함께 편안한 노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들숨 의 지점에 도달했을 때 2할 정도의 여분 숨이 있도록 한다. 들숨의 경우 자신의 평 소 숨 쉬는 양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2. 발성 지도

발성은 정가와 민속창가의 경우가 상이하므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대부분을 차지 하는 민요의 발성으로 하겠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민요의 발성을 맘껏 질러내는 것으로만 인식하고 있으나 이 는 남도 민요 전문 소리꾼, 특히 판소리의 경우에 국한되는 것이고 일반적인 통속

27) 조묘구, “남도민요 가창 지도 연구: 육자배기토리를 중심으로” (음악교육석사학위론문, 한국교원대 교 육대학교, 2001), p. 259.

(29)

민요나 토속민요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민요가 대부분인 고등학교 국악가창 교육에 서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발성법을 사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민요는 각 지 역마다 발성법이 다르므로 악곡의 특징에 알맞게 지도해야 한다.

경기 민요는 맑고 깨끗하며 서정적이어서 경쾌하고 밝은 느낌을 준다. 남도 민요 는 굵고 극적이며 목을 눌러내는 서도민요는 큰소리로 길게 죽 뻗다가 갑자기 속 소리로 가늘게 떠는 것이 특징이다.28)

즉, 남도소리가 목을 눌러 주며 뱃속에서 뽑아 올려 목과 가슴을 울리는 탁한 발성 으로 낮은 음역에 적절한 반면 서도소리는 높은 음역에 어울린다. 강원도를 비롯한 경상도와 함경도의 동부 지방 민요는 구성지고 애조를 띤 탄식조의 소리가 많다.

민요를 부를 때 주로 쓰이는 발성법에는 크게 통성과 세청이 있다. 통성은 대체로 낮은 음에서 사용하고 세청은 높은 음에서 사용한다. 세청의 경우 시조에서 주로 청황 이상의 높은 음역에서 나타나나, 낮은 음역에서도 주음이 아닌 발성의 변화나 시김새 부분에서 쓰이는 경우가 있다.

가. 통성 지도

통성은 특별한 기교 없이 자연스럽게 내는 소리이다. 단전에 힘을 주어 소리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고음에서도 적용되는 때가 있다.

나. 세청 지도

높은 음역의 소리나 동물 ․ 새소리 등 약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나타낼 때 비강을 확대시킨 후 소리를 양미간 사이로 내보내는 발성이다.29) 서도 소리나 여창가곡, 가사, 시조에서 많이 사용되며 높은 소리를 질러 내지 말고 약하게 내도록 한다.

3. 시김새 지도

시김새는 음악의 계통이나 선법, 지방 및 개인의 음악성에 따라 그 모양과 위치 가 달라진다. 때문에 모두 한 가지 방법으로 노래할 수는 없다.30)

가. 요성

육자배기 토리와 수심가 토리에 주로 나오는데 각각 그 모습과 위치에 차이가

28) 정은영, “서도소리의 가창지도연구” (음악교육석사학위론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p 10.

29) 김은희, “초․중등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내용 개선연구” (음악교육석사학위론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 원, 1998), p. 30.

30) 박연자, “국악가창 표현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법 연구: ‘아리랑’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석사학위론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p. 24.

(30)

있다. 요성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무조건 다 강하게 떠는 것이 아님을 이 해시킨다.

(1)육자배기 토리

<악보 5> 육자배기 토리 - 새타령

(2) 수심가 토리

<악보 6> 수심가 토리 - 수심가

나. 퇴성

퇴성은 육자배기 토리뿐 아니라 수심가 토리나 메나리 토리에도 등장한다. 단소 나 가야금 등의 악기로 시김새를 들려주면 한 음 안에서 변하는 모습을 효과적으 로 느낄 수 있다.

음역을 달리해서 다양하게 소리를 내어보게 한 후 ‘퇴성’은 정해진 부분이 있다는 것을 지도한다.

다. 평성

중심음을 꾸미지 않고, 변화 없이 평으로 내도록 지도한다.

라. 전성

흔드는 폭을 조금 크고 약간 느리게 소리 낼 수 있도록 유의한다.

(31)

4. 장단 및 사설 붙임 지도

장단을 지도할 때는 곡의 가락이 내재된 장단 꼴을 우선 익히게 하여야 한다. 장 단꼴을 충분히 익혔을 때 올바른 가락 표현이 가능해지며, 노래의 반주 장단 또한 쉽게 연주할 수 있다.

가사가 가락에 어떻게 붙어 있나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을 통하여 우리나라 말 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하는데, 장단의 강박에 단어의 주요 음절이 붙어 있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가사의 내용을 통해서 노래에서 삶의 모습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알고 자연의 질서와 조화를 표현하기 위해 소리를 어떻게 사용했는지 살펴 본다.

5. 가락 지도

민요는 가락이나 가사가 일정하기 않고 경우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즉,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부르는 사람마다 다르고, 같은 사람이라 해도 때와 장소 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그러므로 본래의 모습에 가까운 음악을 제시하여 각 민요의 지역별 특징과 즉흥성을 가미해서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향토민요의 경우, 교과서의 각 지방의 방언과 어법에 맞지 않는 가사를 수록한 노 래가 많다. 해당 악곡에 나타난 가사의 어원과 그 사투리와의 차이점을 정확히 이 해하여야 한다.

(32)

제3장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가창 교수-학습

제1절 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온 국악가창곡 분석

1.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별 국악가창곡 현황

전체 가창곡에서 차지하는 국악 가창곡의 비율을 교과서별로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표 4> 고등학교 8종 음악 교과서별 국악가창곡 비율

출판사출판사출판사출판사

구 분 교학사교학사교학사교학사 대한대한대한대한 교과서교과서 교과서교과서

도서출판 도서출판 도서출판 도서출판 태성태성

태성태성 두산두산두산두산 박영사박영사박영사박영사 세광음악세광음악세광음악세광음악 출판사출판사출판사

출판사 천재교육천재교육천재교육천재교육 현대음악현대음악현대음악현대음악 출판사출판사출판사 출판사 합계합계합계합계 국악

국악국악 국악 가창곡 가창곡 가창곡 가창곡 수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15 15 12 10 12 16 14 23 117

30 26.78 26.08 21.27 24 30.76 38.88 39.65 29.62 전체 전체 전체

전체 가창곡수 가창곡수가창곡수 가창곡수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백분율(%)(%)(%)(%)

50 56 46 47 50 52 36 58 395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전체 가창곡수는 395곡으로 국악가창곡이 117 곡을 차지하는데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29.62%이다. 이를 각 출판사별로 다 시 살펴보면, 국악가창곡이 가장 많이 수록된 출판사는 현대출판사로 가장 적 게 수록된 두산과 약 18%나 차이가 난다. 제 6차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음 악교과서에 비해서는 국악가창곡이 차지하는 비중이 많아졌으나, 국악가창곡이 원래의 우리음악임을 생각할 때 29.62%라는 백분율은 아직도 부족하다는 생각 을 하지 않을 수 없다.

(33)

2.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 종류별 현황

고등학교 8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가창곡의 종류는 가곡, 가사, 시조, 판소 리, 단가, 병창, 잡가, 민요, 범패, 무가 등 11가지로 분류31)하는데, 범패와 무가, 병창을 수록한 출판사가 없어서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또 현대의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된 가창용 창작곡도 포함시켰으며 기악곡에 가사를 붙여 성악곡화 한 악곡들 은 ‘기타’로 명시하였다.

<표 5>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종류별 국악가창곡 수

종 류

출 판 판 사 민요민요민요민요 가곡가곡가곡가곡 가사가사가사가사 시조시조시조시조 판소리판소리판소리판소리 단가단가단가단가 잡가잡가잡가잡가 창작곡창작곡창작곡창작곡 기타기타기타기타 합계합계합계합계 교학사교학사

교학사교학사 8 1 1 2 2 1 15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11 1 1 1 1 15

도서출판태성 도서출판태성 도서출판태성

도서출판태성 8 1 1 2 12

두산 두산 두산

두산 8 1 1 10

박영사박영사

박영사박영사 10 1 1 12

세광음악출판사 세광음악출판사 세광음악출판사

세광음악출판사 12 1 2 1 16

천재교육천재교육

천재교육천재교육 6 1 1 1 1 1 2 1 14

현대음악출판사 현대음악출판사 현대음악출판사

현대음악출판사 16 1 2 1 2 1 23

합계 합계 합계

합계 79 3 1 4 7 1 5 12 5 117

백분율 백분율백분율

백분율(%)(%)(%)(%) 67.52 2.56 0.85 3.41 5.98 0.85 4.27 10.25 4.27 100

전체 가창곡 117곡을 100%로 하였을 때, 민요 67.52%(79), 가곡 2.56%(3곡), 가사 0.85%(1곡), 시조 3.41%(4곡), 판소리 5.98%(7곡), 단가 0.85%(1곡), 잡가 4.27%(5곡), 창작곡 10.25%(12곡)으로 국악가창곡의 종류 중 민요가 가장 많이 수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사, 단가는 천재교육에서만 한곡씩 다루어졌고 병창, 범패, 무가 등의 가창 종류는 모든 8종 교과서에서 아예 다루어지지 않아 다. 각 종류별 국악가창곡이 저마다의 특색 있는 예술성을 가지고 있는 점을 생각 할 때 이와 같은 교과편성이 아쉬울 뿐이다.

31) 정수연,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가창 내용 분석: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석사학위 론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p 48.

(34)

3.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지역별 민요 현황

<표 5>에서 보았듯이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국악가창곡은 대부분 민요를 기본 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민요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기로 한다.

우리나라 민요는 지역에 따라 경기 민요, 남도 민요, 서도 민요, 동부 민요, 제주 민요로 분류한다. 경기 민요는 서울 경기지방을 비롯해 충청도 일부를 포함하며, 남도 민요는 전라남․북도를 비롯해 충청도 일부를 포함하고, 서도 민요는 황해도, 평안남․북도의 민요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동부 민요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 에 위치한 강원도, 경상도, 함경도까지 포함한다. 이렇게 민요를 5대 권역으로 분 류하며, 민요지만 발생연대가 오래되어 지역적인 구분이 명확하게 할 수 없는 곡은 기타로 명시하였다.

<표 6>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지역별 민요곡 수

지역지역지역지역

출판사 출판사 출판사 출판사 경기경기경기경기 남도남도남도남도 서도서도서도서도 동부동부동부동부 제주제주제주제주 기타기타기타기타 합계합계합계합계 교학사

교학사교학사

교학사 2 1 4 1 8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 3 2 1 3 2 11

도서출판태성 도서출판태성도서출판태성

도서출판태성 1 1 2 3 1 8

두산 두산두산

두산 4 2 1 1 8

박영사 박영사박영사

박영사 3 3 3 1 10

세광음악출판사 세광음악출판사세광음악출판사

세광음악출판사 4 1 1 3 2 1 12

천재교육천재교육천재교육

천재교육 1 1 2 1 1 6

현대음악출판사 현대음악출판사현대음악출판사

현대음악출판사 2 3 3 6 2 16

합계 합계합계

합계 20 14 9 24 11 1 79

백분율백분율백분율

백분율(%)(%)(%)(%) 25.31 17.72 11.39 30.37 13.92 1.26 100

<표 6>을 보면, 대부분의 출판사가 경기 민요(25.31%)와 동부 민요(30.37%)에 치 우친 편성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지방마다 특색이 있는 민요를 고르게 배우기 위 해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들이 지역별로 고르게 안배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서 도 민요는 교학사, 두산, 박영사 등의 출판사에서 아예 다루어지지 않아 해당 출판 사를 교재로 채택하여 수업하는 학교의 학생들은 서도민요를 접해보지 못한 채 고 등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35)

제2절 고등학교 국악가창의 실제

1. 가창 중심의 교수-학습

전통적인 가창 수업안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가. 제재곡에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을 익히고 장단감을 살려 듣고 따라 부르기 나. 제재곡의 음계와 시김새의 특징을 이해하여 음계에 따른 시김새 살려 부르기 다. 제재곡의 특징에 따라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빠르기 변화하여 부르기, 가사․가 락 바꿔 부르기

라. 제재곡과 관련된 지방의 민요, 다른 지방의 유사한 종류의 제재곡 부르기 또는 찾아 감상하기

이러한 전통적인 가창 수업안의 활용은 민요, 가곡, 시조 등에서 이뤄질 수 있 다.32)

<표 7> 본시 학습 지도안(1/1차시) -오돌또기

32) 문진 외,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가창편』 (국립국악원, 2001), p.163.

제재

곡 오돌또기

학습

목표 제주도 민요의 음계와 메기고 받는 형식을 이해한다.

단계 지도요

소 교수-학습활동

◎자료

☞ 유 의 점

도입

▷ 흥 미 유발

▷제재곡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기

▶유흥 때 부르는 비기능요이지만 일할 때에도 부른다. 오돌 또기의 뜻은 잘 알 수 없으나 할미꽃[老姑草]이라는 설이 있 다.

전개

▷ 학 습 목표

▷ 음 계 와 장단 학습

▷학습목표인지

▷제재곡의 음계와 장단 알아보기

▶제주도 민요인 ‘오돌또기’는 5음 음계인 다른 민요들과 다르 게 6음 음계로 구성되어 있다. 굿거리장단의 변형장단을 알아 본다.

◎ 음 계 와 여러 굿 거 리 장단 확 대 악보

참조

관련 문서

In addition, I compared Kim Ki-Su 'Arirang' music score and current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rirang' score, which were presented at the National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extbooks, analyzing the contents that the singing/instrumental music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Sudden physical change causes students to have psychological nervous status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singing which has the greatest weight in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actual investigation about present condition of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after introduction of revised education courses..

The epochal background of Western music was examined, and also, the flow of music, starting from ancient music to medieval music, renaissance music,

For serving this purpose good and diverse pieces of music are needed and music for appreciation included in the textbooks, important resources for

Especially, this study aims that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classical music and examine whether the eight kinds of present high school

The method was analyzed in terms of appearance, music, and method of map, with six types of ultra-high quality text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f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