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문고散調의 49-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문고散調의 49-"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거 문고散調의 轉聲法에 關하여

曺 偉 敏

〈서옳대 옴대 강사〉

... (차 려 1) ... .

I. 古훌빼에 나타난 률톨홉휴 나. 술대 두번 사용하는 빼훌

11. 뼈를의 찌톨法 다. 二훌빼훌 가. 술대 한번 사용하는 빼훌

-

...

I.

古業짧에 나타난 빼훌홉鋼

거문고의 演奏技法中 轉聲法은 굴려내는 소리로 廣義의 弄鉉法에 包含된다.

現컬E의 轉聲이 란 技法名이 언제부터 쓰였는지는 알 수 없다. 이 技法名은 古樂讀의 手法 條에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琴合字讀(1) 以後 力按法에 의한 演奏法이 開發휩에 따라 질 제 演奏에 弄鉉法이 쓰였고, 따라서 轉聲도 이 時期부터 쓰였 ξ 리라 생각된다. 그러니까 지금의 轉聲과 前代의 轉聲技法은 그 名稱은 다르나 機能은 동일 하였으려라 믿어진다.

轉聲에 對해 힐初 꿇師 mt행士는 「轉聲의 音은 弄鉉(搖)하는 흡으로셔 그 륨이 -拍 이상 으로 길어지면 弄鉉(搖)하고, 一拍 이내에 드는 짧온 時價홀 가졌을 때는 빼聲의 機能흐로 바뀐다. 따라서 轉聲과 弄鉉(搖)의 자리는 밀접한 關係가 있고, 이 두 手法은 그 흡이 킬 고 짧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J 12) 라고 하였다.

그러니까 轉聲은 搖鉉의 最少 單位로 규칙적£로 反復하연 搖鉉이 되고, 一回만 搖하면 이는 轉聲으로 弄法에 該當한다는 뭇으로 생각된다.

傳來하는 古樂讀中에서 琴合字짧 • 梁琴新調 (3) 훌훌琴新講 (4) 新作훌調 (5) 遊훌志 (6) 琴뽑 切훌(7).三竹琴讀 (8) 等에서도 搖法과 弄法은 훌훌別하고 있다.

(1) 安챔 著 효祖죠年(隆흩王申) 一名 安빼琴謂

(2) 짧師動 : 빼國聊統훌훌의 lilf究 p.p.173-204. r빼훌法파 退훌法」

(3) 樂德뚫 著 光海二年 E률成(1 610 A. D) (4) 編者未詳 景宗四年(1724 A. D) (5) 編者 및 年代 未詳

(6) 徐有集 著 正祖

(2)

- 5 0 -

古樂讀에 나타난 搖法에는 비교적 仔細하게 細分한 遊藝志、의 多搖 (000) .小搖 (00).

數搖(隻) 外에도

琴合~j::짧의 ~,

:

ft';t; 投‘」↑而짧; {벚之옳:tt~也.

梁琴新짧의

l :

ftfJi t!!..

尊흥휴新응홉의 ~ : 搖鉉 싼~.

훌ijf추쫓흩땐91 용 : fttttlJ• j‘L 搖校之 ì:}; rx 떼不,.J 須뚫앓훔l 鉉 以ItiI1건찌갚之意‘

첼學切훌의 Z :

t.:x.

Jdti.

三竹琴짧의 ~ : 而뾰鉉l{IJ 標 뼈鉉按상 ifr1 j흩退不디홉 펴之홈;*x、t!!.

等이 있으나 琴合字讀 以下의 搖法은 遊훌志、의 多搖나 小搖와 大同小異하다고?보겠다.

弄法에는 몇가지의 類型이 記錄3로 傳하나, 現行 轉聲技法과 類似하다고 생각되는i 記錄 을 技짧하여 보면

琴合字讀의 • 者 重按再三 所謂弄iJ!,.

玄琴東文類記 (9) 의 負珠者 重鎭取聲iJ!,.

韓琴新讀의

*

此聲之中重 而始終皆輕也 를-弄也.

新作琴힘홉의 • 짧iJ!, {~:ïi; 울이 치 단 말이 다.

游훌훌志의 ~ 弄之半字 울이 치 다.

琴學切훌의 者 急重按.

三竹琴調의 ν 衝鉉... (中略)... 皆所謂弄鉉.

等을 을 수 있다.

上記한 記錄中 琴合字讀의 • 表는 重按하는 것£후 이 를 弄이 라 하였고, 玄琴東文類記에

서는 • 表를 重鎭, 琴훌切훨에서 는 • 表를 急重按, 三竹琴뽑에 서 는 ~表를 衝鉉이 라 하었

£며, 新作琴讀에서는 ·表를 울이치는 것이라 하고, 이를 짧이라 하였다.

또한 遊藝志에서는 f 表를 울이치는 것이라 하고, 이를 弄의 半字라 하였다.

此等 技法名은 그 名稱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실제로는 同一한 技法으로 지금 의 轉聲(총)과 같은 技法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點에 對해 줄初 張師鄭博土는 「新作琴讀의 • 表는 職(股)이 라 說明하고 倚효 “울이 치 는 말이다”라고 했고, 遊훌훌志에서는 -t表는 弄의 半字로서 “울이치다’로 說明되고 있는 點 으로 보아 重按, 重按再三, 弄은 모두 비슷한 手法이라고 할 것 같다」라고 하였고,

「琴合字讀와 新作琴調의 ·表는 遊藝志의 弄(울이치다)과 共通된 點이 있어 現在의 轉聲,

(7) 編者未詳.高宗 (8) 編者未詳 홈宗

(9) 李得Jil. 著 1ttl훌 十二年 (1620 A. D)

(3)

.Il

P

굴리 는 즙과 같은 手法이 라 하겠다J (10) 라고 하였다.

그런데 遊藝志에서 搖法에 該當하는 多搖 (000)

.

小搖 (00)

.

數搖(寶)中, 數搖는 搖 法ξL로 보지 않고 弄(울이치다)과 함께 弄法으로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생각된다.

玄琴東文類記 搖鉉法條의 「…(前略)…且不可太運(或太援) 亦不可太探(或太急)... (中略)...

則政似媒짧之顧顧然」이 라는 記훌훌과,

新作琴讀의 「凡搖鉉之法 數則不可 須繹緣搖結 以取閔뼈之意」라는 記緣이 傳하듯, 우리 音樂은 所定 륨을 搖할 때 빨리 搖하면 이 롤 願聲(洛稱 발발聲)이 라 하여 禁해 왔다. 따라 서 數搖는 빨리 搖하라는 뭇이 아닌 것으로 생 각된다.

遊藝志에 傳하는 數搖(훌)와 弄(~)의 記讀를 보면,

步虛調 初章 第 3 刻의 갖당짧훌。。。

初章 第

6

刻의 〕딩결덩 因훌。。。과,

歌曲 界面 轉大葉 第

3

章의 갖다짧 000 大餘홉의 것당젊 ~OO。

의 쓰임에는 類似點이 엿 보인다.

~初 張師動博土는 「轉聲의 演奏法에 는 솔대 (앓)를 한번 使用하는 法과 숭대 를 두번 使 用하는 方法이 있다. 이 중에서 솔대흘 두번 使用하는 手法은 한가지 밖에 없지마는 울대 를 한번 사용하는 手法은 엄격히 區分해서 두가지 法이 있다J (1!)라고 하였다.

이 手法은 散調의 境遇도 마찬가지 이 다.

위 에 서 말한 두가지 演奏法中 後者의 두가지 法이 란,

그 첫째는 뽑균추뿔품 과 같이 撥鉉 .IlP時 轉聲하는 方法。l 고,

둘째 는 캄--r==-r-w

;

과 같이 擁鉉 後에 그 餘룹으로 轉聲하는 方法。1 다.

이 두가지의 轉聲 方法中 첫째 方法은 빠르게 굴려주게 되고, 둘째 方法은 그보다 약간 느리게 굴려 주게 된다.

遊藝志의 數搖(훌)는 前記한 두가지의 方法中, 첫째 方法에 歡當되는 것이고, 弄(~)은

둘째 方法에 該當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10) 註 2 훌照

(11) 註 2 용照

(4)

- 5 2 -

11.

없뼈의 빼훌훌法

훌훌曉의 演奏法은 거문고의 覆遇 正樂과 散調曲 모두에 쓰이고 있다.

이 技法이 正樂과 民倚樂 兩者中 어 느 쪽에 서 먼저 쓰였는지 는 알 수 없으나 搖鉉法과 더 불어 重要하게 쓰이 는 技法이 다.

正樂의 轉’싼法은 코初 張師WJI했士에 의 해 그의 力著인 「韓國傳統륨樂의 맑究」에 서 仔細 히 論B.되었키에, 여키서는 散調의 轉聲만을 調흉하여 보기로 한다.

散調의 境j뭘 各長短型에 어떠한 類型의 轉령똥이 分布되어 있는지흘 파악하71 위하여 白樂 俊 (]2) ril 싸휠(1 3) 韓甲得 114) 金允德、 115) 가락플 中心으로 調훌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2) 거운고散調의 原型으로 本橋에서 參考한 가락은 日本 Victor Record會社에서 ßB和 10年에 吹入 한 것임.

양조 • 49055A"-'49055B 15長短 12拍. 중모리 • 49056A Cl1 20)~49056B (1121) 67흉短.

엇모리 • 49057 A 36長短. 잔모리 • 49057 A "-'49057 B 119훌短- (13) 新世紀 L. P Record 申快童거운고散調中.

양조 . SLM 10606 중모려 • SLM 10606 중중모리 • SLM 10606 엇 모려 • SLM 10606

자진모리 . SLM 10606

新世紀 L. P Record 申快童거 문고散調中.

진양조 • 민 1231 중요리 ·만 1231 중중모리 • 민 1231 엇모리 ·민 1231 자진모리 • 민 1231

오아시 L. P Record OL 1780 申맛童거 문고散調中.

진양조 .OL 8157 중오리 .OL 8158 중중요리 .OL 8159 엇모리 .OL 8160 자진모리 • OL 8161

진양조 .27長短 중모리 76 長短 중중모리 .42長短 엇모리 .48長短 자진모리 .255長短 (14) KBS 音樂部와 서울大學校 音樂大學 資料室에 備置되어 있는 散調와 韓甲得流 거운고散調의 f훌

修者인 李在和카 採調한 散調힘옆 參照、.

진양조 .51 長短 중모리 .90長短 엇모리 37長短 중중오리 42長短 자진모리 .472長短 (15) King Star L. P Record 金允德거 문고散調中.

진양조 • KSL 20021 중모리 • KSL 20021 휘모리 • KSL 20021 중중오리 • KSL 20021

차진모리 • KSL 20021

이 音盤에 收錄펀 散調의 長短型中 휘모리와 중중오리는 現行 자진모리와 같고, 자진모리는 現 行 중오리 와 같다. (King Star Record社의 誤記임 )

양조 .21 長短 18拍 중모리 .61 흉短 잔모리 226長短

(5)

좋g훌훌AI..~J-" 김!..상 #합

’ 짧gιiI-!Ì,-

白樂俊制 진양조(1)

;;;.;JJ.. 셔*휴

z 睡慧쫓풍프三三드표 3 -’ ‘ -ι

, 뽑훌찾컬냥낱판드즘든듣좋 “-ι

4 輯靈촬끊듣珪

4

f-~

k 蠻람£합판홉 f- ~

‘醫슨慧t딱

풀~ ~까 1 샤 r,,... 샤, d-;( 씌)

~ -1 ( 셰) , IJ

-,

, 1 ι -I

申快童流 진양조(1)

X싼 *

/똘뀔도꿇홉主

4- - • -t <4--.

14 l

* ---「

zç;

‘ .- _ I d

r:J ’-ζ·

ot ~ _.

xr i

3 I!、 FC1

풍#二#+-二--...l 찌 -

*

b: ...

!

,

날날 rt t. - •

i ?

-

4 ?

?

‘ ---

- -,

’ J 샤 ,

I

w

ι

*

익*

I 壘 μ 蠻톰강

þ,}:/lκ 껴ξ 휴

L까,.;,

I 1;,1/1, J

“-'f

,

1• , ;,... ..

f

쳐*

L‘-아 , 서-,

꺼‘

f

E좋

써‘ 깨‘

(6)

- 5 4 -

韓cf1得 ìrfE 진양조(1)

/ 蠻;擊듬듬는는듀느τL 樞 , ι ι

;

ι-아 ‘

T

z 靜藝듀흔추¥,-

I

ι 」

?활혹좋효홉뜯합 r ’

4

魔웰쫓폭흔숙딛츠표

?

훤jJl:. 꺼ε 휴

Pt f

I

흉받후판좋즙뜯틀슨표시

4꽤 L느꽉브표드소릎틀듣듣캘륙좋/샤싸“ aιμ-1> ,t-ι-ι

I.-f

ιt

- •

-t

7醫뜯=프프클~7ι

p~ t

8 1;;二표=亡~그--->-二二깎

훌푼르는二」←=f:=二----二::::lt ,? -""'째 H- :l- .~a-) 써 1 져, 져1

?購鎭筆f탁꿇¥%

10歡폼끄듬듬늘三륙

J! - !

I1

뚫靈藝뚫뜰뜯듣표 "r /

?-

용했 '4~ ~

製鍾購츠꿇션 } 웠ht 껴~~

’ 魔품좋조쿄느?慧 얘

P

/μ옳좋품료륜뜯츠프캘자”’ 彩홍짜 "-lt~

(7)

옳允깅훌流 진양조(1)

H'까 ""~

-J

“-“

, >,-~

白樂俊制 충모리(1)

J *

-J

u I --

(8)

5 6 -

~)Ät 셔ξ 싹

i . η

” ”

v *

f I 申決童流 중모리(1)

: --l!-

土」←←----二::::i!:

,

6.

듣듣좋 >7

7 ” ,

I *

* ι

l

16 "'~,..

뽑똘£-당

g1. 1\.

t

? ~ t주二j

u 껴, 너 -. Jt oj-

를듣홈,

얄 -써 *륨 -ξ

韓甲得流 중모리( 1 )

f;, Þ -r t 씌응 각

듣를품,μ

(9)

.L

Lf-스i""=""iF +二二二R

「f-; ; :t

,. •

y . 흙þ/{( 끽ε 각

옳允德流 충모리(1)

l

홈릎

E三르프뜨프든¥,

쳐,

후-,'XÍ- 'i~ 츄

---흩

i

E드용 *

t ".

I8

!-“

3

좋강·시i-1」

4 蠻쫓三

를를품까,

* 삼 활一

申快童流 중충모리 (1)

R 輯

i ,

7

n * u

* i

L 다합 샘 훌윷

1 ~. ,Il세).:ri".

韓甲得流 충중모려 (J)

호륨함 μ

# 껴‘셰)

를좋

&

(10)

5 8 -

훨,þlt.. -;f~ ~

r i

v

I

그→t

4

白樂優制 엇모리(1)

.,.

~

/ 훌그=그그

:추-w-’‘-t-,

-t‘

~,.

....

i

t

g μ

A ι

서 t 책 료섭* Ft

l

훌를

ι 흉홀

申快童流 엇모리(1)

#카· 싸 ,:;.씌)

웰甲得流 엇모리(1)

1e.

r--=추「

I IF

1* .. 찌

j18 、

*

z.

I!、 _ f

'--•;;;;j.--‘

찌, 흩 앙 白樂俊1tlH자진모리 (1)

i

*

----t---t--- •

*

h 아 ~r. μ (1. (-0. ,

. -t

1"

/ 홈좋

를륙 μi 三든든훌샤·

*됩 -써

&홈쫓

3 흉좋

(11)

/홈좋 ts

Jr5

z 휩二+←+τ====-::--it

’‘?

를듣캘카

1

‘ ” 얘 μ “ ‘, . ,1-,.

I/;II

申快童流 차진모리 (1)

듣륨 , ?I a 靜츠

빼甲得流 자진모리 (1)

=i ~/.

‘’ .

~/. 71 •

’‘

?ï . '11 ι ,'.J. 1#"1.,.1 .

.=tt-111} •

’‘

1 •

“./ .

“.~

. ‘

.f-.

F • t

3‘-·양

옳→ 쉰

훌 훌

d

, ,

, r

/

t

J

j J i 7 ι ι r

t#*--

>1/

t

F

를를캘 I.f

듣듣훔/ιD. 1샤

111. :2.#J . ..J.

“‘;>. ... “

·걱륨「 샘 뚫~ 씩

--흩

훌" .. ‘’켜) . ,. {쐐?

=흑-킥--r

앙 째,

g

k

’ ’

(12)

- 6 0 -

t 훌훌쫓 ι蘇쫓뀔

,‘ t ι"

.fo

κ ‘’ ‘

f

‘ ...

金允德流 차진모리 (I)

以上은 술대 한번 使用하는 轉聲 2가지 중에서 前者에 해당하는 것만을 記한-것임.

i료樂俊制 진양조(

n )

좋 t- ι

1좌Þ,1Î,. ~~.,.

.

’ ’

• ,

,

-

• *

n

t

트휠

*

v

-t t--.

J1r •

jι lIa:==:흐효

。.., 1.

-.0

M X

K 후 f ι ?

, ,

ι

ι

--

ι

l

4 흉캘

1.;

£볼

-

? -/

---i

i *훌IJ;'" ì.~.

a

/ π

ι ι

A

.. )J" 't/!é각.

껴농 확.rk. ff.~.

j ?

4

/

--’

u

” --

ir t

* 용÷τ:þ카」 캉 ~

t ~-. -t

i8.

--"=

~_I ~

J

fI;R:괴.느_..r I

r I

J-o ~-. 흩

Ig

!

7trs κ I

f

~

.씨톨 J - .,.

(13)

캘/→

申快童流 진양조(1)

/흉갖든줍흉圭­

뚱그rττ「동

l - - - - "

; •::J!. ~ -1 . .>.) - ~

$.s

3

했슨드 τ=-=-=l~二---펴 ’‘

-1 •

,~

4

뿜줬펀료=二f ιμ ,

þ -1

좌쐐〉 훤械 켜ε *

lJA.

*

f

홉훨二걷는圭표三든든三드극껴 -ι

tl: /-L"-~

훌훌甲得流 진양조 0)

쁨←호­

F--→드#

rJ ~ _ • 를’

후혹칭* 쩨ξ 휴

4 l

- -i 7 4

g----=

A

-

I

t

*

A

-1

+ +

? J

얘 X¥ 없 ¥

g

“/-/ . “’ -, .“

f-I

폴륨

후~)Á'~ 껴ζ 쯤

:F二=三드극 .1 -

I

(14)

- 6 2 -

三끊 1- ’ -

金允德流 진양조(

n )

l 뿔t

‘춤

4J

t.

- .... - ,.. τ二二二二二二二τr τ=

z 삶仁仁上~냐τ닌드드슨드흉

1-1 •

, .-ι

'1-

, .

'/-“ -

dfj f;._. -t

*‘ 14 ~<.~

'1

l.

3

뚫뚱F도피팍드三든측듣좋 ‘

-3

에,,~ f;. -

'1

껴ξ 껴 A ~,i.

좋 ?4 -ι ~-l

. ;w-tf. ".1-./

1Þ.-:- t

4 흉#콰::t:"+=二추

d

껴ξ ~xt f흩’j윷 켜ε 츄 -

三드드드¥ 1-ι

」l.f +~ J;

5

ï) ('f'-~

‘-•--..1 -’" 1.

白樂i짧制 중모리 (ll)

.

/

f -2

j

.

q A

.

a

s

x

ι

ι 醫 -않

껴% X@+

E힘 f:1~童流 중.5è리 (H)

pt

f

I ,;、 1-+---1

밤←→r그휴t:=:- H ~

4' _.

ll.t

ι 雙떻갚드드뜬표

I . tI . f,..

c".씨? ’

1 .

.,’‘껴〉

짜ζ

:3

~도---_.~ --

(15)

웰甲得流 중모리(JI)

뿐승-- t i - L

z 觀갚i→같끓=二---~~

7"

석능 펙 :1" 1-i Þ .

ff 5 흉좋좋쫓두윤

金允德流 중모리 0)

를르좋혹

껴ε 혹;t~혹~.

I f

# ι

듣품

i1

---훌 圭크

醫찌 ‘~

짜- ‘F----=T콕

. 찌, 셰,. -.

-t

양 도뽑

·d

」f→ 十→→→=←----피

I t、

.

“ ~二드 ←괴 J. 얘 용

z

申快童流 중중요리 0)

E든즈드--,t

-7 .

白樂俊制 엇오리 (H)

I8.. t ..

I

(þ:jC

þ>二

‘ 찌1,.. l-. 껴i

(16)

- 6 4 -

白樂俊制 자진오~ (JI)

llf >t

I t--4--스~→

g~← 十--→←----t‘

찌〉 지 .. - . ~

If. 갱흩 톨 Jt~} .

申快童流 자진모려 0)

gr ...

I "、

...

Þ

, __

~.’

~ ’

듣듣듣캘 .,. ~J.Jt "-/!< 휴

i ; t

z

6:、 、. l ; :J

d .i.

gt

*

3

6:, F

-r

」 셔 ..

프뜬캘 ?~

.

껴ξ 혹%t~장'.:tl 껴~~

듣륙 ,.

' i .

,μ t얘

韓甲得流£차진모려 (

n )

/贊贊픈fE는효싹

ns - --§ -. •

• • • .

z

t-←十-+-+-← ι 용~---十→←「느 ______

•••

~::_-::i i

.:>4 .

•--- - - - •

J 껴,

.,

1,. -.찌,쩌 y

金允德流!자진 모리

0)

jIf _ _ 、*

/홈그二r

껴ι ι

1

” ”

以-h은:술대 한번 使用하는 轉聲 2가지 중에서 後者에 해당하는 것만을 記한 것엄.

품 f.t,흩뼈 ," 싫촬껴

16

(17)

공대 2 맨에 끽는옥이 따르는 境 j씬 와}

,

t. -.t

聽촬r蓋츠三릎즘좋 *짜 흩g헤

’?

환」용←」흥←←-주=

양τ르;t----j,날느二士 /톨 져- 생 껴 γ 술대 딴밴에 2 필 빼풀을 할 慶 l면

듣듣훔 a쇼용g헤 ‘

t

딸----,추

-L,----~---

11

벨=→드끊上← 잉 *짜 찌~ J.ι

용¥

難F뿔季二二돼 fv!'써앙,-/

* -.

~

술대 두번에 2重 뼈聲을 할 境遇

1S 훌· :’.'

i

“ -

J 깨4갤11

;:11:> -

’‘ f ξ I f 웅.1써

?

거문고의 轉聲法에는 술대을 한 벤 {更用하는 jj法과, 술대을 두 번 使用하는 2가지의 치·

法이 있다.

이 中에서 술대를 한 번 使用하는 方法에는 다시 2가지후 分類된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言及한 바 있다.

솔대홀 한 번 使用하는 2가지 方法中, 첫째 方法을 (1)로, 둘째 方法을

(

n) 로 表示하

였다.

가. 술대 한 번 使用하는 빼훌 1) (1) 의 境遇

거문고散調의 原型인 白樂俊가락의 진양조 15長短 12흉l 中에서 13회.

申流의 진양조 27長短 마l에서 23회.

韓流의 진 양조 51 長短 中에 서 29회 .

金流의 진 양초 21 長短

HH !'l

中에 서 10회 가 各各 出現하며

,

|크樂俊가락의 중모 ;:;1 67長短 中에 서 12회

(18)

- 6 6 -

申流의 중모리 76長短 中에 서 15 회 . 韓流의 중모리 90 長短 rf1 에 서 3

iJl.

金流의 중모리 61 長短 'f' 에샤 5회.

I힘流의 중중모리 12 長短 Ifl :J회.

韓流의 중중모리 42長短 If

7헤.

白樂俊가락의 엇모리 36 長短 fj 1 1 회.

대l 流의 잇모리 48長短 111 4 회.

韓流의 엇 모리 37長短 마1 5 회 .

白樂俊가략의 자진모리 119長短 rf-1 8~1.

申流의 자진모리 255長短 냐J 12 회 . 韓流의 자진모리 472 長短 rþ :~2 회.

金流의 자진모리 226長短 이 1 10회 가 'õ-各 出現한다.

白樂俊가락은 (1)의 境週, 진양소에서 자진모리까지 總 34회가 되며, 머}流는 57회, 韓 流는 76 회, 金流는 25 회가 된다.

2) (n) 의 境遇

白樂俊가락(原型)의 진양조 15 長염 12:11'1 I ’ l 에서 9회.

申流의 진양조 27흉短 Ip 에서 10회.

韓流의 진양초 51 長短 中에서 8회.

金流의 진양조 21 長短 18때 中에서 11회가 各各 出現하며,

白樂俊가락의 중모리 67長短 中에서 6회.

申流의 중모리 76長短 中에 서 10회 . 韓流의 중모리 90長短 中에 서 4회 • 金流의 중모리 61長短 中에 서 3회 .

申流의 중중모리 42長短 中에서 3회.

白樂俊가락 엇모리 36長短 中에서 1 회.

白樂俊가락의 자진모리 119長短 中에서 l 회.

(19)

F섭流의 자진오리 255長短 中에셔 6 회.

韓流의 자진 모리 472長短 中에 서 2회 •

金流의 자잔모리 226長短 中에 서 l 회 가 各各 出現한다.

이의 合計를 보면, 白樂俊가락은 (n) 의 境遇, 진양조에서 자진모리까지 總 17회가 되 며, 申流는 29회, 韓流는 14회, 金流는 15가 된다.

(1)괴 ( n) 의 出現 며훌를 圖表로 表示하연 表 l 과 같다.

훌 1

흉 短 型 | 流 딩 全뻐長短훌 (1)의 方法 I (I)의 方法

9

10 fI 8 fI

11 fI

중 중 오 리 | l j2 j; | - 정 숫

3;7「「

•-

F

童得德樂快웰 金

21 長短 18拍 15흉短 12拍 27흉 短 51 長

13

23 fI

29 fI 10 fI

{ x

자 진 모 리

4 . fI 37 fI

119 fI 8 fI

255 !I 12 fI

472 fI 32 "

226 " 10 fI

빼 A뾰

” ”

” ”

1i cU q4 1i

”“

r

”“

9 mm

%

n

(1)의 轉聲 方法과 (n) 의 方法中에 서 彈拍과 弱拍에 出現하는 境遇를 調흉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以上으로 調흉하여 본바에 의하연 숭대 한 번 使用하는 *훌聲 方法 2가지 中에셔 (n) 의 方法보다는 (1)의 方法이 使用 回數가 많옴을 알 수 있다.

또한 一般的으로 轉聲技法은 彈拍보다는 弱拍에서 더 많이 使用되고 있는 點올 엿볼 수 있다.

3) 훌훌聲後에 객 는목이 따르는 境遇

(20)

- 6 8 -

훌 2

흉 短 型 l 流 치IJ

JC

I)의 方法j 彈 m I 'l킹

fl }( R

)의 方法I 1!현 iú I 써 때 1 뻗 쫓

白樂俊 制 13 6 7 [ U 5 , 4

진 양 조

|

申快童 流

j 23 j 7 j

m

1 lo J j

‘。

韓甲得 流 29! 4 : 25 8 i 2 i 6

옳允德 流 10 I 3 I 7 : 11! 1! 10

I긴 12 12 6

[-j31

j

3l L[각웰

충중모리( 뚫 I ~ I I ~ I

3

I

3

I

j

3 |

j

5

1

8 8

1

j

f2

j

-←」 쫓 용| ←L→쪽 -

술대 한 벤 使用하는 轉魔技法아 1 CI) 의 方法에서는 樂諸에 {7fJ示하였듯이 白樂俊가락 진 양조에 3회, 申流의 진양조에 2회, 韓流의 진양조에 4회가 出現하며, 중모리의 境遇 申流 에 5 회, 韓流에 1 회, 金流에 3 회가 各各 出現한다.

그리고 白樂俊가략 엇모리에 l 회 出現하는것 外에는 他 長短型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n) 의 方法에서는 白樂짧가락 진양조에 4회, FfI流의 진양조에 4 회, 韓流의 진양조에 4회, 그리고 申流의 자진모리에 1 회가 보일 뿐이다.

4) 껴 는목後에 轉聲이 따르는 境遇

이 技法은 (1)의 方法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n) 의 方法中에서 白樂俊가락 진양초에 2회, 金流의 진양조에 1 회, 韓流의 중모리와 옳流의 중모리에 各各 1 회, 그리고 白樂俊가

락 자진모리에 l 회가 보일 뿐이다.

例外로 껴는옥後 轉聲後 껴는목이 따르는 境遇가 있는데, 이는 金流외 진양조에 l 회,$

流의 자진모리에 1 회가 있을 뿐이다.

(21)

- ‘

나. 술대 두 번 使用하는 빼훌

0] 轉쐐技찮;은 힌→ 1 선 轉,팍에 ??대 플 두 벤 얹f 用하는 jj 法윤 뜻하며 쉰流의 진 양촉에 l

꾀, IH 流와 金流으1 -i→모t:!]이]i'r (f 1 회썩 나온디.

1) 솔대 두 벤에 껴는목이 따르는 境週

이 jú.t 은 비j 者와 감으나 if.~1때後에 껴는옥이 따르는 境週플 뭇한다.

띄樂俊가략 중모리와 f11 流의 중모리에 各各 1 회씩 나온다.

다. 2훌.뼈훌

이 技法에는 숭대 한 벤 {횟)검하는 方法과 숭대 두 벤 便用하는 2種의 方法이 있다.

폐íJ者는 앞에 서 단 TX 한 숭대 한 번 使用하는 轉않法-中 (1)의 가法과 (

n

)의 方法이 횡複 된 境遇플 뜻하며, 後者는 숭대 두 번 使用하는 方法과, 란대 한 1낀 使用하는 方法中 (n) 의 jj法이 E활짧된 흉중遇-블 뜻한다.

前者의 境遇 Fþ流의 진양조에 2회 出現하며, 後者의 境遇 l'f1流의 중중모리에 1 회 出現할 뿐이다.

참조

관련 문서

Patronogic, “Promotion, Dissemination and Teaching of International Refugee Law,” Philippine Law J.. 예컨대, 미국에서도 political refugee, political

그 口音法을 초사함에 있어 古樂諸의 遊鉉과 大鉉의 打鉉, 擊結, 自出의 口홉法을 여러 가지 陳法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릎 보고 이를 現行口홉法과 비교하여 그

툴文題部 以外의 各題部의 推定 홉은 다음과 같다... 下에 서도 규법적으로

〈大後〉와 〈梁新〉의 慢大葉은 위의 비교악보에서 보듯 가락이 거의 같다.. 〈琴合〉과 폐j 닮 두 악보의 f월大葉으1 차이는 餘숍部分에서 두드러지게

위한 헌법개정작업에 착수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의 특별위원회로서 헌법심의

즉 다음 악보에서와 같이 林-件 진행시에 弄은 천천히 풀에내리는 되성응 사용하거나, 1 박내에서 退聲을 사용하지만, 樂은 천천히 풀어내려는 退聲法올 쓰거나 l 번

이러한 륨借法에 의한 未즙徐記 아닌 것£로 힘II 借法에 의한 것이 있다... 그리고羅麗更讀에 「釋緣 物物

The construction of Electric motor propulsion system are presumed arrangement of boat and compared The engine fuel of cost with battery charge of cost .Th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