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한 冊究 -慢大葉과 中大葉의 關係- 朝蘇朝初期의 歌曲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한 冊究 -慢大葉과 中大葉의 關係- 朝蘇朝初期의 歌曲에 "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대한 冊究 -慢大葉과 中大葉의 關係- 朝蘇朝初期의 歌曲에

萬 榮

〈서울大 副敎授〉

’ ... ((차 려1))

1. 序 4. 톰大훌파 中大훌파의 빠係

2. 相似훌-古훌훌I 比¢톨 위한 하나 5. 用빼法 ;

의 方法짧 6. 結

3. 앤1*훌의 消톨 :

F¥

1.

慢大葉의 最古樂讀는 琴合字讀 歌曲 얼명 노래는 그 初期에 있어 慢大葉이 라 불리 었다.

나중이긴 (1 572) 을 들 수 있는데 여기에 zf'調慢大葉이 실려 있다. 그러나 비록 펀찬年代가

것으로 알려 진 大樂後讀에 도 zf'調懷大葉이 하나 (1759) 世祖때 (l 455~1468) 의 음악을 기 록한

나타난다.

이르러시 그후 梁琴新讀(1 610) 에 는 慢大葉과 함께 中大葉이 전하고 玄琴東文類記(1 620) 에

이 렇 게 擾• 中• 數이 다 전하는 시 기는 韓琴新讀 는 慢• 中 이외에 數大葉까지 출현한다.

(1724) 까지 계 속한다.

。。= -。。。。。。。

-

-)

) {

m

A

m

η

m

A )

)

mm

ω

) )

i

琴琴-樂琴補雲琴묘 作훌 魔一後字新東新新永琴志

W 빠 뾰빼 爛 짧얘 -m빼 짧얘 했짧 劉 하 歡 떠

없 없 뻐 낌 꼈 낌 ?아 η 訊 여띠 원

琴梁玄增大玄韓호R 。。。。。。。。

(2)

2

歐羅홈&絲琴字讀(純祖 1800"-'1834)

愚훌f琴讀(高宗初) O

三竹琴讀(高宗(1 863"-'1907) 初)

歌曲$힌i'ift (1876) O

琴學切훌(高宗末)

玄琴五홉械꿇(1 886)

學며잉琴-讀 (1915? ) O

無~新훌雜歌集 (915) O

中大棄은 歐羅鐵絲琴字讀(純祖때)나 玄琴五흡統論(1 886) 에서와 같이 19세기 중엽에 이미 잘 불리지 않았던 것 같으나 20세기 초의 學團琴讀나 無雙新舊雜歌에 다시 보이고 있다.

이로 마루어 中大葉은 대개 19세기말 20세기 초에 흐지부지 없어지고, 數大葉만이 남아서 현재와 갇은 體制의 歌 t뾰이 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동안 數大棄에 관한 짧究는 상당히 활발하여 많은 童의 없究說文이 많았다. 그러 나 慢 大葉과 녀1 大葉에 관해 서 는 매 우 零星하며 , 慢大葉의 j암휠i에 관한 宋芳松敎授의 「慢大葉 考」 (1) , 中大葉의 調性을 밝힌 李惠求博土의 「梁琴新讀의 四調J121, 慢中數大葉의 흡樂形式 을 다룬 黃浚淵의 「歌曲의 形式」 |3) , 中大葉과 北願의 關係 및 用鋼法을 다푼 뾰鎬 「歌曲의 中大葉J141, 中大葉의 거운고 口흡 變選에 관한 成心溫의 「거운고 口흡의 변천에 관한 맑 究」 (5) , 羅賢淑의 「增補古琴調의 中大葉과 數大葉의 關係j<61 청도플 헤일 수 있다.

歌曲의 원형 은 慢大葉 다1 大葉 數大葉이 라 하여 171 慢 中 數이 歷史的으로 繼起되 어 온 것 으로 이해되고 있다. 羅賢淑은 增古의 數大葉 껴調 第一曲이 同 中大葉 겼調 第二曲에서 가락을 따온 것이라고 前獨짧文에서 밝혔다. 그렇다면 慢大葉과 中大葉은 어떤 關係가 있 을까?

大樂後讀와 梁琴新讀의 慢大葉은 第四網에 서 시 작한다. 그러 나 琴合字讀의 그것은 第二 鋼에 서 시 작한다. 한연 中大葉은 梁琴新讀에 서 第三鋼부터 시 작한다. 數大葉은 增補古琴調 에 서 一行 四鋼中 第二鋼부터 시 작하나, 그 四網을 六大鋼으로 나누어 볼 때 第三鋼에 해 당한다 181 그 나머 지 古樂讀들은 대 개 가 合字讀와 肉讀로 되 어 있고 井間을 사용하치 않아 用鋼法 짧究에 도움이 되 지 못한다. 다만 現行 井間으로 된 歌曲讀는 數大葉이 모두 第一

(I) 宋芳松: r慢大葉考」 音大學報 創꺼j 號(서 울대 학교 음악대 학 1963).

(2) 李惠求 : r樂琴新讀의 四調」 韓國音樂돼究(서울 : 國民音樂맑究會 1957) . (3) 賣俊淵 : r歌曲의 形式」 韓國音樂돼究 第 10輯(韓國國樂學會 1980).

(4) 韓萬榮: r歌曲의 中大棄 J(上同)

(5) 成心溫 : r거문고 口音의 변천어l 관한 짧究 J(서울大學校 大學院 碩土學位論文 1977).

(6) 羅賢淑: r增補古琴짧의 中大葉과 數大葉의 關係J( 서울大學按 大學院 碩土學位論文 1979).

(7) 張師없 • 韓萬榮: 國樂擔論(서 울 : 韓國國樂學짧 1975) p. 118.

(8) 羅賢淑: 上根홉 p.9.

(3)

- 3 -

鋼부터 시 작한다. 慢大葉은 第四 또는 二鋼부터 시 작하고*大葉은 第극鋼에 서., 그리 고 數大葉은 第三 또는 一鋼에서 시작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本꿇文은 慢大葉과 中大葉의 관계는 梁琴新調룰 中心으로, 用鋼法에 대해셔는 大樂後讀,

琴合字讀, 時用鄭樂調, 梁琴新調 등을 中心으로 解護 比較 分析하여 밝혀 보려는 것이 목 적이다.

2.

相似훌-古業혐比軟홉 위한 하나의 方法論

’韓國音樂學에 의어 古樂調 解讀은 매우 중요한 돼究分野에 속한다. 古樂讀解讀은 숍高를 결정짓는 데에는 그 樂짧만으로도 대개의 경우 可能하다. 그러나 그 音樂의 時價問題 및 다른 음악과의 關係플 규명하는 데에는 반듯이 比較方法이 사용된다. 즉 A 라는 즙樂이 B

라는 음악에서 파생된 것 같다는 假定이 있을 때, A 와 B 의 악보를 5선보로 譯調하여 ll]

교하는 方法이 주로 사용되여 왔다. 이때 A 와 B 가 古樂讀이면 現行音樂과도 比較시쳐서 歷史的 服絡을 살펴 보는 方法이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主要 方法이었다. 이렇게 5선보를 통한 比較方法은 李惠求博土의 「梁琴新讀의 四調J(1943) 나 張師敗博土의 「步虛子論政」

(1945) 에 서 이 미 사용되 었고, 그후 古樂讀 解讀을 필요로 하는 모든 짧究에 사용되 어 왔다.

그러나 rA 가 B 에서 나왔다」는 命題를 客觀化시키는 데에는 5션보로 比較하는 方法만으 로는 무엇인가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 예를 들연 A 의 原形이 B 같기도 하고 C 같기도 하 여 결청을 내리기 어려울 때에는 보는 사람의 主觀的 見解를 客觀化시키기가 힘들다. 또 오래 된 古樂讀일수록 出現숍數가 流略해서 그것을 現行 樂讀에 마추어 比較할 때에는 無 理로 時價를 주기 때문에 긴 持續숍이 되어서 어색한 즙樂이 되는 경우가 많다.

A 가 B 에서 派生펀 음악이라 할때 과연 얼마나 닮은 것인가를 %의 數f直로서 나타낼 方 法은 없을가? 그 닮은率을 相似率이라 한다띤 이것을 計算해 낼 수 있는 方法은 우엇 일가?

가령 B 라는 음악에 사용된 出現흉數가 100 이고 A 라는 음악에 사용된 出現즙數가 70이 라 하자.A 플 B 와 비교해 보니 같은 즙이 60이 나왔고 다른 흡이 10 이 있었다:고 가정한 다면, A 가 B 와 닮은 率 즉 相似率은 60

:;0- x

100=85. 7% 가 펀다. 즉

相似率=- .,:. ;" 出現音數同音數-:,;.,;-x 100

이 된다. 그러나 반대로 B 기.A 와 닮은 率은 60% 에 지냐지 않는다. 즉 40%는 같지 않다 는 뜻이 된다. 이것은 B 의 出現즙數가 A 보다 많기 때문에 30좁은 자연적 異즙 즉 LQSS가

(4)

- 4 -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相似率은 出現즙數가 적은 즙樂올 基準삼지 않으면 않된다.

몇 가지 f꺼l갈 등어 보자.

李惠求 IW士의 「製 IU會相」은 大樂後짧 遊藝志 現行의 樂讀틀을 상호 비 교하여 그 形式과 變化過程을 歷史的으로 추척 한 論文이 어 니 와, (大後〉의 「靈山會相佛홈흩」의 사성 이 나오 는 部分, 즉 前半까치의 출현응수는 85 이고, 거기까지의 趣藝志의 출현음수는 157이다. 이 두 악보의 同륨은 73 이다. 따라서 相似率은 출현음수가 적은 〈大後〉플 기준으로 하여

73 ~~

x

100=85.8% 나 된 다.

85

同 「韓활新讀의 ~調數大葉」에셔 〈韓新〉 껴數二의 第二탑갚 171J로 들어 보자. 출현음수는 20이고, 現行 頭緊 츄현음수 30

’ t

1 同숍이 16 이다. 따라서 相似率은 80% 다. 그러나 第-답 는 훨씬 낮다.

하여 간 相似率 80% 이 상이 라면 i흡度의 近似f直를 가지 고 있 다고 말할 수 있 다.

萬一 어떤 사람이 A 곡이 B 와 C 中 어느 곡과 더 가까운가를 측정하려면 이 相似率로서 計算할 수 있을 것이다.

鉉樂靈山會相과 平調會相같이 4 度 차이 가 나는 우 曲을 비 교할 때 에 는 平調會相을 4度 높이 移調시키먼지 하여 같은 水準을 만들고 난 뒤에 相似率을 적용시키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

相似率은 同 륨數가 벚’ 흡이기에 몇 % 정도가 닮은 것이라는 사질은 밝혀 줄 수 있겠지 만 그 다른 즙을에 대한 說明 즉 왜 다른지, 어떻게 다른지 하는 문제는 글로서 설명되어 야 할 것이다. 따라서 5 선보의 比較樂讀가 첨가된다면 좁樂의 Style을 연구하는데 매우 有 助할 것이다.

3. 慢大葉의 消長

慢大葉에 관한 最퍼樂調는 琴合字讀(1 572) 로샤 여 기 에 zp:調慢大葉이 설 려 있 다. 그러 나 世祖혜의 ;음악을 기록한 大樂後調의 慢大葉zp:調플 더 오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慢大葉이 나오는 古樂讀를 筆者가 조사한 바 대로 연거해 보띤 다음과 같다.

大樂後讀-慢大葉 2f調

,琴合字讀-平調慢大葉 梁琴新讀}樂時調慢大葉

玄琴東文類記一2f調慢大葉(古調), 平調慢大葉(朴홈老) , 慢大葉平調(許빼宗), 慢大葉平調(尹함,

3.4 읍뿐. 냥어지 1, 2, 5 납 빛 像좁은 許의 그것과 同), 慢大棄(心方曲), 平調大葉(安짧), 樂時調慢大 葉 .ZJS調長大葉→→뺨(安햄)

(5)

- 5 -

ii補古琴讀-慢大葉樂時調 白雲R흉琴讀-慢大葉樂時調

玄琴新證假令-2f調慢大葉Cfit稱長大葉) 韓琴新讀-慢大葉平調 ((it稱 느즌한닙 )

國樂院所藏琴讀 慢大葉樂時調, 慢大葉(趙옳讀), 慢大葉古調(趙最짧옮出於此) 이하 〈國琴〉으로 통칭

위 의 9권의 古樂讀에 실 린 18曲의 慢大葉의 調는 모두가 大鉉五陳를 중심 음으로 하는 平 調다. 비록 명칭은 2jî調 또는 樂時調(洛水調)가 있으나, 그 出現즙은 다음의 흡들로서 일청 하다.

大五宮宮

」二

大六

졌(젊) 죠(숲)

F

끼3 k최- f쳐

慢大葉은 느즌한닙 (韓琴웠i‘짧)이 라고도 부르며 fá.稱 長大葉(玄琴新證假令)으로도 통한다. 中 大葉이 처 음 나타나는 梁琴新讀에 서 이 미 네 가지 종류가 나오며 , 그후 一 二 三으로 갈라지 면 서 많은 흉化를 거 쳐 오고, 數大葉은 다1大葉보다도 더 많은 變化를 겪 어 온데 비 하면, 慢 大葉이 2jî調 한가지로서 그 흡樂內容도 별로 변함없이 수백년플 傳承해 왔다는 것은 참으 로 이상한 임이라 아니활 수 없다.

慢大葉의 起源에 대 하여 梁德壽는 그의 琴-讀에 서 「時用大葉 慢中數 皆出於따훔三機曲中」

이라 하여 高麗洛樂인 鄭따亨曲에 그 연유를 대었다. 鄭파훔(本名은 鄭웠)曲이란 大樂後讀 卷五에 천하는 質션을 말하는데, 네곡이 천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慢大葉이 홉성과 어떤 옴악적 관계가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하여간 慢大葉은 朝蘇初 世祖때(1455"-' 1468) 부터 그 樂讀가 전하며, 그후 玄琴東文類記(1 620) 에서 最盛윤 누리다가 차차 쇠퇴하여 中大 葉과 數大葉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게 된다.

↑를大훌比tIt훌훌훌

1 -돕 2 3

r-、

外淸 宮 J:宮宮一下

梁짧f /、/、_x..._..l 五 ←」五左一/、 同←→

」一

흡五六五

琴合 /、~오/、 i좁

玄東古調 /、 i뿜 五五六五

古國琴調

-'--'-/、/、 五五六五

上同趙展讀 /、 i좁

폰五六五

(6)

6

4 5 6

-1'0 ι ←“---~~~.-‘

-下 t훔 t .1,옵ι- 上上 上上

文→ 皆淸

文二 1... 六五 九八 八六

=五

.~

I

~,ÌÎ 1L八

?Î(一 /\낮t

--1... /、 /、나

文二 -•L. .:ifti i i\ 갖;五: 九끼 i\ 것:

文 τ ' L 낯~ÌÎ Jt八

x=

‘一L / \ 」一五/、」、

-- ~--

7 8 9 -릅

웹딛|

- - - … “←←~~---→……‘

낀 01: J: 上 ‘쉰

l 앓홉

五내 五

해 l 五 L

L

八六 :표

L m

a/\六 ‘ ',Þ.

1j

五오

L.

끼 f; i좁

10 11 12

上 | 上 上上 宮 | 유上

,#

r i

1-

二一 外淸 j 며一 디 -

l 끼六 | 五六五五三

/\. /、 八六 i휩 五三

文文文文」、

끼애 끼 六이、 |

끼 八빅 끼 八일

」→

/、 ì\~→

에/、

13 14

----‘、 l

F下 ... 下下下下上 宮 | 까 上LI:

二二 W_二二-→外淸 '"

15 참 | π!’

外해 l ιl

五三二二三六 淸 六八六 i값 五리 五五 五七←L오나/、 /、

/、

五 上淸

六 淸 | 五 六끼六 淸 l 五 五

二 三 六 淸 l 五 끼六 淸 ! 휠

(7)

7

俠깨 mω--:

17 =톰

m- 宮輔

1:1:

七므

七爛

六八

L

LL

L

t l\

外宮f育

下下 宮f

外官빼

~ f홉 五六 ì1If

/、

~ t 五~

/、t훔 도/、

~

五 五 (五) 五六

/、 t홈 에!

~ 五 五六 ì1If

/、

~ 五~

/、n f홉 도/、

21

20 19

23 L ___

-'-

一宮 宮宮 力推 三五 六 六五五

22 下二文文

(

윈- 자

t

-

/上 ( 宮 t

六五六표 五二

{

/、

휠六五

~

/、

五六五

六三五

~

/、

五六γ ...

도마J.J. Å

27

곽 씨

五六

三五다六 六淸淸

~ /、

/、

새 五

25 26

宮τr官 下 F

나- 五二二五

그Z

二시

e

(8)

~ I !.

m정 -宮 輔

四듭

8

L |

|

I _

1

i

| | |

3

;

31 32 33

下下 下上 | 下下下 F | 下下下上 1

뜨 二一 三 I 二二宮 I 二르三一 外淸

j

方方 方~ 方 | 方方方方方方 方 1 方方方~- 、

四四 죠/、 | 六五五七六/치 .6.四띠/、 {I'J

方 」 方| 方方 | 젊

/、 / , / , .ll 1

方方4四四/、

方方~

四四/、

四六 P

F二方五 方六

l

方五方五方五

大五

L

上淸

4 /、

方五方五

放차 放쳐

方五方五

方六方六

方四方四

」→

/、

放때 放때

方六

러{ 잃

~

放 때

{ /、/、

放 차

方五

宮해

L

L

1μj1

U

宮뼈깨

}@m

上-六

뇨二 치

*pn

五五나

五 八六

1

1

五 끼호 l 五 l

L.-리 /、 {I'J 1

표톨 37

下下 下 下츄 1 下下下下下 下 j 下下 宮 J

二三 三 四 디 j 四二二三四 | 三四 外淸 )

方方 方 方= 方方方方方 j 方方 ;효 }

죠四 四 二.ll • - I 二五五四二 1 四二 m

L

L

/、

八六 (七) 六 五五

士淸

“시 4 C 淸上淸淸

六六

力推

七七 力推

七七 七七

‘八P~

(9)

9

42

外淸

41

下下

샤옵

-f

/、

t홉 五六

프|三 五六 淸!五 六

E프 | |

|

二 껑六 淸 |의 오

43 44 ~

" 1- ..--‘、 r--‘、

±宮 소 초宮 宮조조 1:宮핀宮宮! ! 1 11

力推

- 1 -

르五 六 六五 五三츠 1 六五六五五三 三 文 1 1

五 五

五六 상一 (五)

五 五 五

六五

五 五

/、

六五

「끄

4

六五

르五六六五

휠六五 중 文|二

宮혐 m%-{

47

l 宮

下四方

三五나六淸

下三方四下四方二

-下三方四方四쇼 얘-

L L

L

L

L

方方

二四 方 方方 二四 方 +方

1m 걷四

←→·셔

=----풋

五五표 五

- 六六六

-

下三方四方四方四方四←下二方五方四方四方四-

잉7---11J---~ -下二方五方五方五方五」-下一方六三方六方六方견

-下一方六方六方六方견 -宮方七宮五

-下二 方五 덩 方五 方五→ -(단--慧 ---放끄찌

方六

方六→

-五

%)

j||1

j

→(꾀---£ i

六六六六 (

}끽--方때 方四←

方四方四

하 캠 샤

-下三方四八方四方四方四앨「下三 方四五方四方四方四

훨매너方五 표

方五方五

方五←

L

(파『←

F

냐나} 六

.n

L

(10)

下二文下 -

下四方二下四方二、下三方四(下三채 方四/下二方五

三文

六(五) 三文 方四方四方四

三文

方二方二

三文

53

r、

下下

- 1 0 -

52

댐때

(

다 펴

r

t -

- 方方

四二 方方 六五 五四

六五

方四方四方四 方五方五方五

二六五

二六五 l

57 上上宮 | 下 --外濟 ! 五 56

j : 一外濟 55

(

--

n

(

}하

下下

六六 淸

五/ ,

---

五 五~

/、

五→〕

/、

/ 1

上淸

~ /、

/、

i홉 五 五 八六

六濟

한훌 끼六

~

/、

六淸

58

L- L-

L-

1

r뽑

L

L- L

時홈와 用網은 大樂後讀에 基했윤.

漢文훌字 二三四五六 등은 첼젊훌찢의 略字表示엠 잃도 輝數로 표시하였음

. 大훌쏠빼와 혜잊훌新혐의 톰大훌

다만記讀法에 있

〈大後〉와 〈梁新〉의 慢大葉은 위의 비교악보에서 보듯 가락이 거의 같다.

어 〈大後〉가 五흡略讀와 井間讀를 混用하고 있는데 비 하여 〈梁新〉은 大網讀로서 合字讀와 肉 그러 나 다음의 表로서 그 흡高를 통일시 킬 수 있다.

讀 五調調(宮商角徵겼)를 混用하고 있 다.

(11)

- 1 1 -

〈훌 1)

t 四 大十 方六 겼

t三大九方五徵

大 大/호

\

六 A\죄推/

方 方

商 角

五大 t훔

下二大二

下四

下五

끼깅

그러나 r三 이하는 질제로 낼 수 없는 즙들이어서 일종의 虛聲이다. 따라서 低륨이 비교 많이 사용하여 〈表 2> 와 같은 적 많이 나오는 〈大後〉의 四룹 이하를 〈梁新〉에서는 遊鉉을

方法에 의 해 서 한 옥타브 높은 즙으로 移調시 킨 부분이 많다.

〈훌

2>

下二方五 -方六

下三方四

下四方

종을 사용할 때도 있으나 그때에는 力推를 하여 켰과 同흡을 낸다

이 렇게 〈大後〉와 梁新의 慢大葉이 같은 것은 〈大後〉를 펀찬할때 徐命簡이 〈梁新〉과 비슷 한 年代의 古樂讀플 低本으로 삼아 五즙略讀로 만든 것이 아닌가보여진다. 적어도 그 30'""

플립없다. 왜냐 악보인 琴合字讀 (1572) 정도의 古樂讀를 참고한 것이 아난것만은

40년전의

하면 蘇音部分이 현저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훌읍宇햄의 1톨大棄

m

창구 북→ 죄~I

악보로서 거문고

〈琴合〉의 慢大葉은 趙歲讀와 함께 사설윤 가진 I뾰一한

을 위한 總讀이다. <琴合〉과 〈梁新〉의 慢大葉윤 비교해 보면 우선 출현음의 數에서 상당한 차이가 난다. (表 2 참조)

j - 탑|二 담|三 담 l 四 답 j 五 담 I 餘 音

그렇다고 〈大後〉냐 〈梁新〉의 慢大葉이 〈琴合〉의 그것과 전혀 다른 음악은 아니고, 間點 넣어서 據大시킨 것이다.

틀을 많이

(12)

- 12-

〈大後> <梁新〉의 f웰大葉에시 두드러지는 현상은 숍樂的 idiorn에 있어 器樂化의 현상을 볼 수 있는 점이다. 그 例록, (1) <웹合〉에서는 예외없이 각 글자가 各鋼의 첫拍에 들어가 있 는 반면, 맡줄친 글자는 떼記 두 악보에서 규칙적으로 排字되어 있지 않다.

-암 : 오'--리 오'--리 나 二탑 : 익엔에 오'--마나 三담 : 겹으니도 시|니도 오'--") R닙 s. 새,,1 나

lil:T: 꾀힐 양상의 오'--리 오쇼셔

(2) <大後> <梁新〉은 前打람같은 技巧륜 많이 사용하여 器樂曲的 멋을 내었다. 例 : 第 4 行

의 「文J, 第

6

行으} 만」 또는 「죠」 第

9

行의 「 F」 또는 [소J' 第 17行의 띈 또는 「젖J' 第24行 의 낸」 또는 「컷」과 「宮」 또는 [종J' 第29行의 「t」 또는 및, 第33行의 댄 또는 [결J' 第 37젠의 「1-」 또는 「휠」’ 第40行의 [±」 또는 「켠J' 第44行의 띄 또는 껏J.

〈琴合〉과 폐j 닮 두 악보의 f월大葉으1 차이는 餘숍部分에서 두드러지게 나다난다. 죽 〈琴合〉

의 餘숍 28즙中 〈梁新〉 餘룹 56즙과 相應하는 즙은 19당이 어 서 相似率 67.8% ( 19 ~~

x

100) 28

에 지 나지 않는다. 또 〈梁新> <玄東> <國琴〉 등의 餘즙이 遊鉉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琴 合〉은 大값만을 사용하고 있는정도 두드러진다. 하여간 〈梁新〉 이후에 나온 樂짧들의 餘흡 은 모두가 〈梁新〉의 그것을 따르고 있지 〈琴合〉의 餘즙을 따르지 않는 점은 매우 흥미가 있다. 그 理由는 〈梁新〉이 木刻板으로 多量 普及되어 그 후의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文敵으 로 所藏되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사성 그후 여러 古樂讀의 序文이나 음악내용 에서 〈梁新〉윤 그대로 移記한 것플이 발건되는 점에서도 〈梁新〉의 영향랙이 얼마나 컸떤가 괄 점작할 수 있다.

玄쭉훌文類記의 ↑를大훌古調

〈玄東〉의 慢大葉古調는 〈梁新〉 ↑헬大葉과 거의 같다. t:l.l現즙數는 〈梁新〉과 〈琴合〉의 중간 이어서 ←→닫에서 五담까지의 선율의 팔은 그 두 선융을 다 닮었으나, 餘흡은 〈琴合〉보다

〈梁新〉에 훨씬 가깜다. 이것을 相似率로 표시하면, <玄東〉이 〈琴合〉과 닮은 비율은 34.2%

(-~응 x 100)요, <梁新〉과 닮은 비율은

88 5% (

3공 x 100) 이다 (여기서 12나 31은 同觸,

35

는 tH現音數플 나타낸 다)

톰業院所훌 쭉등톨의 古調와 趙‘옮홉홉 ↑률大훌-

〈國琴〉의 古調와 趙展讀 慢大棄:도 〈玄束〉의 慢大葉과 大同小異하다. 득히 古調는 더욱 그 렇다. 그런데 趙展讀 慢大葉은 4 몇가지 점에서 古調나 〈梁新〉 慢大葉과 다른 정융 발견할 수 있다. (1) 二탑와 四탑끝에 盡劃인 ILJ 이 없다. (2) 第 23行(三답 중간)에 난데 없이 「淸

(13)

- 1 3 -

消」이 끼어들어 大鉉五陳를 타는 餘他의 악2t..들에 u] 하여 흡樂上 어색하게 되어 었다.

(3) 사젤도 〈梁新〉 보다는 약간 달라졌으나(比較樂讀 참조), 특히 글자를 붙이는 곳이 너무 나 變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답 : 오""라 오 1τ 리오 二담 :'"일에 오""라

三담 : 져 P 디도 새디도 마뀐시고 四답 :새러 q 오""리오

五답 : 당정의 오나리 오쇼서

밑줄 친 글자는 〈梁新〉에서와는 달러 거문고의 합위에 排字하지 않고 흡-과 픔 사이에 붙 였다. 특히 二릅의 I\-J 는 「文」 위에 排字되어 있어 이상한 느낌을 준다.

이것이 玄琴東文類記의 다음과 같은말

古今琴讀聞見錄: 多出於傳협故註誤處&정多 後之樂者旁求正本而校之 趙훌훌琴調 : 此讀似最多誤處 宣i¥審更考之

라고한 말과 관계있는 것이각 생각된다.

慢大葉은 언제 쯤 없어 졌을 까 ? '*芳松敎授는

其當時(효祖煩 1567~1608) 를 前後로 慢大葉은 다1 단히 盛行했으나 蕭宗以後 흉退하기 始作하여 헛 祖項Cl 724~1776) 에 는 이 미 자취 를 강춘것 같다(")

했고, 張師創|행士도 펠大葉은 英祖以前에 이미 없어졌다 110) 고 밝혔다.

國樂院所藏琴듭뽑(韓國흡樂學資料數펌二 所載)의 f월大葉樂時調는 梁琴新讀의 慢大葉樂時調을 그대 로 移記한 것 이 고, i웰太葉(趙옳讀)와 慢大葉(古調)는 宋~二水긍山짧本琴讀와 -致하는 것이라면 111) 이 慢大葉 樂調홀 光海君 이후 蕭宗사이Cl 608~1720) 의 것으로 추정된다 1121

趙展Cl 492~1555) 은 趙앙誠의 아들로서 子는 伯陽, 號가 養心堂이 다. 그는 仁宗 明宗때 사람 이며, 慢 rþ 만 있을뿐 數大葉이 없는 것으로 보이, 이 琴調는 척어도 16세기 初의 것이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월大葉에 관한 最後의 樂~ fi쁨는 韓琴新讀(1724) 의 慢大葉zp:調 (f~稱느즌한넙)이 될 것이 다.

轉쫓新짧의 1톨大훌

〈韓新〉의 慢大葉쭈調는 井間이 없는 合字讀와 口흡-讀의 混用으로서 五탑 다음의 餘륨이

(9) 宋芳松: 上揚論文 p.165.

(10) 張師散: 韓國音樂史(서 : 正音社 1976) p. 312.

(ll) 眼師빼 : r琴讀解題」 韓國音樂學寶料홉쫓뿔二(國立國樂院 1980) pp. 7-8.

(12) 宋錫夏: r現存 韓國樂禮j 韓國 Kfiì-考(서 올 : 日 新社, 1960) p.474.

(14)

- 1 4 -

없을뿐 〈梁新〉의 慢大葉과 大同小異하다. 다만 〈梁-新〉의 「자랭」이 「스랭」으로 變했고, 弄 鉉法의 「力않J r停聲J r一弄J r二弄J r多弄」둥이 첨가되어 전보다 表짧이 多樣해진 것뿐이 다. 이 러 한 차이 점 은 白雲魔琴짧의 慢大葉의 경 우도 마찬가지 이 다.

f녀雲R휠할허홉 21 ↑웰大葉 온 梁헥:rrr짧의 그것 4 같고, 다안 「끼S 생」 을 다 [스뱅」으록 웰하었을 뿐이 다.

玄琴新짧假앙도 白雲魔쌓짧와 같고 다만 그 첫따라에서 [大六」 一音이 두번 連打된 정에서 다을 뿐 이다. 이렇게 보면 慢大葉은 梁琴新讀 白雲R활철讀 玄琴新證假 4t 올 通하여 比較的 생용하지 않은것이 分明하다i1 3J

慢大葉은 〈韓新〉윤 끔으후 자취갚 갇추었다. 英祖띠l 의 學者인 李뺑(1 681~1763) 도 그의 星 湖樓說에서

東(상歌調有l 大葉調 1없無흉 tli 別 其中又 ff慢中數三調 此本號心方 rlll. 慢極짧 A厭廢久 中者差 t足亦解好 /f 之所通用 JlP 大葉뼈調也‘써)

-!f-리나라에는 대엽조가 있다. 그러나 대개 장단의 구분이 없다. 그 가운데에도 또 만 중 삭의 세 가지 조가 있는데, 이것은 본례 성방곡이라고 한다. 안은 극히 느려서 사랍들이 싫어하여 없어진지 오래고, 중은 조금 빠표나 역시 좋아하는이가 적고, 지금 통용되고 있는것은 삭대엽이다i15J

라 하여 英祖 以前에 이미 없어진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여 간 慢大葉은 世祖때 (1455~ 1468) 부터 시 작하여 英祖(1724~1776) 이 전, 좀더 갱 확하게 는 〈韓新> (1 724) 때까지 약 .270년간 별로 흉흉하지 않은채 불리어 왔다. 中大葉이나 數大葉。l 생기자 마자 곧 多據한 調와 變化曲이 생긴데 비하여, 慢大葉은 오직 大鉉五課(林鍾)를 主 흡으로 하는 ZF調로서 그 가락도 梁琴新讀 이후 별로 크게 變化없이 古風을 그대로 유지하 여 傳承되다가 사라진 것이다.

4.

톰大훌과 中大葉의 Q홉係

中大葉은 梁琴新讀(1 610) 에 처 음으로 나타나는데 , 四調 즉 平調, 겼調.ZjS調界面調, 쩌調 界面調의 네 가지 中大葉이 보인 다. 이 中大葉은 慢大葉과 어 떤 關係가 있을가 ?

慢大葉은 前멋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갚이 모두가 ZjS調로 되어있다. 따랴서 이와 비교하 려는 中大葉도 ZF調이어야 할 것이다. 慢大葉은 9권의 市樂讀에 18 曲이 記讀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梁新〉의 그것과 大同小異하다. 그러나 餘흡에 있어서는 〈梁新〉과 〈琴合〉이 相似 率 67.8%로서 약간의 차이 를 보여 주며 , 餘他의 慢大葉들은 〈梁新〉의 그것 에 보다 가깜다.

(13) 李惠求 : I 白雲魔讀解題」 韓國音樂序說(서 울大 出版郞 1975) p. 258.

(14) 李뺑 : 캘湖團說 國朝영뻗章條

(15) 註 101司 p.261.

(15)

- 1 5 - 톡히 〈梁新〉의 中大葉顧룹과 〈琴合〉餘륨의 相似추응 38.2%에 지 나지 않는다(出現홉l'í: 34.

同音數 13) 따라서 本橋에 서 는 〈梁新〉의 慢大葉과 ~調로 된 中大葉(倚稱 心方曲)을 비 교하려 한다.

우선 慢 • 中大葉의 出現音數를 비 교하면 다음과 같다.

〈훌

4>

中 x 훌

j

:3 | 옆 | $3

1

% | 옆 | §3

〈表 4) 에서 보는바와 같이 냐1 太葉은 慢大葉에 비하여 그 出現흡數가 훨씬 적어서 輝하다.

다음 두曲의 同音과 異좁을 다음의 比較樂讀을 동하여 살펴 보자.

一冒 : 慢大葉은 rLJ 과 「消」이 각각 2 번씩, r文」이 1 번 출현하여 樂句의 段짧을 잘 나타 내고 있으나, 中大葉에서는 「消」이 1 번, 그것도 慢大葉에서는 段짧이 지어지치 않는 위치 에 나온다. 또 第 3 行에서 처럼 rLJ 대신 「大五」플 사용했는데 그 둘의 흡高는 모두가 宮 즉 林鍾이기 때문에 이 두즙은 同흡으로 간주힐 수 있다. 또 第 5 行 첫룹인 「大九」는 徵인

데, 中大葉에서는「늦」 즉 大三을 輕按하여 옥타브 아래의 徵음 내게 하여 이것도 同흡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볼때 出現합 19 中 同즙이 13흡이어서 相似率 68.4% 가 된다. 한가지 特 記할 것은 慢大葉이 나 中大葉의 各답 最終륨이 모두 rLJ 으로 終止하고 있는데 , 中大葉 一 탑의 끝은 「大三」으로 끝빚고 있어 완전한 종지감을 주고있치 않은 점이다.

二탑 : 慢大葉에는 淸이 3 번 文이 1 밴 출현하나 中太葉E- 하나도 나오지 않고 第 10行에서

淸대신 「五」플 상용하였다 第 12行의 「二」를 뎌1大葉에사는덧」으로서 同즙을 만들었다. 出

現즙 16, 同홉 13으로서 相似率 81. 2% 이 다.

三답 : 序頭의 「八」은 黃鍾으로서 「方四」와 同륨이 다. 第 25""'26行의 中大棄은 「五三二三 二」의 가락을 한번 더 反複하는데 다만 끝휩만을 「二」 대신 「五」로 대치시켰을 뿐이다. 버 現좁 32, 同흡 28, 相似率 87.5% 이 다.

四릅 : 慢大葉에서는 淸이 2 번 나오나 다1 大葉에서는 1 번만 나온다. 出現흡數 17, 同音數 14, 相似率 82.4%.

五冒 : 中大葉 전체를 통하여 五릅처럼 慢大葉과 잘 맞는 곳이 없을 청도로 두 가락이 같 다. 다만 慢大葉의 첫 2行이 中大葉에 서 생 략되 었을 뿐이 다. 第43行에 서 慢大葉의 「六」을 中大葉에서는 「六六」으로 한밴 더 반복하는 것만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出現흡數 25, 同 흡數 24, 相似率 96% 인데, r六」의 반복도 同흡으로 친다면 100% 가 될 것이다.

(16)

- 1 6 -

餘흡 : 慢大葉의 餘픔은 遊鉉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반면, rþ 大葉의 그것은 例外없이 大 鉉만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이 두 樂調는 비교하기가 어렵다. 우선 慢大葉에서는 「文」이 2 번 사용되어(第 51, 53行) 樂句폴 적철하게 f잊落지어 주고 있는데, 이 部分에 해당하는 中 大葉은 「文」이 하나도 나오지 않고 「消」만이 序頭에 한벤 출현하여(第49行) r方七J(宮)과 相應시키고 있다. 또 第 52, 53行의 「方二」를 中大葉에서는 「大六」으로 同즙을 만들었다. 遊 鉉을 주로 사용한(慢大葉에 서 ) 前半보다는 大鉉윤 주로 사용하고 있는 後半에 이 르러 慢 • 中大葉은 많이 같다. 出現흡數 34, 同音數 27, 相似率 79.4% 이다.

이상윤 종합하면 〈表 5) 처럼 된다.

〈훌 5)

五 ~

% 갱 mω

mm

n/i

1·A

1,i A

1

% M

mm

쩌%

r

%

j4i

mι η

””

”“

rJ Q

않 %ω 여α

q/

%ω rω

u m이

ia1

잃 mω

u

%

數數

( %

#B

훌 音짧 現率’

ωω …ω

慢띠’

즉 梁琴新讀의 JI~ 大葉이 慢大葉을 닮은 lJ 1 율은 83.2% 의 높은 率을 가지고 있다. 즉 뎌1 大葉은 慢大葉의 가락을 덜어 陳하게 만든것 임 을 알 수있다.

그후 中大葉응 점점 복잡하게 발전하여 玄琴新證假令에서는 훨씬 늘어나 〈梁新〉 中大葉 의 近 갑절이 되는 258륨이나 출현하고, 遊藝志、에 이르려 279륨 출현한다. 즉 最初의 中大 葉은 慢大葉의 가락을 덜어 성기게(越)만든 것이지만, 時代가 지남에 따라 가락이 점정 더 첨 가되 고 더 우기 一二三의 派生曲들을 만들어 냄 으로서 복잡한 樣相을 띄 게 되 었다.

짜톨F新빼의 톰 中 J:tt'l業톨톨 -릅

慢{ 六六

淸| 五 六五 五二 L.

五 三 六 五(淸)五 三

六五 C

八六 /、 八六

五-淸

六 五 (三)1 갖 六 j 五 (三 둥) 六 五

(三) 六(三)

L =듭 11 !\

(17)

- 1 7 -

1O~ /、 l\ "/‘;

淸| 五

六五五三 二二五三二二三六淸

~ 五 五 五三 ~

/、 x /、

;‘"\ i\ -:-:..

淸 1 五

115L

五 (三)六 L

三릅| 六八 |六

{

/、

三 1

20

三三五

/、~ i훔 /、

」一/、

-

-五六六五 五 三 프 j 六五六五五 三 三 文

~ /、 六 五 五 三 둥 文 (三)

25- 五二二五

-

L

五(三)二

五=二

四릅 方方 方{

~~ 五 四四 五 /、

/

/、

~ 方方|方方

五五 四四

/、

方方 方 ~ι

淸| 五

~ l\ 4 f홉

五四 /、 /、

L

方五方六方六方七方五方五方六

/、

35

,

方方 四二

|

五(三) ~ /、

五듭 11 좁옮 方四二方Jï→}一

方方

四二

L

40- r

- ; A .

淸! 五

j 五 三|긋 六 五 三중

-五-五

/、 /、

(18)

- 1 8 -

六五 六

方方

二四

方方 二四 45方

五 五三

三三方二

Z 五五-方二六-方四-方四方五

(五)

五 五 /、

--- ---

五五

六五六六五 L

-方二

六-五-三三 ----1;

;

그」 --」:

-/

치 -方四

三-方四

딛 -方五

(五) 琴合 I (五 五) 八 (七 七) 六

六五

/

六 五 (三)

.그二五三二二三六淸 1

55

五三: 六五六

淸|六五三

h

/、

f

ι

六五六 /、

60

L L L

L

~ /、

휠톰 法 用

5.

歌曲이 記讀되어 있는 井間讀는 아래와 갇다.

大樂後뽑-↑홈大葉(第四觸에 셔 시 작) 琴合字뽑-慢大葉(第二網)

聚琴新讀-慢大葉(第四網) 中大葉(第三網)

t읍補古今讀-慢大葉(第二網) 中大葉(第三網) 數大葉(第三網) 三竹琴뽑-Ik大훌(第-網)

즉 慢大葉은 第四 또는 二網에서, 中大葉은 第三鋼에서 數大葉은 第三 또는 i網에서 각 각 시작하고 있다.

用鋼法에 관하여 世祖實짧은 다음과 같이 기 술하고 있 다.

其慢中數三뚫 因用網各異 而有練Ikfi急、之不同... 起樂之始 或出於第-網 或出於第二網 或버於第三 뼈 홉業之g톨흉흉 使之然也(卷之48 樂讀序)

(19)

- 1 9 -

즉 用鋼을 달리 사용하는것은 그 음악의 越數繹急과 관계 가 있다는 것이 다. 그렇다면 제 몇강에서 시작하는 음악이 數(잦음), 鏡(느립)하고 제몇강에서 시작하면 陣(성김), 急(빠릉) 일까? 이 문제는 오래동안의 숙제로 내려왔던 難題中 하나였다.

이 문제플 푸는데 있어서 홈料가 될 수 있는 몇가지 훨件은

CD

井間讀로된 古樂짧이어야 하고 @ 同曲名이먼서도 用鋼을 달리 하는 變奏없1 (예 : 一 二 三 四)이어야 한다. 왜냐 하면 흉奏曲이 없는 어떤 曲이 第二鋼에서 시작했다 해도 그것과 미교할 수 었는 것이 없으변 輝數續急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위의 두가지 條件을 만즉시켜줄 古樂讀와 曲名을 조사해 보니 다음과 같다.

時用獅樂調: 大國一三

大樂後讀: 홈성一二三四. 致하llf-一二三

(1) 大뿔後뽑의 .선

大樂後讀에는 4曲의 홉/뜨}이 있다. 륨 '9-과 二는 第二網에서, 三은 第三鋼에서, 四는 第 -鋼에 서 각각 시 착하고 있다.

宣祖째 (1567'" 1608) 權文海가 쓴 大東題府群王에

「樂府휩성有 一二三四 乃聲音앓急之節也 -륨각J最훌훌 二三四又次之」

라 하여 i이 제 일 數據하고 二三四로 내 려 갈수록 정 점 輝急하다 하였다.

사실 훌성一은 가락이 가장 복잡하고, 二와 三은 조금씩 가락이 덜려 나갔다. 四는 二와 三에서 技華한 것이다. 즉 4곡의 륭ζ〕은 복잡한 가락에서 간단한 것으로, 느린 음악에서 빠른 음악으로 變해간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불 해 第二網→第三網→第-網의 順으로 캠점 陣急해져 감을 알 수 있다.

(2) 致和쭈

致和zf'一과 二는 第二網에 셔 , 三은 第三網에 서 시 작한다. 이 곡은 世宗實鍵樂讀에도 그 대 로 질 려 있는데 다만 3곡 모두가 第一鋼에 서 시 작하는 점 만이 다르다. 李惠求博土는 i!!:

宗實錄樂調의 종k和Zf'-二三에 대 하여 다음과 같이 論하였 다.

치화평--二三은 123機라고 하는데, 그것들은 慢中數과 같은 뜻이며, 한배가 걸고 中庸이고 자진 것올 의미한다. 이것은 치화평 一二三의 악보를 바교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중략)

이같이 말을 떼지않고 붙이는것(語短聲흉)과 終止音융 짧게하고 뚝 그치는 갱에서 致和平-이 二 三에 비하여 느변것올 안 수 았다 (\6)

(16) 세종장현대왕실록 22 악보 lC서울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pp.282-284.

(20)

- 2 0 -

즉 致和平一二三은 짧中急의 순서로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第二鋼→第三鋼의 順으로 陳急해진다는 뭇이 된다 ..

(3) 時用聊훌훌톰의 大톨

大國一은 第二網에 서 , 二와 三은 第-鋼에 서 시 작한다. 즉 第二鋼→第三鋼의 順을 따르고 있다.

(4) 짧 曲

반大훌 : <-*後〉와 〈梁新〉에서는 第四網에서, (琴合〉에서는 第二鋼에서 시작한다. 增補古 琴調와 國樂院所藏짝讀의 편大葉樂時調는 모두 〈梁新〉의 그것을 移記한 것으로서 第四鋼에 서 시 작한다. (國갖듀〉의 햄大葉 훤옮짧는 第-鋼에 서 , 慢大葉古調는 第三鋼에 서 시 작하나 不可信이 다. 왜 냐 하면 趙屬讀는 誤處가 많다 하였고(1 71 古調는 1 行 10井間으로 나누어 第三網부터 썼는데 이것을 16井間 6大鋼讀와 비교해 보띤 매우 불규칙하게 井間을 사용하고 있픔융 알 수 있다. 즉 어떤 원칙을 가지고 井間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井間에 一륨씩 쓰고, 長덩 l 하는 즙은 다음 커:間을 비워놓은것 뿐이어서 用鋼法 뻐究에는 도움을 주지 못 한다.

中大훌 : 中大葉을 기 록한 古井間讀는 〈梁新> (增古> <國확> <三竹〉동을 들수 있는데 〈三 竹〉을 제외하고는 例外없이 第三網에서 시작하고 있다.

〈三竹〉의 中大葉은 쩌調中大葉一二三 界面中大葉-二三 도합 6곡이 전하는데 , 16井間만 나누어 있을뿐, 大鋼이 없고, 井間을 無視하고 口륨을 내 려 썼으며, 第二井間 또는 第三井 間(界面二中)에서 음악을 시착하고 있어 用鋼法 짧究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쩌 調初中大葉에 다음과 같은 註

中大葉非如數大葉之취大小點長短之限 有짧 依校而且꿨說不!司 故暴f?其說以懶參考

라 하여 大小點과 長短에 定論이 없음을 밝히 고 있 다.

훌大훌 : 數大葉을 기록한 古井間調는 〈增古〉와 〈三竹〉이며 나머지는 現行과 같다. (增古〉

의 數大葉은 마1 大葉처 럼 第三鋼에 서 시 작하고 있다. (三竹〉과 그 이 후 현재까지 의 數大葉은 모두 第一網에 서 시 작한다. <三竹〉의 數大葉은 장구 장단 표시 가 있는데 現行과 같다. 그 렇다연 數大葉도 예전에는 中大葉처럼 第三鋼에서 시작하던 음악이 후에 第-鋼에서 시착 하는 음악으로 변모된 것이 나 아닐지 모르겠다.

現行 數大葉의 장단은 다음괴 같다.

(17) 玄琴東文類記

(21)

1 ,

q

/

|하기도띠기 1111 101 111

CD I

1]펴Tτ!

이 長短法은 中大葉의 장단법으로서 第三鋼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李惠求博土는 推끓하였 다(18) 즉 現行 長短法에 서 鷹說이 붙지 않는 채변을 럴면

I CDl 101

10 1

lCDl [으 1

-\

이 장단법은 3.2.3/3.2.3 보다는 3.3.2/3.3.2로 보는것이 더 타당하다. 따라서 이것올 다시 3.2.3/3.2.3의 原形대로의 모양으로 바꾸려면 半刻部分언 第五• 六鋼을 떼어서 앞으로 붙 여야 할 것이다.

10 1 1

CD

1 101 [Cl)J -j Ol

따라서 數大葉을 原式대로 記讀하려연 위의 長短法의 第三鋼에서 부터 써야할 것이라고 李 博士는 말한다. 筆者도 이 意見에 同感한다. 왜 냐 하면 張師빼 歌曲讀(國樂總議

pp.

523-

534) 나 金짧洙 二數大葉讀(월하청가선 PP.45-47) 에도 3.3.2/3.5.2로 採調되어있고, 故 李 珠煥民가 歌曲을 가르칠 때도 그렇게 3.3.2/3.3.2로 鋼을 나누었었다. 그러나 現行을 그대 로 인청한다 해도 用鋼法에 의한 輝數續急의 순서를 알아보려는 우리의 노력에는 아무 지 장이 없다.

이상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은 表를 얻을 수 있다.

〈훌 6)

| 一 網

j

I훌 각]

和 ZF

i!ll

-鋼]四쩌뼈

慢大葉의 경우 〈大後〉와 〈琴合〉 두 古樂讀中 어느것이 年代的으로 볼혜 먼저인가는 션뜻 판단을 내리기가 어렵다. 왜냐 하면 비록 〈大後〉는 世祖때의 음악을 記讀한 것이라고는 하 나, 慢大葉에 관한 한 〈琴合〉보다는 〈梁新〉에 너 무 가깡기 때 문이 다. 또 第四鋼에 서 시 작 하는 다른 音樂의 例를 잣을 수가 없기때문에 本觸에서는 第四鋼과 第三鋼을 最續한 것으로 보면, 그 다음이 第三鋼이요 最輝急한 것은 第一鋼이 될 것이다.

...,

;x.

第四網=第二網-→第三網-→第一網

(18)

李惠求 : r韓國의 古記讀法」 韓國音樂liFf究(서 울 : 國民音樂맑究會

195

7)

pp.17-18.

(22)

- 2 2

(5) 保太zp.과 定大業

〈 λ 後〉에 나타난 保太平과 定大業의 用써예法은 다음과 같다.

保太平: 第一網--基命 합仁 亨嘉 輯寧 隆化 별光 繹成. 第二網--龍光貞明. 第三網-←}熙文 願 美大섭t

定大業: 第一網-←←第慶 宣威 짧雄 짧흉 永觀. 第二網←-빠‘整. 第三網--昭武 섭월짜 神定 順應 靖世

ftì- ~~i뽑에 싣 련 保太平 定大業도 〈大後〉의 그것 들과 同-하다.

맹行 保太平과 定大業은 井間쐐가 아닌 律字둡엠블 사용하미 , 그 한배 도 MM50으로 -定하 다. 따과서 保太平 定大業의 경 우 鋼윤 달러 사용하는데 대 한 폐i數짧急의 差異플 알 수 없 다. 張師 mJl냉土 談에 의 하면 「同픔의 速打」판 가진 áll 은 느리 다고 한다. 그런 曲은 保太平

'-p

젠文 顯美 大廠, 定大業中 昭武 11떠應 등이 있다. 이 때플은 모두가 第三鋼에서 시작하는 음악둡이기에 第-鋼에서 시작하는 때들에 비하여 느리다는 말이 成立흰다. 그러나 (1) 第 二鋼에 서 시 작하는 節光딩明과 쩨整 (2) 保太平中 갇은 第三鋼에 서 시 작하는 總↑正 神定 해 世퉁에는 왜 現行에서 「同퓨의 連打」가 없는지 설명할 방 1섭이 없다. 하여간 現行에서는 과 거에 第二鋼에서 시작했던 第三網에서 시작한 음악이던간에 모두 MM50으로 그 한배가 - 定하다는 사섣이다.

6.

朝解初期에 생긴 歌 I!J I의 햄大葉은 그 起源이 高麗 歌調인 鄭 m亨Híl 에서 나온 것이라 하 나, 그것을 확인할 갚은 없다. 랩大葉은 그것을 기록한 최초의 악보인 大樂後讀(世祖時의 음 악을 기꽉한 것으로 얄려침)에서 비롯-하여 적合字햄(1572) 와 梁품新讀(1 610) 등을 거져 玄첼東文 類記 (1620) 에 이 흐려 最盛期를 이 루다가 그후 점 점 쇠 되 하어 진 다. ↑윗大葉은 韓확·新讀(1724) 플 끝으로 사라지 고 대 신 梁琴新讀이 후 나타나기 시 작한 다’大棄과, 玄琴東文類記 이 후 번 성하71 시작한 數大葉이 그 자리플 대신 퍼하게 펀다. 따라서 懷大葉의 운명은 李爾의 말 대로 英祖以前에 이미 樓하여 진것으로 보인다.

慢大葉은 250"'2701간간 불러 요는 동안 오직 平調 하나만윤 고집했고 大樂後讀나

梁琴新

讀의 慢大葉에서 그 즙樂的 스타일이 별로 變하지 않고 그대로 傳承되었다. 이것은 韓國룹 樂史上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文廠나 宗風j같은 察禮樂을 제외한 그 어떤 음악이 變化되지 않고 傳承되어온 例가 있던가

!

慢大葉이 사라져 버린 理由플 李蠻은 「慢極續 A厭廢久」라 하여 한배가 느린데 연유한다고 했지만, 그것 이외에도 흡樂 스타일이 짧치않고 또 派生曲

(23)

- 23-

을 만들어 내지 옷한점도 rA厭廢久」의 한 왼언이 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中大葉은 梁琴新讀에 서 의 최 초의 등장 이 후 쩌調 zp:調 界面調 zp:調界面調둥 여 러 調로 분려되고, 또 各調마다 派生曲이 -二三으로 늘어나서 19세기 말까지 자옷 번창하다가 20 세기에 이르러 없어졌다.

中大葉의 起願은 慢大葉에서 비롯하였다. 梁琴新讀의 zp:調中大葉은 同調 慢大葉에서 相 似率 83.2% 라는 높은 비율의 닮은 꼴을 하고 있는데, 慢大葉에 비하여 가락이 매우 성기 다(練). 즉 慢大葉의 出現즙數가 226흡이나 되는데 비하여 中大葉의 그것은 143홉에 지나지 않는다. 이처렴 中大葉의 YJ期에는 慢大葉의 흡을 技奉하여 만들었으나, 그후 점점 잔가락

,이 추가되었.다.

中大樂은 慢大葉에 H] 하여 그 한배도 빨랐다(急) . 그것은 用鋼法을보아 알수 있는데, 慢 大葉이 第四鋼 또는 第二網울 사용하고 있는 반면 中大葉은 第三鋼에 서 음악이 시 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時用織樂讀의 大國, 大樂後讀의 률성, 致和zp:둥을 근거로 用網法을 살펴 본 결과는 第四 또는 二鋼이 가장 느리고, 다음이 第三鋼, 그려고 第一網이 가장 빡른 옴악이 된다.

現在 륨樂들이 대부분 第一鋼에서 시작하고 있는것은 룹樂自體가 예전에 比하여 빨라졌 다는 뜻도 있을지 모료나, 그보다는 {~樂游、調 이후로 鋼올 달리해서 記調하는 方法 자체가 癡用된 것이라 볼 수 있다.

(24)

- 2 4 -

<English Summary)

A

Study on Kagok

,

a Classical Song Repertory from the EarlyChoson Dynasty.

Hahn Man -young

College of Music, Seoul National University_

Kagok is a classical song repertory accompanied by an ensemble of wind

,

string and percussion instruments_The oldest extant notation of Kagok is in the form of Mandaeyðp,

원大葉 (“slow, big piece~) , and appears in the Taeak Hubo manuscript 大樂後謂 (herea- fter TH)_ Although TH was compiled in 1759

,

this manuscript covers music of the Sejo period (1456"'1467)_ In the Yanggum Shinbo 梁琴新짧 of 1610 (hereafter YS), Chung- daeyðp 대大葉 ( “ moderateη appears together with Mandaeyφand 쩌Iδπ’gum Toηgmun­

yugi 玄琴東文類記 of 1620 (hereafter HT), notates Sakdaey얘 數大葉 (“fast"), together with Maπdaeyðp and Chuη!gdaeyδp-

But, from the early êighteenth century, Mandaeyõp is no longer seen in manuscripts, and around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ChuηgdaeyðP too disappears_ Todays extant Kagok is therefore solely SakdaeyðP, which, because of its derivative forms, makes a total of 26 pieces for male voice and 15 for femal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SakdaeyðP, concentrating on its nature and relation to its derivatives

,

but there are few studies that deal with MandaeyðP and ChuηgdaeyðP.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devclopment from λlaηdaeyðp to Chungdaeyδp has not bcen studied, while that from ChuηgdaeyδP to Sakdaeyðp has been pointed to (Na Hyãn-suk:

“ Chuηgdaeyðp and Sakdaeyðp in Chìiηgbo Kogumbo", MA Thcsis, College of Music, SNU

,

Seoul

,

1979).

MandaeyðP is thc original form of Kagok

,

as HT states: Pyongjo 平調 Maηdaeyðp is the father of a11 Komüngo music"; and YS ~tates that, “The contemporary songs, Maηda­

eyðP

,

ChungdaeyðP and Sakdaeyðp

,

all stem from the three types of songs by Chõng Kwajong 鄭 m훔, of the 12th Century" _ The three types of songs respectively imply slow, moclerate and fast tempi. There is a fourth type of song by Chong, called Chinjak 률선 ;

(25)

- 2 5 - TH shows four versions of it. What the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eyðP and Chinjak?

Maηdaeyðp in TH and YS begins on the fourth kang

,

while that in KH begins on the second. ChungdaeyðP in YS begins on the third kang. Sakdaeyðp begins on the first kang in todays notation

,

and there is no historical mensural notation for comparison. A ‘kang is a square-group, or division of the mensural notation, in which a column of sixteen squares is divided in the sequence 3-2-3-3-2-3. The reason for demarkation into six square-groups per column is explained in the Preface to the manuscript of the Chronicle of King-Sejo

,

as follows: “Our King Sejo the Great

,

showing his royal favor

,

has invented this notation

,

in 16 squares are drawn and six kang are made. The three tempi

,

slow

,

moderate and fast

,

are differentiated by using the kang differently.... Music may begin in either the first

,

second or third kang

,

but the tempo of the music depends upon the start- ing position of the kang. In previous times, there were no notational systems which specified measure and tempo"_

Therefore

,

from which kang did slow music start? This is a long-standing problem

,

unsolved in the Korean musicological field.

This article deals whith: (1) The historical development from MandaeyðP to Chungda eyðp; (2) The relationship between kagok and songs of the Koryo dynasty; (3) The determination of tempo in mensural notation.

(1) Notations of Maηdaeyðp are seen in such manuscripts as TH

,

KH

,

YS

,

HT

,

Chiínbo Kokiímbo (hereafter CK)

,

Paekunam Kiímbo (hereafter PK)

,

Hyôn’giím Shin’jungga- ryông 玄琴新增假令 (hereafter HS) of 1680

,

and Hangum Shinbo 韓琴新讀 (hereafter HS) of 1724. The modes of all MandaeyðP movements is p’yõngjo 平調, that is, sol-mode in the key of Bflat. But the earliest version of ChungdaeyðP is in YS and appears in four ver- sions

,

the modes of which are p’yõngjo

,

ujo (sol-mode in Eflat)

,

kyemyðnjo 界面調(la-mode

in Eflat) and P’yδηgjo kyemyðnjo (la-mode in Bflat). These four modes of ChungdaeyðP still continue to exist side by side in all the manuscripts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ut among them

,

only the p’yõngjo Chungdaeyõp can be compared to MandaeyðP because of the mode.

As can be seen in the Example (pP. 5-10)

,

MandaeyðP melodies in TH and YS are almost

참조

관련 문서

발전성능과 관련된 또 다른 중요사항으로 음영에 따른 발전성능의 저하문제이다.PV 모듈에 음영이 질 경우 도달 일사량 자체가 줄어 들기 때문에 발전량이

방열판의 열성능 향상은 그 중요성으로 인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Ledezma등은 충돌류에 노출된 핀-휜

첫째,티타늄은 열전도율이 대단히 작기 때문에 절삭 중에 발생한 열이 방 출되지 않고 공구와 가공물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절삭 열이 절삭

본 연구에서는 발전소,항공기,선박 등의 구조물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티타늄합금의 용접특성 및 피로균열 전파거동을 고찰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기계

이동 로봇의 위치 추정 문제에서 고려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은 위치 추정의 방법에 적합하게 선정되어야만 한다.현재 사용되는 위치 추정 방법 은 크게

액정과 상용성이 좋은 EHA와 HDDA는 순수한 모노머에 비해 반응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이러한 현상은 액정과 상용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EHA가 HDDA에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에는 문자기반 영상 검색 (text-based i mage retri eval )과 내용기반 영상 검색(content-based i mage retri

을 억제하고 장내 정착하면서 정장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다.김치로부터 분리된 4종의 유산균이 의 억제는 활성이 있으나 인체에는 무독함을 증명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