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저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기저형"

Copied!
3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2-13주

기저형 교체

음운론적 도출

(2)

교체란 무엇이며

그 특성은 무엇인가?

(3)

3 잎

입 임

교체와 이형태

교체란? 형태소가 환경에 따라 형태를 달리 하는 현상

/잎/

이피 입또 임만 잎 + 이 →

잎 + 도 → 잎 + 만 →

이형태란? 교체에 의해 나타나는 형태

(4)

이형태(교체형)들은 서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형태소 이형태 교체 환경

잎 잎 + 이 : 모음 앞에 위치할 때 임 + 만 : 비음 앞에 위치할 때

입 + #, 기타 자음 : 휴지나 비음 이외의 자음 앞

이형태의 음운론적 특성

(5)

5

용언 어간 ‘맑-’의 이형태 목록과 교체 환경을 찾아보자.

교체 환경 형태소 이형태

맑- 맑

말 막

모음 앞에 위치할 때

‘ㄱ’ 앞에 위치할 때

‘ㄱ’ 이외의 자음 앞에 위치할 때 + 아, 은, 으니

+ 게, 고, 거나 + 지, 다

맑아[말가], 맑은[말근], 맑으니[말그니], 맑게[말께], 맑고[말꼬], 맑기도[말끼도], 맑지[막찌], 맑다[막따], 맑거나[말꺼나]……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56쪽 [문제 2](1)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56쪽 [문제 3](다)

(6)

교체의 유형

교체의 유형은 그 동기, 성격, 환경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교체 동기에 의한 분류

2) 교체 성격에 의한 분류

3) 교체 환경에 의한 분류

자동적 교체

비자동적 교체

규칙적 교체

비규칙적 교체

음운론적 교체

비음운론적 교체

(7)

7

자동적 교체 : 강력한 음운론적 제약이 반영되어, 반드시 진행되는 교체

1) 교체 동기에 의한 분류

비자동적 교체 : 반드시 일어나야 하는 필연성이 없는 선택적 교체.

적형 외에 발음 가능한 이형태가 존재한다.

적+는→정는 : ‘ㄴ’ 앞에는 ‘ㄱ’이 올 수 없다.

막+고→막꼬 : ‘ㄱ’ 뒤에는 평음 ‘ㄱ’이 올 수 없다.

옮+는→옴는 : 음절말에는 자음이 두 개 올 수 없다.

알+으면→알면 : ‘아르면’도 가능하다.

안(抱)+다→안따 : ‘안다’도 가능하다. 어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바다+와→바다와 : ‘바다과’도 발음 가능하다.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58쪽 [문제 4]

(8)

규칙적 교체 :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교체

2) 교체 성격에 의한 분류

비규칙적 교체 :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교체.

형태소나 환경의 목록을 일일이 나열할 수 밖에 없다.

적+는→정는 : 비음 동화로 어간의 교체 설명 가능(먹는, 잡는 등) 좋+은→조은 : 후음 탈락으로 설명 가능(좋아서, 놓은, 쌓은 등)

걷(步)다 : 걷따, 걷꼬, 걷찌, 거러서, 거르니 돕다 : 돕따, 돕꼬, 돕찌, 도와서, 도우니,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58쪽 [문제 6]

(9)

9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

work-worked-worked love-loved-loved

learn-learned-learned live-lived-lived

Study-studied-studied

go-went-gone read-read-read leave-left-left have-had-had sleep-slept-slept 걷다

걷다 (roll)

걷꼬 걷찌 거드니 거더

걷꼬 걷찌 걸으니 걸어 환경

+고 +지 +으니 +어

걷다 (walk)

묻다 묻다

(bury) 묻꼬 묻찌 무드니 무더

묻꼬 묻찌 물으니 물어 환경

+고 +지 +으니 +어

묻다 (ask)

뽑다, 좁다, 잡다, 굽다 / 돕다, 눕다, 춥다, 밉다, 곱다, 굽다 씻다, 솟다, 웃다 / 짓다, 잇다, 붓다, 낫다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59쪽 [문제 8]

규칙동사 불규칙동사

규칙동사 불규칙동사

(10)

음운론적 교체 : 교체 환경을 음운론적 정보만으로 규정할 수 있는 교체

3) 교체 환경에 의한 분류

비음운론적 교체 : 교체 환경을 음운론적 정보만으로 규정할 수 없는 교체.

형태소의 문법적 특성이나 어휘 정보 등이 포함.

주격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등

잡+는 → 잠는, 먹+는 → 멍는, 둗+는 → 든는 등

안+다 → 안따, 담+다 → 담따

알+ㄴ+다 → 안다, 먹+는+다 → 멍는다, 잡+는+다 → 잠는다 잡+아라, 불+어라, 가+거라, 오+너라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60쪽 [문제 10]

(11)

11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64쪽 [연습문제 2] (가), (나)

(12)

교체의 설명 방법

기저형 설정 음운 규칙 적용

이형태 도출

잎 +이 → 규칙 적용 없음 → 이피 잎 +도 → 음절말 평파열음화, 경음화 → 입또 잎 +만 → 음절말 평파열음화, 비음동화 → 임만

잎 입 임

(13)

기저형은 무엇이며,

어떻게 설정하는가

(14)

나,

국문과 2학년

나, 미대생

젓가락은 왜 ‘ㅅ’이고

숟가락은 왜 ‘ㄷ’이야?

ㅡ,ㅡ;;

젓가락은 집어 먹으니까

‘ㅅ’이고 숟가락은 떠서 먹으니까

‘ㄷ’이야

그건 어려워서 4학년 돼야

배워! 그럼,

‘수저’는?

???

...

(15)

15

기저형이란

하나의 형태소는 교체를 통해 여러 이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중 음운론적 측면에서 대표되는 형태를

기저형

이라 한다.

기저형에 음운 규칙을 적용했을 때

이형태들로 실현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이형태 1

→ 이형태 2

→ 이형태 3

저 형

→ 음운 규칙 1

→ 음운 규칙 2 → 음운 규칙 3

(16)

기저형은 어떻게 설정하는가

기저형 설정 방법

1) 먼저 실현되는 이형태 목록을 정리한다.

2) 각각의 이형태를 기저형으로 하여 나머지 이형태 실현을 설명해 본다.

3) 모든 형태로의 실현을 설명할 수 있는 이형태를 기저형으로 설정한다.

꽃+이 → 꼬치 (ㅇ)

꽃+도 → 꼳도 → 꼳또 (ㅇ) 꽃+만 → 꼳만 → 꼰만 (ㅇ)

꼳+이 → (구개음화) → *꼬지(Ⅹ) 꼳+도 → 꼳또 (ㅇ)

꼳+만 → 꼰만 (ㅇ) 꼰+이 → *꼬니 (Ⅹ) 꼰+도 → *꼰도 (Ⅹ) 꼰+만 → 꼰만 (ㅇ)

모두 설명

‘꼬치’ 설명 못함

‘꼬치, 꼳또’

설명 못함 꽃

꼳 꼰 1

)

+이 +도 +만

2

)

3

)

(17)

17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71쪽 [문제 1]

X+이→파치, X+은→파튼, X+도→팓또, X+만→판만, X+과→팓꽈 X+으로→파트로, X+이다→파치다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71쪽 [문제 2]

(가) 야트고, 야타, 야튼, 야트다, 야트면 (나) 얃꼬, 야타, 야튼, 얃따, 야트면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71쪽 [문제 3]

(가) 무루비, 무룹또, 무룸만, 무루븐, 무룹꽈, 무루브로 : knee (나) 1. 저시, 젇또, 전만, 저슨, 젇꽈, 저스로 : milk

2. 저지, 젇또, 전만, 저즌, 젇꽈, 저즈로

(다) 1. 흐기, 흑또, 흥만, 흐근, 흑꽈, 흐그로 : earth 2. 흘기, 흑또, 흥만, 흘근, 흑꽈, 흘그로

함께 해 봅시다 : 교재 171쪽 [문제 4]

(가) 1. 실코, 실터라, 시르니, 실른, 시러서, 시럳따 2. 싣꼬, 싣떠라, 시르니, 신는, 시러서, 시럳따

(나) 흘르고, 흘르더라, 흘르니, 흘르는, 흘러서, 흘럳따

(다) 싸코, 싸터라, 싸으니, 싼는, 싸아서, 싸아도

(18)

기저형 설정이 어려울 때는?

(19)

19

많은 형태소들이 기본형과 기저형이 일치

그러나 기본형과 기저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기본형 : 이형태들의 대표형

기저형 : 이형태들을 대표하되, 음운론적인 측면 고려

특히 비자동적 교체, 불규칙적 교체, 비음운론적 교체를 보이는 경우 기저형 설정이 어렵다.

이형태 간의 관계를 음운 규칙으로 설명

왜?

(20)

기저형의 설정이 어려울 경우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는 다음과 같이 교체된다.

<주격 조사의 경우> <목적격 조사의 경우>

꽃 + 이(자음 뒤) 꽃+을(자음 뒤) 나무 + 가(모음 뒤) 나무+를(모음 뒤)

불규칙적인 활용을 하는 용언도 기저형 설정이 어렵다.

+고 → 걷꼬, +다 → 걷따, +는 → 건는

+어서→거러서, +으니→거르니, +으면→거르면

걷-(步)

명령형 어미는 결합하는 형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먹-어라, 잡-아라, 오-너라, 가-거라

(21)

21

기저형 설정이 어려우면

이와 같이 이형태 간의 관계를 음운 규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엔

2) 분포가 비슷하면 임의의 한 형태를 기본형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 주격조사의 경우 ‘-이’ ▶ ‘걷다’의 경우 ‘걷-’ 또는 ‘걸-’

걷-(자음 앞)

걸-(모음 앞) 3) 이형태 각각을 기저형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 주격조사 : -이/가

1) 보편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형태를 기본형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 명령형 어미의 경우 ‘-어라’

(22)

음운론적 도출이란 무엇인가

(23)

23

음운론적 도출이란

음운론적 도출이란?

기저형에 음운 규칙을 적용하여 표면의 이형태(표면형)로 설명해 내는 과정

기저형 → 중간형1 → 중간형 2 → ∙∙∙ → 표면형

음운규칙1 음운규칙2 음운규칙’ 음운규칙”

기저형 중간형 표면형 꽃+만 → 꼳만 → 꼰만 음절말 평폐쇄음화 비음 동화

올바른 도출을 위해서는 규칙 적용에도 순서가 필요하다.

(24)

표면형 도출 과정을 통해

올바른 규칙 순서 정하기

(25)

25

잎 + 만 → 입만 → 임만 붙 + 는 → 붇는 → 분는 꺾 + 는 → 꺽는 → 껑는 빛 + 만 → 빋만 → 빈만 옷 + 만 → 옫만 → 온만

음절말 평폐쇄음화 비음동화

규칙 순서의 설정 1

(26)

읽 + 는 → 익는 → 잉는 밟 + 는 → 밥는 → 밤는 값 + 만 → 갑만 → 감만 없 + 는 → 업는 → 엄는 읊 + 는 → 읖는 → 읍만 → 음만

음절말

평폐쇄음화 비음동화 자음군

단순화

규칙 순서의 설정 2

(27)

27

규칙 순서의 유형

내재적 규칙 : 규칙 사이의 순서가 자동적으로 규정

A 규칙이 적용되지 않으면 B 규칙이 결코 적용될 수 없다.

외재적 규칙 : 규칙 순서를 인위적으로 규정

하나의 입력부에 두 개의 음운 규칙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잎+도 → 입도 → 입또(O) : 음절말 평파열음화 → 경음화(O) 잎+도 → 잎또(ⅹ) → 입또 : 경음화 → 음절말 평파열음화(ⅹ)

‘읽다’는 자음군단순화와 경음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 경음화 적용이 먼저 적용되면 : 읽다 → 읽따(O) → 일따(O) : 자음군단순화가 먼저 적용되면 : 읽다 → 일다(O) → 일따(ⅹ)

(28)

규칙 순서와 영향 관계

급여관계 : A규칙이 적용되어야 B규칙이 적용됨

출혈관계 : A규칙이 적용되어 B규칙의 적용을 막음

잎+만 → 입만 → 임만(O) : 음절말 평파열음화 → 비음동화(O) → 음절말 평파열음화 규칙과 비음 동화 규칙은 급여 관계이다.

‘알+는’는 ‘ㄹ 탈락’이 ‘유음화’를 막음 : 알 + 는 → 아는

→ ㄹ탈락 규칙과 유음화 규칙은 출혈 관계이다.

(29)

종합 연습

(30)

아래 도식은 ‘가지-+-어서’의 음운론적 도출 과정이다.

중간형을 찾아 보고, 적용될 음운 규칙의 적용 순서를 정해 보자.

j 활음화 활음 탈락

가지 +어서 중간형 가져서

종합 연습

표면형

가저서

(31)

31

아래 도식은 ‘깻잎’의 음운론적 도출 과정이다.

중간형을 찾아 보고, 적용될 음운 규칙의 적용 순서를 정해 보자.

사이ㅅ첨가 ㄴ 첨가 음절말 평폐쇄음화 비음 동화

+잎 중간형 깻잎 중간형 깯입 중간형 깯닙 깬닙

종합 연습

(32)

수고 많았습니다.

참조

관련 문서

스포츠 분야 매우 드물다 드물다 주종을 이룬다 문화 분야 주종을 이룬다 자주 있다 매우 드물다 사회 분야 자주 있다 주종을 이룬다 매우 드물다.

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은 배우자 형성과정에서 서로 다른 형질을 지배하는 대립유전자(A,a와 B,b)들은 독립적으로 분리된다는

태도에 대한 문항들은 단일차원성을 만족하고, 그 태도에 대한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 문항(진술)은 그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어야 한다. • 최선의

장단이 소리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소리의 차이가 장단을 가져오는 지는 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다...

(난방제어기 종류에 따라 전체외출 상태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난방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해당 버튼을 눌러

꿈과 목표의 크기에 따라 행동이 다르다... 계획은

방언은 단순한 말투나 어휘 정도만 다른 것이 아니라 발음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중국인들끼리도 알아듣지 못한다.. 따라서 중국은 공식적으로 표준어를 제정하였는데 ,

이에 대해 That’s a good idea.(좋은 생각이야.) 등으로 대답하는 것이 적절하다.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