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다 . 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 (unconscious mental grammar) 3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이다 . 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 (unconscious mental grammar) 3 1"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unconscious mental grammar)이다.

(* 학교에서 배우는 규범문법규칙과는 다르다.)

[Fromkin et al. 2013: 83]

• 통사규칙은 주어진 문장을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 통사규칙이 만들어 내는 문장은 모두가 적격(well-formed) 한 문장이며, 아울러 적격한 문장만을 생성한다.(‘all and only’ criterion)

예: ① 키가 큰 아이(O) ① the tall boy/girl(O)

② 아이 키가 큰(X) ② boy/girl the tall(X) ③ 큰 키가 아이(X) ③ tall the boy/girl(X)

우리의 머릿속(통사규칙)에는 ①과 같은 문법적인 연속체가 옳은 것으로 존재하는 반면, ②&③과 같은 비문법적인 연속체 는 배제하는 문장의 구조의 실체가 존재할 것이다.

(2)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정문을 만들고 비문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 얼마나 많 은 통사규칙이 필요할까? 아래의 경우 모든 경우에 대 한 개별적인 통사규칙이 필요할까?

예: ① 꽃이 예쁘게 피었다. 예쁜 꽃이 피었다.

작게 작은 초라하게 초라한 ... ...

예: ① 작은 아이+이/가 과자+을/를 먹는다.

⇩ ⇩ ⇩ ⇩

무서운

어른 호랑이

과자 토끼

산다 잡는다

NO! 우리의 머릿속에는 그렇게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문장 내에 동일한 위치에 올 수 있는 부류끼리 같이 묶여 있지 않을까?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3)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통사범주: 문법성을 잃지 않고 서로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 는 표현(a family of expressions that can substitute for one another without loss of grammaticality)[Fromkin 외 2013: 87]. The syntactic category of a word gives information about where it can appear in a sentence.[Fasold & Conner-Linton 2014: 108] ≒ 품사 (parts of speech, word class)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4)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어휘부에 이와 같은 정보가 없다면 우리는 정문과 비문을 구별하기 어렵다.

통사범주에 따라 단어를 분류(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어휘부(lexicon) 예: “물(水)”

① 발음: [mul]

② 뜻: 자연계에 강, 호수, 바다, 지하수 따위의 형태로 널리 분포하는 액체...

③ 통사범주: 명사

(*어휘부(lexicon):

사람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사전(mental dictionary))

(5)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 언어마다 품사가 다를 수 있는 것은 어휘들이 갖는 문법적 성질과 해당 언어의 문법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

예:

통사범주(syntactic category)

유형 통사범주 기호

lexical

명사 Noun N 학교, 소망, 구름, park, love, Korea 동사 Verb V 먹다, 가다, 놀다, have, work, think, be 형용사 Adjective A 착하다, 좋다, 붉다, red, blue, clean

부사 Adverb Adv 매우, 많이, 빨리, happily, really, often

functional

조사 Particle P 이/가, 을/를, 만, 도 전치사

Preposition P in, at, on, between, to, over, by 한정사

Determiner D 이, 저, 그, this, the, a/an

(6)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1) 예문: “A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① ② ③ ④ ⑤ ⑥ ⑦

모든 문장이 위와 같이 구성될까?

위 규칙은 수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eg. Children catches balls)

(7)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2) 보다 자연스러운 것끼리 묶는다면

“{A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NP NP

(8)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모든 문장은 {NP V NP}로 구성될까?

위 규칙은 수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eg. The small child ran.)

VP → V (NP)

(참고: 언어에 따라 V (NP)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9)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3) 문장규칙 3

① The small child catches a ball.

[적용]

S → NP VP :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

VP → V NP : The small child ‖ catches‖the red ball.

NP → D A N : The‖small ‖child ‖catches‖the‖red‖ball.

② The small child ran.

S → NP VP : The small child ‖ ran.

VP → V (NP) : The small child ‖ ran.

NP → D A N : The ‖ small ‖ child ‖ ran.

(10)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위와 같은 규칙들은 주어나 목적어가 수식어를 수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그리고 자동사와 타동사에 따라 달라지는 목적어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그리고 매우 간결 하게 표현할 수 있다.

우리의 정신문법 속에는 모든 문장이 하나하나 존재 하기보다는 어휘부와 위와 같이 문장(또는 구)을 만 드는 규칙의 형태로 들어 있지 않을까?

위의 규칙 외에도 다른 여러 규칙이 존재할 수 있다.

예) “The boy played in the park.”

추가 규칙: VP → V PP PP → P NP

(11)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1. 구절구조규칙은 인간의 다음과 같은 통사적 지식을 보여준다.

① 문장에서의 단어들의 수평적 순서

② 단어 또는 구의 통사범주

③ 통사범주의 계층구조(예: 문장은 명사구와 동사구로 구성되고, 동사구는 동사와 명사구로 구성된다.)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12)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2. 유한의 규칙으로 무한의 정문을 만들 수 있다.(Grammars are finite, language is not)[Fasfold & Conner-Linton 2014: 126]

① 언어를 만드는 문법의 수는 유한하다.

② 그러나 인간은 얼마든지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③ 그것은 위의 규칙들을 반복적으로 무한히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순환 규칙(recursive rules, 순환장치 recursive devices)

예: 나는 공원에서 친구를 만났다. → 나는 넓은 공원에서 키가 큰 친 구를 만났다. → 나는 잔디가 푸르고 넓은 공원에서 키가 크고 눈이 맑은 친구를 만났다.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13)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3. 구절구조규칙은 비문의 생성을 막고 정문만을 생성한다.

① The young boys planted some trees.(O) ② Boys young the planted trees some.(X)

⇒ NP는 (D) (A) N의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규칙의 위배

③ Planted the young boys some trees.(X)

⇒ S는 NP로 시작하고, NP는 (D) (A) N의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규칙의 위배. 동사는 NP에 포함되지 않음.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14)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4. 구절구조규칙은 단어군의 자연스러운 결합관계를 알려준다.

①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X)

②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X)

③ {The small child} {catches {the red balls}}. (O) ⇒ 문장 안에서의 단어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구성성분

(constituent)’라 한다.

5. 구절구조규칙은 구조적 중의성(structural ambiguity)을 해결해 준다.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 (아래 참조)

구절구조규칙

(phrase structure rule; ps rule)

(15)

생각해 봅시다 5

 어떤 단어의 결합이 구성성분이 되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음 문장에서 ‘a puppy’가 구성성 분이 됨을 증명해 보자.(Fromkin 외 2013: 84ff.)

① 자립 여부: What did you find?

② 대명사로의 대치:

Where did you find a puppy? I find in the park.

“John found a puppy and Bill too.”

③ 이동의 단위:

It was that the child found.

was found by the child.

“The child found a puppy.”

(16)

생각해 봅시다 5

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아래 문장에서 ‘in the park’가 구성성분이 됨을 증명해 보자.

“The child found a puppy in the park.”

(17)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문장은 내적구조를 갖는 계층구조이다.

문장은 내적구조가 없는, 구성성분들의 연결인 평면 구조(flat structure)인가, 아니면 내적구조를 가진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가?

“The child found a puppy.”

① [The child found a puppy]: 평면구조

② [[the] [child]] [[found] [[a] [puppy]]]: 계층구조

문장 안의 구성성분들이 모두 똑같은 정도의 긴밀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두 구성성분은 다른 구성성분들보다 더 긴밀하게 결합된다.

(18)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문장은 내적구조가 없는, 구성성분들의 연결인 평면 구조(flat structure)인가, 아니면 내적구조를 가진 계층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가?

문장을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상태의 구성성분까지 분석하 는 것을 직접(구성)성분분석(Immediate Constituent Analysis) 라 한 다 .(※ 직 접 구 성 성 분 (Immediate Constituent): 특정의 구조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성분)

[[[the] [child]] [[[found] [[a] [puppy]]]]

(19)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 PP

The

child

playe d

P N

Det P N

the park in

(20)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21)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 NP

The woman hit NP PP Det N

man with the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

P NP

Det N

umbrella an

(22)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23)

1 우리의 언어능력에 있는 통사규칙은 어떤 모습일까?

3

S

NP Det

VP

N VP PP

The woman

hit Det N man the

② ‘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

NP

umbrella an

V NP

with P

Det N

(24)

1 주요 개념 및 용어

4

문법, 정문, 비문, 통사규칙, Poverty

of the stimulus, LAD(언어습득장치),

통사범주, 어휘부, 구절구조규칙, 구성성

분, 계층구조, 직접성분분석, 순환규칙(언

어의 무한성), 구조적 중의성

(25)

9주차. 통사론 1: 문장만들기

(26)

형성평가

4 1

1) “통사규칙은 무의식적인 정신문법이다.”라는 말을 설명해 보자.

2) 다음 문장의 의미에 대해 말하라.

Our syntactic knowledge crucially includes rules that tell us how words form groups in a sentence, or how they are hierarch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one another(Fromkin 외 2011: 80).

(27)

형성평가

4 1

3) 다음 문장의 수형도를 그려보자.

① The child found a puppy in the park of the city.

② 봄이 오면 꽃이 피고 겨울이 오면 눈이 온다.

③ The boy saw the man with the telescope.

(28)

1 참고문헌

김현권 외(2010),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기동 외 역(1999), 「언어와 언어학: 인지적 탐색」, 한국문화사.

이철수·김준기(2000), 「언어와 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허용·김선정(2013), 「대조언어학」, 소통.

Crystal, 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Blackwell publishing.

Fasold, R. & J. Conner-Linton(2014)(eds.),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2nd edition, CUP.

Fromkin, V., R. Rodman & N. Hyams (2013), An Introduction to Language(9th edition)(「현대영어학개론」, 성낙일·박의재 역), Cengage Learning.

Matthews, P. H.(2014), Oxford Concise Dictionary of Linguistics, OUP.

Rowe, B. M. & D. Levine(2009), A Concise Introduction to Linguistics(2nd edition)(「초보자를 위한 언어학개론」, 장영준·유재기·박명관 역), Pearson Education, Inc.

Yule, G.(2006), The Study of Language(「율이 들려주는 언어학 강의」, 노진서·고현아 역), CUP.

참조

관련 문서

공식조직 속에는 작업관계나 일상적 과업수행과정에서 자생적으로 생성되는 비공식조직구조(informal structure)도 존재 한다.. ② 만능적인 경영자를 양성하는

[r]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무의식적인 원인제공」「무의식적인 조작」「원인제공」등 여러 가지 하위유형 이 존재함을 명확히 했다.또한 이들 하위 유형 중,「무의식적인 조작」의

[r]

 현재 디렉토리 클래스에 포함된 모든 요소(디렉토리 또는 파일)를 하나하나 꺼내서 그 사이즈를 합한다..  아래 코드에서, entry가 File의 인스턴스나

DB(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 또는 DC(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사용자는 매년 1회 이상 가입자에게 해당 사업의 퇴직연금제도 운영상황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