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20년 8월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체육교과과정과

학교스포츠 클럽과의 연계성 분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진 상 호

(3)

중학교 체육교과과정과

학교스포츠 클럽과의 연계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ol Sports Club

2020년 8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진 상 호

(4)

중학교 체육교과과정과

학교스포츠 클럽과의 연계성 분석

지 도 교 수 김 홍 남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체육교육)학위 심사논문으로 제출함.

2020년 4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진 상 호

(5)

진상호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송 채 훈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서 영 환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홍 남 인

2020년 6월

조 선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6)

목 차

목차 ··· ⅰ 표목차 ··· ⅲ ABSTRACT ··· Ⅳ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의 방법 ··· 3

4. 연구의 제한점 ··· 4

5.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1.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및 비교 ··· 7

가.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 7

나.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 9

다. 2007년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 11

라.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 12

마.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 13

바. 2011년,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 21

2. 학교스포츠클럽의 생성 ··· 23

3.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개념 ··· 25

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편성 및 운영 ··· 26

(7)

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역할 / 대회 ··· 27

가. 개인적 측면 ··· 27

나. 사회적 측면 ··· 29

다.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 32

5. 여가의 개념 ··· 34

Ⅲ. 연 구 방 법 ··· 37

1. 심층면담 조사 기법 ··· 37

2. 연 구 대 상 ··· 38

3. 연구방법과 절차 ··· 39

가. 심층면담 절차 ··· 39

나. 자료수집 및 분석 ··· 41

다.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 ··· 41

Ⅳ. 심층면담 결과 ··· 42

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 42

2.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한 사회성 함양 ··· 44

3.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장소 및 용기구의 적절성 ··· 46

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수업으로 연계 가능성 ··· 48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7

<부 록> ··· 61

(8)

표 목 차

<표-1> 여가활동 구성 체제 ··· 10

<표 – 2> 2007년,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 11

<표 - 3>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핵심역량 의미 ··· 12

<표 - 4> 체육과 본질과 역할 등의 구분 ··· 13

<표 - 5> 체육교과 역량의 의미 ··· 16

<표 - 6> 체육과 영역 내용 ··· 18

<표 – 7> 체육과 교과의 성치 기준 ··· 19

<표 - 8> 2011년,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 21

<표 - 9> 외국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 24

<표 - 10> 학교스포츠클럽 편성 및 운영 ··· 26

<표 - 11>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유형 ··· 32

<표 – 12>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규모별 분류 방식 ··· 33

<표 - 13> 학자별 여가의 정의 ··· 34

<표 – 14> 만족스러운 여가 활동 ··· 36

<표 - 15> 연구대상 ··· 38

<표 - 16> 심층면담 주요지표 ··· 40

(9)

ABSTRACT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ol Sports Club

JIN Sang-Ho

Advisor : Prof. Kim, Hong-Nam Ph.D.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re are many published papers and editorials that analyze the impact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on students, which began to reduce school violence.

Many research results show that schoolchildren suffer less violence as they play sports clubs, and that they can find ways to relieve stress from their studies and enjoy leisure time, thu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ir lifelong sportsmanship.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hat positively affect students' school lives, questions have arisen as to whether they can organize and operate regular programs for junio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will analyze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detail through a literature study on

(10)

academic papers o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subjects through an analysis of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a.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other schoolteachers who have worked at junior high schools for more than 10 years, investigate positive or negative views and problems about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examine whether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hich are operated as part of the club activities amo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an be organized into a regular program for junior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he accompanying spillover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as follows.

1. By organizing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to regular physical education subjects, problems such as tight places and shortages of containers and equipment can be solved.

2.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nd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regular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re similar.

3. Managing school sports clubs by organizing them into regular physical education courses can be a problem that schools need to solve.

(11)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신체적으로 급격한 변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심리상태 등 2차 성장이 일어 나는 시기의 청소년을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명명하며 육체적으로 넘치는 생체 에너지를 발산하지만 정신적으로 진정한 자아는 발견하지 못하는 불안정한 상태 이기도 하다.

현대 사회가 핵가족화 되면서 청소년기 올바른 가치관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해 교육을 담당하는 가족의 기능이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되면서 사회적으로 학교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만큼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가 치관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학교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학교에서도 많은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문제행동 등을 일으키는 사례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것이 현 재 학교의 모습니다. 이런 학생들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자 2012년 2학기부터 전국의 모든 중학교 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전면적으로 시 행하였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과 인성 에 대한 교육 강화로 뿐 아니라 건전한 학교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교육에 대한 환경 개선을 시도하였으며 지금까지도 활발하게 시행되어지고 있다(교육과 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대부분 학생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운동경기의 규칙준수 및 경기진 행 동안 상대팀과의 건전한 운동경기를 통해 페어플레이 등 인격을 도야하게 되 고 운동경기를 통해 상대팀을 이해하고 팀원과 협동 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배 우게 되며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하는 책임감을 형성하는 등 전 인육성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학술 논문 및 사설 등 을 통해 발표 되고 있다.

이처럼 청소년 시절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지식뿐만 아니 라 인성, 사회성, 전인육성을 위한 기회를 정규수업을 대신해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 우리 교육의 현 실태이다.

이런 부분들을 조금이나마 개정하기 위해 현재 교육부에서 제시한 학교스포츠클

(12)

럽활동의 운영 및 편성을 살펴보니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활동 시간에 편성하거나 학년별 연간 34 ~ 68시간(총 136시간) 운영하 며, 매 학기 편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학교 연건에 따라 연간 68시간 운영하는 학년에서는 34시간 범위 내에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체육으로 대체 할 수 있 고, 교과(군)별 시수의 20%범위 내에서 감축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조 절하고 확보하여 편성 및 운영되고 있다(교육부, 고시 제2013-7호).

이처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시간 편성을 체육교과 시간에 반영하여 운영 할 수 도 있도록 지침에 명시되어 있으며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학생들 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부분을 기존의 체육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 석해 보니 어느 정도 일치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가(체육교사, 타 교과 교사)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체육교과 정규수업에 반영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들 입장에서 느끼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생들에 게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견해를 듣고,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의 일부로서 진행되 어지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시간 편성 및 장소 등의 적절성을 알아보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교 체육 정규수업에 반영되어 운영 가능 여부와 그 에 따른 효과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13)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체육교사 및 타 교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 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견해에 대해 알아보고, 창의적 체험활동 중 동아리 활동 시간의 일부로 운영되어지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중학교 체육교과 정규 과정에 편성하여 운영 할 수 있을지 그 가능 여부 및 그 파급 효과에 대해 알아 보는 것이다.

3.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학교 현장에 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현재 중학교 체육교육 정규과정에 편성하여 운영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 기존 체육교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체육교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된(인터넷, 문서 등) 국가 교육과정 중 기존 체육교과 교 육과정과 2015년 개정 체육교과 교육과정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확인 한다.

둘째 : 문헌연구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개념, 역할 등에 대한 분석이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타난 학교생활의 적응과 인성의 변 화 등에 대해 분석한 학술 논문, 사설, 보고서 등을 조사하고 활용한다. 특히, 학 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분석한 학술논문, 사설 등 모든 문헌들을 기초로 활용한다.

(14)

셋째 : 전문가(체육교사, 타 교과 교사)에 대한 심층면담 조사이다.

본 연구는 교사 경력 및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관찰 경력이 10년 이상 된 광주 광역시 및 전라남도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체육 교사 및 타 교과 교사 10명을 대 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로서 경험하고 느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효능성 과 문제점, 운영 및 개선방안 등을 연구하기 위한 질적 연구를 실시한다.

넷째 : 심층면담을 통한 얻은 질적 자료를 분석한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 고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분석과 설명은 앞서 면접(인터뷰)결과의 내 용을 기초로 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종합 정리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것이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가 진행되면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 및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가.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학위 논문 및 사설 등과 같은 문헌 연구와 일부 전문가(체육교사, 타 교과교사)들의 입장에서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느끼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효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나.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시행되고 있는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을 체육교과 정규수업에 편성하여 운영 할 수 있다는 주장은 학교 운영 및 타 교과과목의 이해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15)

5. 용어의 정의

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신체 활동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 요소를 종합적으로 체험하여 신체 활동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이를 삶 속에서 실천 할 수 있는 인간상을 추구하며 체육과의 역량은 신체 활동을 체험하고 그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습득되는 지식, 기능, 태도를 포괄하는 총체적 능력이 며, 신체 움직임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건강관리 능력, 신체 수련 능력, 경기 수 행능력, 신체 표현 능력으로 구성된다(김예은, 2018).

나. 학교스포츠 클럽

‘학교스포츠클럽’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체력을 증진 시키고 활기찬 학교 분위기를 형성을 도모하고자 2007년 일선학교의 시범 운영 을 거쳐 전국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학생들의 자율체육 활 동의 활성화을 통해 건강 및 체력을 증진 시키고, 활기찬 학교 분위기 형성을 위 해 운영되고 있는 체육동아리 활동을 ‘학교스포츠클럽’으로 체계화 하였다(교육 과학기술부, 2009).

다. 창의적 체험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은 국가수준의 초․중등(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서 교과 이외의 활동을 말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창의적 체험활동 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 고 영역별 활동으로 자율 활동은 자치․적응 활동과 창의주체 활동 등이며 동아리 활동은 예술․체육 활동, 학술문화 활동, 실습노작 활동, 청소년 단체 활동 등이 고, 봉사활동은 이웃돕기 활동, 환경보호 활동, 캠페인 활동 등이며 진로 활동은 자기이해 활동, 진로 탐색 활동, 진로 설계 활동 등이다(교육부, 2016).

(16)

라. 여가활동

여가활동은 시대와 국가, 생활환경, 문화 등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어 다양하 게 정의되는데, 개인이 노동과 가사 활동 및 기타 사회적 의무와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황 속에서 기분 전환, 휴식, 자아실현은 물론 사회적 성취를 위해 이 루어지는 모든 활동과 시간을 의미하고 경제 활동 이외의 시간으로 사회와 문화 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 충전, 휴식, 다양한 취미활 동, 개인의 자유 시간에 자유의지에 의해 이행하는 내적 보상이 가능한 활동 등 을 말한다(박성민, 2014).

마. 학교생활의 만족

학교는 청소년기에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전인 발달을 위한 장소로서, 학 교생활 만족도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행복과, 만족감을 느끼는 감정을 말한다. 또 한 학교에서 체감하는 과거의 경험, 현재의 상황, 그리고 미래에 대한 예측 등과 관련한 외부에 대한 호의적이거나 비호의적인 느낌이나 태도의 정도를 의미한다 (노동준, 2011). 학생들의 사회적 구조를 검토하는 데 있어 학생들이 그들의 환 경에서 느끼는 일반적인 만족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김석성, 2006).

(17)

Ⅱ. 이론적 배경

1.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및 비교

가.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란 초 ․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2007년 2월 28일 고시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의미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 수시개정 체제’의 도입에 따라 교육과정이 전면 개정이 아닌 수시 개 정으로 교육과정 정책이 전환되기 시작했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은 2010 학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어 왔다(박성민, 2014).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 정은 제7차 교육과정이 1997년 고시된 후 체육과 내적 ․ 외적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되어 개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유정애, 2012, 재인용).

이런 상황에서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싸고 있는 국가적 ․ 사회적 요구와 체육과 내부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발전된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으 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개정되었다(유정애, 2012).

개정 방향을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체육 교육의 철학이 근본적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공통적인 특징은 기존의 ‘건강 및 체력 증진을 위한 스포츠 기능’(sport skill)에서 ‘활동적인 삶(active lifestyle)을 위한 라이프기술’(life skill)로 체육 교육의 철학이 변화하였다(박성민, 2014). 이에 체육과 교육과정 철학도 신체활 동 가치 중심 교육과정으로 전환되었고 체육의 인문성과 예술성이 강화되었다.

체육의 과학성과 예술성의 공존은 오래 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 설명되었고 체육 지도자 대부분은 신체활동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수행하면서 과학성과 예술성의 공존을 인식하고 있지만, 이러한 내용을 국가 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에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은 다소 미흡했다(김흥식, 1998).

한편, 2007년 이전 국가수준의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을 체육교과 수업을 위한 내용 및 체육 활동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18)

교육과정의 재 개념화를 통해 축구, 농구, 배구 등과 같은 제한적인 스포츠 종목 에 국한시키지 않고 학교 와 체육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권을 강화하였는데, 체육교사들이 체육 교육과정을 직접 개발하고 운영 할 수 있는 ‘진정한 교육과정 개발자 및 운영자로서의 참여 기회’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되었다(유정애, 2005).

그리고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연 계성을 확보하고 각 항목의 의미와 방향성을 명료화하여 제시하였으며 체육과 교육과정 항목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정 내용을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영역을 5가지(건강 활동, 도전 활동, 경쟁 활동, 표현 활동, 여가활동)로 일원화 하였다(박성민, 2014). 이 5가지 신 체 활동 가치 영역은 신체 활동의 수행 목적을 기준으로 시대성을 고려하여 설 정하였으며, 내용 영역의 일원화를 통해 교육 내용의 적정화도 함께 도모하였고 교육 내용의 계열성을 강조함으로써 초 · 중등학교에서 모두 동일한 신체 활동 가치 영역을 지도하며, 초등학교에서는 신체활동 가치의 기초 교육을 담당하고, 중학교에서는 신체활동 가치의 심화교육 담당을 제시하였다(박성민, 2014).

결과적으로 모든 학년에서 같은 신체 활동의 가치 영역을 필수적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각 학년 내용에서는 동일한 개념이나 운동 능력 등을 다르게 제시함으로 써 내용의 반복성을 줄이고 계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체육과 내용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을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다(유정애, 2012).

(19)

나.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2007개정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다시 개정하게 된 교육과정으로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체육과의 내적인 요 구 보다는 외적인 요구에 중점을 두고 총론 개정의 변화에 맞추어 추진되었다.

개정 배경을 살펴보면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총론 부분의 외적 요구 수용과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적 요구의 변화에 대한 요구를 수용 하였다. 외적 요구의 수용은 학년군 단위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여 교육과정 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중복 학습 예방 등의 효과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교육과 정 내용을 적정화하고 연계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었으며, 창의 · 인성 교육 등 국가 · 사회적 요구 사항을 반영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유정애, 2012). 내적 요구로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이나 위계성에 대한 보완 요구가 있었고,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을 지도하기 위해 신체활동을 선택, 활용하는 것에 대한 안내를 보완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유정애, 2012).

주요 개정 내용으로는 문서 체제의 변화이다. 교과서의 ‘성격’항목이 삭제되었 으며, 학년군으로 통합된 편성, 운영 체제에 따라 교육과정의 구조가 설정되도록 하였고 학년별, 영역별, 내용별 성취기준의 형태로 기술되도록 수정하였다(박성 민, 2014). 그리고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력, 정보 활용 능력 등과 같은 고등 정신을 기르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성 교육을 강화하는 방법으로써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등에 적극적으로 창의

· 인성 요소를 반영하였으며, 건강 활동, 도전 활동, 여가활동의 중영역과 내용 요소 수준에서 통합 및 조정과 같은 재구조화가 이루어졌다(박성민, 2014).

그 중 여가활동은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라 <표-1>와 같이 사회 와 여가, 자연과 여가, 지구촌 여가로 나누어진다. 사회와 여가는 청소년기 여가 의 이해와 일상적 여가활동 계획 및 실천을 하고 여가활동의 감상과 더불어 여 가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고 모든 정신을 집중하는 몰입의 태도를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박성민, 2014).

(20)

여 가 활 동

↙ ↓ ↘

사회와 여가 자연과 여가 지구촌 여가

· 청소년기 여가의 이해

· 일상적 여가활동 계획 및 실천

· 여가활동의 감상

· 흥미와 몰입

· 자연형 여가의 이해

· 자연형 여가활동 계획 및 실천

· 여가활동의 감상

· 공존

· 지구촌 여가의 이해

· 지구촌 여가활동 계획 및 실천

· 여가활동의 감상

· 개방성

<표-1> 여가활동 구성 체제(김혜원, 2018).

또한 2011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 등 교육과정 체 제 및 운영 방안의 요구를 반영하여 ‘방법’및 ‘평가’항에 대한 구체화와 정련화가 되었다(유정애, 2012). 2011개정 체육과 교육과정보다 많은 종목을 비슷한 활동 들로 묶어 중 영역별로 제시하였고, 용어도 ‘신체 활동의 선택 예시’에서 ‘신체 활동의 활용 예시’로 보완되었다(박성민, 2014). 또한 고등학교 1학년 ‘체육’교과 는 중학교 체육에 통합하였으며, 고등학교는 보통 선택과 심화 선택의 구조로 편 성되어, 일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체육과 과목으로는 보통 선택 과목인 운 동과 건강생활, 스포츠 문화, 스포츠 과학의 세과목이 개설 되는 등 선택 교육과 정의 내용체계가 개선되었다(교육부, 2011).

마지막으로 전문 과목을 구성하여 체육계열로 진로를 원하는 학생들은 보다 체 계적인 전문 기초 교육을 통해 체육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였다(유정애, 2012).

(21)

다. 2007년,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2007년과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문서체제의 구성을 비교해 보면 성 격에서 2007년은 하위 항목이 없고, 2011년은 방향과 역할, 추구하는 인간상, 신체활동의 가치영역의 하위 항목을 제시하여 시각적 효과를 도왔고, 목표는 2007년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로 분류하였으나 2011년 개정에서는 학년군으로 개편하였다. 세부내용은 <표-2>와 같다.

구 분 2007년 개정 체육과 2011년 개정 체육과

성 격

· 방향과 역할

· 추구하는 인간상

· 신체활동의 가치 영역

목 표

· 총괄목표 - 초등학교 - 중등학교

· 총괄목표 - 3~4 학년 - 5~6 학년 - 7~9 학년

내 용 · 내용 체계

· 학년별 내용

· 내용 영역의 방향과 구조

· 내용 체계표

· 학년군 내용 기준

· 신체 활동의 선정 기준 교 수

/ 학습방법

· 교수 / 학습의 방향

· 교수 / 학습의 계획

· 내용 영역별 지도

· 교수 / 학습의 방향

· 교수 / 학습의 계획

평 가

· 평가의 방향

· 평가의 계획

· 내용 영역별 평가

· 평가의 방향

· 평가의 계획

· 내용 영역별 평가 기준

<표-2> 2007년, 2011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이원희, 2010).

(22)

라.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2015년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지1]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학교의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해 학교에서 편성 및 운영해야 하는 교육과정의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최신지, 2019).

핵심역량 의 미

자기관리 역량

·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 보를 처리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 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사람 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역량

의사소통 역량

·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역량

공동체 역량

·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 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역량

<표-3>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핵심역량과 의미(교육부, 2015).

(23)

마.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1) 체육교과의 성격

체육교과의 성격은 ‘신체활동을 통해 체력 및 운동 능력을 비롯한 건강하고 활기찬 삶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사회 속에서 바람직한 인성을 발휘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체육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는 교과’로, 체육과 본질과 역할, 체육과 역량, 체육과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차정은, 2018).

구 분 의 미

체육과의

본질과

역 할

· 신체활동은 ‘체육’을 타 교과와 구별 지을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체육과에서는 신체활동을 교육의 본질이자 교육의 도구로서 활용한다

· 체육 교과 교육은 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기본 움직임, 원리, 기능 , 전술, 태도를 포함한 종합적인 운동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교과 고유의 학습 과정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며 바람직한 품성과 사회성을 함양하고 개인적으로는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 습관 및 태도와 더불어 자기 관리 능력과 대인 관계 능 력, 창의력 및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기르게 된다. 특히, 체육 교과는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신체활동이 어떠한 문화적 의미를 가지며 신체활동에 관한 바람직한 행동 양식을 무엇인지, 어떻게 질 높은 신체활동을 향유하고 감상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안목과 실천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과로서 의의를 지닌다.

<표-4> 체육과 본질과 역할 등의 구분(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4)

구 분 의 미

체육과

역량

· 체육과의 역량은 신체활동을 체험하고 그 가치를 내면화 하는 과정을 통해 습득되는 지식, 기능, 태도를 포괄하 는 총체적 능력이며, 신체 움직임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건강관리 능력, 신체 수련 능력, 경기 수행 능력, 신체 표 현 능력으로 구성된다.

체육과 영역

· 신체활동의 체험과 가치 내면화를 도모하는 체육과 교육 과정에서는 건강의 가치, 도전의 가치, 경쟁의 가치, 표현 가치를 중심으로 체육과 교육 목표 및 내용을 구성하 고 있으며, 체육과의 다양한 학습 내용 요소를 신체활동 가치로 범주화하여 건강, 도전, 경쟁, 표현의 네 영역을 설정하였다. 여기에 당면한 국가교육의 방향과 초․중․고등 학교 교육에서 담당해야 할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건강 영역 내용의 일부분인 안전 관련 내용을 영역으로 독립하여 추가, 구성하였다. 따라서 체육과 영역은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설정되었 다. 체육과 영역 학습은 궁극적으로 체육 교과교육을 통 한 역량의 함양을 추구한다.

<표-4> 체육과 본질과 역할 등의 구분(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25)

2) 체육교과의 역량

체육과의 역량은 신체활동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인 신체 움직임 능력을 바탕으 로 한 건강관리 능력, 신체수련 능력, 경기수행 능력, 신체 표현 능력으로 제시 한다.

‘건강관리 능력’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환경적 건강을 함께 도모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사회·환경적으로 모두 조화롭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 록 일상생활이나 신체활동 상황 속에서 질서와 공동체 의식과 신중하고 절제된 태도로 문제를 해결하는 의식을 갖도록 한다(교육부, 2016).

‘신체수련 능력’은 자신의 신체적 수준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면서 신체활동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여 높은 수준의 신체적 기량을 습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도전 하는 과정에서 가능성을 발견하고 성취의 기쁨, 자신감, 도전 정신 등의 자기계 발 역량을 갖추게 된다 또한 수련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한계를 극복 하기 위한 문제 해결의 과정이 요구되어 삶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 자질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교육부, 2016).

‘경기수행 능력’은 게임 등 경쟁상황에 적합한 전략과 기능을 발휘해 개인이나 공동의 목표를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주로 경기를 수행하는데 필요 한 신체 움직임 능력, 문제해결 능력, 상황 판단력, 협동, 책임감, 공정성, 배려 등의 태도를 포함한다 특히 참여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조절하고, 타인을 고려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써 필요한 바람직한 자질인 공동체 의식 및 의사소통 능력, 대인 관계 능력이 발달할 수 있다(교육부, 2016).

‘신체표현 능력’은 신체 움직임을 통해 내면의 감정이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 현하는 능력으로, 움직임을 매개로 창의적이며 심미적인 주제를 구성하고 신체로 표현된 것을 심미적 또는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신체 움직임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의 신체 표현에 대해 공감하는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문화를 수용 하고 향유할 수 있는 안목을 형성할 수 있다(교육부, 2016).

(26)

구 분 의 미

건강 관리 능력

· 신체 건강과 체력 증진, 여가 선용 등의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을 도모하고, 건전한 사회와 안전한 환경을 구성, 유지 할 수 있는 합리적 사고와 태도를 배양할 수 있는 능력

신체 수련 능력

· 자신의 신체적 수준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면서도 지속적이 고 적극적인 신체 수련 노력을 통해 새로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

경기 수행 능력

· 게임, 스포츠 등 유희적 본능을 바탕으로 하는 경쟁 상황 에서 적합한 전략과 기능을 발휘하여 개인 혹은 공동의 목 표 달성을 위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

신체 표현 능력

· 신체와 움직임을 매개로 하여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수 용하는 능력

<표-5> 체육 교과 역량의 의미(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7)

3) 체육과의 영역

체육과의 영역은 체육과에서 배워야 할 학습 내용 요소를 신체활동을 통해 가르치 고 범주화하여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의 영역으로 설정되었다.(차정은, 2015).

구 분 의 미

건 강

· 개인의 생명과 안전의 확보로 활기차고 에너지 넘치는 삶 을 추구하는 데 밑거름이 되며, 사회가 온전히 유지되고 발 전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고 가치이다.

· 건강 영역은 신체의 성장과 발달, 신체활동과 생활 습관, 체력의 증진과 생활 속에서의 위생, 질병, 영양, 신체적 여가 활동 등과 관련된 건강을 이해하고, 건강을 자기 주도 적으로 실천, 관리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영역이다.

도 전

· 자신의 신체적 수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목표 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성장하는 가치이다.

· 도전 영역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수련을 통해 자신이나 타인의 기량, 기록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체적 수월성을 추구하는 신체활동에서의 도전의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영 역 이다.

· 이 영역은 윤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에 이르기까지 신체의 단련 및 정신적 수양을 끈기 있게 지속하여 한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진취적 태도를 기르도록 구성된다.

<표-6> 체육과 영역 내용(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8)

구 분 의 미

경 쟁

· 개인이나 집단 간의 능력을 서로 겨루는 상황에서도 서로 협력하며 상대를 배려하고 정정당당하게 경기에 임하는 가 치이다.

· 경쟁 영역은 다양한 경쟁 상황과 방식의 신체활동을 통해 집단 내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는 경쟁 과정을 경험하고 페 어플레이와 스포츠맨십 등의 협동과 공정한 태도를 길러 건 강한 미래 사회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기초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영역이다.

표 현

· 신체와 그 움직임이 갖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신체와 움 직임을 통해 감정과 생각을 나타내고 수용하는 긍정적 상호 작용에 대한 가치이다. 표현영역은 인간의 움직임 욕구와 심미적 표현 의지를 신체 표현을 통해 충족하여 의사소통의 질을 높이고 원활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보다 풍성한 삶을 향유 할 수 있는 기본적 정서와 심미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영역이다.

안 전

· 삶의 가장 기초가 되는 생명 유지를 위해 필요하며, ‘건강’

가치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안전 영역은 신체활동에 서의 안전에서 시작하여 나아가 안전 의식의 함양으로 개인 적, 사회적 안전의 확보를 위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태도 와 실천력을 기를 수 있는 영역이다. 체육 교과 교육에서 신체활동과 연계된 안전 교육은 중요한 교육 내용이다.

또, 국가 교육과정의 방향과 요구를 반영하는 측면에서 체 육 교과내용에 안전 교육 관련 내용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표-6> 체육과 영역 내용(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9)

4) 체육과의 성취기준

체육과의 성격에 대한 제시 영역인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안전 영역의 내용체 계 및 성취기준은 아래와 같다(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구 분 내 용

건 강

· 건강 영역은 건강과 신체활동의 관계를 이해하고 그 중요성을 내면화하여 다 양한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과 체력 관리 방법 을 탐색하고 실천함으로써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 증진 시 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건강과 신체활동 및 생활환경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에 필요한 체력을 측정, 분석하여 자신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다양한 신체적 여가 활동을 통해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건강관리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도 전

· 도전 영역은 자신과 타인의 신체적 기량을 파악하고, 구체적 인 목표를 설정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극 복 할 수 있는 도전 정신과 수련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 다. 다양한 도전 활동의 경기 유형, 역사, 특성을 폭 넓게 이해 하고, 도전 활동에 필요한 기능, 원리, 방법, 전략 등을 학습 하여 이를 실제 도전 과제에 적용하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 결 해 나갈 수 있는 능력과 바람직한 도전 정신을 통합적으로 학습하여 신체 수련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

표-7〉체육과 교과의 성취기준(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0)

구 분 내 용

경 쟁

· 경쟁 영역은 신체활동을 통해 경쟁과 협동의 원리를 이해 하 고, 경쟁 스포츠 상황에 적합한 기능과 전략을 발휘하여 개인 또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 호 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경쟁 활동의 경기 유형, 역사, 특성을 폭넓게 이해하고, 경쟁 활동에 필요한 기능, 원리, 방법 등 을 학습하여 이를 실제 경기에 적용하며 창의적인 경기 전 략 구상과 문제 해결력, 바람직한 대인 관계 방법 등을 학습하 여 경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표 현

· 표현 영역은 신체 표현의 다양한 양식과 문화를 심미적, 비판 적으로 수용하고, 몸의 움직임과 원리를 이해하여 자신의 생각 과 감정을 아름답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타인과 소통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신체 표 현 활동의 유형, 인물, 기록, 사건 등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폭넓게 이해하고, 표현 동작과 원리를 학습하여 이를 신체 움 직임으로 수행하며, 작품 을 구성, 발표 및 감상하면서 독창성, 공감, 비판적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신체 표현 능력을 함양 하도로 한다.

안 전

· 안전 영역은 스포츠와 안전의 관계를 이해하고 스포츠 활동에 서 발생 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의 유형과 그에 따른 예 방 빛 대처 방법을 학습하여, 스포츠 활동에서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한편, 안전사고 발생 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스포츠의 유형별, 상 황별 안전사고를 폭넓게 인식하고, 사고 발생 시 상황을 올바 르게 판단하고 신중하게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학습이 중요하다.

<

표-7〉체육과 교과의 성취기준(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1)

바. 2011년,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

2011년과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구성을 비교해 보면 총론에서 2011년 은 창의적 인재양성 및 전인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강화했는데 2015년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강조하였으며 활동부분에서는 2011년 활동이 란 용어가 2015년에는 영역이란 용어로 변경되었고 성취기준 등도 개편하였다.

세부내용은 <표-8>과 같다(미래앤, 2017).

구 분 2011년 개정교육과정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 론

· 창의적 인재양성

· 전인적 성장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강화

· 국민 공통 교육과정 조정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 자율 강화

·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대학 수능시험 제도 개혁유도

·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

· 모든 학생이 인문, 사회, 과학, 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 함양

· 학습량 적정화,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을 통한 핵심 역량 함양교육

· 교육과정과 수능, 대입 제도 연계, 교원 연수 등 교육 전반 개선

<표-8 >2011년,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미래앤, 2017).

(32)

구 분 2011년 개정교육과정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 5개 활동 구분

- 건강 활동, 도전 활동,

경쟁 활동, 표현 활동,

여가활동

· ‘활동’이 ‘영역’으로 변경

· ‘여가 활동’이 ‘건강 영역’에 포함

· 5개 영역 구분, ‘안전 영역’

신설

- 건강 영역, 도전 영역, 경쟁 영역, 표현 영역, 안전 영역

· 도전 활동

- 중 영역 ‘기록 도전’, ‘동작 도전’,

‘표적 / 투기 도전’

· 도전 영역

- 표적 / 투기 도전의 표적이 기록 도전에 포함

· 표현 활동

- 심미 표현 활동

· 표현 영역

- 심미 표현이 스포츠 표현으로 변경 성 취

기 준 · 성취기준 81개 · 성취기준 54개

<표-8 >2011년, 2015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미래앤, 2017).

(33)

2. 학교스포츠클럽의 생성

청소년들의 과도한 학습량, TV시청, 컴퓨터 게임 등으로 인해 체력저하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청소년 체형 ․ 체력 분석결과 신장과 체중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체력은 점진적으로 약화되고 있으며, 학교 운동부 위주의 대회개최와 입 시위주의 생활패턴으로 인해 일반학생들의 신체활동의 감소에 따른 건강상태 및 체력저하가 악화되어가고 있다(마혜영, 2013).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은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 (현 교육부)에서 그동안 학교 내에서 비조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체육동아리 활동들을 ‘학교스포츠클럽’이란 명칭으로 교육청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정부에서 도입하였다(박채정, 2017). 스포츠 선진국인 프랑스, 일 본, 호주, 독일, 미국, 영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시행하고 있는 스포츠클럽활 동을 통해서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인성 발달과 건강, 심리적 안정과 사회성 함양, 그리고 엘리트 스포츠의 근간을 마련하는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에 서도 청소년기에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의 해결방법을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찾 을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2007년에 ‘학교스포츠 클럽’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 용하면서 학교 현장에 도입하게 되었다(박채정, 2017).

한편,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일본,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 스 포츠클럽을 도입하여 청소년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을 함양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13).

(34)

구 분 주 요 내 용

미 국

· 방과 후 학교스포츠프로그램(축구, 야구, 농구, 줄넘기 등) - 참가비율(07년) : 초 24.1%, 중 25.9%, 고 21.6%

· 시즌별, 수준별 시합

- 봄(야구), 가을(미식축구), 겨울(농구) 등 - 상, 중, 하 로 구분하여 수준별 시합

호 주

· “건강하고 활기찬 호주 만들기” (04년) - 방과 후 지역사회 스포츠클럽 운영

- 유소년(5 ~ 12세)에서 매일 15 ~ 17시까지 스포츠 활동 참가 권장

독 일

· 학교 및 지역별 클럽간의 연계, 학교스포츠 포상, 학교스포츠클럽 대항전 등

· “Sport nach” 1(오후 1시부터 운동하기)

· 학교스포츠클럽 대항전

- 16개 종목, 75,776팀, 825,806명 참가

일 본

· 중고생 ‘부활동’ 참여

- 방과 후 교사의 지도하에 자발적으로 운영 (중학생 : 64.9%, 고등학생 : 40.7% 참여)

· 종합형 지역 스포츠클럽 운영

<표-9> 외국의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교육부, 2013).

(35)

3.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개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란 기존 학교에서 방과 후 활동으로 실시되어지고 있던 체육 프로그램으로 체육 동아리, 과외 체육, 방과 후 체육활동 등을 모두 포함한 다.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여 학생 누 구에게나 개방되어진 스포츠 활동으로 ‘보는 스포츠’에서 ‘하는 스포츠’로 전환하 고 체력향상, 운동부의 문제와 일반학생들의 체육활동 침체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체육 활동이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이에 교육과학 기술부는 2012년 2학기부터 중학생의 학교교육과정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도입하였고 학년별로 연34 ~ 68시간을 편성하여 수업을 운영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학교 정규 교육과중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 활동으로 규정된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36)

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편성 및 운영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편성 및 운영을 통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신체 단련과 정신적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 분 편 성 및 운 영 방 법

학 교

스포츠

클 럽

편 성

운 영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으로 편성한다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학년별 연간 34 ~ 68시간(총 136시 간)운영하며, 매 학기 편성하도록 한다. 학교 여건에 따라 연 간 68시간 운영하는 학년에서는 34시간 범위 내에서 학교스 포츠클럽 활동을 체육으로 대체 할 수 있다.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시간은 교과(군)별 시수의 20% 범위 내에서 감축하거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를 조절하여 확보한다.

다만 여건이 어려운 학교의 경우 68시간 범위 내에서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확보할 수 있다.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종목과 내용은 학생들의 희망을 반영 하여 학교가 정하되, 다양한 종목을 개설함으로써 학생들의 선택권이 보장되도록 한다.

<표-10> 학교스포츠클럽 편성 및 운영(교육부, 고시 제2013-7호).

(37)

4.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역할 / 대회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학교 안, 밖에서 스포츠 활동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입시위주의 생활패턴, 학교운동부 중심의 엘리트 체육과 성인 중심의 생활 체육으로 인해 일반 학생들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기 힘든 실정이다(이재민, 2012).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학교스포츠 클럽은 약 7년이라는 시간 동안 학교현장에서 실시되면서 청소년들의 건강증진과 활기찬 학교생활의 적응을 위한 많은 역할을 해오고 있다.

가. 개인적 측면

1) 개인의 건강 증진

과도한 학업량 및 지나친 대입 경쟁 등으로 인해 신체활동이 감소되면서 체 중 증가 및 체력저하가 야기되고,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지수가 성인보다 높게 나 타난다고 한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학교, 가정, 사회적으 로 청소년들의 건강을 위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가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한 검토 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시행되면서 조금씩 학생들의 학교 생활 태도가 변화되는 것을 느끼게 되었고 지금까지 실시 된 많은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더라도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신체적으로 건 강해지고 정신적으로 올바른 가치관 등을 형성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종합해 보면 청소년기의 체육활동은 학생들의 체중 조절과 만성질환의 예방은 물론 자신감을 포함한 심리적 측면, 건강한 체력, 정 신적 측면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김영택 외 7인, 2006).

(38)

2)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

청소년기에는 학업 및 자기 정체성의 혼란으로 인해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 는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지속적인 운동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증 과 같은 정신질환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 운동 참여 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고 있다(정혜영, 2016).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 활동 참여자가 운동 후 기분이 좋은 정서 상태를 경험하고, 활력감이 증진 되며,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켜,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 타내고 있다고 보고하였다(정혜영, 2016). Harburg(1979)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안으로 삭히기 보다는 이것을 운동과 같은 역동적인 활동을 통해 바깥으로 표출 하는 것이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처하는 적극적인 방법이라고 하였다(임왕택 , 2015).

3) 자신감과 성취감 함양

자신감이란 어떤 일에 임할 때, 그 일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마음 상 태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성공에 대한 확신이라고 할 수 있다(김중언, 2001).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시 어려운 상황에 서도 쉽게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도전하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누구나 자신의 잠재된 능력을 알게 되고,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체육활동을 통해 얻은 성취감과 자신감 은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쉽게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임왕택, 2015).

(39)

나. 사회적 측면

1) 공동체 및 사회성 함양

청소년들은 서로 다른 성향과 특징을 가진 학생들과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함으로써, 신체적 건강 및 스포츠 기술의 습득과 더불어 팀의 구성원으로 자신과 다른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 윤리적 문제를 극복 할 수 있는 기술과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교스포츠 클럽에 참여하는 많은 학생들은 학교스포 츠클럽 활동 안에서 팀 정신 및 규칙과 규율을 지켜야함을 배우고, 팀 동료, 상 대팀, 심판, 코치, 관중 모두를 존중해야한다는 것을 배우고 이 모든 것을 실천 하기 위해 자기 책임감, 자기 통제력, 팀워크, 리더십, 자신감, 자기 훈련, 대처 기술, 계획 기술 등을 발달시키게 된다(Perkins, 2000). 다시 말해, 학생들이 학 교스포츠클럽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체험들은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한다(한덕규, 2014, 재인용).

학교스포츠클럽을 통해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고 정서적, 심리적 해결책을 찾아간다. 또한 다양한 스포츠를 경험함으로써 주관적 측면에서 는 스포츠에 대한 플레이에 따른 의미 있는 경험, 즐기는 경험을 객관적 측면에 서는 스포츠의 기술, 전술, 규범, 지식 등의 문화적 정보를 익힘으로써 스포츠의, 스포츠에 대한, 스포츠에로의 올바른 인식과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임왕택 ,2015). 이와 더불어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체험하게 되는 스포츠 문화는 활동적 인 생활 방식, 스포츠 기술 습득, 팀의 일원으로 행동, 사회 기술 발달 및 훌륭 한 스포츠맨십을 실천하게 하여 사회화를 가능하게 한다(정상익, 2008).

(40)

2) 원활한 교우관계 형성

뚜렷한 가치관이 형성되지 않은 청소년 시기에는 각자의 개성을 지닌 교우들 과 스포츠 경기 등 단체 체육활동을 통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새로운 문화와 자신들만의 사회성을 함양하게 된다. 이러한 시기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은 청소년시기의 건전한 문화 형성에 도움이 되고, 자신들만의 유대감을 증대시 켜 친구들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준다(최미란, 2003.).

3) 건전한 여가문화 활용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며 성장하고 지능의 발 달로 추상적 사고와 논리적 추리능력이 신장되는 시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 년기의 건전한 여가의 활용은 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전한 여가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학업의 성취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성장 과정을 통해 사회적 관계 를 형성하는데도 매우 도움이 된다(권영길, 2013). 그러나 우리나라의 청소년들 은 입시 위주의 주입식 및 지식 편중의 교육으로 인해 학교생활 이외의 다른 분 야의 문화생활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편리하고 용이하 게 이용할 수 있는 여가 공간 및 시설의 양적, 질적 미비로 인하여, 바람직한 여 가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다.(안종회, 2016). 또한 청소년의 다 양한 욕구와 흥미에 맞는 여가 프로그램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어서 청 소년을 건전하게 육성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여가 문화 정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제홍, 백광, 1995).

대다수의 청소년들은 야회 활동이나 신체적 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지만, 입시위 주의 교육환경에서 청소년들은 학교라는 제한된 장소와 시간, 경제적 이유로 여 가 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학교스포츠클럽을 활성화 시켜 새로운 문화와 여가 생활을 형성하는 대안으로 활용해야 한다. 학교스포츠클럽은 학생들 에게 1인 1기의 스포츠를 습득케 함으로써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위한 여가 문화 공간으로써 성인기에 지역사회 스포츠클럽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고 학교와 지역사회 스포츠클럽의 유기적 연계가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건 전하고, 지속적인 여가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정형배, 2013).

(41)

4) 평생체육의 기초

학창시절 동안 학교체육을 통해 운동기능을 습득한 개인은 졸업 후 성인이 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생활체육을 참여함으로써 학교체육과 생활체육의 연속선 상에 있는 것이다(안민석, 2002). 운동기능 뿐만 아니라 운동에 대한 흥미와 인 생을 살아가는 동안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최초로 인식하게 되는 것 이 학교체육을 통해서 가능해지고 있다(임왕택, 2015).

청소년 시절 운동에 관심이 많고 운동을 잘할수록 평생체육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실천율도 높다고 한다. 이처럼 학교스포츠 클럽 활 동을 통해 평생체육의 첫발을 딛게 되는 청소년들에게 스포츠의 흥미와 기술 습 득, 건전한 문화체험을 제공하여 성인이 된 후에도 평생체육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42)

다.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1)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운영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한 체육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 종목별 학교 스포츠클럽 대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교내대회를 기반으 로 지역교육청이 주관하는 교육장배 대회, 시․도교육청이 주관하는 교육감배 대 회, 교육부가 주관하는 전국대회의 순서로 실시하고 있으며, 수업결손을 예방하 기 위하여 방과 후 및 주말을 이용하여 대회를 진행하고 있다.(변영수, 2017).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는 교육 목표를 위하여 경기 승패위주가 아닌 학생축제 형태로 운영하면서 학생들이 경쟁이 아닌 재미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스포츠 축제의 장으로 운영하여 리더십, 문제 해결력, 페어플레이, 배려와 나눔과 같은 창의․인성교육을 지향하는 대회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표-11>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유형(교육부, 2013).

구분 유 형 장 점 단 점

리그

․ 통합리그 ․ 경기횟수가 많음

․ 우승팀의 권위

․ 편차가 심함 - 순위 고착화

․ 조별리그 ․ 진행이 빠름 ․ 경기 횟수 적음

․ 스플릿 리그 ․ 평준화된 경기력 ․ 동일 팀과 경기 횟수 많음

․ 넉 다운

토너먼트 ․ 경기방식이 간단함 ․ 적은 경기횟수

․ 우승팀만 순위산정

토너먼트

․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 팀의 순위 산정이 가능함

․ 경기력 이외의 요소 작용가능

․ 스플릿

토너먼트 ․ 경기횟수 보장 ․ 경기방식이 복잡함

․ 결승전 외 관심저하 리그

+ 토너먼트

․ 조별 리그 후

토너먼트 ․ 시즌이 짧다 ․ 조 간 경기력 편차

․ 통합 리그 후

토너먼트 ․ 경기횟수가 적절함 ․ 하위 팀 동기저하

(43)

대회종류 일정 종목 출전 팀 대회방식 주관

교내 연중

(상시) 자율 학급/클럽 리그+토너먼트 학교

교육 지원청 (시, 군, 구)

연중

(상시) 자 율 클럽

(학교대표) 리그+토너먼트 교육 지원청 시․도교육청 9월 ~

10월 자율

교육지원청 대회 1~2위 팀

리그+토너먼트 시․도 교육청

전국 11월 ~

12월 자율 시․도대회

1~2위 팀 리그+토너먼트

교육부 문화체육

관광부 가) 교내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일반적으로 학급단위로 팀을 구성하여 교내에서 대회가 진행되며 아침, 점심, 방과 후 시간 등을 활용하며 교내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한 팀에게 교육청 대회 출전권을 부여하고 학교스포츠클럽이 활성화되지 못한 학교는 학급대회 개최를 권장한다. (교육부, 2011).

나) 교육장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지역 교육청에서 주관하되 시·도교육청 대회의 경기종목이 포함되도록 운영하며 시·군·구청, 체육회, 생활체육협회 등과 협의하여 추진되며 일반적인 경우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구기 종목의 경우 토너먼트 형식보다는 리그 대회 형식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을 권장한다.(교육부, 2011).

다) 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시·도 교육청에서 주관하여 자체 계획 하에 운영하되 전국대회의 경기종목과 자율종목 등으로 대회를 개최한다. (교육부, 2011).

라) 전국 학교스포츠클럽대회

교육부에서 주관하며 각 시·도에서 분산하여 개최된다. 각 시·도별 교육감배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우승팀이 선발되어 참여하다,(교육부, 2011).

<표-12>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규모별 분류 방식(교육부, 2014).

참조

관련 문서

On the basis of this environment, this thesis i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violin speciality aptitude education, provide textbook makers and teachers

This study aims to lower turnover of child-care teachers' who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site of child-care, and improves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Furthermore, if desirable teachers' images and teaching methods that American, English cultures have like as this study showed are added to English education

Among teachers who responded to our questionnaires, 16.6% of elementary teachers, 26.7%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24.6% of high school teachers knew that re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physical strength so that youth Taekwondo Poomsae player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an

Finally, on how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for special classes in high schools,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oriented teaching methods and direct

This study aims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based on one’s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 physical self-concept

Also, this study involves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CEOs and HR (HRM &amp; HRD) managers of corporations to investigate company needs in t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