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Explorations into Future Education

중학생의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분석

박신희·고현 (조선대학교)

An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o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ir Smartphone Indul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in-Hee Park·Hyun Ko (Chosun University)

Abstract: These days, middle school students more use their smartphone continuously.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urvey based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o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ir smartphone indul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achieve that, this study chose as study subjects 27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1st and 2nd years of the middle school in G-gu, Gwangju. A questionnaire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Dec. 9 to 13, 2019.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program was appli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smartphone indulg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elf-regulation, and smartphone indulgence and self-regulation of emotions and behavior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sitively and negatively. Secondly,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martphone indul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behavioral self-regulation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complete medication, and the emotional self-regulation had partial medication. In order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overcome their smartphone indulgence and make smooth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students and teachers in school,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ctively a variety of programs for enhancing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improvement in a variety of leisure culture in order to make them independent on smartphone.

Key words: middle school student, smartphone indulgence,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2)

Ⅰ. 서론

정보화 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청소년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 보통신기기인 스마트폰은 생활에 편리함과 유익함을 주는 도구, 학습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찾는 도구, 또래 친구들과 우정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관계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김현진, 박효정, 안해정, 2016). 2019년 과학기술부 한 국정보화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10~19세 청소년의 29.3%가 하루 5시간 이상 을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보내는 인터넷 및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하 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몰입 및 과의존에 빠지게 비율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 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이나 인터넷보다 훨씬 사용자 중심으로 맞추어져 있어 콘텐 츠별 중독 가능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아동은 인터넷보다 스마트폰에 더 쉽게 몰 입될 수 있고(오선화, 하은혜, 2014), 스마트폰의 휴대성과 오락성 그리고 편리성이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과 같은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손은경, 2015),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은 인터넷 중독의 충동성, 강박증과 휴대폰 중독의 병적 몰입 생활 장애 등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게 더 위험할 수 있 다(김동환, 한재덕, 박경준, 2014).

스마트폰 몰입, 과의존, 중독은 혼용되고 있지만 세 용어 모두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함으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지녀 일상생활에서 문제가 유발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사용에 몰입하 게 되는 이유는 학업과 같은 현실적 어려움으로부터의 회피수단이자 자신이 원하는 욕 구를 그때그때 충족시켜주며, 게임과 각종 영상과 같은 자극적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또래 관계가 매우 중요한 시기에 가상공간에서 친구를 만나 다양한 교류를 하며, 스마트폰에 몰입하게 되는 등 스마트폰은 대인관계 의 매체로 활용되기도 한다(장덕희, 김정은, 2018).

청소년기에 스마트폰이 대인관계 매체로 활용되고 있다는 현실은 이들의 올바른 대 인관계 형성을 위해 적절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대인관계가 넓어지는 중 학생 시기의 대인관계역량의 증진은 현재의 생활 뿐 아니라 미래의 삶을 더 풍성하고 조화롭게 만들 수 있다. 중학생 시기는 친구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이고, 대인관 계가 미분화된 시기로 이들에게 친구는 애정, 동정, 이해의 근원의 장이고, 실험의 장 이며, 부모로부터 자율성과 독립을 얻기 위한 후원의 장(정옥분, 2009)이므로, 또래집 단과 가족 및 주위 사람들을 통해 그들의 대인관계 가치를 적용해 보는 시기이다(김병 수, 2009). 무엇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테두리 내에서 머물던 아동 기와는 달리 대인관계의 폭은 한층 더 확대되고 심화되어 매일매일 다양한 대인관계 상황을 경험하고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게 된다(오현희, 김현진, 2014; Pincus &

Ansell, 2003). 이 시기에 경험하는 대인관계는 각자의 인격 형성뿐만 아니라 성인기

(3)

의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키우는 기초가 되기 때 문에 중요하다(전명순, 2012).

청소년이 이루어야 할 중요과업 중 하나는 원만한 대인관계이며, 청소년에게 있어 대인관계는 가장 먼저 또래관계로 부터 이해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하루일과 중 가 장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지내게 되면서 학교생활의 규칙과 또래 및 교사관계에서 비 롯된 사회적 관계 등의 심리적 부담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학교환 경과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학교에서 부적응을 경험한다(강귀애, 2014). 청 소년 대인관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학교 안에서 또래친구, 교사와 의 관계를 맺는 방법을 잘 몰라 혼자 지내면서 스마트폰에 몰입하는 경향이 지속적으 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온라인이라는 가상공간에서 현실 및 가상 친구를 맺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몰입 및 의존 현상이 심화될수 록 대인관계, 스트레스, 충동성,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등 이들의 사회·정서발달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영미, 김두범, 2016; 손은경, 2015; 최 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2). 또한 스마트폰 과다 사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몰입 및 중독 현상은 학교공부와 학교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교 친구와 교사와의 갈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스마트폰 중독이 심해질수록 전반적인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지선, 백지숙, 2015; Kibona & Mgaya, 2015; Samaha &

Hawi, 2016).

스마트폰 몰입과 대인관계 관련성 및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김영미, 김두범, 2016;

김지선, 백지숙, 2015; 서희진, 김옥현, 2015; 이수진, 문혁진, 2013; 최현석, 이현 경, 하정철, 2012)에서 스마트폰 몰입은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집중의 어려움 외에 또래 및 가족, 교사와의 관계 악화, 일탈행동 등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이 는 청소년기에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형성을 통해 본격적 인 사회화 과정을 배우는 학교생활에 이들이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사회·정서 발달을 저해하는 스마트폰의 몰입으로 인한 과의존 및 중독 현상에 이르지 않도록 다 양한 지원과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과도한 이용에 따른 중독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 및 실천적 전략 마련의 시급함이 지속 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김병년, 고은정, 최홍일, 2013; 오세연, 2013; 정민, 2015; 한 국정보화진흥원, 2013). 스마트폰 몰입은 충동 억제와 자제력이 약한 청소년들에게 무 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오현희, 김현진, 2014), 이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학업적, 관계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고재수, 2014) 가 정·학교·사회의 환경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특성의 자기조절력 변인이 스마트폰 몰입 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들의 부정적인 관련성을 완화 및 조절시키는 요인으 로 부각되고 있다(김경숙, 2017; 나혜연, 김연신, 한유진, 2017; 서희진, 김옥현, 2015).

자기조절력은 특정 상황에서 외적인 통제 대상이 없이도 특정 행동과 관련된 선후요 인을 파악하여 내적 통제에 의해 내재화된 규칙에 따라 행동이나 정서를 적절히 조절 하는 능력이다(김나경, 2011). 또한 자기조절력은 자신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4)

를 파악하고 스스로 계획, 평가하고 계획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동을 선택하고 조 정하며, 지속적으로 인지과정을 모니터하는 인지조절의 개념과 자신과 외부의 요구에 순응하기 위해 부정적인 요소를 억제하고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정서 및 정서관련 행동의 조절과 관리를 의미하는 정서조절의 개념으로 구분되고 있다(양옥승, 2006).

특히 청소년은 감정과 충동을 잘 억제하지 못하고 민감하고 쉽게 흥분하거나 좌절하게 되어 스마트폰에 쉽게 노출되고 사용 조절이 잘 되지 않는 발달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동을 규제하고 행동의 빈도나 강도, 속도를 통제하는 행동조절과 화를 내는 정도, 불편, 두려움,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는 정서조절의 자기조절력을 강화할 수 있 는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 자기조절력, 대인관계의 세 가지 용어는 지금의 청소년기를 대표할 수 있 는 핵심 용어라고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중학생들에게 학교생활 적응, 원활한 또래 관계 및 교사관계 개선을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말라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생각이 다. 이들에게 스마트폰은 생활의 일부분이고 대인관계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중학교 시기는 학교생활적응, 대인관계 문제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런 문제가 가시화되는 시 점(강귀애, 2014; 전명순, 2012)이기 때문에 스마트폰 금지보다는 이를 효율적으로 활 용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중학생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여 이에 대한 몰입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 력과 자기조절력이 낮은 편이다(김종희, 2019; 박순주 외, 201). 따라서 이들의 대인 관계 개선과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련 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 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자 한다. 특히 자기조절력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문제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자기 조절력 등 사회·정서적 발달 측면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이들의 사회화 과정에 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유선미, 김정민, 김찬권, 2017) 스마트폰 몰입이 또래 및 교사관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계는 어떠하 며, 대인관계에 대한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행동 및 정서조절 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5)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G구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300명을 연 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청소년 가운데 스마트폰 사용을 가장 많이 하고 대인관 계에서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는 중학교 1∼2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 선정은 광주광역시 G구에 소재한 중학교 3곳을 본 연구자가 임 의 표집방법을 통해 추출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중학교는 학교의 규모와 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주변 환경이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전에 학교장에게 설문조사 에 대한 허락을 구한 뒤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는 2019년 12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 간에 걸쳐 실시되었고, 설문지와 함께 연구의 취지와 목적 에 대한 안내장을 첨부하여 총 300부의 설문지(학교별 100부, 학년별 50부)를 해당 학 교 담임선생님에게 배부 및 회수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285부(95.0%)가 회수되 었고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무응답 설문지와 응답 내용이 한 곳에 집중된 자료 10부를 제외한 275부(91.7%)를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연구대상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위의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성별에서 남학생 52.4%, 여학생 47.6%로 나타났고, 학 년에서는 1학년 50.9%, 2학년 49.1%로 나타나 성별과 학년별로 연구대상이 골고루 분 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연구 도구 1) 스마트폰 몰입

중학생의 스마트폰 몰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선희, 권민정, 박경석(2014)의 연구 에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 생의 스마트폰 몰입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즐거움과 재미를 느

인구통계학적 특성 빈도(명) 비율(%)

성별 남자 144 52.4

여자 131 47.6

학년 1 학년 140 50.9

2 학년 135 49.1

전체 275 100.0

(6)

낀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주변 일을 잊고 몰입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기분이 좋 다 등의 5개 문항의 5점 Likert 평정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몰입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몰입 척도의 신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9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마트폰 몰입의 구성항목들이 비교적 내적 일관성이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 음을 알 수 있어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확보되었다.

2) 자기조절력

중학생의 자기조절력을 측정을 위해 박신영과 김종임(2018)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행동조절 및 정서조절의 2개 하위요인, 18개 문항의 5점 Likert 평정척도(거의 그렇지 않다 1점부터 거의 항상 그렇다 5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조절력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자기조절력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표 2와 같다.

표 2. 자기조절력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자기조절력 척도의 신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9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하 위요인의 행동조절 .89, 정서조절 .83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조절력 의 구성항목들이 비교적 내적 일관성이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어 측정도구 의 신뢰성은 확보되었다.

3) 대인관계

중학생의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강귀애(2014)의 박사논문에서 사 용된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교사관계, 또래관계의 2개 하위요인, 8개 문항의 5 점 Likert 평정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교사 및 또래관계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대인관계 척도의 문항구성 및 신뢰도 계수는 아래 표 3과 같다.

하위요인 하위요인 내용 문항 수 신뢰도(α)

행동조절 행동을 규제하고 행동의 빈도나 강도, 속도를 통

제하는 정도 10 .89

정서조절 화를 내는 정도, 불편, 두려움,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는 정도 8 .83

전체 18 .91

(7)

표 3. 대인관계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하위요인 하위요인 내용 문항 수 신뢰도(α)

교사관계 선생님이 나를 이해하고 중요하게 생각하고 매우

가깝다고 생각하는 정도 4 .81

또래관계 친구들이 나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고 생각하는 정도 4 .85

전체 8 .87

대인관계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α)를 산출한 결과, .87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의 교사관계 .81, 또래관계 .85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또래관계의 구성항목들이 비교적 내적 일관성이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어 측정도구의 신뢰성은 확보되었다.

3. 자료 처리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 정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 과 같은 방식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스마트폰 몰입, 자기 조절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독립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그리고 상관 계수 등을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넷째,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198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계 및 영향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변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를 산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8)

표 4. 연구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N=275)

*p<.05, **p<.01

연구변수들의 평균을 살펴보면, 5점 만점에 스마트폰 몰입은 4.29점, 자기조절력은 평균 3.78∼3.97점, 대인관계는 평균 2.98∼3.14점으로 나타났고 왜도 및 첨도 값이

±2 이내로 나타나 연구변수가 정상분포의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중학생 의 스마트폰 몰입 수준이 높고 교사 및 또래 간의 관계가 낮은 수준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58∼.55 사이에 분포되어 있어 측 정변수들 간에 .90 이상의 높은 상관을 보이는 변수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중공선 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1)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 귀분석한 결과는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p<.001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조절력을 약 6.5%(결정계수, R²) 설명하고 있으며 회귀식(F=18.875, p<.001)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β=-.254, p<.001). 즉, 스마트폰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 및 또래관계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변수 1 2 3 4 5

1 스마트폰몰입 1

자기조절력 2 행동조절 -.58** 1

3 정서조절 -.41** .49** 1

대인관계 4 교사관계 -.15* .26** .21** 1

5 또래관계 -.30** .34** .25** .55** 1 M 4.29 3.97 3.78 2.98 3.14

SD .48 .68 .59 .61 .59

왜도 .04 -.21 .10 -.09 -.31

첨도 -1.15 -.74 -.26 -.12 -.45

독립변인 종속변인 B SE β t

(상수) 4.263 .278 15.323***

스마트폰 몰입 대인관계 -.280 .064 -.254 -4.345***

R²= .065, F=18.875***

(9)

2) 자기조절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이 지각한 자기조절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 석한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즉 공차(Tolerance), 분산 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검토한 결과, 공차의 값이 0.1이상, VIF 값이 10 이하로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 다. 자기조절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력은 대인관계를 약 12.8% 설명하고 있으며 회귀식(F=19.990, p<.001)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조절력의 행동조절(β=.276, p<.001), 정서조절(β=.130, p<.05)은 대인관계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생들이 행동 및 정서조절 수준을 높 게 지각할수록 교사 및 또래관계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6. 자기조절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p<.05, ***p<.001

2.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행동 및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입증되기 위해서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하고,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또한 종속변인에 대한 독립변인의 영향력이 두 번째 단계에서보다는 세 번째 단계의 회귀분 석에서 더 적게 나타나야 한다(Baron & Kenny, 1986).

1)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 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7과 같다.

독립변인 종속변인: 대인관계

B SE β t 공차 VIF R² F

(상수) 1.771 .215 8.242***

행동조절 .215 .050 .276 4.279*** .765 1.308

.128 19.990***

정서조절 .116 .058 .130 2.006* .765 1.308

(10)

표 7.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

***p<.001

위의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스마트폰 몰입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력의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579, p<.001), 2단계 에서 독립변인인 스마트폰 몰입이 종속변인인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254, p<.001). 그리고 3단계에서 매개변인인 행동조절이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289, p<.001),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254, p<.001)보다 세 번째 방정식(β=-.087, p>.05)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 절력의 행동조절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에 대한 설 명력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몰입은 단독으로 6.5%(F=18.875, p<.001), 행동조절이 투 입되었을 때는 설명력이 12.0%(F=18.594, p<.001)로 5.5%늘어 스마트폰 몰입이 통제되 어도 행동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그림 1 참고), Sobel의 Z 값은 –3.93으로 스마트 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조절의 완전매개효과는 p<.01 수준에서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몰입 행동조절 대인관계

-.579*** .289***

-.254***(-.087)

Sobel Test Statistic Z=-3.93, p<.01

그림 1.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행동조절

(매개) 스마트폰 몰입 -.819 .070 -.579 -11.725*** .335 137.467***

2 대인관계

(종속) 스마트폰 몰입 -.280 .064 -.254 -4.345*** .065 18.875***

3 대인관계

(종속)

스마트폰 몰입 행동조절

-.096 .225

.077 .054

-.087 .289

-1.247

4.147*** .120 18.594***

(11)

2)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 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표 8.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p<.01, ***p<.001

위의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스마트폰 몰입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력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β=-.408, p<.001), 2단계 에서 독립변인인 스마트폰 몰입이 종속변인인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β=-.254, p<.001). 그리고 3단계에서 매개변인인 정서조절이 대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β=.192, p<.01),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이 두 번째 방정식(β=-.254, p<.001)보다 세 번째 방정식(β=-.176, p<.01)에서 줄어들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 절력의 정서조절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에 대한 설 명력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몰입은 단독으로 6.5%(F=18.875, p<.001), 정서조절이 투 입되었을 때는 설명력이 9.5%(F=14.351, p<.001)로 3.0%늘어 스마트폰 몰입이 통제되 어도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그림 2 참고), Sobel의 Z 값은 –2.82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부분매개효과는 p<.01 수준에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몰입 정서조절 대인관계

-.408***

*

.192**

-.254***(-.176**)

Sobel Test Statistic Z=-2.82, p<.01

그림 2.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단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B SE β t R² F

1 정서조절

(매개) 스마트폰 몰입 -.503 .068 -.408 -7.391*** .167 54.622***

2 대인관계

(종속) 스마트폰 몰입 -.280 .064 -.254 -4.345*** .065 18.875***

3 대인관계

(종속)

스마트폰 몰입 정서조절

-.193 .171

.069 .056

-.176 .192

-2.783**

3.042** .095 14.351***

(12)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에 체화되어 있는 중학생을 대상 으로 스마트폰 몰입이 이들의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은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대인관계에 부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한 몰입 현상은 이들이 실생활에 서 또래 및 교사 등 타인과의 상호작용 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선행연구(김보 경, 백용매, 허창구, 2016; 장덕희, 김정은, 2018; 장희정, 곽윤경, 2015)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연구의 대상은 다르지만 스마트폰 몰입 정도가 높은 대 학생일수록 대인관계에서의 갈등을 다루는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박순 주 외, 2014; 장희정, 곽윤경, 2015)와도 일맥상통해 타인과의 공감능력, 친화성 등의 대인관계 역량 향상 정도는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예방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청소년 의 스마트폰 몰입과 학교생활적응(김지선, 백지숙, 2015),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 및 대인관계(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2012), 학교생활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이수 진, 문혁준, 2013)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결과에서도 스마트폰에 대한 몰입 정도 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즉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예측하고 있다.

적절한 대인관계 능력은 청소년들이 이후 만족스러운 직업을 찾거나 이를 유지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하다. 중학생이 되면 대인관계의 폭은 한층 더 확대되고 심화되어 사 회적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사회에 대한 인식이 풍부해짐에 따라 친구에의 의존도가 증 가되고, 대인관계 변화의 폭도 가족 위주에서 친구, 선후배, 교사 등으로 확대되고 외 형적인 관계에서 내면적인 관계로 깊어지게 된다(전명순, 2012). 이 시기에는 자신과 타인의 요구를 통합해 나가는 협동적인 전략을 통한 협상을 할 수 있고, 감정에 대해 서도 깊이 있게 생각해 보면서 의사소통을 통해 협동적이고 상호적인 만족을 추구해 나가기 때문에(권일남, 김태균, 2009) 장기적 관계 유지를 위해 서로 이해하고 만족하 며 배려를 위한 길을 확립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을 학교 차원에 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자기조절력은 학교생활에서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대인관계 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력은 환경, 사회에서 적 응력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대인관계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자신의 욕구 나 감정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면 타인과 원활한 관계를 맺기 힘들어질 수 있다(김종 희, 2019). 연구의 대상은 다르지만 아동 대상으로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를 분석한 연구(김경숙, 2017), 청소년 대상으로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관계(김영 미, 김두범, 2016; 서희진, 김옥현, 2015; 이수진, 문혁준, 2013)를 분석한 연구결과 에서 자기조절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서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이에 대 한 적응 및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되고 있음을 알 수

(13)

있다. 높은 자기조절력은 성취나 사회적응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이 어진다. 즉, 학업 능력, 교우 관계, 교사 관계 등 여러 영역에서 낮은 통제력 집단에 비해 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나며(최영아, 김희화, 2011), 장성화와 김옥진(2011)은 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학교적응,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조절 력과 학교적응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학교적응,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에서는 하위변인 중 창 의성과 즉각적인 만족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나 자기조절력 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행동조절은 완전매개효과, 정서조절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 마트폰 몰입은 자기조절력의 행동조절을 통해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 한 스마트폰 몰입은 자기조절력의 정서조절과 함께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몰입과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를 직접적으로 규명한 연구(김영미, 김두범, 2016; 손은경, 2015)는 없는 편이다. 중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 (김영미, 김두범, 2016)에서 스마트폰 사용과 중학생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 력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중학생들의 스마트 폰 사용에 대한 자기통찰이 필요하며,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프로 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도한 역할 긴장을 해소하도록 하고, 개인적으로는 자율성이나 자기조절력을 확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어머니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김종희, 2019),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 연구(손주형, 2017),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통제 및 학교생활만족도 관계 연 구(이수진, 문혁준, 2013)에서 자기조절력은 청소년의 학교 및 사회 적응뿐 아니라 다 른 사람의 감정과 욕구를 생각할 줄 아는 인지능력과 대인관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 고 있으며 이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하 였다. 특히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분석한 연 구(서희진, 김옥현, 2015)에서 방과 후 체육활동의 중요성을 언급해 스마트폰을 대신 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 문화를 조성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는 청소년의 행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청 소년의 대인관계능력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 (장덕희, 김정은, 2018)에서 청소년들의 행복감에 대인관계 능력정도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능력정도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낮아지고 청소년의 행복감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청소년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를 기반으로 대인관계 역량강화 훈련과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치료적 개입을 하는 것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시간과 몰입의 정도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14)

중학생들에게 이들의 행복과 복지 차원에서 자기개방 및 의사소통, 친화성, 공감 능력 등을 포함한 타인과의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할 수 있도록 생활지도 차원에서 집단속에 서의 역동 및 관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체화되어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로서 스마트폰 몰입과 자기조절력은 또래 및 교사관계의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고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행동 및 정서조절의 자기조절 력은 유의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결과 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이에 대한 몰입으로 학교생활에서 또래 및 교사관계에 어려움을 인지하고 있는 중학생들의 효율적인 스마트폰 사용 및 조절에 관한 생활지도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또래 및 교사관계에서 스 마트폰이 사다리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건전한 학교 내 문화 정착이 필요하다는 연구의 의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특히 또래 및 교사와의 원만한 관계 구축을 통해 건강한 청소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자기 스스로 효율 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자기조절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단위학교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시사점 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있 어 중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스마트폰 몰입과 자기조절력으로 한 정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적응으로 종속변인을 선정하여 스마트폰 몰입, 자 기조절력, 대인관계,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실증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 다.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 이에 대한 몰입 정도는 개인 간 차이가 심화될 수 있 다. 추후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의 몰입 정도를 구분하여 몰입 정도에 따른 긍정 또는 부정 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몰 입과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에서 자기조절력은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조절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청소년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 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과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력 강화 프로그램은 이들의 사회·정서 발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

참고문헌

강귀애(2014). 부모-자녀 애착관계가 청소년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및 학교부적응에 미 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고재수(2014).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 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140-151.

권일남, 김태균(2009).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위한 청소년활동영역구성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6(3), 67-89.

김경숙(2017).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아동의 자기조절력과 부모-자 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3), 945-971.

김나경(2011). 부모의 양육방식과 아동의 성격특질 및 자기조절력의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동환, 한재덕, 박경준(2014). 초등학생의 방과 후 운동, 스마트폰 중독, 정신건강과 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0(2), 51-64.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김병수(2009).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가족건강성 및 문화성향과 대인관계성향간의 관 계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4), 91-103.

김보경, 백용매, 허창구(2016). 애착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 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483-502.

김선희, 권민정, 박경석(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몰입과 운동정서 및 스포츠 참여간 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803-812.

김영미, 김두범(2016).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 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133-162.

김종희(2019). 어머니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 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지선, 백지숙(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3(1), 53-64.

김현진, 박효정, 안해정(2016). 스마트폰·인터넷 중독과 우울, 공격성, 사회적 관계, 학교폭력 경험 간의 다중집단 경로 분석. 敎育學硏究, 54(1), 77-104.

나혜연, 김연신, 한유진(2017). 청소년의 자기조절력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스 마트폰 과다사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2), 583-590.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2014).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4), 289-297.

박신영, 김종임(2018).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이버불링 행동 관계에서 자기조 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1207-1230.

(16)

서희진, 김옥현(2015). 청소년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가와 자기통제력, 스마트폰 중독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0, 535-549.

손은경(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 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손주형(2017).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관계적 공격성 및 우울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양옥승(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오선화, 하은혜(2014).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 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1), 18-35.

오세연(2013). 다문화가정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 원인과 예방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 총, 8(1), 147-180.

오현희, 김현진(2014). 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착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5(4), 35-57.

유선미, 김정민, 김찬권(2017).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 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3(3), 63-82.

이수진, 문혁준(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 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87-598.

장덕희, 김정은(2018).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9(1), 1-9.

장성화, 김옥진(2011). 청소년의 학교적응, 자기통제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 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3), 159-179.

장희정, 곽윤경(2015).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사용수준에 따른 자기통제력, 정신건강, 대인관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 146-154.

전명순(2012). 청소년 대인관계역량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민(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 소년연구, 26(3), 103-131.

정옥분(2009).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최영아, 김희화(2011). 청소년의 심리적 반발심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자 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9), 285-308.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2012).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 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한국정보화진흥원(2013). 학교폭력 2.0 사이버불링의 실태와 해법 세미나 자료집. 서울: 한 국정보화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2019).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7)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Kibona, L., & Mgaya, G.(2015). Smartphones' effects on academic performance of higher learning students.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2(4), 777-784.

Pincus, A. L., & Ansell, E. B.(2003). Interpersonal theory of personality.

Handbook of psychology personality and psychology (pp. 209-229). Oxford, England: John Wiley & Song, Inc.

Samaha, M., & Hawi, N. S.(2016).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7, 321-325.

Sobel, M. E.(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18)

국문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체화되어 있는 중학 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G구에 소재 한 중학교 1~2학년 27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9년 12월 9~13일까지 5일 간 설문조사 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 계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 폰 몰입, 자기조절력, 자기조절력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스마트폰 몰입과 정서 및 행동조절의 자기조절력은 대인관계에 부정 및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 다. 둘째, 스마트폰 몰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학생이 지각한 자기조절력의 행동조 절은 완전매개효과, 자기조절력의 정서조절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들이 스 마트폰 몰입에서 벗어나 학교생활에서 또래 및 교사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할 수 있도록 학교 에서는 이들의 행동 및 정서조절과 같은 자기조절력을 강화하고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 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스 마트폰에 의존하지 않도록 다양한 여가 문화를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중학생, 스마트폰 몰입, 자기조절력, 대인관계

교신저자: 고현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조선대학교 Email: gh-star@hanmail.net

논문투고일: 2020년 1월 30일 심사완료일: 2020년 7월 9일 게재확정일: 2020년 7월 14일

참조

관련 문서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edical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empathy, and call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ir call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be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aving higher economic status,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igher self-control were influencing factors

In the results, VO 2 max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treadmill inclination, and M4 group (larger body type) consumed more oxygen than the

An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Gender Inequality occurred to Korean Female Coaches..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마지막문장 As a result , farmers try to kill the lions because they want to protect their animals.2. 나의 엄마는

Mei의 가족은 함께 저녁 식사를 요리하는 중이시다. 그녀의 엄마는 돼지고기를 요리하는 중이시다. 그들은 저녁 시간을 즐기고 있다. 그들은 Julie와 Grace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온라인 사회적 활동에 있어 이들이 오프라인에서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 에서의 지위가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적

요 약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임파워먼트, 건강인식, 당뇨병 자가간호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자가간호행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