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석사학위 논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석사학위 논문"

Copied!
5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논문

남․여 고등학교 역도선수들의 체중감량이 경기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weight lifting

performance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weight lifters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구 두 회

2002

(2)

남․여 고등학교 역도선수들의 체중감량이 경기기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eight loss on weight lifting

performance i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weight lifters

지도교수 이 대 택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11월 31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구 두 회

2002

(3)

구두회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년 10월 25일

심사위원장 (印)

심 사 위 원 (印)

심 사 위 원 (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 문제 ··· 3

4. 연구의 제한점 ··· 4

5.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역도선수의 특성 ··· 6

2. 체중감량의 정의 ··· 8

3. 최소체중 ··· 9

4. 체중감량 기간 ··· 11

5. 체중감량 방법 ··· 12

6. 체중감량에 따른 신체적 변화 ··· 13

7. 체중감량과 경기력과의 관계 ··· 14

8. 체중감량시 주의사항 ··· 15

9. 역도선수의 영양 관리 ··· 16

Ⅲ. 연구방법 ··· 19

1. 연구대상 ··· 19

2. 연구계획 및 일정 ··· 19

3. 조사도구 ··· 19

4. 자료처리 ··· 20

Ⅳ. 결과 및 논의 ··· 22

Ⅴ. 결론 및 제언 ··· 35

참고문헌 ··· 37

Abstract ··· 40

부 록 ··· 42

(5)

표목차

표 1. 최소 체중 계산 단계 ··· 10

표 2. 연구대상 학교별 성별 분포 ··· 20

표 3. 연구계획 및 일정표 ··· 21

표 4. 설문지 내용 ··· 21

표 5.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2

표 6.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23

표 7.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3

표 8.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4

표 9.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5

표 10.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5

표 1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6 표 12.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6

표 13.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7 표 14.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7

표 15.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8 표 16.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8

표 17.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9 표 18.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29

표 19.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30 표 20.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30

표 21. 남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31

표 22. 여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 32

(6)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의 스포츠 경쟁력은 각 국의 과학과 기술 및 경제수단을 입증하는 수단 또는 발판으로 이용되면서 엘리트 체육이 국가발전 전략의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이 세계적․보편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엘리 트 체육이 현재보다 좀더 발달된 모습을 갖추어 나가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현재보다 지도방법과 내용들을 보다 과학적․체계적으로 다양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거기에 따른 스포츠지도자들의 지도능력도 스스로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윤익선, 1996).

체급별 종목에는 운동 해당 종목 선수들의 적절한 체중조절이 운동수행상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체급별 운동종목 선수들에게 있어서는 적절한 체중조절 여부가 경기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수행 자체 외에 또 하나의 직접적인 승패 또는 기록요인이 되므로 현재까지도 해당 체급경기의 선수는 물론 지도자나 체육과학자들의 큰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김창완 외2인 1987).

체중감량은 주로 훈련량과 식이요법, 발한, 약물, 사우나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체중감량시 많은 선수들이 경기출전에 급급하여 무리한 체중감 량 방법을 선택하여 훈련이 심할 경우 구토까지 일으키기도 한다(조성계외, 1986). 이와 같이 무리한 체중감량으로 극도의 흥분과 신경과민, 정신력 및 집 중력 감소, 혈장량의 감소, 전해질 손실 등으로 적절한 근수축은 물론 심한 경 우 근육의 손상을 유발하여 근력 및 지구력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한다는 보고 가 있으며, 또한 모든 운동 종목마다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체급별 종목에는 체급별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다. 체급별종목은 레슬링, 복싱, 태권도, 유 도, 씨름, 역도 등 여러 종목이 있고. 열거한 종목들은 체중감량이라는 특성을

(7)

지니고 있다. 체중감량은 체급별 경기에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체중감량을 하는 방법, 기간, 특성이 종목들마다 다르게 되 어있고 실제 경기에서 쓰여지고 있다. 특히 역도 종목의 체중감량은 다른 종 목들과 다른 점들을 지니고 있다. 먼저 경기 기록이 같을 경우 체중이 적게 나가는 선수가 승리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역도선수들의 대부분이 시합 전에 인위적으로 체중을 줄이고 있으며 이는 선수들이 되도록 이면 가벼운 체급에 서 경기를 하여 근력의 이득을 보기 위해서이다(방정석, 1993). 또한 0.5∼1초 동안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최대의 파워를 만들어 내야하고 그러한 파워를 다 시 반복하는 운동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시합 전 체중감량은 역도 선수들에게 민감한 부분이며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 려지고 있다.

일반 선수들뿐만 아니라 특히 대표 선수들의 경우 종목별 전문닥터를 도입, 정기 검사 및 비정기검사를 실시해 그때마다 적절한 체중 관리 처방을 내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포츠의학 선진국인 독일의 경우 국가대표급 선수들에 한 해서는 1주일마다 전문 닥터가 직접 혈액을 통한 선수 개개인의 신체 컨디션 과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주별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일본은 5Kg이 상의 감량을 금지하고 있다(박수원, 1996).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이 경기시 일반적으로 실시하고있는 체급에 맞는 체중감량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정도․기간․방법 등에 따른 남․여 선수 들의 경기기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서 일선지도자와 선수들에게 효과 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에 착수하였다.

(8)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남․여 고등학교 역도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경량급․중량급)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이 경기기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며 또한 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시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의 경기기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3. 연구 문제

1) 역도선수(남․여)의 체중감량(유․무)시 운동경력에 따른 경기기록(평상 시․시합시)의 변화는 어떠한가?

2) 역도선수(남․여)의 운동경력에 따라 경량급과 중량급 선수들의 체중감량 (유․무)시 경기기록의 변화는 어떠한가?

3) 역도선수(남․여)의 상대체중감량에 따른 경기기록의 변화는 어떠한가?

(9)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두었다.

1) 연구대상은 전국 남․여 고등학교 역도부가 있는 20개교(남자 144명, 여 자 56명) 총 200명으로 제안하였다.

2) 선수들의 체력과 기술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았다.

3) 훈련기간 중 무 감량 선수와 감량선수의 생활을 통제하지 못 하였다.

4)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를 구분하지 못하였다.

5) 설문지 응답자중 운동경력이 1∼2년된 학생은 통계처리에서 제외되었다.

5. 용어의 정의

체중감량 : 체중감량이라 함은 평소체중보다 시합시에 체중을 감량한 것을 감량으로 본다.

선수의 상해 : 시합 3개월 전 훈련에 관련된 모든 부상을 의미한다.

선수의 특징 : 평소에도 체중을 빼고 시합에 참가했거나, 아니면 체중감량이 이번 시합에 처음인 선수.

체중감량방법 : 체중감량을 하는데 있어서 피험자가 선택한 감량법.

체중감량기간 : 피험자가 체중감량을 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일일 단위로 나 타낸 것.

체중감량정도 : 피험자가 체급에 맞는 체중을 유지하는데 감량한 것을 Kg으 로 나타내는 것.

(10)

상대체중 : 본인의 체중에서 감량한 체중의 %를 말한다.

경량급 : 남자(56kg, 62kg, 69kg, 77kg), 여자(48kg, 53kg, 58kg)

중량급 : 남자(85kg, 94kg, 105kg, +105kg), 여자(63kg, 69kg, 75kg, +75kg)

(11)

Ⅱ. 이론적 배경

1. 역도선수의 특성

1) 체력적 특성

① 체력의 개념

체력이란, 트레이닝에 의하여 신체의 구성 요소가 향상되는 행동 체력을 말 한다. 행동 체력의 구성은 구조가 있어야 존재하기 때문에 형태와 기능과는 밀접한 관계를 이룬다. 또 형태는 크지만 기능은 낮은 사람이 있으며, 형태는 작아도 기능이 좋은 경우도 있다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형태가 크 지 않으면 안된다.

운동 능력과 기능은 운동을 발현하는 근육계와 호흡, 순환 기능이 적용되며, 신경계의 평형성, 민첩성, 교치성, 유연성 등이 상호 작용하여 역도 전문 기능 이 이루어진다(양무신 외2인 1999).

② 기능적인 면

역도 선수의 기능적인 면은 다른 종목보다 신체는 대단히 강건하다. 근조직 에 있어서도 다른 종목보다 근력이 좋기 때문에 우수 선수가 되기까지는 악 력, 배근력, 각력 및 순발력 등이 뛰어나다. 특히 악력은 순간에 쥐는 근력보 다 크린 할 때 힘에 저항하는 인장성의 근력이 강하게 나타나야 한다.

또한 체간의 지표인 배근력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나 상대 근력은 경량급에서 중량급으로 올라가면서 점차 감소해 간다.

③ 운동 능력적인 면

역도 선수의 운동 능력적인 면은 신체를 조정하는 기구 중 유연성과 복부

(12)

및 배부의 근력 지표인 윗몸 일으키기와 배근력, 민첩성의 지표인 사이드 스 텝이 다른 종목보다 운동 능력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근육의 유연성과 근수축의 속도와의 관련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요소 는 트레이닝에 의하여 개선된다.

순발력의 지표인 수직도는 신장이 크면 클수록 오르는 순발력이 뛰어나다.

역도 선수의 순발력이 농구 선수보다도 우수한 것은 서서 위로 오르는 힘의 강약에 관여하는 골반 주위의 근군이 구기 선수보다 잘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운동을 유지하는 호흡, 순환 기능의 지표인 하버드스텝 테스트의 결과에 의 하면, 구기 종목이나 육상 장거리 선수보다도 낮다. 그 이유는 역도 선수가 무 산소적 운동에 의한 구조적, 기능적으로 심장이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구기나 중장거리 선수들은 트레이닝에 의하여 심장 가운데 좌심실강의 비대 현상 때문에 호흡․순환 기능이 역도 선수에 비하여 우수하며, 역도 선수는 순발적인 트레이닝을 하기 때문에 좌심실강이 대부분 변하지 않고 좌심실벽이 비대하여 그 굵기가 증대되고, 수축력이 강하기 때문에 역도 선수들은 호흡․

순환 기능이 지구성 위주의 종목에 비하여 낮은 것이 특징이다(양무신 외2인 1999).

2) 형태적 특성

역도 선수는 일반적으로 동체가 길고 하체가 짧으며, 상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 상지는 상완위와 전완위가 잘 발달되어 있는데, 상완위의 신근력 전완위 의 근육이 잘 발달한다. 상완위의 발달은 크린 앤드 저크에서 들어올리는 동 작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전완위는 크린 앤드 저크 중 크린 할 때 끌어올리 는 악력을 내는 부위가 된다. 또한 하퇴부는 전 종목 선수 가운데 가장 발달 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퇴 윗 부분은 무게를 지지하는 부위로서 하퇴근군

(13)

은 대퇴근군과 비교하여 근 단위 면적당 지지하는 무게가 배나 된다. 이것은 하퇴 삼두근 중 아킬레스건이 탁월한 항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역도 선수의 형태적인 면은 신장에서 좌고를 제한 수치가 작고, 상지는 상 완위 및 전완위 근육이 잘 발달되어 동체는 어깨를 중심으로 한 상완골 및 견 갑골과 경추, 흉추 및 늑골을 연결하는 제 근육과 삼각근, 승모근, 상부 대흉 근이 잘 발달되어 있다. 하퇴는 골반과 대퇴를 연결한 골반 주위의 제 근육이 잘 발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양무신 외2인 1999).

3) 정신적 특징

순간적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에는 근력 외에도 강인한 정신력이 요구된다. 안정된 마음과 과감한 성격 및 무거운 물체를 움직이는 거리, 속도, 방향, 높이를 결정하는 결단성은 순간적으로 힘을 내는 리듬적 판단력과, 이루 고자 하는 왕성한 의욕이 생기게 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마음을 기르는 특 성이 있다(양무신 외2인, 1999).

2. 체중감량의 정의

지도자나 선수는 대회가 있을 때마다 어느 체급으로 출전하느냐 하는 문제 로 고심하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수의 경력, 신체적 구조, 심리적 상황과 체급에 출전하는 선수들의 장․단점 등을 고려하여 시합 전에 정하여 진 계체량 시간까지 선수가 원하는 체급에 체중을 맞추는 과정을 체중감량이 라고 한다(하경대, 1975).

체중감량은 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가져다주며, 특히 과다한 감량은 신체적 이상을 초래하여 성장․발달이 왕성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건강을 해치게

(14)

된다(김창규 외, 1982).

감량의 정도, 기간, 방법을 선수 및 코치와 연구자가 검토․분석하여 경기력 을 최고도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감량해야한다.

적정 수준의 체중감량이 주는 효과는 역도경기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며, 그 것은 뛰어난 기량과 탁월한 체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체중감량의 여하에 따라 승패에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이병택, 2001).

3. 최소체중

체급 경기 선수들은 종종 안전하게 얼마만큼의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정상 체중 이하의 체급을 결정한다.

신체 구성 평가 결과 경기를 위한 최소 체중 값이 제시되고 있지만, 선수가 의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최소 체중의 지침을 따른다 하더라도 체중 감량은 여전히 그들의 건강과 운동 수행에 영향을 주고 있다.

부상을 예방하고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각 선수들은 동일한 체중 선수와 경기하기 위해 정확한 체중이나 낮은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선수들은 상대보 다 근력에 이점을 얻거나 팀의 공백 체급을 메우기 위해 자신의 체급보다 낮 은 체급을 선택한다. 불행하게도, 선수의 체중 감량 방법과 크기가 선수의 운 동 수행 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건강을 위태롭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선수들과 코치들은 외과의사의 조언 없이 체중 감량 방법을 종 종 보급시키고 있다.

선수들은 추정된 최소 체중 이상으로 체중이 나갈 때 체급에 맞추기 위해 과도한 지방을 줄이려 한다. 그러나 최소 체중의 체지방 수준은 연구자들 사 이에 명확히 결정되지 않았다. 1967년에 미국의학 협회 스포츠 메디신 위원회

(15)

가 레슬러를 위한 최소 체중을 7-10% 체지방 범위로 제시한 바 있으며 그보 다 약간 뒤에 Tcheng과 Tipton(1973)은 그들의 연구와 문헌의 검토를 기초로 최소 5% 체지방을 제시했다. 또 미국 대학 스포츠 메디신은 1976년에 5%수준 을 수락했으며 미국 소아과 아카데미는 스포츠를 위한 최소 수치로6%(5-7%) 를 추천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5-10% 체지방 범위의 최소 체중이 추천된다. 최소 체중 계산 단계는 다음과 같다.

표 1. 최소 체중 계산 단계

최소 체중이란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각 선수의 운동 수행 능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연구자들이 믿는 가장 낮은 경기를 위한 체중+ 7% 체지방을 가진 최소 체중을 만들기 위해서는 0.93을 대입하고, 10% 체지방을 가진 최소 체중을 만들기 위해서는 0.90을 대입한다.

최소 체중을 계산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신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관찰한 다 : 체지방 체중(fat-free weight)과 지방 체중(fat mass) 체지방 체중 (fat-free mass 또는 fat- free weight)은 비지방 요소와 복합물을 포함한다 : 단백질, 무기질, 그리고 수분, 순수 체중(lean body mass)은 체지방 체중 (fat-free mass) 과 필수 지질(체중의 2-3%)에 해당하며 세포막, 신경조직, 그 리고 골수를 형성한다. 과도 지방 즉 총지방 체중의 나머지 부분은 피하나 내 부지방 조직에서 발견된다.

신체 구성(body composition)을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이 있다(수중 측정법, 체내 수분 총량 분석, 체내 총 칼륨(K) 측정법, 그리고 생체내 중성자 활성 분

1단계 체중 × %체지방 = 지방무게

2단계 체중 ­ 지방무게 = 체지방 체중(Fat-Free Weight) 3단계 체지방 체중 × 0.95 = 최소체중(5% 체지방)

(16)

석 등). 이러한 방법들은 성인의 시체나 동물 시체의 화학 분석에서 얻은 자 료들로부터 기초하고 있다.

인체 측정법(anthropometry)은 이동 가능하고 경제적이며 비상해서 연구자 들이 주로 사용한다. 이것은 피부 두겹, 골격 너비와 둘레를 측정한다. 이것은 밀도를 직접 결정하고 신체측정 등식을 결정하는 표준방법이다(Thorland,1991

; Ippliger 등, 1991).

피부두겹(Skinfold thickness)이나 둘레(girth) 측정도 실체밀도치를 제공한 다(Thorland 등, 1991 ; Katch와 McArdle, 1973). 임상학자들은 유체 정력학적 체중 측정을 통해 체지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체 밀도 측정법과 신체밀도 치를 사용한다. 일반 선수의 체지방이 결정되면 일상 학자들은 소개된 공식 (표-1)을 이용하여 체지방 체중과 지방 체중 그리고 최소 체중을 계산할 수 있다(손상필 1998).

4. 체중감량 기간

체중감량에는 단기감량과 장기감량으로 크게 분류하고 있다. 즉, 단기감량은 1∼3일 이내에 2∼3Kg 정도의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며, 장기감량의 경우에는 1주 이상 또는 1개월 정도에 5∼6Kg 이상의 감량을 말한다(김기태, 1992).

체급경기 선수들의 체중감량은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직접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면 체중감량은 어느 시기부터 조절해야 이상적이고 효과적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겠는가? 의 물음에 김영진(1979)은 복싱 선수가 체중을 감 량하는 기간은 시합 전 7일∼15일 전이 가장 많다고 보고하고 있다.

체중 감량의 적정시기는 경기 종목별로 특징적인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체중감량 기간은 경기 종목에 따라 특징적인 차이가 있는데 레슬링, 복싱

(17)

선수들은 9∼13일 정도라 하였고, 이규석(1983)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보고에서 53명중 26명의 선수가 6∼7일 동안 체중감량에 소요되었다고 하였다.

역도 경기의 경우는 감량의 기간이 적을수록 경기력은 좋아지고, 장기간의 음식물의 양을 제한하는 일은 신체활동의 약화로 체력이 떨어지고 근육의 힘 이 줄어든다고 하였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1990).

역도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4Kg 미만의 감량선수는 시합2일전 길게 는 7일 이내, 4Kg이상 미만인 선수는 6∼7일이 가장 많았으며, 감량의 양이 많았고, 5Kg이상의 감량에서는 10일과 30일이 가장 많았으며 감량의 양이 많 은 선수일수록 오랜 기간에 걸쳐 감량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5. 체중감량 방법

체중 감량을 위한 감량 방법은 가장 많이 쓰이는 운동요법, 감식법, 특수입 욕법, 절식법, 투약법 등이 사용되어지는데, 효과적인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체중 감량을 위한 기간과 감량 방법의 선택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선오, 1988).

씨름․복싱․역도․레슬링 선수에 있어서 체중감량은 기술․체력 경기 운영 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운동수행 측면에서 볼 때 어느 정도의 체중 감량은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그 이상 무리한 체중감량을 하면 오히 려 역효과를 초래하게 된다.

김종훈(1974)은 감량을 위하여 사우나를 할 경우 근력의 감소 차를 줄이고 체중을 단기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5분 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이뇨제 복용에 의한 체중감량 방법은 선수들이 운동이나 사우나, 식사제한 등 에 의해서 체중을 감량할 때 받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편리함 때문에 주로

(18)

이용되어지는데 이뇨제를 복용하면 신장에서 Na+을 재흡수를 차단함으로서 신장은 수분을 체내 수분 감소로 인하여 감량이 되어진다.

첫째, 음식물 제한법은 영양과 음식물의 양을 감소하는 것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훈련을 통한 방법은 트레이닝복이나, 여러 가지 옷을 두텁게 입고, 런 닝이나 보조운동․주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면서 체내의 수분을 땀으로 배 설해 내는 방법으로 감량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사우나 법은 70℃∼110℃의 뜨거운 욕탕에서 3∼5분 동안 2∼3회 반 복하면서 체중을 감량하는 방법으로 사우나 법을 이용하여 체내의 수분을 줄 이는 감량의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이병택, 2001).

6. 체중감량에 따른 신체적 변화

체중감량을 하게 되면 신체에 다양한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며, 과다한 체중 감량은 근력의 감소, 운동 기능의 감소, 혈장과 혈액량의 감소, 심폐기능의 저 하, 산소소비량의 저하, 불규칙적인 심박수 등을 초래하고, 특히 과다한 체중 감량은 성장․발달이 왕성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건강을 해치게 된다고 보 고하였다(Laurence & Hursh, 1979).

ACSM(1976)에서는 극심한 탈수 시 생리적 기능변화로서 근력의 감소, 운동 수행시간의 단축, 혈장량 및 혈액량의 감소, 최대화 운동 시 심폐기능의 저하, 기초 대사량의 저하, 체온조절 기능의 장애, 신장 혈류량 및 여과능력의 저하, 근 글리코겐의 고갈, 다량의 전해질 손실 등의 신체에 이상이 나타난다고 보 고하였다.

김종훈(1973)은 절식에 의한 감량에서 감량 2일 후 근지구력의 감소, 5일 후

(19)

배근력 감소, 6일 후 악력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음식과 수분 섭취의 제 한으로 변화되는 생리 및 체력의 현상은 Shaver(1981)에 의하면 혈류량의 감 소, 심장기능의 저하, 산소소비량의 저하, 불규칙적인 체온, 간 글리코겐의 고 갈, 전해질의 감소로 체내의 여러 가지 생리적인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식사를 제한하는 감량 시는 체지방 분해가 항진하고 혈액중의 유리 지 방산 농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지만 그 상태로 운동을 한다는 것은 더욱 유리 지방산의 농도를 밀어 올리는 것이 되기 때문에 수근에 하혈이 발 생한다.

사우나를 통한 체중감량은 맥박수와 혈압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 김종 훈(1973)은 체온, 심박수, 악력, 폐활량, 혈압 등의 변화가 있었다고 하였으며, 조재기(1983)는 심장 기능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한 사실이라고 강조하였다.

스웨덴 왕립 중앙연구소에 의하면 운동에 의한 체중 감소가 4%이었을 때 혈장 감소는 3%에 지나지 않는데, 사우나에 의한 혈장감소는 18%에 달하고, 고온 30℃∼40℃중의 운동에서의 탈수는 이 양자의 중간이 된다고 하였고, 이 보고서에서 체중 감량 자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혈장의 용적이 감소한다는 것 은 심장의 박출량이 감소한다는데 있다고 보고하였다.

7. 체중감량과 경기력과의 관계

체중감량이란 선수 경력, 성격, 장단점을 고려하여 시합 전에 정하여진 계체 시간까지 선수가 희망하는 체급에 체중을 맞추는 과정(하경대, 1975)을 말하는 데 현대 스포츠에서의 체급경기에서는 감량의 방법이 새로운 기술 혹은 중요 한 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20)

이러한 감량은 인체에 생리적 변화를 가져다주며 특히 무리한 감량은 운동 능력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면에도 영향을 주므로 경기의 승패에 또 하나의 직 접적인 중요한 요인이 된다.

체중조절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면 김창규 외6인(1982), 송영식 외5인 (1982) 은 선수들 대부분이 계체 3-4일 전에 감량을 한다고 하였으며 유길준(1986)은 한국 선수는 약 10일, 일본 선수는 7일전에 감량을 하며, 감량의 양은 한국 선 수는 평균 3.45kg, 일본선수는 평균 2.95kg 감량을 한다고 하였다.

또한 윤길중(1978), 정동구 외1인(1978)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체급경기 선수 들은 한계 체중보다 평상시 1-7kg정도 초과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정동구 외 1인(1978)은 체중의 7% 이상을 조절하는 나라는 한국, 미국, 캐나다, 파키스탄 등이며 리비아, 이란, 폴란드 등의 나라는 6%이하로서 체중 7%이상을 줄이고 세계 정상에서 금메달을 딴 나라는 미국뿐이고 나머지 나라는 성적이 좋지 않 다고 하였다.

체중감량의 정도와 영향에 대하여 성동진(1986)은 1개월에 2kg 정도의 감량 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며, 白井(1971)은 시합 출전을 위한 체중 조절은 2-3kg 정도나 자기 체중의 5% 정도 줄일 때 악력이나 배근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손상필 1998).

8. 체중감량시 주의사항

1) 체중 감량시 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감량은 평상시 능력의 감퇴가 일어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체중의 8%

를 넘어서는 안된다.

(21)

(2) 감량은 서서히, 수주 일간의 기간을 두고 시행되어야 한다.

(3) 감량은 음식물 섭취를 줄이는 것을 통해서 일어나서는 안되고, 칼로리 가 적은 음식물(단백질은 높게 함유되고 지방과 탄수화물은 적게 함유된 음식 물)로써 행해져야 한다.

(4) 수분 공급이 급격히 제한되면 신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한다.

(5) 필요로 한 비타민과 무기질은 충족되어야 한다.

(6) 체중 감소를 위해 어떤 종류의 약도 복용하는 것을 금한다(김기태, 1999).

9. 역도선수의 영양 관리

역도 선수의 영양은 트레이닝에 필요한 에너지(1일에 69.15㎈/㎏소모)의 충 분한 공급과 당질, 지방, 단백질의 적절한 구성이 필요하다. 대개 그 비율은 단백질18%, 지방29%, 당질53%정도이나, 단백질은 체중 1㎏당 2.2g 정도가 적 당하다.

에너지 발생 반응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비타민의 충분한 공급과, 근력과 근육 비대에 따른 단백질의 공급이 있어야 하며, 체지방량의 과잉 방지 등을 고려한 영양 관리로 트레이닝의 효과를 올려 역도 경기력 향상에 중점을 두어 야 한다.

역도 선수의 바람직한 식사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일상시의 식사

일상 생활에 있어서 역도 선수는 체력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해서 영양에 주 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22)

(1) 비만의 방지

역도 선수는 훈련기에 먹는 습관으로 평상시에도 과식하게 되에 신체의 체 지방량이 많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역도 선수는 적정 체중과 비만 방지를 위해서는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2) 지방의 과잉 섭취를 피할 것

훈련기에 지방의 섭취가 많아지는데, 평상시의 지방의 섭취는 훈련기보다 10%줄여 섭취해야한다. 이것은 핏속의 콜레스테롤의 상승을 막고 동맥 경화 증 발생을 예방하는 뜻에서 중요한 것이다.

(3) 칼슘과 비타민의 섭취에 유의할 것

역도 선수는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칼슘과 비타민을 많이 섭취해야 하는 데, 특히 비타민 A는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이므로 우유와 녹황색 야채를 충분 히 섭취해야 한다.

평상시의 영양 결핍은 체력이나 스테미너가 떨어지며, 훈련기에는 빈혈이 생기기 쉽고, 트레이닝 효과 및 운동 능력을 저하하게 된다.

2) 조정기의 식사

시합이 가까웠을 때 컨디션 조정을 위하여 수일간 (대개4∼5일)은 다음 사 항에 주의해야 한다.

(1) 적정 체중 유지

조정기에 들어가면 트레이닝량은 일반적으로 줄어들게 되므로, 섭취 에너지 를 훈련의 소비 에너지보다 한 단계 혹은 두 단계 낮추고, 적정 체중을 유지 시켜 운동 능력이 최고로 발휘될 수 있도록 에너지의 균형에 주의한다.

(2) 당질 섭취를 많이 한다.

시합 때에 글리코겐의 축적이 충분하도록 훈련기의 식사 구성보다 배 이상

(23)

의 당질 열량비를 높여야 한다.

(3) 미네랄, 비타민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시합 때에 생리 기능을 최고 컨디션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네랄, 비타민 류를 체내에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칼슘이 많은 우유나 해 초 등을 충분히 섭취하며, 또 비타민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3) 시합 당일의 식사

시합 전의 식사는 시합을 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시합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고, 에너지 발생 반응을 원활히 하며, 피로의 조기 발생을 막기 위해 비 타민 및 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특히 계체량 후 식사는 시합 시간을 고려 하고, 식사한 음식물이 소화․흡수되어 시합 시간에 에너지로 발생할 수 있는 음식물을 선택하여야 한다. 시합 중에는 공복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시합 시간이 짧으면 시합 1시간 30분에서 3시간 전에 500㎈정도로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식사량의 구성은 당질을 주로 하며, 지방과 단백질의 양은 최소한 의 양으로 한다. 그러나 시합 시간이 길어지면 공복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방량을 어느 정도(에너지에 비해 30%)많이 섭취한다.

음식물의 선택은 소화가 잘 되는 식품으로서 날것으로 먹는 것은 피하고, 야채나 생선류도 가열 조리하고, 계란도 반숙으로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콘 종류나 양어류, 양파, 무 등과 섬유질이 많고 부피가 많은 식품, 씨가 있는 식품 등은 장내 팽창과 장내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24)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피험자는 전국의 남․여 고등학교 역도부(56개교) 학생439명(남자 329명, 여자110명)중 무선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20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학생 은 총200명(남자144명, 여자56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 2. 연구대상 학교별 성별 분포

학교명 남 여 합계

서울체고 14 4 18

경기체고 13 4 17

인천체고 6 0 6

부산체고 13 4 17

광주체고 7 5 12

충남체고 13 1 14

충북체고 12 4 16

경북체고 2 3 5

전북체고 9 5 14

경남체고 11 4 15

남녕고 8 4 12

면목고 2 0 2

배재고 3 0 3

운산기공 7 0 7

부평여공고 0 4 4

성남정보실업고 0 4 4

중원고 6 0 6

태광종고 2 4 6

평택고 8 0 8

포천종고 8 6 14

20개교 144 56 200

(25)

2. 연구계획 및 일정

표 3. 연구계획 및 일정표

3. 조사도구

1) 설문지 : 본 연구의 설문지는 공통문항에서 4개의 파트로 나누어진다.

2) 설문지 회수 : 각 학교에 대상집단에게 설문지를 배부 후 대상집단으로부 터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대상집단에게 설문지에 관하여 설명한 후, 차후 작성하도록 하여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 4. 설문지 내용

4. 자료처리

본 설문지는 전문가와 충분한 토의를 거쳐 작성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회수 한 후 이중 응답이 없거나 설문지에 대한 답변이 불충분한 것은 제외하고,

문헌조사 및 자료수집 2002년 3월 1일 ~ 2002년 3월 30일 설문지 작성 2002년 4월 10일 ~ 2002년 4월 30일 설문지 배포 및 회수 2002년 5월 6일 ~ 2002년 7월 31일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2002년 8월 1일 ~ 2002년 8월 31일 논 문 작 성 2002년 9월 1일 ~ 2002년 10월 23일

체중감량에 대한 질문 객관식 7개 문항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서술형 1개 문항

체중감량과 기록에 질문 객관식 2개 문항

여자학생들만 답변하는 객관식 4개 문항

(26)

Window용 SPSS 10.0버전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demographic data 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설문지의 각 항은 질문의 성격에 따라 적정한 통계적 수치로 표현되었고, 각 그룹간의 비교는 문항에 따라 대응표본 t검정(t-test)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5 설정하였다.

(27)

Ⅳ. 결과 및 논의

본 연구는 국내 남․여 고등학교 역도선수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경량급․

중량급)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이 경기기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는 것이며 또한 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시 인상종목과 용상종 목의 경기기록 변화를 살펴보고자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체중감량(유․무)시 운동경력에 따른 기록의 변화 유․무. 둘째, 운동경 력에 따라서 경량급과 중량급 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시 경기기록 변화의 유․무. 셋째, 선수들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따른 기록변화 유․무를 분석 하였다.

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표 5.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p〈.05

체중을 감량한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3∼4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는 평상시 보다 시합시에 기 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5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는 인상종목과 는 다르게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08.661

106.161 28 2.245 27 .033*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35.536

133.036 28 1.845 27 .075

(28)

1-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는 첫째, 경 량급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는 평상시 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 성 있게 3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는 인상종목과는 다르게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량급 학생들의 경우 인상종목 과 용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3∼4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는 평상시 보다 시합시 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4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도 인상

표 6.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01.111

98.056 18 2.610 17 0.18*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26.944

124.583 18 1.772 17 0.94

중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22.250

120.750 10 .625 9 .541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51.000

148.250 10 .905 9 .386

표 7.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99.643

97.232 28 2.588 27 .015*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24.464

121.161 28 2.754 27 .010*

(29)

종목과 마찬가지로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일관성 있게 3.3k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학생들의 경우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량급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평상시 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6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는 인상종목과 마찬가지로 일관성 있게 3.6k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90.769

88.654 13 1.499 12 .16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14.615

111.731 13 1.726 12 .110

중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07.333

104.667 15 2.086 14 .056*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33.000

129.333 15 2.087 14 .056*

(30)

3.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5∼6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3.1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도 인상종목과 마찬 가지로 일관성 있게 3.5k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8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서도 인상종목과 마찬가지로 일관성 있게 3.2kg 감소하였다. 둘째, 중량급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평상

표 9.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20.833

117.708 48 4.769 47 .00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49.740 146.198 48 5.777 47 .000*

표 10.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15.625

112.813 32 3.974 31 .00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43.125

139.125 32 4.842 31 .000*

중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31.250

127.500 16 2.701 15 .016*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62.969

158.906 16 3.204 15 .006*

(31)

시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3.7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 목에서도 인상종목과 마찬가지로 일관성 있게 4k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5∼6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모두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4-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표 11.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31.364

129.318 11 1.093 10 .30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63.182

160.909 11 1.491 10 .167

표 12. 역도선수(남)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 - - - -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 - - - -

중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31.364

129.318 11 1.093 10 .30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63.182

160.909 11 1.491 10 .167

(32)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남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학생들은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학생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량급 학생들의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모두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3∼4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모두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5-1.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표 13.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69.107

70.357 14 -1.202 13 .251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86.071

86.429 14 -.306 13 .765

표 14.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66563

67.500 8 -.814 7 .442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83.125

85.000 8 -1.426 7 .197

중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2.500

74.167 6 -.830 5 .444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0.000

88.333 6 .877 5 .421

(33)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경량급 선수와 중량급 선수 모두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 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6.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3∼4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모두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6-1.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표 15.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3∼4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2.115

73.269 13 -1.720 12 .111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3.462

93.846 13 -.365 12 .721

표 16.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 - - - -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 - - - -

중량급 3~4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2.115

73.269 13 -1.720 12 .111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3.462

93.846 13 -.365 12 .721

(34)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선수는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학생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중량급 선수 모두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5∼6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9kg 감소하였다. 또한 용상종목에는 일관성 있는 기록 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7-1.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표 17.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7.083

74.167 6 3.796 5 .013*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8.333

95.833 6 1.464 5 .203

표 18.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유)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3.750

70.625 4 2.611 3 .080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3.125

91.875 4 .522 3 .638

중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 - - - -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 - - - -

(35)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선수는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의 변화가 나 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량급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학생이 한 명도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8.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평상시․시합시)변화

*p〈.05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5∼6년의 경력을 가진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기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용상종목에는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 관성 있게 2.5kg 감소하였다.

8-1.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

*p〈.05

표 19.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운동경력(5∼6년)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변인 Mean N t df Sig

경력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4.500

76.500 5 -1.372 4 .242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3.000

95.500 5 -3.162 4 .034*

표 20. 역도선수(여)의 체중감량(무)시 체급에 따른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체급 경력 변인 Mean N t df Sig

경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 - - - -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 - - - -

중량급 5~6 (년)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74.500

76.500 5 -1.372 4 .242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3.000

95.500 5 -3.162 4 .034*

(36)

체중을 감량한 여자학생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기록변화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량급 선수는 체중감량을 하지 않은 학생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중량급 학생의 경우 인상종목에서 일관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용상종목에서는 평상시 보다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일관성 있게 2.5kg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남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 기록변화

*p〈.05

남자학생들의 체중감량(유)시 상대체중에 의한 기록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1 번(1%∼3%)에 해당하는 선수는 체중감량시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인상종목에 서 2.5kg감소하였고, 용상종목에서 3.6kg감소하였다. 둘째, 2번(3.01%∼5.00%) 에 해당하는 선수는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인상종목에서 3.7kg감소하였고, 용 상종목에서도 3.7kg감소하였다. 셋째, 3번(5.01%∼〈)에 해당하는 선수는 평상 시와 시합시에 일관성 있는 기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21. 남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번호 % 변인 Mean N t df Sig

1 1~3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22.333

119.750 30 3.307 29 .003*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51.417

147.750 30 3.832 29 .001*

2 3.01~5.00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14.569

110.862 29 3.555 28 .001*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42.155

138.362 29 3.959 28 .000*

3 5.01~〈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108.824

106.765 17 1.574 16 .135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136.324

135.147 17 .783 16 .445

(37)

10. 여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 기록변화

*p〈.05

여자학생들의 체중감량(유)시 상대체중의 의한 기록변화를 살펴보면 1번(

1%∼3%), 2번(3.01%∼5.00%), 3번(5.01%∼〈)에 해당하는 선수모두 평상시와 시합시에 기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표 22. 여자학생의 체중감량시 상대체중에 대한 기록변화 대응표본 검정표

번호 % 변인 Mean N t df Sig

1 1~3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80.000

78.750 4 1.732 3 .182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99.375

96.875 4 .926 3 .423

2 3.01~5.00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69.583

68.750 12 .804 11 .438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87.917

86.875 12 .923 11 .376

3 5.01~〈

평상시 인상기록 시합시 인상기록

68.750

72.500 4 -1.567 3 .215 평상시 용상기록

시합시 용상기록

85.625

88.750 4 -1.667 3 .194

(38)

2. 논의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남․여 고등학교 역도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체급별 (경량급․중량급)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이 경기기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시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의 경기 기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장에서는 선행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종합적인 논의를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이병택(2001)은 체중감량 정도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체 중감량정도가 1kg∼2kg 미만은 (인상 6.1kg ․용상 6.3kg), 2kg∼3kg 미만은 (인상 2.8kg∼용상3.1kg), 3kg∼4kg 미만은 (인상 4.2kg․용상 1.7kg), 4kg∼

5kg 미만은 (인상 7.5kg․용상5.7kg)으로 2kg∼3kg을 감량한 선수가 시합시 자기 기록유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방정석(1993)은 체중감 량이 기록에 미치는 영향을 체중감량정도가 클수록 평상시에 비해 시합기록이 저조하다고 하였고, 체중감량기간이 길수록 평상시에 비해 시합시 기록이 저 조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방정석(1993)은 한 경기에서만 시합시의 경기기록을 보았고, 이병택(2001)은 한 경기에서의 시합시의 기록과 운동경력이 2년∼3년 정도의 역도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르는 문제점은 한 시합에서의 기록변 화는 그 시합의 수준 또는 환경적요인과 선수들의 컨디션에 따라서 영향을 받 을 수 있기 때문에 한 개의 시합을 통하여 보는 것보다는 여러 시합 또는 선 수들의 시합시의 최고기록을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년∼3년 정도의 운동경력을 가진 학생들은 시합경험이 적고 성장기에 있으므로 본인의 완전한 체급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경력이 3년 이상 된 선수들 의 경기기록의 변화를 가지고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미흡했던 것들을 보안하기 위해서 운동경력이

(39)

3년∼6년 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제안하여 조사를 하였고, 한 개의 시합에 국한되어서 조사하였던 것을 보안하기 위해 전국의 역도선수들을 대상으로 본 인의 평상시 최고기록과 시합시의 최고기록을 조사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역도 선수의 체중감량은 항상 본인의 체급보다 평상시에 평균적으로 2kg정도 향상되어 있거나 아니면 본인 체중보다 낮은 체급에서 경기를 하여 이득을 보기 위한 수단으로 체중감량을 하기 때문에 시합시 기록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역도 경기는 (1차, 2차, 3차)3번으로 나누어 경 기를 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종목의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항상 시합시 본인 최고기록보다 1차시기는 5kg∼10kg낮은 기록으로 시합에 출전하고 2차 시기에 본인의 최고기록에 도전하며, 마지막 3차시기에 시합시의 최고기록을 도전하는 형식으로 시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합에서는 2.5kg이상으로 증가하여 기록에 도전하기 때문에 2.5kg∼5kg의 기록의 변화는 체중감량에 따 른 시합시 기록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0)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남․여 고등학교 체급별(경량급․중량급) 역도선수들의 체 중감량(유․무)이 경기기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며 선수들의 체중감량(유․무)시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의 경기기록변화를 살펴보 는 것이 그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 연구의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남․여 모두 경력(3∼4년), 경력(5∼6년)선수의 체중감량(유․무)에 따 라서 모두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인상종목과 용상종목에서 나타나는 기록의 변 화는 평균 2.5kg감소하지만 시합에 영향을 미치는 기록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남․여 모두 경량급과 중량급에서도 체중감량(유․무)에 의한 기록의 변화는 평상시보다 시합시에 평균 2.5kg감소하지만 시합에 영향을 미치는 기 록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의 상대체중 따른 기록변화는 평균 2.5kg감소하지만, 여학생의 경우 상대체중에 따른 기록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상대체중에 따른 시합시 에 기록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1)

2. 제언

본 연구는 국내 남․여 고등학교 체급별(경량급․중량급) 역도선수들의 체 중감량(유․무)이 경기기록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수행과정 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연구과제에 대하여 제안 하고자 한 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작성시 각 체급별의 균등한 인원수와 체급을 세분화하여 조사하지 못하였다.

둘째,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차이를 두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아직 역도 연맹에 등록된 여자 역도선수들의 수가 적어서 충분한 조 사를 하지 못하였다.

넷째, 설문지 조사뿐만 아니라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들은 위에서 제시한 문제들을 보안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겠다.

(42)

참고문헌

김기태(1992), 중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체중감량기간이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진(1979), 복싱선수들의 체중조절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학국체육학회, 체육학회지, 제1호.

김종훈(1973), 절식시간에 따른 근력변화, 스포츠과학연구, 보고서, 스포츠 과학연구소, 제10권, 제1호.

김창규(1982), 레슬링 선수들의 체중조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부설 스 포츠과학 연구소.

김창완 외4인(1987), 한국체육과학연구소, 제6권, 1호, p.81∼103.

대한체육회(1992), 체육대백과사전.

박계순(1987), 레슬링선수의 체중감량시 체력변화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연구논문집 18권, 제2호 p.171∼182.

박수원(1996), 씨름선수의 체중감량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방정석(1993), 고등학교 역도선수의 체중감량이 기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상필(1998), 레슬링 성수의 체중감량기간이 심폐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 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10.

신정섭․김세환(1997), 고등학교 역도선수의 체중감량이 체력에 미치는 영 향,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제21호, p.347∼359.

양무신 외2인(1999), 역도교과서, 교육부, p.7∼12, 116∼119.

(43)

윤익선(1996), 스포츠지도론, 태근출판사, 머리글.

윤희중(1978), 체급별 경기자의 체력훈련 및 체중조절에 관한 조사연구, 대 한체육학회지, 제17호, 3호, p.183∼198.

이규석(1983), 태권도 선수의 체중감량과 그 실정의 문제점, 대한 태권도협 회논문집, p.207∼215.

이병택(2001), 중학교 역도선수들의 체중감량 방법, 기간, 정도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선오(1988), 레슬링 선수의 정량과 체중감량에 따른 체력에 관한 연구 조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종태(1997), 씨름선수들의 체중감량에 관한 실태조사 분석연구, 명지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장인현(2000), 체급체중 감량에 의한 여고 유도선수의 최대운동능력 분석,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개진(1998), 역도선수의 운동상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동구․윤희중(1987), “Wrestling 선수의 체중조절의 관한 연구” 한국체육 학회지, 제26호, p.1∼7.

정용근(1993), 역도선수의 체중감량의 따른 수분, 전해질, 및 호르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성계 외1인(1986), 장․단기 체중감량이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과학연구소, 86연구종합보고서2, p.197∼229.

조재기(1983), 유도선수의 체중조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연 구소 논문집 제1호, p.223.

최만준(1983), 체중감량에 따른 경기력 변화조사, 인천전문대학 논문집 제3권 하경대(1975), 레슬링사와 기술연구, 통일사.

학국체육과학연구원(1990), 경기훈련지도서(역도), 보경문화사, p.180∼183.

(44)

대한체육회(1984), 역도경기 훈련지도서, 스포츠과학연구소, p.163∼166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1976): Position stand on weight loss in wrestlers. Med. Sci. Sports, 8 ⅺ-ⅻ

Laurence, M. & Hursh, MD(1979). Food and water restriction in the wrestler, JAMA vol 241(9).

Shaver, L.G(1970). Essential of exercise physiology, Burgess Pub Co.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11에서의 랜덤 백오프 알고리 즘과 같은 채널 협상을 효율적으로 처리방안도 중요한 과제중 하나이다.무선 랜에 서 충돌이 생기는 이유로 크게 숨겨진 노드 문제와 노출된

The study was mad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by using Friction Stir Welding (FSW), which is a solid joining process of low heat input type in order to solve

This report, therefore, analyses two important policy issues: (1) the appropriateness of the government allocated GHG reduction targets by sector and industry; (2) the

The Acquisition of French Subject, Direct Object and Genitive Restrictive Relative Clauses by Second Language Learners.. Processing relative clauses

The Conference is the first such gathering since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was adopted last year by UN member States with the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ƒ Reduction (환원) : reduction of metal oxides using gases such as.. ƒ Reduction (환원) : reduction of metal oxides using gases such as hydrogen

n The magnitude of the buoyant force acting on a floating body in the fluid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fluid which is displac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