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연구의 가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3. 연구의 가설"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6)
(7)
(8)
(9)
(10)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인체 수행력은 에너지 대사 측면에서 유산소성 지구력, 무산소성 능력과 무 산소성 파워로 구분된다(정일규, 1997).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 는 인체가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작업속도로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선수의 운 동 경기력에도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더구나 우수한 선수는 엄격한 선발과 선발 후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훈련으로 만들어지며, 이 때 무산소성파워는 우 수선수가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각종 점핑, 순간적인 전력질주 등은 단시간에 많은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활동이고, 각 개인으로 하여금 상당한 기계적인 파워를 생성하도록 요구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파워의 생성은 근력과 무산소성 대사경로 즉, ATP-PC 시스템과 무산 소성 해당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ATP량과 ATP 생성율과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은 개개인의 파워분출 능력을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또는 무산 소성 체력이라고 한다(Merle & Steven, 1998).

아동기는 일생을 통하여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성장, 발육하는 중요한 시기로서 그 발달시기에 맞추어 구체적이고 계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많은 운동능력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다. 이 시기 중에 발육발달의 제 요인을 바람 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주면 다음 단계인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의 신체적 능 력을 극대화시켜 개인의 생활을 보다 풍요롭게 할 수 있다(김범희, 1999).

무산소성파워의 증가는 연령, 성별, 신장, 체중, 비만도, 대퇴의 용량과 밀

(11)

접한 관계가 있다(De Ste Croix MB, Armstrong N 등, 2001). 또한, 무 산소성 트레이닝은 아동의 무산소성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무산소 트레이닝 후 아동들은 안정 시 크레이틴 인산, ATP와 글리코겐 수준 이 증가하고 혈액의 최대 젖산 수준이 증가한다(최영근, 1997). 따라서 어느 시기에 무산소성 파워 능력이 현저히 발달하는지 규명하여 우수선수 발탁 또 는 그와 관련된 운동 프로그램을 학교체육수업시간에 계획할 수도 있으며, 이 를 통해 꿈나무를 적절한 시기에 발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시간 동안 최대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는 유산소성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 다. 대부분의 스포츠 경기에서 유산소적 운동능력보다 무산소적 운동능력이 경기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는 놀라운 일 이 아닐 수 없다(정진원, 1999). 또한, 무산소성 파워에 관한 많은 연구들(정 진원 1999, 전해섭, 김병로 1999)은 운동선수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 어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엘리트 운동선수들은 초등학교시절에 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체육교사의 눈에 띄거나 부모의 관심, 또는 자신의 관심 등으로 시작하게 된다. 초등학교에서는 5∼ 6 학년에 체력검사를 실시하기 시작하지만, 운동선수로서 운동을 시작하는 나이 는 3학년이나 4학년 시기에 많이 이루어진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매년 이루어 지고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체격검사에 한 두 가지 변인을 더 추가한다 면, 개개인의 무산소성파워 능력을 전국적으로 쉽게 알 수 있어 우수선수의 발 굴이 보다 더 쉬울 뿐 아니라 유 소년층의 무산소성파워의 향상추이도 알 수 있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연령별 무산소성 파워의 변화를 분석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무산소성 파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유 소년층 선수들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12)

있는 도구로, 꿈나무를 조기에 발굴하거나 육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산소성 파워의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 및 목표설정을 위한 기초 자 료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를 성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여 어느 시기(연령)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체격변인이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연구의 가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운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성별․연령 간에는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무산소성 파워와 체격변인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무산소성 파워는 연령이 올라갈수록 증가할 것이다.

4. 연구의 제한점

(1) 피험자는 해당나이의 6월에서 10월 사이에 출생한 자로 제한하였다.

(13)

(2) 피험자의 신체활동의 수준을 동일하게 통제하지 못하였다.

(3) 피험자의 식생활 양식, 심리적인 요인들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5.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산소적 대사(Anaerobic metabolism) :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학 적 반응을 통하여 ATP(인체세포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에너지원)를 재 합성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2)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 : 인체가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작업속 도로서, 그 주된 에너지 공급은 인원질(ATP, PC)의 무산소적 분해로부 터 얻는다. 대체로 무산소성 파워는 30초 이내의 단시간 동안 실시된 테 스트를 통해 측정된다. 투포환이나 점프는 최대 무산소성 파워에 의존하는 종목이다.

(14)

Ⅱ. 이론적 배경

1. 초등학생의 성장발달 특성

인간의 신체발달 특성은 발육기를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초등학생 은 제2아동기에 해당된다. 사람의 발육․발달은 기관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조기에 발육․발달하는 기관도 있고, 동시에 늦게 발육․발달하는 기관도 있 다. 아동기 신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은 성장 호르몬과 성호르몬이 다. 아동기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발육이 빠른데, 이유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하나인 성장호르몬의 분비와 성호르몬의 분비로 설명할 수 있다. 성장호르몬 분비가 왕성해지면 골이 잘 발달되어 발육을 가속화한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초경이 시작되는 사춘기에 이르면 성호르몬이 분비되어 골 발육 및 성장 호르 몬을 억제하여 성장을 방해한다. 성호르몬이 늦게 분비되는 남자의 경우는 성 장호르몬의 지속적인 영향을 받아 골의 성장 발달과 근육과 순환 호흡계통이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운동기능도 최대의 가속시기를 갖게 되면서 형태, 기능 상에서 남녀간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정채봉, 2001).

1) 신체의 발달

신장 발육 과정을 보면 남자의 경우는 20세, 여자의 경우는 16세정도 까지 신장발육이 나타난다(정채봉, 2001). 신장의 연간 최대 증가량을 보인 시기 는 남자가 12∼13세 사이(6.86cm)이고 여자가 11∼12세 사이(6.59cm)였

(15)

다. 남녀가 공통적으로 25세 이상의 성인부터는 연령증가에 따라 완만하게나마 평균 신장이 감소된다. 한편 만 11∼12세 사이에는 여자의 평균 신장이 남자의 평균 신장을 능가하는 교차현상을 보이다가 13세 이후 남자가 계속 크게 나타 난다고 보고된다(김범희, 1999).

체중의 발육 과정을 보면 체중증가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남자의 경우 11∼

14세 경이고, 여자의 경우 9∼12세 경으로 연간 체중증가량은 남자가 약 5.1kg이고 여자가 약 4.6kg이라고 하였으며 만 11∼13세 사이에는 여자의 체중이 남자의 체중을 능가하는 교차현상을 보이다가 14세 이후부터는 남자 가 계속해서 크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김범희, 1999). 그리고 남자의 경 우는 20세가 되어도 체중 발육량이 0이 되지 않지만 여자의 경우 17세 경에 0으로 나타난다. 물론, 체중은 신장과 달리 유전의 영향보다 환경의 영향을 많 이 받는 속성이 있으므로 발육량이 0이 되는 시기 이후에서도 생활환경 여하 에 따라 증가도 하고 감소도 하게 된다(정채봉, 2001).

2) 신체 기능의 발달

신체 기능의 발달은 송경희(1993)에 의하여 근, 호흡 순환, 신경기능으로 나누어 정의한다.

(1) 근 기능의 발달

근 조직 기능의 하나는 근력이라고 하는 형으로 발휘되며 근육은 적절한 방 법으로 사용하면 근 섬유의 횡단 면적이 확대되어 근력이 높아진다. 또 근에 지구적인 운동을 부하하면 근육내의 활동 혈관 수가 증가하여 혈류량이 많아 져서 근 지구력이 높아진다. 근력은 10세 경에는 남녀간의 차이가 거의 없지만

(16)

그 이후는 연령과 함께 차가 커지며 20세 전후에 최고치에 달한다

(2) 호흡 순환 기능의 발달

인간의 생명 유지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활동을 해야 하며, 운동을 할 때나 심리적 스트레스가 주어질 때 그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특별히 그 활동을 변화 시키고자 하는 기능이 호흡 순환 기능이다. 폐활량은 남자가 12∼13세, 여자가 11∼12세 경에 최대 발달량을 나타나고 근 기능 발달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3) 신경계 기능의 발달

신경계의 발달은 극히 빨라 7∼8세에서 성인의 약 90%에 도달하며, 단순 반응 시간의 발달은 7∼8세에 최대를 이루어 16세까지 발달한다. 일반적으로 반응 시간은 여자보다 남자가 짧다.

3) 체력의 발달

체력의 발달은 송경희(1993)에 의하여 근력 및 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민첩 성, 전신지구력의 발달로 나누어 정의한다.

(1) 근력 및 지구력의 발달

근력은 연령에 따라 상승 경향을 보이며 20세 전후에 최고치를 보이고 있고 남녀의 차는 11세 전후에 나타난다. 이때부터 남자의 증가량은 커지나 여자는 그렇지 않다. 근 지구력은 남자의 경우 13∼14세 경까지 발달하고 그 후는 발 달 속도가 감소되며, 여자는 15∼16세 경에 발달량이 감소한다.

(17)

(2) 순발력의 발달

강한 순발력은 높은 근력과 빠른 스피드의 발휘에 의해서 얻어지며 남자는 13∼14세 경까지, 여자는 9∼10세 경까지 발달이 가속적으로 일어난다.

(3) 유연성의 발달

유연성에서 남자는 11세까지 여자는 8세까지 가속적인 발달을 볼 수 있으 나 그 후 급속한 발달의 감소를 보인다.

(4) 민첩성의 발달

남녀 모두 11세까지 발달이 현저하며 그 후 17세 경까지 발달하고 18세 이 후부터 저하 경향이 나타난다.

(5) 전신 지구력의 발달

오래달리기의 경우 남자 14∼15세까지, 여자의 경우 13세까지 주력이 발달 하나 그 후는 점차로 저하 경향을 보이고 있다.

2. 무산소성 대사과정

근 수축과 같은 신체운동은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ATP 및 PC인 고에너지 인산결합이 분해될 때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이 에너지는 산소의 공급을 받아 이루어지는 유산소 대사(aerobic metabolism)와 산소의 공급 없이 이 루어지는 무산소 대사(anaerobic metabolism)를 통해서 생성되며 이중에 유산소 대사에 의해서 에너지가 더 많이 생성된다. 유산소 대사 및 무산소 대 사과정의 에너지 이용비율은 운동강도 및 운동지속시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

(18)

다. 즉, 운동강도가 높고 운동시간이 짧을수록 무산소대사의 비율이 높은 반면, 운동강도가 낮고 운동시간이 길어지면 유산소대사의 비율이 높다. 안정 시 대 사는 주로 유산소 대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는 체내에서 요구되는 양만큼 의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어 필요한 에너지가 만들어진다. 그러나 단시간 강한 운동 시의 에너지 소비량은 운동량에 병행하여 증가하나 산소 섭취량은 에너 지소비량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무산소 운동중의 에너지 이용은 먼저 체내 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ATP, PC에 의해 공급된다(강두희, 1998). 그러나 체내 에 저장되어 있는 에너지의 양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시간의 근수 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빠르게 ATP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지 닌 대사 경로(metabolic pathways)가 세포에 존재해야만 한다. 실제로 근 세포 에는 3가지 대사 경로에 의해서 ATP를 생산할 수 있다. 즉, (1) 크레아틴 인산 (creatine phosphate : CP)에 의한 ATP의 생산, (2) 글리코겐 또는 글루코스 분해에 의한 ATP의 생산, (3) 산화(oxidation)에 의한 ATP의 생산이다(정진 원, 1999).

1) ATP - PC 시스템

PC(phosphocreatine)라 하는 또 하나의 고 에너지 인산분자가 있는데 PC는 ATP와 같이 근세포에 저장이 되어 있다. ATP가 분해될 때에 생성되는 에너지는 근수축에 사용되지만 PC가 분해될 때에 생성되는 에너지는 직접적 으로 근수축에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PC는 ATP분자의 재합성에 사용된다.

ATP가 ADP와 무기인산 Pi로 분해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고 PC가 크레아틴 (C)과 무기인산(Pi)으로 분해되면서 나오는 에너지에 의해서 ADP와 Pi가 ATP로 다시 재합성된다. 또한 Pi와 C를 PC로 재합성하는 데에는 ATP의 분 해에 의해서 생기는 에너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최대 스프린트(maximal

(19)

sprint)운동 초기 몇 초 동안 ATP의 수준(함량)은 일정하게 남아 있으나 반 면에 PC의 수준(함량)은 활동을 통하여 일정하게 감소한다. 심한 피로상태에 서는 ATP나 PC의 수준이 상당히 낮으며 더 이상의 근 수축과 이완을 위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없다. PC에서 얻은 에너지로부터 ATP의 수준을 유지하 기 위한 능력은 제한되어 있다. ATP와 PC의 저장은 단거리 전력질주 중 몇 초 동안을 위해 단지 근육이 에너지욕구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근육은 ATP 형성을 위한 또 다른 과정에 의지하여만 된다. ATP-PC시스템에도 두 가지 다른 ATP생성과정이 있다. 첫째는 해당작용인데 이것은 산소의 사용이 없이 근육 내(글리코겐)에 저장된 당으로부터 ATP를 생성한다. 둘째는 탄수화물, 지방과 단백질분자로부터 ATP의 형성을 하는 산화는 산소의 도움이 필요하 다. 즉, 유산소 시스템을 말한다. 이들 두 에너지 시스템(해당작용과 유산소 과정)은 우리의 식이요법에서 보통 소비되는 연료의 이용도에 의존된다(최영 근 등, 1997).

2) 무산소성 해당작용(Anaerobic Glycolysis)

이 시스템은 산소가 관련되지 않고 젖산이 축적을 유발하기 때문에 무산소 성 해당작용 또는 젖산시스템이라 한다. 운동 중 근육에 젖산이 과도하게 축적 되면 운동능력을 제한한다. 운동초기 몇 분 동안 근 활동의 강도가 높아질 때 신체는 요구되는 ATP를 재생하기 위해 충분한 산소의 공급을 할 수 없다.

ATP-PC시스템과 해당작용은 산소의 도움 없이 ATP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 을 무산소적 대사(anaerobic metabolism)라 한다. 해당작용은 산소가 없이 탄수화물(전분과 당)을 분해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세포 내에 저장된 당 분인 글리코겐은 특별한 해당효소의 활동을 통해 분해되며 ATP를 형성하면서 젖산을 축적한다. 따라서 해당작용에서 ATP를 만들 때 이 시스템에서는 산소

(20)

의 공급이 불충분하다. 이 에너지 생성시스템은 비교적 비효율적이다. 즉 글리 코겐 1몰(180g)의 무산소적 분해로부터 단지 3개의 ATP만 제공되기 때문이 다. 다른 한편으로 산소가 존재하는 유산소적 대사(aerobic metabolism)는 글리코겐 1몰(180g)로부터 39몰의 ATP를 합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작 용 시스템은 고도로 격렬한 근 활동을 위해 에너지를 제공하는 ATP-PC시스 템을 보충한다. 그러나 충분한 산소가 없어 근육은 에너지 보존량이 감소함으 로서 장력을 발생하기 위한 근의 능력을 상실한다. 무산소적 해당작용의 두 번 째 큰 제한점은 글리코겐의 불완전한 분해로 젖산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마지 막 1∼2분 동안의 전력 질주하는 단거리 달리기에서는 해당시스템이 높게 요 구된다. 근육의 젖산함량이 안정 시에 근육 kg당 1㏖에서 kg당 25m㏖이상으 로 올라가기 때문이다. ATP-PC시스템이나 해당에너지 시스템은 격렬한 근 활동을 위해서 ATP의 신속한 공급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 섬유의 에 너지비율은 안정시보다 운동 중에는 200배 이상 사용이 되므로 그것은 이들 ATP생성의 방법으로 요구되는 에너지 모두를 공급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므 로 또 다른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이 없다면 최대운동기간 중에는 단지 몇 분 동안의 활동으로 제한 받게 될 것이다(최영근 외 1997).

3. 무산소성 파워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란, 유산소성 에너지 공급에 거의 의존하 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최대 작업량을 의미한다. 무산소성 능력 (anaerobic capacity)은 무산소성 에너지 공급에 의존하여 강한 수축활동을 반복하거나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정일규 등 1997).

(21)

4. 무산소성 파워 측정방법

1) 마가리아 칼멘 테스트(Margaria Kalmen test)

ATP-PC 시스템에 의한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는 가장 유효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정일규, 1997).이 검사는 계단 앞 6m 지점에서 출발하여 한 번에 3계단씩 뛰어오르는데, 처음의 셋째 계단에서 아홉 번째 계단까지 뛰어 올라간 시간을 측정한다. 계단 높이의 합을 거리(D)로 사용한다(3∼9번째 계 단 사이의 거리). 파워는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장진성, 1998).

<표 1> Margaria-Kalmen 파워테스트 공식

P = W × D / T

W = 체중(kg)

D = 계단 높이의 합(m)

T = 뛰어간 시간(초)

2) 서전트 점프 테스트(Sargent Jump Test)

피검자가 서서 있을 때의 높이와 손을 위로 뻗어 점프하여 손이 닿을 수 있 는 높이와의 차이를 측정한다는 것이 다리의 파워 테스트를 하는 것으로 잘못 이용되어 왔다. 만일 점프 시 체중과 속도가 측정되지 않으면 이 측정치는 정 확한 힘의 측정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각 근력 측정으로 서전트 점프(jump reach test)를 더욱 신뢰성 있게 하기 위해서는 루이스 모노그램(Lewis Nomogram)을 사용할 수 있다(이정근 등, 1995).

(22)

3) 윈게이트 테스트(Wingate test)

30초간 실시하는 실험으로 피검자는 최고의 저항에 대한 최대의 비율로 페 달을 밟는다. 저항은 체중을 기초로 하여 설정되며 일단 저항이 설정되면 피검 자는 30초 동안 가능한 한 최고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최대한으로 빨리 페달을 밟아야 한다. 파워출력은 5초마다 기록된다. 그리고 최고의 출력은 5초 단위 가 6번 이상 달성된 가장 높은 출력에 따라 결정된다. 이 실험은 정확하게 눈 금을 측정하는 싸이틀 에르고 메타와 시간 측정 장치, 5초 단위로 회전수를 정 확하게 셈하는 기구가 필요하다(최영근 등, 1997).

<표 2> Wingate test 공식

Power = 부하(kp) × 페달횟수 × 6(m) / 5(초)

Watt = 부하(kg) × 페달횟수 × 11.765

4) 50yard 달리기 테스트

Kalmen은 50yard를 달리게 한 기록과 Margaria-Kalmen 파워테스트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0.974)가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사실은 값비싼 장 비를 쓰지 않고도 50yard 달리기 검사로서 대치 시켜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시계 장치만 된다면 Margaria - Kalmen 검사가 월등하지만 시계장치가 되지 않으면 50yard 달리기를 활용할 수도 있 다(이정근 등, 1995).

(23)

Ⅲ. 연 구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D초등학교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이상이 없는 8∼13세 초등학생으로 각 연령별 남학생 25명, 여학생 25명 총 50명으로 전 체 남학생 150명, 여학생 150명 총 30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신 체적 특성은 <표 4>와 같다.

<표 3>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연 령 인 원 남 자 여 자

신장(cm) 체중(kg) 신장(cm) 체중(kg)

8세 50 123.0±4.8 25.0±5.0 120.2±3.9 23.7±4.5

9세 50 129.4±4.5 28.6±5.2 126.9±5.8 27.8±5.6

10세 50 134.3±4.7 34.0±7.8 135.3±5.7 35.1±7.6

11세 50 141.1±7.9 40.9±11.9 142.0±6.1 39.6±8.2

12세 50 144.3±7.3 39.5±6.9 146.8±6.5 42.0±7.9

13세 50 153.6±7.9 52.7±12 152.0±5.8 44.4±7.6

합계 300 137.6±11.9 36.8±12.4 137.2±12.5 35.4±10.2

2. 연구설계

(24)

각 연령(8∼13세)의 성별로 피험자(n=300)의 신장, 체중, 대퇴의 둘레, 대퇴의 두께, 삼두근의 두께, 견갑골 하부의 두께 측정치와 이들의 Sargent Jump기록을 Lewis monogram에 적용한 측정치, 50yard 달리기의 측정치 를 통하여 체격 변인들과 무산소성 파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분석을 바탕으로 무산소성 파워가 어느 시기(연령)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 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은 체격의 측정, 무산소성 파워의 측정 순으 로 진행되었다.

3. 측정 방법

1) 체격 측정

Kevin Norton(2000)의 체격 측정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신 장

목을 늘인 상태의 자세에서 신장을 측정할 때 두발을 모으고 뒤꿈치, 엉덩 이 등을 신장계에 밀착시킨다. 신체가 Frankfort plane에 있을 때 머리는 신 장계에 밀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Frankfort plane은 눈확과 이점이 동일한 수평면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정수리는 두개골의 최상점이 된다. 피험 자에게 깊은 호흡을 들여 마시도록 하고 눈확과 이점을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기록자는 바닥에서 발이 떨어지는가와 머리 위치가 수평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한다. 측정치는 호흡을 깊이 들여 마시는 마지막 시점에 읽는다.

(25)
(26)

도록 조금 벌린다. 대퇴의 둘레 측정은 엉덩이 주름아래에서 측정<그림 2>된 다. 대퇴의 둘레는 피험자를 상자나 걸상 위에 서게 함으로 측정이 용이해진 다. 측정자는 줄자를 대퇴 아래 사이로 통과시켜 정확한 자리를 정하고 오른손 으로 줄자의 끝 부분을 잡고 왼손은 줄자가 반대편 족에서 제대로 위치하는지 를 확인하고 왼손으로 교차기법을 사용하여 줄자가 대퇴의 측정부위에 수평이 다. 또한 줄자가 피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해야 하며 지나치게 잡아당기지 않 은 상태에서 값을 읽어야 한다.

<그림 2> 대퇴의 둘레 측정법

(5) 삼두근의 두께

피험자는 왼팔을 가볍게 붙이고 편안한 자세로 서 있는다. 이때 오른팔은 어 깨 관절을 약간 바깥쪽으로 회전시키고 팔꿈치를 펴서 편안하게 한다(해부학 적 자세). 이때 측정자는 측정 위치<그림 3>를 잡는 부분이 팔의 장축과 평행 이 되게 한다.

(27)
(28)

2) 무산소성 파워(AnP) 측정

(1) 50yard 달리기

출발신호원은 출발선 앞 왼쪽 약 5m지점에 위치하여 계시원에 깃발을 높이 들어 준비상태를 확인한다. 「제자리에」 구령을 하면서 깃발을 땅에 댄 다음에

「차렷」 구령 후 적당한 시기(2초)에 깃발을 들어 출발시킨다. 이때 피검자는 스탠딩스타트 자세로 준비했다가 신호와 동시에 출발한다. 계시원은 출발신호 깃발이 땅에서 떨어지는 순간부터 주자의 몸통이 결승선에 닿을 때까지 시간 을 1/10초 단위로 계측하여, 최하위의 1/10초를 적용한다. 50yard달리기는 1회의 실시를 원칙으로 하되 도중 불의의 사고로 실패한 사람의 경우 2회를 허용한다(고기환, 1999).

(2) Sargent Jump test(서전트 점프 테스트)

측정자는 측정용지 또는 소흑판과 지우개, 색분필, 줄자 등을 준비하고 벽면 에서 20cm 떨어진 바닥에 벽면과 평행선을 긋는다. 피검자는 벽 쪽 손가락 끝에 분필가루를 묻히고 바닥에 그어진 선에 벽 쪽 발이 닿을 정도로 양발을 모아 선다. 그리고, 예비동작을 취하여 최대한의 높이로 뛰어서 손가락 끝에 묻은 분필가루로 측정판에 표시한다. 이때 제자리 발구르기는 허용되나 도움 닫기 등 양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행위는 금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회 실시하고 평균치를 구한다(고기환, 1999). 체중과 평균값을 Lewis monopram <그림 5>에 적용하여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한다(장진성, 1998).

(29)
(30)

4. 측정기기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측정기기는 <표 4>와 같다.

<표 4> 측정기기

측정항목 측정기기 제조회사 비고

신 장 신장계 동상 통상 한국

체 중 체중계 동상 통상 한국

피부두겹두께 skinfolds caliper 경기스포츠 한국

50yard 달리기 초시계 YAMAX 중국

5. 자료처리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자료는 Windows 용 SPSS+pc 10.0 프로그램에 의 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 되었다.

(1) 연령별 남녀간의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test를 실 시하였다.

(2) 체격변인(신장, 체중, 대퇴의 둘레. 대퇴의 두께, 삼두근의 두께, 견갑골 하부의 두께)과 무산소성 파워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체격변인이 무산소성 파워를 얼마만큼 예언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31)

Analysis)을 실시하였다.

(3) 무산소성 파워의 연령 간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 다.

(4) 연령 간 평균치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고 Scheffe법에 의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5) 연령별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향성 분석(Trand Analysis)을 실시하였다.

(6) 모든 자료 분석의 유의수준은 5%이하로 설정하였다.

(32)

Ⅳ. 연 구 결 과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를 성별 및 연령별로 분석하여 어느 시기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체격변인이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

초등학생의 연령별 무산소성 파워 수준을 알아보고 남녀간의 차이에 대한 t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8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5>와 같다.

<표 5> 8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24.47 5.01

21.13 4.14

22.80 4.86

t 검증 t=2.567 df=48 P=.013

50yard 달리기

M S․D

11.28 1.07

11.99 1.23

11.64 1.23

t 검증 t=-2.101 df=48 P=.041

(33)

<표 5>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기록은 22.8

±4.8㎏․㎧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24.4±5㎏․㎧ 이고 여자는 21.1±4.1

㎏․㎧의 기록으로 남자 기록이 여자의 기록보다 3.3㎏․㎧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 과 전체 평균기록이 11.6±1.2초로 남자는 11.2±1초, 여자는 11.9±1.2초 로 남자가 여자보다 0.8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5)를 보였다.

2) 9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9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6>과 같다.

<표 6> 9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28.99 5.38

26.64 5.27

27.81 5.40

t 검증 t=1.55 df=48 P=.127

50yard 달리기

M S․D

10.46 1.04

11.62 1.16

11.04 1.24

t 검증 t=-3.70 df=48 P=.001

<표 6>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기록은 27.8

±5.4㎏․㎧으로 나타났다. 남자는 28.9±5.3㎏․㎧, 여자는 26.6±5.2

㎏․㎧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3㎏․㎧ 높은 기록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과 전체평균 기

(34)

록은 11.0±1.2초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10.4±1초, 여자는 11.6±1.1초로 남자가 여자보다 1.2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p<.05)를 보였다.

3) 10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10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7>과 같다.

<표 7> 10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36.67 7.29

35.76 7.72

36.21 7.45

t 검증 t=0.426 df=48 P=.672

50yard 달리기

M S․D

9.79 0.81

10.54 0.85

10.16 0.90

t 검증 t=-3.15 df=48 P=.003

<표 7>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기록은 36.2

±7.4㎏․㎧로 나타났다. 남자는 36.6±7.2㎏․㎧, 여자는 35.7±7.7㎏․

㎧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0.9㎏․㎧ 높은 기록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과 전체평균 기록은 10.1±0.9초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9.7±0.8초, 여자는 10.5±0.8초로 남자 가 여자보다 0.8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를 보였다.

(35)

4) 11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11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8>과 같다.

<표 8> 11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46.56 13.18

42.59 8.13

44.57 11.02

t 검증 t=1.28 df=48 P=.206

50yard 달리기

M S․D

9.45 0.74

10.10 0.93

9.78 0.90

t 검증 t=-2.76 df=48 P=.008

<표 8>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기록은 44.5

±11㎏․㎧로 나타났다. 남자는 46.5±13.1㎏․㎧, 여자는 42.5±8.1㎏․

㎧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4㎏․㎧ 높은 기록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과 전체평균 기록은 9.7±0.9초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9.4±0.7초, 여자는 10.1±0.9초로 남자 가 여자보다 0.65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 를 보였다.

5) 12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12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9>와 같다.

<표 9> 12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36)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48.11 8.48

48.70 8.96

48.41 8.64

t 검증 t=-0.24 df=48 P=.811

50yard 달리기

M S․D

8.97 0.52

9.74 0.89

9.36 0.82

t 검증 t=-3.77 df=48 P=.000

<표 9>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 기록은 48.4

±8.6㎏․㎧로 나타났다. 남자는 48.1±8.4㎏․㎧, 여자는 48.7±8.9㎏․

㎧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0.6㎝ 높은 기록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과 전체평균 기록은 9.3

±0.8초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8.9±0.5초, 여자는 9.7±0.8초로 남자가 여 자보다 0.3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를 보였 다.

6) 13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

13세의 성별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비교는 <표 10>과 같다.

<표 10> 13세 남녀간의 무산소성파워의 독립 t-test 결과

(37)

구분 남(n=25) 여(n=25) 전체(n=50)

서전트

M S․D

65.63 16.16

51.08 9.87

58.36 15.16

t 검증 t=3.84 df=48 P=.000

50yard 달리기

M S․D

8.92 0.62

9.38 0.60

9.15 0.64

t 검증 t=-2.63 df=48 P=.012

<표 10>에 의하면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의 전체 평균기록은 58.3±15.1㎏․㎧로 나타났다. 남자는 65±16.1㎏․㎧, 여자는 51±9.8

㎏․㎧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14㎏․㎧ 높은 기록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를 보였다. 또한 50yard 달리기를 실시한 결과 전체평균 기 록은 9.1±0.6초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8.9±0.6초, 여자는 9.3±0.6초로 남 자가 여자보다 0.6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p<.05) 를 보였다.

2. 체격변인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

1) 체격변인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와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다.

(38)

<표 11> 체격변인과 무산소성 파워간의 상관계수

1 2 3 4 5 6 7 8

1. 신 장

2. 체 중 0.855**

3. 대퇴 둘레 0.715** 0.906**

4. 대퇴 두께 0.422** 0.575** 0.565**

5.삼두근두께 0.474** 0.746** 0.776** 0.634**

6.견갑골두께 0.478** 0.780** 0.803** 0.544** 0.833**

7. 서 전 트 0.894** 0.946** 0.837** 0.523** 0.632** 0.662**

8. 50 야 드 -0.615** -0.384** -0.296** -0.157** -0.054 -0.063 -0.543**

*P<.05, **P<.01

서전트 점프 결과 무산소성 파워는 체중과 r=.946, 신장과 r=.894, 대퇴 둘레와 r=.837의 높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피하지방의 두께와 r=.42 2∼.478의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50yard달리기는 신장과 r=-.615의 높은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체중과 r=-.382, 대퇴의 둘레와 r=.296, 피하 지방의 두께와 r=-.054∼.157의 낮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2) 체격변인과 무산소성파워와의 다중회귀분석

(1) 서전트 점프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위한 서전트 점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표 12>와 같다.

(39)

<표 12>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위한 서전트 점프의 다중회귀분석

R R2 F P

서전트

0.961 0.924 596.854 0.000

Y= -42.572 + 1.035X1 + 0.331X2

X1 :체중, X2 :신장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무산소성 파워에 대한 설명력은 결정계수(R2)가 0.924로 나타나 약 92%를 나타났으며 회귀방정식은 유의수준 0.00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위한 체 격변인 중 체중이 가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장 인 것으로 나타났다.

(2) 50yard 달리기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위한 50yard 달리기의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위한 50yard 달리기의 다중회귀분석

R R2 F P

50yard 달리기

0.685 0.469 43.151 0.000

Y= 23.283 - 0.103X2 - 0.046X1

X1 :체중, X2 :신장

도출된 회귀방정식의 무산소성 파워에 대한 설명력은 결정계수(R2)가 0.469로 나타나 약 47%를 나타났으며 회귀방정식은 유의수준 0.00에서 통

(40)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무산소성 파워를 추정하기 의한 체 격변인 중 신장이 가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체중 과 삼두근의 두께로 나타났다.

3.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경향

1)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평균과 표준편차

(1) 서전트 점프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서전트 점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4>와 같다.

<표 14> 서전트 점프의 평균과 표준편차

8세 9세 10세 11세 12세 13세

남자 24.47 (5.01)

28.99 (5.38)

36.67 (7.29)

46.56 (13.18)

48.11 (8.48)

65.63 (16.16) 여자 21.13

(4.14)

26.64 (5.27)

35.76 (7.72)

42.59 (8.13)

48.70 (8.96)

51.08 (9.87) 전체 22.80

(4.86)

27.81 (5.40)

36.21 (7.45)

44.57 (11.02)

48.41 (8.64)

58.36 (15.16)

서전트 점프는 12세를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남녀 모두 연령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다. 각 연령사이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 인 것은 남자 12∼13세로 13세가 12세보다 17.5kg․m/sec가 증가하였다.

또한 남녀모두 8∼11세까지 점진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12세 때 일시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교차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다시

(41)

13세에는 남녀의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가 14kg․m/sec으로 크게 벌어지며 남자가 높게 나타났다. 여자는 10세가 9세보다 9.1kg․m/sec 증가하였고 11세가 10세보다 6.8kg․m/sec의 증가를 보여 9∼11세 사이에 총 15.9k g․m/sec의 증가를 보였다.

(2) 50yard 달리기의 평균과 표준편차

성별 및 연령에 따른 50yard 달리기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5>와 같다.

<표 15> 50yard 달리기의 평균과 표준편차

8세 9세 10세 11세 12세 13세

남자 11.28

(1.07)

10.46 (1.04)

9.79 (0.81)

9.45 (0.74)

8.97 (0.52)

8.92 (0.62)

여자 11.99

(1.23)

11.62 (1.16)

10.54 (0.85)

10.10 (0.93)

9.74 (0.89)

9.38 (0.60)

전체 11.64

(1.23)

11.04 (1.24)

10.16 (0.90)

9.78 (0.90)

9.36 (0.82)

9.15 (0.64)

50yard 달리기는 모든 연령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빨랐고 남녀모두 연령이 올라갈수록 기록이 단축되었다. 각 연령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남자 8∼10세, 여자 9∼10세 때로 남자의 경우 9세가 8세보다 0.8초 단축하였고 10세가 9세보다 0.7초 단축하여 이 시기에 총 1.5초가 단축되었다. 또한 여 자의 경우 10세가 9세보다 1.1초 크게 단축하였다.

(42)

2) 각 연령간 무산소성 파워의 평균차이검증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의 평균차이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 교를 실시하였다.

(1)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이용)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① 남자 서전트 점프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남자 서전트 점프의 일월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는 <표 16>과 같다.

<표 16> 남자 서전트 점프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F - 검정 제곱합 평균제곱 F P

28036.001 5607.200 54.770 .000

사후검정

Mean age 8 9 10 11 12 13

24.472 8

28.980 9 ★

36.668 10 ☆ ★

46.560 11 ☆ ☆ ☆

48.116 12 ☆ ☆ ☆ ★

65.632 13 ☆ ☆ ☆ ☆ ☆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음.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없음.

<표 16>에 의하면 남자의 서전트 점프의 측정결과는 p=.05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cheffe의 검정을 실시한 결과 남자의 서전트 점프는 8세에서 9세, 9세에서 10세, 11세에서 12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 외의 모든 연령 사이에는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43)

났다.

② 여자 서전트 점프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여자 서전트 점프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는 <표 17>과 같다.

<표 17> 여자 서전트 점프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F - 검정 제곱합 평균제곱 F P

18116.238 3623.248 62.388 .000

사후검정

Mean age 8 9 10 11 12 13

21.132 8

26.640 9 ★

35.764 10 ☆ ☆

42.588 11 ☆ ☆ ★

48.708 12 ☆ ☆ ☆ ★

51.080 13 ☆ ☆ ☆ ☆ ★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음.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없음.

<표 17>에 의하면 여자의 서전트 점프의 측정결과는 p=.05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cheffe의 검정을 실시한 결과 여자의 서전트 점프는 8세에서 9세, 10세에서 11세, 11세에서 12세, 12세에서 13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고 그 외의 모든 연령 사이에는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44)

(2)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① 남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남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는 <표 18>와 같다.

<표 18> 남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F - 검정 제곱합 평균제곱 F P

105.641 21.128 30.815 .000

사후검정

Mean age 8 9 10 11 12 13

11.284 8

10.464 9 ☆

9.792 10 ☆ ★

9.448 11 ☆ ☆ ★

8.968 12 ☆ ☆ ☆ ★

8.924 13 ☆ ☆ ☆ ★ ★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음.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없음.

<표 18>에 의하면 남자의 50yard 달리기 측정결과는 p=.05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cheffe의 검정을 실시한 결과 남자의 50yard 달리기는 9세에서 10세, 10세에서 11세, 11세 에서 12세, 11세에서 13세, 12세에서 13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 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 외의 모든 연령 사이에는 p=.05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

② 여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여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는 <표 19>과 같다.

<표 19> 여자 50yard 달리기의 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의 결과

F - 검정 제곱합 평균제곱 F P

136.342 27.268 28.309 .000

사후검정

Mean age 8 9 10 11 12 13

11.992 8

11.620 9 ★

10.536 10 ☆ ☆

10.104 11 ☆ ☆ ★

9.742 12 ☆ ☆ ★ ★

9.376 13 ☆ ☆ ☆ ★ ★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있음.

★: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가 없음.

<표 19>에 의하면 여자의 50yard 달리기 측정결과는 p=.05수준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cheffe의 검정을 실시한 결과 여자의 50yard 달리기는 10세에서 11세, 10세에서 12세, 11세 에서 12세, 11세에서 13세, 12세에서 13세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 균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그 외의 모든 연령 사이에는 p=.05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평균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6)

3) 무산소성 파워의 경향성 분석

경향성분석을 통하여 연령의 증가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경향을 파악 하였다.

(1)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이용) 발달경향

서전트 점프의 경향성 분석의 검증 결과는 <표 20>와 같고 발달경향은 <그 림 6>과 같다.

<표 20> 서전트 점프의 경향분석 검증 결과

변산원 SS df MS F P

남 자

집단 간 1차 식 2차 식 3차 식 4차 식 5차 식 집단 내

28036.001 26637.004 488.459 144.722 570.245 195.571 14742.373

5 1 1 1 1 1 144

5607.200 26637.004

488.459 144.722 570.245 195.571 102.378

54.770 260.184

4.771 1.414 5.570 1.910

.000 .000 .031 .236 .020 .169

Total 42778.373 149

여 자

집단 간 1차 식 2차 식 3차 식 4차 식 5차 식 집단 내

18116.238 17723.422 228.294 142.507 7.365 14.650 8362.937

5 1 1 1 1 1 144

3623.248 17723.422

228.294 142.507 7.365 14.650 58.076

62.388 305.177

3.931 2.454 .127 .252

.000 .000 .049 .119 .722 .616

Total 26479.174 149

(47)

<그림 6>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 이용) 발달경향성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8 9 10 11 12 13 연령(세)

kg m/sec

남녀의 서전트 점프 경향성에 대한 결과 F=54.770, F=62.388로 p=.05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가 있었다. 이러한 차는 경향성 분석 결 과 남자는 1차, 2차, 4차식 경향, 여자는 1차, 2차식 경향에서 의의 있는 차 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독립 다항식 비교를 통한 경향분석에 의하면 남자는 3차, 5차식 경향(F=1.414, F=1.910), 여자는 3, 4, 5차식 경향 (F=2.454, F=.127, F=.252)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의의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는 1, 2, 4차식 경향(F=260.184, F=4.771, F=5.570), 여자는 1, 2차식 경향(F=305.177, F=3.931)을 분석한 결과 각각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하면 남자 의 서전트 점프 경향성에 대한 결과는 1, 2, 4차식의 경향을 보이고 여자는 1, 2차식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48)

(2) 50yard 달리기 발달경향

50yard 달리기의 경향분석의 검증 결과는 <표 21>와 같고 발달경향은 <그 림 7>과 같다.

<표 21> 50yard의 경향분석 검증 결과

변산원 SS df MS F P

남 자

집단 간 1차 식 2차 식 3차 식 4차 식 5차 식 집단 내

105.641 98.794

6.430 3.200E-04

.137 .280 98.732

5 1 1 1 1 1 144

21.128 98.794 6.430 3.200E-04

.137 .280 .686

30.815 144.091

9.378 .000 .200 .408

.000 .000 .003 .983 .655 .524

Total 204.373 149

여 자

집단 간 1차 식 2차 식 3차 식 4차 식 5차 식 집단 내

136.342 130.918 2.534

.447 1.846

.597 138.705

5 1 1 1 1 1 144

27.268 130.918

2.534 .447 1.846

.597 .963

28.309 135.915

2.631 .464 1.917

.620

.000 .000 .107 .497 .168 .432

Total 275.048 149

(49)

<그림 7> 50yard 달리기 발달경향성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8 9 10 11 12 13 연령(세)

(초)

남녀의 50yard 달리기 경향성에 대한 결과는 F=30.815, F=28.309로 p=.05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가 있었다. 이러한 차는 경향분석 결과 남자는 1차 경향, 2차식 경향, 여자는 1차식 경향에서 의의 있는 차의 결과라 고 볼 수 있다. 독립 다항식 비교를 통한 경향분석에 의하면 남자는 3차, 4차, 5차식 경향(F=0.000, F=0.200, F=0.408), 여자는 2, 3, 4, 5차식 경향 (F=2.631, F=0.464, F=1.917, F=0.620)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의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자는 1, 2차식 경향(F=144.091, F=9.378), 여자는 1차식(F=135.915) 경향을 분석한 결과 각각 통계적으 로 의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하면 남자의 50yard 달리 기는 1, 2차식의 경향을 보이고 여자는 1차식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50)

Ⅴ. 논 의

무산소성 파워는 인체가 수행할 수 있는 최대 작업속도로 일상생활뿐 아니 라 운동 경기력에도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며 우수 선수가 갖춰야 할 필수요소 라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상 이들을 지 도하는 체육관련 교사, 감독, 코치 등의 지도자가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경향 등을 이해하는 것은 유․소년선수들뿐만 아니라 성장기와 운동기능발달 단계 에 있는 모든 유․소년들에게 다면적 발달을 통한 잠재력 개발 및 꿈나무의 발 굴과 육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소년기라 할 수 있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산소성 파워 검사방법 중 서전트 점프 검사와 50yard검사를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한 후 연령별 무산 소성 파워의 발달 경향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 특성에 대해 두 가지 검사방법 즉, 서전트 점프를 이용한 것과 50야드 달리기 를 이용한 것을 나누어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체격변인과 무 산소성파워의 관련성을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어떤 체격변인이 무산소성 파 워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다른 연구들과 비교 검토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체격변인이 무산소성파워에 얼마나 비중 있는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하였다.

1.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특성

1)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 이용)

(51)

본 연구에서 8세부터 13세의 유․소년을 대상으로 무산소성 파워 검사방법 중 하나인 서전트 점프 검사 결과, 남녀 모두 연령이 올라갈수록 무산소성 파 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자기록이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2세까지 남녀간 무산소성 파워의 큰 차이 없이 완만한 발달을 보이다 12세에서 13세 때 남자의 무산소성 파워가 급격히 증가하여 13세에는 여자와 의 차이가 17.5㎏․㎧으로 크게 벌어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사춘기에 접 어들면서 그 시기에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호르몬 분비 등의 생리적 변화에 의 해 남녀간의 격차가 크게 생기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체력 부분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12세에서 13세 경부터 커지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보고한 신상근(1993)의 연구와 일치하였 다. 또한, 학년의 증가에 따라 순발력 기록이 향상되며 특히 6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사이에 최대의 향상을 나타낸다고 보고한 박형준(1999)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이 시기가 생리적 변화의 남녀차이가 확연 히 드러남을 보여주는 연구들이며, 따라서 이러한 나이대의 남녀간 무산소성 파워의 차이를 이해하고 지도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 시기부터는 남녀의 운동기능 차이도 확연히 나기 시작하는데, 여학생들이 신 체활동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다.

한편, 다른 관점으로는 13세 남자의 체중증가를 들 수가 있다. 정채봉 (2001)의 연구에서 사춘기 전후의 체중발육은 골격의 발육과 근조직의 발육 이 크게 공헌한다고 하였다. 즉, 이때의 체중증가는 단지 피하지방의 증가가 아니라 골격과 근조직의 발육으로 인한 것이다. 이는 결국 무산소성 파워를 일 으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특히 사춘기 전후인 13세 학생들의 무산소성 파 워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무산소성파워의 발달은 근 조직의 발육발달과 무관할 수 없으며, 이러한 발육발달을 왕성하게 하는 시기 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무산소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역으로 설명이 될

(52)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경향은 전 연령 대를 통해 향상이 되므로 단지 이 시기 에만 무산소성파워의 발달을 유도해야 한다는 판단은 성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는, 본 연구에서 검사결과 남녀모두 기록의 향상기는 9세에서 11세 사이로 남자는 이 시기에 총 17.6㎏․㎧가 발달하였고 여자는 15.9

㎏․㎧가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위의 연구들과 상반되는 결과로서 초등 학교 3학년에서 4학년 시기에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 시기는 아직 사춘 기나 호르몬의 변화 등 생리적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남녀모 두 일반적인 성장시기에 있으면서 동시에 무산소성 파워능력이 향상되는 시기 로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에 체육수업시간 등의 프로그램에 적절한 무 산소성 파워의 향상 트레이닝을 유․소년에게 흥미가 있도록 만들어 실시한다 면 전반적인 무산소성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운동능력 발달에도 도 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2) 50yard 달리기 발달 특성

본 연구에서는 무산소성능력 검사도구로 서전트 점프 검사 외에 50yard 달 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에서도 남녀모두 연령이 올라갈수록 지속적 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연령에서 남자의 기록이 높았다. 이렇게 50yard 달리기 검사로 무산소성파워를 검사한 연구로서는 박형준(1995), 최 민동 등(2000)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파워나 스피드가 빠르게 증가한다고 보 고한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성장기에 있으면서 어떤 능력이든 향상이 되 리라고 기대하지만, 우선 전 연령 대에서 스피드가 증가하는 것은 단순히 서전 트 점프에서만 나타나는 기록의 향상과는 좀더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우 선 달리기는 종합적인 발달이라는 것이다. 즉, 근력, 근 지구력의 발달은 물론

(53)

이거니와 평형성, 민첩성, 협응성 등의 기능체력관련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내 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분은 50yard 달리기가 무산소성파워 만 나타내는 도구로서는 서전트 검사보다는 타당도가 낮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편, 본 연구의 50yard 달리기 검사 결과에서 남자기록의 최고 향상기가 8세에서 9세, 여자는 9세에서 10세 사이로 나타났다. 그런데 청소년 백서(2001) 에 의하면 50m달리기 기록의 최고 향상 시기는 남자가 7세와 8세 사이이고 여 자가 8세에서 9세 사이로 본 연구 결과 보다 1년씩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 사한 결과라 볼 수 있겠다. 청소년 백서의 결과는 전국의 유․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집단의 평균점과 거의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본 연구결과는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표집의 수는 적을지라도 실험을 비교적 정확하게 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측정자가 피험자에게 미친 심리적 요인도 배제할 수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무산소성파워 측정을 위해 두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여자는 서 전트 점프와 50yard 달리기 검사 모두에서 9세에서 11세 사이에 무산소성 파워의 높은 향상을 보였으나 남자는 서전트 점프 검사에서는 9세에서 11세 로 여자와 같았지만, 50yard 달리기 검사에서는 1년씩 빠른 8세에서 10세 사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소간의 차이는 남자의 경우 위에서 언급했던, 민첩 성, 협응성, 등의 기능관련체력들이 여자보다 조금 앞당겨 발달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렇게 기록의 향상 시기는 평균치로 볼 수 있지만, 이러한 향상시기가 통계 적으로도 유의한 차이인지 좀더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으므로, 각 연령별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운동형태와 프로그램을 마련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체격변인과의 관계와 연령별 경향 성에 관한 정보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논의는 다음과

(54)

같다.

2. 체격변인과 무산소성파워의 관련성

먼저 무산소성파워 검사 중 서전트 점프와 체격변인과의 상관은 체중과 r=.946, 신장과 r=.894, 대퇴둘레와 r=.837의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고 피 하지방 두께와도 r=.422∼.478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50yard 달리기 는 신장과 r=-.615, 체중과 r=-.384 , 대퇴둘레와 r=-296의 상관을 보였 으나 견갑골하부와 삼두근두께와는 r=-.063∼.054의 낮은 부적상관을 보였 다. 본 연구에서는 피하지방두께, 체중 모두 무산소성파워와 정적상관을 보였 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성인을 생각할 때는 체지방 비율이 높을 수록 무산소성 파워능력이 떨어질 거라고 생각되는데, 비만인을 대상으로 할 수록 그러한 논리는 더 확실히 입증되리라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 구에서의 두 측정방법은 모두 신장과 체중, 대퇴둘레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서전트 점프 경우 피하지방 두께와도 r=.422∼.478의 정적 상관을 보 였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서 체지방률이 증가하면 민첩성 능력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김범희(1999)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본 연 구에서의 표집과는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동일 연령 대에서 체지방이 증가할수록 운동능력이 감소한다는 것과는 다소 논점이 다르다고 생 각되며, 본 연구에서 연령대가 증가하면서 체지방률도 증가한 결과는, 박형준 (1995)이 보고한 남자 청소년 체력발달의 경향분석에서 1992년에 국민체력 실 태조사 결과 체지방률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50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증 가를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최민동(2000)은 민첩성 인자가 견갑골 하부 피하

(55)

지방, 복위, 대퇴부 피하지방과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피하지방은 대근 활동의 협응성 인자, 민첩성 인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체지방율의 무산소성 파워와 의 정적 상관에 대한 해석을 뒷받침 할 수 있다.

특히, 서전트 점프가 체중과 높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은 사춘기 전후의 체중발육은 골격의 발육과 근조직의 발육이 크게 공헌한다는 정채봉(2001)의 연구에서처럼 생각되어지며, 따라서 이 시기의 체중증가는 골격과 근조직의 발육으로 인한 것으로 이는 결국 무산소성 파워를 일으키는 원동력으로 작용 하여 특히 12∼13세 학생들의 무산소성 파워와 체중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 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면 이제 이러한 상관분석결과를 토대로 어떤 체격변인이 얼마나 무산소 성파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서 논의를 하였다. 이러한 회귀분석결과와 논의는 실제로 무산소성파워를 측 정하는데 있어 꿈나무 발굴과 무산소성 파워능력의 전반적인 측정을 간편하도 록 하고 쉽게 운동상담 등에서 이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 다.

3. 체격변인이 무산소성파워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 회귀분석결과 무산소성 파워는 신장과 체중변인에 가장 영향 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무산소성능력 검사 중 서전트 점프는 체 중이 95%, 신장이 89%, 대퇴둘레가 83%를 설명하고 있고, 다른 하나인 50yard 달리기는 신장이 62%, 체중이 38%, 대퇴둘레가 30%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무산소성 파워 평가 시에는 반드시 신장과 체중, 대퇴

(56)

둘레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현재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흔히 사용되고 있는 측정방법이 서전트 점프 검사와 마가리아 칼멘 (Margaria-Kalmen)검사, 50yard 달리기 검사 그리고 윈게이트 (Wingate)검사가 있다. 대부분의 논문들(김병로. 1999, 송성섭 등.1998, 장진성. 1998, 전해섭 등.1995, 정진원. 1999)은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윈게이트(Wingate)검사와 마가리아 칼멘(Margaria-Kalmen)검 사, 서전트 점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무산소성 파워를 측 정하기 위하여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 이용)검사와 50yard 달리기 검사 두 방법을 실시하였다. 윈게이트(Wingate)검사와 마가리아 칼멘검사 (Margaria-Kalmen)를 실시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있었다. 우선 무 산소성 파워를 측정하기에 가장 유효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는 마가리아 칼 멘(Margaria-Kalmen)검사는 2∼3개의 계단을 한번에 올라가야 하기 때문 에 초등학생 특히 저학년 학생들에게는 무리가 따랐으며 측정에 필요한 작동 과 정지 타이머를 초등학교 현장에 장치하기에는 실험비용이라든가 측정 장소 등의 여건 마련이 어려웠다. 또한 윈게이트(Wingate)검사 역시 테스트 측정 기 등 여러 장비가 필요하여 측정의 용이 상 사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 구는 마가리아 칼멘(Margaria-Kalmen)검사와 높은 상관관계(r=.974)를 나타내고(고기환. 1999) 있는 50yard 달리기검사로 대체하였다. 또한 여러 연구(장진성. 1998, 전해섭 등.1995)에서 사용되었으며 값비싼 장비를 쓰지 않아도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할 수 있는 서전트 점프(Lewis Monogram 이 용)검사를 택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rketing mix factors, motivation for watch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onsum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 - manag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PS essential evaluation factors by applying soccer programs to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find comparison of sports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anaerobic power changes of college hockey play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ass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class attitude that was perceived by participants in physical

This study is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research identifying patients compliance with sick-role behavior and attempting to present basic data t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blended learning classes using online videos with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