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grant from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1-0014986).

접수일 : 2017년 1월 2일, 수정일 : 2017년 1월 16일, 채택일 : 2017년 1월 16일

Corresponding author : Ji-Yun Hwang, Depart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7 Hongji-dong, Jongno-gu, Seoul 03016, Korea

Tel : 82-2-781-7521, Fax : 82-2-2287-0104 E-mail : jiyunhk@smu.ac.kr

ORCID : http://orcid.org/0000-0002-2508-8657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미영ㆍ황지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Mee-Young JoeㆍJi-Yun Hwang

Dept. of Foodservice Management & Nutri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03016, Korea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among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consultation, and pilot tests. Based on theoretical requirements and needs of beneficiaries,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sisted of 16 sessions with nine topics: ‘how to evaluate ow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health problems according to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understanding six food groups’, ‘healthy eating plan’, ‘understanding food cul- tures of Korea and Vietnam’, ‘traditional and seasonal Korean foods’, ‘how to cook Korean food’, ‘nutrition management of family members’, and ‘practicing of healthy dietary life’. Program contents in each session consisted of activities that could induce outcome and value expectation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nd cues to actions regarding dietary behavior. This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would be helpful to implement healthy diet behaviors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Extension of these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to health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 port centers would improve the current poor nutrition status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our program.

Key words : marriage immigrants, Vietnamese, nutritional education, health belief model

서 론

현재 국내 거주하는 결혼이민여성은 총 253,791명 으로, 이중 한국계 중국인(73,060명)을 제외하면 출 신국별로는 중국 37.8%(68,326명), 베트남 32.1%

(58,050명), 필리핀 9.3%(16,833명) 순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Ministry of the Interior 2015). 이처럼 국제결

(2)

혼이 증가하면서 우리나라의 가족형태도 다양한 구 조로 변화되어 2008년 3월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 공포되고,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 용되기 시작했다. 결혼이민여성들은 이민 후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다 른 이민 형태와는 달리 이민 후 바로 새로운 가족 시스템의 구성원이 되어 새로운 가족 문화에 적응하 는데 실패하고(Smith & Kaminskas 1992; Hofstede 1995; Imamura 1998), 언어 차이(Kang 1999), 경제적 어려움(Lee 2005), 차별과 편견(Han 2006), 양육의 어 려움(Jun 등 2004) 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식문화의 경우 20여 년간 익숙해진 자국 식생활에 서 벗어나 결혼과 함께 타국 식문화를 받아들이면 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결혼 초기에는 한국 음식을 먹는 일 자체가 어려운 일이고, 한국 음식 조리에 미숙하여 남편이나 시댁과 크고 작은 갈등이 발생 한다(Han 2006). 이런 갈등은 걱정, 우울, 고독감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를 불러오고, 정신적 스트레스는 식습 관과 섭취량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전체 결혼이민 여성 출신국 중 두 번째로 비중이 높은 베트남 결혼이 민여성들도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스트레스와 영 양불량 간에 상당한 관련이 있었으며(Hwang 등 2010),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뿐만 아니라 한국인 배우자도 영 양섭취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등 2009). 또 한 전국 다문화가족 여성을 대상으로 한 건강조사 결 과(Kim 2013)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은 이민 후 체중 증가율(54.0%)이 전체 평균(58.5%)보다 낮으며, 매일 한 끼 이상을 거르는 결식률(24.8%)이 타국 여성(전체 평균 21.0%)들보다 높았다. 결혼이민여성들이 이민 후 바로 임신과 출산을 겪게 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이 들의 영양불량 문제는 본인뿐만 아니라 새로 태어날 아이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나아 가 가족 구성원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와 같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영양불량 개 선이 매우 시급한데, 결혼이민여성 대상 식생활 교 육은 이들의 한국 생활 적응과 건강한 생활을 도울

수 있고(Kim 등 2009), 결혼이민여성들도 식생활 교 육 프로그램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Jeong 등 2012). 또한 효과적인 영양교육은 올바른 식습관을 유도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된다(Contento 등 1995; Sigman-Grant 1996).

이처럼 결혼이민여성들의 영양불량을 개선하기 위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은 제기되었으나, 영양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선행연 구도 이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 상태에 대한 실태 조사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아직 한국어 습득에 미 흡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에게 영양 관련 지식 위주의 교육이나 한국 음식에 대한 단순한 호기심 을 유발하는 교육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건강 식 행동 및 식생활의 실천을 유도하기는 쉽지 않다. 영 양교육 이론들 중 건강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에 따르면 건강을 유지하거나 예방하는 건강 행동은 개인이 갖고 있는 건강신념 요인에 영 향을 받는다. 건강 행동 실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 우는 자신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고 인지할 때, 그 질병에 걸리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 다고 인지할 때, 건강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보다 이득이 크다고 생각할 때, 그리고 건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는 자신감이 있을 때 등이다(Glanz 등 2008). 건강신 념 모델에 기초한 영양개선 교육 프로그램은 베트 남 결혼이민여성들에게 현재의 불충분하고 바람직 하지 못한 식생활이 현재 자신들의 건강에 나쁜 영 향을 끼칠 수 있으며, 나아가 자녀의 성장과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고, 건강 식행동의 실천이 질병 예방 행동(건강 행동)임을 깨닫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한 영양교육은 식생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 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TenHave 등 199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영 양불량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학습자 료 개발을 목적으로 첫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을

(3)

Table 1. The FGI

1)

question list of dietary lif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Topics Items

Dietary life in Korea ㆍWhat was the most challenging when you were settling in Korea?

ㆍHow well did you adjust to Korean food culture?

- What do you usually have for a meal?

- Is there any Korean food you like? What are they?

- Is there any Korean food you don't like? What are they? What is reason for?

- After immigration, what kind of Korean food do you hardly adjust to?

- Do you sometimes eat Vietnamese foods?

- How often do you eat Vietnamese foods?

- Do your family members (husband or parents-in-laws) eat Vietnamese foods?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ㆍHave you ever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in Korea? (If yes) - What kind of education did you have?

- Where did you have the education?

- How many times did you get?

- Did you have the class alone? (If no)

- What were the reasons of not having nutrition education?

Needs of contents for nutrition education &

knowledge on nutrition ㆍWhat do you want to know about healthy diet?

- What is the most curious educational information in your dietary life?

- What is your interest about nutrition?

ㆍDo you know any healthy food or food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health?

- Do you know what pregnant women or infants should eat for a balanced diet?

Preferable methods for nutrition education ㆍWhat kind of method do you prefer for your education?

- What kind of method is easy for you to understand?

- If you join educational practices, what do you want to practice?

Education hours ㆍWhat are the appropriate hours for education?

ㆍWhat are the appropriate numbers of times for education?

Attenda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ㆍDo you want to participate in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 If no, what is the reason?

1)

FGI: Focus Group Interview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여 이들의 교육 요구도 를 파악하고 둘째, 심층면접에서 도출된 결과 및 선 행연구 검토, 전문가 회의, 건강신념 모델 적용 및 예비 적용을 통해 맞춤형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 육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베트남 결혼이 민여성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정 구성원 전체가 바람 직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우며, 나아가 결 혼이민여성들을 위한 좀 더 다양하고 효과적인 영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심층면접을 통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1) 조사대상 및 기간

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는 심층면접 조사를 통

해 파악하였다. 심층면접은 A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의 ‘한국 음식 쿠킹 클래스’ 및 A구 보건소에서 진 행하는 ‘글로벌 푸드 아카데미’에 참여하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12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10일 (수), 17일(수) 총 2회에 걸쳐 평균 1시간∼1시간 30 분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조사는 상명대학교 생명 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사 전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BE 2012-4).

2) 조사방법 및 내용

면접은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솔직하고 편 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국 음식 쿠킹 클래 스’가 열리는 모 교회 내 세미나실에서 진행되었으 며, 면접 전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식습관 및 영양지식 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간단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면접은 조사원 2인(주 진행자 1 인, 보조 진행자 1인)의 주도 하에 진행되었으며 면

(4)

Figure 1. Proces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접에 앞서 연구 주제 및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연 구동의서를 받았다. 사전에 반구조화된 질문과 개방 형 질문을 준비하여 최대한 대상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피력하도록 하였으며, 보조 진행자가 면접 시 중요 내용을 기록하고, 모든 면접 내용은 녹음기 로 녹음하였으며,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 는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 면접을 진행하였다.

본 심층면접 질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질문지 개발은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 한 선행연구, 영양교육 이론 서적, 건강신념 모델을 기초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자료를 참 고하였으며, 주요 질문 내용은 한국 식문화 적응 여 부, 식습관 현황, 영양교육 요구도(관심 주제, 교육 진행방법, 교육 기대 등) 등으로 구성되었다.

3) 자료 분석

심층면접이 끝나는 대로 녹음된 내용을 필사한 후 녹음 자료는 파기하였다. 필사한 원자료를 기초 로 하여 질적 분석의 특성에 따라 코딩을 하고 범 주화하였다. 일반적으로 질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서는 원자료에서 직설적, 해석적, 반향적 판독 방식 을 통해 의미를 추출한 후, 이를 속성과 차원을 고 려하여 범주화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 코딩 과정을 통해 자료 를 부호화, 범주화하였다. 녹음 내용을 적어놓은 녹 취록과 현장노트를 면밀히 검토하여, 원자료를 반복 하여 읽으면서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의미있는 단 어, 문장을 구분하였다. 구분된 문장의 해석 내용을 기록하면서 낮은 차원의 추상화를 통해 개념화하였 다(소분류). 생성된 개념들을 목록화하여 연구 주제 속에서의 의미로써 다른 개념들과 비교해가며 유사 한 개념은 묶고 보다 높은 차원으로 범주화하였다 (중분류). 이들을 서로 비교, 대조 등을 통해 다시 높은 차원의 추상화를 하여 범주화하였다(대분류).

면접 자료와 조사원의 자료 분석을 다른 조사원이 다시 체크하며 확인하였다. 도출된 진술들은 각 범 주에 해당하는 주제로 모아 건강신념 모델 요소와 교육 요구도에 대한 몇 개의 주제로 조직화하였다.

2.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자료 개발 과정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 육자료 개발 과정은 Fig. 1과 같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심층면접을 통한 교육 요 구도 조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였다. 교육 주제 선정 은 관련 선행연구 및 심층면접 결과, 영양교육 이론

(5)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lassification Mean±SD or N (%)

Age, years 28.4±6.2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month 41.0±31.2 No. of children

None 2 (16.7)

Pregnant 2 (16.7)

1 and more 8 (66.7)

Education level

Drop out of elementary school 1 ( 8.3)

Elementary school 2 (16.7)

Middle school 4 (33.3)

High school 3 (25.0)

College 2 (16.7)

Family type

Living with parents-in-law 8 (66.7) Living separately from parents-in-law 4 (33.3) Income (10,000 won/month)

<100 2 (16.7)

100∼149 2 (16.7)

150∼199 3 (25.0)

200∼249 4 (33.3)

>250 1 ( 8.3)

(건강신념 모델)을 근거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영 양불량의 원인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총 9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9개의 교육 주제를 다시 건강신 념 모델의 구성요소에 맞게 계획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내용을 수정ㆍ보완한 후 프로그램을 완성하였 다. 학습 자료는 학습자용과 교육자용을 함께 개발하 였으며, 앞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교육 이해도 수준 파악 및 교육자료의 난이도 결정을 위해 심층 면접 참가자를 대상으로 동일 장소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시범교육을 진행하였다. 2012년 11월 7일(수)에 진행된 1차 시범교육은 ‘탄수화물 식품의 종류 및 기 능’을 주제로 초등학교 ‘영양과 식생활’ 교과서 수준 으로 진행하고, 14일(수)에 진행된 2차 시범교육은

‘단백질 식품의 종류 및 기능’을 주제로 중학교 ‘기 술ㆍ가정’ 교과서 수준으로 진행하였다. 시범교육을 통 한 난이도를 결정한 후 한국어로 먼저 개발된 교육자료 는 다문화 전문가(베트남인)를 통해 베트남어로 번역하 였으며, 교육자료에서 기술된 베트남 관련 내용(베트남 명절, 베트남 식문화, 베트남 식재료 등) 및 번역된 베 트남어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베트남 식품영양학자의 감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개발 완료되었다.

결 과

1. 심층면접 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8.4세, 한국 거주기간 은 평균 41.0개월이고, 자녀수는 1명 이상이 66.7%

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중학교 졸업 33.3%, 고등학 교 졸업 25.0%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절반 이상인 66.7%가 시부모와 함께 동거하고 있었다(Table 2).

2)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결과 (1) 한국 식생활 적응 현황

식생활 적응은 거주기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

타냈는데, 한국으로 이주 후 임신, 출산을 경험하며 2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대상자들은 비교적 원만한 적응 상태를 나타냈다.

“한국 음식 먹는 것... 힘든 점 별로 없어요. 매운 것도 잘 먹고, 삼겹살 먹어요.”

“이젠 김치 잘 먹고, 된장찌개, 미역국 잘 먹어요.”

반면에 한국 거주기간이 짧거나 임신 중인 대상 자들은 한국 식생활 적응의 어려움을 토로하였다.

“베트남 음식 못 먹어... 너무 힘들어요... 임신 중 이라 먹고 싶은 것 많은데... 더 힘들어요.”

“김치 너무 맵고, 다 너무 짜고 매워요.”

“베트남 음식 싫어해요. 남편이...”

“그냥 안 먹어요...먹으면 (속이) 더 이상해요...”

(2) 영양교육 경험 여부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대상자들은 보건소 영양플

(6)

러스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경험이 있었으며, 보충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러나 보건소 영양 플러스 교육을 받았더라도 출산 후 자녀 양육 때문 에 지속적인 영양교육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했을 때, 보건소에서 교육받았어요. 내용 잘 모 르겠지만... 먹는 것(보충식품을 말함) 줘서 좋았어요.”

“보건소 교육받았어요. 남편도 몇 번 갔어요.”

“아기 데리고 다니기 힘들어서(영양교육 있더라 도) 계속 참석 못해요.”

임신ㆍ출산 경험이 없는 대상자들은 모두 영양교 육 경험이 없었으며, 보건소 영양플러스 프로그램에 대해 알지 못하는 대상자들도 다수 있었다.

“임신 안해서... 아직... 보건소 교육 없어요.”

“몰라요. 그런거(영양플러스 프로그램) 못 들어봤 어요.”

“받아본 적 없어요. 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는 한글 교육받아요.”

(3) 희망 영양교육 내용 및 영양지식 수준

임신 중이거나 자녀가 영아인 대상자들은 대부분 이유식과 관련된 교육을 원했다.

“아기... 뭐 이유식 어떻게 해줘야 하고 어떤 거 많이 먹어야 하고... 그런거...”

“임신했을 때 좋은 음식... 나쁜 음식... 알려줬으 면 좋겠어요.”

영양소와 관련된 교육은 진행자가 제안했을 때 대다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먼저 요구하지 는 않았다.

“그런 것도 좋긴 한데... 금방 잊어버려요.”

“보건소에서 배운 적 있는데, 똑같이... 똑같아요...

내용이.”

“배울 땐 좋은데... 금방 잊어버려요.”

본인의 영양교육보다는 가족, 특히 남편의 영양관 리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남편... 힘... 없어요... 어떻게 힘내요?”

“(많이 피곤해하세요?) 네... 매일 피곤하대요.”

“남편이 너무 힘이 없어서 어떻게 먹으면 힘이

있냐고... 힘들어요.”

“우리 남편 너무 뚱뚱해요. 배 나왔어요.”

영양지식과 관련된 질문에는 대부분의 대상자들 이 어려워하며, 자신없는 모습을 보였다.

“음... 건강에 어떻게... 먹으면 좋은지... 잘 몰라요.”

“텔레비전 보면 많이 나오는데, 못 듣겠어요(못 알아듣겠어요).”

“임신했을 때는... 그냥 잘 먹으면... 굶지 않으면 되지 않나요?”

(4) 희망 영양교육 방법, 시간 및 횟수

대상자 대다수가 영양교육 시 베트남어로 번역된 자료나 통역을 필요로 하였다.

“(보건소 자료는) 다 한국말이에요... 어려워요...

잊어버려요.”

“베트남어 없고... 베트남 사람도(통역자) 없으면...

진짜 몰라요.”

“(기억에) 남지 않잖아요... 집에 가만있으면 몰라 요...”

“한국말만 있으면... 잘 몰라요.”

PowerPoint(PPT)를 이용해 강의식으로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들 익숙하게 생각하였다.

“괜찮아요... 보건소에서도 그렇게 해요.”

교육시간은 30∼40분 내외, 횟수는 주 1회를 가장 선호하였다.

“30분이 좋아요... 너무 길면 졸려요.”

“잘 모르(겠으)면 졸려요...”

“1시간? 길어요... 짧게... 짧게 해요.”

“한 번... 일주일 한 번... 좋아요. 자주 나가면(남 편이나 시어머니가) 싫어해요.”

(5)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

대상자 대부분이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높은 참여 의사를 나타냈다.

“올 수 있어요. 근데 얼마나 해요?”

“애 데리고 와도 돼요?”

“오면 친구 봐서 좋아요.”

자녀 연령이 어리거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다 른 교육(예: 한글 교육, 컴퓨터 교육)을 받고 있는 대

(7)

상자 중 참석의 어려움을 피력하는 경우도 있었다.

“아기 봐줄 사람 없으면... 힘들어요.”

“한글 배우는 것 있어서... 자꾸 집 나오기 힘들어요.”

“남편이 오래 있는 것 싫어(해)요... 빨리 오래요.”

2. 영양교육 주제 선정 및 프로그램 개발

1) 영양교육 주제 선정

영양교육의 주제 선정은 심층면접 결과와 선행연 구 결과, 그리고 영양교육 이론(건강신념 모델)을 토 대로 이루어졌다. 도출된 프로그램 주제는 ‘나의 식 습관 및 영양상태 평가’,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따 른 건강문제 이해’, ‘6가지 기초식품군 이해’, ‘바람 직한 상차림’, ‘한국과 베트남 식문화 이해’, ‘한국 전통ㆍ절기음식’, ‘한국 음식 만들기’, ‘가족 영양관 리’, ‘건강 식생활 실천’ 등의 총 9개로 선정되었다.

2)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적용한 영양교육 이 론은 인식 변화 유도에 초점을 둔 건강신념 모델로, 건강 식생활 영위를 방해하는 여러 장애요인을 제 거하고, 주부로서의 역할 수행에 자신감을 불러올 수 있는 자아 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중점을 두었 다(Fig. 1).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Table 3과 같이 총 9개 주제, 16차시로 구성하였으며, 활동 중심의 영양 교육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당 주제에 적합한 다 양한 활동 요소(OX퀴즈, 발표하기, 식단 작성하기, 조리실습 등)를 포함하여 개발하였다.

주제 1(나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평가)에서는 신 체계측 및 간이 식생활진단표 작성 등을 통해 본인 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바람직하지 못 한 식습관(편식, 소식 등)이 건강상 얼마나 위험한지 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인지 된 민감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주제 2(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따른 건강문제 이해)에서는 1차시에 진 행한 식습관 진단 및 신체계측, 헤모글로빈 검사 결 과를 토대로 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건강상 문제점들을 알아보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인지된 심각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주 제 1, 2를 통해 ‘인지된 위협성’을 높여 올바른 식습 관으로 수정하고자 하는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제 3(6가지 기초식품군 이해)에 서는 식품자전거를 통한 6가지 식품군의 종류 및 기능 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인지된 이익’을 높이 고자 하였으며, 이 주제는 총 6차시로 구성하였다.

주제 4(바람직한 상차림)에서는 앞선 교육에서 습득 한 기초 영양지식을 활용하여 건강한 상차림을 음 식스티커를 활용하여 만들어보고, 이를 직접 발표함 으로써 가정에서 건강한 상차림을 차릴 수 있는 능 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인지된 장애’를 극복하고, ‘자아 효능감’을 높이는 데 초점 을 두었다. 주제 5(한국과 베트남 식문화 이해)에서 는 한국과 베트남 식문화의 공통점 및 차이점에 대 해 알아보고, 주제 6(한국 전통ㆍ절기음식)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ㆍ절기음식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베트남과 한국의 비슷한 절기 또는 명절이 있는지 말해보는 내용으로 구성함으로 써 ‘인지된 이익’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주제 7(한 국 음식 만들기)에서는 김치 또는 명절 음식 등을 실제 만들어보는 활동을 함으로써 건강 식행동 실 천에 따른 ‘인지된 장애’를 낮추고, ‘자아 효능감’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제 8(가족 영양관리)에 서는 자녀와 배우자들을 위한 영양관리 방법에 대 해 배워봄으로써 건강 식행동 실천에 대한 ‘인지된 이익’을 높이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결혼이민 여성의 한국인 배우자는 대부분 40∼50대의 중년 남 성으로 이 연령대에 흔히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의 관리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녀 영양관리’의 경우 식습관 형성 시기인 5세를 기준으 로 영양관리 방법 및 심층면접 시 요구도가 높았던 영ㆍ유아기 식생활지침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 다. 특히 이 주제는 가정 내에서 아내와 엄마로서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줌으로써 한국인 배우자들이 결혼이민여성들의 영양교육 참여에 대한 배려와 지

(8)

Tab le 3. N ut rit io n e du ca tio n p ro gr am fo r V ie tn am ese fe ma le m ar ria ge im mi gr an ts b as ed o n h ea lth b el ie f m od el . Th eme s Cont en ts Pur po se and go als Appa rat us Num be r of clas s 1. How t o eva lu ate ow n di etary hab it an d nut riti on al sta tu s

Int rod uct ion to pro gram s

Physical (height , weight, waist/hi p circumference) and he m ogl ob in m ea surem ent s

Qu est io nn air e (n utr itio na l kno wle dge , di etar y in take , di etar y be hav io r etc)

To hel p su bj ec ts to un der stan d the pr og ram and to f ac ili tate pa rtic ip atio n.

To tak e phy sic al an d bio che mic al mea su reme nts of su bj ec ts.

To assess su bj ec ts’ die ts and nu tri tio nal k nowl ed ge lev els.

Powe rPoi nt

Ins trum ent for m eas urin g he ig ht & w eig ht

He mog lo bin a nal yz er

1 2. Heal th probl em s acc ordi ng t o die tary hab it and nut riti on al stat us

He ath pr ob lems asso cia ted wit h an imb ala nc ed die t

Caus e an d probl em s of unde rw eight , a nem ia

Caus e an d probl em s of unde rw eight a nd ane m ia in chi ld ren

To co m preh end di etary pro bl em s of m ot he r an d chi ld ren.

To co rrect a n im ba lance d die t and t o im pro ve m alnut riti on s tat us .

Powe rPoi nt

Fo od m ode l

OX stic ks

2 3. Unde rsta ndi ng s ix food gro ups

Type /fu nct ion/ po rti on s ize of cerea lsㆍ mea ts, fish es, eg gs and be ans

vege tabl es

frui tsㆍ m ilk and da iry pro duc tsㆍ oi ls an d sug ars

Educ atio nal s um m ary of 6 foo d group s

To un ders tan d typ es a nd func tion s of 6 fo od grou ps .

To un ders tan d port io n size for eac h fo od grou p and how to ach ieve des irab le int ake .

To i m prov e overa ll die tary habi ts throu gh wat er int ak e, a bal anc ed di et, an d m odera te ex erci se.

Powe rPoi nt

Fo od m ode l

OX stic ks

3∼ 8 4. Heal thy eat ing pl an

Pr in cipl es fo r a he alth y die t

Pr ac tici ng ta bl e se tti ng by co nstr uct in g in div id ua l me nu

Asse ssmen t of i nd iv id ual d iet and di etar y ha bits

Pr ac tici ng ta bl e se tti ng sui tabl e fo r ea ch in di vi du al

To und er sta nd met ho ds fo r de sir ab le me als.

To ap pl y the ba lance of 6 fo od grou ps a nd 5 nut rie nt s in a m enu for one m eal o r sna ck.

To at tem pt t ab le set tin g to im prove pro bl em s of ea ch in di vi dua l.

Powe rPoi nt

Foo d stic ke rs

Die tar y asse ssmen t su rve y

Ta ble se ttin g pr in t-o ut

9 5. Unde rsta ndi ng foo d cul tures of Ko rea and V iet nam

Und ers tand in g Vi etna m es e food cu lture (for an acc om pa nyi ng Kore an fam ily m em ber)

Und ers tand in g Ko rean foo d cul tu re

To un ders tan d the na tion al foo d cul tu re of fore ig n wi fe (or dau ght er-i n-l aw ).

To s up port fo rei gn wife (or dau ght er-i n-l aw ) in s ett ling i n Ko rea.

To un ders tan d the t radi tio nal K orean foo d cul tu res .

To ov erco m e diffe renc es i n food cu lture s an d to ada pt t o Ko rean food cu lture fl exi bl y.

Powe rPoi nt

Fo od m ode l 10 6. Tra di tion al an d seas onal K orean food s

Dem ons trat io n or pra ctic e of tradi tio nal fo ods (e. g., K im chi , veg eta bl e sid e dish es, etc .)

Dem ons trat io n or pra ctic e of sea sona l food (e. g., T to kgo ok, Pad ju k, etc .)

To un ders tan d the m ea ni ngs and t ype s of tra di tion al an d se as on al Korea n fo ods .

To un ders tan d Ko rean foo d cul tu re thro ugh ex peri en cing tra di tion alㆍ seas onal fo od.

Powe rPoi nt

M ate ria ls for cook in g de m ons trat ion or pract ice

11 7. How t o coo k Korea n fo od

Und ers tand in g his tory an d typ e of Ki m chi

Co oki ng Kimc hi o r sea so na l Ko rea f oo ds

To en han ce one ’s ca pac ity to co ok Korea n m eal s throu gh de mon str ati on s or p rac tice s.

Powe rPoi nt

M ate ria ls for cook in g de m ons trat ion or pract ice

12

13 8. Nut rit ion m ana gem ent of fa m ily m em be rs

Nu trit io na l ma na geme nt for h usb and s (met ab olic syn dr ome - rel ated di et the rapy )

Nut riti on al m an age m ent fo r ch ildre n (n ut rit iona l m ana gem ent for in fant s and chi ldren )

To co m preh end di etary pro bl em s of hu sban d and chi ldren .

To pe rform t he rol e of hous ew ife (res pons ibl e for fa m ily di et) an d to i m prov e heal th thro ugh di etary m an age m ent .

Powe rPoi nt

Fo od m ode ls

OX stic ks

14

15 9. Prac tici ng of hea lthy di etary life

Same as pr e- test ( ph ysi ca l and bi oc hemi ca l me asu re men ts he m ogl ob in co nce nt rat io n m eas ure m ent , q ues tionn aire, d ieta ry in tak e)

Eval ua tion of nut riti on ed uca tion al pro gram

To assess effects of education through post-tests.

To ev aluat e whet he r m od ifi ca tion or supp lem ent ati on is nee ded ba sed on pr og ram re sul ts.

He mog lo bin a nal yz er

Pro gram eva lu atio n su rvey 16

(9)

Figure 2. Development of program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지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마지막 주제 9(건강 식 생활 실천)에서는 그동안의 학습 내용을 정리하고, 변화된 자신의 식습관에 대한 사고와 자아 효능감 을 평가함으로써 건강 식행동의 실천을 장기간 유 지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프로그램 주제를 건 강신념 모델의 구성요소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면 Fig. 2와 같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 과를 높이고, 학습자의 활동을 돕기 위한 교육자료 도 개발하였다(Fig. 3). 교육자료 초안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시범교육을 진행한 결과, 초등학교 ‘영양과 식생 활’ 교과서 수준의 1차 시범 교육과 중학교 ‘기술ㆍ가 정’ 교과서 수준의 2차 시범 교육 중 1차 시범 교육 에서 교육대상자들의 몰입도 및 참여도, 이해도 등 이 더 높았기에 초등학교 교과서 수준으로 교육자 료를 개발하였다. 한글과 베트남어를 병기(竝記)한 교 육자료는 식품영양 관련 전문용어보다는 초등학생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식 품 관련 이미지 및 모형을 많이 활용하고, 교육내용 과 관련된 사례를 다수 제시하였다. 이는 시범교육 결과 및 대상자들의 한국어 수준과 학력 수준이 높 지 않은 점(평균 중학교 졸업), 프로그램 요구도 조

사에서 베트남어 표기를 원하는 의견이 많았던 점 을 반영한 결과이다. 한글과 베트남어 병기(竝記)를 위해 다문화 전문가가 베트남어로 번역하였는데, 베 트남 식품영양학자의 감수를 통해 잘못된 표현 및 잘못 번역된 교육 용어, 정정이 필요한 베트남 관련 교육내용(베트남의 식문화, 명절, 식재료 등) 등을 수정하여 교육자료의 완성도를 높였다.

개발된 교육자료에 대한 교수ㆍ학습 과정안도 함 께 개발하여, 교육시 계획된 활동들이 잘 수행되어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ㆍ학습 과정안에서는 제재, 본시 주제, 학습 목표, 준비물 등을 제시하였으며 도입, 전개, 정리 및 평가로 크 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Fig. 4).

고 찰

본 연구는 건강신념 모델을 근거로 베트남 결혼이 민여성들의 영양불량 개선에 도움이 되는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ㆍ학습 자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진 행되었다. 건강신념 모델에 근거하여 베트남 결혼이 민여성들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으로 인한 질

(10)

Figure 3.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Vietnamese language version).

병 발병 가능성과 심각성을 인지시키고, 올바른 식 습관을 통한 건강에 대한 이익을 알게 하며, 여러 장애요인을 극복함으로써 건강 식생활 영위 및 주 부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자아 효능감을 높이고 자 하였다.

따라서 본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건강 식행동 실 천에 대한 ‘인지된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으로(Table 3), 올바르고 균형 잡힌 식생활이 각 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사람들은 특정 질병의 발병 가능성이나 질병으로 인한 신체 적, 정신적, 사회적 고통이 크다고 느낄수록 권장하 는 건강 행동을 실천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권장 건강 행동을 따름으로써 초래되는 이익이 장애요인 보다 크다고 느낄 때도 권장 건강 행동을 실천하게

(11)

Figure 4. Samples of lecture plan.

된다(Glanz 등 2008). 따라서 특정 질병의 발병 가능 성과 그 심각성을 인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권장 건강 행동 실천을 유발하는 동기가 된다.

이외 건강 식행동 실천을 위한 ‘인지된 장애’를 줄 이기 위해 음식 스티커를 활용하여 직접 상차림 해 보기, 한국 전통ㆍ절기음식 직접 만들어보기 등의 체험 활동을 비중있게 구성하였다. ‘인지된 이익’과 ‘인지된 장애’는 실제 행동을 실천하게 하는 가능성을 높이 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장애요인이 줄어들면서 자 아 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아 효능감 역시 채소와 과일 섭취, 운동 등 건강 행동에 영향 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Contento 등 1995), 다양 한 체험 교육을 통해 자아 효능감 증진 및 권장 건 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자아 효능감은 건강신념 모델 에 최근 적용된 개념이지만 권장 건강 행동을 성공 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데 매우 필요하다. 권장 건강 행동 수행을 위한 행동 계기를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정보 제공, 인식 촉진, 독려 등이 있는데(Glanz 등 2008), 본 프로그 램에서는 바람직한 식생활 실천을 위한 정보 제공

을 행동 계기로 매차시 교육자료 및 한국 전통ㆍ절 기 음식 레시피 등이 담긴 파일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상세 교육내용을 교육 주제별로 살펴보면 주제 3

‘6가지 기초식품군 이해’는 결혼이민여성의 기초 영 양지식 습득을 위한 주제로 결혼이민여성들의 영양 지식 수준은 대체로 낮은 편이며(Kim 등 2011; Lee 2012), 영양지식은 결혼이민여성뿐만 아니라 남편과 자녀들의 식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Han 등 2011). 주제 4 ‘바람직한 상차림’은 기초 영 양지식을 습득한 결혼이민여성들이 실생활에서 실 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내용으로 Lee(2012)의 연 구에서 결혼이민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영양소 섭취 상태, 식습관 및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다고 보고했듯이 영양불량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균 형 잡힌 식사를 통한 식생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주제 5 ‘한국과 베트남 식문화 이해’는 가족 간 유대감을 높이고 결혼이민여성의 유연한 한국 생활 정착을 돕기 위한 주제로써 결혼이민여성들에 게 한국의 음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영 양불균형을 해소하고 가족 간의 화목을 유도함으로 써 행복한 가정생활을 정착시킬 수 있다(Kang 2011).

(12)

주제 6 ‘한국 전통ㆍ절기음식’은 한국의 명절, 절기 의 종류 및 음식에 대해 이해하고, 조리 시연이나 실습을 통해 조리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요구도 조 사 중 생활문화 특히 음식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선행연구 결과(Kang 2011) 및 본 연구의 요구도 조 사에서도 나타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주제 8 ‘가 족 영양관리’는 Park & Rhu(2009)의 연구에서 결혼 이민여성의 한국 생활 적응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대상은 가족이며 그중 남편의 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에도 기인한다.

각 주제는 이론 교육(나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평 가,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따른 건강문제 이해, 6가 지 기초식품군 이해, 가족 영양관리, 한국과 베트남 식문화 이해), 응용 및 적용 교육(바람직한 상차림, 건강 식생활 실천), 시연ㆍ시식ㆍ실습 교육(한국 전 통ㆍ절기음식, 한국 음식 만들기) 등의 교육 방법으 로 구성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한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에서 ‘(보건소 교육 시) 들을 때는 알겠는데, 집 에 가면 잊어버려요.’, ‘집에서 해보려면 잘 안돼요.’

등의 의견을 바탕으로 영양지식 습득과 가정 내 실 천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교육 방법을 다양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Kim 등(2011)의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 연구에서 이론교육 후에는 꼭 실습 교육을 병행하여 바로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 록 선행학습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보고한 결 과와도 일치한다. 개발된 교육자료는 베트남 결혼이 민여성들의 교육수준 및 정서적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베트남 식재료와 음식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 였다. 이는 다문화 가정 관련 전문가들이 제시한 교 육 방안 중 베트남어로 번역된 자료를 활용할 것과 한국어 능력 부족을 감안해 그림이나 모형 등을 활 용할 것을 제시한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다(Kim 등 2011).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Ahn(2008)의 연구에서 건강교육 프 로그램 중재 후 조사대상자들의 자아 효능감이 유

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건강지식과 자아 효능감 간 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o & Park (2015)의 연구에서도 해당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결 혼이민여성들의 건강증진 행위, 신체적 건강 및 사 회적 건강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본 연구의 영양교육 프로그램도 향후 효과평가를 통한 타당성 검증으로 더욱 보완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교육 주제, 교육 기간, 교육 방법 등에 있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다문화가족 비중이 증가하면서 2008 년 ‘다문화가족’이라는 공식 용어가 사용된지 햇수 로 10년째, 국내 거주기간에 따라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사회 동화 정도나 자녀 연령의 차이가 커질 것 이다. 따라서 향후 개발되는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민여성들의 거주기간 및 자녀 연령별로 좀 더 세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기개발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한 언어(예: 영어, 중국어, 인도네시아어 등)로 번역하여 적용하면 좀 더 다양 한 국적의 결혼이민여성들에게 교육 수혜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기대한다.

요약 및 결론

1. 본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영양불량 상태의 위험성 과 심각성을 일깨우고, 건강 식생활을 실천하고 자 하는 의지와 태도를 함양하며, 건강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교육 주제는 총 9개로, 16차시에 걸 쳐 진행되며, 프로그램은 각 주제별 교육, 주요 교육내용, 교육 목적 및 목표, 교육 도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2. 교육 요구도 조사를 위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요구도 조사

(13)

결과 및 선행연구 검토,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자료는 두 차례의 시범교육을 통해 난이도를 결정한 후 개 발되었으며, 개발된 한글 교육자료를 다문화 전 문가가 베트남어로 번역한 후 베트남 식품영양학 자의 감수 과정을 거쳐 최종 개발 완료되었다.

3. 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건강신념 모델 구성요소 별로 살펴보면 ‘인지된 민감성’ 요소에 주제 1

‘나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평가’, ‘인지된 심각성’

요소에 주제 2 ‘식습관 및 영양상태에 따른 건강 문제 이해’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인지된 위협성’

요소를 충족할 수 있다. 인지된 위협성을 극복하 기 위한 행동 계기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관련 교육정보의 전달 등을 제시하였다. ‘인지된 이익’ 요소에 주제 3 ‘6가지 기초식품군 이해’, 주제 5 ‘한국과 베트남 식문화 이해’, 주제 6 ‘한 국 전통ㆍ절기음식’, 주제 8 ‘가족 영양관리’를 계 획하였다. ‘인지된 장애’ 요소에는 주제 4 ‘바람직 한 상차림’, 주제 7 ‘한국 음식 만들기’ 내용을 계 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 효능감을 높일 수 있 게 하였으며, ‘자아 효능감’ 요소에는 추가로 주 제 9 ‘건강 식생활 실천’ 내용을 계획하였다.

4. 학습 자료는 한글과 베트남어를 병기하여 교육 이해도를 높이고, 베트남 식재료와 음식 이미지 를 적극 활용하였으며, 한국 식문화와 명절 등을 베트남 식문화 및 명절과 비교, 소개하여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의 교육 몰입도와 정서적 공감대를 높이고자 하였다. 자료는 PowerPoint(PPT)를 비롯 하여 레시피 유인물, 음식 스티커 등을 제작하여 실습 교육(바람직한 상차림, 한국 전통ㆍ절기음식) 시 이용하였으며, 식품영양 관련 알기 쉬운 용어 및 시각적인 이미지를 많이 삽입해 초등학생 수 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매 교육시 마지막 순서는 OX퀴즈로 마무리하여 해 당 회차의 교육내용을 상기할 수 있도록 하였으 며, 교육 참여도와 이해도를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자료의 개 발을 통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들이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영양불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되며, 나아가 결혼이민여성 본인뿐만 아니라 다문화 가정 전체 구성원의 바람직한 식생활 정착 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프로그램 활 용을 위한 타당도 검증 연구가 필요하며, 본 프로그 램은 2013년 서울특별시와 MOU를 체결하여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되고 있다.

REFERENCES

Ahn YH (2008):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health educati- 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2(2):200-210

Contento I, Balch GI, Bronner YL, Lytle LA, Maloney SK, Olson CM, Swadener SS (1995): The effectiveness of nu- trition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pol- icy programs and research: a review of research. J Nutr Educ 27(6):277-418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2008):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San Francisco, CA

Han GS (2006):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J Korean Soc Cult Anthropol 39(1):

195-219

Han YH, Shin WS, Kim JN (2011): Special theme : multi- 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 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19(1):115-160

Hofstede G (1995): Gender stereotypes and partner preferences of Asian women in masculine and feminine cultures. J Cross Cult Psychol 27(5):533-546

Hwang JY, Lee SE, Kim SH, Chung HW, Kim WY (2010):

Psychological distress is associated with inadequate dietary intake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J Am Diet Assoc 110(5):779-785

Imamura EA (1998): The loss that has no name: social woman- hood of foreign wives. Gend Soc 12(2):291-307

(14)

Jeong MJ, Jung EK, Kim AJ, Joo N (2012): Nutrition knowl- 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 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 18(1):30-42

Jun HJ, Subramanian SV, Gortmaker S, Kawachi I (2004):

Socioeconomic disadvantage, parenting responsibility, and women’s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Am J Public Health 94(12):2170-2176

Kang EJ (1999): What are inside the Korean-Chinese interna- tional marriage? An exploratory study. J Korean Assoc Family Relat 4(2):61-80

Kang IJ (2011): A survey o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life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ersity

Kim HR (2013): Health problem and political subject of multi- cultural families. Issue Focus 185:1-8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 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 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 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4):312-325

Kim SH, Kim WY, Lyu JE, Chung HW, Hwang JY (2009):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 Korean J Community Nutr 14(1):22-30

Lee HK (2005): Marriage migration to South Korea: issues, problems, and responses. Korea J Popul Assoc 28(1):73-106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807-815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 Foreign residents status.

Available from: http://www.moi.go.kr/frt/bbs/type001/com- 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

nttId=56693. Accessed December 30, 2016

Park SS, Rhu HS (2009): A exploratory study on adaptation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 Parent Educ 6(2):25-47

Seo IJ, Park JS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27(2):198-210

Sigman-Grant M (1996): Stages of change: a framework for nutrition interventions. Nutr Today 31(4):162-170

Smith A, Kaminskas G (1992): Female Filipino migration to Australia: an overview. Asian Migr 5(3):72-81

Strauss A,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 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Sage. Thousand Oaks, CA

TenHave TR, Van Horn B, Kumanyika S, Askov E, Matthews Y, Adams-Campbell LL (1997): Literacy assessment in a cardiovascular nutrition education setting. Patient Educ Couns 31(2):139-150

수치

Table 1. The FGI 1)  question list of dietary lif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Figure 1. Proces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접에  앞서  연구  주제  및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동의서를 받았다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able 3.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4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the kinetic model based on the coupled reac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s and amount changes among the molten steel, slag and i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the Gwangju Education Office Employment Support

Study of diabetes and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osteo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11 to 13 from displaced North Korean (NK) families to compare their growth and nutritional status with those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rough play in modern children'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During the course of the green clothes attitud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green clothes attitude education program makes posi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develop and expand SW-based AI educ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