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가 야"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가 야

1. 변한단계 : 목관, 목곽묘 (창원 다호리, 김해 양동리 등) 2. 전기가야연맹 ; 남부가야, 金官加耶 중심,

1) 김해 양동리․예안리․대성동고분군 : 목관․목곽묘,옹관묘,수혈식석 곽묘,횡(구)혈식석실묘 등

* 금관가야 지배계층 이주설(신경철) : 선행 목곽묘 파괴(장방형→세 장방형), 日字形 主副槨, 엄격한 묘역 분리, 매장주체부 대형화, 철 제 갑주의 출현과 보급, 순장과 말 희생 습속 출현, 철기(鐵刀) 훼기 (구부려 부장) 습속, 오르도스형 銅鍑 ⇒ 280년대 부여족 남하 결과 로 해석

2) 부산 지역은 금관가야였을까, 신라일까? 부산 복천동 고분군 1. 변한단계 : 목관, 목곽묘 (창원 다호리, 김해 양동리 등)

2. 전기가야연맹 ; 남부가야, 金官加耶 중심,

1) 김해 양동리․예안리․대성동고분군 : 목관․목곽묘,옹관묘,수혈식석 곽묘,횡(구)혈식석실묘 등

* 금관가야 지배계층 이주설(신경철) : 선행 목곽묘 파괴(장방형→세 장방형), 日字形 主副槨, 엄격한 묘역 분리, 매장주체부 대형화, 철 제 갑주의 출현과 보급, 순장과 말 희생 습속 출현, 철기(鐵刀) 훼기 (구부려 부장) 습속, 오르도스형 銅鍑 ⇒ 280년대 부여족 남하 결과 로 해석

2) 부산 지역은 금관가야였을까, 신라일까? 부산 복천동 고분군

(2)

[ 가야 관련 용어]

1. 加耶 : 伽倻, 加耶, 伽倻 :『三國志』魏書 東夷傳의 狗邪(弁辰狗邪國, 狗邪韓國 : 金海지역 비정) 비롯

2. 加羅 : 駕洛, 伽落, 加良, 加羅, 伽羅, 迦羅, 라, 枷羅

1) 당시 일반적 사용 용어 : 광개토호태왕비,『南齊書』,『宋書』,『日本書紀』 등 加羅 표기 2) 가라 용례

단일 국명으로 사용된 경우 : 가장 일반적

임나와 결합하여 사용 : 광개토호태왕비의 任那加耶(임나의 가야로 읽으면 임나가 가라보다 의미)

가라 단독으로 나오면서 임나와 같이 넓은 의미 갖는 경우 : 『宋書』임나와 대등하게 병칭,

『翰苑』과 『通典』에는 加羅任那 가라가 먼저 기재 3) 加羅 의미

단독 사용시 특정국명 지칭 : 고령 대가야

- 伴跛·半路(3세기 혹은 이전부터 자칭한 국명으로서 존재) ⇒ 4세기 어느 무렵부터 반파와 용(공식적, 외교적 국명으로 사용)

- 日本書紀에서 고령세력을 加羅, 김해세력을 南加羅 호칭 : 김해(금관가야)에서 초기에 주도권 잡아 加耶 국호 사용하였으나, 고령세력이 정치적 주도권과 교역권 장악하면서(4세기 중반? 5 세기 초?) ‘加羅’ 개칭 사용 ⇒ 1국을 지칭하면서 맹주국이란 개념으로 확대되어 전체를 포괄

[ 가야 관련 용어]

1. 加耶 : 伽倻, 加耶, 伽倻 :『三國志』魏書 東夷傳의 狗邪(弁辰狗邪國, 狗邪韓國 : 金海지역 비정) 비롯

2. 加羅 : 駕洛, 伽落, 加良, 加羅, 伽羅, 迦羅, 라, 枷羅

1) 당시 일반적 사용 용어 : 광개토호태왕비,『南齊書』,『宋書』,『日本書紀』 등 加羅 표기 2) 가라 용례

단일 국명으로 사용된 경우 : 가장 일반적

임나와 결합하여 사용 : 광개토호태왕비의 任那加耶(임나의 가야로 읽으면 임나가 가라보다 의미)

가라 단독으로 나오면서 임나와 같이 넓은 의미 갖는 경우 : 『宋書』임나와 대등하게 병칭,

『翰苑』과 『通典』에는 加羅任那 가라가 먼저 기재 3) 加羅 의미

단독 사용시 특정국명 지칭 : 고령 대가야

- 伴跛·半路(3세기 혹은 이전부터 자칭한 국명으로서 존재) ⇒ 4세기 어느 무렵부터 반파와 용(공식적, 외교적 국명으로 사용)

- 日本書紀에서 고령세력을 加羅, 김해세력을 南加羅 호칭 : 김해(금관가야)에서 초기에 주도권 잡아 加耶 국호 사용하였으나, 고령세력이 정치적 주도권과 교역권 장악하면서(4세기 중반? 5 세기 초?) ‘加羅’ 개칭 사용 ⇒ 1국을 지칭하면서 맹주국이란 개념으로 확대되어 전체를 포괄

(3)

3. 任那

(1) 일본서기에서 가야 대신 주류 호칭으로 사용, 광개토호태왕비 처음 사용

(2) 본래 가야 전체를 지칭하는 포괄적 의미로 출발 ⇒ 후에 특정 1국을 지칭하기도 함 (3) 백제와 밀접하게 관련 : 백제 성왕대의 2차례 任那復興會議

① 聖王이 근초고왕대의 백제와 임나 結好 강조

② 369년 근초고왕 가라 7국 평정 후 지배력 행사하기 위해 만든, 백제에 충성을 맹 세한 가야 제 정치세력의 결집체

4.『三國遺事』 紀異 第25 伽耶條

(1) 阿羅伽耶(함안), 古寧伽耶(함령), 大伽耶(고령), 星山伽耶(京山), 小加耶(고성)

⇒ 940년 金官, 古寧, 非火, 阿羅·星山(碧珍) 伽耶로 개칭 (2) 나말여초의 정치적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는 견해 유력

(3) 대개 김해 금관가야, 고령 대가야, 함안 아라가야, 고성 소가야, 창원 비화가야(?) 등 비정

3. 任那

(1) 일본서기에서 가야 대신 주류 호칭으로 사용, 광개토호태왕비 처음 사용

(2) 본래 가야 전체를 지칭하는 포괄적 의미로 출발 ⇒ 후에 특정 1국을 지칭하기도 함 (3) 백제와 밀접하게 관련 : 백제 성왕대의 2차례 任那復興會議

① 聖王이 근초고왕대의 백제와 임나 結好 강조

② 369년 근초고왕 가라 7국 평정 후 지배력 행사하기 위해 만든, 백제에 충성을 맹 세한 가야 제 정치세력의 결집체

4.『三國遺事』 紀異 第25 伽耶條

(1) 阿羅伽耶(함안), 古寧伽耶(함령), 大伽耶(고령), 星山伽耶(京山), 小加耶(고성)

⇒ 940년 金官, 古寧, 非火, 阿羅·星山(碧珍) 伽耶로 개칭 (2) 나말여초의 정치적 사정이 반영된 것으로 보는 견해 유력

(3) 대개 김해 금관가야, 고령 대가야, 함안 아라가야, 고성 소가야, 창원 비화가야(?) 등 비정

(4)

가야지역의 지형

(5)

김해 양동리고분군

(6)

양동리 162호

양동리 235호

(7)

[ 금관가야]

김해-부산지역 1~5세기토기편년(홍보식)

김해

대성동

고분군

(8)

대성동29 호 (3 세기 초) 대성동29 호 (3 세기 초)

29 호 2 호 1 호 23 호

대성동11 호

(4 세기)

(9)

[ 김해 대성동2 호분]

(10)

복천동

고분군

(11)

복천동 38 호분

복천동

고분군

(12)

4 세기 전반 4 세기 후반

(13)

5 세기 전엽

(14)

5 세기 중엽

(15)

5 세기 후엽

(16)

[大加耶]

@ 후기가야연맹 : 대가야, 5~6 세기, 수혈식석곽묘, 석실묘

1) 고령

(1) 쾌빈동고분군 : 4세기대, 목곽묘, 수혈식석곽묘 (2) 지산동고분군 (사적 79호)

① 지산동 대가야 고분 특징 : 능선 정상부나 융기부에 거대 봉토, 地下式 수혈식석곽 묘 위주, 세장방형 평면 主槨(5:1 이상), 殉葬의 존재, 원형이나 타원형 護石 등

② 35호→30호→32~34호→87호→44호→45호→고아동 벽화분(석실)

* 44호분 : 봉토 직경 25~27m, 주실(수혈식석곽 : 길이 9.4m, 너비 1.75m, 깊이 2.1m), 소형석곽(순장곽) 32기]

2) 합천 玉田古墳群 : 목곽묘-수혈식석곽묘-횡혈(구)식석실, 금동관․大刀 등 백제 영향 多 3) 함양 백천리고분군, 거창 말흘리고분군

4) 전북 동부지역 대가야계 고분 :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대가야세력 확대 산물 (1) 남원 월산리·두락리 고분군

(2) 장수 三顧里 · 삼봉리 고분군

(3) 진안 황산리고분군 : 대가야계 토기 + 백제토기(삼족기)

@ 후기가야연맹 : 대가야, 5~6 세기, 수혈식석곽묘, 석실묘

1) 고령

(1) 쾌빈동고분군 : 4세기대, 목곽묘, 수혈식석곽묘 (2) 지산동고분군 (사적 79호)

① 지산동 대가야 고분 특징 : 능선 정상부나 융기부에 거대 봉토, 地下式 수혈식석곽 묘 위주, 세장방형 평면 主槨(5:1 이상), 殉葬의 존재, 원형이나 타원형 護石 등

② 35호→30호→32~34호→87호→44호→45호→고아동 벽화분(석실)

* 44호분 : 봉토 직경 25~27m, 주실(수혈식석곽 : 길이 9.4m, 너비 1.75m, 깊이 2.1m), 소형석곽(순장곽) 32기]

2) 합천 玉田古墳群 : 목곽묘-수혈식석곽묘-횡혈(구)식석실, 금동관․大刀 등 백제 영향 多 3) 함양 백천리고분군, 거창 말흘리고분군

4) 전북 동부지역 대가야계 고분 :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대가야세력 확대 산물 (1) 남원 월산리·두락리 고분군

(2) 장수 三顧里 · 삼봉리 고분군

(3) 진안 황산리고분군 : 대가야계 토기 + 백제토기(삼족기)

(17)

대가야토기 편년안( 박천수)

(18)

대가야고분 편년안( 박천수)

(19)
(20)

고령 쾌빈동1호 목곽묘

고령 반운리 토기

(21)

고령 지산동고분군

(22)
(23)
(24)
(25)
(26)
(27)
(28)

지산동 30 호 수혈식석과묘

(29)

지산동32 호 수혈식석곽묘

(30)
(31)

지산동 45 호분

(32)

고아동 벽화고분( 좌), 傳 고령( 우) 및

지산동 30-2 호( 우하) 금동관

(33)

대가야양식토기와 ‘大王’

銘 장경호(충남대소장)

(34)

합천 옥전고분군

(35)

합천 옥전 M3 호

(36)

대가야 양식기대( 좌: 고령 지산동 30 호, 우: 합천 반계제가B 호)

(37)

공주 수촌리 4호분

합천 반계제 가A 호분

합천

옥전23 호

공주 수촌리 4호분

익산 입점리 86-1호분

(38)

합천 창리A 지구2 호분

합천 창리A 지구 41 호분

(39)
(40)

장수 삼고리고분군

(41)

진안 황사리

고분군

(42)

고령 주산성

(43)

[ 창녕 : 포자국?]

송현동6,7 호분

(44)
(45)

강진

도자박물관의 녹나무

강진

도자박물관의 녹나무

(46)
(47)

소가야양식토기편년 ( 박승규(2000)

(48)

진주 수정봉 2호분(좌), 7호분(우) 토기

(49)

[

아라加耶] 함안일대 유적분포도

(50)

함안 도항리고분군

(51)

아라가야 토기편년( 이성주)

좌 : 함안 황사리와 도항리고분군(4 세기대), 우 : 함안 도항리고분군(5 세기대)

(52)
(53)
(54)
(55)

함안 마갑총

(56)
(57)
(58)

IB-1호석실

고성 송학동고분군 (古自國)

소형봉분 토광묘→

대형봉분 수혈식석곽 → 대형봉분 횡혈식석실 → 대형봉분 횡구식석실 → 화장묘

(59)

IB-1호석실

IA호 석곽

(60)
(61)
(62)

참조

관련 문서

• 인센티브와 대조의 할당을 임의로 하였으므로 아무런 차이가 없어 야 하는데 이런 차이가 나온 것은 인센티브(사례품)가 들어있는 우 편의 경우는 우편배달원이 배달된

[r]

[r]

[r]

[r]

[r]

[r]

중서부 지역 II단계 원삼국∼한성백제 초기 주요 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