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TEAM R&E 연구결과보고서

(제주지역에 자생하는 독버섯에 대한

연구를 통한 ‘제주의 독버섯’ 앱(App) 개발)

2015. 11. 20.

남녕고등학교

(2)

< 연구결과 요약 >

과 제 명 제주 지역에 자생하는 독버섯에 대한 연구를 통한 ‘제주의 독버섯’ 앱 개발

연구목표

일반인들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독버 섯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 직접 한라산, 오름, 곶자왈 등 제주 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채집하고 문헌과 도감을 참고하여 동정해서 자생 버섯 중 독버 섯을 구분하여 분류한다. 그 후 ‘제주의 독버섯’이라는 앱을 제작하여 독버섯이 있는 위치와 독버섯에 대한 사진과 내용 등을 상세히 담아 제주도 민 및 관광객들이 좀 더 쉽게 독버섯을 구별하여 안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조사는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버섯이 많이 발생하는 하절기 동안 비가 내린 다음 이삼일 후 버섯 발생이 많을 것으로 사료되는 시기를 선정하 여 버섯을 조사하였다.

○ 버섯 조사는 이미 조성된 생태 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주변을 중심으로 출현하는 버섯을 조사하였다. 버섯 채집은 가능한 어린 자실체와 성숙한 자실체 모두를 채집하였고 채집된 버섯은 개체수와 출현 빈도, 크기 등을 기록하고 건조기로 수분이 5%미만이 되게 완전 건조 시켜 보관하였다. 성숙 한 자실체의 경우 70%의 에탄올이나 5%의 포르말린에 넣어 액침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 채집한 버섯은 분류군 동정을 위해 국내 문헌 및 버섯 도감을 참고하였 고, 현장에서 생태적 사진을 찍고 관찰은 균모의 크기, 모양, 색깔 등을, 주름살은 밀도, 붙음, 색, 폭, 형태 등을, 자루는 크기, 모양, 턱받이, 표면, 육질, 냄새 등을 상세히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연구성과

본 연구를 통해 서식이 확인된 버섯은 담자균문 10목 17과 24속 31종과 자낭균문 3목 4과 5속 5종이었다. 담자균목에서 주름버섯목 13종, 구멍장이 목 8종, 무당버섯목 3종, 그물버섯목 2종, 꾀꼬리버섯목 2종, 말뚝버섯목 2종, 민주름버섯목 1종이었고, 이중에 주름버섯목이 13종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여 전체 발생량의 58%에 달하였다. 그중 독버섯은 주름버섯목 5종, 무당버섯 1종으로 전체 담자균문 중 19%를 차지하였다. 자낭균문에서 는 독버섯이 발견되지 않았다.

○ 뱀껍질광대버섯과 큰주머니광대버섯은 Amatoxin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는데 맹독버섯류로 중독증상으로 출혈성 위염, 급성 신부전 및 간부전을 초래하고, 많은 양을 먹어서 증상이 심하면 사망한다. 특히 큰주머니광대버 섯의 경우 일본에서 사망한 예가 있는데 경기도 광릉과 수원 지역에서는

(3)

주민들이 소량씩 식용을 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큰주머니광대버섯에 의해 중독된 예가 없지만 매우 주의해야 한다.

○ 애우산광대버섯은 크기가 4cm정도로 작지만 위장관을 자극하는 독버섯 이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아직 어떤 성분의 독인지에 대해 밝혀지지 않았 다.

○ 흰애광대버섯과 삿갓땀버섯은 피에스엘 증후군을 초래하는 버섯들로 상당량의 Muscarine이라는 독성분을 내포하고 있어 섭식 후 30분 내지 2시 간 이내에 피에스엘 증후군 이외에도 동공축소, 근육경련, 설사, 서맥증, 저혈압 및 심정지를 초래할 수 있다.

○ 냄새무당버섯은 Choline을 함유한 독버섯으로 섭취 후 체내에서 산소에 의해 acetycholine으로 전환되어 나타난다. 혈압 강하, 심장 박동 저하, 동공 수축, 혈류 증가, 소화 기관의 운동 촉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 약용버섯의 경우 조심해야 할 부분은 독버섯인 뱀껍질광대버섯과 큰주 머니광대버섯이 약용으로 쓰인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 버섯을 약용을 사용할 시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함을 알릴 필요성이 있다.

주요어 (Key words)

독버섯, 식용버섯, 약용버섯

(4)

1. 개요

□ 연구 동기

○ 2014년 8월 24일 오전 12시 17분께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 한 주택에서 독버섯 중독의심 증상을 보인 가족 3명이 병원으로 이송됐다. 제주도 소방안전 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2시 17분께 신엄리 한 주택에서 A(53)씨 등 3명이 구토 등 독버섯 중독 의심 증세를 보였다. 이들은 전날 산에서 채취한 야생 버섯을 요리해 저녁 식사로 먹고 난 후부터 구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A씨와 함께 저녁을 먹은 B(49)씨 등 2명도 같은 증세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야생 독버섯 중독 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10년간 독버섯을 먹고 23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버섯 중독사고 현황’

에 따르면 2004년부터 10년간 전국에서 독버섯 중독사고로 204명의 환자가 발생, 이 가운데 23명이 숨졌다. 가장 많이 사망사고가 난 해는 2004년과 2010년 으로 각 4건, 7건의 독버섯 사고가 나 6명씩 2년간 12명이 목숨을 잃었고 지난해 에도 4건의 독버섯사고로 11명이 중독, 이중 2명이 숨졌다. 국내에는 1천 901종 의 버섯 가운데 식용과 약용버섯은 각각 27, 11%에 그치고 있으며 독버섯은 13%로 나타났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구분하기가 어렵다.

□ 연구 목적

○ 독버섯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말 중에 ‘화려한 색의 버섯만 안 먹으면 된다.’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상식이다. 버섯 색깔은 같은 종의 버섯이라도 기온이나 습도 등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

‘버섯의 갓이 세로로 찢어지면 식용버섯’이라는 말도 잘못된 상식으로 대부 분의 독버섯도 식용버섯과 마찬가지로 세로로 찢어진다. 이밖에도 ‘버섯 대에 띠가 있거나 벌레가 먹은 버섯은 먹어도 된다.’는 말도 100% 믿어서는 안 되는 상식 중의 하나이다.

만약 독버섯을 섭취했다면, 독의 성분에 따라 그 증상이나 위험정도가 다르지 만 섭취 후 20분~24시간 내에 증상이 발생하므로, 즉시 병의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만약 환자의 의식은 있으나 경련이 없다면 물을 마시고 손가락을 입안 깊숙이 넣어 토하게 하고, 섭취하고 남은 독버섯은 치료에 도움이 될 수

(5)

있으므로 병원에 가지고 가는 것이 좋다.

이처럼 일반인들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정확하게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독버섯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서 직접 한라산, 오름, 곶자왈 등 제주 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채집하고 문헌과 도감을 참고하여 동정해서 자생 버섯 중 독버섯을 구분하여 분류한다. 그 후 ‘제주의 독버섯’이라는 앱을 제작하여 독버섯이 있는 위치와 독버섯에 대한 사진과 내용 등을 상세히 담아 제주도민 및 관광객들 이 좀 더 쉽게 독버섯을 구별하여 안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연구범위

○ 버섯은 삼림내의 유기물질을 분해하여 무기물질로 환원시키는 분해자로서 자연 생태계의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식용, 약용 등 직·간접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버섯은 근대에 이르러서 야 주요한 식품으로 인식되어 약 1,000년 전에 최초로 중국에서 목이가 재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어서 표고버섯이 재배되었고, 양송이는 1650년 프랑스에서 말똥으로 재배가 이루어졌다.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5,000종의 버섯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50%가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독버섯 10%, 약용버섯 약 20% 나머지는 용도가 불명확한 상태이다.

○ 국내에서 자생 혹은 재배되는 버섯 중 그 약효 또는 성분이 알려진 것은 1700여종에 불과하다. 이 중에서도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좋은 약 350여 종으로 전체 버섯 종 수에 비해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여앞으로 자원으로 개발할 수 있는 버섯은 매우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독버섯은 100여 종으로 추정된다.

2. 연구 수행 내용

□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한라산 국립공원 지역은 1966년 10월 천연기념물 제 182호로 천연보호구역 으로 지정된 후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남한에서 가장 높은 분화구를 가지고 있고 경사가 완만하여 강수량이 풍부하여 다른 국립

(6)

공원에 비해 동식물이 다양하고 자연환경도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다. 2002 년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후 2007년 6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어 보호되는 지역이다.(한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단, 2013).

○ 한라산 해발 600m 이상 지역의 기후는 한랭습윤 기후구에 속하고 연평균 기온은 5.5 ~ 10.9 ℃로 제주도 해안지방의 연평균기온 15.2 ~ 16.2 ℃보다 5.3 ~ 9.9 ℃정도 낮고, 강수량은 2,968 ~ 4,746mm로 해안 지방의 강수량 1,095 ~ 1,851mm보다 1,873 ~ 2,898mm정도가 많다. 이와 같은 요인은 자연 생태계 및 버섯 발생량에도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 한라산의 식생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해발 600m까지는 난대 상록활엽수림대, 해발 600 ~ 1,400m는 온대 낙엽활엽수림대, 해발 1,400

~ 1,950m까지는 아한대 또는 아고산대이다.(한라산 국립고원 자연자원조사 단, 2013)

○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된 제주 자생버섯은 총 74과 213속 511분류군 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에 식용하였거나 식용 가능한 버섯이 28분류군, 독이 있는 버섯은 27분류군, 약용버섯은 5분류군이었다. 식용하지만 독성분이 나타나는 좋은 9분류군, 식용과 약용의 효과를 같이 나타내는 조이 4분류군, 그 외 이용가지가 없거나 이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종이 70분류군으로 나타 났다.

□ 연구주제의 선정

○ 시중에는 다양한 버섯 도감이 발간되어 있고 국립산림과학원과 국립농업 과학원이 독버섯과 식용버섯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든 ‘숲속의 독버 섯’,‘숲속의 식용버섯’도 있지만 산에 갈 때마다 크고 무거운 도감을 들고 다니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의 필요성을 느꼈다.

○ 관련 앱을 찾아본 결과 국립수목원에서 독버섯 섭취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 기 위해 ‘독버섯 바로알기’앱을 개발해 무료로 공개하고 있었다.

(7)

○ ‘독버섯 바로알기’에는 독버섯 80종의 특징과 사진을 수록했으며, 이름 과 증세에 따른 독버섯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하지만‘독버섯 바로알기’앱에는 제주도 어느 지역에 어떤 독버섯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고 식용버섯과 독버섯에 대한 내용만 있기 때문에 제주도민을 비롯한 관광객들이 더 쉽게 제주도에 자생하는 독버섯의 서식지의 위치와 구분을 할 수 있는 앱의 필요성을 느꼈 다.

○ 제주도민과 관광객들이 많이 오르는 한라산 주변, 오름, 곶자왈 등의 지역 에서 학생들이 직접 야생버섯을 채집한 다음 문헌과 도감 그리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정확하게 동정하여 독버섯을 구분한다. 채집 전 찍은 사진을 스마트폰 앱에 올려 설명하고 독버섯을 발견한 지역을 표시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있게 도움을 준다. 형태가 비슷해 혼동하기 쉬운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구분방법 등도 담는다.

□ 연구 방법

○ 버섯을 표본화하는 방법에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영구보존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조표본법과 액체에 넣어 보존하는 액침표본법이 있다. 건조표본으로 제작된 버섯은 영구 보존이 가능하며 건조 후에도 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 의 관찰이 가능하지만 버섯의 형태와 색이 변하는 단점이 있다. 액침표본은 버섯의 형태와 색을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으나 표본 후에 현미경 관찰이 불가능하며 장기간 보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① 건조표본

- 건조표본을 만드는 방법은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열풍건조는 30~60℃의 바람으로 자실체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다. 이 때 처음부터 온도가 높으면 버섯의 색이 변하거나 형태가 쉽게 망가지므로 높은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너무 낮은 온도는 버섯이 건조되기 전에 망가질 수 있으므 로 주의해야하며 건조표본으로부터 DNA시료를 채취하는 경우에 열에 의한

(8)

DNA의 손실을 막기 위해 온도를 40℃이상 올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둘째. 동결건조 방법은 채집한 버섯을 냉동기(-20℃ 이하)에서 완전히 냉동 시킨 후에 동결건조기에 넣어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동결건조법은 열풍건조법에 비하여 버섯의 형태와 색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지만 다소 시간이 소요되며 냉동기 및 동결건조기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② 액침표본

- 액침표본은 포르말린, 아세트산, 70%의 알코올을 5:5:90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이나 70%의 알코올, 10~15%의 포르말린을 사용하기도 한 다. 채집한 버섯이 용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밀봉 후 보관하며 주로 교육용 또는 전시용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액침표본의 경우 시간 이 지나면 버섯의 색이 빠지고 흐물흐물해지는 단점이 있다.

□ 연구 활동 및 과정 1. 조사지역 선정

○ 동쪽 지역인 거문 오름, 서쪽 지역인 안덕 계곡, 남쪽 지역인 돈내코, 북쪽 지역인 교래입구, 사려니 숲, 한라생태숲을 답사한 결과 제주 도민을 비롯 한 관광객이 많이 오는 한라생태숲을 연구 지역을 선정

2. 조사 지역 : 한라생태숲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516로 2596(용강동)에 위치한 한라생태숲은 196ha 의 면적을 가졌고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조성기간을 가져 2009년 9월 15일 에 개원하였다.

(9)

○ 숲구성으로 난대수종적응시험림(21,080㎡), 다목적경영시험림(22,982㎡), 구상나무숲(26,572㎡), 참꽃나무숲(18,270㎡), 목련총림(5,440㎡), 수생식물 원(4,800㎡), 단풍나무숲(37,499㎡), 벚나무숲(47,630㎡), 유전자보전림 (20,150㎡), 암석원(4,647㎡), 야생난원(7,199㎡), 지피식물원(4,800㎡), 꽃나 무숲(41,879㎡), 산열매나무숲(26,572㎡), 양치식물원(4,150㎡), 천이과정전 시림(8,818㎡), 혼효림(11,200㎡), 생태이동통로(609㎡), 양묘포지(11,000㎡) 으로 구성되어 있다.

○ 식생이 우수하며 다양하게 버섯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제주 도민을 비롯한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조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3. 조사 방법 및 과정

○ 본 조사는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버섯이 많이 발생하는 하절기 동안 비가 내린 다음 이삼일 후 버섯 발생이 많을 것으로 사료되는 시기를 선정하 여 버섯을 조사하였다.

○ 버섯 조사는 이미 조성된 생태 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주변을 중심으로 출현하는 버섯을 조사하였다. 버섯 채집은 가능한 어린 자실체와 성숙한 자실체 모두를 채집하였고 채집된 버섯은 개체수와 출현 빈도, 크기 등을 기록하고 건조기로 수분이 5%미만이 되게 완전 건조 시켜 보관하였다. 성숙 한 자실체의 경우 70%의 에탄올이나 5%의 포르말린에 넣어 액침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 액침 표본 만드는 방법

1. 버섯을 유리병에 넣고, 약액인 에탄올이나 포르말린에 담근다.

2. 학명이나 라벨을 방수 수성 펜으로 쓴 후 유리병에 같이 넣는다.

3. 유리병에 표를 만들어 스티커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4. 증발을 막기 위해 고무 뚜껑으로 닫는다.

○ 채집한 버섯은 분류군 동정을 위해 국내 문헌 및 버섯 도감을 참고하였고, 현장에서 생태적 사진을 찍고 관찰은 균모의 크기, 모양, 색깔 등을, 주름살

(10)

은 밀도, 붙음, 색, 폭, 형태 등을, 자루는 크기, 모양, 턱받이, 표면, 육질, 냄새 등을 상세히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 정확한 동정을 하기 위해 우리 몸에 좋은 버섯대사전(솔뫼), 버섯大도감(최 호필), 야생 버섯 백과사전(석순자, 장현유, 고철순, 박영준), 자연 버섯 도감 (석순자, 장현유, 박영준), 버섯 백과 554가지(투리구얼), 버섯 생태 도감(국립 수목원), 한국의 버섯(박완희, 이호투), 새로운 한국의 버섯(박완희, 이호투) 총 8권의 도감을 구입하여 동정함으로써 동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세부일정

주요 활동 시 기 비 고

- 제주에 서식하는 버섯을 문헌과 자료를 통해 사전 조사

- 전문가와 상담

- 동정을 위한 도감 구입

5월

제주대학교 생물산업 학부, 농촌진흥청 농업 미생물팀에게 자문 - 연구장소 선정을 위한 답사

: 사려니숲, 교래입구, 한라생태숲, 안덕계곡, 돈내코 계곡, 거문오름

- 연구 장소 선정 : 한라생태숲

- 한라생태숲 채집 일정 및 계획 수립

6월

- 한라생태숲으로 선정

- 탐방길을 3코스로 나누어 채집 로드맵 작성

- 한라생태숲 제1코스 버섯 채집 및 동정 - 자생 버섯 중 독버섯을 구분하여 분류 - 동정 한 버섯 건조표본 및 액침표본 제작 - 한라생태숲에서 채집하고 동정한 자생버섯과

독버섯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남녕인의 제주버섯이야기’라는 네이버 카페 개설

7월

- 버섯 도감 구입 - 건조표본을 위한 목

재함과 액침 표본을 위한 표본병 구입 - 현미경을 이용하여

버섯의 포자관찰 - 한라생태숲 제1,2코스 버섯 채집 및 동정

- 자생 버섯 중 독버섯을 구분하여 분류 - 동정 한 버섯 건조표본 및 액침표본 제작

8월 액침 표본을 위한 표본 병 추가 구입

- 한라생태숲 제1,2코스 버섯 채집 및 동정 - 동정 한 버섯 건조표본 및 액침표본 제작 - 한라생태숲에서 채집하고 동정한 자생버섯과

독버섯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앱 준비

9월 앱 제작을 위한 연구시 작

- 한라생태숲 제1,2,3코스 버섯 채집 및 동정 10월 컴퓨터교육학과 대학

(11)

4. 표본 정리

○ 건조된 표본은 채집 일자, 서식 환경, 출현지, 채집 개체 수, 채집된 버섯의 육안적 특징 등을 차례로 기록하여 찾기 쉽게 자료화 하였다.

5. 시행착오 극복

○ 처음에 채집을 나갔을 때 채집한 버섯을 한 통에 담아서 이동을 하였는데 나중에 버섯들의 포자들이 섞이고 버섯에 손상이 발생하였다. 그래서 이후 에는 표본 채집 시 기름조이를 각 종마다 따로 포장하고 운반하여 다른 종의 포자나 분질물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였다. 채집된 야생버섯 중 동정이 된 버섯은 건조표본과 액침 표본으로 만들어서 보관하였는데 미동정 버섯은 채집일과 채집지 등을 기록한 후 지퍼팩에 보관하였다. 그런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일부의 표본에 곰팡이, 습기가 발생함으로 인해, 한지로 된 종이팩 에 재포장하고 밀폐용기에 담아 방습제 처리하여 다시 보관하였다.

주요 활동 시 기 비 고

- 동정 한 버섯 건조표본 및 액침표본 제작 - 한라생태숲에서 채집하고 동정한 자생버섯과

독버섯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앱 준비

생과 연계를 통한 앱 제 작 준비

- 한라생태숲에서 채집하고 동정한 자생버섯과 독버섯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페 자료 업 그레이드 및 앱 제작

11월

(12)

3. 연구 결과 및 시사점

□ 연구 결과

○ 본 연구를 통해 서식이 확인된 버섯은 담자균문 10목 17과 24속 31종(Table 1)과 자낭균문 3목 4과 5속 5종이었다(Table 2).

Table 1. 한라생태숲에 자생하는 담자균문 버섯의 종류

연번 버섯 종류 목 과 속

1 뱀껍질광대버섯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 큰주머니광대버섯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3 애우산광대버섯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4 흰애광대버섯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5 삿갓땀버섯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땀버섯속

6 고동색우산버섯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7 민긴뿌리버섯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긴꼬리버섯속 8 좀말불버섯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9 쇠뜨기버섯 주름버섯목 국수버섯과 쇠뜨기버섯속 10 자주방망이

버섯아재비 주름버섯목 송이과 자주방망이버섯속 11 색시졸각버섯 주름버섯목 졸각버섯과 졸각버섯속

12 귀버섯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귀버섯속

13 하얀선녀버섯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선녀버섯속 14 청자색모피버섯 구멍장이버섯목 유액고약버섯과 모피버섯속 15 때죽도장버섯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조개껍질버섯속 16 노란대구멍장이

버섯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구멍장이버섯속 17 메꽃버섯부치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메꽃버섯속 18 송편버섯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19 운지버섯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20 해면버섯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면버섯속 21 아까시재목버섯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13)

Table 2. 한라생태숲에 자생하는 자낭균문의 종류

연번 버섯 종류 목 과 속

1 콩버섯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콩버섯속 2 긴발콩꼬투리버섯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콩꼬투리버섯속

3 땅콩버섯 주발버섯목 땅콩버섯과 땅콩버섯속

4 다발귀버섯 주발버섯목 털고무버섯과 다발귀버섯속 5 마귀숟갈버섯 마귀숟갈버섯목 마귀숟갈버섯과 마귀숟갈버섯속

연번 버섯 종류 목 과 속

22 냄새무당버섯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23 배젖버섯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24 갈색꽃구름버섯 무당버섯목 꽃구름버섯과 꽃구름버섯속 25 귀신그물버섯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귀신그물버섯속 26 산그물버섯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27 꾀꼬리버섯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28 애기꾀꼬리버섯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29 말뚝버섯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 30 세발버섯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세발버섯속 31 솔방울털버섯 민주름버섯목 솔방울버섯과 솔방울버섯속

(14)

담자균문에서 주름버섯목 13종, 구멍장이목 8종, 무당버섯목 3종, 그물버섯목 2종, 꾀꼬리버섯목 2종, 말뚝버섯목 2종, 민주름버섯목 1종이었고, 이중에 주름 버섯목이 13종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여 전체 발생량의 58%에 달하였다.

(Table 3).

Table 3. 한라생태숲에 지역에 자생하는 버섯의 양

담자균문에서 독버섯은 주름버섯목 5종, 무당버섯 1종으로 전체 담자균문 중 19%를 차지하였다(Table 4). 자낭균문에서는 독버섯이 발견되지 않았다.

Table 4. 한라생태숲에 지역에 자생하는 독버섯

연번 버섯 종류 문 목 과 속

1 뱀껍질광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 큰주머니광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3 애우산광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4 흰애광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5 삿갓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땀버섯속 6 냄새무당버섯 담자균문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담자균문 버섯의 양

주름버섯목 13

구멍장이목 8

무당버섯목 3

그물버섯목 2

꾀꼬리버섯목 2

말뚝버섯목 2

민주름버섯목 1

(15)

식용버섯으로는 담자균문에서만 발견되었는데 주름버섯목 6종, 그물버섯목 2종, 꾀꼬리버섯목 2종, 무당버섯목 1종, 말뚝버섯목 1종이 발견되었다(Table 5).

Table 5. 한라생태숲에 자생하는 식용 버섯

연번 버섯이름 분류 목 과 속

1 자주방망이

버섯아재비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자주방망이 버섯속 2 색시졸각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졸각버섯과 졸각버섯속 3 쇠뜨기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국수버섯과 쇠뜨기버섯속 4 민긴뿌리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긴꼬리버섯속 5 좀말불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6 고동색우산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7 귀신그물버섯 담자균문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귀신그물버섯

속 8 산그물버섯 담자균문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9 배젖버섯 담자균문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10 말뚝버섯 담자균문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 11 꾀꼬리버섯 담자균문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12 애기꾀꼬리버섯 담자균문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16)

약용버섯의 경우 담자균문에서 주름버섯목 4종, 무당버섯목 2종, 꾀꼬리버섯 목 2종, 구멍장이목 6종이 발견되었고, 자낭균문에서는 꽁꼬투리버섯목 1종이 발견되었다(Table 5).

Table 5. 한라생태숲에 자생하는 약용버섯

연번 버섯 종류 문 목 과 속

1 뱀껍질광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2 큰주머니광대버

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3 민긴뿌리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긴꼬리버섯속 4 좀말불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5 배젖버섯 담자균문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6 갈색꽃구름버섯 담자균문 무당버섯목 꽃구름버섯과 꽃구름버섯속 7 꾀꼬리버섯 담자균문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8 애기꾀꼬리버섯 담자균문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9 아까시재목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10 송편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11 운지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12 노란대구멍장이

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구멍장이버섯속 13 메꽃버섯부치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메꽃버섯속 14 해면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면버섯속 15 콩버섯 자낭균문 콩꼬투리

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콩버섯속

(17)

식용불명의 버섯으로는 담자균목에서 주름버섯목 2종, 구멍장이목 2종, 말뚝 버섯목 1종, 민주름버섯목 1종이 발견되었고, 자낭균문에서는 주발버섯목 2종, 꽁꼬투리버섯목 1종, 마귀숟갈버섯목 1종이 발견되었다(Table 6).

Table 6. 제주에 자생하는 식용불명의 버섯

□ 연구결론

○ 뱀껍질광대버섯과 큰주머니광대버섯은 Amatoxin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는 데 맹독버섯류로 중독증상으로 출혈성 위염, 급성 신부전 및 간부전을 초래 하고, 많은 양을 먹어서 증상이 심하면 사망한다. 특히 큰주머니광대버섯의 경우 일본에서 사망한 예가 있는데 경기도 광릉과 수원 지역에서는 주민들 이 소량씩 식용을 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큰주머 니광대버섯에 의해 중독된 예가 없지만 매우 주의해야 한다.

연번 버섯이름 분류 목 과 속

1 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귀버섯속 2 하얀선녀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선녀버섯속 3 세발버섯 담자균문 말똑버섯목 말뚝버섯과 세발버섯속 4 청자색모피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유액고약버섯

과 모피버섯속

5 때죽도장버섯 담자균문 구멍장이

버섯목 구멍장이버섯

과 조개껍질버섯 속 6 솔방울털버섯 담자균문 민주름버섯목 솔방울버섯과 솔방울버섯속 7 긴발콩꼬투리버

섯 자낭균문 콩꼬투리버섯

목 콩꼬투리버섯

과 콩꼬투리버섯 속 8 땅콩버섯 자낭균문 주발버섯목 땅콩버섯과 땅콩버섯속 9 다발귀버섯 자낭균목 주발버섯목 털고무버섯과 다발귀버섯속 10 마귀숟갈버섯 자낭균문 마귀숟갈

버섯목 마귀숟갈버섯

과 마귀숟갈버섯 속

(18)

○ 애우산광대버섯은 크기가 4cm정도로 작지만 위장관을 자극하는 독버섯이 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아직 어떤 성분의 독인지에 대해 밝혀지지 않았다.

○ 흰애광대버섯과 삿갓땀버섯은 피에스엘 증후군을 초래하는 버섯들로 상당 량의 Muscarine이라는 독성분을 내포하고 있어 섭식 후 30분 내지 2시간 이내에 피에스엘 증후군 이외에도 동공축소, 근육경련, 설사, 서맥증, 저혈압 및 심정지를 초래할 수 있다.

○ 냄새무당버섯은 Choline을 함유한 독버섯으로 섭취 후 체내에서 산소에 의해 acetycholine으로 전환되어 나타난다. 혈압 강하, 심장 박동 저하, 동공 수축, 혈류 증가, 소화 기관의 운동 촉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 약용버섯의 경우 조심해야 할 부분은 독버섯인 뱀껍질광대버섯과 큰주머 니광대버섯이 약용으로 쓰인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이 버섯을 약용을 사용 할 시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함을 알릴 필요성이 있다.

□ 시사점

○ 채집을 통해 31종의 버섯을 동정하였고 그중에서 6개가 독버섯임을 확인하 였다. 독버섯 중에 뱀껍질광대버섯과 큰주머니광대버섯처럼 독버섯이지만 약용으로 쓰이는 버섯이 있었고 심지어 큰주머니광대버섯은 경기도 광릉과 수원 지역에서 주민들이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쉽게 접할 수 있고 잘못된 상식으로 먹고 있는 독버섯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을 다시 한번 더 느꼈다.

○ 버섯의 종류를 알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자실체의 부위별 모양이나 색깔 및 크기 등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해야만 한다. 특히 야생버섯 을 정확하게 분류하고, 동정하기 위해서는 자실체의 외부 형태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현미경을 사용하여 미세한 구조까지 조사해야만 한다. 한라산 에서 흔히 발생하는 식용버섯과 독버섯의 자실체에 대한 형태적인 특징을 도감에 나와 있는 칼라사진과 함께 비교한다. 도감을 통해 버섯의 구분이 가능하나 매우 유사한 많은 종류의 버섯을 정확하게 동정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게 의뢰해야만 한다.

(19)

4. 홍보 및 사후 활용

□ 홍보

○ 학교홈페이지에 ‘남녕인의 제주버섯 이야기’카페와 ‘

제주의 독버 섯

앱에 대한 홍보를 하여 제주지역 학생들과 일반인뿐만 아니라 관광객 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 추후에 전문가를 통해 동정한 버섯에 대한 정확한 확인을 거친 후 제주지역 신문에 앱에 대한 홍보를 할 계획임.

□ 사후 활용

버섯을 연구하는 교내 과제연구동아리

(

머쉬룸

)

를 매년 유지하여 꾸준히 제주 지역을 조사하고 추후 독버섯뿐만 아니라 식용버섯

,

약용 버섯까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제주에 자생하는 다양한 버섯들을

남녕인의 제주버섯 이야기

카페와

제주의 독버섯

앱에 담을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를 할 계획임

.

○ 연구한 내용을 교내 과제연구동아리 논문을 만들 때 제출하여 학생들 이 보다 자세한 내용을 접할 수 있게 할 계획임.

○ 서귀포 지역에 삼성여고 김수철 선생님께서 서귀포 지역에 버섯을 학생들과 연구하고 있음. 삼성여고 학생들과 연계하여 한라산을 기준 으로 북쪽지역과 남쪽지역에 자생하는 버섯에 대한 연구를 할 계획임.

5. 참고문헌

□ 논문

○ 고기범. 1997. 제주도 5.16도로 주변에 자생하는 고등균류의 분포조사.

○ 박용환. 1997. 최신 버섯학.

○ 김수철. 2003. 한라산 자생버섯의 서식분포에 대한 연구

○ 송창길. 2009. 제주도 선흘곶 동백동산에 자생하는 버섯의 생태연구

○ 고평열. 2013. 제주 자생버섯의 종다양성 연구

○ 고평열. 2012.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제주 야생버섯의 종류와 분포

(20)

□ 버섯도감

○ 솔뫼. 우리 몸에 좋은 버섯대사전

○ 최호필. 버섯대도감

○ 석순자외 2명. 자연 버섯 도감

○ 투구리얼. 버섯백과 554가지

○ 석순자 외 4명. 야생버섯 백과사전

○ 국립수목원. 버섯생태도감

○ 박완희 외 1명. 한국의 버섯

○ 이호투 외 1명. 새로운 한국의 버섯

[부록]

제주에 자생하는 독버섯 : 한라생태숲

Amanita spissacea lmai 뱀껍질광대버섯

Amanita volvata (Peck) Llyod 큰주머니광대버섯

(21)

제주에 자생하는 독버섯 : 한라생태숲

Amanita farinosa Schw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citrina var. alba 흰애광대버섯

Inocybe asterospora 삿갓땀버섯

Russula emetica (Schaeff.) Pers.

냄새무당버섯

참조

관련 문서

철근에 해당하는 것은 교원 섬유로 짜여진 바구니이며, 그 그물눈을 채우고 있는 시멘트에 해당하는 것이 골질이다.. 골질은 탄산 칼슘·인산 칼슘

4번의 설문조사 끝에 별빛 예술제는 문화, 예술과 과학을 융합하여 과학의 흥미를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다른 천체 관측 행사에 참여하겠다는

혈장과 세균, 감염 예방에 대한 키워드로 논문을 조사해보면 대부분 병에 걸렸을 때 혈장 의 변화, 헌혈 후 세균의 오염가능성 등에 대한 논문이며, 영어

Ÿ 점도가 높은 액제의 단위시간당 이동거리가 달라짐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 하여 점도에 따는 혈액점도 측정용 종이미세유체칩 개발 및 실제 혈액을 통해

전체의 2%만 수지로 구성돼 있고, 나머지는 공기층이어서 자원절약형 소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물에 젖으면 완충, 단열, 포장등의

대덕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학교에서 배우고 있는 미적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내용을 제일 어려워하는가에 대해서

이에 최적의 정유 추출조건을 산출하여 산업계에 제안하기 위하여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

○ 겨울철에 학교뿐만 아니라 천장형 난방기를 사용 중인 실내에서 적은 비용만으로도 히터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 천장형 난방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