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활성화 방안

문서에서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페이지 141-163)

제 4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1. 기본방향 1) 기본방향 도출

(1) 작가 창작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필요

□ 예술 창작 지원에 일차적 목적을 둔 창작 공간

○ 경기창작센터는 예술가에 대한 기본적 창작공간 기반 조성과 일반인에 대한 예 술적 창의성 고양, 예술 향수 기회 증진을 위해 2009년 개관

○2014년까지 교육사업에 더 높은 비중의 예산이 편성되며 2015년에는 레지던시 사 업 대비 교육사업, 지역연계사업21)에 더 높은 비중의 예산 편성되었으나 2016년 이후 교육사업과 레지던시 사업 비중을 유사하게 편성한 이후 레지던시 사업을 다시 중점적으로 추진

□ 지역 창조역량 제고의 출발점으로서 예술인 창조 역량 강화 필요

○ 지역 문화예술 창조역량 강화는 문화향유 확대와 문화산업 발전의 기반이 되므로 지 역 문화 창조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인의 역할이 필요함

○ 즉 역량있는 예술인은 수준 있는 향유자를 만들어내고 좋은 향유자는 또 다시 역 량있는 예술인을 만들어내는 등 선순환 구조 형성 필요

21) 지역연계사업은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 특성화와 지역디자인 개선, 입주작가 창작역량 확장, 지역민 및 문화소외계층의 예술향 유 기회 확대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지역디자인, 에코뮤지엄 기반조성, 문화창작활동 지원(공방학교 등)의 사업을 포함함

(2) 창작 공간의 지역사회 예술가치 환원 필요

□ 예술 가치가 구현되기 위한 방안 필요

○ 예술활동 또는 향유⋅참여는 자동적으로 긍정적인 개인적⋅사회적⋅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예술의 가치가 구현되기 위한 방안 모색 필요22)

자료: 양혜원 외(2019). 예술의 가치와 영향 연구:국내외 담론과 주요 연구결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312.

<그림 4-1> 예술가치체계 모델(안)

22) 양혜원 외(2019). 예술의 가치와 영향 연구:국내외 담론과 주요 연구결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309.

□ 거주하며 창작하는 장소에 그치는 것이 아닌 지역 사회를 위한 공공적 활동 구현 필요

○ 레지던시는 작가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작가-지역사회 간 소통이나 지역 문화창의력 제고,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 국제 문화교류 거점 역할 등을 수행하여 지 역적 측면에서의 레지던시 역할 및 중요성이 확대됨

○ 국내외 레지던시는 안정적인 창작 환경 제공, 지역문화 진흥, 국제 교류 거점, 지 역 문화시설로의 역할 등을 해오고 있으며 각각의 혼재된 다양한 목표와 지역적,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상호관계성의 교류와 발전을 증진시키고자 해옴

-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낙후지역의 도시재생 목적을 가지고 유휴시설을 리모델링하여 조성, 지역의 역사성과 공간 특성을 살린 문화적 활용을 목표로 함 - 유산적 가치 보존과 도시 내 창작 공간 배치를 통한 지역사회 연계 도모

○ 문화재단 소속 레지던시는 창작스튜디오의 성격과 복합문화공간의 성격을 가진 공간 으로서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경기창작센터 또한 경기문화재단 소속으로 예술가의 창 작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뿐만 아니라 창작센터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지역 연 계 활동을 추진해옴

○ 국내외 창작 공간에서는 지역성과 역사성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는 추 세이며 지역 중심 협업 프로젝트로 다양한 관계기관간 연계 협력 구축

- 인천아트플랫폼은 인천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바탕으로 지역 이해를 도모하는 전시 기획 시도, 지역연구리서치 등을 통해 입주 예술가에 인천 지역 관련 강연 및 투어 를 통한 연구 기회 제공

- 팔복예술공장은 기획 입주를 통해 지역 연구, 공단 연구, 커뮤니티 기반, 매체 및 미디어 연구, 예술교육 연구 등 프로젝트 수행형 입주작가 모집

- 대구예술발전소는 대구를 소재로 조사, 창작활동을 통해 예술인의 시각으로 구현하 는 ’대구 리서치 프로젝트‘ 운영하며 2개 이상 장르로 구성, 지원금 지원

- 얀 반 아이크 아카데미 ‘Van Eyck Mirror’ 프로그램은 지역 중심 협업 프로젝트로 얀 반 아이크, 마스트리트 대학, 림버그 주 정부 협업 하에 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 파악,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각예술 적극 활용

- 대만 Tsung-Yeh Arts and Cultural Center는 2021년 프로그램 테마로 ‘현장특화예술’

개념 채택, 생리학, 생태학, 인문학 등을 관찰하고 이와 관련된 작품을 창작하도록 제시

○ 국내외 레지던시에서는 폐쇄적인 공간 운영이 아닌 열린 공간 활용으로 지역주민, 일 반인의 이용 제고

- Yaddo studio, 일반인이 주요 저택이나 예술가 거주지에는 출입할 수 없지만 야도 의 정원 방문 가능

- 인도 Khoj, 복합 공간 및 카페 옥상 테라시 공간에서 정기적으로 세미나, 영화 상영 md이 이루어지며 전시가 없는 기간동안 대관 가능

- Malt AIR, 몰타 파브릭켄은 현대식 레지던시 시설로 주민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기능과 활동 접할 수 있음, 쿤스트할 아르후수는 활동 프로그램에 주민 참여 - 얀 반 아이크, 건물 로비와 카페 겸 레스토랑을 일반인에 개방

(3) 경기창작센터 활성화를 위한 기본 방향

□ 창작 역량 강화

○ 예술가 자신의 창조적이고 전문적인 작업을 안정적,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게 함으 로써 창조력 제고를 높여나가 예술계 전반의 질적 향상을 도모

○ 창작 레지던시의 입주작가를 위한 지원은 예술가의 창작을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산의 과정, 창작의 영역으로 흘러야 함

○ 입주작가 장르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작 역량 강화를 위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원 방향 모색

- 획일적 공간 지원이 아닌 각각의 예술분야 특성을 고려한 창작 공간이 필요하므로 다양한 예술 분야 특성을 고려한 창작 지원 도모

- 다양한 수요에 맞춰 운영될 수 있는 유연성 제고를 토대로 입주작가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술을 공유하여 창작 역량 강화 도모

○ 융⋅복합 시대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간 소통을 통해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며, 협 업을 통한 새로운 창작 활동 기회에 따라 새로운 방향의 작업 결과물 창출이 가 능하므로 경기창작센터를 통한 예술 장르간 커넥티브, 콜라보, 대화 공동체 조성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의 역할 도모 필요

○ 예술가들의 지속가능한 삶의 기반 마련을 통한 경기도내 지속가능 문화예술 창작 생 태계 기반 조성을 위하여 단순 예술가를 위한 공간 지원 사업이 아닌 예술인의 지속가능한 창작 활동 지원을 위하여 예술가 자립 지원 도모

□ 지역사회 연계

○ 경기도를 대표하는 창작 지원 공간으로서 다양한 장르의 창작 활동, 융복합, 교류⋅협 력, 생산⋅소비⋅유통이 이루어지는 플랫폼이자 허브로서 경기창작센터의 역할 필요

○ 경기창작센터 입주 경험을 통해 창작 거점을 경기도로 옮겨서 도내에서 예술의 창작, 유통,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선순환 기반 구축

○ 예술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 예술에 대한 경험의 문턱을 낮춰주고 예술성을 길러주어 이 사람이 얼마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가에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문화예술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므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한 경기도 지역사회 연계

○ 지역적으로 특수한 지역성을 강조하고 그 지역에서 삶을 영위하는 공동체, 주민 참여 를 활성화 하여 지역 고유가치, 주민 향유능력을 제고하는 환경 조성 가능

○ 지역성, 장소성, 공동체 등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창작활동 모색 필요

○ 창작센터가 예술가만을 위한 공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주변 지역 뿐만 아니 라 경기도 31개 시⋅군과의 연계성을 중시하여 지역민 생활패턴을 바탕으로 창 작행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사업 등 경기도 전 지역 주민이 예술 창작의 새로운 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 필요

2) 기본방향 주요 개념 (1) 창작 역량 강화

□ 창조와 창의

○ 예술가 창조성은 고립된 개인의 사고가 아닌 사회적 네트워크 속에서 발현

○ 예술가 창작과정에서 문화, 경제, 사회적 외부효과가 나타남

○ 문화공간은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와 예술을 접하고 개인의 창의성을 자극함으로 써 지역의 창의력이 함께 제고됨

○ 문화적 공간에서 지역 창의력 형성, 그 공간적 기반을 마련하는 핵심 공간으로서 역 할 수행

□ 협력과 네트워크

○ 레지던시 입주의 의미는 ‘물리적 작업 공간 확보 및 비용 절감’보다 동향, 분위기 등을 빠르게 배울 수 있고 작가간 교류가 자연스럽게 발현되기 때문으로 변화

○ 경기창작센터의 문화예술 창작 역량을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한 확산 도모 필요

□ 융복합

○ 장르별 구분을 넘어 창작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 전반을 아우르는 집합적 의미

(2) 지역 연계

□ 상생

○ 창작공간은 작가에게는 창작의 용이함을, 지역주민에 문화향유 기회 증대 제공 가능

○ 일방적 지원, 단순 지원이 아닌 작가, 경기창작센터 그리고 지역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 필요

□ 공공성

○ 창작센터는 예술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함께 도모

○ 창작센터는 창작 진흥을 위한 공적 공간으로서 문화시설이 아닌 지역사회 문화생태 환경구축을 위한 거점으로 역할

□ 지속가능

○ 창작공간은 끊임없이 유동하고 생성되고 소멸하고 변화하는 공간이어야 함

□ 협력과 네트워크

○20세기 예술이 자신의 결과물이었다면 21세기 예술은 관계와 개입을 통한 협력의 산 물임

○ 작가간 교류를 통해 작가의 작업적 정체성을 공고히 하며 높은 예술성과 독창적 작품 제작 환경 제공

□ 장소성

○ 창작공간은 지역성, 장소성, 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이나 일상의 거주성이 중심테마로 설정되기도 하고 지역을 기반으로 과거 산업화의 산물들을 문화와 예술 등의 단어로 치환, 새로운 장소성 획득 모색 가능

문서에서 경기창작센터 활성화 방안 (페이지 141-16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