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9 장. 집단의 과제수행 (Group Performan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9 장. 집단의 과제수행 (Group Performance)"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9 장. 집단의 과제수행 (Group Performance)

1. 생산성

2. 사회촉진 3. 사회태만 4. 집단에서의 정체성

과정이 개인의사결정 과정과 다르듯이 주어진 과제를 혼자 수행할 때에 비해서 집단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여러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수행하게 될 경우에 동기 나 수행 결과에 있어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예) 줄다리기에서는 인원수가 많은 팀이 승리할 가능성이 크고, 교실 청소는 혼자 하 는 것보다 여러 명이 나누어 하면 더 일찍 끝난다. 그러나 바둑을 둘 때 여러 명의 초 보자들이 합심해도 유단자 한 명을 이기지 못한다.

1. 집단 생산성

집단은 개인보다 더 효율적인가?

집단의 실제 생산성 = 집단의 잠재적 생산성 - 과정 손실

- 집단과정(group process)

집단구성원들의 모든 개인적 또는 집합적 행위. 자원을 투입하여 성과물을 얻어내는 행위는 물론이고 좌절, 경쟁심 또는 몰이해 등으로 인해서 촉발되는 비생산적 행위들까 지 모두 포함한다. 집단의 과정이 적절하면 집단의 실제 생산성은 잠재적 생산성에 근접 하게 된다.

- 과정 손실(process loss)

집단구성원들이 지닌 자원을 결합하는 과정상의 결함에서 생기는 생산성의 감소를 의 미한다. 집단이 과제 수행에 필요한 자원들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하더라도 자원들을

(2)

결합하고 운용하지 못하면 실제 생산성은 떨어진다.

과정 손실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① 조정 손실(coordination loss) - 각 구성원들이 지닌 자원을 종합하고 활용하는데 서 생기는 손실.

② 동기 손실(motivation loss) - 집단구성원들이 과제에 최선을 다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손실.

(1) 과제 유형과 집단 생산성

집단이 어떤 유형의 과제를 수행하느냐에 따라서 생산성은 달라진다. Steiner(1972)는 집단이 수행하는 과제를 집단구성원의 개인별 성과를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4가지 유형 으로 구분하였다.

① 가산과제(additive task)

구성원 개인별 노력의 합이 집단 생산성이 되는 과제.

(예) 트럭에 적재된 물건을 내려 창고에 쌓는 일, 운동장에 떨어진 쓰레기 줍기.

이 과제를 수행할 때는 조정 손실과 동기 손실이 모두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집단 수행은 대체로 한 개인의 수행보다 더 우수하며, 집단의 규모가 클수록 생산적이다.

② 결합과제(conjunctive task)

모든 구성원이 일정한 수행 수준에 도달해야 집단 전체가 성공하거나 생산성이 높아 지는 과제.

(예) 스파이들의 적진 침투. 분업화 공장의 조립 라인에 있는 근로자들.

따라서 결합과제에서 집단 생산성은 가장 열등한 구성원의 능력과 일치할 수밖에 없 으며, 유능한 구성원들의 동기 손실이 발생한다.

③ 분리과제(disjunctive task)

결합과제와 반대로 집단에서 단 한 명의 구성원만 성공하면 집단 전체가 성공하게 되 는 과제.

(예) 퀴즈 대결을 벌이는 두 팀.

분리과제에서 집단수행은 가장 유능한 구성원의 능력에 좌우되며, 따라서 무능한 구성 원들은 유능한 구성원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어 동기 손실의 가능성이 크다.

④ 자유재량과제(discretionary task)

(3)

도달하는 수단이나 과제수행 방법에 구애받지 않는 과제. 다시 말하면, 여 러 가지 대안들 중에서 집단이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과제이다.

(예) 산악회에서 어디로 산행을 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안 이 과제에서는 구성원들의 조정 손실이 문제가 될 수 있다.

2. (social facilitation)

타인(들)의 존재가 개인의 수행을 향상시키는 현상.

(예) Triplett(1898)의 연구 - 사이클 선수들이 단독일 때보다 여러 선수가 함께 경쟁 하면서 트랙을 돌 때 기록이 더 빠르다는 점을 발견. 그 후 실험실에서 아동들에게 낚싯 줄을 최대한 빨리 감도록 지시한 결과, 혼자서 과제를 수행한 아동들에 비해서 다른 아 동들과 함께 집단으로 과제를 수행한 아동들이 낚싯줄을 더 빨리 감았다.

이 현상은 타인들이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공동행위자일 때도 나타나고, 타인들이 행위자를 관찰하는 관중이거나 단순히 행위자 옆에 있기만 해도 나타난다.

그러나 타인의 존재가 오히려 수행을 방해하는 결과도 나타났다(사회억제, social inhibition). 여러 연구에서 타인이 함께 있을 때 무의미 철자의 학습, 미로 찾기 그리고 복잡한 곱셈문제 풀기와 같은 과제에서 개인의 수행 효율성은 떨어졌다.

(1) Zajonc의 추동이론(drive theory, 1965)

이러한 상반된 결과들을 한데 묶을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

즉,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추동 수준을 증가시키며, 추동이 증가하면 우세 반응이 촉 진된다. 우세 반응이란 생득적이거나 잘 학습된 반응을 의미하며 수행 상황에서 다른 잠 재적인 반응들보다 더 쉽게 발생한다. 반면에 열세 반응은 이전에 해보지 않았거나 드물 게 해 본 반응으로서 수행 상황에서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즉, 개인이 수행하는 과제가 쉽고 단순한 과제라면 정반응이 우세 반응이기 때문에 정 반응이 더 많아지는 사회촉진이 나타나고, 반면에 수행 과제가 어렵고 복잡한 과제라면 오반응이 우세 반응이기 때문에 오반응이 더 많아지는 사회억제가 나타난다(그림 9-1 참조).

(예) Bond와 Titus(1983) - 사회촉진에 관한 241개의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타인의 존재는 단순한 과제에서 수행의 질은 향상시키지 않으나 수행의 양은 증가시키며, 복잡 한 과제에서는 수행의 양과 질이 모두 떨어진다고 결론을 내렸다.

(4)

( ) Micheals, Bloommel, Brocato, Linkous와 Rowe(1982) - 네 명의 관찰자가 포 켓볼에 열중인 대학생들을 그들이 눈치 채지 않도록 멀리서 관찰한 다음 가까이 접근하 여 경기를 관람하였다. 실력이 좋은 학생들은 관찰자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의식하지 못 했을 때 비해서 관찰자가 바로 곁에 있을 때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나(71% → 80%), 초 보자들은 정확도가 떨어져서(36% → 25%) 추동이론을 지지하였다.

(예) 스포츠나 연주회에서 노련한 선수들은 대규모 관중 앞에서 평소 실력 이상의 능 력을 발휘하지만 신인 선수들은 반대로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2) 사회촉진의 원인

추동이론은 타인의 존재가 왜 사람들로 하여금 추동을 증가시키는가 하는 점에 대해 서는 명쾌한 설명을 못하였는데, 이에 관해 현재 몇 가지 견해가 대립되어 있다(한덕웅, 1995; Geen, 1989).

① 평가 우려

집단상황에서는 타인들이 자신의 수행을 평가할 것이라는 걱정, 즉 평가 우려가 생기 는데 이것이 추동을 증가시킨다(Cottrell, 1972). 즉, 타인이 개인의 수행을 평가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사회적 촉진이 일어난다.

(예) Worringham & Messick(1983) - 조깅하는 사람들은 한 여성이 잔디에 앉아있 는 지점을 통과할 때 속도를 더 높였는데, 그 여성이 뒤로 돌아 앉아 있을 때보다 달리 는 사람을 쳐다보고 있을 때 더욱 빨리 달렸다

② 주의분산/갈등

타인이 있으면 수행하는 과제에 집중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주의가 분산되게 된다. 과 제에 주의하는 일과 타인들에게 주의하는 일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 개인은 인지적 과부 하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추동을 촉발하게 된다.

한편, 타인이 존재하면 수행증가노력을 하게 되는데, 단순과제에서는 타인의 존재로 인한 방해효과가 노력의 증가로 인한 수행 향상에 비해 미미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 행이 촉진된다. 그러나 복잡한 과제에서는 노력 증가로 인한 효과가 주의분산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억제가 나타난다.

③ 단순 존재

Zajonc(1965)의 주장으로서 사람들은 평가우려나 주의분산이 없이 타인이 그냥 옆에 있기(mere presence)만 해도 추동이 일어나는 생득적인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5)

④ 동기

이상의 세 가지 설명과는 달리 (self-presentation theory)은 추동의 개 념을 배제하고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기본 가정은 인간이 타인들에게 가장 바람직한 자기상을 제시하고 좋은 인상을 심어 주려고 한다는 것이다(Schlenker, 1980). 관찰자들 혹은 공동행위자들이 있게 되면 자 기제시의 기회가 되기 때문에 수행자는 더 열심히 과제를 수행하고자 동기화 된다. 이때 쉽거나 잘 학습된 과제에서는 실패확률이 낮으므로 자기제시 동기가 유발되면 수행이 증진될 수 있으나, 어렵거나 생소한 과제에 있어서는 실패공포가 커서 당황하게 되어 오 히려 수행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참조

관련 문서

캡스톤디자인 과제수행

캡스톤디자인 과제수행

사촌이 논을 사면, 개인 차원에선 손해를 보는 사람이 없 지만, 집단의 구조에서 부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집단의 구조를 더 중요시하면 사촌에게 논을 사지 못하도록

Candida spp.에 의한 내성발현은 micafungin group 18명(9%), liposomal amphotericin B group 16명(9%)으로 보였으며, 치료 후 12주 동안의 candida 재감염 은 micafungin group에서 7명,

But a judicial control of the Commission's discretionary powers confronts critical limit as the Commission applies economic theories or its own

프랑스 행정부에서 임명 행정부에서 임명 사법적 기능이 있는 독립된 법원 네덜란드 행정부와 의회에서 임 명. 행정부 내

사분위간 범위 : 최대와 최소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로 범위산정, 이를 산포의 척도로 iii.. 첨도 : 분포가 중심근처에서 퍼져있는 정도를 측정,

특히 간 절제술과 간이식을 맡고 있는 외과 왕희정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혈액형이 다른 간이식을 성공한 데 이어 간이식 수술을 통해 혈우병과 간암을 동시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