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피부 전이를 보인 폐암 환자 10예의 임상적 특징 원자력 의학원 내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피부 전이를 보인 폐암 환자 10예의 임상적 특징 원자력 의학원 내과"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S 830 -

― S-167 ―

피부 전이를 보인 폐암 환자 10예의 임상적 특징

원자력 의학원 내과1, 피부과2, 병리과3

*노금엽1, 김현태1, 박수철1, 임경진2, 고재수3, 김혜련1, 김철현1, 이재철1

폐암 환자에서 피부 전이는 다른 기관으로의 전이보다 흔하지 않지만, 피부 전이를 보이는 암 중에서는 폐암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2000 년에서 2006년 사이에 원자력 의학원에서 폐암 진단받은 환자 4,385명을 조사하여 이 중 10명(0.2%)이 피부 전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0명 중 9명에서 결절형 피부 전이를 보였으며, 1명만 폐암 환자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는 경피양 피부 전이를 보였다. 피부 전이를 보인 환자 들 중에서는 편평세포 암종이 많았으며, 754명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는 피부 전이를 보이지 않았다. 10명 중 4명에서는 폐암 진단 당시 피부 전이가 있었으며, 2명에서는 폐암 수술 후 피부 증상으로 재발을 진단하였다. 폐암 진단 후 피부 전이가 발생하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16.3 개월이었다. 피부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모두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율이 8.5 개월이었다. 시기를 놓치지 않고 폐암의 적절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피부 전이의 다양한 임상 양상 및 예후에 대해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 S-168 ―

흉부 가성대동맥류 스텐트 삽입술 후 발생한 대동맥 축작증 1예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1, 진단방사선과학교실2

*박진경1, 문희1, 한효진1, 이민희1, 정치량1, 김소리1, 박성주1, 이용철1, 이양근1, 곽효성2, 한영민2, 이흥범1

서론: 대동맥 축작증(Coarctation of aorta)은 동맥관(Ductus arteriosus)이 부착되는 인접부위 상부하행대동맥이 압력 차를 형성할 정도로 좁아 진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선천성으로 발생하나 매우 드물게는 다가야스 동맥염(Takayasu`s Arteritis)이나 심한 동맥경화증에 의해 후천적으 로 발생하기도 한다. 진찰소견상 수축기 혈압이 상지에서는 높고 하지에서는 낮은 것이 특징이다. 저자들은 흉부 가성대동맥류에 대한 치료 로 스텐트 삽입술 후 스텐트 이동 및 변형에 의해 대동맥 축작증이 발생하여 추가 스텐트 삽입으로 성공적으로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82세 남자로 3일전 발생한 호흡곤란, 기침, 발열로 내원하였다. 20년전부터 당뇨로 약물 치료중이었다. 내원시 체온 38도, 맥박 80회/분, 혈압 170/60 mmHg였다. 가슴 X선 결과 좌상부에서 큰 종괴가 의심되어 촬영한 가슴전산화컴퓨터단층촬영 결과 대동맥 궁 주위에 3*2.5cm 크기의 대동맥류낭이 의심되었고 그 주변으로 혈종이 차 있었으며 좌상부에 폐렴 및 양측 흉수가 확인되었다. 심초음파 결과 중등도의 퇴행성 대동맥 판막 협착증 외에 특이소견은 없었다. 고령 및 전신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술에 따른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되 어 흉부 가성대동맥류에 대해 스텐트 삽입술을 시도하였다. 대동맥 조영술상 대동맥궁에 2.7*2.0cm의 대동맥류낭이 확인되어 병변부위에 직경 34mm, 길이 115mm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삽입후 스텐트 원위부에서 대동맥류낭으로 약간의 조영제 누출이 확인되어 두번째 스텐 트 삽입을 시도하였으나 첫번째 스텐트가 근위부로 이동하면서 변형이 생겨 시술을 중단하였다. 시술 후 환자는 지속적으로 상지와 하지에 서 측정한 수축기 혈압의 차가 60 mmHg이상으로 측정되어 대동맥 축작증 의심하에 대동맥 조영술을 재시행하였다. 조영술상 대동맥류낭은 보이지 않았으나 이전에 삽입한 스텐트의 원위부 끝부분이 내부로 말려들어가 대동맥 협착이 발생한 상태로, 협착 부위의 근위부와 원위부 에서 측정한 혈압은 각각 166/60 mmHg, 93/57 mmHg였다. 협착 부위에 새로운 스텐트 삽입후 풍선 확장을 시행하였고 혈압차는 즉시 소실 되었다.

참조

관련 문서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 was the most frequent (7/24 cases) pathogen, which were detected in cultures from five of seven patients with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118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asthma who visited the Allergy Clinic of Ajou University

저자들은 우측 측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58세 남자에 서 신세포암 의심 하에 근치적 신적출술 후 병리조직검사 에서 원발성 신장 림프종으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저자들은 임신 11주에 막성신증후군을 진단하고 면역억제제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출산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장조직검사에서 막성

절단되었던 가이딩카테터의 일부를 가위로 자른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유도초를 재삽입하고 사용되었던 풍선카테터 및 0.014 ″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하여 관동맥성형술 및 스텐트

이에 대장내시경에서 우연히 발견 된 직장의 점막하종양을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과립세포종으로 진단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증례: 51세 남자

하지 만, 스텐트의 개수가 많은 등 스텐트 혈전증의 위험 성이 높거나, 스텐트 위치가 근위부(proximal)로서 스 텐트 혈전증 발생시 매우 위험한 경우에는 약제 중 단에 있어

기존에 알고 있는 증후군과 노인증후군의 차이점은 기존의 증후군은 하나의 원인이나 기여인자에 의하여 여러 개의 다 양한 증상이 발현되지만, 노인증후군의 경우 복수 이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