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Wome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1006-1011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최근 우리나라의

30

세 이상 여성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1998

6

.

3

%에서

2005

10

.

4

%,

2012

13

.

1

%로 지속적으로 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1) 또한 생활양식과 식습관의 변화로 고중성지방 혈증을 포함한 대사증후군 및 이로 인한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유병 률 또한 증가 추세이며 특히 당질 위주의 식사를 하는 성인 여성의 경우 저지방 고당질 식사에 의해 고중성지방혈증이 운동부족과 스 트레스의 증가와 더불어 심각한 건강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다.2,3) 고중성지방혈증은 이상지질혈증의 진단기준 중 하나이며 이상지질 혈증이 있는 대부분은 대사증후군을 동반하고 있다.4) 과거에는 높 은 콜레스테롤에 의한 고지혈증이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인자임이 세

7

개 나라를 대상으로 한 연구

5

)를 포함한 많은 연구들에서 증명 되었다. 하지만 고지혈증이라는 용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증 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높은

LDL

(

Low Density Lipoprotein

) 콜레 스테롤만을 지칭하는 한계가 있어왔으며, 최근에는 이것 이외에도

small dense LDL

, 고중성지방혈증 또는 낮은

HDL

(

High Density Lipoprotein

) 콜레스테롤 등이 동맥경화증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밝 혀져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

)이라는 용어가 더 타당하게 되었 다.6) 이와 같이 높은 중성지방혈증은 이제 그 자체 만으로 건강을 위 협하는 독립적인 요소로 존재하는 것이다.

1962

년에

Leevy

7)에 의해

270

예의 비알콜성 지방간의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독립적인 임상질환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비알콜성 지방간이 임상적으로 비만,8, 9,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과의 관계

주진용, 조성훈, 장용희, 안영준, 한승헌

*

대림성모병원 가정의학과

The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Women

Jin-Yong Ju, Song-Hun Cho, Yong-Hee Jang, Young-Jun Ahn, Seung-Heon Ha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aerim Saint Mary's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 Recently, the diagnosis of hypertriglyceridemia has become more frequent as the number of female examinees visiting health screening centers has been on the rise. In this study, we aim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riglycer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Methods: 846 healthy, asymptomatic women who were examined in the health screening center of Daerim Saint Mary's Hospital in 2014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ages ranged from 20 to 59 years old and all of them underw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aboratory examination and abdomin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e perform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hypertriglyceridemia.

Results: The prevalence of hypertriglyceri demia was 15.72%. Body mass index,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fasting glucose were higher among the subjects with hypertriglyceridemia than the control. The prevalence of obesity, impaired fasting glucose/diabetes mellitu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as higher in the hypertriglyceridemia group. The prevalence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as 28.60%, which was higher in the hypertriglyceridemia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Hypertriglyceridemi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besity.

Keywords: Hypertriglycer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Obesity, Diabetes mellitus, Cholesterol.

Received February 26, 2015 Revised September 29, 2015 Accepted September 30, 2015 Corresponding Author Seung-Heon Han

Tel: +82-2-829-8350, Fax: +82-2-829-9320 E-mail: surgeonx1@naver.com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주진용 외.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10)

2

형 당뇨병,8, 11-13) 이상지질혈증 11-13)등의 대사성 질환과 관련 되어 있으며, 동시에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14, 15)

1999

Cortez

-

Pinto

16)

Marchesini

14)은 비알콜

성 지방간을 대사 증후군(

metabolic syndrome

)의 한 요소로 인정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서양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과 인슐 린 저항성의 연관성에 대한 몇몇 연구가 이루어졌고14, 17-19) 근래 우 리나라에서도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탄수화물 과잉 섭취 및 신체활동 부족 등으로 비만과 고중성지방혈 증의 유병률이 증가 추세 이고 이에 따라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 률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근래 검진센터 이용률의 증가 와 함께 복부 초음파가 널리 시행되면서 지방간의 발견율이 점차 증 가하고 있고, 실제로 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방간이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과 함께 비만 유무에 따른 비알콜성 지방간과 고중성지방혈증의 연관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센터를 찾는 성인 여성에 서 비비만의 고중성지방혈증 유병률과 비만정도 및 비알콜성 지방 간과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였다. 고중성지방혈증과 비만 및 지방간 과의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음주와 흡연등 기타 다른 요 인들의 영향을 배제한 후 표본이 큰 성인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정 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서울 대림 성모병원 종합검진센터에서

2014

1

월부터

2014

12

월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20

세 이상

59

세 이하의 성인 여성

2961

명을 연속 추출하여 이 중 자료기입이 잘 되어 있지 않은 사람,

HBs

항원 또는

HCV

항체 양성인 사람, 하루

20g

이상의 음주력이 있는 사람, 최근

1

년간 간독성 약물을 복용한 적이 있는 사람

2115

명을 제외하고 최종

846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1) 신체 계측 및 혈액검사

자동 측정기를 이용하여 키, 몸무게를 측정하고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누어서 체질량 지수

BMI

(

Body Mass Index

,

kg

/

m

2)를 계산하였다. 아시아 성인을 위한 “

WHO Asia

-

Pacific guideline

”을 기준으로

BMI

25

.

0

인 경우는 비만(

obesity

),

23

.

0

BMI

<

25

.

0

인 경우는 과체중(

overweight

),

18

.

5

BMI

<

23

.

0

인 경우는 정상체 중(

normal weight

)으로 분류한다.20)

혈액 검사는

12

시간 이상 금식을 확인한 후 공복 상태에서 정맥 혈을 채혈하여 공복 혈청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

단백,

HBsAg

(+)를 자동분석기로 측정하였다.

2) 비알콜성 지방간의 진단

복부 초음파 검사는 경험 있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초음파 소견 상 횡격막과 동등한 정도 이상의

echo

강도를 보이는 ‘

bright liver

’소견이 있는 경우에 지방간으로 진단하였으며 음주력이

1

주일

40g

이하이면서 복부 초음파상에서 지방간의 소견을 보인 경우 를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정의하였다.21)

3) 고중성지방혈증,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 당대사 이상의 정의

고중성지방혈증에 대해서는 중성지방이

150mg

/

dl

이상인 경우 또는 이미 진단을 받고 지질 강하제를 복용 중인 자로 정의하였고,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은

50mg

/

dl

미만(여성에서의 기준)인 경우로, 당대사 이상은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거나 공복혈당이

110mg

/

d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22)

4) 통계분석

대조군과 고중성지방혈증군의 비교 시 연속변수의 평균치의 비 교는

Student

s t

-

test

로 하였고,

Chi

-

square test

를 이용하여 두 군 에서의 비만, 고혈당, 고콜레스테롤혈증,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 및 지방간의 유병률을 알아보았다.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대사 인자들에 대해 단변량 분석을 먼저 시행한 후 의미 있게 나온 변수들 중에서 대사증후군 의 구성요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혼란 변수 들을 고려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을 시행하여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비만 유무에 따른 환 자-대조군의 지방간의 유병률 차이는 비만과 고중성지방혈증의

interaction term

을 넣어 시행한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 검증 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평균±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학적인 분 석은

Window

SPSS ver

.

22

.

0

(

SPSS Inc

.,

Chicago

,

IL

,

USA

)을 사용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성은 유의수준이

0

.

05

이하인 경우로 하 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체 대상자들의 나이, 혈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 도지단백, 공복혈당 및 체질량지수는

Table 1

과 같다. 평균나이

45

.

51

±

9

.

69

(

yr

), 혈중 중성지방은

97

.

58

±

62

.

43

(

mg

/

dl

), 총 콜레스테롤은

196

.

25

±

34

.

89

(

mg

/

dl

), 고밀도지단백은

56

.

26

±

12

.

36

(

mg

/

dl

), 공복혈당은

95

.

77

±

18

.

61

(

mg

/

dl

), 체질량지수는

(3)

Jin-Yong Ju, et al. The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2

.

55

±

3

.

22

(

kg

/

m

2)이었다.

2.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 및 대사적 특징

전체

846

명 중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133

명으로

15

.

72

%였 고,

20

세 이상

40

세 미만의 연령군에서 보다

40

세 이상

60

세 미만의 연령군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6

.

99

%

vs 18

.

96

%,

P

<

0

.

001

).

고중성지방혈증과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복부 초음파상 지방간 의 유병률이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체질량 지수 등의 신 체계측치 또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액 대사 인자 분석 에서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수치 등이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 다. 그리고 고밀도 지단백은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의미 있게 더 낮 았다(

P

<

0

.

001

,

Table 2

).

비만(

BMI 25kg

/

m

2 이상)인 수진자를 제외한 총

680

명 중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84

명으로

12

.

35

%였다. 또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지방간의 유병률이 환자군에 서 유의하게 더 높았고, 고밀도 지단백은 유의하게 더 낮았다. 비비 만군 에서도 특히 지방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P

<

0

.

001

).

3. 대조군과 고중성지방혈증에서 비만, 당대사 이상, 지방간,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비교

Chi

-

square test

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고중성지방혈증군에서 각 각 비만, 당대사 이상, 지방간,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 고콜레스테 롤의 유병률을 비교하였는데, 모든 지표가 고중성지방혈증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았다(

P

<

0

.

001

). 특히 당대사 이상과 지방간의 유병 률은

2

.

5

배 이상 차이가 났으며, 저 고밀도 지단백혈증 및 비만은 환자군에서 대조군의 약

2

배,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약

1

.

5

배의 유병 률을 보였다(

Table 2

).

4. 지방간의 유병률

전체

846

명 중 지방간을 가진 수진자는

242

명으로 그 유병률은

28

.

60

%였다. 고중성지방혈증군과 대조군에서 지방간의 유병률은 각각

57

.

89

%와

23

.

14

%로 고중성지방혈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

P

<

0

.

001

,

Table 2

). 또한 비만군(

BMI

25kg

/

m

2)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결과, 비만군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이 있는 환 자군이 대조군보다 지방간의 빈도가 더 높았고(

79

.

59

%

vs 52

.

99

%,

P

<

0

.

001

), 비비만군에서도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군이 지방간의 빈도가 훨씬 높았다(

45

.

24

%

vs 17

.

28

%,

P

<

0

.

001

,

Figure 1

). 따라 서 비만 유무에 상관없이 대조군보다 고중성지방혈증군에서 지방 간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5.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의 연관성에 대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고중성지방혈증의 교차비를 구하기 위 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기분석을 시행한 결과, 교차비가

3

.

245

(

95

%

C

.

I

.

1

.

434

~

7

.

682

)로 고중성지방혈증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지방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s(n=846)

Variable Value*

Age(yr) 45.51± 9.69

Triglyceride(mg/dl) 97.58± 62.43

Total cholesterol(mg/dl) 196.25± 34.89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mg/dl) 56.26± 12.36

Fasting blood sugar(mg/dl) 95.77± 18.61

Body mass index(kg/m2) 22.55± 3.22

* Th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Table 2. Comparison of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subjects with hypertriglyceridemia(mean±SD, n=846)

Controls (n= 713)

Hypertriglyceridemia (n= 133) P-value* Age(yr)

mean± SD 44.67± 9.84 50.06± 7.33

<0.001

High TC(≧150mg/dl) mean± SD

n= 280(39.27%) 193.09± 33.98

n= 80(60.15%) 213.18± 34.95

<0.001

Low HDL-C(<50mg/dl) mean± SD

n= 176(24.68%) 57.93± 12.20

n= 81(60.90%) 47.33± 8.95

<0.001

High FBS(≧110mg/dl) mean± SD

n= 52(7.29%) 93.94± 15.24

n= 29(21.80%) 105.57± 29.12

<0.001

High BMI(≧25kg/m2) mean± SD

n= 117(16.41%) 22.21± 3.02

n= 49(36.84%) 24.35± 3.65

<0.001

NAFLD n= 165(23.14%) n= 77(57.89%) <0.001

Abbreviations: TG, triglyceride;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BS, fasting blood sugar; BMI, body mass index; NAFLD,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P-values are calculated by Student’s t-test and chi-square test.

Figure 1. P-value(<0.001) is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of prevalence of fatty liver diseases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obesity is verifi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interaction term

(4)

주진용 외.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간을 가질 위험이

3

.

2

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

6. 고콜레스테롤증 유무에 따른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

전체

846

명 중

200

(

mg

/

dl

)이상의 높은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보 인 수진자는

360

명으로

42

.

54

%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이들 중

127

명은 지방간 소견을 보여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군 에서 지방간은

35

.

28

%의 유병률을 보였고,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인

486

명의 대조군 중에서는

114

명이 지방간 소견을 보여

23

.

46

% 지방간 유병 률이 나타났다.

7. 비만 유무에 따른 중성지방 값의 비교

전체

846

명 중

BMI 25

(

kg

/

m

2) 이상의 비만 환자는

166

명으로 비만 유병률은

19

.

62

%였으며 이 중 고중성지방혈증을 보인자는

49

명으로 비만환자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29

.

52

%로 나타났 다. 정상 체중은

680

명 이었으며 이 중 고중성지방혈증을 보인자는

84

명으로 정상 체중을 가진 수진자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 은

12

.

35

%로 나타났다.

고 찰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자 중

20

세에서

59

사이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이

15

.

72

%로 나와 최근 국내에서의 유병률 통계1)와 비슷한 결과를 보 였다. 또한 비만하지 않은 수진자 중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 이

12

.

35

%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만 이외의 다른 원인들과 고중성 지방혈증의 관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고중성 지방혈증 환자군의 분석에서 기타 다른 이상지질혈증 수치와도 연 관이 있었지만, 특히 당대사 이상과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에서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것은 이미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험인자 로 알려진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중 에서도 고중성지방혈증 이 그 자체 만으로도 비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독립적인 유발인자로 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식습관을 포함 한 생활습관과 인종적, 유전적인 인자가 비알콜성 지방간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결과로 생각된다.23-25)

Misako

23)은 지방간이 있는 군이 지방간이 없는 대조군에 비하여 탄수화물 섭취가 더 많았 으며, 탄수화물 섭취를 줄인 후 지방간이 호전되는 양상을 관찰하

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식습관이 고중성지방혈증의 빈도를 높여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 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아직 서양 보다 비만 인구가 적 은 우리나라에서 식습관은 고중성지방혈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의 위험인자로서 중요성이 크다고 하겠다.26)

본 연구에서는 총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고밀도 지단백 및 비알 콜성 지방간 등을 포함한 모든 수치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 며, 비만인 수진자를 제외한 후에도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관찰 하였다.

Assy

27)의 연구에 의하면 고콜레스테롤혈증보다 고중성 지방혈증이 비알콜성 지방간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보고된 바 있는 데, 본 연구에서도 고콜레스테롤혈증 보다 고중성지방혈증에서 지 방간의 유병률이 더 큰 차이로 높았다. 또한 비만군을 제외한 후에 도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큰 차이를 보여,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게 서 고중성지방혈증이 비알콜성 지방간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역할 을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비만군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대사 인 자의 특징이나 대사 증후군의 빈도에서 거의 일치된 소견을 보였 다. 최근 비만하지 않으면서 고중성지방혈증을 가진 사람에게서, 어떤 유전자적 요인으로 인한 간손상이 지방간과 대사증후군을 유 발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28)

Foster

29)

Dixon

30) 의하면 전체 지방량 자체보다는 지방의 분포가 이상지질혈증과 더 연관성이 높고, 그중에서 중성지방이 인슐린 저항성, 공복 고혈당, 중심성 비만과 연관성이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만군을 포 함했을 때와 제외했을 때 모두 환자군에서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 률이 큰 차이로 높았는데, 이는 중성지방이 비알콜성 지방간과 대 사증후군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앞 으로, 이상지질혈증, 식습관, 중심성 비만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 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은 비알콜성 지방간과 밀접한 연관 성이 있으며 지방간의 또 다른 하나의 독립적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상에서 고중성지방혈증 환자를 접하게 되면 비비만인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비알콜성 지방간의 가능성을 고려 하여 적절한 평가와 함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종합병원을 방문한 종합검진 수검자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평소 본인 건강에 관심을 많이 가지는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는 선택 편견의 가능성과 알코올 섭취 등에 대한 병력 조사가 직접 대면이 아닌 설문지를 통한 간접 조사였다는 점, 자가 면역성 간염 또는 근육질환으로 인한 간 손상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Table 3. Odds ratio of hypertriglyceridemia for NAFLD Risk factor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P-value

Hypertriglyceridemia 3.245 1.434~7.682 0.014

* Odds ratio is calcul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ag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NAFLD: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5)

Jin-Yong Ju, et al. The Association of Hypertriglyceridemia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y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요 약

연구배경: 최근 비비만의 건강한 성인 여성들에서 건강검진 검사율 이 증가하면서, 고중성지방혈증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사증후군, 비만, 제

2

형 당뇨병과 연관성이 잘 알려진 고중성지방 혈증의 대사적 특징을 알아보고, 비알콜성 지방간과의 연관성을 분 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

1

월부터

2014

12

월까지

12

개월간 일개 종합병원의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0

세에서

59

세 사이의 성인 여성 중 신체 계측, 혈액 검사, 복부 초음파를 모두 실시한

846

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먼저,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 및 비만, 당대사 이상, 비알 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비 알콜성 지방간에 대한 고중성지방혈증의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결과: 고중성지방혈증의 유병률은

15

.

72

%였고, 이들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체질량 지수, 총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치가 의미 있 게 높았으며 고밀도 지단백은 의미 있게 낮았다. 또한 환자군에서 비만, 당대사 이상,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이 더 높았다. 비알콜 성 지방간의 전체 유병률은

28

.

60

%였고 비만군과 비비만군에서 고 중성지방혈증이 있는 경우 비알콜성 지방간의 유병률이 높았다.

결론: 고중성지방혈증은 비만 유무에 상관없이 비알콜성 지방간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중심단어: 고중성지방혈증, 비알콜성 지방간, 비만, 당대사 이상, 고밀도 지단백, 총콜레스테롤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KOSI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5 Jan 26].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2. Isik Son. Hyperlipidemia with hypertension and without hypertension. Medical association of Republic of Korea 1975; 18:

345-54.

3. Geumsu Bak, Unggu I, Seungyeon Jo, Wonheum Sim, Namsik Jeo, Yangsu Jang, et al. A study on the dynamics of clot and serum lipids in hyperlipidemic Korean ischemic heart disease and pre cerebral thrombosis. Journal of Medicine 1980; 23: 571.

4.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Family medicine. 4th ed.

Seoul: Jin express; 2013. p. 1084.

5. Verschuren WM, Jacobs DR, Bloemberg BP, Kromhout D, Menotti A, Aravanis C, et al.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ong-term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different cultures. JAMA 1995; 274: 131-6.

6.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Family medicine. 4th ed.

Seoul: Jin express; 2013. p. 1072.

7. Leevy CM. Fatty liver: a study of 270 patients with biopsy proven fatty liver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1962; 41: 247-76.

8. Wanless IR, Lentz JS. Fatty liver hepatitis (steatohepatitis) and obesity: an autopsy study with analysis of risk factors. Hepatology 1990; 12: 1106-10.

9. Eriksson S, Eriksson KF, Bondesson L.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obesity: a reversible condition. Acta Med Scand 1986; 220: 83-8.

10. Kisuk Yoon, Seungho Baek, Eunsu Sin, Heasun Bak. Risk factors related to NAFLD.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 18:

1426 -35.

11. Powell EE, Cooksley WG, Hanson R, Searle J, Halliday JW, Powell LW. The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follow- up study of forty-two patients for up to 21 years. Hepatology 1990;

11: 74-80.

12. Lee R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study of 49 patients. Hum Pathol 1989 ; 20: 594-8.

13. Bacon BR, Faragvash MJ, Janny CG, Neuschwander-Tetri BA.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 espanded clinical entity.

Gastroenterology 1994; 107: 1103-9.

14. Marchesini G, Brizi M, Bianchi G, Tomassetti S, Bugianesi E, Lenzi M, et al.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2001; 50: 1844-50.

15.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et al.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 107: 450-5.

16. Cortez-Pinto H, Camilo ME, Baptista A, De Oliveira AG, De Moura MC. Non-alcoholic fatty liver: another feature of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1999; 18: 353-8.

17.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et al.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 107: 450-5.

18. Marceau P, Biron S, Hould FS, Marceau S, Simard S, Thung SN, et al. Liver pathology and the metabolic syndrome X in severe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1999; 84: 1513-7.

19. Yongseong Kim.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002; 17: 460-4.

20.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21. Saverymuttu SH, Joseph AE, Maxwell JD. Ultrasound scanning in detection of hepatic fibrosis and steatosis. Br Med J 1986; 292: 13-5.

22. NHLBI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Ⅲ). JAMA 2001; 285: 2486-97.

23. Okita M, Hayashi M, Sasagawa T, Takagi K, Suzuki K, Kinoyama S, et al. Effect of a moderately energy-restricted diet on obese patients with fatty liver. Nutrition 2001; 17: 542-7.

24. Morimoto M, Hagbjörk AL, Nanji AA, Ingelman-Sundberg M, Lindros KO, Fu PC, et al. Role of cytochrome P4502E1 in alcoholic liver disease pathogenesis. Alcohol 1993; 10: 459-64.

25. Drenick EJ, Simmons F, Murphy JF. Effect on hepatic morphology of treatment of obesity by fasting, reducing diets and small-bowel bypass. N Engl J Med 1970; 282: 829-34.

(6)

주진용 외. 일개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고중성지방혈증과 비알콜성 지방간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6. Suyeon Kim, Gyeongwon Sim, Hongsu Lee, Sanghwa Lee, Hyerim Kim, Yeonga O. The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Metabolic Syndrom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 28: 671.

27. Assy N, Kaita K, Mmin D, Levy C, Rosser B, Minuk G. Fatty infiltration of liver in hyperlipidemic patients. Dig Dis Sci 2000; 45:

1929-34.

28. Day CP, James OF. Steatohepatitis: a tale of two “hits”?.

Gastroenterology 1998; 114: 842-5.

29. Foster CJ, Weinsier RL, Birch R, Norris DJ, Bernstein RS, Wang J, et al. Obesity and serum lipids: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body fat and fat distribution to lipid levels. Int J Obes 1987; 11(2): 151-61.

30. Dixon JB, O'Brien PE. Lipid profile in the severely obese: changes with weight loss after lap-band surgery. Obes Res 2002; 10(9):

903-10.

수치

Table 2. Comparison of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subjects with  hypertriglyceridemia(mean±SD, n=846) Controls  (n= 713) Hypertriglyceridemia (n= 133) P-value * Age(yr) mean± SD 44.67± 9.84 50.06± 7.33
Table 3. Odds ratio of hypertriglyceridemia for NAFLD  Risk factor Odds ratio * 95% confidence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Without limiting the generality of Article 14(1), no trust governed by the laws of the DIFC and no disposition of property to be held in trust that is valid under the laws of the

r-CoCoAna 기반으로 계획부터 생산 현장까지 모든 Data를 연결한 분석 가능한 Data Set 을 활용하여 기업의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여 Operation

The builtin package defines error as an interface with a single Error() method that returns an error message as a string.. We’ll se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은 다른 버전이 쏟아졌다 원곡의 보컬 부분만 따와서는 여기에 새로운 반주를 더. 하여 완전히 다른 분위기의 매력적인 곡들이 숱하게 만들어졌던 것이다.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