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방문보건 전담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방문보건 전담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방문보건 전담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박혜인1·박경민2·이경희2

밀양제일병원 간호사1,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교수2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Visiting Nurses' Personality

Park, Hae In

1

· Park, Kyung Min

2

· Lee, Kyung Hee

2

1

Nurse, Milyang Jeil Hospital, Milyang

2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personality in visiting nurses. Methods: Two hundred twenty six visiting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26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The Korean version of the Enneagram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was used to measure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The most common personality is type 9, a center of the Instinctive Center where energy tends to stress outw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 type 1, 2 and type 9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re was but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b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 nurses with the type 9 and type 1 of persona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es.

Key Words: Personality types, Visiting nurses, Nursing professional values, Job satisfaction

주요어: 개인성향, 방문간호사,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도

Corresponding author: Park, Kyung Min

College of Nursing, Keimyung University, 2800, Dalgubeol-daero, Dalseo-gu, Daegu 704-701, Korea.

Tel: +82-53-580-3925, Fax: +82-53-580-3916, E-mail: kmp@kmu.ac.kr

투고일 2012년 4월 27일 / 심사의뢰일 2012년 4월 28일 / 게재확정일 2012년 6월 8일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1세기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환경은 사회, 경제, 문화, 정치 의 새로운 변화와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보건복지정책 일환으 로 간호사가 건강사업 전달체계 속에서 날로 확대되어 질적,

양적 책임을 수용하게 되었다(Choi, 2007; Hwang, 2003).

1999~2000년 공공근로 방문간호사업이 시행되었고, 2007년

지역보건법이 개정되어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이 지역 보

건소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 채용된 방문보건 전

담인력 2,700명중 간호사 인력이 2,400명으로 가장 높은 비

율을 차지하고(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HW],

2009)있다. 그리고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는 매년 1인당 평균

(2)

450~550가구 이상의 가구를 방문하여 생애주기별 질병관리, 합병증 예방, 건강증진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를 하고 있다 (MHW, 2010).

맞춤형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간제 근로자로 간호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운동처방사 등의 전 담인력이 채용되어 있다. Ryu (2003)의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사회복지사 보다 4배정도 월등히 높은 가구를 방문하여 관리 한다고 했다.

간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간호사가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조력도구는 자기 자신이므로 간호사 특유의 인성 즉 성 격이 간호업무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Kim et al, 2005). 간호사는 간호 대상자의 지각이나 그 행위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간호사 자신의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자신의 삶을 건강하게 영위하기위해 정신적 성숙의 원리를 깨닫는(Jung &

Lee, 2008)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간호사 스스로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감 이 부족하면 효과적인 간호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고 전문 직업 인으로서의 발전을 꾀할 수 없고(Koh, & Jung 2004), 또한 조직 내부와 조직간 그리고 개인 각자의 갈등과 업무 성과 등 에 따라서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Lee, 2006). 따 라서 업무의 상황적 특성과 개인의 성격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결정된다(Wexiey & Yukl. 1984)는 것을 밝혀냈다. 그리고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에 대한 체계화된 견해와 간호활동 및 직 업 의식적 행동(Shank & Weis, 2000)으로, 다양한 간호 상황 에서 대상자를 돕기 위해서 목표를 확인하고 필요한 지식과 기술, 가치를 형성하고, 또한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와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 및 전문성(Kang, 2002., Lim, 2005)을 통해 간호전문직관이 확고해 진다.

사람들은 자기를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의 문제를 외 부로 투사하게 된다. 이러한 투사과정은 개인의 자기 이해가 부족 할수록 현실에 대한 착각을 일으켜 무의식적으로 일어난 다. 따라서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는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 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마음의 여유를 찾고 현실에 잘 대처 하게 되면 반복되는 자신의 투사과정을 멈추게 되는 만큼 자 기의 삶에 대한 선택과 책임을 받아들이는데 좀 더 자유로워 질것이다(Ha, 2004).

간호사와 간호 대상자간의 원활한 치료적 관계형성은 간호 에 있어 필연적이며, 간호사는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갖고 대 상자와의 올바른 파트너십을 형성하여야 대상자 위주의 간호 를 수행(Cha, Yang, & Yang, 2004)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도구인 에니어그램을 사용

하여 방문보건전담 간호사의 성격 유형에 따른 전문직관과 직 문만족도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성격유형을 다루는 도구로는 MBTI 및 에니어그램등이 있 다. MBTI는 성격유형 구분에는 유의한 도구(Kim, Sim, 1995) 이며 성격유형과 각 유형에 따른 자신의 이해와 성찰을 돕고 자 하는 방법으로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Jung

& Lee, 2008). 1990년 초반부터 에니어그램이 소개되면서 교 육학, 심리학, 신학, 경영학, 간호학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 졌고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개인 성향을 확 인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어 오고 있다(Yoon, 2003).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로는 방문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연계 및 장애요인(Ryu, 2003)과 보건소 공공근로 방문간호사업평가(Koh et al., 2002)가 있 으나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경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 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을 이해하여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y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을 파악한다.

y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별 간호전문직관을 파 악한다.

y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를 파악 한다.

y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별 간호직관과 직무만 족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

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3)

2. 연구대상

전국 방문전담 간호인력 약2400명 중 부산광역시 소재 16 개 보건소와 경상남도 소재 20개 보건소의 방문보건 전담간호 사 선임 인력에게 전화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여, 부산광역 시 8개소 보건소와 경상남도 18개소 보건소로부터 자료수집 을 허락 받았다. 부산광역시 소재 보건소에서는 방문보건 전 담간호사 100명과, 경상남도 소재 보건소 방문보건 전담간호 사 130명으로부터 총 230부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도식 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230부 전원 회수 하였다. 부적절한 응답지 4부 제외한 226부에 대해 자료분석을 하였다.

3. 연구도구

1) 성격유형 측정도구

칠레 아리카연구소에서 1960년 개발되어 1975년 Riso의 성격심리학의 한 분야로 에니어그램 연구를 통해 성격유형의 체계적인 정의와 성격유형의 발달수준. 성격의 역동성과 예언 성, 정신의학적진단 DSM-IV(TR) 및 MBTI 유형과의 연관성, 자신의 성격이해를 통해 자기변화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 발된 프로그램을 1998년 한국 에니어그램 학회가 창간되면서 Yoon (2001)이 표준화한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지 이다. 생존을 위한 반응과 자극에 대해 받아들여 행동으로 표 현되는 인간의 성격의 근간을 장(본능), 가슴(감정). 사고(사 고)의 영역으로 에너지 중심 3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성격유형 별 심리적 성장과 퇴보를 반영하여 자기 확신이 있으며 건강 한 상태를 통합이라 하며 병적이고 신경증인 상태를 분열로 표현하여 성격의 역동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신의 성격유형에 서 1-7-5-8-2-4-1, 9-3-6-9의 방향으로 진행시 통합으로 분류 하며 역 방향으로 진행시 분열이라 명명한다. 성격유형을 각각 9개 문항으로 조합하여 총81개의 문항을, 5점 척도로 이루어 진 검사지다. Yoon (2001)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90, 재검 신뢰도는 .89, Riso (1999)와의 동시타당도는 .82 였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89로 나타났다.

2)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Yoon 등(2005)이 개발하여 Kim (2008)가 수정 ‧ 보완한 5점 척도 18문항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전문적 자아개념(6문항), 사회적 인식(5문항), 간호사의 전문 성(3문항), 간호계의 역할(2문항), 간호의 독자성(2문항)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Likert 5점 척도로, 항상 그렇게 느낀

다(5점), 항상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1점)로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관이 높다고 의미한다. 선행연구의 신뢰도는 Kim (2008)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94이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Cronbach's ⍺=.82로 나타났다.

3) 직무만족도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Paula (1978) 등이 건강인력을 위해 개발한 43문항을 Heo이 번역한 24문항을 Han (1987)가 보건간호사 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도구로 24문항 5점 척도의 도구를 사용 하였다. 이 도구는 봉급에 관한(2문항), 상호작용에 관한(2문 항), 업무요구에 관한(5문항), 간호사와 의사와의 관계에 관한 (3문항), 자율성에 관한(4문항), 행정에 관한(3문항), 전문적 위치에 관한(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Likert 5점 척도로, 항상 그렇게 느낀다(5점), 항상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1점), 부정적 인 문항 역 코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도 높다고 하였다. Paula (1978)이 신뢰도 Cronbach's ⍺=.91이었고, Han 연구에서는 신뢰도 Cronbach's=.81이었고, Chu (2001) 신뢰도 Cronbach's ⍺=.72이고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71로 나타났다.

4. 자료수집

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1일부터 7월 9일 부산광역시와 경 상남도 보건소 방문보건 전담 선임간호사에게 전화로 사전 연 락을 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2010년 7월 19일부터 7월 23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사전 동의한 부산 과 경남 지역 소재 26개소 보건소에 230부를 우편으로 배부하 고 배부 시 회수용 봉투, 사은품 및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연구목적 및 내용, 언제라도 설문에 대한 응답 을 거절할 수 있으며 응답내용은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절대 로 사용하지 않음을 설명한 용지와 연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 서도 함께 동봉 하였다. 연구자는 한국 에니어그램 학회에서 일반강사 자격을 취득 후 4단계 전문교육 단계를 이수하였으 며, 한국 에니어그램 학회에 검사지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았 다. 대상자에게 검사 결과를 통보할 계획임을 설명하고 메일 로 결과를 알려주었으며, 기재누락, 부실자료 4부를 제외한 총 226부을 분석하였다.

5. 자료분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세 가지 힘의 중

(4)

Table 2. Participants' Personality Types of Three Centers of Intelligence, Stability and Stress (N=224)

Variables Personality type Name Stability Stress Stability & stress Total

n (%) n (%) n (%) n (%)

Center Instinct Type 1 Type 8 Type 9

Reformer Leader Arbitrator Subtotal

24 (10.7) 3 (1.3) 22 (9.8) 49 (21.9)

27 (12.1) 2 (0.9) 51 (22.8) 80 (35.7)

5 (2.2) 1 (0.4) 5 (2.2) 11 (4.9)

56 (25.0) 6 (2.7) 78 (34.8) 140 (62.5) Center Feeling Type 2

Type 3 Type 4

Assistant Achiever Artist Subtotal

30 (13.4) 1 (0.4) 4 (1.8) 35 (15.6)

21 (9.4) 3 (1.3) 2 (0.9) 26 (11.6)

4 (1.8) 0 (0.0) 0 (0.0) 4 (1.8)

55 (24.6) 4 (1.8) 6 (2.7) 65 (29.0) Center Thinking Type 5

Type 6 Type 7

Thinker Faithfulness Optimist Subtotal

2 (0.9) 3 (1.3) 2 (0.9) 7 (3.1)

5 (2.2) 0 (0.0) 2 (0.9) 7 (3.1)

0 (0.0) 3 (1.3) 2 (0.9) 5 (2.2)

7 (3.1) 6 (2.7) 6 (2.7) 19 (8.5)

Total 91 (40.6) 113 (50.4) 20 (8.9) 224 (100.0)

심과 성격유형의 분포 정도와, 역동성 방향인 통합 ‧ 분열 정 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성형유형별 간호전문직관, 직무만족도 간의 관 계는 ANOVA로, 대상자의 세 가지 힘의 중심, 성격유형과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 구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 력, 의료기관 경력, 방문보건 경력, 이직계획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은 40.3세며, 40~

49세가 42.0%로 가장 많았고, 기혼이 83.6%였으며, 전문학 사가 81.4%를 차지하였다. 의료기관 근무경력은 1~5년이 41.1%였고, 방문간호사경력은 13~36개월이 53.5%였으며, 이직 계획은 ‘없다’가 52.4%, 무응답자 24%이다(Table 1).

2.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 분포

연구대상자의 성격유형별 분포는 9유형 중재자 34.8%, 1유 형 개혁가 25.0%, 2유형 조력자 24.6%, 순으로 나타났다. 장 중심 63.0%, 가슴중심 28.4%, 머리중심 8.4%로 장 중심 영역 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들의 역동적 에너지의 방향은 통합

40.6%, 분열 50.4%의 분포를 보였다(Table 2).

3. 연구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연구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은 평균 표준편차는 3.54±0.45 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며, 하위 영역에서 전문직 자아개 념 3.89±0.53, 간호계의 역할 3.78±0.60, 간호의 전문성 3.68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226)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Age (year)

(M±SD: 40.3±8.2) (Min~Max: 23~57)

20~29 30~39 40~49 50~59

30 (13.3) 67 (29.6) 95 (42.1) 34 (15.0) Marital status Single

Married

37 (16.4) 188 (83.6) Level of education Three-year college

≥Four-year college

184 (81.4) 42 (18.6) Medical institution

career (year)

<1 1~≤5 6~≤10 11~≤15

≥16

20 (8.9) 92 (41.1) 67 (29.9) 30 (13.4) 15 (6.7) Health care visit

career (month)

≤12 13~≤36

≥37

41 (18.1) 121 (53.5) 64 (28.4) Change jobs plans to

change jobs

Yes No Not sure

53 (23.5)

118 (52.2)

55 (24.3)

(5)

±0.62, 간호의 독자성 3.54±0.72, 사회적 인식 2.94±0.68,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표준편차는 2.99±0.30 으로 보통 이하의 수준이며, 하위영역에서 상호작용 2.50±

0.68, 전문적 위치 2.76±0.48, 봉급문항 2.97±0.35, 업무의 요구 3.00±0.34, 자율성에 관해서 3.07±0.52, 간호사와 의 사와의 관계 3.12±0.72, 행정에 관해서 3.45±0.58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4.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에 서 2유형조력자(F=3.69)가 가장 높은 전문직관을 보였고, 성 격유형별 간호전문직관 하부영역별에서는 자아개념영역 2유 형 조력자(F=4.08), 사회적 인식영역 4유형 예술가(F=3.27), 간호전문성영역 5유형 사색가(F=3.81), 간호계의 역할영역 2 유형 조력가(F=3.88), 간호의 독자성영역 2유형 조력가 (F=3.76)가가 높은 평균을 보였다.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9유 형 중재자 간의 분산분석 사후 검정결과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77, p =.025), 2 유형 조력자가 높은 가장 높은 간호전문직관을 나타냈다 (Table 4).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는 3유형 성취자((F=3.15)가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성격 유형별 직무만족도 하부영역에서 봉급문항영역 8유형 지도자 (F=3.171), 상호작용영역 8유형 지도자(F=2.75), 업무 요구

도 영역 6유형 충성가(F=3.17), 간호사와 의사와의 관계영역 6유형 충성가(F=3.61), 자율성영역 3유형 성취가(F=3.44), 행정영역 3유형 성취가, 5유형 사색가(F=3.67), 전문적 위치 영역 3유형 성취가(F=2.90)가 높은 평균을 보였다(Table 4).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9유 형 중재자간 분산분석 사후 검정결과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 는 유의한 차이(F=0.93, p =.398)가 없었다. 1유형 개혁가가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Table 4).

5.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r=-.22, p =.001). 대상자중 많은 분포를 보인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9유형 중재자간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간 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1유형은(r=-.38, p =.004), 9유형은 (r=-.38, p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 였으나, 2유형 조력자에서의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 관관계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 않았다(Table 5).

힘의 중심별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장 중심(8유형 지도자, 9유형중재자, 1유형 개혁가)이 통계적 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4, p =.005). 가 슴중심과 머리중심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지만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5).

논 의

본 연구는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의 분포와, 성 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차이와 상관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분포에 서 9유형 중재자,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순으로 분포를 보였다. 힘의 중심에서 장 중심이 62.5%로 가장 많았다, Lee (2007), Lee (2002), Joo (2002)의 연구에서 간호사와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격유형 분포와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 나, Yang, Yang, Cha (2004)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6유형 충성가가 가장 많았고 머리 중심, 가슴 중심, 장 중심으로 본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치료 위주의 간호수행을 하는 외과병동 간호사와 보건위주의 간호수행을 하는 방문 보건간호사의 업무 간 집단의 특성의 차 Table 3.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N=226)

Nursing professional values M±SD

Specialized self-conception Social recognition

Nursing's specialty Role of nursing social Nursing's identity Total

3.89±0.53 2.94±0.68 3.68±0.62 3.78±0.60 3.54±0.72 3.54±0.45 Pay questions on income

Interaction Task demand Nurse-doctor relation Regarding autonomy Regarding administration Specialized position Total

2.97±0.35

2.50±0.68

3.00±0.34

3.12±0.72

3.07±0.52

3.45±0.58

2.76±0.48

2.99±0.30

(6)

Tab le 4. N ur si ng Pr of essi onal Val ues and Per sonal ity Type, the R el at ionshi p bet w een Job Sat isf act ion (N =224 ) Char acter istic s Typ e 1

Typ e 2 T ype 3 Typ e 4 T ype 5 Typ e 6 Ty pe 7 T ype 8 Typ e 9

① R efor mer ② Assi stant ③ Achie ver ④ Artist ⑤ T hinke r ⑥ Fai thfulne ss ⑦ Op timi st ⑧ Leader ⑨ Ar bitrator Spe cial ize d job sel f-conc epti on 3.93± 0.44 4.08± 0.47 4. 03±0 .4 1 3.72± 0.89 3. 95±0 .3 1 3.58± 1.13 3.83 ±0.37 3. 35±1 .1 5 3.82± 0.46 Soci al re cogniti on 2.98± 0.65 3.09± 0.71 3. 05±0 .9 8 3.27± 0.89 2. 74±0 .7 4 2.90± 1.15 2.90 ±0.65 2. 23±0 .7 2 2.89± 0.58 Nur sing's spec ialty 3.71± 0.58 3.77± 0.59 3. 75±0 .5 0 3.61± 0.77 3. 81±0 .1 8 3.78± 0.75 3.78 ±0.46 3. 06±0 .9 3 3.63± 0.66 Rol e of nur sing soci al 3.86± 0.46 3.88± 0.57 3. 75±0 .5 0 3.25± 0.61 3. 79±0 .2 7 3.67± 0.88 3.58 ±0.66 3. 33±1 .1 7 3.79± 0.62 Nur sing's identi ty 3.52± 0.61 3.76± 0.72 2. 88±0 .6 3 3.25± 0.82 3. 43±0 .3 5 3.33± 0.98 3.33 ±0.75 3. 42±0 .9 2 3.53± 0.76 Spe cial ize d value s (all ) 3.58± 0.38 3.69± 0.44 3. 53±0 .3 0 3.47± 0.62 3. 51±0 .2 4 3.41± 0.84 3.48 ±0.48 2. 99±0 .7 5 3.49± 0.41 Pay que stions on inc ome 2.92± 0.39 2.98± 0.33 2. 88±0 .2 5 3.10± 0.22 3. 07±0 .1 9 2.83± 0.26 3.00 ±0.45 3. 17±0 .2 6 2.97± 0.37 Inter action 2.54± 0.77 2.48± 0.80 2. 63±0 .2 5 2.90± 0.65 2. 71±0 .6 4 2.67± 0.26 2.58 ±0.58 2. 75±0 .5 2 2.41± 0.58 Task demand 3.07± 0.32 2.94± 0.33 3. 00±0 .1 6 3.00± 0.57 2. 89±0 .1 6 3.17± 0.23 2.93 ±0.33 2. 67±0 .5 8 3.02± 0.34 Nur se-doctor rel ation 3.15± 0.75 3.00± 0.73 3. 42±0 .4 2 3.07± 0.49 3. 19±0 .8 8 3.61± 0.77 3.22 ±0.91 3. 33±0 .7 9 3.10± 0.70 Re garding autonom y 3.07± 0.56 3.06± 0.53 3. 44±0 .6 9 3.10± 0.38 3. 36±0 .3 2 3.33± 0.56 3.00 ±0.50 3. 08±0 .4 1 3.05± 0.50 Re garding adm inistr ation 3.52± 0.61 3.35± 0.68 3. 67±0 .2 7 3.47± 0.18 3. 67±0 .5 4 3.61± 0.61 3.56 ±0.50 3. 33±0 .4 7 3.42± 0.54 Spe cial ize d positi on 2.71± 0.47 2.70± 0.51 2. 90±0 .4 2 2.80± 0.20 2. 66±0 .3 4 3.07± 0.48 2.63 ±0.29 2. 50±0 .5 8 2.84± 0.49 Job satisf action (all) 3.01± 0.31 2.93± 0.33 3. 15±0 .1 0 3.04± 0.23 3. 05±0 .2 4 3.22± 0.33 2.97 ±0.29 2. 92±0 .3 1 2.99± 0.28 Gr oups o f 3 0 or mor e: t he per so nali ty t ype and n ur si ng pr ofes si onal value to co mpar ed F =3. 77, p = .02 5, b > c by D unc an (

a: ty pe 1 , b : ty pe 2 , c : ty pe 9 ). Gr oups o f 3 0 or mor e: t he per so nali ty t ype and job s at is fact io n c o m par ed F=0. 93, p =.3 93.

(7)

Table 5. Participants' Personality Typ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Correlation (N=224)

Center of forces Type Name Specialized values/Job satisfaction figure

r p

Center instinct Type 1

Type 8 Type 9

Reformer Leader Arbitrator Subtotal

-.38 .61 -.38 -.24

.004 .200 .001 .005

Center feeling Type 2

Type 3 Type 4

Assistant Achiever Artist Subtotal

-.24 .77 .08 -.20

.085 .233 .903 .121

Center thinking Type 5

Type 6 Type 7

Thinker Faithfulness Optimist Subtotal

-.60 .28 -.86 -.15

.158 .598 .028 .542

Total -.22 .001

이인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집단 간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들의 힘의 중심에 대한 분 석에서 장 중심의 간호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 한 결과는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뿐만 아니라 간호사들은 업무 수행이 직접 간호 제공이므로 행동으로 바로 옮겨 실천하는 특성(Joo, 2002)과 일치한다. 그리고 머리 중심(5유형, 6유 형, 7유형)인 이성적이고 판단적이며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성격유형의 특성이 낮은 결과는, 방문보건 사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간호사로서 업무의 효과성을 알리는데 체계 적인 계획을 세워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략을 세우는 간호 연 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간호 전문직관의 평균 평점은 3.54±

0.45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이는 Yang 등(2004), Chu (2001), Koh와 Jung (2004)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유 사한 결과를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평균 평점은 2.99±

0.30으로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고 하부 영역에서 상호작 용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Yang 등(2004)은 3.55, Chu (2001)는 3.28, Koh 등(2004)은 2.74, 보건간호사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Sung (2001)의 연구에서는 보건간호사가 임상간호사보다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직무만족도 하부영역별 사회 상호작용 영역에서 성격유형의 특성상 사람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9유형 중재자(F=2.41)가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자신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중시하는 4유형 예술가(F=2.90) 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성격유형별 직무만족도에 있어 장중심인 통제, 힘과 권력을 중시하는 8유형지도자(F=2.92) 가 가장 낮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성격유형의 특성상 통제 를 당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힘, 권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특성으로 권력구조를 파악하고 자신의 힘을 발휘할여고 하는 성향을 가진 8유형 지도자가 가 장 낮은 직무 만족을 보이는 것은 자신의 업무에 능동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인 업무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전문직관에 서 30명 이상의 분포를 보인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9유 형 중재자 간의 간호전문직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유 형 조력자가 높은 평균을 보였다. Joo (2002), Kim 등(2005), Yang 등(2004)의 연구결과인 병원 간호사들과 차이를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 는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가, 9유형 중재자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유형 개혁가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 였는데 Yang 등(2004), Joo (2002), Kim 등(2005)의 성격유 형별 직무만족도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1유형 개 혁가의 성격특성을 보면 윤리나 도덕규범을 유지하여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성격유형으로 방문보건 전담간호 사들도 방문보건 사업에서 간호사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서 비스를 제공하므로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많은 분포를 보이는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자, 9유형 중재

(8)

자간의 차이를 보면 2유형 조력자가 가장 높은 간호 전문직관 을 보였고, 직무 만족도는 1유형 개혁가가 가장 높은 만족을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직관과 직무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문보건 전담간호사 전 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중 많은 분포를 보인 1유형 개혁가와 9유형 중재자 에서 간호 전문직관과 직문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Koh (2004), Lee (2002), Shin (2009) 의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들의 전문직업성과 보수, 간호전문 직 태도, 간호업무 수행과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양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Kim (1993) 시간제 간호사와 정규직 간호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에서 시간제 간호사가 책임감 이 낮고 직무 만족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전문직 관은 높으나 직무만족도가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병원 중심의 간호사와 지역사회중심의 간호사의 역할과 조직의 구 조적 차이에 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 계에서 힘의 중심에서는 장 중심의 간호사들이 통계적으로 유 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에 있어 방문보건 사업의 특성은 건강증진 및 보건 예방 중심의 1차 예 방 사업이며, 병원 중심의 간호 수행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2차 예방 중심의 간호 수행으로 업무 특성상 차이로 사료된다

1유형 개혁가의 성격유형은 완벽해야 하고 자신과 타인이 성장하고, 상황의 호전을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는 성향을 가 지고 올바른 길을 걷고, 매사에 정확하게 파악하는 강박적인 행동(Ha, 2004; Yoon, 2004)이 진정한 자신의 모습으로 여 기는 자기신념을 가진 특성상, 의료 취약 계층의 대상자들에 게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간호 행위라고 생 각하여 직무 만족도가 낮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2유형 조력가의 성격유형은 자신의 이미지를 중요시하고 정이 많고 곤경에 빠진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주변 사람들 에게 도움을 주는 일은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Ha, 2004,;

Yoon, 2004)는 자기 신념이 자신의 진정한 모습으로 보는 성 격 특성상 의료 취약계층의 대상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시간제 근로자라는 사회적 이미지가 직무 만족을 낮추 어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9유형 중재자의 성격유형은 평화를 추구하며 좋은 사람이 나 나쁜 사람이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평화를 위한 단호한 행동을 수행하고 갈등을 회피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동화

되며 강한 인내심과 다른 사람의 고민을 잘 들어 주며 안정감 과 조화가 이루어야 한다는 자기신념에 고착되어 자신의 진정 한 모습이라 믿는(Ha, 2004,; Yoon, 2004). 성격 특성상, 책 임감이 강하고 자기주장이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기간제 근로자라는 신분적 위치로 인해 업무의 권한이 수동적으로 이 루어지므로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낮 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1유형 개혁가형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는 자신의 일에 대한 방식에 대해 감정적으로 좋고 싫음에 지배를 받으므로 통합된 성격으로 가기 위해서는 사고 중심의 논리적인 사고를 가지며 행동하기 이전에 먼저 생각하는 자세를 취하므로 통합적인 성 격(Yoon, 2003)으로 발전시키며, 2유형 조력자형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는 타인에게 반응하고 활동적이며 헌신적인 장 중 심의 에너지를 지배받고 있다. 상황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자신의 개인적인 일에 열중하며 전체적으로 보기위해 노력하 는 사고 중심의 에너지를 발휘하도록 인지하고 생각하므로 통 합적인 성격(Yoon, 2003)으로 발전시키고, 9유형 중재자형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는 상냥하고 다른 사람과 잘 지낼 수 있 는 감정 중심의 에너지와 기술적인 것을 잘 다루고 전체적으 로 통찰력이 있으며 타인의 문제를 잘 다루는 사고 중심의 에 너지를 발휘하여 통합된 성격유형(Yoon, 2003)을 가질 수 있 도록 자기역량 강화하며 워크삽을 통한 자기성장의 기회를 제 공하여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 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지역사회 방문간호 사업의 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 방문보 건 전담간호사들은 의료 취약계층 뿐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 주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해 앞장서는 국민의 대변자이 며 옹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업무 수행 에 있어서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이해하고 타인을 수용하고 이해하므로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사 료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전문직관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이해 프로그램인 에니어그램 워크숍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일 반화를 위한 다양한 간호 집단 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결 론 및 제 언

본 연구는 보건소 26개소 방문보건 전담간호사 226명을 대

상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Yoon (2001)의

(9)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 도구와, 간호전문직관은 Yoon, Kwon, Ahn (2005)이 개발하여 Kim (2008)가 수정 ‧

보완한 도구와, 직무만족도는 Paula (1978)이 개발하여 Han (198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9유형 중재자 34.8%, 1 유형 개혁가 25.0%, 2유형 조력자 24.6%순으로 나타났다. 힘 중심 분석에서는 장중심 63.0%, 가슴중심 28.4%, 머리중심 8.4%순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의 방향은 분열이 통합보다 더 많았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간호직문직관은 높은 수준 이나 직무 만족도는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다. 방문보건 전담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1유형 개혁가, 2유형 조력가, 9유형 중재자간 간호전문직관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직 무 만족도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성격유형에서, 1유형 개혁가와 9 유형 중재자 간의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2유형 조력자에서는 유의 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간호전문직 관과 직무만족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성격유형별로 다 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 언하고자 한다.

첫째. 방문보건 전담간호사들의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전 문직관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이해와 타인의 수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증대하기 위한 자기역량 개발 프로 그램을 위해 에니어그램 워크숍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둘째. 병원 중심의 간호사와 방문보건 전담간호사의 역할 과 조직의 구조적 차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REFERENCES

Choi, H. S. (200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 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Chu, W. J. (2001). The social suppor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public health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Ha, Y. J. (2004).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lay women's expe- riences of their spiritual selves. Unpublished doctoral dis- 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Han, M. H. (1987). The effect of seoul city public health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 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Heo, H. K. (1982). A study of factors to clinical nurses turnover rea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Joo, H. M. (2002). Study on nurses personality type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 sity, Seosan.

Kang, S. L. (2002).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 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im, E. Y. (1993). A comparative study on part time - regular time nurses of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im, H. K., Jee, H. S., Ryu, E. K., &Jeun, M. E. (2005). Compari- son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by personalities of nurses in hospitals - Using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s: KEPTI.

Clinical Nursing Research, 11 (1), 109-121.

Kim, M. H. (200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view of nursing as professional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im, Y. E. (2001). Enneagram spiritual training. community bible institute.

Koh, E. S., Kim, J. J., Lee, T. H., Lee, K. J., Kim, E. S., Ma, H. K. et al. (2002). Evaluation of government assisted visiting nurs- ing services of health center in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55-363.

Koh, H. J.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o- fessionalism, rewards, market orientation and job sat- isfaction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h, S. H., & Jung, B. L. (2004).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3), 335- 34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Basic Security &

Self-reliance Monitoring Center. (2009). National basic live- lihood security system monitoring and evalua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Lee, K. J. (2002). The application of enneagram in the psychiatric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th Nursing, 11 (3), 285-300.

Lee, M. L. (2007). The relationship among enneagram personality types, depression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4(1), 99-112.

Lee, M. L., Jung, B. L. (2008). Analysis on research of enneagram in Korea.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5(1), 69-81.

Lim, D. S. (2005).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 and attitude to- ward dealth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The guide for family health 201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Individual visit public health care business - Visit health new nurse training. Seoul: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10)

Paula, L. S., Eugene, B. P., & Ann, H. H. (1978).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 Medical Care, 13, 337-352.

Ryu, E. Y. (2003). A study on Link of Health and Welfare Service and Barrier's Factors of Visiting Nurses and Social Welfar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113-121

Shin, H. S.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 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linic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Sung, K. W. (2001). A comparative study on main role, pro- fessional self 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health nurses and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2), 219-230.

Wies, D., & Schank, M. J. (2000). A instrument to measure pro- fessional nursing valu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2), 201-204.

Yang, S., Yang, N. Y., & Cha, J. H. (2004). Enneagram personality types,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 (3), 299-310.

Yoo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Yoon, E. S. (2003). The enneagram step 4 - Enneagram evalua- tion: Journey of Integration. Seoul: Korean Enneagram Education Center.

Yoon, E. S. (2004).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

cator. Seoul: Korean Enneagram Education Center.

수치

Table 2. Participants' Personality Types of Three Centers of Intelligence, Stability and Stress (N=224)
Table 4.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Personality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N=224) Characteristics Type 1†Type 2Type 3 Type 4 Type 5 Type 6 Type 7Type 8 Type 9† ① Reformer② Assistant ③ Achiever④ Artist ⑤ Thinker⑥ Faithfulness⑦ Opti
Table 5. Participants' Personality Types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Correlation (N=224)

참조

관련 문서

Han Soo Kim, Jeong Min Park, Byung No Lee, Myung Gook Moon, Jang Ho Ha, Nam Ho Lee, Young Soo Kim, Chang Goo Kang, Hyung Ki Cha, Moon Sik Chae, Jeong Ho Moon, Kyung Min Oh,

경희대학교의료원(KYUNG HEE UNIVERSITY HEALTHCARE SYSTEM)은 세계 최초의 의·치·한의학 복합 의료기관인 경희의료원(1971.10.5일 개원) 및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of work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job satisfaction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NICU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 The sculptures of the characters alongside benches and photo zones can be found in Songdo Central Park, Incheon Culture & Arts Center, Incheon City Hall, Wolmi Park, and

Therefore, nurse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ions to resolve the needs of car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

을 지 의 대 Hyun Kyung Kim ․ Sung Kee Ryu Ji Young Park ․ Jae Woong Choi Yong Bum Cho ․ Chang Sup Song Yu Min Jung ․ Jong Kwan Jung Kyung Jin Lee ․ Dong G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