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ct Dual-band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 with V-shaped Ground Plan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ct Dual-band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 with V-shaped Ground Plane"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모양 접지면을 가지는 소형 이중 대역 이중 다이폴 준-야기 안테나

Compact Dual-band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 with V-shaped Ground Plane

여 준 호

1

· 이 종 익

2*

1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정보통신연구소

2동서대학교 메카트로닉스융합공학부

Junho Yeo

1

· Jong-Ig Lee

2*

1Schoo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Center, Daegu University, Gyeongsangbuk-do 38453, Korea

2Division of Mechatronics Engineering, Dongseo University, Busan, 47011, Korea

[요 약]

본 논문에서는 V-형 접지면을 갖고 2.45 GHz와 5 GHz 무선 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이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소형 이중 다이 폴 준-야기 안테나의 설계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2.4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준-야기 안테나를 설계한 후, 기존의 스트 립 접지면 대신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하여 안테나의 길이를 줄여 소형화하였다. 5 GHz 대역 동작을 위해 2.45 GHz 대역 준-야기 안테나의 다이폴 투사기 위에 두 번째 다이폴을 연결하고 도파기를 추가하였다. 제안된 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2.45 GHz 대역과 4.57—7.11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 대역 안테나를 FR4 기판 상에 40 mm × 55 mm 크기로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전압정재 파비가 2 이하인 대역이 2.33—2.75 GHz과 4.38—7.15 GHz으로 원하는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된 이득은 두 대역에서 4 dBi 이상을 유지하였다.

[Abstract]

In this paper, a design method for a compact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 with a V-shaped ground plane operating in dual bands including 2.45 GHz and 5 GHz wireless LAN frequency bands is studied. First, a quasi-Yagi antenna operating in the 2.45 GHz band is designed, and a V-shaped ground plane is used instead of a conventional strip ground plan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antenna. A second dipole is connected to the dipole driver of the quasi-Yagi antenna for 2.45 GHz band and a director is appended for 5 GHz band operation.

A prototype of the proposed dual-band antenna operating at 2.45 GHz WLAN band and 4.57—7.11 GHz band is fabricated on an FR4 substrate with a dimension of 40 mm by 55 mm. Fabricated antenna shows frequency bands of 2.33—2.75 GHz and 4.38—7.5 GHz for a voltage standing wave ratio less than 2. Measured gain remains more than 4 dBi in both bands.

Key word :

V-shaped ground plane, Compact, Dual-band, Double dipole quasi-Yagi antenna(DDQYA), wireless LAN bands.

https://doi.org/10.12673/jant.2018.22.5.43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License(http://creativecommons .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22 August 2018; Revised 1 October 2018 Accepted (Publication) 29 October 2018 (30 October 2018)

*Corresponding Author: Jong-Ig Lee Tel: +82-51-320-1751

E-mail: leeji@gdsu.dongseo.ac.kr

(2)

Ⅰ. 서 론

최근 4차 산업혁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초연결사회의 핵심 기술로서 사물인터넷과 5세대 이동통신 관련 기술 및 서비스가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으로 인해 스마트폰 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데이터 사용량이 급격하 게 증가하고 있다[1]. 증가하는 데이터 사용량을 수용하기 위 해서는 기존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외의 추가적인 주파수 확 보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 기지국 및 중계기 안테나 설계 기술이 필요 하다[2].

이중 다이폴 준-야기 안테나 (double-dipole quasi-Yagi antenna; DDQYA)는 단일 광대역 혹은 이중 대역 설계의 용이 성, 안정된 이득, 높은 전후방비 등의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해 기지국용이나 중계기용 지향성 안테나로 사용되고 있다[3].

DDQYA는 반사기(reflector)와 두 개의 길이가 다른 다이폴 투 사기(driver)가 전송선로를 통해 연결되며 두 다이폴의 길이와 전송선로의 길이를 조절하여 단일 광대역 혹은 이중 대역 주파 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중 대역 주파수 대역을 얻기 위해 두 개의 다이폴을 이용 한 다양한 설계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참고문헌 [3]에서 소개된 전송선로로 연결된 이중 다이폴을 이용한 이중 대역 안테나 설 계 방법을 이용하여 2.45 GHz와 5 GHz 무선 랜 대역에서 동작 하는 DDQYA가 소개되었다[4]. 이 경우 반사기로 사용된 접지 면의 길이가 가장 길고, 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첫 번째 다이 폴의 길이가 가장 짧다. 두 번째 다이폴은 2.45 GHz 대역에서 동작하며 길이가 반사기 보다는 짧고 첫 번째 다이폴 보다는 길 다. 안테나의 크기는 50 mm × 114 mm이다. 입력 반사계수가 – 10 dB 이하인 주파수 대역은 2.13—3.1 GHz와 5.15—5.9 GHz 로 첫 번째 대역이 넓고 두 번째 대역이 좁다. 이득은 첫 번째 대 역에서 3.6—5.1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 2.4—5.3 dBi이다.

내장형 밸런(balun)과 짧은 전송선로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 폴로 구성된 이중 대역 안테나가 824—960 MHz와 1.71—2.17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5]. 첫 번째 다이폴이 첫 번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여 길이가 길고, 두 번째 다이폴이 두 번째 대역에서 동작하여 길이가 짧다. 그러나 반사기가 없어 이득이 2.5 dBi 이하로 낮다.

광대역 다이폴 안테나의 양 팔에 포크-모양 슬롯을 추가하여 2.18—2.75 GHz와 5.04—6.23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설계 방법이 제안되었다[6]. 그러나 참고문헌 [5]와 마찬가지로 반사기가 없어 첫 번째 대역의 이득이 2 dBi 이하이고 지향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반사기와 두 개의 다이폴의 길이가 순차적으로 줄어들고 기 판의 양면을 사용하는 평행 스트립(parallel stripe; PS) 전송선로 로 연결된 형태의 이중 대역 DDQYA가 2.32—2.77 GHz와 4.25

—6.03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90 mm × 96 mm의 크기로 설 계되었다[7]. 마름모-모양의 첫 번째 다이폴은 첫 번째 대역에

서 동작하고, 스트립-모양의 두 번째 다이폴은 두 번째 대역에 서 동작한다. 두 대역에서 모두 지향성 복사패턴을 가지며, 이 득은 2.3—2.5 GHz 대역에서 3.5—4.7 dBi이고, 5.0—6.2 GHz 대역에서 2.0—6.0 dBi이다.

접지면 반사기와 다이폴 투사기로 구성된 준-야기 안테나 (quasi-Yagi antenna; QYA), T-모양 다이폴과 도파기로 구성된 DDQYA가 2.35—2.55 GHz와 4.30—6.56 GHz 대역에서 4.5—

5.7 dBi의 이득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8]. 안테나의 크기는 50 mm × 70 mm이다.

최근에는 PS 전송선로로 급전되는 다이폴 투사기와 그 위에 짧은 간격으로 배치된 직사각형 도파기, 그리고 PS 전송선로와 분리되어 측면에 배치된 90도 꺽인 반사기로 구성된 이중 대역 QYA가 2.28—2.74 GHz와 5.46—6.2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 록 설계되었다[9]. 그러나 안테나의 크기가 45 mm × 100 mm으 로 폭이 넓고, 두 번째 주파수 대역이 좁다.

본 논문에서는 V-모양 접지면을 이용하여 2.45 GHz와 5GHz 무선 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이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소형 DDQYA를 설계하였다. 내장형 밸런으로 급전되고 2.4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QYA를 설계한 후, 기존의 스트립 접지면을 V-모양으로 변형하여 길이를 축소하였다. 다음으로 5 GHz 대 역 동작을 위해 QYA의 다이폴 위에 두 번째 다이폴을 전송선 로로 연결하고 도파기도 추가하였다. CST사의 Microwave Studio를 사용하여 안테나 설계 변수의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 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2.45 GHz 대역과 4.57—7.11 GHz 대역에서 4 dBi 이상의 이득을 가지는 이중 대역 DDQYA를 설 계하였다.

Ⅱ. 소형 이중 대역 DDQYA 구조 및 설계

2-1 소형 이중 대역 DDQYA 구조

그림 1은 제안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의 구조이다. FR4 기판(비유전율 4.4, 두께 1.6 mm)의 앞면에는 V-모양 접지면

그림 1. 제안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 구조

Fig. 1. Geometry of proposed compact dual-band DDQYA.

(3)

반사기(R0), 첫 번째 다이폴(D1), 두 번째 다이폴(D2), 도파기 (Dr)가 인쇄되어 있다. 접지면 반사기와 두 다이폴 사이는 코플 래너 스트립(coplanar strip; CPS) 선로로 연결되어 있다. 기판의 뒷면에는 특성 임피던스가 50옴인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MS) 선로가 인쇄되어 있으며, 단락 핀(via)을 사용하여 끝부분 이 앞면의 CPS 선로의 한쪽에 연결되어 내장형 밸런을 구성한 다.

V-모양 접지면 반사기의 길이와 폭은 lg= 55 mm, wg= 10 mm이고, 역삼각형 모양의 슬롯의 폭은 wv= 8.1 mm이다. 첫 번째 다이폴의 길이와 폭은 l1= 47.5 mm, w1= 6 mm이다. 두 번째 다이폴의 길이와 폭은 l2= 22 mm, w2= 2 mm이다. 첫 번 째 다이폴과 반사기 사이의 간격은 s1= 8 mm이고, 첫 번째와 두 번째 다이폴 사이의 간격은 s2= 3 mm이다. V-모양 접지면 과 첫 번째 다이폴을 연결하는 CPS 선로의 폭과 간격은 wCPS1

= 20 mm, ws= 0.7 mm이다. 첫 번째 다이폴과 두 번째 다이폴 을 연결하는 CPS 선로의 폭은 wCPS2= 4.7 mm이다. MS 선로의 폭은 wf= 3 mm이고, V-모양 접지면의 끝에서부터 급전점까 지의 거리는 yf= 9 mm이다. 스트립 도파기의 길이와 폭은 ld= 12 mm, wd= 2 mm이고, 도파기와 두 번째 다이폴 사이의 거리 는 ds= 3 mm이다.

2-2 안테나 시뮬레이션 및 특성 분석

그림 2에 나타나 있는 4가지 안테나 구조를 이용하여 제안 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의 설계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림 2(a)는 2.45 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QYA 이고, 그림 2(b)는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하여 안테나의 길이를 줄인 2.45 GHz 대역 QYA이다. 그림 2(c)는 V-모양 접지면을 가지는 2.45 GHz 대역 QYA에 두 번째 다이폴이 추가된 이중 대역 DDQYA이고, 그림 2(d)는 두 번째 다이폴 위에 도파기 가 추가된 제안된 이중 대역 DDQYA이다.

(a) (b)

(c) (d) 그림 2. 제안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의 설계 과정

Fig. 2. Design procedure for proposed compact dual-band DDQYA.

(a)

(b)

그림 3. 그림 2의 안테나 성능 비교: (a) 입력 반사계수, (b) 이득 Fig. 3. Comparison of performances for antennas in Fig.

2: (a) input reflection coefficient and (b) gain.

그림 3에서는 그림 2의 4가지 안테나 구조들에 대한 입력 반사계수와 +y 방향 이득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림 2(a)의 일반적인 2.45 GHz 대역 QYA의 경우, 전압 정 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 2 이하를 기준으로 주파수 대역이 2.38—2.51 GHz(5.3%)와 6.74—8.38 GHz(21.8%)이다. 접지면 반사기의 길이는 65 mm이고, 다이폴 의 길이는 49.4 mm이다. 첫 번째 대역에서 +y축 방향 이득은 4.6—5.4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는 0 dBi 이하이다. 두 번째 대역에서 +y 방향 이득이 낮은 이유는 공진주파수에서 다이폴 투사기가 반파장이 아닌 파장의 1.5배가 되어 최대 복사 방향이 다이폴에 수직한 +y축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바뀌었기 때 문이다[10]. 따라서 두 번째 대역은 +y축 방향 지향성 안테나로 사용할 수 없다.

그림 2(b)의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하여 설계한 2.45 GHz 대 역 QYA의 경우, VSWR < 2인 주파수 대역이 2.33—2.51 GHz(7.4%)와 6.43—8.37 GHz로서 첫 번째 주파수 대역의 대역 폭이 조금 증가하였으나 그림 2(a)의 QYA와 비슷한 특성을 나 타낸다. 접지면 반사기의 길이는 55 mm로 15.4% 줄어들었고, 다이폴의 길이는 47.5 mm로 조금 줄어들었다. +y축 방향 이득 은 첫 번째 대역에서 4.5—5.5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는 1 dBi 이하이다. 그림 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대 복사방향이 +y축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두 번째 대역에서는 지향성 안테나 로 사용할 수 없다.

(4)

(a)

(b)

그림 4. 그림 2의 안테나 복사패턴 비교: (a) 첫 번째 대역, (b) 두 번째 대역

Fig. 4. Radiation pattern comparison for antennas in Fig.

2: (a) first band and (b) second band.

2.45 GHz 대역 뿐만 아니라 5 GHz 무선 랜 주파수 대역 (5.15—5.825 GHz)을 포함하는 대역에서 4 dBi 이상의 +y 방향 이득을 가지는 이중 대역 지향성 안테나를 설계하기 위해 그 림 2(c)와 같이 CPS 선로로 연결된 두 번째 다이폴을 추가하여 이중 대역 DDQYA를 설계하였다. VSWR < 2인 주파수 대역 은 2.35—2.68 GHz(13.1%)와 4.40—5.94 GHz(29.8%)이고, +y 축 방향 이득은 첫 번째 대역에서 4.0—5.2 dBi이고 두 번째 대 역에서는 3.4—4.2 dBi이다. 첫 번째 주파수 대역이 그림 2(a)와 2(b)의 안테나와 비교했을 때 대역폭이 증가하였으나 두 번째 주파수 대역의 이득이 조금 낮다.

두 번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과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림 2(d)와 같이 도파기를 두 번째 다이폴 위에 추가하여 이 중 대역 DDQYA를 설계하였다. 도파기를 추가한 결과, VSWR

< 2인 주파수 대역이 2.36—2.72 GHz(14.1%)와 4.57—7.11 GHz(43.5%)이고 두 번째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이 많이 증가하 였다. +y축 방향 이득은 첫 번째 대역에서 4.0—5.2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는 4.0—5.6 dBi이다.

그림 4는 그림 2의 4가지 안테나 구조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대역에서의 E-면(x-y면) 복사패턴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대역 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비슷하여 2.45 GHz에서의 복사패턴을 비교하였다. 최대 복사방향은 모두 +y축 방향이다. 그림 2(a)

의 경우 전후방비가 4.9 dB이나,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한 그림 2(b)~그림 2(d)의 경우 복사 패턴이 거의 비슷하고 전후방비가 7.8 dB로 2.9 dB 개선되었다.

두 번째 대역의 경우 그림 2(a) 및 2(b)의 QYA와 그림 2(c) 및 2(d)의 DDQYA의 주파수 범위가 달라, QYA의 경우 7.5 GHz에서의 복사패턴을 사용하고 DDQYA의 경우 5.5 GHz에 서의 복사패턴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그림 2(a)의 기존의 2.45 GHz QYA의 경우, 최대 복사 방향이 +y축 방향인 90도가 아닌 150도 방향으로 바뀌었다. 그림 2(b)의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한 2.45 GHz QYA의 경우, 그림 2(a)와 비슷하게 최대 복 사 방향이 150도 방향이지만 90도 방향에서의 이득이 증가하 였다. 그림 2(c)의 두 번째 다이폴만 추가한 DDQYA의 경우 최 대 복사 방향이 +y축 방향이 되고 지향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 다. 그림 2(d)와 같이 두 번째 다이폴과 도파기를 추가한 DDQYA의 경우, 반전력 빔폭이 줄어들어 이득이 증가하고 전 후방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는 2.45 GHz와 5.5 GHz에서 제안된 이중 대역 DDQYA의 표면 전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첫 번째 대역인 2.45 GHz에서는 V-모양 반사기와 다이폴에 전류가 강하게 나 타나는 반면, 두 번째 대역인 5.5 GHz에서는 두 번째 다이폴과 도파기에 전류가 분포하여 이들에 의해 동작함을 알 수 있다.

(a)

(b)

그림 5. 제안된 이중 대역 DDQYA의 표면 전류 분포: (a) 2.45 GHz, (b) 5.5 GHz

Fig. 5. Surface current distributions of proposed dual-band DDQYA: (a) 2.45 GHz and (b) 5.5 GHz.

(5)

그림 6. 제작된 안테나의 사진

Fig. 6. Photograph of fabricated antenna.

Ⅲ. 안테나 제작 및 실험 결과

제안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을 FR4 기판(εr= 4.4, 두께 = 1.6 mm, 손실 탄젠트 = 0.025)을 이용하여 그림 6과 같이 제작 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입력 반사계수와 이득 특성을 그림 7에 비 교하였다. 입력 반사계수 측정을 위해 Agilent사의 N5230A 회 로망 분석기를 사용하였고, 이득은 전파무반사실에서 +y축 방 향으로 측정하였다.

입력 반사계수 측정 결과, VSWR < 2인 주파수 대역이 2.33

—2.75 GHz(16.5%)와 4.38—7.15 GHz(48.1%)로 시뮬레이션 결 과보다 대역폭이 두 대역에서 모두 조금 증가하였다.

(a)

(b)

그림 7. 제작된 안테나의 성능: (a) 입력 반사계수, (b) 이득 Fig. 7. Performance of fabricated antenna: (a) input

reflection coefficient and (b) gain.

측정된 이득은 첫 번째 대역에서 4.0—5.0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는 4.0—5.2 dBi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보다 평균 이득 이 조금 줄어들었으나 두 대역에서 4 dBi 이상을 유지하였다.

그림 8은 제작된 안테나의 2.45 GHz, 5 GHz, 6 GHz, 7 GHz 에서 E-면(x-y면)과 H-면(y-z면) 복사 패턴에 대한 측정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측정된 복사 패턴이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함 을 알 수 있다.

(a)

(b)

(c)

(d)

그림 8. 제작된 안테나의 복사패턴: (a) 2.45 GHz, (b) 5 GHz, (c) 6 GHz, (d) 7 GHz

Fig. 8. Radiation patterns of fabricated antenna: (a) 2.45 GHz, (b) 5 GHz, (c) 6 GHz, and (d) 7 GHz.

(6)

Ⅳ. 결 론

본 논문에서는 V-모양 접지면을 사용하여 2.45 GHz 및 5 GHz 무선 랜 대역을 포함하는 이중 대역에서 동작하는 소형 DDQYA에 대한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스트 립 반사기와 다이폴로 구성된 2.45 GHz 대역 QYA를 설계한 후, 스트립 접지면을 V-모양 접지면으로 변형하여 길이를 축소 하였다. 다음으로 5 GHz 대역 동작을 위해 QYA의 다이폴 위에 전송선로로 연결된 두 번째 다이폴을 추가하여 DDQYA를 설 계하였다. 두 번째 대역에서의 대역폭과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 해 도파기를 추가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특성을 실험한 결과, VSWR < 2인 주파수 대역이 2.33—2.75 GHz와 4.38—7.15 GHz이고, 이득은 첫 번째 대역에서 4.0—5.0 dBi이고, 두 번째 대역에서는 4.0—5.2 dBi 으로 두 대역에서 4 dBi 이상을 유지하였다.

제안된 소형 이중 대역 DDQYA는 2.45 GHz 및 5 GHz 무선 랜 대역 AP (access point)용 지향성 안테나나 이중 대역 기지국 혹은 중계기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Ericsson Mobility Report-June 2018 [Internet]. Available:

https://www.ericsson.com/assets/local/mobility-report/docu ments/2018/ericsson-mobility-report-june-2018.pdf.

[2] Y. Cui, R. Li, and P. Wang, “A novel broadband planar antenna for 2G/3G/LTE base station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61, No. 5, pp.

2767-2774, May 2013.

[3] F. Tefiku and C. A. Grimes, “Design of broad-band and

dual-band antennas comprised of series-fed printed-strip dipole pairs,” IEEE Transaction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48, No. 6, pp. 895-900, Jun. 2000.

[4] D.-C. Chang, C.-B. Chang, and J.-C. Liu, “Modified planar quasi-Yagi antenna for WLAN dual-band operations,”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 46, No. 5, pp. 443–446, Jul. 2005.

[5] P. Lindberg, E. Öjefors, Z. Barna, A. Thornell-Pers, and A.

Rydberg, “Dual wideband printed dipole antenna with integrated balun,” IET Microwaves,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1, No. 3, pp. 707-711, Jun. 2007.

[6] X. Li, L. Yang, S. X. Gong, and Y. J. Yang, “Dual-band and wideband design of a printed dipole antenna integrated with dual-band balun,”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Letters, Vol. 6, pp. 165-174, 2009.

[7] J. M. Steyn, J. W. Odendaal, and J. Joubert, “Double dipole antenna for dual-b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pplications,” Microwave and Optical Technology Letters, Vol. 51, No. 9, pp. 2034-2038, Sep. 2009.

[8] S. X. Ta, I. Park, and C. Dao-Ngoc, “A hybrid of T-dipole and quasi-Yagi antenna for dual-band WLAN access point,”

REV Journal 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Vol. 2, No. 1-2, pp. 63-67, Jan.-Jun. 2012.

[9] D. Ye, Y. Li, Z. Liang, and Y. Long, “A dual-band printed end-fire antenna with DSPSL fee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2016, pp. 1-5, 2016,

[10] C. A. Balanis, Antenna Theory - Analysis and Design, 3rd ed. Hoboken, NJ: Wiley-Interscience, 2005.

여 준 호 (Junho Yeo)

1992년 2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1994년 2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2003년 8월 :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1994년 3월~1999년 6월 :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2003년 9월~2004년 6월 :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박사 후 과정 2004년 8월~2007년 2월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시스템연구팀 선임연구원 2007년 3월~현재 : 대구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

※관심분야 : AMC, EBG, FSS 설계 및 안테나 응용, RFID 및 광대역 안테나, 전자파 산란

이 종 익 (Jong-Ig Lee)

1992년 2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사) 1994년 2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석사) 1998년 8월 :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1998년 3월~12월 : 금오공과대학교 연구교수

1999년 3월~현재: 동서대학교 메카트로닉스융합공학부 교수

※관심분야 : 평면 안테나, 전자파 산란

수치

Fig. 1. Geometry of proposed compact dual-band DDQYA.
그림  3. 그림  2의  안테나  성능  비교:  (a)  입력  반사계수,  (b)  이득 Fig.  3. Comparison  of  performances  for  antennas  in  Fig
Fig.  4.  Radiation  pattern  comparison  for  antennas  in  Fig.
그림  6.  제작된  안테나의  사진

참조

관련 문서

3-43 The Fault Current and Voltage Curves of Fault Phase During the Double Line to Ground Fault(A Transformer for Voltage Drop or Modifier)..

In compact rectenna desig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low power and low voltage in order to drive wireless

- Basic research on a compact, high b ST (Spherical Torus) with elongated chamber in partial solenoid configuration - Study on advanced tokamak scenario

The measured results for the fabricated dual-band pass filters agreed well with the simulated ones, and h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design method

Double sided solid GND plane universal PCB (contd.).  Make

To solve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designed a transmission system for DGPS correction message as a method interface module to substitute the RF

10.2 Path Independence of Line Integrals p g 10.3 Calculus Review: Double Integrals 10 4 Green’s Theorem in the Plane.. 10.4 Green s Theorem in the Plane 10.5 Surfaces

– Cross section of a beam in Cross section of a beam in pure bending remain plane – (There can be deformation in (There can be deformation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