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호산구성 폐렴으로 생각되었던 폐암 1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호산구성 폐렴으로 생각되었던 폐암 1예"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296

호산구성 폐렴으로 생각되었던 폐암 1예

영남대학교 의료원

*류영하, 이관호, 정진홍, 신경철, 최은영

저자는 다발성 폐결절로 내원하여 호산구성 폐렴으로 진단, 치료 하여 호전된 환자에서 폐암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증례: 72세 남자 환자가 1개월간 지속되는 기침, 가래, 객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흉부엑스선촬영 및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좌상엽 대동맥궁 부위 폐결절 및 다발상 폐결절이 확인되었다. 일반혈액검사에서 Eosinophil 63%, Total IgE 3958 KU/L 동반되었다. 그 외 혈액 세균 검 사, 기생충 검사, 가래 세균 검사, 결핵균 배양 검사 상 음성 소견을 보였다. 상기 소견으로 호산구성 폐렴 의심하에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 하였 다. 치료 2주일 후 추적 시행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에서 대부분의 결절이 사라지고 좌상엽 결절 크기 감소 소견 보였다. 치료 3개월 후 추적 검사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시행하였으며 결절 크기 감소 및 일반혈액검사에서 Eosinophil 0.2%, Total IgE 884로 호전 관찰되었다. 치료 1년 6개 월 후 호흡곤란증세로 내원하여 시행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에서 좌상엽 폐쇄성폐렴및 다발성 전이성 폐결절 의심 소견을 보였다. 입원하여 시행 한 조직검사 에서 선암으로 확진되었다. 고찰 : 양측 다발성 폐 결절의 흔한 원인은 전이암 이며 그 외 감염성 육아종 질환, 양성 폐 결절, 자가면 역질환 등 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Total IgE, Eosinophil count 증가 동반하였으며 스테로이드 치료에 증상 및 검사 소견 호전을 보여 호산구성 폐렴으로 진단하였다. 그러나 1년 6개월 뒤 동일 부위에서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진단되었다. 다발성 폐 결절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진단이 있더라도 기관지 폐 조직검사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으며 치료후에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참조

관련 문서

행하였고 전형적인 급성 세뇨관 괴사 소견을 보였으며 급성 세 , 뇨관 괴사에 대해 보존적 치료 유지 후 신기능을 회복하였다 본. 증례에서의 증상은 amatoxin 에 의한 중독

역시 다른 바이러스 간염 검사는 모두 음성 소견을 보였고, Ketoconazole에 의한 약인성 간염 진단하에 보존적 치료 후 호전되어 입원 7일 째 퇴원하였다.. 같은 Ketoconazole에 의한

의심 약제 투여 후 발생한 증상으로 시간적 인과관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중단 후 호전되었으며 병용 약 제가 없어 이상 사례와 약물과의 인과성은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RPS developed after arterial and venous puncture which were done in regular medical work. A 35-years old female patient was

본 증례는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한 신부전으로 신이식 후 발생한 신장 유육종증의 예로, 육아종성 간질성 신염에 의해 신기능 악화 소견을 보였으나 스테로이드에 치료 반응을 보

We report a patient with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nvolving the whole wall layer who showed small bowel dysmotility, suggesting neural dysfunctions on

수술 소견상 전이성 복막성 평활근증은 육안적으로는 수 mm에서 수 cm에 이르는 딱딱한 결절들이 다발성으로 복 막 및 복강 내 장기에 산재해 복강 내 암종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Spinal cord stimulation for patients with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systemic review of effectivenes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