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 4 2

전방

재설 정 장치 의 종류 에 따른

저작 근의

근전 도 비교

2 0 1 4 년 2 월 석사학위 논문

전방 재설정 장치의 종류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 비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 의 학 과

이 진 영

(3)

전방 재설정 장치의 종류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 비교

Compar i s onoft heMa s t i c a t or yMus c l eAc t i vi t yAc c or di ng t oThr e eDi f f e r e ntAnt e r i orDe pr ogr ammi ngDe vi c e s

2 0 1 4년 2 월 2 5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 의 학 과

이 진 영

(4)

전방 재설정 장치의 종류에 따른 저작근의 근전도 비교

지도교수 강 동 완

이 논문을 치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 0 1 3 년 1 0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 의 학 과

이 진 영

(5)

이진영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손 미 경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 경 제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강 동 완 ( 인)

2 0 1 3 년 1 1 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i-

목 차

ABSTRACT ……… ⅳ

Ⅰ. 서 론 ………1

Ⅱ. 연구 재료 및 방법 ……… 3

Ⅲ. 연구 결과 ……… 6

Ⅳ. 총괄 및 고찰 ………8

Ⅴ. 결 론 ……… 12

참고문헌 ……… 13

(7)

-ii-

표 목 차

Table 1. Participants in the study ……… 3

Table 2. Mean muscle activity value(㎶) of right and left side temporalis muscle(TA) and masseter muscle(MM) ……… 6

Table 3. Correlation between groups for muscle activity value by

Mann-Whitney Test ……… 6

Table 4. Mean muscle balance value(%) of temporalis muscle(TA) and

masseter muscle(MM) ……… 7

Table 5. Correlation between groups for muscle balance value by

Mann-Whitney Test ……… 7

(8)

-iii-

도 목 차

Fig. 1. Application of three different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 (a) Lucia jig, (b) leaf gauge, (c) cotton roll ………4

Fig. 2. Attachment of EMG electrodes on anterior temporalis muscle and superficial masseter muscle ……… 5

(9)

-iv-

ABSTRACT

Comparison of the Masticator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Jin-young Lee, D.D.S.

Advisor : Prof. Kang, Dong-wan, D.D.S., M.S.D.,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A centric relation can be described as a mandibular positio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sthodontics, and it is spontaneously acquired while biting an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 that makes a condyle locate in the most anterior upper part of articular fossa. Therefore, an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such as Lucia jig, leaf gauge and cotton roll are widely used in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Lucia jig, leaf gauge, and cotton roll among the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being used to induce the centric pos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activity of superficial masseter muscle and anterior temporalis muscle with electromyography(EMG) and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comparatively.

Twenty (male:female=14:6) healthy adults having no severe malocclusion, temporomandibular disorder, or missing tooth except for the third molar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 group. As a control group,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with EMG at a centic position of mandible guided by swallowing after sticking electrodes to left and right superficial masseter muscle and anterior temporalis muscle. Then, muscle activity using 3 types of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were measured, respectively.

(10)

-v- The conclusions are listed as follows.

1.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muscle activity with Lucia jig and leaf gau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

But, muscle activity with cotton ro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ight side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P<.05).

2. In comparison of each device, muscle activity increased in order of Lucia jig, leaf gauge, and cotton roll.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between left and right side temporalis muscle and left side masseter muscle(P<.05).

3. Comparing to the control group, muscle balance with Lucia jig and leaf gau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P<.05).

4. In comparison of each device, left and right side muscle balance decreased in order of Lucia jig, leaf gauge, and cotton roll. Especially, muscle balance using Lucia jig and leaf gau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side temporalis and left side masseter muscle than that of cotton roll(P<.05).

(11)

- 1 -

Ⅰ. 서 론

보철학의 영역에서 교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상악에 대한 하악의 악간관계 및 운동 양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교합을 형성하는 하악위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1 일반적으로 하악위를 결정하는 요인들 에는 신체적 및 정서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중 신체적 요인들로는 저작계와 관련된 치아, 악관절, 저작근, 신경계 등이 있다. 이들의 조화로운 기능에 의해 하악위 및 운 동형태가 결정되며, 최종적으로 개개인의 교합이 형성된다.2 이렇듯 여러 요인들에 의 해 결정되는 하악위는 크게 최대교두감합위, 안정위, 중심위로 나누어 진다. 최대교두 감합위는 상하악 치아들이 최대로 접촉하였을 때의 치아와 치아 사이의 관계로, 과거 보철학의 영역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현재에도 유치악 환자의 단일 보철수복에 주 로 사용되는 기준위이다. 이에 반해 중심위는 일반적으로 악관절 내에서의 관절와와 과두의 위치 관계를 말하며, 무치악 환자 또는 전악 보철과 같이 광범위한 수복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하악위이다.

이상적인 교합상태는 최대교두감합위와 중심위가 일치되어야 한다고 하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경우에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3 교합의 기준점으로서 이들 두 개의 하악위 중 어떤 것을 설정할지에 대한 문제가 임상적 쟁점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심위가 생리 적 및 기능적인 면에서 교합의 시작점으로서 환자가 편안하게 기능 운동을 수행하고 생리적으로 구강악계와 조화를 이루며, 일생을 통해 재현가능한 위치로 생각되기 때문 에 최대교두감합위보다 중심위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어 왔다.4

과거부터 현재까지 하악이 중심위에 있을 때의 관절와 내의 과두 위치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초기 Boucher 등5 이 주장한 과두의 최후방위에서부터, 최후상 방, 최전방, 최전상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위치가 언급되어졌으나, 정확한 중심위의 위치 및 이의 재현성에 관해서는 아직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6

중심위 유도 방법은 환자의 근력에 의한 유도 방법과 술자의 유도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7 환자의 근력에 의한 유도방법으로는 환자 스스로 후방치아로 다물게 하는 방법8, 연하운동을 이용하는 방법9, 전방재설정 장치를 이용한 방법10 등이 있으 며, 술자의 유도에 의한 방법으로는 Bilateral manipulation11, Chin-point guidance 방 법12 등이 있다. 실질적인 중심위 결정에는 근육, 인대, 신경 및 악관절 등 여러 요소 들이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Woelfer13는 중심위 유도시 근신경계는 생리적 이완상태

(12)

- 2 -

에 있어야 하고, 치아간섭을 제거하여 근반사를 차단해야 하며, 최소한의 고경증가만 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전방 재설정 장치를 사용 하는 경우 환자 스스로 교합력을 가할 시 과두가 관절와 내에서 최전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심위를 쉽게 채득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 치들로는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14

과거 전방 재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있었지만,4,12-14 전방 재설정 장치 간의 근전도를 비교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가지 전방재설정 장치(Lucia jig, Leaf gauge 및 cotton roll)를 이 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 저작근의 근 활성도를 근전도 측정기(BioEMG III, BioRESEARCH Inc., Milwaukee,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13)

- 3 -

Ⅱ. 연구재료 및 방법

A.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6세부터 38세 사이의 건강한 젊은 성인 남녀(남 14명, 여 6명)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 선정은 교정치료의 경험과 제 3대구치를 제외한 치아의 결손이 없고, I급 교합관계를 가지며, 심한 부정교합과 악관절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로 정하였다. 임상 시험에 앞서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임상시험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CDMDIRB-1325-125), 참여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에 한하여 실험을 진행하 였다.

Table 1. Participants in the study

Number Mean Age(years)

Male 14 31.4

Female 6 29.8

Total 20 30.9

B. 연구 재료 및 방법

1. 작업 모형과 교합기의 준비

연구 대상자의 상악은 퍼티 형태의 고무인상재(Exafine, GC Corp., Tokyo, Japan) 와 주입식 형태의 고무인상재(Examixfine, GC Corp.,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정밀 인상을 채득하였고, 하악은 알지네이트 인상재(Aroma Fine DF III Normal Set, GC Corp., Tokyo, Japan)를 사용하였다. 상악은 초경석고(GC Fujirock EP, Tokyo, Japan), 하악은 경석고(Neo Plumstone, MUTSUMI Co., Japan)를 이용하여 각각 작 업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연구 대상자에게 안궁(face bow)이전을 통하여 두개골에 대 한 상악골의 위치를 기록 한 후, 상악 모형을 반조절성 교합기(Hanau modular, Whip mix Corp., Louisville, USA)에 부착하였고, 하악 모형은 최대교두감합위 상태로 부착 하였다.

(14)

- 4 -

2. 전방 재설정 장치의 제작 및 준비

교합기에 부착된 상하악 모형의 소구치부위에서 약 1.0mm 정도 교합거상이 되도록 incial pin을 조정한 후 자가 중합 아크릴릭 레진(Caulk orthodontic resin, Dentsply Corp., USA)을 이용하여 Lucia jig를 제작하였다. 상악 양 중절치와 측절치 1/2을 포 함하고, 각 치아의 순면 1/2과 절단면, 설면 그리고 경구개의 일부를 피개하도록 레진 을 적합 시킨 후, 상,하악 전치부를 교합시켜 하악절치의 압흔이 인기되게 하였다. 레 진이 경화된 후, 교합기상에서 전측방 기능운동 시, 하악 전치부와 jig 간에 교합 간섭 이 발생되지 않도록 Lucia jig의 설면부 모양을 하악전치의 장축과 수직되고 평평하게 형성하였고, 최소한의 접촉을 이루도록 제작하였다. 교합기 상에서 incisal pin으로 고 정해놓은 교합 거상양에 맞추어 leaf gauge 및 cotton roll을 준비하였고, 연구 대상자 의 구강내에서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을 조정하여 동일한 교합 거상을 이 루도록 하였다(Fig. 1).

(a) (b) (c) Fig. 1. Application of three different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 (a) Lucia jig, (b) leaf gauge, (c) cotton roll.

3. 표면 전극의 부착

연구 대상자를 의자에 직립위치로 앉히고, 긴장을 풀도록 안정시킨 후, 두부를 구조 물에 기대게 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알코올 스폰지를 사용하여, 전측두근과 표 층 교근 부위를 닦아낸 후, 연구 대상자로 하여금 이를 꽉 물게 하여 전측두근 및 표 층 교근의 기시와 종지 중간지점에 근육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근전도 측정기 (BioEMG III, BioRESEARCH Inc., Milwaukee, USA)의 표면 전극을 부착시켰다. 각 근 육의 불필요한 활성 및 근긴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 전 최소 10분간 조용한 환경 내에서 하악을 안정위 상태로 유지하도록 지시하였다(Fig. 2).

(15)

- 5 -

Fig. 2. Attachment of EMG electrodes on anterior temporalis muscle and superficial masseter muscle.

4. 중심위 유도 및 근전도 측정

연구 대상자에게 중심위 측정에 대해 교육시킨 후, 우선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 를 대조군으로 하여 연하운동을 하게 한 후, 중심위 유도 시 발생되는 좌,우 전측두근 과 표층 교근의 근 활성도를 5회씩 측정하였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각 전방 재설정 장치를 구강 내 장착 후, 5회씩 연하운동을 하게 한 후, 가볍게 하악을 폐구 하여 발 생되는 근 활성도를 5회씩 측정하고, 장치간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장치 사용 시 발생되는 근 활성도를 마이크로 볼트(㎶) 단위로 비교하였으며, 각 장치 간 근 활성도 뿐만 아니라 좌우 저작근의 균형성도 비교하였 다. 근 균형성은 좌,우 저작근의 근 활성도 값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C. 통계학적 분석

SPSS 통계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1, IBM Corp., NY, USA)을 사용하여, Kruskal-wallis test 및 Mann-Whitney test를 통한 사후 검정으로 실험값을 분석하였 으며, 모든 검증은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16)

- 6 -

III. 연구 결과

A. 저작근의 근 활성도 비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3가지 전방 재설정 장치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중심위 유도 시, 저작근의 근활성 감소를 나타냈으며, 특히 Lucia jig 및 leaf gauge 사용 시, 전측두근과 표층 교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근활성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cotton roll 사용 시에는 우측 측두근 과 교근에서만 유의한 근활성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각 장치 간 비교에서, 평균적 으로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 순으로 근활성이 증가하였으며, Lucia jig와 leaf gauge 비교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Lucia jig와 cotton roll 비 교 시에는 좌,우 측두근과 좌측 교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leaf gauge와 cotton roll 비교 시에는 좌측 교근에서만 유의한 근활성 차이가 관찰되었다(Table 2, 3).

Table 2. Mean muscle activity value(㎶) of right and left side temporalis muscle(TA) and masseter muscle(MM)

TA-Rt. TA-Lt. MM-Rt. MM-Lt.

Control 4.55±2.29 4.67±2.56 6.02±1.77 6.83±2.10 Lucia jig 2.12±1.19 2.08±1.08 3.69±1.36 3.71±1.29 leaf gauge 2.43±1.33 2.40±1.39 3.78±1.45 3.90±1.31 cotton roll 3.06±1.54 3.18±1.85 4.79±2.07 5.73±2.14 Table 3. Correlation between groups for muscle activity value by

Mann-Whitney Test

TA-Rt. TA-L MM-R MM-L

Control & Lucia jig 0.000* 0.000* 0.000* 0.000*

Control & leaf gauge 0.001* 0.001* 0.000* 0.000*

Control & cotton roll 0.033* 0.069 0.044* 0.129

Lucia jig & leaf gauge 0.327 0.784 0.888 0.733

Lucia jig & cotton roll 0.026* 0.012* 0.090 0.003*

leaf gauge & cotton roll 0.157 0.073 0.167 0.009*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17)

- 7 -

B. 저작근의 근 균형성 비교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을 시, 측두근과 교근의 좌,우 균형성은 각각 78%와 75%로 나타났고, Lucia jig를 사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에는 측두근과 교근 각각 92%와 89%

를 나타냈다. leaf gauge 사용 시에는 측두근은 89%, 교근은 85%의 균형성이 관찰되 었으며, cotton roll을 사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에는 측두근과 교근 각각 79%와 74%

의 균형성이 관찰되었다(Table 4).

통계적으로 분석해보았을 때,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Lucia jig 및 leaf gauge 사용 시, 측두근과 교근 모두 근 균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tton roll 사용 시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근 균형성을 나타내었다. 측두근과 교근 모 두에서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 순으로 좌,우 근 균형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각 장치 간 비교 시, Lucia jig와 leaf gauge를 사용하였을 때, 측두근과 교근 모두에 서 cotton roll 사용 시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근 균형성을 나타냈다(Table 5).

Table 4. Mean muscle balance value(%) of temporalis muscle(TA) and masseter muscle(MM)

TA MM

Control 78 75

Lucia jig 92 89

leaf gauge 89 85

cotton roll 79 74

Table 5. Correlation between groups for muscle balance value by Mann-Whitney Test

TA MM

Control & Lucia jig 0.000* 0.001* Control & leaf gauge 0.001* 0.026*

Control & cotton roll 0.920 0.323

Lucia jig & leaf gauge 0.115 0.432 Lucia jig & cotton roll 0.000* 0.000* leaf gauge & cotton roll 0.002* 0.003*

* Significantly different (P<.05)

(18)

- 8 -

Ⅳ. 총괄 및 고찰

구강악안면계에 대한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과두의 생리적이고 기능적인 위치는 일반적으로 과두와 관절원판 복합체가 관절돌기의 후면에 밀착되어진 상태라고 하였다.15 이러한 하악의 중심위는 악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 교합 분석, 전악 수복 치료 시 하악의 기준위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악의 기능 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생리적 위치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관절와내의 과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치아 및 교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생동안 일정하게 재현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하악위 중 가장 신뢰할 만한 기준점이 된다고 하였다.16

이러한 기준위치로 여겨지는 중심위의 정확한 위치 및 유도법 등은 현재까지도 논란 이 되고 있으며, 여러 술자에 따라 다양한 중심위 유도 방법이 소개되어왔다.7-12 과거 과두의 최후방위치부터 시작하여 최후상방, 최전방, 최전상방 위치에 이르기까지 다양 한 중심위가 존재하며, 근래에는 과두가 전상방에 위치하여 최상방한계에서의 과두의 후방적 이동이 최소인 위치가 받아들여지고 있다.17 이러한 과두의 전상방 위치를 얻 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심위 유도 방법중에서 전방 재설정 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Galo 등18 은 Lucia jig와 같은 전방 재설정 장치를 사용하여 중 심위 유도 시, 하악의 조작이 좀 더 쉽게 이루어 지고, 과두의 회전축을 용이하게 결 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Rosenblum 등19과 Caroll 등4 은 과두의 최상방위를 얻 기 위하여 leaf gauge를 이용한 중심위 유도법을 주장하였다.

전방 재설정 장치 사용 시, 과두가 중심위로 유도되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으나, leaf gauge의 경우 술자와 외력에 의한 오차를 제거하며, 치아의 조기 접촉과 환자의 습관적 폐구에 의해 나타나는 deflective malocclusion을 방지하여 근 육을 deprogramming 시키게 된다. Williamson 등20은 교합 고경 증가에 따라 치아의 이개가 발생하며, 치주인대 내 고유수용기가 근 수축과 관련된 electronic impulse를 멈추게 하여, 근활성이 감소됨과 동시에 하악 과두가 근육에 의해 결정된 중심위에 놓 이게 된다고 하였다. 또 다른 전방 재설정 장치인 Lucia jig는 1964년부터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Lucia 등12은 하악의 양측 과두와 상,하악 전치부의 장치 접촉 에 의해 하악이 안정된 tripod effect를 형성하고 leaf gauge와 유사한 기전에 의해 하악을 중심위로 유도한다고 보고 하였다. Woelfel 등13 은 중심위 유도 시 과두부위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환자는 불편감에 의해 반사적으로 하악의 전방운동을 발생시키기

(19)

- 9 -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술자의 유도 없이 전방 재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 스스 로 중심위로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유효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기전을 통해 전방 재설정 장치는 중심위 유도 뿐 만 아니라, 이갈이, 이악물기와 같은 비기능적 습 관의 방지 또는 악관절 장애가 있거나, 안면 동통, 근신경계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 장치로도 적용되어 진다.21

본 연구에서 중심위 유도 시, 근전도 기계를 이용한 이유는 중심위를 치료위로써 결 정하기 위해서 저작근이 생리적인 이완 상태에 있어야 하며, 좌우 근육의 균형적인 활성화가 과두의 생리적 위치를 확보하는 데에 유용한 진단적 기준이 될 것이라고 생 각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Klonoff 등22 은 근전도 기계를 이용하여 좌우 교근의 근활성도가 균형있게 측정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악관절 장애의 치료에 필요하다고 보 고하였고, Ramfjord23는 하악과두가 중심위 위치 시, 저작근의 불필요한 활성이 없다 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중심위 유도 시, 근 균형성과 과두 위치의 상관관계를 보고 한 최근의 연구에서도 근 균형성이 작아질수록 과두 위치의 현저한 변위가 나타남을 언급한 바,24 본 연구의 근전도 기계를 이용한 근활성도 측정은 중심위 결정시 유용하 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전방 재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 발생되는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표층 교근과 전측두근에서 Lucia Jig, leaf gauge 및 cotton roll 모두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근활성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선학들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Irwin 등25 은 하악의 기능운동 시, Lucia jig를 장착하였을 때, 저작근의 근활성 감소를 관찰하였고, Hickman 등26 은 중심위를 포함 한 여러 하악위에서 leaf gauge를 사용하여 폐구 시, 교근과 전측두근의 근활성 감소 를 보고하였다. 연하시에는 안정위 상태의 하악이 저작근에 의해 거상되면서 중심위로 위치되고, 그 후 구치부에서 가벼운 치아 접촉이 발생하면서 저작근의 활성이 크게 증 가된다.27 전방 재설정 장치 사용 시에는 하악이 거상되지만 구치부의 치아 접촉이 발 생하지 않음으로써 저작근의 근활성이 감소하게 되어, 본 연구에서와 같은 결과가 나 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대조군과는 달리, 전방 재설정 장치를 사용하여 연하시 에는, 상,하악 전치부 사이에 장치가 개재됨으로 인하여 수직 고경이 증가되고, 증가된 수직고경 자체가 전반적인 근활성 감소를 일으킬 수 있다.28 이는 본 연구의 근활성 감소 결과가 단순히 전방 재설장 장치의 효과만으로는 추정하기 어려움을 나타낸다.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을 시와 3가지 전방 재설정 장치 사용 시의 실험결과들을 종합 해보면, Lucia jig와 leaf gauge 사용 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실험에 비해 낮은 근

(20)

- 10 -

활성도와 높은 근 균형성을 나타내고, cotton roll 사용 시에는 앞선 두 장치에 비해 높은 근 활성도와 낮은 근 균형성을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가 관찰 되는 이유로는 하악의 tripod effect와 관련된 장치 간 탄성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 어 진다. 자가 중합 acrylic resin으로 제작된 Lucia jig는 강화 polyester film으로 제 작된 leaf gauge나 cotton roll 보다는 단단하고 상악 치아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지기 때문에, 하악을 더욱 안정적으로 중심위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최대 교합 시, Lucai jig와 leaf gauge의 근 활성도 차이를 비교한 Santota 등29 의 연구에 서도,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Lucia jig가 leaf gauge보다 더 작은 근 활성도를 나타 냄을 보고하였으며, Trulsson 등30 은 상,하악 전치부에 치주인대 내 기계적 수용기가 많은 밀도로 분포해 있어, 단단한 물성을 가진 Lucia jig 또는 leaf guage가 교합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단한 물성을 가진 Lucia jig를 사용하여 중심위 유도 시, 하악의 안정성과 함께 전치부 기계적 수용기의 전기적 신 호를 더욱 활성화 시켜, 근 활성도를 감소시키고 근 균형성이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 다.

본 연구에서는 근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방 재설정 장치의 근활성을 평가함으로 서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지만, 근전도 측정기를 이용한 연구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남 아 있다. 근육 내의 모든 근섬유는 동시에 수축하지 않으며, 이러한 수축 부위의 차이 는 false-negative response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표면 전 극은 근육이 아닌 피부 표면에 부착하여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기 때문에, 기름, 머리 카락, 땀 그리고 피부의 움직임 등이 잘못된 근전도 값을 나타낼 수 있다.31 전극 부착 부위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서도 측정값의 재현성이 감소되며, 연구 대상자에 따라 실 험값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는 점 또한 추후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 다.

중심위 유도에 있어, 근 활성도의 감소와 저작근의 생리적 이완이라는 기준에 비추 어 볼 때, 3가지 장치 모두 유용한 중심위 유도 장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근활성 감 소와 근 균형성 증가 정도를 고려해 볼 때, Lucia jig가 가장 효과적인 전방 재설정 장 치가 될 수 있으며, cotton roll은 다른 두 가지 장치에 비해 효과가 적다. 그러나 Lucia jig는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미리 제작 및 조정해야 한다는 실용적 제한성을 가 지며, Nassar 등32 은 lucia jig 장착 후, 처음 5분 동안은 근 활성도의 감소가 관찰되 었으나, 5분 후 부터는 lucia jig의 muscle deprogramming 효과가 감소되어, 근 활성 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임상적으

(21)

- 11 -

로는 Lucia jig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leaf gauge의 사용이 추천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근전도 측정기의 민감도 및 재현성의 부족 등 의 문제점들이 좀 더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환자증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 할 것으로 사료된다.

(22)

- 12 -

Ⅴ. 결 론

본 연구에서 3가지 종류의 전방 재설정 장치인 Lucia jig, leaf gauge 및 cotton roll 을 사용하여 중심위 유도시 발생되는 근 활성도와 근 균형성을 비교하고 이들 장치의 유효성을 평가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Lucia jig 및 leaf gauge 사용 시, 측두근 및 교근 모두에서 유의한 근 활성 감소가 관찰되고, cotton roll 사용 시에는, 우측 측두근과 교근에서만 유의한 근활성 감소가 나타났다(P<.05).

2. 각 장치간 비교 시,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 순으로 근활성이 증가하였 으며, 특히 Lucia jig와 cotton roll 비교 시, 좌,우 측두근과 좌측 교근에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Lucia jig 및 leaf gauge 사용 시, 좌우 측두 근 및 교근 모두에서 근 균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5).

4. 각 장치간 비교 시, Lucia jig, leaf gauge, cotton roll 순으로 좌,우 근 균형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Lucia jig 및 leaf gauge 사용 시, 측두근과 교근 모두에서 cotton roll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근 균형성이 관찰되었다(P<.05).

(23)

- 13 -

참 고 문 헌

1. Dawson PE. Centric relation. Its effect on occluso-muscle harmony. Dent Clin North Am 1979;23:169-180.

2. Kim GN. Record of mandibular movements. J Korean Dent Assoc 1983;21:783-791.

3. Celenza FV. The centric position: replacement and character. J Prosthet Dent 1973;30:591-598.

4. Carroll WJ, Woelfel JB, Huffman RW. Simple application of anterior jig or leaf gauge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J Prosthet Dent 1988;59:611-617.

5. Boucher CO, Hickey JC, Zarb GA.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9th ed, Saint Louis, The CV Mosby, 1985, pp277-291.

6. Granger ER. Centric relation. J Prosthet Dent 1952;2:160-171.

7. Balthazar YM, Ziebert GJ, Donegan SJ. Effect of interocclusal records on transverse axis position. J Prosthet Dent 1984;52:804-809.

8. Avant WE. Using the term “centric”. J Prosthet Dent 1971;25:12-15.

9. Abdel-Hakim AM. The swallowing position as a centric relation record. J Prosthet Dent 1982;47:12-15.

10. Ismail YH, Rokni A. Radiographic study of condylar position in centric relation and centric occlusion. J Prosthet Dent 1980;43:327-330.

11. Kantor ME, Silverman SI, Garfinkel L. Centric relation recording technique – a comparative investigation. J Prosthet Dent 1972;28:593-600.

12. Lucia VO. Centric relation - Theory and practice. J Prosthet Dent 1960;10:849-856.

13. Woelfer JB. New device for accurately recording centric relation. J Prosthet Dent 1986;56:716-727.

14. Long JH. Locating centric relation with a leaf gauge. J Prosthet Dent 1973;29:608-610.

15. Crawford WA. Centric relation reappraised. J Craniomandibular pract

(24)

- 14 - 1984;2:39-45.

16. Jang IT. Clinical significance of centric relation. J Korean Dent Assoc 1983;21:705-711.

17.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6th ed, Saint Louis, The CV Mosby, 1982, pp474-502.

18. Galo R, Vitti M, Mattos MDAG, Regalo SCH. Masticatory muscular activation in elderly individuals during chewing. Gerodontology. 2007;24:244-248.

19. Rosenblum RH, Huffman RW. Leaf gauges with consectively numbered leaves. J Prosthet Dent 1985;54:652-654.

20. Williamson EH, Steinke RM, Morse PK, Swift TR. Centric relation : A comparison of muscle-determined position and operator guidance. J Prosthet Dent 1980;77:133-145.

21. Bodere C, Woda A. Effect of a Jig on EMG activity in different orofacial pain conditions. Int J Prosthodont 2008;21:253-258.

22. Klonoff EA, Janata JW. The use of bilateral EMG equlization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J Oral Rehabil

1986;13:273-277.

23. Ramfjord SP. Bruxism, a clinical and electromyographic study. J Am Dent Assoc 1961;62:21-44.

24. Linsen SS, Stark H, Samai A. The influence of different registration technique on condyle displacement and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stomatognathically healthy subjects: a prospective study. J Prosthet Dent 2012;107:47-54.

25. Irwin B, Gregory T, Jaime Z, Susan S, Diego O. Effect of a prefabricated anterior bite stop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ticatory muscles. J Prosthet Dent 1999;82:22-26.

26. Hickman DM, Cramer R, Stauber WT, The effect of four jaw relations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human masticatory muscles. Arch Oral Biol 1993;38:261-264.

27. Glosen LF, Shaw AF. Use of Leaf gauges in occlusal diagnosis and therapy.

Quintessence Inter 1984;6:611-621.

28. Christensen LV. Effect of an occlusal splint on integrated electromyography

(25)

- 15 -

of masseter muscle in experimental tooth clenching in man. J Oral Rehabil 1980;7:281-288.

29. Santosa RE, Azizi M, Whittle T, Wanigaratrne K, Klineberg IJ. The influence of the leaf gauge and anterior jig on jaw muscle electromyography and condylar head displacement: a pilot study. Aust Den J 2006;51:33-41.

30. Trulsson M, Johansson RS, Olsson KA. Directional sensitivity of human periodontal mechanoreceptive afferents to forces applied to the teeth. J Physiol 1992;447:373-389.

31. Weinberg LA. Vertical dimension: a research and clinical analysis. J Prosthet Dent 1982;47:290-302.

32. Nassar MS, Palinkas M, Regalo SC, Sousa LG, Siessere S, Semprini M, Bataglion C. The effect of a Lucia jig for 30 minutes on neuromuscular re-programming, in normal subjects. Braz Oral Res 2012;26:530-535.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ome inequality and to find the improvement schemes of tax system for the elimination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to allow people with disabilities to work stabl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ate of first aid education completion, knowledge level and 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arketing mix factors, motivation for watching, relationship quality,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