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화상환자의 우울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화상환자의 우울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s Vol. 2 No. 1

February, 1997

pp. 241-247

화상환자의 우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김 미 원

◊ ◊ ....

Depression in Burn Patients

Miwon Kim

Dept o f Nursing,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o o —

> Abstract <

Forty-one patients admitted with 3rd degree burn at Chonnam U 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from February to M arch in 1997. Beck depression scale, Osgood sem antic differential scale, and Roesenberg self-esteem scale were used to measure depress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te s t, AN O 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 ise mItiple repression.

The range o f depression was 3 -3 6 with an average o f 13.8. The depress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image and self-estee m . The more the number o f skin grafts and amount o f skin surface burnt, the higher the depression.

Taken together, the depression may be accounted for by the nmber o f skin grafts, elapsed tim e after the burn, self-estee m , body image and the amount o f skin surface burnt.

I . 서 론

화상은 신체적, 정서적 및 경제적으로 큰 손상을 가져오며 사망의 주요한 요인이 되기 도 한다(Stoddard, F. and O'Connell, K.

1982; 김 등,1992). 화상환자는 신체의 일부 나 기능을 잃게 되는 것 외에도 가족이나 재

산의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Orr, Reznikoff &

Smith, 1989).

화상의 급성기에 환자의 모든 주된 생활 기능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저하되어 무기력 하고 의존적으로 되며 상실로 인한 우울을 경험하게 된다(Bernstein, 1982). 이러한 급성 기의 우울은 치료전에 시작될 수 있으므로

(2)

화상환자가 재활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 하는 동기를 방해 할 수 있다(MacArthur

& Moore, 1975).

우울은 질환이나 용모의 변화가 다른 사람 에 의해 쉽게 관찰되어질수록 또한 화상면적 이 커질수록 증가될 수 있다(Wharton, R. and Zucker, H.,1983). 신체적인 변화로 인한 우 울은 성격의 변화를 가져오며 비탄감, 자기 혐오 및 자아상실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Rubin, 1968).

근래 우울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이루어지 고 있으나 화상환자의 우울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상후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우울의 정도를 조사하여 화상환자 의 전인적 간호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 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n .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3도 이상의 화상으로 전남대학 교병원 성형외과에서 입원치료중이거나 퇴원 후 반흔을 가지고 내원한 화상환자 중 의무 기록상 정신질환이나 화상이외의 다른 내외 과 질환이 없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41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7 년 2 월부터 동년 3 월까지였으며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검토한 후 설문지로 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과 우울, 신체상 및 자아존중 감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2. 연구 도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설문지와 환 자기록지를 사용하여 화상환자의 인구사회학 적 특성과 화상관련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우울측정도구: 우울정도는 21문항으로 표

준화된 Beck(1967)의 우울측정도구(Beck de­

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 수록 우울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신체상측정도구: 신체상 측정을 위해 Osgood (1957)에 의해 개발되고 수정된 10문항의 신 체 의미척도 측정 도구(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 상이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한 10문항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의미한 다.

3.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특성은 백분율 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우울과 신체상 및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우울에 대한 예측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m.

결 고

F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가 68.3%로 많았고,연령은 21-40세 사 이가 가장 많았으며,미혼이 56.1%로 많았다.

직업은 학생과 주부를 포함하여 직업이 없는 경우가 43.9%로 많았으며 다음은 회사원,상 업,농업의 순이었다. 경제상태는 월수입이 100만원미만인 경우가 43.9%였다. 교육정도 는 58.5%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소지하였으 며, 53.7% 에서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대상자의 화상과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면 약 절반에서 2회이상의 입원경험을 가지고 있었으

- 242 -

(3)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41) 며 화상부위는 얼굴 목 팔 등의 노출부위가 특 성 구 분 실수 (%) 70%이상이었다. 화상을 입은 표면적은 10%미 성 별 남 자 28(68.3) 만이 34.1%로 많았고 화상후 경과시간은 6개월 여 자 13(31.7) 에서 2년 사이가 41.5%로 가장 많았다. 피부이 20세이 하 5(12.2) 식 횟수는 1번이하가 56.1%로 많았다. 자료수 연 령 21-30 13(31.7) 집 당시 통증이나 피부 소양증 등의 증상을 가

31-40 13(31.7) 진 환자는 58.5%를 차지하였다(표 1).

40이상 10(24.4) 결혼상태 기 혼

미 혼

18(43.9)

23(56.1) 2. 대상자의 우울 정도 회사원

상 업 농 업

10(24.4) 8(19.5) 5(12.2)

Beck의 우울 측정 도구에 의한 대상자의

직 업 우울 점수 분포는 최소 3점에서 최대 36점

학 생 6(14.6) 까지 있었으며 평균은 13.8점이었다(표 2).

무 12(29.3)

경제상태 / 0.1 ^ \

100만원 미만 18(43.9) 표 2. 대상자의 우울정도 (n=41) 100-200만원 미만 14(34.1)

(월ᄀ-입)

200만원이상 9(22.0) 항목 점수 범위 평균土표준편차

국 졸 4( 9.8) 우울 3 ~ 36 13.8±8.4

학 력 중 졸 13(31.7)

고 졸 대 졸

19(46.3) 5(12.2) 유

무 22(53.7)

19(46.3)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종 교 정도

입원경험 1회 이하 21(51.2) 대상자의 성별,연령,결혼상태, 직업, 학 2회 이상 20(48.8) 력,종교 둥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

화상부위

비 노출부위 12(29.3) 울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화상과 관련된 노출부위

비 노출+노출부위

18(43.9)

11(26.8) 특성을 살펴보면 입원경험에 따라서는 우울 10%미 만 14(34.1) 、점수에 차이가 없었으나,화상부위에 따라서 화상 표면적 10-20% 미만

20-40% 미만

13(31.7) 7(17.1)

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노출부위의 화상인 경우 우울점수가 높았다. 또한 통증이나 소 40%이상 7(17.1) 양증 등의 피부 증상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 1-6개월미만 10(24.4) 이가 있어 증상이 있는 경우에 우울 정도가 화상후 6개월-2년미만 17(41.5) 높았다(표 3). 또한 화상 표면적과 피부이식 경과시간 2-10년미만

10년이 상

6(14.6)

8(19.5) 횟수는 우울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화 피부이식 1 번이하 23(56.1) 상 표면적이 클수록 (r=0.3871, p=0.0124), 횟수 2번이 상 18(43.9) 피부이식 횟수가 중가될수록 (r=0.3160, p=

0.044) 우울점수도 높았다.

(4)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특 성 구 분 평균士표준편차 t or F P

성별 남자

여자

13.3 ± 8.4

14.0 ± 8.5 -0.24 0.809

연령 20세이 하

21-30 31-40 40이상

13.0± 5.4 10.2 ± 8.8 15.2± 6.1 17.0±10.6

1.50 0.231

결혼상태 기혼

미혼

11.6 ± 7.7

15.5± 8.6 -1.49 0.145

직업 회사원

상업 농업 학생 무

13.6± 7.9 11.6土 5.2 11.7± 6.3 10.0 ± 5.4 18.0 ±11.3

1.28 0.297

경제상태 (월수입)

100만원미만 100-200만원 미만 200만원이상

16.2 ± 9.9 10.0 ± 5.3 14.9 ± 7.7

2.38 0.106

학력 국졸

중졸 고졸 대졸

15.0 ±12.2 15.8 ± 6.5 13.7± 9.5

8.0 土 2.3

1.07 0.374

종교 유

무 14.4土 9.8

13.1 ± 6.6 0.51 0.612

입원경험 1회 이하

2회 이상

13.7 ± 8.7

13.9± 8.3 -0.05 0.959

화상부위 비 노출부위

노출부위 비 노출+노출부위

12.9 ± 4.9 12.0± 9.3 17.6± 9.3

1.69 0.198

화상 표면적

10%미만 10-20%미만 20-40%미만 40% 이상

11.4 土 6.2 12.2 ± 7.8 19.1 ±10.5 16.3 ± 9.6

1.82 0.160

화상후 경과시간

1-6개월미만 6개월-2년미만 2-10년 미만 10년이 상

14.8 ± 8.1 13.9 土 7.8 18.2 ±13.2

8.9 ± 3.1

1.58 0.212

피부이식 횟수

1번이 하 2번이 상

12.6± 7.2

15.3 ± 9.7 -1.01 0.318

피부중상 유

무 16.9 ± 9.1

9.4 土 4.8 3.09 0.004

- 244 -

(5)

4. 대상자의 무울정도와 신체상 및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대상자의 신체상 점수 범위는 30-68점이었 으며 평균은 55.8점이었고, 자아존중감 점수 의 범위는 19-53점이었으며 평균은 33.9점이 었다(표 4).

대상자의 우울점수와 신체상 및 자아존중 감 점수와의 관계는 표 5에서 보듯이 유의한 역상관을 보여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점수는 낮았다(표 5).

표 4. 대상자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n=41)

항목 점수 범위 평균±표준편차

신체상 30 〜 68 55.8 ±9.0 자아존중감 19 ~ 53 33.9 ±5.4

표 5. 대상자가 지각한 우울과 신체상 및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n=41)

변수 신체상

r p

자아 존중감

r P

우울 -0.407 0.008 -0.518 0.0005

5.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

우울을 설명해 주는 변인들을 파악하고자 제변인(연령, 입원경험, 입원일수, 화상 표면 적, 화상후 경과시간, 피부이식 횟수,신체상, 자아존중감)의 우울점수에 대한 다단계 중회 귀분석을 하였다.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사이 에는 다중공선성이 있어 우울점수에 대한 설 명력을 상호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신체상을 제외한 제변인의 우울점수에 대해 다단계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피부이식 횟수 가 약 18%,화상후 경과시간이 약 11%, 자 아존중감이 약 9%의 설명력을 보였다(표 6).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제변인의 우울점수에 대한 다단계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신체상이

약 27%,화상표면적이 약 3%, 화상후 경과 시간이 약 5%의 설명력을 보였다.(표 7).

표 6.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신체상 제외) 들의 다중회귀분석

p^tial

S E p

피부이식 횟수 0.1796 10.2687 3.7362 0.0058 화상후 경과시간 0.1101 -2.5067 1.1752 0.0201 자아존중감 0.0585 -0.5049 0.2224 0.0765

표 7.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자아존중감 제외)들의 다중회귀분석

p^tial

S E p

신체상 0.2686 -0.3517 0.1286 0.0005 화상표면적 0.0866 1.1455 0.7398 0.0297 화상후 경과시간 0.0487 -1.9763 1.1116 0.0839

IV. 논 의

화상은 신체구조의 변형과 신체기능의 상 실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체적인 변화는 정서적으로도 우울이나 불안 등의 부 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화상 환자의 우울 점수는 13.8로 김(1997)과 소(1996)의 암환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에 비해 더 낮았다. Beck(1967) 은 우울의 정도를 0ᅳ9점은 우울이 없는 상태, 10-15점은 가벼운 우울,16-23점은 중간정도 의 우울,24점이상은 중증 우울로 분류하였는 데 이 기준에 의하면 가벼운 우울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는 평균치이므로 화상의 중증도 에 따라 차이가 있은 것으로 사료된다.

화상은 신체 외모의 변화를 가져오므로 남

(6)

자보다 여자에서 특히 젊은 여성에서 낮은 신체상 점수를 보였다는 연구들이 있는데 (Orr 등, 1989), 본연구에서도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여자에서 더 우울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얼굴과 팔,

손 등 노출 부위의 화상에서 우울 점수가 높 게 나타나 Blades(1982)의 얼굴이나 손에 화 상을 입은 환자에서 신체 기능 장애 점수가 더 높았다는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Ward (1987) 등의 흉터를 가진 화상환자는 다른 정서적인 문제 없이도 우울을 야기할 수 있 다고 한 주장에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

결혼 상태별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미혼인 경우 우울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여 우울이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역상 관을 보인 점을 감안할 때 결혼전의 화상으 로 인한 신체 변화는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우울이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과 역상관을 보인 결과는 다른 연구(김,1997; 정, 1988;

Krouse와 Krouse, 1982)의 보고들과 일치하 였다.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신체상과 자아존 중감이 낮아 자신은 가치가 없고 무능하며 비탄감이나 자기 혐오와 좌절에 빠질 수도 있다고 한 Coopersmith(1977)의 주장을 뒷받 침하였다.

화상환자들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의 우울 점수에 대한 설명력을 보면 피부이 식 횟수, 화상후 경과 시간,자아존중감 그리 고 신체상, 화상표면적 등이었다. 피부이식 횟수가 잦을수록 화상 표면적이 넓을수록 우 울 점수는 높았으며 화상후 경과시간이 길수 록 우울 점수는 낮았다. 이는 화상후 경과시 간,화상환자의 반복적인 수술 등이 자아존 중감에 영향을 준다는 Bowden (1980)의 보 고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화상환자는 화상부위,

화상표면적, 피부이식횟수둥 제요인에 의해 우울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우울은 신

체상과 자아존중감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화상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 재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V . 결 론

화상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1997년 2월부 터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성형외과에서 3 도 이상의 화상으로 입원치료중이거나 퇴원 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Beck의 우울즉정도구, Rosen­

berg 의 자아존중감 측정도구,ᄋsgood의 신체 의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t-test, ANOVA, Pearson corre­

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 하여 대상자의 우울과 제변인과의 관계를 파 악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우울점수의 범위는 3-36점이 었으며 평균 13.8점이었다.

2. 대상자의 우울은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과 역상관을 보였다.

3. 화상의 표면적과 피부이식회수가 증가 할수록 우울점수는 높았다.

4. 우울을 설명해 주는 변인은 피부이식 횟수, 화상후 경과시간,자아존중감,신체상, 화상표면적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화상환자는 화상으로 인한 제 변인에 의해 우울을 경험하므로 화상환자의 우울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의 강구가 절 실함을 알 수 있었다.

참 고 문 헌

김병삼, 임기영, 류봉수,이삼용,조백현(1992).

화상환자 531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 246 -

(7)

대한성형학회지,19(2), 222-231.

김순영(1997). 자궁경부암환자의 치료전 우울 고卜 관련된 요인조사. 전남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소향숙(1996).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시기별 불확실성, 대처방식 및 우울의 변호卜 양 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금희(1988). 자궁적출술 환자의 신체상과 우 물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Beck, A(1967). Depression: Care and treat­

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 sylvania Press.

Bernstein, N. R.(1982). Psychosocial results of bums'The damged self image.

Clin plast surg, 913, 337-346.

Bernstein, N. R , O'Connell, K.,Chedekel, D.(1992). Patterns of Adjustment, 13,

4-12.

Blades, B. C.,Mellis, N. & Manster, A.

M.CL982). A Bum Specific Health Scale. The Jouranl of trouma, 22(10), 872-875.

Bowden, M.L., Feller, I., Tolen, D.,Davidson T.N. & James, M.H.(1980). Self esteem of severely burned patients.

Arch Phys M ed Rehobil, 61, 449- 452.

Coopersmith, S.(1968). Studies in Self esteem . Scientific American 2 , 96- 106.

Coopersmith, SX197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leeman.

Krouse, H. and Krouse, J.0L982). Cancer as Crisis; The critical elements of adjustment. Nursing Research, 31(2), 96-101.

MacArthur, J. and Moore, F.(1975). Epide­

miology of bums. JAMA, 231,259- 263.

Orr, D., Reznikoff, M.,& Smith, G.(1989).

Body image, self-esteem, and depres­

sion in bum-injured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 Bum Care Rehobil, 10, 454- 461.

Osgood, CU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Illinois Press.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

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

ceton University Press.

Rosenberg, M.,PearlinL. 1.(1978) Social class and self esteem among children and adults. Am J Sociel, 84, 53-76.

Rubin, R(1968). Body Image and Self esteem.

Nursing Outlook, 16(6), 20-24.

Stoddard, F. & O'Connell, K(1982). Dyspho­

ria in children with severe bums. J Child Contemp Soc, 15, 41-45.

Ward, Mass, Darko(1987). Prevalence of post bum depression following bum injury. J-bum care Rehabil, 8,294- 298.

Wharton, R. & Zucker, R(1983). Depression in the medically ill, In Finkel J, ed.

Consultation-liason psychiatry. New York, Grune & Stratton, 159-178.

수치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41)  며  화상부위는  얼굴  목  팔  등의  노출부위가 특  성 구  분 실수 (%) 70%이상이었다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특  성 구  분 평균士표준편차 t or F P 성별 남자 여자 13.3 ±  8.4 14.0 ±  8.5 -0.24 0.809 연령 20세이 하  21-30  31-40  40이상 13.0±  5.4 10.2 ±  8.8 15.2±  6.1 17.0±10.6 1.50 0.231 결혼상태 기혼 미혼 11.6 ±  7.7 15.5±  8.6 -1.49 0.145 직업 회사원 상업 농업 학생 무 1

참조

관련 문서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The study conducted a study of literature and research, and in literature, the study of cosmetic behavior, nail behavior, self esteem, and

Comparison of pain scale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2-step needle insertion technique according to the injection area ··· 11... The combination of pain scale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OABSS, overactive bladder symptom score; PSS, perceived stress scal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PSS, CES-D associations with OABS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nature-experience in education program for alternative school so that self-esteem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LS), health behavior including smoking(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sleep(Pittsburgh

An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Anxiety,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single-parented children.. 2009년